KR100967754B1 - 무선 통신 방법과 송신기 및 수신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과 송신기 및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754B1
KR100967754B1 KR1020070091495A KR20070091495A KR100967754B1 KR 100967754 B1 KR100967754 B1 KR 100967754B1 KR 1020070091495 A KR1020070091495 A KR 1020070091495A KR 20070091495 A KR20070091495 A KR 20070091495A KR 100967754 B1 KR100967754 B1 KR 100967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s
transmission
combination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615A (ko
Inventor
다께시 다까노
리앙 저우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4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subgroups of receiv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26Power distribution
    • H04B7/043Power distribution using best eigenmode, e.g. beam forming or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7/061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종래보다도 적은 연산량으로 고속으로, 무선 환경에 부응한 최적의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선택을 행할 수 있게 한다. 각 송신 안테나(15-1∼15-Nt)의 일부인 어느 것인가의 복수와, 각 수신 안테나(21-1∼21-Nr)의 어느 것인가의 복수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안테나 그룹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한 제1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안테나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조합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한 제2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조합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조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행한다.
Figure R1020070091495
기지국 장치, 프리코딩 처리부,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이동국 장치, 채널 추정부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과 송신기 및 수신기{RADIO COMMUNICATION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과 송신기 및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다입력 다출력)를 이용하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송수신 안테나 선택에 바람직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파수 대역을 유효 이용하여 대용량(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가 주목받고 있다. MIMO는, 송수신 쌍방에 복수 안테나를 이용하여, 즉 복수 안테나를 갖는 송신기 및 복수 안테나를 갖는 수신기를 이용하여, 송신기의 복수 안테나로부터 독립한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고, 수신기의 각 수신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전파로 상에서 서로 섞인 복수의 송신 신호(데이터 스트림)를, 통신로(채널)의 상태(환경)를 나타내는 채널 상태 정보(CSI : Channel State Information)(채널 추정값이라고도 불림)를 이용하여 개개로 분리함으로써, 주파수 대역의 확대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전송 레이트를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MIMO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상적으로 기지국 장치(BS : Base Station) 측에 이동국 장치(MS : Mobile Station) 측보다도 다수의 안테나를 채용한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는, 전송 품질 등을 확보하기 위해, BS 및 MS는 서로 중계(릴레이)국 장치(RS : Relay Station)를 경유하여 통신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종래의 MIMO 시스템(하기 특허 문헌 1 참조)에서는, 전송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BS의 수신 안테나를 그룹화하고, BS는 그 중에서 어떤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된 안테나 그룹을 이용하여, 수신을 행한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2의 기술에서는, BS의 송신 안테나 수는 4개로 적기 때문에,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경우, 어느 정도의 계산량으로 가능하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04-31238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개 제2006-67237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방법(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BS가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구성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고, BS의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개시도 시사도 하지 않는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기술에서는, BS의 안테나 수가 많아지면, 최적의 안테나를 찾는 데에는 상당히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BS(송신기) 측과 MS(수신기) 측에서 사용(선택)하는 송수신 안테나 수는 통상 동수(예를 들면, BS측 2개, MS측 2개의 2×2 MIMO 등)이기 때문에, 통신 환경에 따라서는 안테나의 조건이 좋지 않은 경우가 있어, 로버스 트(Robust)한 전송 용량의 확보에 곤란하다.
또한, RS의 안테나 수가 많아지는 경우, BS측과 RS측의 안테나 전부를 동시에 사용하면, 코스트, 복잡도 등이 증대하게 된다. 또한, BS와 RS 사이에서 안테나 선택을 행하는 경우, 안테나 수가 매우 많기 때문에, 최적의 안테나를 찾는 데에는 매우 시간이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종래보다도 적은 연산량으로 고속으로, 무선 환경에 부응한 최적의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선택을 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부차적으로, 무선 환경에 따라서, MIMO 통신과 프리코딩 송신(빔 포밍)을 선택적으로 행하여, 통신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전송 용량, 전파 도달 범위 등의 통신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무선 통신 방법과 송신기 및 수신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1)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방법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송신기와,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수신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일부인 어느 것인가의 복수와, 상기 각 수신 안테나의 어느 것인가의 복수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안테나 그룹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한 제1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안테나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조합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한 제2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조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조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여기서, 상기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각 송신 안테나는, 인접하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 또는 기준 송신 안테나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3) 또한, 임의의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송신 안테나의 일부가, 상이한 안테나 그룹의 구성 요소로서 중복되어 있어도 된다.
(4) 또한, 상기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송신 안테나 수는, 해당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수신 안테나 수보다도 커도 된다.
(5) 또한, 상기 조합 중에서, 수신 안테나 수와 동수의 송신 안테나에 의한 MIMO 통신에 관한 기준을 만족하는 조합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해당 조합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MIMO 통신을 행하고, 존재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조합의 송신 안테나의 전부를 이용하여, 프리코딩 송신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6) 또한, 임의의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수신 안테나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이한 안테나 그룹의 구성 요소로서 중복되어 있어도 된다.
(7) 또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선택한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조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송신기에 통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8)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방법은, Nt개(Nt는 2 이상의 정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송신기와, Nr개(Nr은 2 이상의 정수)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수신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와 상기 각 수신 안테나 사이에 대해 얻어지는 Nt×Nr개의 채널 추정값을, Lt×Lr개(단, Lt<Nt, Lr)의 요소 추정값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블록으로 그룹 분류하고, 상기 복수 블록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한 제1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블록을 선택하고, 선택된 블록의 요소 추정값의 조합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한 제2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조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요소 추정값의 조합에 대응하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조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또한, 본 발명의 수신기는, Nt개(Nt는 2 이상의 정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송신기와, Nr개(Nr은 2 이상의 정수)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수신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기 수신기로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와 상기 각 수신 안테나 사이에 대해 얻어지는 Nt×Nr개의 채널 추정값을, Lt×Lr개(단, Lt<Nt, Lr≤Nr)의 요소 추정값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블록으로 그룹 분류하는 그룹화 수단과, 그 그룹화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복수 블록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한 제1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블록을 선택하는 블록 선택 수단과, 그 제1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블록의 요소 추정값의 조합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한 제2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조합을 선택하는 요소 추정값 선택 수단과, 상기 블록 선택 수단 또는 상기 요소 추정값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기를 위한 안테나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기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또한, 본 발명의 송신기는, Nt(Nt는 2 이상의 정수)개의 송신 안테나를 갖고, 상기 (9)에 기재된 수신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통지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그 수신 수단에서 수신된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에 따라서 사용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안테나 선택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이하에 기재하는 어느 하나의 효과 또는 이점이 얻어진다.
(1) 송신 안테나 수가 많기 때문에 송수신 안테나 수가 매우 많아져도(즉, 채널 매트릭스의 요소 추정값 수가 매우 많아져도), 종래보다도 적은 연산량으로 고속으로, 무선 환경에 부응한 최적의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선택을 행하여, 무선 환경에 부응한 최적의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코스트, 복잡도 등도 삭감할 수 있다.
(2) 소정(상기 제1 및 제2)의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송수신 안테나의 조합이 존재하면, 그 조합의 송수신 안테나에서 MIMO 통신을 행하고, MIMO 통신에 적절한(상기 제2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한) 송수신 안테나의 조합이 존재하지 않 으면, 프리코딩 송신(빔 포밍)을 행할 수 있으므로, 어떤 무선 환경에서도, 항상 통신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전송 용량, 전파 도달 범위 등의 통신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A〕제1 실시 형태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로, 이 도 1에 도시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1대의 송신기로서의 기지국 장치(BS(10))와, 적어도 1대의 수신기로서의 이동국 장치(MS(20))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BS(10)는, 그 주요부에 주목하면, 예를 들면 공간 다중 변조부(11), 프리코딩 처리부(12), Lt(Lt는 2 이상의 정수)개의 송신 RF부(13-1∼13-Lt)(이하,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 RF부(13)라고 표기함)와, 안테나 스위치(14)와, Nt(Nt는 2 이상의 정수에서 Nt≥Lt)개의 송신 안테나(15-1∼15-Nt)(이하,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 안테나(15)라고 표기함)와, 코드북 메모리(16)와, 프리코딩 매트릭스/코드워드 선택부(17)와, 송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1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MS(20)는, 그 주요부에 주목하면, 예를 들면 Nr(Nr은 2 이상의 정수)개의 수신 안테나(21-1∼21-Nr)(이하,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 안테나(21)라고 표기함)와, Nr(Lr은 2 이상의 정수에서 Lr≤Nr)개의 수신 RF부(23-1∼23-Lr)(이하,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 RF부(23)라고 표기함)와, MIMO 수신 신호 처리부(24)와, 채널 추정부(25)와, 안테나 선택부(사용 안테나 결정부)(26)와, 코드북 메모리(28)와,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신 RF부(23)가 Nr개라고 하는 것은, MS(20)(수신 RF부(23))에서 한번에 처리 가능한 수신 데이터 스트림 수가 Nr인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그 최대값은 상기한 바와 같이 Nr로 된다.
