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061B1 - 시트 적층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적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061B1
KR100966061B1 KR1020030016005A KR20030016005A KR100966061B1 KR 100966061 B1 KR100966061 B1 KR 100966061B1 KR 1020030016005 A KR1020030016005 A KR 1020030016005A KR 20030016005 A KR20030016005 A KR 20030016005A KR 100966061 B1 KR100966061 B1 KR 100966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atcher
laminating apparatus
seat
la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651A (ko
Inventor
샤레만헨리쿠스요하네스
스푸렌베르크크리스토포루스람베르투스
Original Assignee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filed Critical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Publication of KR2003007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68Reducing the speed of articles as they adv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50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 B65H2404/56Flexible surface
    • B65H2404/561Bristles,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종이 처리장치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된 시트 또는 시트 세트를 적층단 위에 그리고 정합용 장벽에 대해 적층시키기 위한 시트 적층장치로서, 상기 시트 적층장치는 상기 적층단 위에 있는 또는 상기 적층단 위에 적층된 시트 위에 놓이는 시트 캐쳐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캐쳐는, 상기 적층단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고, 시트가 상기 정합용 장벽과 접하기 전에 유입되는 시트의 선단과 맞물리는 시트 적층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 캐쳐에 매달리는 시트 맞물림 부재를 더 포함하는 시트 적층장치.
시트 캐쳐, 시트 적층장치

Description

시트 적층장치{SHEET DEPOSITING DEVICE}
도 1 은 인쇄장치와 결합된 시트 적층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 는 시트 적층장치에 대한 상세 측면도.
도 3 은 단계적 적층을 위한 기구에 대한 상세 평면도.
도 4 는 시트 캐쳐에 대한 상세도.
도 5 는 적층물이 정합용 장벽에 대해 말아 올려진 경우, 시트 캐쳐에 대한 상세도.
도 6 은 센서장치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 은 제 1 실시예에서의 센서장치의 상세도.
도 8 은 센서장치의 제 2 및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 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센서장치의 상세도.
도 10 은 제 3 실시예에서의 센서장치의 상세도.
도 11 은 공급측에서의 적층의 컬 및 높이 센서를 나타내는 시트 적층장치의 상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인쇄장치 2: 스캐닝부
3: 워크 스테이션 4: 네트워크
5: 제어판 6,7: 개시버튼
8: 제어장치 10: 시트 전송경로
11: 시트 마무리부 12: 시트 수집쟁반
13: 방출 롤러쌍 14: 스테플러
15: 시트 적층장치 16,17: 적층단
21,22: 안내레일 32: 감속기어
33: 스핀들 축 35: 너트
41: 연결부재 43: 크랭크
45: 레버 47: 피봇 로드
49: 후크형 로드 63: 센서
71: 시트캐쳐 75: 설형부
77: 핀 78: 구멍
본 발명은 종이 처리기구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트 또는 시트 세트를 적층단 위에 그리고 정합(整合)용(registration) 장벽에 대해 적층시키는 시트-적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시트 캐쳐(sheet catcher)가 제공된 시트-적층 장치에 관한 것이다.
US-A-4 061 331 은 서류가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단을 갖는 시트 적층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단상에 서류를 공급하는 동안 각 서류의 선단을 잡거나 또는 트랩핑하는 스로트(throat)를 형성하는 승강식 서류 시트 캐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은, 장치 속으로 서류가 공급되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면에서 서류를 수용하는 베이스를 제공하도록 수용부분 근처에서 승강가능하다. 시트 캐쳐는 측판 및 위로 굽은 상판을 구비하며, 유입되는 서류의 영향으로 가이드내에서 위로 미끄럼 가능하다. 공급 사이클의 초기단계동안, 서류들은 저속으로 단상에 공급된다. 이 단계동안 단의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컬링 문제는 최소화된다. 시트 캐쳐는, 서류가 인쇄부 출구 롤러의 영향을 완전히 받기 전에, 각 서류의 선단을 트랩하기에 충분한 정도만큼만 유입되는 서류를 향해 신장한다. 상기 선단이 트랩되는 경우, 공급 사이클의 최종 단계가 개시하고 서류는 상기 인쇄부 출구 롤러에 의해 고속으로 가속된다. 이것은 서류를 시트 캐쳐 아래로 밀어넣어 시트 캐쳐를 상승시킨다. 시트 캐쳐에 의해 유입되는 시트의 선단에 가해진 마찰력은, 시트가 정합용 장벽과 접할 때까지 시트를 감속시키고, 정합용 장벽으로부터 되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층단 위에 적층된 시트가 정합용 장벽에 대해 말아 올려져 시트 캐쳐를 더 위로 미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스로트가 넓어져 유입되는 시트의 선단이 시트 캐쳐의 안내면과 적절히 접촉하지 않게 된다. 선단부는 고속으로 정합용 장벽을 치고 되튀려는 경향이 있다. 이 시트는 시트 캐쳐의 안내면과 적당한 접촉을 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마찰력에 의해 반대의 운동에서 속도가 늦춰지지 않고, 그 결과 난잡한 적층을 발생시킨다.
