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822B1 -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스포스폰산 나트륨염의순수한 다형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스포스폰산 나트륨염의순수한 다형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822B1
KR100961822B1 KR1020070097902A KR20070097902A KR100961822B1 KR 100961822 B1 KR100961822 B1 KR 100961822B1 KR 1020070097902 A KR1020070097902 A KR 1020070097902A KR 20070097902 A KR20070097902 A KR 20070097902A KR 100961822 B1 KR100961822 B1 KR 100961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idyl
sodium salt
hydroxyethylidine
temperature
anhyd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0515A (ko
Inventor
라비산카르 바라수브라마니암
안안쓰람 파라메시와란
풀라 라오 폴사니
시얌순데르 쉔누말라
Original Assignee
플레밍 레보레이토리스 리미티드
(주)에스터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레밍 레보레이토리스 리미티드, (주)에스터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플레밍 레보레이토리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3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553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F9/576Six-membered rings
    • C07F9/58Pyridine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액중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모노나트륨염 2.5수화물과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반응시키는 단계, 그 반응물을 교반시키는 단계, 냉각시키는 단계, 그 형성된 결정을 여과시키는 단계 및 최종적으로 알코올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액중의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모노 나트륨염 2.5수화물과 글리콜을 반응시켜 리세드로네이트 모노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 형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70097902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염 무수물, 글리콜

Description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스포스폰산 나트륨염의 순수한 다형체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A PURE POLYMORPHIC FORM OF 3-PYRIDYL-1-HYDROXYETHYLIDINE-1,1-BISPHOSPHONIC ACID SODIUM SALT}
본 발명은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스포스폰산 나트륨염(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염; Risedronate Sodium)의 다형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독점적으로 글리콜을 사용하여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 형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덴-1,1-비스포스폰산(리세드론산 모노나트륨염)과 같은 비스포네이트 염은 뼈 및 칼슘 대사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이런 질환에는 골다공증, 부갑상샘기능항진증, 고칼슘혈증, 악성종양, 골형성 뼈 전이증(ostolytic bone metastases), 근육염, 진행성 골화근육염, 석회증, 전신성 관절염, 신경염, 건염 및 다른 염증성 질환이 포함된다. 모든 비포스포네이트가 동일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비스포스포네이트 중 일부는 독성과 관련하여 심각한 부작용을 나타낸다.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염 및 수화물 형태는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을 변화시킨다.
리세드로네이트의 모노나트륨염은 3개의 결정성 수화상태:무수화물, 일수화물, 2.5수화물를 가진다: 이것은 미국특허 제6,410,52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문헌에는 또한 선택적 결정화에 의한 일수화물 및 2.5수화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리세드로네이트의 다양한 결정형태 B,C,D,E,F,G 및 H의 제조방법은 유럽특허 EP149250 및 그것의 대응 미국특허인 제2003-019517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효율적이고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모노 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 형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수율과 높은 순도로 리세트로네이트 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 형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제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생태학적으로 안전하며, 산업상 이용 가능한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의 안정한 무수물의 단순화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람직한 결정성을 가지며 물의 함량이 1.0%미만인 안정한 무수물형태의 결정성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글리콜을 사용하여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형태의 향상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인은 글리콜을 사용하여 리세드로네이트 모노나트륨 2.5수화물을 바람직하게 안정한 무수화물 형태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원료 리세드론산(raw risedronic acid)을 글 리콜을 사용하여 안정한 무수물 형태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약70 내지 170℃ 온도에서 리세드로네이트 모노 나트륨염 2.5수화물과 글리콜을 사용하여 리세드로네이트 모노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 형태를 제조하는 향상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 측면에서는,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의 안정한 무수물 형태의 제조에 있어서 여과된 생성물을 실온에서 알콜올로 세척(washing)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리세드로네이트 모노 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형태를 C1-C3 탄소원자를 갖는 알코올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모노 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 형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수용액중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모노 나트륨염 2.5수화물에 글리콜을 약 70 내지 85 ℃에서 첨가한 후, 약 95 내지 110℃로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b)그 반응물을 100 내지 170℃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교반시키는 단계,
(c) 그 반응물을 20 내지 40℃로 냉각시키는 단계,
(d) 냉각시켜 수득된 결정을 여과시키는 단계 및
(e) C1-C3 알코올로 세척함(wash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원료(raw) 리세드론산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실온에서 반응시켜 리세드로네이트 모노 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 수용액중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을 염기성용액을 이용하여 pH 6-7로 맞추고, 원치 않는 노란색 물질을 여과한 후에, 여과물을 아세트산으로 pH 4.4-4.6으로 맞춘 다음, 글리콜을 첨가한후 170℃까지 가열하는 단계,
(b)그 반응물을 100 내지 170℃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교반시키는 단계,
(c) 그 반응물을 20 내지 40℃로 냉각시키는 단계,
(d) 냉각시켜 수득된 결정을 여과시키는 단계,
(e) C1-C3 알코올로 세척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글리콜(glycol)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글리콜이라면 모두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200, 400, 600 내지 6000), 모노에틸렌글리콜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PEG 200, 모노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수용액 중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모노 나트륨염 2.5 수화물을 약 70 내지 85 ℃,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75℃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바람직하게는 PEG 200을 첨가하여 비스포스폰산 모노 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 형태를 제조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바람직하게는 PEG 200과 반응시키고 170℃까지 가열시켜, 비스포스폰산 모노 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 형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반응물의 교반을 위한 단계(b)에서의 반응 온도는 약 100 내지 170℃이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65℃이다.