(BS(10)의 구성 설명)
여기서, BS(10)에서, 공간 다중 변조부(11)는, 터보 부호화 등의 주어진 오류 정정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계열을, 소정의 변조 방식, 예를 들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나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의 신호점을 갖는 심볼(데이터 채널의 신호)에 맵핑하여 변조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Ns (단, 1≤Ns≤min(Lt, Nr))개의 송신 데이터 스트림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공간 다중 변조(11)에서는, 데이터 채널의 신호 이외에, 채널 추정에 사용하는, BS(10)-MS(20) 사이에서 기지의 신호(파일럿 신호 혹은 프리앰블 신호)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의 신호(제어 심볼) 등의 다중 처리도 행할 수 있 다.
프리코딩 처리부(프리코딩 수단)(12)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코드워드 선택부(17)로부터 공급된 프리코딩 매트릭스(행렬) 또는 코드워드를 이용하여, Ns(1≤Ns≤Nr)개의 송신 데이터 스트림을 프리코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18)에 의해 선택되는 Lt개의 송신 안테나(15)에 맵핑함으로써, Lt개의 송신 안테나(15)에 의한 빔 포밍을 행하는 것이다. 단, 해당 프리코딩(빔 포밍)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신 데이터 스트림 수 Ns<선택 송신 안테나 수 Lt의 경우에(즉, 선택 송신 안테나 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실시되고, 송신 데이터 스트림 수 Ns=선택 송신 안테나 수 Lt의 경우에는 MIMO 다중 송신을 행하기 위해 실시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송신 RF부(13)는, 각각 Lt개의 송신 데이터 스트림에 관해서 DA(Digital to Analog) 변환이나 무선 주파수(RF)로의 주파수 변환(업 컨버트) 등을 포함하는 주어진 무선 송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며, 안테나 스위치(14)는, 송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18)의 제어 하에, 송신에 사용하는 Lt개의 송신 안테나(15)를 선택하여 송신 RF부(13)와의 접속을 행하는 것이며, 송신 안테나(15)는, 각각 안테나 스위치(14)를 통해서 접속된 송신 RF부(13)로부터의 송신 RF 신호를 MS(20)를 향해 공간에 방사 하는 것이다.
코드북 메모리(16)는, 상기 프리코딩 시에 이용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혹은 벡터. 이하, 동일함)를 결정할 때에 이용하는 코드북(코드워드)을 미리 기억해 두는 것이다. 해당 코드북은, 예를 들면 미리 결정한 유니터리 행렬(Unitary Matrix)의 집합으로서 정의되고(그 요소를 코드워드라 정의함), 사전에 데이터 스트림 수 Ns와 송신 안테나 수 Lt와 피드백 비트수(L)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또한, 코드북 중의 요소를 코드워드라고 정의한다. MS(20) 사이에서 동일한 코드북을 이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MS(20) 측(코드북 메모리(28))에도 동일한 것이 미리 기억된다.
따라서, BS(10)는, 상기 CSI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요소 정보 전부를 MS(20)로부터 통지(피드백)하게 하지 않아도, 한정된 정보(예를 들면, 코드북에서의 코드워드의 인덱스)를 통지하게 하면, 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할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한정된 정보에 의한 통지 방법을 리미티드 피드백 전송이라 부르고, MS(20)로부터 BS(10)에의 업링크의 대역 유효 이용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덱스 등의 한정된 정보의 전송은, 본예에서는, 도 1 중에 부호 40으로 나타내는 피드백 채널을 이용하여 행한다. 그 피드백 채널(40)은, MS(20)의 송신계로부터 BS(10)의 수신계에의 업링크의 채널 중 하나로서, 도 1에서는, 이들 MS(20)의 송신계 및 BS(10)의 수신계의 도시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다음으로, 프리코딩 매트릭스/코드워드 선택부(17)는, MS(20)로부터 피드백 채널(40)에 의해 통지되어 오는 안테나 인덱스(안테나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안테 나 선택 제어부(18)에 통지함과 함께, 상기 프리코딩에 필요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프리코딩 처리부(12)에 공급하므로, 그 때 피드백 채널(40)에 의해 MS(20)로부터 통지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그대로 공급하여도 되고, 상기 리미티드 피드백 전송에 의해 통지된 상기 인덱스로부터 특정되는 코드워드를 상기 코드북으로부터 선택하고 그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선택하여 공급하여도 된다.
송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18)는,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에 따라서 안테나 스위치(14)를 제어하여 송신 RF부(13)와 송신 안테나(15)의 접속을 제어하는 것이다.
(MS(20)의 구성 설명)
한편, MS(20)에서, 수신 안테나(21)는, 각각 BS(10)의 송신 안테나(15)로부터 송신된 RF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며, 수신 RF부(23)는, 각각 수신 안테나(21)에서의 수신 RF 신호에 대해서, 베이스밴드 주파수로의 주파수 변환(다운 컨버트)이나 AD(Analog to Digital) 변환 등을 포함하는 주어진 무선 수신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MIMO 수신 신호 처리부(24)는, 수신 RF부(23)에서 처리된 수신 신호(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 즉 공간 다중된 수신 신호를 송신 데이터 스트림마다 분리하여, 복조 및 복호하는 것이다. 또한, 해당 분리 처리는, 예를 들면 상기 파일럿 신호(혹은, 프리앰블 신호. 이하, 동일함)와 파일럿 리플리카의 상관 연산에 의해 구해지는 CSI에 기초하여, 채널 상관 행렬의 역행렬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MLD(Maximum Likelihood Det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채널 추정부(25)는, 수신 RF부(23)에서 처리된 파일럿 신호와 MS(20)가 미리 보유하는 파일럿 리플리카와의 상관 연산에 의해 상기 CSI를 구하는(즉,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 것이다.
사용 안테나 선택부(26)는, 소정의 안테나 선택 기준에 기초하여 BS(10)와의 사이의 통신에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15) 및 수신 안테나(21)의 조합을 선택(결정)하는 것으로, 본예에서는 계층적인 선택, 즉 송신 안테나(15) 및 수신 안테나(21)를 복수의 송신 안테나(15) 및 복수의 수신 안테나(21)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안테나 그룹으로 그룹 분류하고, 각 안테나 그룹 중에서 제1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안테나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한 안테나 그룹 중에서 또한 제2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송신 안테나(15) 및 수신 안테나(21)의 조합의 선택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송신 안테나 수 Nt가 어떤 기준 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모든 안테나 조합을 선택 대상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수신 안테나(21)에 대해서는 일부 또는 전부를 각 안테나 그룹에 공통된 요소로 하여도 된다. 전부를 공통된 요소로 한 경우에는, 송신 안테나(15)만을 복수 그룹으로 그룹 분류하는 것에 상당한다.