US-B-6 311 971 은, 프린터 또는 다른 영상장치를 나오는 시트가 편심부재를 향하여 이동하는 시트 적층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 편심부재는 시트를 이동시키는 요소와 공동으로 회전한다. 편심부재에는 높은 표면과 낮은 표면이 있다. 시트가 편심부재에 도달함에 따라, 높은 표면은 종이와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종이를 아래쪽으로 민다. 그런후 시트는 종이를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클램프(접합면이 예각인)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시트가 제 1 기준면에 수직으로 클램프로 이동하여 제 2 기준면과 조우하기 전에, 제 1 기준면에 대하여 이동한다. 상기 클램프는 탄성적으로 가볍게 장착되어 유입되는 시트가 클램프를 밀어 개방시킨다. 클램프에 들어오자마자, 시트는 제 2 기준면을 조우한다. 대안으로, 클램프로 고정된 종이는 기준면에 대해 클램프 면에 수직으로 밀어질 수 있다.
두 대안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이동하는 앞선 시트와 뒤 이은 시트의 균일한 적층을 형성한다. 시트가 클램프 부재로 이동한 후, 편심부재가 회전하여 그 낮은 표면이 종이 출구를 향하도록 한다. 상기 낮은 표면은 프린터를 나오는 시트와 조우하도록 신장하지 않아, 다음의 시트가 서술된 것처럼 클램프와 기준면에 대해 이동하도록 낙하할 수 있다. 이 적층장치는 단상에 실제로 공급되고 있는 시트, 즉 시트가 적층되기 전에, 시트의 휨을 평평하게 한다. 그러나, 이것은, 적층이 정합용 장벽에 대해 말아 올려질 때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한다. 더우기, 이것은 유입되는 시트와 공동으로 구동되는 편심부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시트 적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 대로, 시트 캐쳐에 매달린 시트 맞물림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매달린 시트 맞물림 부재는, 적층물이 정합용 장벽을 향하여 말아 올려지는 경우에도 적층물 위에 놓여지기 때문에, 유입되는 시트의 선단을 잡게 된다.
바람직하게, 시트 맞물림 부재는 시트 캐쳐에 자유롭게 매달린다. 필요하다면, 시트 맞물림 부재가 시트 캐쳐에 탄성적으로 매달려서, 더 큰 힘으로 시트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시트 캐쳐는, 시트에 어떤 실제의 횡력을 가하지 않고, 상기 적층단과 시트 캐쳐 사이에서 상대적인 측면 운동을 허용하는 롤러를 통해 상기 적층단 또는 적층된 시트 위에 놓여있다. 상기 롤러는, 이 롤러 아래로 유입되는 시트의 선단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제공하도록 바람직하게 구형 단편(spherical segment) 또는 원뿔대의 형태이다.
시트 맞물림 부재는, 바람직하게 시트 캐쳐의 끝에 피봇가능하게 매달리는 설형부(tongue)를 포함할 수 있다. 설형부의 시트 맞물림 면은 유입되는 시트의 선단을 트랩핑하는 스로트를 형성하도록 바람직하게 경사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트 맞물림 요소의 시트 맞물림 면은 펠트 직물(felt fabric)로 덮혀있는데, 이 직물은 시트 캐쳐의 감속 및 반-반발력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트의 공급방향에서는 저 마찰계수를 갖고 그 반대방향에서는 고 마찰계수를 갖는다. 시트 캐쳐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적층단도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할 수 있다. 시트 적층장치는 2 이상의 평행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하로 배열된 다수의 적층단 및 시트 캐쳐가 제공될 수 있다.
그 이상의 목적, 특징, 이익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쉘 및 제품의 특성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편리하게, 시트 적층장치는 종이 처리기계의 출력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후, 시트 적층장치는 인쇄장치의 형태인 종이 처리기계와 함께 설명될 것이다. 시트 적층장치가 복사기, 영상장치 등 다른 형태의 종이 처리기계와 함께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 에 도시된 인쇄장치 (1) 는 수용 시트상에 영상을 인쇄하기 위한 공지의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인쇄용 영상은 인쇄장치 (1) 의 상단에 위치한 스캐닝부 (2) 로 공급되는 원본서류상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인쇄용 영상은 네트워크 (4) 를 통해 인쇄장치 (1) 의 제어장치 (8) 로 연결된 워크 스테이션 (3) 으로부터 디지털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스캐닝부 (2) 를 통해 공급된 원본 세트를 복사하기 위한 인쇄 사이클은, 인쇄장치 (1) 의 작동자 제어판 (5) 위에 있는 개시버튼 (6) 을 작동시킴으로써 개시된다.