본 발명에서, 반응물의 교반을 위한 단계(b)에서의 반응 시간은 약 20 내지 4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30분이다.
본 발명에서, 단계(c)에서 냉각온도는 약 20 내지 40℃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30℃이다.
본 발명에서, 단계(d)에서 수득된 결정을 세척하기위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과 같은 C1-C3탄소의 알코올이 단계(e)에서 사용되며, 바 람직하게는 메탄올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원료 리세드론산의 pH6-7로의 조절은 당업계에서 수용액의 pH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염기 또는 염기용액이면 모두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의해 맞추어진다.
본 발명의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염 무수물 제조방법은 생태학적으로 안전하며, 산업상 손쉽게 이용 가능하고, 물의 함량이 1.0%미만인 안정한 무수물형태의 결정성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의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이해하는데 한정짓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1
3- 피리딜 -1- 히드록시에틸리딘 -1,1- 비포스폰산 모노나트륨염 무수물 형태의 제조: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모노 나트륨염 2.5 수화물(제조사: Fleming laboratories, 제조국: 인도)(10g)을 실온에서 40ml의 물에 첨가하였다. 그후 온도를 75℃로 상승시켰다. 그 후, 약30g의 PEG 200(제조사:Vasudha chem, 제조국:인도)을 첨가하고, 반응 온도를 100℃로 상승시켰다. 그리고, 반응물을 100 내지 105℃에서 30분간 교반시킨 후, 25 내지 30℃로 냉각시켰다. 그 수득된 결정을 여과한 후 10ml의 메탄올로 세척하여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모노 나트륨염의 무수물을 7.50g(수율 86.2 %)수득하였다. 제조된 무수물의 Karl Fischer 수분함량측정기(제조사: Polmon, 모델명: MI450, 측정조건: 메탄올:피리딘=4:1(v/v) 용매에 시료 0.2g을 녹여 사용함)로 측정한 수분함량은 1.0 % w/w이하였으며, 순도는 HPLC(컬럼: Alspe Anion 150x4.67 micron, UV 262nm)로 99.70 %였다. 제조된 무수물의 FTIR, 1H-NMR, TGA(모델명: TGA Q500 V6.4, 반응 조건:300℃까지 2.00℃/min으로 상승시킴)및 X-선 회절 스펙트럼은 도1, 도2, 도3 및 도4와 같다.
실시예 : 2
3- 피리딜 -1- 히드록시에틸리딘 -1,1- 비포스폰산 모노나트륨염 무수물 형태의 제조: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모노 나트륨염 2.5 수화물(20g)을 실온에서 80ml의 물에 첨가하였다. 그 후 온도를 75℃로 상승시켰다. 그 후, 약50g의 PEG 200(제조사:Vasudha chem, 제조국:인도)을 첨가하고 반응 온도를 100℃로 상승시켰으며, 물을 증류시켜 110℃까지 상승시켰다. 또한 50g의 PEG200을 다시 첨가하고 물을 증류시켜 반응물의 온도가 160℃가 되게 하였다. 반응물을 160 내지 165℃에서 30분동안 교반시키고, 25 내지 30℃로 냉각시켰다. 그 수득된 결정을 여과하고 60ml의 메탄올로 세척하여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모 노 나트륨염의 무수물을 86.2% 수율로 얻었다. 제조된 무수물의 Karl Fischer 수분함량측정기(제조사: Polmon, 모델명: MI450, 측정조건: 메탄올:피리딘=4:1(v/v) 용매에 시료 0.2g을 녹여 사용함)로 측정한 수분함량은 1.0%w/w이며, IR, 1H-NMR 및 TGA 스펙트럼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것과 동일하였다. 또한, 순도는 HPLC로 측정시 99.7% 였다.