이와 같은 그룹 분류는, 채널 추정부(25)에 의해 얻어진 CSI(채널 행렬)의 요소 추정값을 그룹 분류하는 것을 의미하고, 안테나 그룹 중으로부터 송신 안테나(15) 및 수신 안테나(21)의 조합을 선택하는 것은, 해당 채널 행렬의 요소 추정값의 조합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룹 분류의 구체예, 안테나 선택 기준 등 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즉, 본예의 사용 안테나 선택부(26)는, 각 송신 안테나(15)와 각 수신 안테나(21) 사이에 대해 얻어지는 Nr×Nt개의 채널 추정값을, Lr×Lt개의 요소 추정값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블록으로 그룹 분류하는 그룹화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코드북 메모리(28)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BS(10) 측과 동일한 코드북을 미리 기억해 두는 것이며,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는, 채널 추정부(25)에 의해 얻어진 CSI에 기초하여, BS(10) 측에서의 상기 프리코딩에 필요한 정보(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피드백 채널(40)에 의해 BS(10)에 통지하는 것으로, 상기 CSI에 기초하여 계산한 프리코딩 매트릭스, 혹은 상기 리미티드 피드백 전송의 경우에, 코드북 메모리(28)에서의 코드북을 검색하여 얻어진 코드워드의 인덱스를 상기 피드백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스템 동작 설명)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MIMO 통신 시스템의 동작, 특히 안테나 선택 방법에 주목한 동작에 대해, 도 2 ∼ 도 5를 병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BS(10) 및 MS(20)는, 사전에 자기의 송신/수신 안테나 수나 데이터 스트림의 처리 능력 등에 관한 정보를 서로 송수함으로써, 통신 상대의 안테나 수나 처리 능력을 파악한다(스텝 S11, S21).
그리고, BS(10)는, 파일럿 신호를 MS(20)를 향해 송신하고(스텝 S12), MS(20)는, 채널 추정부(25)에서, 수신 파일럿 신호와 파일럿 리플리카와의 상관 연산에 의해 채널 응답을 추정한다(CSI를 구한다)(스텝 S22).
그리고, MS(20)는, 얻어진 CSI에 기초하여, 소정의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안테나 그룹을 1개 선택한다. 즉, BS(10)의 각 송신 안테나(15)를, 1 그룹당의 송신 안테나 수(Lt)가 MS(20) 측에서 사용 가능한 수신 안테나 수(Lr)보다도 많아지도록 복수의 안테나 그룹으로 그룹 분류하고, 해당 안테나 그룹 중에서, 상기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안테나 그룹을 1개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그룹 분류는, 예를 들면 도 2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Lt개의 송신 안테나(15)를 1 그룹으로 하여도 되고, 도 4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어떤 송신 안테나(15)를 기준 안테나로서 등간격(등거리)에 있는 Lt개의 송신 안테나(15)를 1 그룹으로 하여도 된다.
만약, BS(10)의 송신 안테나 수 Nt=9, MS(20)의 수신 안테나 수 Nr=Lr=2, 1 안테나 그룹당의 송신 안테나 수 Lt=3으로 한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그룹 분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r×Nt=2×9의 매트릭스로서 얻어진 채널 행렬의 18개의 요소 추정값(hij:i=1∼2, j=1∼9)을 Lr×Lt=2×3(=6)의 인접하는 요소 추정값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블록(2×3의 행렬 Hs)으로 그룹 분류하는 것과 등가이며, 따라서 안테나 그룹을 선택한다고 하는 것은, 해당 블록 단위에서 상기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블록을 선택하는 것과 등가이다.
마찬가지의 이론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그룹 분류는, Lr×Nt=2×9의 매트릭스로서 얻어지는 채널 행렬에서 등거리에 있는 2×3=6개의 요소 추정값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채널 행렬 Hs)으로 그룹 분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1 안테나 그룹에서 복수의 MS(20)에 대한 통신(멀티 유저 MIMO 전송)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1 블록(행렬 Hs)을 구성하는 요소 추정값의 선정 방법, 즉 안테나 그룹의 그룹 분류의 방법은, 상기 이외에도 여러 가지 생각되게 되고, 예를 들면 어떤 블록에 속하는 요소 추정값이, 다른 블록에 중복하여 속하도록 그룹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연산량을 가능한 한 적게 하기 위해서는, 도 2(도 3)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순한 그룹 분류를 행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우선, MS(20)(사용 안테나 결정부(26))는, 상기한 바와 같은 그룹 분류를 전제로 하여, 구체적으로는 하기 (a)∼(c)에 도시한 어느 하나의 안테나 선택 기준, 다시 말하면 BS(10) 사이의 통신 품질에 관한 제1 안테나 선택 기준을 이용하여, 우선 안테나 그룹(요소 추정값의 블록)의 선택을 행한다. 즉, 사용 안테나 결정부(26)는, 상기 요소 추정값의 복수 블록 중에서, 하기 (a)∼(c)의 어느 하나의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블록을 선택하는 블록 선택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a) 용량(Capacity) 선택 기준
MS(20)(사용 안테나 결정부(26))는, 하기의 식(1)에 의해, BS(10) 사이의 통 신 용량(Capacity)을 최대화하는 안테나 그룹을 선택한다.
Figure 112007065503516-pat00001
단, 상기 식(1)에서, Hs는 안테나 그룹의 채널 행렬, ρ는 해당 안테나 그룹에서의 각 수신 안테나(21)의 평균 SNR(Signal to Noise Ratio), det는 행렬식(determinant), Hs′는 Hs의 복수 공액 전치를 나타낸다.
(b) 특이값(Singular value) 선택 기준
MS(20)(사용 안테나 결정부(26))는, 하기의 식(2)에 의해, 채널 행렬 Hs의 최소 특이값(Minimum singular value) λmin{Hs}을 최대화하는(이는 최소 SNR을 최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안테나 그룹을 선택한다.
Figure 112007065503516-pat00002
(c) 조건 수(Condition Number) 선택 기준
MS(20)(사용 안테나 결정부(26))는, 하기의 식(3)에 의해, 채널의 조건 수, 즉 채널 행렬 Hs의 최대 특이값 λmax{Hs}를 최소 특이값 λmin{Hs}으로 나눈 값을 최소화하는(이는 오류율을 최적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안테나 그룹을 선택한다.
Figure 112007065503516-pat00003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 그룹이 선택되면, 다음으로 MS(20)(사용 안테나 결정부(2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한 안테나 그룹에서의 송신 안테나 수와 수신 안테나 수를 비교하여, 송신 안테나 수 Lt와 수신 안테나 수 Lr이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4).
그 결과, 동일하다면, MS(20)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에 의해, 선택한 송신 안테나(15)의 인덱스를 피드백 채널(40)에 의해 BS(10)에 송신(통지)한다(스텝 S24의 "예" 루트로부터 스텝 S25).
한편, 송신 안테나 수 Lt와 수신 안테나 수 Lr이 동일하지 않으면, 즉 송신 안테나 수 Lt>수신 안테나 수 Lr(데이터 스트림 수 Ns)이면, 사용 안테나 결정부(26)는, 선택 안테나 그룹 중의 송신 안테나 수 Lt와 수신 안테나 수 Lr을 동수로 조정한 다음에, 해당 선택 안테나 그룹 중의 모든 송수신 안테나 조합을 검색하고, 소정의 안테나 선택 기준(통신 품질에 기초하는 제2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지(예를 들면, 상기 채널의 조건 수가 어떤 임계 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재판정한다(스텝 S26, S27).
또한, 해당 재판정 대상으로 하는 송수신 안테나 수의 조정(선택)은, 예를 들면 각 안테나(15, 21)의 SINR(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power Ratio)을 계산하고, 최소의 SINR을 갖는 안테나(15, 21)를 제외함으로써 행하여도 되고, SINR 혹은 평균 전력이 큰 안테나(15, 21)를 선택함으로써 행하여도 된다.
그 결과, 해당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MS(20)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에 의해, 상기 스텝 S25와 마찬가지로, 선택된 송신 안테나(15)의 인덱스를 피드백 채널(40)에 의해 BS(10)에 송신(통지)한다(스텝 S27의 "예" 루트로부터 스텝 S28).