워크 스테이션 (3) 을 통해 공급된 영상 세트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사이클은, 제어장치 (8) 를 통해, 워크 스테이션 (3) 에 있는 개시버튼 (7) 을 작동시킴으로써, 또는 인쇄장치 (1) 의 작동자 제어판 (5) 에 있는 개시버튼 (6) 을 작동시 킴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인쇄장치 (1) 에 있어서, 시트 전송경로 (10) 는 인쇄장치에서 인쇄된 시트를 시트 마무리부 (11) 로 이송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마무리부 (11) 는 한 세트를 이루는 다수의 인쇄된 시트가 수집되어 스테플러 (14) 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시트 수집쟁반 (12)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 을 포함하며, 방출 롤러쌍 (13) 이 상기 세트를 시트 적층부 (11) 의 일부를 형성하는 시트 적층장치 (15) 로 공급한다.
도 2 에 도시된 시트 적층장치 (15) 는 상하 2 개의 적층단 (16 및 17) 을 포함하는데, 이 위에 시트가 연속하여 적층된다. 적층단은, 공급된 시트의 정합용 장벽으로서 역활을 하는 두개의 중공 알루미늄 프로파일 형태로 있는 한 쌍의 안내 레일 (21,22) 을 따라 안내된다. 각각의 적층단 (16,17) 은, 방출 롤러쌍 (13) 에 의해 방출된 시트를 수용하도록 방출 롤러쌍 (13) 에 의해 형성된 수평 방출경로에 대한 적층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 와 연관하여 아래에서 서술되는 것처럼, 각각의 적층단에는 유입되는 시트가 되튀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시트 캐쳐 (71) 가 설치되어 있다.
적층단의 수직이동은 각각의 침척단 (16,17) 과 연관된 스핀들 드라이브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 진다(도 2). 각각의 스핀들 드라이브는 감속기어 (32) 를 통해 스핀들-축을 구동시키는 DC모터(비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단을 구동시키는 스핀들-축 (33) 은 적층단 옆에 수직으로 신장한다. 스핀들 축 (33) 의 상대적인 회전을 수직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너트 (35) 가 각각의 스핀들-축 (33) 을 나사결합으로 둘러싼다. 각각의 너트 (35) 는 개개의 적층단 (16,17) 을 운반한다.
선택된 적층단 (16,17) 또는 그 상단에 있는 시트의 수직위치는, 방출 롤러쌍 (13) 에 의해 형성된 방출경로 바로 밑에 항상 존재한다. 도 2 는, 다수의 시트가 놓여진 하부 적층단 (16) 이 바닥 적층위치에 존재하며, 이 하부 적층단 위에 있는 적층단 (17) 이 방출 롤러쌍 (13) 에 의해 형성된 방출경로 위에 위치한 대기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적층단 (17) 이 적층단 (16) 에 대해 독립적으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층단 (16) 이 도 2 에 도시된 바닥 적층위치보다 더 아래로 이동할 필요없이 적층단 (17) 이 적층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마무리부 (11) 는, 시트 적층장치 (15) 가 접한 상태로 인쇄장치 (1) 의 상단에 배치되기에 매우 적합하며, 스캐닝부 (2) 를 갖는 인쇄장치의 상단은 서 있는 작업자에 대해 정상적인 작업 높이인 약 100cm 에 위치한다. 도 1 에 도시된 것처럼 마무리부 (11) 를 갖는 인쇄장치 (1) 에 있어서, 적층단 (16 및 17) 위에 적층된 시트의 제거높이는 약 2400 시트인 총 시트 적층능력에 대해 100 cm 와 160 cm 사이에 있다. 고정된 방출 롤러 (13) 에 의해 한정된 시트의 적층높이는 대략 133 cm 이고, 이 높이는 하부 적층단 (16) 이 자신의 바닥 적층위치에 있는 적층 높이에 해당한다.
노커 (knocker; 51) 는, 안내 레일 (21,22) 에 의해 형성된 정합용 장벽을 향해 적층물의 가장자리를 두드려서 매끄러운-측면을 가지는 시트의 적층물을 만들 기 위해 설치된다. 편심 기구 (excenter mechanism: 52) 는 노커를 구동시킨다. 노커는 적층물 쪽으로 빠르게,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반복적으로 움직인다.
