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409B1 - 전장품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 Google Patents

전장품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409B1
KR100961409B1 KR20087019771A KR20087019771A KR100961409B1 KR 100961409 B1 KR100961409 B1 KR 100961409B1 KR 20087019771 A KR20087019771 A KR 20087019771A KR 20087019771 A KR20087019771 A KR 20087019771A KR 100961409 B1 KR100961409 B1 KR 100961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ard
plate
water
mounting plat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701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910A (ko
Inventor
히사시 타케이치
나오히로 카와사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5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4Inlet and outlet arranged on opposite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실외 유닛의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전장품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여도, 제어 기판의 패턴에 물이 접촉하여 제어 기판이 쇼트하는 등의 문제를 생기기 어렵게 한다. 전장품 어셈블리(7)는 제어 기판(91)과 몸체(71)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기판(91)은, 케이싱(2) 내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종 전기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몸체(71)는 제어 기판(91)을 보지(保持)하는 부재이며, 하부에 제어 기판(91)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배출하는 슬릿(75a ~ 75c)이 형성되고, 또한 제어 기판(91)의 기판면에 대향하는 면에 물을 슬릿(75a ~ 75c)으로 이끄는 도수로(導水路)가 형성되어 있다.
전장품 어셈블리, 공기 조화 장치, 실외 유닛, 제어 기판, 케이싱

Description

전장품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ELECTRICAL EQUIPMENT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전장품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특히, 실외 유닛의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전장품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으로서, 대략 직방체 상자 형상의 케이싱의 내부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판에 의하여 송풍기실과 기계실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있다. 이 송풍기실에는 주로 실외 열교환기와 실외 팬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계실에는 주로 압축기와, 밸브류나 냉매 배관 등으로 구성되는 냉매 회로 구성 부품과, 전장품 어셈블리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전장품 어셈블리로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어 기판과, 제어 기판을 보지(保持)하는 몸체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 몸체는, 제어 기판의 기판면에 대향하는 연직 판부와 이 연직 판부로부터 제어 기판의 주연부(周緣部)를 둘러싸도록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연 판부를 가지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36284호
상술의 종래의 전장품 어셈블리의 몸체의 연직 판부에는, 제어 기판이 배치되는 측의 면에 인버터 제어 소자가 장착되는 것과 함께, 제어 기판이 배치되는 측과 반대 측의 면에 인버터 제어 소자의 냉각을 위한 히트 싱크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히트 싱크를 장착할 때에는, 이 히트 싱크는 칸막이판의 개구(開口)를 통하여 송풍기실 내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몸체의 연직 판부의 히트 싱크가 장착된 부분 등으로부터 몸체의 제어 기판 측에, 즉,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물이 침입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물이 침입하면,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특히, 몸체의 하부)에 표면장력에 의하여 체류하여 버려, 제어 기판의 패턴부에 물이 접촉하여 제어 기판이 쇼트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히트 싱크와 몸체의 장착 부분에 실(seal)재를 설치하는 등에 의하여,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는 것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실재의 비용이 드는 것이나, 실재의 취부의 시간이 드는 것, 나아가 실재의 취부의 차이에 의한 물의 침입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실외 유닛의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전장품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여도, 제어 기판의 패턴에 물이 접촉하여 제어 기판이 쇼트하는 등의 문제를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는, 케이싱의 내부가 연직으로 연장되는 칸막이판에 의하여 송풍기실과 기계실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기계실에 배치되는 전장품 어셈블리이고, 제어 기판과 몸체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기판은, 케이싱 내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종 전기 부품이 실장(實裝, 전자 부품을 배치하여 접속하는 것)되어 있다. 몸체는, 제어 기판을 보지하는 부재이며, 하부에 제어 기판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가 형성되고, 또한 제어 기판의 기판면에 대향하는 면에 물을 배수부로 이끄는 도수로(導水路)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수로는 배수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몸체는, 제어 기판의 기판면에 대향하는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와, 제어 기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의 제어 기판 측의 면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를 가지고 있다.
이 전장품 어셈블리에서는, 몸체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어 기판을 보지하고 있으며, 이 몸체의 하부에 제어 기판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가 형성되고, 또한 이 몸체의 제어 기판의 기판면에 대향하는 면에 물을 배수부로 이끄는 도수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체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전장품 어셈블리에서는,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여도, 제어 기판의 패턴에 물이 접촉하여 제어 기판이 쇼트하는 등의 문제를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전장품 어셈블리에서는, 도수로가 배수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침입한 물을, 중력에 의하여 배수부까지 이끌 수 있다. 또한, 이 전장품 어셈블리에서는,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에 있어서,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와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의 접속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기 쉽게 되어 있지만, 제어 기판의 기판면에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에 도수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배수부로 이끌어 신속하게 배출하여,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와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의 접속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에 있어서,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와 제어 기판과의 상하 방향의 간극은 3mm 이하이다.
이 전장품 어셈블리에서는,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에 있어서,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와 제어 기판이 매우 접근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와 제어 기판의 사이의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기 쉽게 되어 있지만, 도수로 및 배수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도수로에 의하여 배수부로 이끌어 신속하게 배출하여,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와 제어 기판의 사이의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는, 제1 또는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에 있어서, 배수부는,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와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의 접속 부분 및 그 근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전장품 어셈블리에서는,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에 있어서 물이 체류하기 쉬운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와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의 접속 부분 및 그 근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수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와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의 접속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는 것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는, 제1 또는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에 있어서, 배수부는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전장품 어셈블리에서는,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에 있어서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의 부분 중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에, 배수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와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의 접속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는 것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 또한,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와 제어 기판이 매우 접근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와 제어 기판의 사이의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는 것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는, 제1 또는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에 있어서,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에는, 제어 기판 측의 면으로부터 제어 기판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배수부로 향하여 하방(下方)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수로는 돌출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전장품 어셈블리에서는, 도수로가 돌출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의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의 강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는, 제1 또는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에 있어서,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에는, 제어 기판 측의 면에 인버터 제어 소자가 장착되는 것과 함께, 제어 기판과는 반대 측의 면에 인버터 제어 소자의 운전 시의 냉각을 위하여 히트 싱크가 장착되어 있다. 도수로는, 히트 싱크가 장착된 부분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전장품 어셈블리에서는,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의 제어 기판 측의 면에 인버터 제어 소자가 장착되는 것과 함께,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의 제어 기판과는 반대 측의 면에 인버터 제어 소자의 운전 시의 냉각을 위하여 히트 싱크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의 히트 싱크가 장착된 부분으로부터 물이 침입할 우려가 있지만,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에는 히트 싱크가 장착된 부분의 하측에 도수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히트 싱크가 장착된 부분으로부터 물이 침입한 경우여도,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배수부로 이끌어 신속하게 배출하여 체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는, 제8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에 있어서, 히트 싱크는, 송풍기실과 기계실을 연통(連通)하는 칸막이판의 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배수부는 개구보다도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전장품 어셈블리에서는, 히트 싱크가 칸막이판의 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몸체의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에도 물이 부착하기 쉽게 되어 있지만, 배수부가 칸막이판의 개구보다도 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의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에 부착한 물이 배수부를 통하여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는, 제1 또는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에 있어서, 배수부로서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장품 어셈블리에서는, 배수부로서 슬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의 하부의 강도 저하를 극력 막을 수 있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를 송풍기실과 기계실로 분할하도록 연직으로 연장되는 칸막이판과, 기계실 내에 배치되는 제1 또는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제1 또는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실외 유닛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실외 유닛의 평면도(천판을 제거하고, 또한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폐쇄 밸브 이외의 냉매 회로 구성 부품도 제거하고 도시)이다.