즉, 사용 안테나 결정부(26)는, 상기한 블록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블록의 요소 추정값의 조합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한 제2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조합을 선택하는 요소 추정값 선택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해당 선택 수단이, 또한 상기 요소 추정값의 조합 중에서, 수신 안테나 수와 동수의 송신 안테나(15)에 의한 MIMO 통신에 관한 기준을 만족하는 조합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는, 사용 안테나 결정부(26)(블록 선택 수단 또는 요소 추정값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BS(10)를 위한 안테나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BS(10)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사용 안테나 결정부(26)는, 또한 고유 모드 전송을 실시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7의 "아니오" 루트로부터 스텝 S29). 그 결과, 사용 안테나 결정부(26)에서 고유 모드 전송을 실시한다고 판정된 경우, MS(20)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에 의해, CSI(채널 매트릭스)의 특이값 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 : SVD)를 계산하여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구하고(상세한 것은 후술), 이를 피드백 채널(40)에 의해 BS(10)에 송신한다(스텝 S29의 "예" 루트로부터 스텝 S30).
이에 대해, 사용 안테나 결정부(26)에서 고유 모드 전송을 실시하지 않는다(즉, 리미티드 피드백 전송을 실시한다)고 판정된 경우, MS(20)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에 의해, 코드북 메모리(28)에서 코드북에서의 코드워드의 인덱스를 검색하고, 해당 코드워드의 인덱스를 피드백 채널(40)에 의해 BS(10)에 송신한다(스텝 S29의 "아니오" 루트로부터 스텝 S31).
즉,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통지 수단)는, 상기 판정부에서 상기 요소 추정값의 조합이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해당 조합에 따른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안테나 인덱스)를 생성하고, 해당 판정부에서 존재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조합의 요소 추정값에 기초하여, BS(10)에 의한 프리코딩 송신에 필요한 프리코딩 정보(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코드워드의 인덱스)를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로서 생성하여 BS(10)에 통지하는 안테나 선택 정보 생성부로서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한편, BS(10)에서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코드워드 선택부(17)에 의해, 상기의 스텝 S25 또는 S28에서 MS(20)로부터 피드백 채널(40)에 의해 통지된 안테나 인덱스에 기초하여, MIMO 다중 송신을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3). 즉, 프리코딩 매트릭스/코드워드 선택부(17)는, 송신 데이터 스트림 수 Ns=선택 송신 안테 나 수 Lt의 경우에 MIMO 다중 송신을 행한다고 판단한다.
그 결과, MIMO 다중 송신을 행한다고 판단되면, BS(10)는 송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18)에 의해 안테나 스위치(14)를 제어하여, 상기 통지된 안테나 인덱스에 의해 특정되는 송신 안테나(15)와 송신 데이터 스트림의 존재하는 송신 RF부(13)를 접속하고, MIMO 다중 송신을 행한다(스텝 S13의 "예" 루트로부터 스텝 S14).
한편, MIMO 다중 송신을 행하지 않는다라고 판단되면, BS(10)(프리코딩 매트릭스/코드워드 선택부(17))는 고유 모드 전송을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3의 "아니오" 루트로부터 스텝 S15). 그 결과, 상기 스텝 S15에서 MS(20)로부터 피드백 채널(40)에 의해 프리코딩 매트릭스가 통지되어 있어서 고유 모드 전송을 행한다고 판정하였을 경우, 프리코딩 매트릭스/코드워드 선택부(17)는, 해당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프리코딩 처리부(12)에 공급한다. 또한, 송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18)에 의해 안테나 스위치(14)를 제어하여, 송신 데이터 스트림이 존재하는 송신 RF부(13)와, 선택된 송신 안테나(15)(이 경우의 송신 안테나 수는 MS(20) 측으로 선택된 수신 안테나 수보다도 많음)를 접속한다.
이에 의해, BS(10)는 MS(20) 측의 수신 안테나 수(송신 데이터 스트림 수)보다도 많은 송신 안테나(15)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코딩에 의한 빔 포밍을 행하여 MS(20)에 대한 송신을 행한다(스텝 S15의 "예" 루트로부터 스텝 S16).
이에 대해, 상기 스텝 S29에서 MS(20)로부터 피드백 채널(40)에 의해 코드워드의 인덱스가 통지되어 있어 고유 모드 전송이 아니라 리미티드 피드백 전송을 행 한다고 판정한 경우, 프리코딩 매트릭스/코드워드 선택부(17)는, 해당 코드워드의 인덱스를 기초로 대응하는 코드북을 코드북 메모리(16)에서 검색하고, 해당 코드북에 기초하여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여 프리코딩 처리부(12)에 공급한다. 또한, 고유 모드 전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송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18)에 의해 안테나 스위치(14)를 제어하여, 송신 데이터 스트림이 존재하는 송신 RF부(13)와, 선택된 송신 안테나(15)(이 경우도, 송신 안테나 수는 MS(20) 측으로 선택된 수신 안테나 수보다도 많음)를 접속한다.
이에 의해, BS(10)는 MS(20) 측의 수신 안테나 수(송신 데이터 스트림 수)보다도 많은 송신 안테나(15)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코딩에 의한 빔 포밍을 행하여 MS(20)에 대한 송신을 행한다(스텝 S15의 "아니오" 루트로부터 스텝 S17).
즉, 프리코딩 처리부(12)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코드워드 선택부(17)에서 안테나 선택 정보로서 프리코딩 정보(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코드워드)가 수신되면, 해당 프리코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소 추정값의 조합에 대응하는 송신 안테나(15)에 의한 프리코딩 송신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BS(10)의 1 안테나 그룹 내의 각 송신 안테나(15)가 복수의 MS(20)에 대하여 중복되어 있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상기 도 2와 같은 경우)는, 각 MS(20)에 대하여 동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BS(10)의 1 안테나 그룹 내의 일부 또는 전부의 송신 안테나(15)가 복수의 MS(20)에 대하여 중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복되어 있는 송신 안테나(15)에 대해서는 시분할 송신을 행하면 된다.
TDD(Time Division Duplex)의 경우, 채널의 상호 관계(reciprocity)로부터, BS(10)와 MS(20)가 사운딩(sounding)에 의해, 채널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의 경우에는, MS(20)로부터 BS(10)에의 피드백에 의해, BS(10)는 다운링크의 채널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기적으로, 혹은 부정기로, BS(10)가 파악하고 있는 MS(20)의 수신 품질 정보 등을 MS(20)에 전송하여, 필요에 따라서 상술한 계층적인 안테나 선택, 프리코딩 처리를 재실시하도록 하면, 최신의 전파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리코딩 처리의 설명)
다음으로, 상기 프리코딩 처리(빔 포밍)를 실시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유 모드 전송 및 리미티드 피드백 전송의 상세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고유 모드 전송)
BS(10)와 MS(20) 사이에서 완전한 CSI를 기지의 것으로 하는 경우, MS(20)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는, CSI를 특이값 분해(SVD)하고, 분해된 매트릭스를 프리코딩 매트릭스로서 구한다.
예를 들면, Ns개의 송신 데이터 스트림, Lt개의 송신 안테나(15), Lr개의 수신 안테나(21), Ns≤min(Lt, Lr)으로 하였을 경우, CSI(채널 매트릭스 H)는 Lr×Lt의 매트릭스이며, H를 특이값 분해하면, 이하의 식(4), 식(5)로 표현된다.
Figure 112007065503516-pat00004
또한, U는 좌측 특이 매트릭스, V는 우측 특이 매트릭스, D는 대각 매트릭스를 나타내고, 그 요소 λ1, …, λm은 고유 모드의 이득에 비례한다. 고유 모드의 이득은, 순서 매김을 행하고, 제1 고유 모드 λ1이 최대, 제m 고유 모드 λm이 최소인 이득을 갖는다. m은 채널 매트릭스 H의 랭크(rank)를 나타낸다.
그리고, 프리코딩을 행하는 경우, 최적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우측 특이 매트릭스 V의 좌의 Ns열이다(V1:Ns로 표시된다). 따라서, BS(10)의 프리코딩 처리부(12)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F=V1:Ns를 사용하여, 이하의 식(6)으로, Ns개의 송신 데이터 스트림을 Lt개의 송신 안테나(15)에 맵핑한다.
Figure 112007065503516-pat00005
여기서, s는 Ns×1 송신 데이터 벡터를 나타내고, x는 Lt×1 송신 안테나 데이터 벡터를 나타낸다.