단계적인 적층물을 형성하기 위한 기구(도 3)가 적층장치에 장착된다. 여기서, 적층단 (16,17) 은 두 개의 오프셋 위치사이에서 공급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적층단은, 전기모터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통상의 크랭크 기구에 결합된 전기모터(비도시)에 의해 자신의 두 오프셋 위치로 이동한다. 크랭크 (43) 는 전기모터의 구동축상에 장착되며 연결부재 (41) 의 일단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 (41) 는 3 개의 겹쳐진 링처럼 형성되어, 탄성부재로서 기능을 하도록 종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다. 연결부재 (41) 의 타단은 레버 (45) 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레버 (45) 의 자유단에는 후크형 로드 (49) 에 결합되는 피봇 로드 (47) 가 제공된다. 후크형 로드 (49) 는 적층단 (16,17) 각각에 연결된다. 피봇 로드 (47) 는 적층단 (16,17) 의 전체 승강 높이를 따라 위쪽으로 신장한다. 후크형 로드 (49) 는, 적층단 (16,17) 이 수직으로 이동할 때 피봇 로드 (47) 를 따라 미끄러진다. 전기모터의 반회전은 하나의 오프셋으로부터 다른 오프셋으로의 이동에 해당한다. 크랭크의 위치는 센서 (63) 에 의해 광학적으로 탐지된다. 센서 (63) 의 신호는 제어장치 (8) 로 보내진다. 그 후 제어장치 (8) 는, 오프셋 위치에 도달했거나 또는 도달 직전에 운동을 멈추는 신호를 보낸다.
도 4 및 5 에 상세히 도시된 각각의 적층단에는 두개의 시트 캐쳐 (71) 가 제공된다. 시트 캐쳐는, 안내 레일을 따라 위쪽으로 그리고 아랫쪽으로 수동적으로 이동가능하며, 적층단 (16,17) 위에 또는 이 적층단 (16,17) 위의 시트 적층물 위에 자체 중량으로 얹혀진다. 시트 캐쳐 (71) 의 무게중 대부분은 롤러 (73) 를 통해 적층된 시트/적층면 위에 가해진다. 상기 롤러 (73) 는, 적층된 시트에 횡력을 가함이 없이, 유입되는 시트의 공급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시트 캐쳐 (71) 에 대한 시트의 이동을 허용한다. 이것은,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시트의 연속적인 세트를 서로 오프셋하기 위해 적층단이 측면으로 이동할 때 적층된 시트의 본래의 상태가 방해받지 않고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롤러 (73) 는, 롤러 아래로 유입되는 시트의 선단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제공하도록 구형 단편 또는 원뿔대처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캐쳐 (71) 에는, 적층단 (16,17) 위에 공급된 시트의 선단을 트랩핑하는 스로트를 형성하도록 경사면이 제공된다. 시트가 시트 캐쳐 (71) 를 향해 고속으로 공급된다. 이것은, 시트를 시트 캐쳐 (71) 밑으로 밀어 넣어 시트 캐쳐 (71) 를 상승하게 한다.
설형부 (75) 는 각 시트 캐쳐 (71) 의 끝을 향해 배치된 피봇 축 (76) 으로부터 피봇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설형부 (75) 의 단부는 적층된 시트 또는 적층단 (16,17) 위에 놓여 있다. 대안으로, 설형부 (75) 는 시트 캐쳐 (71) 로부터 탄성적으로 매달릴 수 있다(비도시). 설형부 (75) 의 회전운동은 시트 캐쳐에 고정되어 설형부 (75) 에 있는 구멍 (78) 으로 돌출한 핀 (77) 에 의해 제한된다.
설형부의 시트 맞물림 면은 시트 캐쳐 (71) 와 유사하게 경사지며 바람직하게는 약간 곡선이다. 설형부 (75) 의 시트 맞물림 면은 유입되는 시트의 선단과 맞물리도록 시트 캐쳐 (71) 의 시트 맞물림 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시트 캐쳐 (71) 및 이들의 설형부 (75) 는, 적층단 (16,17) 또는 적층단 (16,17) 위의 적층물을 향해 유입되는 시트의 선단이 정합용 장벽 (21,22) 과 접할 때까지 이 선단을 아래로 안내한다.
설형부의 시트 맞물림 면은 일 방향에서는 저 마찰계수를 갖고 반대방향에서는 고 마찰계수를 갖는 직물 (74) 로 덮힌다. 유입되는 시트가 공급방향에서는 저 마찰계수에 노출되고 반대방향에서는 고 마찰계수에 노출되도록, 직물 (74) 이 설형부 (75) 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바람직한 직물 (74) 은 파일(pile) 직물로 경사진 강모를 갖는다. 설형부 (75) 의 접촉면에 사용하기 바람직한 파일 직물 (74) 은, 무명 안감을 통해 짜여진 나일론 실로 생산되며, 나일론 실은 필요한 파일 길이의 두배인 뜸 구멍 사이에서 신장한다. 그런후 이들 신장물이 절단되어 파일을 생산하고 이들은 경사를 만들기 위해 한쪽 방향으로 가열된 표면을 파일에 가하는 "팬(pan)" 이다. 파일이 동일한 경사를 갖기 때문에, 경사방향에서의 마찰계수는 실질적으로 경사에 대해 반대방향에서의 마찰계수보다 더 작다.