도 2는 실외 유닛의 정면도(좌우 전판을 제거하고, 또한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폐쇄 밸브 이외의 냉매 회로 구성 부품도 제거하고 도시)이다.
도 3은 기계실 내에 설치된 상태의 전장품 어셈블리를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기계실 내에 설치된 상태의 전장품 어셈블리를 도 1의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기계실 내에 설치된 상태의 전장품 어셈블리를 도 1의 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몸체의 기판 취부 플레이트(기판 보호 플레이트, 제어 기판, 인버터 제어 소자 및 히트 싱크를 떼어낸 상태)를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E-E 단면도이다(제어 기판(91)을 이점쇄선에 의하여 도시).
도 8은 도 6의 F-F 단면도이다(제어 기판(91)을 이점쇄선에 의하여 도시).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의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다.
(1) 실외 유닛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장품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실외 유닛(1)의 평면도(천판(天板, 22)을 제거하고, 또한 압축기(51), 실외 열교환기(52) 및 폐쇄 밸브(61, 62) 이외의 냉매 회로 구성 부품도 제거하고 도시)이다. 또한, 도 2는 실외 유닛(1)의 정면도(좌우 전판(前板)(23, 24)을 제거하고, 또한 압축기(51), 실외 열교환기(52) 및 폐쇄 밸브(61, 62) 이외의 냉매 회로 구성 부품도 제거하고 도시)이다.
이 실외 유닛(1)은, 실외에 설치되어 있고, 대략 직방체 상자 형상의 유닛 케이싱(2)의 내부가, 연직으로 연장되는 칸막이판(28)에 의하여 송풍기실(S1)과 기계실(S2)로 분할된 트렁크형의 구조로 불리는 것이다. 이 실외 유닛(1)은, 공조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 유닛(도시하지 않음)에 냉매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실외 유닛(1)은 주로 대략 직방체 상자 형상의 유닛 케이싱(2)과, 실외 팬(4)과, 압축기(51)나 실외 열교환기(52) 등의 기기, 액측 폐쇄 밸브(61)나 가스측 폐쇄 밸브(62) 등의 밸브 및 배관 등의 부재를 포함하여 냉매 회로를 구성하는 냉매 회로 구성 부품과, 실외 유닛(1)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전장품 어셈블리(7)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좌」, 「우」, 「전」, 「후」, 「정면」, 「배면」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도 2에 도시하는 실외 유닛(1)을 정면 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2) 유닛 케이싱의 구성
유닛 케이싱(2)은 주로 저판(底板, 21)과 천판(22)과 좌 전판(23)과 우 전판(24)과 우측판(25)을 구비하고 있다.
저판(21)은, 유닛 케이싱(2)의 저면(底面) 부분을 구성하는, 가로로 긴 대략 장방형상인 금속제의 판상(板狀) 부재이다. 저판(21)의 주연부는, 상향으로 꺾여 구부러져 있다. 저판(21)의 외면(外面)에는, 현지 설치면에 고정되는 2개의 고정 다리(26)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다리(26)는, 유닛 케이싱(2)을 정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U자 형상을 가지고, 유닛 케이싱(2)의 전측(前側)으로부터 후측(後側)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다.
천판(22)은, 실외 유닛(1)의 천면(天面) 부분을 구성하는, 가로로 긴 대략 장방형상인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다.
좌 전판(23)은 주로 유닛 케이싱(2)의 좌 전면 부분 및 좌측면 부분을 구성하는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며, 그 하부가 저판(21)에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좌 전판(23)에는, 실외 팬(4)에 의하여 유닛 케이싱(2) 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구(2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 전판(23)에는, 실외 팬(4)에 의하여 유닛 케이싱(2)의 배면 측 및 좌측면 측으로부터 내부로 받아들여진 공기를 외부로 불어내기 위한 취출구(23b)가 설치되어 있다. 취출구(23b)는 상하 2개 형성되어 있고, 각각에 팬 그릴(27)이 설치되어 있다.
우 전판(24)은 주로 유닛 케이싱(2)의 우 전면 부분 및 우측면의 전부(前部)를 구성하는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며, 그 하부가 저판(21)에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우 전판(24)은, 그 좌단부(左端部)가 좌 전판(23)의 우단부(右端部)에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우측판(25)은 주로 유닛 케이싱(2)의 우측면의 후부 및 오른쪽 배면 부분을 구성하는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며, 그 하부가 저판(21)에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좌 전판(23)의 후단부와 우측판(25)의 배면 측 단부의 좌우 방향 사이에는, 실외 팬(4)에 의하여 유닛 케이싱(2) 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구(23c)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닛 케이싱(2) 내에는, 칸막이판(28)과 관판(29)이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판(28)은, 저판(21) 상에 배치되는, 연직으로 연장되는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며, 유닛 케이싱(2)의 내부를 좌우 2개의 공간으로 칸막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칸막이판(2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닛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 송풍기실(S1) 측으로 돌출하도록 굴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관판(29)은, 유닛 케이싱(2)의 좌측면으로부터 배면을 따르도록 배치된 대략 L자 형상의 실외 열교환기(52)의 우단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며, 그 하부가 저판(21)에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관판(29)의 유닛 케이싱 전면 측의 단부와 칸막이판(28)의 유닛 케이싱 배면 측의 단부는, 서로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좌 전판(23)의 우단부는, 칸막이판(28)의 전단부에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우측판(25)의 배면 측의 단부는, 관판(29)의 유닛 케이싱 배면 측의 단부에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닛 케이싱(2)은, 그 내부가 칸막이판(28)에 의하여 송풍기실(S1)과 기계실(S2)로 분할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풍기실(S1)은, 저판(21)과 천판(22)과 좌 전판(23)과 칸막이판(28)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이며, 주로 실외 팬(4)이나 실외 열교환기(52)가 배치되어 있다. 기계실(S2)은, 저판(21)과 천판(22)과 우 전판(24)과 우측판(25)과 칸막이판(28)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이며, 주로 실외 열교환기(52) 이외의 냉매 회로 구성 부품과, 전장품 어셈블리(7)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닛 케이싱(2)에서는, 우 전판(24)을 떼어내는 것에 의하여, 기계실(S2)의 내부가 보이도록 되어 있다. 즉, 우 전판(24)은, 실외 유닛(1)의 기계실(S2) 내에 수용된 냉매 회로 구성 부품이나 전장품 어셈블리(7)의 메인터넌스 등의 현지 작업을 행할 때에 떼어내지게 된다.