실시예 : 3
3- 피리딜 -1- 히드록시에틸리딘 -1,1- 비포스폰산 모노나트륨염 무수물 형태의 제조: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원료 리세드론산)(20g)을 실온에서 100ml의 물에 첨가하였다. 그리고 용액의 pH를 6-7로 수산화나트륨용액을 이용하여 조절하였다. 원하지 않는 노란색 물질을 여과하고 그 여과물을 다시 아세트산으로 pH 4.4-4.6으로 맞추었다. 80g의 PEG 200을 첨가하고 가열하고 물을 증류시켜 반응물의 온도가 160℃가 되게 하였다. 반응물을 160 내지 165℃에서 30분동안 교반시키고, 25 내지 30℃로 냉각시켰다. 그 수득된 결정을 여과하고 60ml의 메탄올로 세척하여 수분함량이 1.0%w/w 미만인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모노 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을 18g(수율 83.5%)수득하였다. 제조된 무수물의 Karl Fischer 수분함량측정기(제조사: Polmon, 모델명: MI450, 측정조건: 메탄올:피리딘=4:1(v/v) 용매에 시료 0.2g을 녹여 사용함)로 측정한 수분함량은 1.0% w/w이며, IR 및 1H-NMR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것과 동일하였다. 또한, 순도는 HPLC로 측정한 결과 99.60%였다.
실험예1 : 안정성 확인
실시예1에서 제조된 리세드로네이트 모노 나트륨염 무수물을 40℃,상대습도(RH) 75%± 5 및 25℃ 상대습도 60%± 5에서 90일 동안 개방된 조건(open condition)하에서 보관하였으며, 보관 10일마다 생성물의 수분함량을 Karl Fischer 수분함량측정기로 측정하였다(표 2).
표 2.
RH% 온도 1일 10일 20일 30일 40일 50일 60일 70일 80일 90일
60± 5 25℃ 0.58 0.60 0.60 0.62 0.64 0.72 0.73 0.76 0.78 0.80
75± 5 40℃ 0.60 0.61 0.63 0.64 0.66 0.72 0.74 0.77 0.79 0.80
즉, 상기 표2에 나타난 결과에 비추어볼 때,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리세드로네이트 모노 나트륨 무수화물은 매우 안정하다.
도1은 실시예1에서 제조된 리세드로네이트 모노 나트륨염의 무수물의 I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2는 실시예1에서 제조된 리세드로네이트 모노 나트륨염의 무수물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3은 실시예1에서 제조된 리세드로네이트 모노 나트륨염의 무수물의 TGA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4는 실시예1에서 제조된 리세드로네이트 모노 나트륨염의 무수물의 X-선 회절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13)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모노 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의 제조방법:
    (a) 수용액중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모노 나트륨염 2.5수화물에 글리콜(glycol)을 약 70 내지 85 ℃에서 첨가한 후, 95 내지 110℃로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b) 그 반응물을 100 내지 170℃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교반시키는 단계,
    (c) 그 반응물을 20 내지 40℃로 냉각시키는 단계,
    (d) 냉각시켜 수득된 결정을 여과시키는 단계 및
    (e) C1-C3 알코올로 세척(washing)시키는 단계.