직물 (74) 은 종이의 공급방향으로 경사를 갖고 설형부 (75) 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가 고속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시트는 이 실시예에서 두개의 안내 레일 (21,22) 의 표면 (51 및 52) 에 의해 형성된 정합용 장벽과 접한 후 이 정합용 장벽으로부터 되튀려는 경향이 있다. 공급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에서의 펠트 직물의 고 마찰계수는, 상기 시트가 심지어 어떤 속도로 정합용 장벽 (21,22) 과 접한 경우에도 되튀지 않도록 보장한다.
적층단에 적층된 시트는 정합용 장벽에 대해 때때로 말아 올려지는 경향이 있다(예를 들어 도 5). 말아 올려진 적층물은 시트 캐쳐를 더 위로 밀어내어 스로트가 넓어진다. 종래 시트 캐쳐 (71) 에서 있어서, 이것은 정합용 장벽으로부터 시트가 되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한 마찰력을 가하기엔 너무 넓은 스로트를 발생시킬 것이다. 설형부 (75) 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시트와 맞물리는 설형부의 표면은 적층된 시트의 상단 위에 놓이며, 따라서 적층된 시트가 정합용 장벽 (21,22) 에 대해 말아 올려질때 유입되는 시트의 선단과 접촉하게 될 것이다.
도 6 내지 도 10 에 도시된 것처럼, 시트 적층장치에는 도 2 에 도시된 적층단 (16,17) 및 시트 캐쳐 (71) 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센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센서장치는 안내 레일 (21,22)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능동소자의 어레이 (80) 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센서장치는 용량성 검파에 의해 작동한다. 능동소자의 어레이 (80) 는 규칙적인 간격을 가진 전도성 필드 (81) 에 의해 형성된다. 전도성 필드 사이의 피치는 필요한 측정의 정확도에 달려있다. 전형적인 배치에 있어서, 5mm 이하의 피치가 만족스러움을 나타낸다. 비전도성 영역이 연속적인 전도성 필도 (81) 사이에 존재한다. 전도성 물질 (82) 의 스트립이 전도성 필드 (81) 의 배열에 평행하게 신장 한다. 능동소자 (80) 의 어레이는, 예를 들어 인쇄기판상에서 제조될 수 있다. 인쇄기판 (85) 은 안내 레일 (21) 내부에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 적층단 (16,17) 및 각각의 시트 캐쳐 (71) 에는 전도성 플레이트 (83) 의 형태로 센서장치의 수동소자가 존재한다. 전도성 플레이트 (83) 는, 이들의 수평길이가 실질적으로 전도성 스트립 (82) 과 전도성 필드 (81) 를 덮기에 충분하게 배치된다. 전도성 플레이트 (83) 의 수직 길이는 측정된 값의 분해능과 신뢰도를 결정한다. 전도성 필드 사이의 피치의 두배의 수직 치수가 만족스러운 결과를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전도성 플레이트 (83) 는 안내 레일 (21) 에서 안내된다. 시트 캐쳐 (71) 위의 전도성 플레이트 (83) 는, 안내 레일 (21) 로 돌출하는 시트 캐쳐의 부재에 직접 부착된다. 적층단 (16,17) 과 일체로 움직이는 전도성 플레이트 (83) 는 캐리어 부재 (79) 에 부착된다(도 4). 캐리어 부재 (79) 는 안내 레일 (21) 로 안내된다. 핀 (65) 은 캐리어 부재 (79) 로부터 각각의 적층단 (16,17) 에 있는 너트 (64) 로 신장한다. 측면으로 신장하는 너트는 상술한 단계 적층을 만들기 위해 적층단을 측면으로 이동하게 한다. 전도성 플레이트 (83) 가 각각의 적층단 (16,17) 또는 시트 캐쳐 (71)와 함께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는 전도성 스트립 (82) 보다 짧은 거리를 이동하며 전도성 필드 (81) 및 이 전도성 필드 (81) 사이의 비전도성 영역을 번갈아 이동한다.
보조-제어 유닛 (86) 은 각각의 전도성 필드 (81) 와 전도성 스트립 (82) 사이의 전기용량을 측정한다. 전도성 플레이트 (83) 가 전도성 필드 (81) 와 전 도성 스트립 (82) 을 덮는 경우, 특정의 전도성 필드와 연관된 전기용량은 덮히지 않은 전도성 필드와 연관된 용량보다 휠씬 더 크다. 보조 제어유닛 (86) 은 각각의 전도성 필드 (81) 와 연관된 전기용량을 측정하여 센서 어레이 (80) 로부터의 신호를 제어장치 (8) 로 보내지는 위치신호로 전환시킨다. 대안으로, 전도성 물질 (82) 의 스트립은, 전도성 필드의 제 1 어레이(비도시)과 평행하게 신장하는 전도성 필드의 제 2 어레이로 대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보조 제어유닛 (86) 은 어레이 (81 및 82) 로부터 전도 필드 쌍의 용량을 각각 측정한다.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제 2 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센서장치는 홀 효과(Hall effect)로 작동한다. 능동소자의 어레이는 규칙적인 간격을 가진 홀 센서 (81) 의 어레이로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적층단 (16,17) 과 각각의 시트 캐쳐 (71) 에는 자석 (84) 의 형태로 센서장치의 수동소자가 제공된다. 자석 (84) 이 각각의 적층단 (16,17) 또는 시트 캐쳐 (74) 와 함께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이것은 홀 센서 (81) 보다 짧은 거리를 이동한다. 보조 제어 유닛 (86) 에서, 홀 센서로부터의 신호는 위치 신호로 전환되어 제어 장치 (8) 로 송신된다.