(3) 실외 팬의 구성
실외 팬(4)은, 복수의 날개를 가지는 프로펠러 팬이며, 송풍기실(S1) 내의 실외 열교환기(52)의 전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외 팬(4)은, 취출구(23b)에 대향하도록, 송풍기실(S1) 내에 상하 2개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실외 팬(4)은 각각 실외 팬용 전동기(4a)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외 팬(4)을 구동하면, 유닛 케이싱(2)의 배면 및 좌측면의 흡입구(23a, 23c)를 통하여, 내부로 공기가 받아들여져, 실외 열교환기(52)를 통과한 후, 유닛 케이싱(2)의 전면의 취출구(23b)로부터 유닛 케이싱(2)의 외부로 공기가 불어내지도록 되어 있다.
(4) 냉매 회로 구성 부품의 구성
압축기(51)는, 압축기용 전동기를 하우징 내에 내장하는 밀폐형 압축기이며, 기계실(S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압축기용 전동기는, 전장품 어셈블리(7)에 의하여 주파수 제어가 가능한, 이른바 인버터 타입의 전동기이다. 압축기(51)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닛 케이싱(2)의 전체 높이의 1/3 ~ 1/2정도 높이의 세로형 원통 형상을 가지고, 그 하부가 저판(2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51)는, 유닛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 기계실(S2)의 전후 방향 중앙 부근에, 또한 기계실(S2)의 칸막이판(28)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52)는 송풍기실(S1) 내에 배치되어 있고, 실외 팬(4)에 의하여 유닛 케이싱(2) 내로 받아들여진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실외 열교환기(52)는, 유닛 케이싱(2)을 평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L자 형상을 가지며, 유닛 케이싱(2)의 좌측면으로부터 배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닛 케이싱(2) 내에는, 실내 유닛 측의 냉매 배관이 접속되는 액측 폐쇄 밸 브(61) 및 가스측 폐쇄 밸브(62)가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측 폐쇄 밸브(61) 및 가스측 폐쇄 밸브(62)는, 기계실(S2)의 전부의 우 전판(24)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액측 폐쇄 밸브(61) 및 가스측 폐쇄 밸브(62)는, 좌 전판(23)의 우단부와 우측판(25)의 전단부의 사이에 걸쳐지도록 설치된 가늘고 긴 판상의 폐쇄 밸브 서포트 부재(30)에 지지되어 있다. 폐쇄 밸브 서포트 부재(30)는, 기계실(S2) 내에 있어서, 압축기(51)의 상단 부근의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5) 전장품 어셈블리의 구성
전장품 어셈블리(7)는, 운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운전 제어 소자가 실장된 제어 기판(91)이나 인버터 제어 소자(92) 등의 각종 전기 부품을 가지고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계실(S2) 내의 상부의 칸막이판(28)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전장품 어셈블리(7)는 주로 몸체(71)와 단자대(86)와 단자대 서포트 부재(87)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전장품 어셈블리(7)의 구성에 대하여, 도 3 ~ 도 6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기계실(S2) 내에 설치된 상태의 전장품 어셈블리(7)를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기계실(S2) 내에 설치된 상태의 전장품 어셈블리(7)를 도 1의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기계실(S2) 내에 설치된 상태의 전장품 어셈블리(7)를 도 1의 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몸체(71)는, 운전 제어 소자가 실장된 제어 기판(91)과 인버터 제어 소자(92)를 포함하는 각종 전기 부품이 장착되는 수지제의 대략 직방체 상자 형상의 부재이며, 주로 제어 기판(91) 및 인버터 제어 소자(92)를 포함하는 각종 전기 부품이 장착되는 기판 취부 플레이트(72)와, 제어 기판(91)을 덮는 기판 보호 플레이트(76)를 가지고 있다.
기판 취부 플레이트(72)는, 전장품 어셈블리(7)가 기계실(S2) 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송풍기실(S1) 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며, 주로 유닛 케이싱(2)의 전면(즉, 좌우 전판(23, 24)의 전면 부분)에 대하여 경사하고 또한 연직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취부 플레이트부(73)와,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외주연으로부터 송풍기실(S1) 반대 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취부 프레임부(74)를 가지고 있다. 화살표 A 또는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본 취부 플레이트부(73)의 대략 중앙에는, 취부 플레이트 개구(7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송풍기실(S1) 반대 측의 면에는, 취부 플레이트 개구(73a)에 대향하는 위치에, 인버터 제어 소자(92)가 장착되어 있다. 인버터 제어 소자(92)는, 예를 들면, 파워트랜지스터나 다이오드 등의 운전 시에 고온 발열하는 전기 부품이다. 또한,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송풍기실(S1) 반대 측에는, 운전 제어 소자가 실장된 제어 기판(91)이 취부 플레이트부(73)의 면에 평행한 상태로, 고정 부재로서의 복수의 나사(93)를 이용하여 장착되어 있다. 즉, 제어 기판(91)의 기판면은, 취부 플레이트부(73)와 마찬가지로, 유닛 케이싱(2)의 전면에 대하여 경사하고 또한 연직으로 연장되어 있게 된다. 또한, 제어 기판(91)은,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송풍기실(S1)의 반대 면과의 사이에 간극(이하, 이 간극을 간극(β)으로 한다)을 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간극(β)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5mm 내지 20mm이다. 나아가, 제어 기판(9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송풍기실(S1) 반대 측의 면과의 사이에 인버터 제어 소자(92)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고, 인버터 제어 소자(92)와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송풍기실(S1) 측의 면에는, 취부 플레이트 개구(73a)를 덮도록 히트 싱크(94)가 장착되어 있다. 히트 싱크(94)는 주로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송풍기실(S1) 측의 면에 장착되는 플랜지부(94a)와, 플랜지부(94a)의 송풍기실(S1) 측의 면으로부터 송풍기실(S1) 내로 향하여 돌출하는, 수평인 복수의 냉각 핀(94b)을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94a)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부분이다. 취부 프레임부(74)는 주로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상연부(上緣部)로부터 송풍기실(S1) 반대 측으로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방(上方) 프레임부(74a)와,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측연부(側緣部)로부터 송풍기실(S1) 반대 측으로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측방(側方) 프레임부(74b, 74c)와, 취부 플레이트부(73)의 하연부(下緣部)로부터 송풍기실(S1) 반대 측으로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하방 프레임부(7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기판(91)은, 취부 프레임부(74)과의 사이에 작은 간극(이하, 이 간극을 간극(γ)으로 한다)를 가지고, 취부 프레임부(7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간극(γ)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3mm 이하이다(예를 들면, 도 4에 있어서의 하방 프레임부(75)와 제어 기판(91)과의 상하 방향 사이의 간극(γ)을 참조). 또한, 하방 프레임부(75)에는, 배수부로서의 복수(여기에서는, 3개)의 슬릿(75a ~ 75c)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75a ~ 75c)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취부 플레이트부(73)와 하방 프레임부(75)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제어 기 판(91)의 하측을 횡단하여, 하방 프레임부(75)의 송풍기실(S1) 반대 측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기판 보호 플레이트(76)는, 전장품 어셈블리(7)가 기계실(S2) 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기판 취부 플레이트(72)의 송풍기실(S1) 반대 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며, 주로 유닛 케이싱(2)의 전면(즉, 좌우 전판(23, 24)의 전면 부분)에 대하여 경사하고 또한 연직으로 연장되는 보호 플레이트부(77)와, 보호 플레이트부(77)의 외주연으로부터 송풍기실(S1) 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보호 프레임부(78)를 가지고 있다. 