  2.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모노 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의 제조방법:
    (a)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포스폰산 수용액을 염기성용액을 이용하여 pH 6-7로 맞추고, 원치 않는 노란색 물질을 여과한 후에, 여과물을 아세트산으로 pH 4.4-4.6으로 맞춘 다음, 글리콜을 첨가한 후 100 이상 170℃까지 가열하는 단계,
    (b) 그 반응물을 150 내지 170℃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교반시키는 단계,
    (c) 그 반응물을 20 내지 40℃로 냉각시키는 단계,
    (d) 냉각시켜 수득된 결정을 여과시키는 단계 및
    (e) C1-C3 알코올로 세척(washing)하는 단계.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글리콜이 PEG(polyethtylene glycol)200, 400, 600 내지 6000인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글리콜이 PEG 200 이고 이의 첨가 온도가 70 내지 80 ℃인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PEG 200의 첨가 온도가 75℃인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의 상승된 반응물의 온도가 105 내지 110℃인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의 반응물의 교반온도가 165℃인 제조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c)의 반응물 냉각온도가 25 내지 30℃인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e)에서 단계(d)에서 수득된 결정을 세척하는 알코올이 메탄올인 제조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 염기성 용액이 수산화나트륨용액인 제조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 반응물의 가열온도가 160℃인 제조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에서 수득된 리세드로네이트 모노 나트륨염이 안정한 무수물 형태인 제조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제조된 리세드로네이트 모노 나트륨염의 안정한 무수물.
KR1020070097902A 2006-09-28 2007-09-28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스포스폰산 나트륨염의순수한 다형체 제조방법 KR100961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795/CHE/2006 2006-09-28
IN1795CH2006 2006-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515A KR20080030515A (ko) 2008-04-04
KR100961822B1 true KR100961822B1 (ko) 2010-06-08

Family

ID=3953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902A KR100961822B1 (ko) 2006-09-28 2007-09-28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스포스폰산 나트륨염의순수한 다형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835B1 (ko) * 2007-12-07 2009-11-06 동우신테크 주식회사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 무수물 및 수화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1489A (ja) 2002-10-25 2006-04-06 ツェンティバ,エー.エス 3−ピリジル−1−ヒドロキシエチリデン−1,1−ビスホスホン酸のナトリウム塩の新規な結晶形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1489A (ja) 2002-10-25 2006-04-06 ツェンティバ,エー.エス 3−ピリジル−1−ヒドロキシエチリデン−1,1−ビスホスホン酸のナトリウム塩の新規な結晶形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515A (ko) 200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2144B2 (en) Process for producing biphosphonic acids and forms thereof
JP4642762B2 (ja) ビスホスホン酸化合物の製造方法
JP4953822B2 (ja) ムスカリン受容体拮抗作用薬の製造方法及びその中間体
CA2503154C (en) A new crystalline form of the sodium salt of 3-pyridyl-1-hydroxyethylidene-1,1-bisphosphonic acid
KR100961822B1 (ko) 3-피리딜-1-히드록시에틸리딘-1,1-비스포스폰산 나트륨염의순수한 다형체 제조방법
KR100951108B1 (ko) 라세믹 또는 광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α-글리세로포스포릴콜린 및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EP1981896B1 (en) 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isedronate sodium hemi-pentahydrate
JP2010508376A (ja) ビホスホン酸、及びその塩の製造方法
KR100740950B1 (ko) 8-시아노-1-사이클로프로필-7-(1s,6s-2,8-디아자비사이클로[4.3.0]노난-8-일)-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 카복실산의 결정 개질체 b
KR101330814B1 (ko)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0343232B1 (ko) 결정성 파미드론산 이나트륨염 수화물과 그의 제조방법
US20100317859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isedronate Sodium
KR20010089630A (ko) 8-시아노-1-사이클로프로필-7-(1s,6s-2,8-디아자비사이클로[4.3.0]노난-8-일)-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3-퀴놀린 카복실산의 결정 개질체 c
KR100878034B1 (ko) 결정상 리세드로네이트 모노소듐 모노하이드레이트 및 이의제조방법
JP3901321B2 (ja) リボフラビン−5’−リン酸またはそのナトリウム塩の製造法
KR100812528B1 (ko)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염의 헤미펜타히드레이트의 선택적결정화방법
KR101195631B1 (ko) 9-[2-(포스포노메톡시)에틸]아데닌의 개선된 제조방법
WO2008065542A2 (en) 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isedronate sodium
KR100828705B1 (ko) 리세드론산 나트륨 수화물의 제조방법
KR100537210B1 (ko) 4-아미노-1-히드록시부틸리덴-1,1-비스포스폰산의 제조방법
KR101507973B1 (ko) 결정형 베포타스틴 및 그 제조방법
EA027231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сфосфоновых кислот
WO2008044245A2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isedronate sodium hemipentahydrate
WO2013109198A1 (e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odium ibandronate monohydrate polymorphs a, b and mixture of polymorphs a with b
KR20090059635A (ko)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 무수물 및 수화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