도 8 및 10 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센서장치는 빛으로 작동된다. 능동소자의 어레이는 규칙적인 간격을 가진 센서 (81) 의 어레이로 형성되며, 각각은 LED (90) 및 광전지 (91) 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적층단 (16,17) 과 개개의 시트 캐쳐 (71) 에는 센서장치의 수동소자가 반사기 (89) 의 형태로 제공된다. 반사기 (89) 가 각각의 적층단 (16,17) 또는 시트 캐쳐 (71) 와 함께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반사기는 센서에 대해 이동하며, 각각의 광전지 (91) 와 직면하는 센서의 LED (90) 에 의해 방출된 빛을 반사한다. 광전지 (89) 는 보조 제어 유닛 (86) 에 연결되며, 이 제어 유닛은 신호를 위치 신호로 전환시키고 이것을 제어장치 (8) 로 송신한다. LED-광전지-쌍이 도 10 에서 수직인 배치로 도시되지만, 이것은 수평으로 또는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음은 명확하다.
캐쳐 (71) 는 항상 적층물 위에 얹혀진다. 시트 캐쳐 (71) 및 적층 트레이 (16,17) 의 위치는 둘 다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적층단 (16,17) 과 시트 캐쳐 (71) 사이의 거리는 적층 높이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정보는 제어장치 (8) 에 의해 사용되어, 예를 들어 다른 적층단 (16,17) 으로 교체하기 위해 언제 적층단 (16,17) 이 가득차는지, 또는 적층장치를 비울 필요가 있다는 경고를 알리도록 두 적층단이 모두 언제 가득차는지를 결정한다.
도 11 에 도시된 높이 탐지기는, 적층단 (16,17) 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방출 롤러 쌍 (13) 으로부터 새로운 시트를 수용하기 위해 능동 적층단 (16,17) 위에 적층된 시트의 적층의 상부 에지가 항상 정확한 높이에 존재하도록 보장한다. 상기 높이 탐지기는 두개의 상하 센서에 의해 형성된다. 한 센서는 한 쌍의 LED (93,93') 및 하나의 광전지 (95) 를 포함하며, 다른 센서는 한 쌍의 LED (94,94') 및 하나의 광전지 (96)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LED 에 대해 하나의 광전지, 또는 4개의 LED 에 대해 하나의 광전지(상-이동 진동방법(phase-shifted pulsated manner)으로 작동됨)와 같이 광전지의 갯수를 달리할 수도 있다. 각 센서의 LED 쌍 (93,93'(94,94')) 은 실질적으로 수평인 빛다발을 적층물의 공급 측으로부터 적층물의 정합용 장벽측에 있는 각각의 광전지 (95(96)) 쪽으로 안내한다. 한 쌍의 LED (93,93'(94,94')) 는 측면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각각의 광전지 (95(96)) 는 적층물의 측면 중간점에 배열된다. 따라서 LED (93,93'(94,94')) 는 두개의 광선을 적층물 위의 대각선으로 각각의 광전지 (95(96)) 를 향해 안내한다. 광전지 (95(96)) 의 출력은, LED (93,93'(94,94')) 둘 다로부터 빛을 수용하는 경우에만 유효하다.
광전지 (95(96)) 는 제어장치 (8) 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LED (94,94') 및 제 1 광전지 (96) 의 쌍은 최저 적층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반면, 제 2 LED (93,93') 및 제 2 광전지 (95) 의 쌍은 최대 적층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광전지 (96) 의 출력이 유효한 경우, 제어장치 (8) 는 제 1 광전지 (96) 가 비활동적이 될 때까지 유효한 적층단 (16,17) 을 상승시키기 위해 각각의 DC모터에 동력을 공급한다. 제 2 광전지 (95) 가 비활동적으로 되는 경우, 제어장치 (8) 는 제 2 광전지 (95) 가 활동적으로 될 때까지 유효한 적층단 (16,17) 을 낮추기 위해 각각의 DC모터에 전력을 공급한다. 적층단 (16,17) 이 정확한 위치에 있는 경우, 제 1 광전지 (96) 의 출력은 유효하지 않아야 하며, 제 2 광전지 (95) 의 출력은 유효하여야 한다.