보호 플레이트부(77)는, 주로 전장품 어셈블리(7)가 기계실(S2) 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유닛 케이싱(2)의 전면 가까이의 전측 보호 플레이트부(77a)와, 전측 보호 플레이트부(77a)보다도 유닛 케이싱(2)의 전면으로부터 먼 측의 후측 보호 플레이트부(77b)를 가지고 있다. 후측 보호 플레이트부(77b)는,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보호 플레이트부(77)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에 형성된 단차를 통하여 전측 보호 플레이트부(77a)에 대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로 일체로 되어 있다. 전측 보호 플레이트부(77a) 및 후측 보호 플레이트부(77b)는, 취부 플레이트부(73)의 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보호 프레임부(78)는, 취부 프레임부(74)와 화살표 A 또는 화살표 B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서로의 화살표 A 또는 화살표 B 방향의 단부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 보호 플레이트(76)는, 보호 프레임부(78) 또는 취부 프레임부(74)(구체적으로는, 상방 프레임부(74a), 측방 프레임부(74b, 74c) 및 하방 프레임부(75))에 형성된 계합 멈춤쇠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기판 취부 플레이트(72)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전측 보호 플레이트부(77a)의 외면(즉, 기판 보호 플레이트(76)를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면)에는, 제어 기판(91)과는 별도로, 운전 제어 소자 중에서 시인성 및 서비스성을 필요로 하는 고액세스 빈도 제어 소자(예를 들면,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소자(98a)나 스위치나 커넥터(connector)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소자(98b))가 실장된 제1 보조 기판(98)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보조 기판(98)은, 전측 보호 플레이트부(77a)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여기에서는, 4개)의 계지 멈춤쇠(77c)를 포함하는 제1 보조 기판 장착부(79)에 있어서 고정되어 있다. 나아가, 전장품 어셈블리(7)가 기계실(S2) 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전측 보호 플레이트부(77a)의 제1 보조 기판 장착부(79)의 하측, 후측 보호 플레이트부(77b)의 상부 및 후측 보호 플레이트부(77b)의 하부에는, 각각, 부가 기능(예를 들면, 통신 기능이나 디맨드 제어 기능 등)을 추가할 때에 필요한 부가 기능용 제어 소자가 실장된 제2 보조 기판(99a, 99b 및 99c)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보조 기판(99a)은, 전측 보호 플레이트부(77a)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여기에서는, 4개)의 계지 멈춤쇠(77d)를 포함하는 제2 보조 기판 장착부(80a)에 있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 보조 기판(99b)은, 후측 보호 플레이트부(77b)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여기에서는, 3개)의 나사 구멍(77e)을 포함하는 제2 보조 기판 장착부(80b)에 있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 보조 기판(99c)은, 후측 보호 플레이트부(77b)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여기에서는, 3개)의 계지 멈춤쇠(77f)를 포함하는 제2 보조 기판 장착부(80c)에 있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몸체(71)(즉, 기판 보호 플레이트(76))를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도, 유닛 케이싱(2)의 측면(즉, 우 전판(24)의 측면 부분 및 우측판(25)의 측면 부분)에 의하여 가려져 버리는 일 없이, 고액세스 빈도 제어 소자(98a, 98b)의 모두(즉, 제1 보조 기판(98) 전체)를 시인할 수 있도록, 유닛 케이싱(2)의 전면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몸체(71)는, 몸체(71)(즉, 기판 보호 플레이트(76))를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유닛 케이싱(2)의 측면의 전단이 기판 보호 플레이트(76)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와 거의 겹치도록, 유닛 케이싱(2)의 전면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또한, 전장품 어셈블리(7)가 기계실(S2) 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몸체(71)의 상면(上面)에는 리액터(96)가 금속제의 리액터 취부 플레이트(85)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몸체(71)의 하면에는 노이즈 필터(97)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과 같은 각종 전기 부품이나 히트 싱크(94)가 장착된 몸체(71)에는,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송풍기실(S1) 측의 면을 덮도록 몸체 지지 플레이트(81)가 고정되어 있다. 몸체 지지 플레이트(81)는 금속제의 부재이며, 주로 전장품 어셈블리(7)가 기계실(S2) 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송풍기실(S1) 측의 면에 접하는 지지 플레이트부(82)와, 지지 플레이트부(82)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칸막이판(28)의 굴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전측 연장부(83) 및 후측 연장부(84)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부(82)는, 취부 플레이트부(73)의 하부를 제외한, 거의 모든 면을 덮고 있고, 취부 플레이트부(73)에 장착된 히트 싱크(94)의 플랜지부(94a)의 외주 측을 둘러싸도록 지지 플레이트 개구(82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몸체(71)에 장착된 히트 싱크(94)의 복 수의 냉각 핀(94b)은, 몸체(71)가 몸체 지지 플레이트(81)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 개구(82a)를 관통하여 지지 플레이트부(82)의 송풍기실(S1)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부(82)에는, 그 하단이 송풍기실(S1) 측을 향하여 연장된 후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설부(舌部, 82b)가 절곡(折曲) 등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 지지 플레이트(81)는, 몸체(71)가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전측 연장부(83), 후측 연장부(84) 또는 지지 플레이트부(82)에 형성된 계합 멈춤쇠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칸막이판(28)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칸막이판(28)에는, 송풍기실(S1)과 기계실(S2)을 연통하도록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칸막이판 개구(28a)가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판 개구(28a)는, 지지 플레이트 개구(82a)에 대향하고 또한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지지 플레이트 개구(82a) 및 지지 플레이트부(82)의 하단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히트 싱크(94)의 복수의 냉각 핀(94b) 및 몸체 지지 플레이트(81)의 설부(82b)는, 몸체 지지 플레이트(81)를 통하여 몸체(71)가 칸막이판(28)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송풍기실(S1) 내로 돌출하고 있고, 인버터 제어 소자(92)의 운전 시의 냉각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몸체(71)는, 기계실(S2) 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어 기판(91)의 기판면이 칸막이판(28)을 따르도록 또한 유닛 케이싱(2)의 전면에 대하여 경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몸체(71)의 각부(角部)는, 기계실(S2) 내에 설치된 상태의 전장품 어셈블리(7)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몸체 지지 플레이트(81)를 통하여, 칸막이판(28)의 굴곡면을 따르도록 접하고 있다.