따라서, 수신측(MS(20))에서는 수신 신호 y를 이하의 식(7)에 의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5503516-pat00006
여기서, n은 Lr×1의 잡음 벡터를 나타낸다. 또한, y는 Lr×1의 수신 신호 를 나타내고, 각 수신 안테나(21)의 신호는 송신 신호의 겹침으로 되어 있다. y, H, F를 MS(20)에서 기지의 것으로서, 송신 신호
Figure 112007065503516-pat00007
를 얻기 위해, 하기 식(8)에서, Maximum likelihood(ML)법을 적용할 수 있지만, 복잡도가 방대하기 때문에, 하기 식(9)나 식(1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복잡도가 작은 선형 디코더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65503516-pat00008
단, Q[]는 디맵퍼(Demapper)를 나타내고, G는 Ns×Lr의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즉, ZF(Zero Forcing) 선형 디코더를 적용하는 경우는, 상기 식(8)에서의 G는 하기 식(9)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7065503516-pat00009
단, ( )+는 매트릭스 pseudo-inverse를 나타낸다.
또한,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선형 디코더를 적용하는 경우는, 상기 식(8)에서의 G는 하기 식(10)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7065503516-pat00010
단, ( )-1은 매트릭스 반전을 나타낸다.
(리미티드 피드백 전송)
이하에, 리미티드 피드백 전송 원리를 설명한다.
사전에, 송신 데이터 스트림 수 Ns, 송신 안테나 수 Lt, 피드백 비트수(L)에 기초하여, 송신측(BS(10))과 수신측(MS(20)) 사이에서 동일한 코드북이 결정된다. 그리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BS(10)와 MS(20)가 각각 동일한 코드북을 코드북 메모리(16, 28)에 기억하고 있어 기지의 것으로 가정한다.
MS(20)에서는, 채널 추정부(25)에서 채널 추정을 행하고, CSI를 구하고, 그 CSI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하기 (1)∼(3)에 나타낸 어느 하나의 기준에 의해, 최적 코드워드를 선택한다.
(1)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선택 기준
MS(20)(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에서 이용하는 MSE(Mean Square Error)는, H와 F를 각각 기지의 것으로서, 이하의 식(11)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5503516-pat00011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는, 이 식(11)의 MSE의 Trace(tr), 혹은 Determinant(det)를 최소화하는 코드워드를 코드북 중으로부터 선택한다. 즉, 이하의 식(12) 또는 식(13)에 의해 선택된다.
Figure 112007065503516-pat00012
(2) 용량(Capacity) 선택 기준
MS(20)(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는, 하기 식(14)에 의해, 용량(Capacity)을 최대화하도록, 코드북 중으로부터 코드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5503516-pat00013
(3) 특이값(Singular value) 선택 기준
MS(20)(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는, 최소 특이값(Minimum singular value)을 최대화하도록, 코드북 중으로부터 코드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5503516-pat00014
그리고, MS(20)(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는, 이상과 같은 기준에 의해 선택된 코드워드의 인덱스(L 비트)를 피드백 채널(40)에서 BS(10)에 전송한다.
이에 의해, BS(10)에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한 인덱스에 기초하여, 대응하고 있는 코드북을 사용하여 매트릭스(또는 벡터)를 프리코딩 매트릭스로서 이용한다. 또한, 해당 리미티드 피드백 전송의 경우도, 고유 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형 디코더(ZF 선형 디코더, 혹은 MMSE 선형 디코더)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BS(10) 측의 송신 안테나(15) 및 MS(20) 측의 수신 안테나(21)를 복수의 송신 안테나(15) 및 복수의 수신 안테나(21)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안테나 그룹으로 그룹 분류하고, 각 안테나 그룹 중에서 제1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안테나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한 안테나 그룹 중에서 또한 제2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송신 안테나(15) 및 수신 안테나(21)의 조합의 선택을 행하므로, 특히 BS(10) 측의 송신 안테나(15)의 수가 많기 때문에 송수신 안테나 수가 매우 많아져도(즉, 채널 매트릭스의 요소 추정값 수가 매우 많아져도), 종래보다도 적은 연산량으로 고속으로, 무선 환경에 부응한 최적의 송신 안테나(15) 및 수신 안테나(21)의 선택을 행하여, 무선 환경에 부응한 최적의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코스트, 복잡도 등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1 안테나 그룹 내의 수신 안테나 수보다도 송신 안테나 수 쪽이 많아지도록 그룹 분류하여 두고, 소정(상기 제1 및 제2)의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 는 송수신 안테나의 조합이 존재하면, 그 조합의 송수신 안테나에서 MIMO 통신을 행하고, MIMO 통신에 적절한(상기 제2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한) 송수신 안테나의 조합이 존재하지 않으면, 수신 안테나 수보다도 많은 송신 안테나(15)를 이용하여 프리코딩(빔 포밍)을 행하므로, 어떤 무선 환경에서도, 항상 통신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전송 용량, 전파 도달 범위 등의 통신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BS(10)가 MS(2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모든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라, 안테나 그룹을 선택하도록 하면, 최대비 합성(MRC : Maximum Ratio Combining)에 의한 성능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B〕제2 실시 형태의 설명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로, 이 도 6에 도시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1대의 기지국 장치((BS)10)와, 적어도 1대의 중계(릴레이)국 장치((RS)30)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BS(10)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RS(30)는, 그 주요부에 주목하면, 예를 들면 Nr(Nr은 2 이상의 정수)개의 수신 안테나(31-1∼31-Nr)(이하,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수신 안테나(31)라고 표기함)와, 안테나 스위치(32)와, Lr(Lr은 2 이상의 정수로 Lr≤Nr)개의 수신 RF부(33-1∼33-Lr)(이하,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 RF부(33)라고 표기함)와, MIMO 수신 신호 처리부(34)와, 채널 추정부(35)와, 안테나 선택부(사용 안테나 결정부)(36)와, 안테나 선택 제어부(37)와, 코드북 메모리(38)와,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3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본예의 RS(30)는, 도 1에 도시한 MS(20)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지만, 안테나 스위치(32)와, 수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37)를 구비함으로써, 사용하는 수신 안테나(31)의 선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즉, 안테나 스위치(32)는, 수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37)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임의의 수신 안테나(31)와 임의의 수신 RF부(33)를 접속하는 것이며, 수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27)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수순에 의해 사용 안테나 선택부(36)에서 결정(선택)된 수신 안테나(31)와 수신 RF부(33)를 접속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수신 안테나(31), 수신 RF부(33), MIMO 수신 신호 처리부(34), 채널 추정부(35), 사용 안테나 결정부(36), 수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37), 코드북(38),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39)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에서 이미 설명한 수신 안테나(21), 수신 RF부(23), MIMO 수신 신호 처리부(24), 채널 추정부(25), 사용 안테나 선택부(26), 수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27), 코드북(28),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29)와 동일 혹은 마찬가지의 것이다.
단, 본 예에서는 BS(10)가 RS(30)와 통신하는 경우, RS(30) 측의 모든 수신 안테나(31)를 1 안테나 그룹의 구성 요소로 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도 7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안테나(31)에 대해서도 그룹 분류를 행한다. 이 경우도, 도 2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BS(10)와 RS(30)에서 각각 근린 또는 등간격 안테나를 1 안테나 그룹의 구성 요소로서 그룹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도, 1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송신 안테나(15) 또는 수신 안테나(31)의 일부가, 다른 안테나 그룹의 구성 요소로서 중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1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BS(10) 측의 송신 안테나 수는 RS(30) 측의 수신 안테나 수보다도 많은 쪽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그룹 분류를 전제로 하여, 본 예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계층적인 안테나 선택을 행함으로써, 무선 환경에 부응한 최적의 송수신 안테나의 조합을 선택하여, MIMO 통신 또는 프리코딩에 의한 빔 포밍을 행한다.