적층물 위에 시트를 공급하는 동안, 유입되는 시트가 LED (93,93',94,94') 를 가로 막기 때문에 짧은 기간동안 높이 탐지기가 비활동적으로 된다.
적층된 시트는 때때로 적층물의 공급측상에서 말려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은, 예를 들어 스테이플측상에 적층을 더 빠르게 성장시키는 스테이플에 의해 악화 된다. 이 결과가 도 11 에 도시되어 있다. 높이 탐지기는, 유효 적층단 (16,17) 이 이러한 말림을 보상하기 위해 하강하도록 하여, 방출 롤러 쌍 (13) 에 의해 공급된 시트가 적층의 측면과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이것은, 예를 들어 공급측상의 말림이 큰 경우, 시트 캐쳐 (71) 가 방출 롤러 쌍 (13) 에 대해 너무 낮게 위치하여, 유입되는 시트의 선단이 시트 캐쳐 (71) 아래에서 잡히지 않고, 시트 캐쳐 (71) 위로 통과하는 상황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적층공정에 대한 제어가 완전히 실패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장치 (8) 는 시트 캐쳐 (71) 의 높이와 공급 롤러 쌍 (13) 의 높이를 비교하여, 만약 시트 캐쳐 (71) 와 공급 롤러 쌍간의 높이 차가 설정된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공급공정이 중단되고 경고가 시작된다.
비록 본 발명이 두개의 적층단 및 두개의 안내 레일을 갖는 실시예로 서술되었지만, 이것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대표예라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예를 들어, 오직 하나의 안내 레일, 하나의 적층단, 또는 2 이상의 안내 레일 또는 2 이상의 적층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적층장치에 의해, 적층이 정합용 장벽에 대해 말아 올려질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12)

  1. 종이 가공장치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된 시트 또는 시트 세트를 적층단 위에 그리고 정합용 장벽에 대해 적층하기 위한 시트 적층장치로서, 상기 시트 적층장치는 상기 적층단 위에 있는 또는 상기 적층단 위에 적층된 시트 위에 놓이는 시트 캐쳐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캐쳐는, 상기 적층단에 수직인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고, 시트가 상기 정합용 장벽과 접하기 전에 유입되는 시트의 선단과 맞물리는 시트 적층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 캐쳐에 매달리는 시트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맞물림 부재는 상기 시트 캐쳐에 자유롭게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맞물림 부재는 상기 시트 캐쳐에 탄성적으로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층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캐쳐가, 어떤 횡력도 가하지 않고, 상기 적층단과 시트 캐쳐 사이에서 상대적인 측면 운동을 허용하는 롤러를 통해 상기 적층단 또는 적층된 시트 위에 놓여있어, 상기 롤러는, 이 롤러 아래로 유입되는 시트의 선단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제공하도록 구형 단편 또는 원뿔대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층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맞물림 부재는 설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형부는 상기 시트 캐쳐의 끝에 피봇가능하게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층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설형부의 시트 맞물림 면은 유입되는 시트의 선단을 트랩핑하는 스로트를 형성하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층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맞물림 부재의 시트 맞물림 면은 직물로 덮혀 있으며, 상기 직물의 마찰계수는 시트가 공급되는 방향으로의 마찰계수가 그 반대방향으로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층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캐쳐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층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단은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층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2 이상의 평행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층장치.
  12. 제 1 항, 제 9 항,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하로 배열된 다수의 적층단 및 시트 캐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층장치.