그리고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송풍기실(S1) 반대 측의 면(즉, 제어 기판(91)의 기판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제어 기판(91)과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배수부로서의 복수의 슬릿(75a ~ 75c)으로 이끄는 도수로(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돌출부로서의 복수의 도수 리브(73c ~ 73k, 73m)에 의하여 구성되는 도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제어 기판(91)과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사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 기판(91)과 몸체(71)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체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 도수로에 대하여, 도 3 및 도 5 ~ 8을 이용하여, 주변의 구조도 포함시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몸체(71)의 기판 취부 플레이트(72)(기판 보호 플레이트(76), 제어 기판(91), 인버터 제어 소자(92) 및 히트 싱크(94)를 떼어낸 상태)를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E-E 단면도(제어 기판(91)을 이점쇄선에 의하여 도시)이다. 도 8은 도 6의 F-F 단면도(제어 기판(91)을 이점쇄선에 의하여 도시)이다.
우선, 제어 기판(91)의 취부 플레이트부(73)에의 장착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송풍기실(S1) 반대 측의 면에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 기판(91)을 취부 플레이트부(73)에 장착하기 위한 복수(여기에서는, 10개)의 고정좌부(73n)가 제어 기판 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좌부(73n)의 제어 기판 측의 단부에는, 제어 기판(91)의 기판면에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하는 평탄한 면이 형성되어 있고, 제어 기판(91)이 취부 플레이트부(73)에 장착되면, 취부 플레이트부(73)의 면에 평행한 상태로, 또 한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송풍기실(S1)의 반대 면과의 사이에 간극(β)을 둔 상태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고정좌부(73n)에는, 그 제어 기판 측의 단부로부터 취부 플레이트부(73) 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어 기판(91)이 나사(93)를 이용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어 기판(91)은, 나사(93)를 이용하여 취부 플레이트부(73)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하방 프레임부(75)와의 사이에 간극(γ)을 가지고, 취부 프레임부(74)의 내측(하방 프레임부(75)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히트 싱크(94)의 플랜지부(94a)의 취부 플레이트부(73)에의 장착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플랜지부(94a)는, 나사(95)를 이용하여 취부 플레이트부(73)에 장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취부 플레이트부(73)에는 나사(95)가 삽입되는 나사 구멍(73b)이 취부 플레이트 개구(73a)의 외주 측에 복수(여기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94a)에는 나사 구멍(73b)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구멍(94c)이 형성되어 있고, 양 나사 구멍(73b, 94c)에 나사(95)를 삽입하는 것으로, 플랜지부(94a)가 취부 플레이트부(73)에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배수부로서의 슬릿(75a ~ 75c)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슬릿(75a)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방 프레임부(75)를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하방 프레임부(75)의 측방 프레임부(74b) 가까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취부 플레이트 개구(73a) 및 나사 구멍(73b)이 형성된 부분(즉, 히트 싱크(94)가 장착되는 부분)과의 관계로 말하면, 히트 싱크(94)가 장착되는 부분 중 측방 프레임부(74b) 가까이의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슬릿(75b)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방 프레임부(75)를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하방 프레임부(75)의 세로 방향 대략 중앙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취부 플레이트 개구(73a) 및 나사 구멍(73b)이 형성된 부분(즉, 히트 싱크(94)가 장착되는 부분)과의 관계로 말하면, 히트 싱크(94)가 장착되는 부분의 가로 방향 대략 중앙의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슬릿(75c)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방 프레임부(75)를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하방 프레임부(75)의 측방 프레임부(74c) 가까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취부 플레이트 개구(73a) 및 나사 구멍(73b)이 형성된 부분(즉, 히트 싱크(94)가 장착되는 부분)과의 관계로 말하면, 히트 싱크(94)가 장착되는 부분 중 측방 프레임부(74c) 가까이의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하방 프레임부(75) 및 취부 플레이트부(73)의 하단부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칸막이판(28)의 칸막이판 개구(28a)보다도 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 프레임부(75)에 형성된 슬릿(75a ~ 75c)이나 칸막이판 개구(28a)보다도 하측에 배치되게 된다.