즉, RS(30)는, 채널 추정부(35)에서 구해진 CSI에 기초하여, 사용 안테나 결정부(36)에 의해, 안테나 그룹 중에서 상기 제1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안테나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한 안테나 그룹 중에서, 상기 제2 안테나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송신 안테나(15) 및 수신 안테나(31)의 조합을 선택한다. 그리고, 동일한 수의 송신 안테나(15) 및 수신 안테나(31)의 조합이 존재하면, MIMO 송신을 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선택한 안테나 그룹 중의 모든 송신 안테나(15)를 사용하여, 프리코딩(빔 포밍)을 행한다.
보다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5에서 MS(20)를 RS(30)로 대체한 스텝 S11∼S17, S21∼S31과 마찬가지이다. 단, RS(30)에서는, 스텝 S25 또는 S28에서 안테나 인덱스를 BS(10)에 송신할 때, 수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37)에 선택한 수신 안테나(31)의 인덱스를 통지함으로써, 수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37)에, 선택 수신 안테나(31)와 수신 RF부(33) 사이의 접속 제어를 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BS(10)와 RS(30) 사이의 통신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 찬가지의 안테나 선택 수순을 적용함으로써, 종래보다도 적은 연산량으로 고속으로, 무선 환경에 부응한 최적의 송신 안테나(15) 및 수신 안테나(31)의 선택을 행하여, 무선 환경에 부응한 최적의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코스트, 복잡도 등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환경에 따라서, MIMO 통신과, 수신 안테나 수보다도 많은 송신 안테나(15)에서의 프리코딩(빔 포밍)을 선택적으로 실시하므로, 어떤 무선 환경에서도, 항상 통신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전송 용량, 전파 도달 범위 등의 통신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RS(30)와 MS(20) 사이의 통신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에서 BS(10)를 RS(30)로 대체하여 적용한 안테나 선택 방법을 적용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BS(10)가 RS(3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혹은 RS(30)가 MS(2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모든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라, 안테나 그룹을 선택하도록 하면, 최대비합성(MRC)에 의한 성능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C〕부기
(부기 1)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송신기와,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수신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일부인 어느 것인가의 복수와, 상기 각 수신 안테나의 어느 것인가의 복수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안테나 그룹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 한 제1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안테나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조합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한 제2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조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조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부기 2)
상기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각 송신 안테나는, 인접하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 또는 기준 송신 안테나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3)
임의의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송신 안테나의 일부가, 상이한 안테나 그룹의 구성 요소로서 중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4)
상기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송신 안테나 수는, 해당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수신 안테나 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5)
상기 조합 중에서, 수신 안테나 수와 동수의 송신 안테나에 의한 MIMO 통신에 관한 기준을 만족하는 조합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해당 조합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MIMO 통신을 행하고,
존재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조합의 송신 안테나의 전부를 이용하여, 프리코딩 송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6)
임의의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수신 안테나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이한 안테나 그룹의 구성 요소로서 중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7)
상기 수신기가, 상기 선택한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조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송신기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8)
상기 안테나 그룹의 그룹 분류는, 수신 안테나 수 또는 상기 수신기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스트림 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9)
적어도 상기 수신기가, 상기 수신 안테나 수 또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 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송신기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된 무선 통 신 방법.
(부기 10)
Nt개(Nt는 2 이상의 정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송신기와 Nr개(Nr은 2 이상의 정수)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수신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와 상기 각 수신 안테나 사이에 대해 얻어지는 Nt×Nr개의 채널 추정값을, Lt×Lr개(단, Lt<Nt, Lr)의 요소 추정값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블록으로 그룹 분류하고,
상기 복수 블록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한 제1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블록을 선택하고,
선택된 블록의 요소 추정값의 조합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한 제2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조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요소 추정값의 조합에 대응하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조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부기 11)
상기 송신기가,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수신기가, 이동국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12)
상기 송신기가,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수신기가, 중계국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13)
상기 송신기가, 중계국 장치이며, 상기 수신기가, 이동국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부기 14)
Nt(Nt는 2 이상의 정수)개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송신기와, Nr(Nr은 2 이상의 정수)개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수신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기 수신기로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와 상기 각 수신 안테나 사이에 대해 얻어지는 Nt×Nr개의 채널 추정값을, Lt×Lr개(단, Lt<Nt, Lr≤Nr)의 요소 추정값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블록으로 그룹 분류하는 그룹화 수단과,
상기 그룹화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복수 블록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한 제1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블록을 선택하는 블록 선택 수단과,
상기 블록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블록의 요소 추정값의 조합 중에서, 통신 품질에 관한 제2 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조합을 선택하는 요소 추정값 선택 수단과,
상기 블록 선택 수단 또는 상기 요수 추정값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기를 위한 안테나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기에 통지하 는 통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부기 15)
상기 블록은, Nt×Nr의 채널 행렬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요소 추정값 또는 기준 요소 추정값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복수의 요소 추정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에 기재된 수신기.
(부기 16)
어떤 블록 내의 일부의 요소 추정값이, 상이한 블록의 요소 추정값으로서 중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 또는 15에 기재된 수신기.
(부기 17)
Lt>L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신기.
(부기 18)
상기 요소 추정값 선택 수단이,
상기 요소 추정값의 조합 중에서, 수신 안테나 수와 동수의 송신 안테나에 의한 MIMO 통신에 관한 기준을 만족하는 조합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통지 수단이,
상기 판정부에서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해당 조합에 따른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판정부에서 존재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조합의 요소 추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기에 의한 프리코딩 송신에 필요한 프리코딩 정보를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로서 생성하여 상기 송신기에 통지하는 안테나 선택 정보 생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에 기재된 수신기.
(부기 19)
Nt(Nt는 2 이상의 정수)개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송신기와, 부기 14에 기재된 수신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기 송신기로서,
상기 통지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서 수신된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에 따라서 사용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안테나 선택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부기 20)
상기 수신 수단에서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로서 프리코딩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프리코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소 추정값의 조합에 대응하는 송신 안테나에 의한 프리코딩 송신을 행하는 프리코딩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9에 기재된 송신기.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그룹화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안테나 그룹화에 대응하는 채널 매트릭스의 그룹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그룹화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 동작(안테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그룹화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지국 장치(BS : Base Station)
11 : 공간 다중 변조부
12 : 프리코딩 처리부
13-1∼13-Lt : 송신 RF부
14 : 안테나 스위치
15-1∼15-Nt : 송신 안테나
16 : 코드북 메모리
17 : 프리코딩 매트릭스/코드워드 선택부
18 : 송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
20 : 이동국 장치(MS : Mobile Station)
21-1∼21-Nr : 수신 안테나
23-1∼23-Nr : 수신 RF부
24 : MIMO 수신 신호 처리부
25 : 채널 추정부
26 : 안테나 선택부(사용 안테나 결정부)
28 : 코드북 메모리
29 :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
30 : 중계(릴레이)국 장치(RS : Relay Station)
31-1∼31-Nr : 수신 안테나
32 : 안테나 스위치
33-1∼33-Nr : 수신 RF부
34 : MIMO 수신 신호 처리부
35 : 채널 추정부
36 : 안테나 선택부(사용 안테나 결정부)
37 : 수신 안테나 선택 제어부
38 : 코드북 메모리
39 : 프리코딩 매트릭스 계산/코드워드 검색부
40 : 피드백 채널

Claims (10)

  1.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송신기와,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수신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의 일부인 어느 것인가의 복수와, 상기 각 수신 안테나의 어느 것인가의 복수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안테나 그룹 중에서, 용량 선택 기준, 특이값 선택 기준, 조건 수 선택 기준 중 어느 하나의 기준을 만족하는 안테나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조합 중에서, 채널의 조건 수가 임계 값 이하인 조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조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각 송신 안테나는, 인접하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 또는 기준 송신 안테나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임의의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송신 안테나의 일부가, 상이한 안테나 그룹의 구성 요소로서 중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송신 안테나 수는, 그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수신 안테나 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중에서, 수신 안테나 수와 동수의 송신 안테나에 의한 MIMO 통신에 관한 기준을 만족하는 조합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해당 조합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MIMO 통신을 행하고,