KR1020030016005A 2002-03-29 2003-03-14 시트 적층장치 KR100966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76337A EP1348662A1 (en) 2002-03-29 2002-03-29 Sheet depositing device
EP02076337.1 2002-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651A KR20030078651A (ko) 2003-10-08
KR100966061B1 true KR100966061B1 (ko) 2010-06-28

Family

ID=2779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005A KR100966061B1 (ko) 2002-03-29 2003-03-14 시트 적층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91228B2 (ko)
EP (1) EP1348662A1 (ko)
JP (1) JP4125979B2 (ko)
KR (1) KR100966061B1 (ko)
DE (1) DE60309765T2 (ko)
TW (1) TW5931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5052C1 (de) * 2001-11-09 2003-02-06 Nexpress Solutions Llc Niederhalter für das Niederhalten eines Stapels von blattförmigem Material
US6799760B2 (en) * 2002-09-30 2004-10-05 Pitney Bow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ertically stacking mailpieces via the top or bottom of the stack
DE102004062735B4 (de) * 2004-02-19 2023-08-17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orrichtung zum Ausrichten von Bogen, die auf einem Bogenstapel abgelegt werden
KR100608078B1 (ko) * 2004-07-16 2006-08-08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
CN1817771A (zh) * 2004-10-08 2006-08-16 海德堡印刷机械股份公司 收放单张纸到纸堆上的装置
JP2007119233A (ja) * 2005-10-31 2007-05-17 Brother Ind Ltd 画像記録装置
DE102006031535A1 (de) * 2006-07-07 2008-01-10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behälter für Wertdokumente
US7779982B2 (en) * 2006-09-07 2010-08-24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processing and strapping systems and methods
TWI411541B (zh) 2010-11-10 2013-10-11 Cal Comp Electronics & Comm Co 偵測文件是否遺留的方法及其多功能事務機
CN104794807A (zh) * 2015-05-12 2015-07-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收集回收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6155U (ko) 1986-10-01 1988-04-14
JP2001063904A (ja) 1999-08-23 2001-03-13 Dowa Seisakusho:Kk 丁合機の紙受装置
JP2001302068A (ja) * 2000-04-21 2001-10-31 Nisca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73414A (en) * 1924-11-20 1926-02-16 Chicago Engineering Works Inc Static eliminator
DE1090578B (de) * 1958-11-22 1960-10-06 Demag Ag Stapeleinrichtung fuer Bleche
US3647045A (en) * 1970-02-06 1972-03-07 Nat Steel Corp Apparatus for stacking units of sheet material
US3698709A (en) * 1971-01-04 1972-10-17 Westinghouse Learning Corp Document handling apparatus
US4061331A (en) * 1976-06-07 1977-1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cument receiving apparatus
JPS60232366A (ja) * 1984-05-01 1985-11-19 Canon Inc シ−ト集積装置におけるシ−ト押え板
JPS61166463A (ja) * 1985-01-18 1986-07-28 Fuji Photo Film Co Ltd 蓄積性螢光体シ−ト収納マガジン
DE3618622A1 (de) * 1986-06-03 1987-12-10 Roland Man Druckmasch Hinterkantenanschlag bei bogenauslegern an bogenverarbeitenden maschinen
GB2215313B (en) * 1988-01-20 1992-05-20 Xerox Corp Sheet delivery and stacking apparatus
JPH0243171A (ja) * 1988-08-03 1990-02-13 Omron Tateisi Electron Co ドキュメント収納装置
US5026034A (en) * 1989-06-19 1991-06-25 Eastman Kodak Company Document output apparatus having anti-dishevelment device
US5228679A (en) * 1990-04-19 1993-07-20 Xerox Corporation Sheet damping mechanism
DE4039813C2 (de) * 1990-12-13 1997-03-13 Kodak Ag Leitvorrichtung für die gestapelte Ablage von Papierblättern
DE59006852D1 (de) * 1990-12-20 1994-09-22 Siemens Nixdorf Inf Syst Abstapelvorrichtung für Einzelblätter verarbeitende Druckmaschinen.
US5199703A (en) * 1991-01-18 1993-04-06 Eastman Kodak Company Device for stacking and aligning individually supplied sheets
JPH0648639A (ja) * 1992-07-28 1994-02-22 Mitsubishi Heavy Ind Ltd シート乱れ防止装置
DE10043393A1 (de) * 2000-09-04 2002-03-14 Heidelberger Druckmasch Ag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Blattstap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6155U (ko) 1986-10-01 1988-04-14
JP2001063904A (ja) 1999-08-23 2001-03-13 Dowa Seisakusho:Kk 丁合機の紙受装置
JP2001302068A (ja) * 2000-04-21 2001-10-31 Nisca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8662A1 (en) 2003-10-01
JP2004002011A (ja) 2004-01-08
DE60309765D1 (de) 2007-01-04
DE60309765T2 (de) 2007-09-13
US20030184011A1 (en) 2003-10-02
US6991228B2 (en) 2006-01-31
TW593103B (en) 2004-06-21
JP4125979B2 (ja) 2008-07-30
KR20030078651A (ko)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8881B1 (en) A sorter
US9517904B2 (en) Device for handling single sheets, for introducing and distributing rectangular single sheets, especially bank notes, respectively into and out of a container
KR100966061B1 (ko) 시트 적층장치
US7690637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method
US7883081B2 (en) Sheet fini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EP0444716B1 (en) Device and a method for stacking signatures
US7775514B2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EP0768260B1 (en) Paper handling apparatus
EP1348663B1 (en) Sheet depositing device
JP2003307402A (ja) 位置検出器
EP1518807A1 (en) Accumulating and delivering apparatus for group of sheets
US4561647A (en) Sheet deflector and conveyor drive
JPH0422826B2 (ko)
JP2919034B2 (ja) 記録紙処理装置
EP1348661B1 (en) Position detector
JPH0516569A (ja) 後処理装置と後処理方法
JP2923052B2 (ja) 循環式原稿送り装置
JP2004203572A (ja) 排紙装置
KR940002598B1 (ko) 화상형성후 처리장치
JP3746369B2 (ja) 用紙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4182262A (ja) 紙積載装置
JP2005041586A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00012641U (ko) 용지 배출장치
JP2009280309A (ja) シート集積装置
JPS625038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