다음으로,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송풍기실(S1) 반대 측의 면에 형성된 도수 리브(73c ~ 73k, 73m)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수 리브(73c)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취부 플레이트부(73)를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슬릿(75a)의 상측에서 또한 슬릿(75a)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b) 측의 위치로부터, 슬릿(75a)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b) 측의 가장자리부로 향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수 리브(73c)의 하단은, 슬릿(75a) 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b) 측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고, 하방 프레임부(75)의 상면과 일체로 되어 있다. 도수 리브(73d)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취부 플레이트부(73)를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슬릿(75a)의 상측에서 또한 슬릿(75a)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c) 측의 위치로부터, 슬릿(75a)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c) 측의 가장자리부로 향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수 리브(73d)의 하단은, 슬릿(75a)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c) 측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고, 하방 프레임부(75)의 상면과 일체로 되어 있다. 도수 리브(73e)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취부 플레이트부(73)를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슬릿(75b)의 상측에서 또한 슬릿(75b)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b) 측의 위치로부터, 슬릿(75b)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b) 측의 가장자리로 향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수 리브(73e)의 하단은, 슬릿(75b)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b) 측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고, 하방 프레임부(75)의 상면과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도수 리브(73e)의 상단부는, 도수 리브(73d)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도수 리브(73f)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취부 플레이트부(73)를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취부 플레이트 개구(73a)의 하연부로부터, 그 하방에 배치된 고정좌부(73n)로 향하여, 연직 하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수 리브(73e)는, 이 고정좌부(73n)에 당접할 때까지는 연장되어 있지 않고, 고정좌부(73n)의 바로 위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수 리브(73g)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취부 플레이트부(73)를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도수 리 브(73f)의 하단부로부터, 그 바로 아래의 고정좌부(73n)의 측방 프레임부(74b) 측의 가장자리부보다도 측방 프레임부(74b) 측의 위치까지, 비스듬히 하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수 리브(73g)의 하단부는, 슬릿(75a) 또는 도수 리브(73d)의 상방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수 리브(73f)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취부 플레이트부(73)를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도수 리브(73f)의 하단부로부터, 그 바로 아래의 고정좌부(73n)의 측방 프레임부(74c) 측의 가장자리부보다도 측방 프레임부(74c) 측의 위치까지, 비스듬히 하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수 리브(73h)의 하단부는, 슬릿(75b) 또는 도수 리브(73e)의 상방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수 리브(73j)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취부 플레이트부(73)를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취부 플레이트 개구(73a)의 하연부이며 도수 리브(73f)보다도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c) 측의 위치로부터, 후술의 도수 리브(73i)와 도수 리브(73k)로 분기하는 위치까지, 연직 하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도수 리브(73i)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취부 플레이트부(73)를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도수 리브(73j)의 하단부로부터, 슬릿(75b)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c) 측의 가장자리부로 향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곧게 연장된 후에 연직 하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수 리브(73i)의 하단은, 슬릿(75b)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c) 측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고, 하방 프레임부(75)의 상면과 일체로 되어 있다. 도수 리브(73k)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취부 플레이트부(73)를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도수 리브(73j)의 하단부로부터, 슬릿(75c)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b) 측의 가장자리부로 향하여, 연직 하방으로 곧게 연장된 후에 비스듬히 하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수 리브(73k)의 하단은, 슬릿(75c)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b) 측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고, 하방 프레임부(75)의 상면과 일체로 되어 있다. 도수 리브(73m)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취부 플레이트부(73)를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있어서, 슬릿(75c)의 상측에서 또한 슬릿(75c)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c) 측의 위치로부터, 슬릿(75c)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c) 측의 가장자리로 향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곧게 연장된 후에 연직 하방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수 리브(73m)의 하단은, 슬릿(75c)의 가로 방향 측방 프레임부(74c) 측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고, 하방 프레임부(75)의 상면과 일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도수 리브(73c ~ 73k, 73m)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히트 싱크(94)의 취부 플레이트부(73)에의 장착 부분(즉, 취부 플레이트 개구(73a) 및 나사 구멍(73b))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도수 리브(73c ~ 73k, 73m)의 제어 기판 측으로의 돌출 거리는,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송풍기실(S1)의 반대 면과 제어 기판(91)과의 간극(β)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수 리브(73c ~ 73k, 73m)는, 제어 기판(91)과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사이에 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 물을 슬릿(75a ~ 75c)으로 이끄는 도수로를 구성하고 있다(도 6 및 도 7의 도수 리브 및 그 근방에 첨부한 화살표를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수 리브(73c, 73d)는, 상방으로부터 유하(流下)하는 물을 받아, 슬릿(75a)으로 이끄는 도수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수 리브(73e, 73i)는, 상방 으로부터 유하하는 물을 받아, 슬릿(75b)으로 이끄는 도수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수 리브(73k, 73m)는, 상방으로부터 유하하는 물을 받아, 슬릿(75c)으로 이끄는 도수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수 리브(73f ~ 73h)는, 상방으로부터 유하하는 물을 받아, 도수 리브(73f)의 바로 아래에 형성된 고정좌부(73n)를 피하면서, 도수 리브(73g, 73h)보다도 하측의 슬릿(75a, 75b)으로 이끄는 도수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에서는, 몸체(71)를 구성하는 기판 취부 플레이트(72)의 하부(여기에서는,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하방 프레임부(75))에, 제어 기판(91)과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로서의 복수의 슬릿(75a ~ 75c)이 형성되고, 또한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송풍기실(S1) 반대 측의 면(즉, 제어 기판(91)의 기판면에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슬릿(75a ~ 75c)으로 물을 이끌기 위한 도수로를 구성하는 돌출부로서의 복수의 도수 리브(73c ~ 73k, 73m)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릿(75a ~ 75c) 및 도수 리브(73c ~ 73k, 73m)는, 기판 취부 플레이트(72)를 수지 사출 성형할 때에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다.
단자대(86)는 주로 전원 접속용의 복수의 단자부를 가지는 단자대 본체(86a)와, 단자대 본체(86a)의 배면이 고정되는 단자대 고정 플레이트(86b)를 가지고 있다. 전장품 어셈블리(7)가 기계실(S2) 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단자대(86)는, 단자대 본체(86a)의 단자부가 유닛 케이싱(2)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단자대 고정 플레이트(86b)의 칸막이판(28) 측의 일단이 칸막이판(28)에 고정되어 있다. 덧붙여, 단자대 고정 플레이트(86b)의 일단이 좌 전판(23)의 전부에 고정되 어도 무방하다.
단자대 서포트 부재(87)는, 전장품 어셈블리(7)가 기계실(S2) 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단자대(86)를 지지하는 제1 단자대 지지부(87a)와, 전장품 어셈블리(7)가 기계실(S2) 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몸체(7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인 계합 축(71a) 둘레(축 중심을 O로 한다)에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 함) 가능하게 지지되는 몸체 피지지부(87b)를 가지는 봉상(棒狀)의 부재이다. 단자대 서포트 부재(87)는, 몸체 피지지부(87b)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 단자대 지지부(87a)를 제어 기판(91)의 기판면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반(離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자대 고정 플레이트(86b)의 타단은, 단자대 서포트 부재(87)를 각도 α만큼 경사시킨 제1 상태로 하여 제1 단자대 지지부(87a)에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에서는, 몸체(71)와는 별도로 단자대(86)를 유닛 케이싱(2)의 전면을 향하도록 칸막이판(28)에 고정하는 것과 함께, 몸체(71)에 설치된 단자대 서포트 부재(87)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6)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실외 유닛의 특징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 및 그것을 구비한 실외 유닛(1)에는 이하와 같은 특징이 있다.
(A)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 및 그것을 구비한 실외 유닛(1)에서는, 몸체(71)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어 기판(91)을 보지하고 있고, 이 몸체(71)의 하부에 제어 기판(91)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로서의 슬릿(75a ~ 75c)이 형성되고, 또한 이 몸체(71)의 제어 기판(91)의 기판면에 대향하는 면(본 실시예에서는, 송풍기실(S1) 반대 측의 면)에 물을 슬릿(75a ~ 75c)으로 이끄는 도수로를 구성하는 도수 리브(73c ~ 73k, 73m)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91)과 몸체(71)(보다 구체적으로는,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체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전장품 어셈블리(7)에서는, 제어 기판(91)과 몸체(71)의 사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여도, 제어 기판(91)의 패턴에 물이 접촉하여 제어 기판(91)이 쇼트하는 등의 문제를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실외 유닛(1)의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에서는, 배수부가 슬릿(75a ~ 75c)이기 때문에, 몸체(71)의 하부의 강도 저하를 극력 막을 수 있다.