    존재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조합의 송신 안테나의 전부를 이용하여, 프리코딩 송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임의의 안테나 그룹을 구성하는 수신 안테나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이한 안테나 그룹의 구성 요소로서 중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선택한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조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송신기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Nt개(Nt는 2 이상의 정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송신기와, Nr개(Nr은 2 이상의 정수)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수신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와 상기 각 수신 안테나 사이에 대해 얻어지는 Nt×Nr개의 채널 추정값을, Lt×Lr개(단, Lt<Nt, Lr)의 요소 추정값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블록으로 그룹 분류하고,
    상기 복수 블록 중에서, 용량 선택 기준, 특이값 선택 기준, 조건 수 선택 기준 중 어느 하나의 기준을 만족하는 블록을 선택하고,
    선택된 블록의 요소 추정값의 조합 중에서, 채널의 조건 수가 임계 값 이하인 조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요소 추정값의 조합에 대응하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의 조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Nt개(Nt는 2 이상의 정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송신기와, Nr개(Nr은 2 이상의 정수)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수신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기 수신기로서,
    상기 각 송신 안테나와 상기 각 수신 안테나 사이에 대해 얻어지는 Nt×Nr개의 채널 추정값을, Lt×Lr개(단, Lt<Nt, Lr≤Nr)의 요소 추정값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블록으로 그룹 분류하는 그룹화 수단과,
    상기 그룹화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복수 블록 중에서, 용량 선택 기준, 특이값 선택 기준, 조건 수 선택 기준 중 어느 하나의 기준을 만족하는 블록을 선택하는 블록 선택 수단과,
    상기 블록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블록의 요소 추정값의 조합 중에서, 채널의 조건 수가 임계 값 이하인 조합을 선택하는 요소 추정값 선택 수단과,
    상기 블록 선택 수단 또는 상기 요소 추정값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기를 위한 안테나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기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0. Nt(Nt는 2 이상의 정수)개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송신기와, 제9항의 수신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기 송신기로서,
    상기 통지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서 수신된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에 따라서 사용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안테나 선택 수단
    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KR1020070091495A 2006-10-04 2007-09-10 무선 통신 방법과 송신기 및 수신기 KR100967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73018A JP4734210B2 (ja) 2006-10-04 2006-10-04 無線通信方法
JPJP-P-2006-00273018 2006-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615A KR20080031615A (ko) 2008-04-10
KR100967754B1 true KR100967754B1 (ko) 2010-07-05

Family

ID=3879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495A KR100967754B1 (ko) 2006-10-04 2007-09-10 무선 통신 방법과 송신기 및 수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73113B2 (ko)
EP (2) EP2763328A3 (ko)
JP (1) JP4734210B2 (ko)
KR (1) KR100967754B1 (ko)
CN (1) CN10115946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4175B2 (en) 2012-07-03 2016-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number of antennas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9177B2 (en) * 2006-05-24 2010-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in a multi-user multi-antenna system
JP2008211462A (ja) 2007-02-26 2008-09-11 Fujitsu Ltd ビームウェイト検出制御方法及び受信機
CN101378277B (zh) * 2007-08-29 2016-04-06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多用户预编码及调度方法和实现该方法的基站
KR101372736B1 (ko) * 2007-09-28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EP2219309B1 (en) 2007-12-05 2016-01-06 Fujitsu Limited Transmitter,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0966054B1 (ko) 2007-12-14 2010-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 부반송파별 가변 전송 방법
EP2073471A1 (en) * 2007-12-20 2009-06-24 Sony Corporation Improved selection criterion for quantized precoded spatial multiplexing MIMO
JP5308455B2 (ja) * 2008-02-01 2013-10-0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空間多重化に基づいた複数アンテナによる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送信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10021163A1 (en) * 2008-03-28 2011-01-27 Ulf Lindgren Antenna optimization
CN101552633A (zh) * 2008-04-02 2009-10-07 株式会社Ntt都科摩 一种多输入多输出预编码方法及装置
US8306095B2 (en) * 2008-04-29 2012-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cod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149946B2 (en) * 2008-05-06 2012-04-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Joint transceiver design for MIMO communications
US20090325479A1 (en) * 2008-06-25 2009-12-31 Qualcomm Incorporated Relay antenna indexing for shared antenna communication
EP2451086B1 (en) 2008-06-30 2018-02-28 Alcatel Lucent Method of assigning precoding vectors in a mobile cellular network
US8711774B2 (en) 2008-07-30 2014-04-29 Hitachi,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8204151B2 (en) 2008-08-06 2012-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generate multiple antennas transmit precoding codebook
US9755705B2 (en) * 2008-08-07 2017-09-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user and single-user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94160B2 (en) * 2008-08-11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istributed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95824B1 (ko) * 2008-08-22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코딩 행렬 선택 방법및 장치
AU2008361474A1 (en) * 2008-09-05 2010-03-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radio access network
JP5256955B2 (ja) * 2008-09-12 2013-08-07 富士通株式会社 制御方法、通信特性制御方法、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
US9083407B2 (en) * 2008-10-01 2015-07-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pre-coding code book
AU2009315179B2 (en) * 2008-11-14 2013-11-14 Sun Patent Trust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and cluster constellation setting method
US8488536B2 (en) * 2008-12-11 2013-07-16 Alvarion Ltd. Mode selection for MIMO in wireless communication
JP4587004B2 (ja) * 2009-01-07 2010-11-24 岩崎通信機株式会社 マルチアンテナを用いた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8503572B2 (en) * 2009-02-02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virtual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1644433B1 (ko) * 2009-02-13 201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4 안테나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리코딩 수행 방법
KR101502148B1 (ko) * 2009-03-04 2015-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저 복잡도로 간섭 정렬 기법을 적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CN102342056A (zh) * 2009-03-05 2012-02-01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发送装置以及接收装置
FR2943207B1 (fr) * 2009-03-16 2012-01-13 Canon Kk Procede de configuration d'antennes de dispositifs emetteur et recepteur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sans-fil, produit programme d'ordinateur, moyen de stockage et dispositifs correspondants
FR2943206B1 (fr) * 2009-03-16 2012-01-13 Canon Kk Procede de configuration d'une antenne agile d'un dispositif recepteur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sans-fil, produit programme d'ordinateur, moyen de stockage et dispositif correspondant
JP5488016B2 (ja) * 2009-03-30 2014-05-1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KR101800294B1 (ko) * 2009-04-02 201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가장자리 사용자의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036098B2 (en) * 2009-04-20 2011-10-11 Intel Corporation Wireless network and method for adaptive opportunistic clustering for interference alignment in wireless networks
US8289910B2 (en) 2009-04-24 2012-10-16 Kathrein-Werke Kg Device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obile telephony signals with multiple transmit-receive branches
WO2010125503A1 (en) * 2009-04-30 2010-11-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network
JP5369896B2 (ja) * 2009-05-25 2013-12-18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ならびに移動局装置
CN101582712B (zh) * 2009-06-19 2014-1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预编码的方法及预编码矩阵集的生成方法
JP5347755B2 (ja) * 2009-06-24 2013-11-20 富士通株式会社 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EP3206317B1 (en) 2009-07-24 2019-09-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01626262B (zh) * 2009-08-11 2012-1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预编码矩阵选择方法及装置
US8718575B2 (en) 2009-09-02 2014-05-06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8259857B2 (en) * 2009-12-10 2012-09-04 The Aerospace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ed communication throughput
US9173191B2 (en) 2009-12-20 2015-10-27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imultaneou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8374154B2 (en) * 2009-12-23 2013-02-12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imultaneou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2011139268A (ja) * 2009-12-28 2011-07-14 Fujitsu Ltd 無線中継装置、無線中継方法
CN102754375B (zh) * 2010-02-25 2015-04-22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空间多路复用无线传输系统和空间多路复用无线传输方法
TW201210238A (en) * 2010-05-06 2012-03-01 Htc Corp Method of handling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JP5627080B2 (ja) * 2010-05-31 2014-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送信制御方法、送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プロセッサ
JP5625573B2 (ja) * 2010-07-15 2014-11-1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並びに無線通信方法
CN102468925B (zh) * 2010-11-09 2014-05-2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预编码矩阵索引上报及预编码处理方法、系统和装置
KR20120083619A (ko) * 2011-01-18 2012-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레인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724496B2 (ja) * 2011-03-17 2015-05-2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5562281B2 (ja) * 2011-03-24 2014-07-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3098381A (zh) * 2011-06-28 2013-05-08 华为技术有限公司 分布式天线系统的天线组分配的方法和装置