(B)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에서는, 도수로를 구성하는 도수 리브(73c ~ 73k, 73m)는, 배수부로서의 슬릿(75a ~ 75c)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91)과 몸체(71)(보다 구체적으로는,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사이에 침입한 물을, 중력에 의하여 복수의 슬릿(75a ~ 75c)까지 이끌 수 있다.
(C)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에서는, 몸체(71)가, 제어 기판(91)의 기판면에 대향하는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취부 플레이트부(73)와, 제어 기판(91) 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제어 기판 측의 면(본 실시예에서는, 송풍기실(S1) 반대 측의 면)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하방 프레임부(75)를 가지고 있고, 제어 기판(91)과 몸체(71)(보다 구체적으로는,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사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에 있어서, 취부 플레이트부(73)와 하방 프레임부(75)의 접속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기 쉽게 되어 있지만, 제어 기판(91)의 기판면에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취부 플레이트부(73)에 도수로를 구성하는 도수 리브(73c ~ 73k, 73m)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91)과 몸체(71)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배수부로서의 복수의 슬릿(75a ~ 75c)으로 이끌어 신속하게 배출하여, 취부 플레이트부(73)와 하방 프레임부(75)의 접속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D)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에서는,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하방 프레임부(75)와 제어 기판(91)과의 상하 방향의 간극(γ)이 3mm 이하이고, 제어 기판(91)과 몸체(71)(보다 구체적으로는,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사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에 있어서,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와 제어 기판이 매우 접근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 프레임부(75)와 제어 기판(91)의 사이의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기 쉽게 되어 있지만, 도수로로서의 도수 리브(73c ~ 73k, 73m) 및 배수부로서의 슬릿(75a ~ 75c)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91)과 몸체(71)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도수 리브(73c ~ 73k, 73m)에 의하여 슬릿(75a ~ 75c)으로 이끌어 신속하게 배출하여, 하방 프레임부(75)와 제어 기판(91)의 사이의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E)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에서는, 제어 기판(91)과 몸체(71)(보다 구체적으로는,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사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에 있어서 물이 체류하기 쉬운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취부 플레이트부(73)와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하방 프레임부(75)의 접속 부분 및 그 근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수부로서의 슬릿(75a ~ 75c)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취부 플레이트부(73)와 하방 프레임부(75)의 접속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는 것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
(F)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에서는, 제어 기판(91)과 몸체(71)(보다 구체적으로는,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사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에 있어서 제어 기판(91)과 몸체(71)의 사이의 부분 중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하방 프레임부(75)에, 배수부로서의 슬릿(75a ~ 75c)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취부 플레이트부(73)와 하방 프레임부(75)의 접속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는 것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하방 프레임부(75)와 제어 기판(91)이 매우 접근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방 프레임부(75)와 제어 기판(91)의 사이의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는 것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에서는, 배수부로서의 슬릿(75a ~ 75c)이 제어 기판(91)의 하측을 횡단하여, 하방 프레임부(75)의 송풍기실(S1) 반대 측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가장 간극이 좁은 하방 프레임부(75)와 제어 기판(91)의 사이의 부분으로부터도 물을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하방 프레임부(75)와 제어 기판(91)의 사이의 부분 및 그 근방에 물이 체류하는 것을 확실히 막을 수 있다.
(G)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에서는,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취부 플레이트부(73)에, 그 제어 기판 측의 면(본 실시예에서는, 송풍기실(S1) 반대 측의 면)으로부터 제어 기판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배수부로서의 슬릿(75a ~ 75c)으로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로서의 도수 리브(73c ~ 73k, 73m)가 형성되어 있고, 도수로가 도수 리브(73c ~ 73k, 73m)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91)과 몸체(71)(보다 구체적으로는,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신속하게 슬릿(75a ~ 75c)으로 이끄는 기능을 얻을 수 있는 것과 함께, 몸체(71)의 취부 플레이트부(73)의 강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에서는, 도수 리브(73c ~ 73e, 73i, 73k, 73m) 하단이 슬릿(75a ~ 75c)에 연결되어 있고, 하방 프레임부(75)의 상면과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75a ~ 75c)이 형성된 하방 프레임부(75)의 강도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다.
(H)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에서는,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제어 기판 측의 면에 인버터 제어 소자(92)가 장착되는 것과 함 께,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제어 기판(91)과는 반대 측의 면(본 실시예에서는, 송풍기실(S1) 측의 면)에 인버터 제어 소자(92)의 운전 시의 냉각을 위하여 히트 싱크(94)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취부 플레이트부(73)의 히트 싱크(94)가 장착된 부분(즉, 취부 플레이트 개구(73a) 및 나사 구멍(73b))으로부터 물이 침입할 우려가 있지만, 취부 플레이트부(73)에는 히트 싱크(94)가 장착된 부분의 하측에 도수로로서의 도수 리브(73c ~ 73k, 73m)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91)과 몸체(71)(보다 구체적으로는,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사이에 히트 싱크(94)가 장착된 부분으로부터 물이 침입한 경우여도, 제어 기판(91)과 몸체(71)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배수부로서의 슬릿(75a ~ 75c)으로 이끌어 신속하게 배출하여 체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의 전장품 어셈블리(7)에서는, 히트 싱크(94)가 칸막이판(28)의 개구인 칸막이판 개구(28a)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몸체(71)의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취부 플레이트부(73)에도 물이 부착하기 쉽게 되어 있지만, 배수부로서의 슬릿(75a ~ 75c)이 칸막이판 개구(28a)보다도 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취부 플레이트부(73)에 부착한 물이 슬릿(75a ~ 75c)을 통하여 제어 기판(91)과 몸체(71)의 사이에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7)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A)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돌출부로서의 도수 리브(73c ~ 73k, 73m)를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제어 기판(91)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도수로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취부 플레이트부(73)의 제어 기판(91)에 대향하는 면에 홈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돌출부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몸체(71)의 강도 향상의 효과를 얻는 것은 어렵지만, 배수부로서의 슬릿(75a ~ 75c)으로 물을 이끄는 기능을 얻을 수 있다.
(B)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배수부로서의 슬릿(75a ~ 75c)이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하방 프레임부(75)에만 형성되어 있지만,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로서의 취부 플레이트부(73)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예의 슬릿(75a ~ 75c)을, 취부 플레이트부(73)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덧붙여, 이 경우에 있어서도, 슬릿(75a ~ 75c)의 상단은, 칸막이판 개구(28a)의 하단까지 달하지 않을 정도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실외 유닛의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전장품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어 기판과 몸체의 사이에 물이 침입한 경우여도, 제어 기판의 패턴에 물이 접촉하여 제어 기판이 쇼트하는 등의 문제를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Claims (11)

  1. 케이싱(2)의 내부가 연직으로 연장되는 칸막이판(28)에 의하여 송풍기실(S1)과 기계실(S2)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는 전장품 어셈블리이고,
    상기 케이싱 내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종 전기 부품이 실장(實裝)된 제어 기판(91)과,
    상기 제어 기판을 보지(保持)하는 부재이며, 하부에 상기 제어 기판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75a ~ 75c)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어 기판의 기판면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물을 상기 배수부로 이끄는 도수로(導水路)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71)
    를 구비하고,
    상기 도수로는 상기 배수부(75a ~ 75c)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71)는, 상기 제어 기판(91)의 기판면에 대향하는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73)와, 상기 제어 기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의 상기 제어 기판 측의 면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75)를 가지고 있는,
    전장품 어셈블리(7).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75)와 상기 제어 기판(91)과의 상하 방향의 간극(γ)은 3mm 이하인, 전장품 어셈블리(7).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75a ~ 75c)는, 상기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73)와 상기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75)의 접속 부분 및 그 근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전장품 어셈블리(7)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75a ~ 75c)는 상기 가로 방향 플레이트부(75)에 형성되어 있는, 전장품 어셈블리(7).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73)에는, 상기 제어 기판 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제어 기판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기 배수부(75a ~ 75c)로 향하여 하방(下方)으로 연장되는 돌출부(73c ~ 73k, 73m)가 형성되고 있고,
    상기 도수로는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전장품 어셈블리(7).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 플레이트부(73)에는, 상기 제어 기판 측의 면에 인버터 제어 소자(92)가 장착되는 것과 함께, 상기 제어 기판과는 반대 측의 면에 상기 인버터 제어 소자의 운전 시의 냉각을 위하여 히트 싱크(94)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도수로는, 상기 히트 싱크가 장착된 부분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전장품 어셈블리(7).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94)는, 상기 송풍기실(S1)과 상기 기계실(S2)을 연통(連通)하는 상기 칸막이판(28)의 개구(開口, 28a)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수부(75a ~ 75c)는 상기 개구보다도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전장품 어셈블리(7).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75a ~ 75c)로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전장품 어셈블리(7).
  11. 케이싱(2)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송풍기실(S1)과 기계실(S2)로 분할하도록 연직으로 연장되는 칸막이판(28)과,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는 제1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전장품 어셈블리(7)
    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1).
KR20087019771A 2006-02-01 2008-08-12 전장품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KR100961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4402A JP3992065B2 (ja) 2006-02-01 2006-02-01 電装品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JP-P-2006-00024402 2006-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910A KR20080085910A (ko) 2008-09-24
KR100961409B1 true KR100961409B1 (ko) 2010-06-09

Family

ID=3832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19771A KR100961409B1 (ko) 2006-02-01 2008-08-12 전장품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26104A1 (ko)
EP (1) EP1985935A4 (ko)
JP (1) JP3992065B2 (ko)
KR (1) KR100961409B1 (ko)
CN (1) CN101375109A (ko)
AU (1) AU2007210646B2 (ko)
WO (1) WO20070888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1662A (ja) * 2008-05-22 2009-12-03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EP2525158A3 (en) * 2011-05-17 2018-08-15 Sanyo Electric Co., Ltd.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5962628B2 (ja) * 2013-10-09 2016-08-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2170317B1 (ko) * 2014-01-14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10845066B2 (en) * 2014-03-27 2020-11-24 Daikin Industries, Ltd. Heat source unit of refrigerating apparatus
WO2015166919A1 (ja) * 2014-05-02 2015-11-05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JP6333108B2 (ja) * 2014-08-04 2018-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熱源側ユニット
WO2016080352A1 (ja) 2014-11-18 2016-05-2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室外機
JPWO2016080353A1 (ja) * 2014-11-19 2017-07-0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室外機
GB2549868B (en) * 2015-02-13 2020-07-22 Mitsubishi Electric Corp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JP6475040B2 (ja) * 2015-02-25 2019-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EP3367008B1 (en) * 2016-07-25 2019-12-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6369518B2 (ja) * 2016-09-30 2018-08-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KR102570579B1 (ko) * 2018-07-13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동기
US11255572B2 (en) 2019-12-20 2022-02-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Drain pan with overflow features
US11708996B2 (en) 2021-07-30 2023-07-2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ir conditioning appliance having a weather-resistant electronics casi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3542A (ja) * 1986-03-25 1987-10-01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ツト
JP2516010B2 (ja) * 1987-03-27 1996-07-10 マスプロ電工株式会社 電子機器
JPH0338851Y2 (ko) * 1988-12-28 1991-08-15
JPH0350388U (ko) * 1989-09-22 1991-05-16
JPH07248133A (ja) * 1994-03-11 1995-09-2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TW384978U (en) * 1995-02-17 2000-03-11 Sanyo Electric Co An outdoor unit for use in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TW299019U (en) * 1995-03-07 1997-02-21 Tokyo Shibaura Electric Co Indoor units of airconditioner
JP3079990B2 (ja) * 1996-02-29 2000-08-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用室外機
JP3618507B2 (ja) * 1997-03-03 2005-0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分離型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3549357B2 (ja) * 1997-03-10 2004-08-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分離型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100438105B1 (ko) * 2000-01-14 2004-07-02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공기조화기의 실외 유닛
KR100988572B1 (ko) * 2003-08-14 2010-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0425918C (zh) * 2003-09-25 2008-10-15 东芝开利株式会社 空调机的室外机单元
JP2006082725A (ja) * 2004-09-16 2006-03-30 Denso Corp 空調装置
JP2006162094A (ja) * 2004-12-02 2006-06-2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92065B2 (ja) 2007-10-17
EP1985935A1 (en) 2008-10-29
AU2007210646B2 (en) 2009-12-03
EP1985935A4 (en) 2018-03-14
CN101375109A (zh) 2009-02-25
KR20080085910A (ko) 2008-09-24
JP2007205627A (ja) 2007-08-16
US20100226104A1 (en) 2010-09-09
WO2007088852A1 (ja) 2007-08-09
AU2007210646A1 (en)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409B1 (ko) 전장품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JP3985834B2 (ja) 電装品アセンブリ、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JP3985835B2 (ja) 電装品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CN110486848B (zh) 空气调节机的室外机
WO2019198151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6120209B2 (ja) 室外ユニット
JP4835115B2 (ja) 電装品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EP3650768A1 (en) Electric control component for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EP1956308A1 (en) Electric component assembly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it
JP587735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0412150B1 (ko) 공기조화기
JP2004116975A (ja) 電装品箱
JP510133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06194584A (ja) 電装品箱
JP7319883B2 (ja) 室外機
CN114391081B (zh) 冷冻装置的室外机
JP6882716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2349890A (ja) 空気調和機
JP2008298346A (ja) 電装品ユニット
KR20060125275A (ko)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