CN103138821B (zh) * 2011-11-30 2017-02-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3188768A (zh) * 2011-12-30 2013-07-0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通信模式选择方法及装置
EP2639970A1 (en) * 2012-03-15 2013-09-18 Thomson Licensing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nnection in a MIMO system using multi-sector directional antennas
JP5985853B2 (ja) * 2012-03-28 2016-09-06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及び通信制御方法
TWI578736B (zh) * 2012-05-18 2017-04-11 李爾登公司 增強在分散式輸入分散式輸出之無線系統中之空間分集的系統及方法
US9673878B1 (en) * 2012-08-28 2017-06-06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precoding in multi-user systems
US11122444B2 (en) 2012-11-09 2021-09-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Beamforming methods and methods for using beams
KR101439731B1 (ko) * 2013-01-18 2014-09-1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단말과 통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6346274B2 (ja) * 2013-06-19 2018-06-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放送信号送信装置、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送信方法及び放送信号受信方法
US9525476B2 (en) * 2013-07-30 2016-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ntenna shuffling using partial antenna array based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179823B1 (ko) * 2013-07-30 2020-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분 안테나 어레이 기반 빔포밍를 위한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143206B2 (en) 2014-02-04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selection with eMBMS
JP5830568B2 (ja) * 2014-04-25 2015-12-09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6288314B2 (ja) * 2014-06-16 2018-03-07 日本電気株式会社 Pmiを計算する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6278131B2 (ja) * 2014-06-16 2018-02-14 日本電気株式会社 Pmiを計算する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555018B1 (ko) * 2014-10-10 2015-09-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규모 미모 시스템 및 대규모 미모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US9872296B2 (en) * 2015-01-06 2018-01-1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beam shaping at a millimeter wave base station and a wireless device and fast antenna subarray selection at a wireless device
CN105991169B (zh) * 2015-02-02 2019-06-25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装置与天线搜索方法
KR102356781B1 (ko) * 2015-09-14 2022-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JP6829206B2 (ja) * 2015-10-30 2021-02-1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送信装置、受信方法及び受信装置
CN105429686B (zh) * 2015-11-05 2018-10-12 江苏中兴微通信息科技有限公司 分离型非对称混合波束成型的传输装置及方法
EP3185616B1 (en) * 2015-12-22 2020-06-10 Intel IP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a cell search
CN106982089B (zh) * 2016-01-19 2021-02-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JP6400614B2 (ja) * 2016-02-12 2018-10-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分散アンテナを用いた無線基地局およびアンテナ切替方法
KR101879030B1 (ko) * 2016-02-24 2018-07-17 한국과학기술원 안테나 그룹핑을 이용한 채널 정보 피드백 및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JP6929530B2 (ja) * 2017-01-10 2021-09-01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8631847B (zh) * 2017-03-24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道状态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0715233B2 (en) * 2017-08-31 2020-07-14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transmit antenna selection
CN108173582B (zh) * 2017-11-30 2020-08-25 东南大学 一种基于收发联合样式的空间调制方法和系统
CN110324884B (zh) 2018-03-30 2021-04-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模式确定方法及设备
EP3660981B8 (en) * 2018-11-29 2021-06-02 Rohde & Schwarz GmbH & Co. KG Spatial and bandwidth multiplexing device and method
US11641269B2 (en) 2020-06-30 2023-05-02 Rampart Communications, Inc. Modulation-agnostic transformations using unitary braid divisional multiplexing (UBDM)
US10951442B2 (en) * 2019-07-31 2021-03-16 Rampart Communications,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unitary braid divisional multiplexing (UBDM) with physical layer security
US10735062B1 (en) 2019-09-04 2020-08-04 Rampart Communications,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hieving high data rates using modified nearly-equiangular tight frame (NETF) matrices
EP3793095A1 (en) 2019-09-16 2021-03-17 Telefonica, S.A. Method and system for optimal spatial multiplexing in multi-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ing mu-mimo techniques
US10965352B1 (en) 2019-09-24 2021-03-30 Rampart Communications,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using very large multiple-in multiple-out (MIMO) antenna systems with extremely large class of fast unitary transformations
US11159220B2 (en) 2020-02-11 2021-10-26 Rampart Communications, Inc. Single input single output (SISO) physical layer key exchange
CN115085776A (zh) * 2021-03-16 2022-09-20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的选择方法及相关产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3016A1 (en) 2001-10-19 2003-05-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5034387A2 (en) * 2003-10-01 2005-04-14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selection
US20050128983A1 (en) 2003-11-13 200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grouping transmission antenna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ultiple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1259B2 (ja) * 1998-12-14 2008-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8045935B2 (en) * 2001-12-06 2011-10-25 Pulse-Link, Inc. High data rate transmitter and receiver
JP4178501B2 (ja) * 2002-05-21 2008-11-12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送受信システム
JP4184854B2 (ja) 2003-04-07 2008-11-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電波送受信装置及び電波送受信方法
JP2005245941A (ja) * 2004-03-08 2005-09-15 Olympus Corp 受信装置
JP2006067237A (ja) 2004-08-26 2006-03-09 Sharp Corp 無線送信機および無線受信機
EP1643661B1 (en) * 2004-09-07 2008-05-28 Samsung Electronics Co.,Ltd. MIMO system with adaptive switching of transmission scheme
CN1797987B (zh) * 2004-12-30 2011-02-16 都科摩(北京)通信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自适应调度的mimo通信系统及其自适应用户调度方法
CN1815941A (zh) * 2005-02-04 2006-08-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多天线传输系统中的天线选择和比特分配方法及装置
US7542439B2 (en) * 2005-09-09 2009-06-02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operative relay system associated with a 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
US7917101B2 (en) * 2005-09-21 2011-03-2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greedy user group selection with range reduction in TDD multiuser MIMO downlink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3016A1 (en) 2001-10-19 2003-05-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5034387A2 (en) * 2003-10-01 2005-04-14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selection
US20050128983A1 (en) 2003-11-13 200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grouping transmission antenna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ultiple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pacity maximizing algorithms for joint transmit-receive antenna selection", Signals, Systems and Computers, Nov. 200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4175B2 (en) 2012-07-03 2016-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number of antennas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9406A3 (en) 2008-06-11
JP2008092433A (ja) 2008-04-17
JP4734210B2 (ja) 2011-07-27
EP2763328A3 (en) 2015-12-30
EP1909406A2 (en) 2008-04-09
EP2763328A2 (en) 2014-08-06
US7873113B2 (en) 2011-01-18
US20070281746A1 (en) 2007-12-06
EP1909406B1 (en) 2016-05-25
CN101159464B (zh) 2011-09-21
CN101159464A (zh) 2008-04-09
KR20080031615A (ko) 200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754B1 (ko) 무선 통신 방법과 송신기 및 수신기
KR101478843B1 (ko) 협력적 다중 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US913692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175947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forming in a multi-antenna system
US79079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multi-user interference
US81452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link beamforming and Space-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1699145B1 (en) Beam and power allocation method for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1393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ed loop data transmission
KR10163178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US7558330B2 (en) Multiple stream co-phasing fo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systems
US84421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 a multi-antenna system
EP2237451A1 (en) Downlink beam forming method, device and system of time division duplex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EP2153541B1 (en) A method for providing precoding information in a multi-user mimo system
EP1710929B1 (en) MIMO system with eigenvalues feedback information
KR101483666B1 (ko) 변수의 빔을 가지고 있는 mimo 시스템에서의 효율적 cqi 신호 발신
KR101413937B1 (ko) 다중 입출력 안테나를 포함하는 시분할다중화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송신안테나 선택과 다중 입출력 채널 추정을 위한 데이터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01645757B (zh) 一种预编码矩阵选择方法和装置
US8340596B2 (e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eigen antenna techniq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06121A (ko)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 최대 우도 검출을 할 때 송신 안테나와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Yellapantula et al. Antenna selection and power control in MIMO systems with continuously varying chan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