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272B1 -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구조 및 그 실장방법 - Google Patents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구조 및 그 실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272B1
KR100961272B1 KR1020090126189A KR20090126189A KR100961272B1 KR 100961272 B1 KR100961272 B1 KR 100961272B1 KR 1020090126189 A KR1020090126189 A KR 1020090126189A KR 20090126189 A KR20090126189 A KR 20090126189A KR 100961272 B1 KR100961272 B1 KR 100961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lay
component
circuit board
signal line
flexibl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렉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렉스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렉스컴
Priority to KR1020090126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272B1/ko
Priority to JP2010240909A priority patent/JP2011129886A/ja
Priority to CN2010105555319A priority patent/CN102105019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3Surface mounted components, e.g. affixing before soldering, aligning means, spa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상에 실장된 부품의 연성회로기판 반대면 부품영역에 전도성 테이프 및 전도성 금속을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통하도록 적층하여 부품영역의 연성회로기판이 견고하게 보강되도록 하기 위한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구조 및 그 실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 커버레이 및 하부 커버레이 사이에 신호선이 패터닝(patterning)된 연성회로기판상의 부품영역에 부품이 실장된 구조로서, 상기 부품이 상기 신호선의 상측 표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영역의 상기 상부 커버레이가 오픈(open)되며, 상기 상부 커버레이가 오픈된 영역의 상기 신호선의 상측 표면에 상부 금도금층 및 땜납이 차례로 적층되고 상기 부품이 상기 땜납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부품영역 중 그라운드 영역의 상기 하부 커버레이가 오픈되고 상기 하부 커버레이가 오픈된 영역의 상기 신호선의 하측 표면에 하부 금도금층이 형성되며, 상기 부품영역의 상기 하부 커버레이 및 상기 하부 금도금층의 하측 표면에 전도성 테이프 및 전도성 금속이 차례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상에 실장된 부품의 연성회로기판 반대면 부품영역에 전도성 테이프 및 전도성 금속을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통하도록 적층하여 부품영역의 연성회로기판이 견고하게 보강되도록 하기 때문에, 부품실장면의 견고함을 유지하면서 연성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부피를 증가시켜 그라운드 부분의 저항값이 더욱 작아져 연성회로기판을 통하는 신호의 세기가 약화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연성회로기판, 부품, 실장, 커버레이, 동박, 절연체, 폴리이미드, 동도금, 금도금, 테이프, 금속

Description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구조 및 그 실장방법{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of parts 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FPCB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의 부품 실장구조 및 그 실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성회로기판상에 실장된 부품의 연성회로기판 반대면 부품영역에 전도성 테이프 및 전도성 금속을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통하도록 적층하여 부품영역의 연성회로기판이 견고하게 보강되도록 하기 위한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구조 및 그 실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성회로기판은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동박(구리막)을 입힌 회로기판의 원판으로, 연성회로기판의 특정 영역에는 소정의 부품이 실장된다. 이때 부품이 실장되는 연성회로기판 영역의 견고함을 보강해주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라 부품이 실장되는 연성회로기판 영역의 견고함을 보강해주는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품이 실장되는 연성회로기판 영역의 견고함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강재로 CEM3 및 FR-4 등 유리섬유가 직조된 베이스(base)에 레진(resin)을 함침시켜 경화시킨 자재를 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보강재를 연성회로기판상에 실장된 부품의 연성회로기판 반대면 부품영역에 열경화성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연성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부피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그라운드 부분의 저항값이 비교적 커져 연성회로기판을 통하는 신호의 세기를 약화시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부피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그라운드에 전자기파가 침투하여 연성회로기판을 통하는 신호에 노이즈를 유발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같은 전자기파의 침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성회로기판의 양 면에 별도의 실드필름(shield film)을 부착하는 공정을 더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성회로기판상에 실장된 부품의 연성회로기판 반대면 부품영역에 전도성 테이프 및 전도성 금속을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통하도록 적층하여 부품영역의 연성회로기판이 견고하게 보강되도록 하기 위한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구조 및 그 실장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상부 커버레이 및 하부 커버레이 사이에 신호선이 패터닝(patterning)된 연성회로기판상의 부품영역에 부품이 실장된 구조로서, 상기 부품이 상기 신호선의 상측 표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영역의 상기 상부 커버레이가 오픈(open)되며, 상기 상부 커버레이가 오픈된 영역의 상기 신호선의 상측 표면에 상부 금도금층 및 땜납이 차례로 적층되고 상기 부품이 상기 땜납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부품영역 중 그라운드 영역의 상기 하부 커버레이가 오픈되고 상기 하부 커버레이가 오픈된 영역의 상기 신호선의 하측 표면에 하부 금도금층이 형성되며, 상기 부품영역의 상기 하부 커버레이 및 상기 하부 금도금층의 하측 표면에 전도성 테이프 및 전도성 금속이 차례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선은 하부동박, 절연체, 및 상부동박이 차례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하부동박, 절연체, 및 상부동박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 표면에 동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도성 금속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부 커버레이 및 하부 커버레이 사이에 신호선이 패터닝된 연성회로기판상의 부품영역에 부품을 실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이 상기 신호선의 상측 표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영역의 상기 상부 커버레이 및 상기 부품영역 중 그라운드 영역의 상기 하부 커버레이를 오픈하는 제1 공정; 상기 상부 커버레이가 오픈된 영역의 상기 신호선의 상측 표면에 상부 금도금층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커버레이가 오픈된 영역의 상기 신호선의 하측 표면에 하부 금도금층을 형성하는 제2 공정; 상기 부품영역의 상기 하부 커버레이 및 상기 하부 금도금층의 하측 표면에 전도성 테이프 및 전도성 금속을 차례로 적층하는 제3 공정; 및 상기 부품을 상기 상부 금도금층에 땜납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상의 부품영역에 실장하는 제4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선은 하부동박, 절연체, 및 상부동박이 차례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하부동박, 절연체, 및 상부동박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 표면에 동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도성 금속은 스테인리스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상에 실장된 부품의 연성회로기판 반대면 부품영역에 전도성 테이프 및 전도성 금속을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통하도록 적층하여 부품영역의 연성회로기판이 견고하게 보강되도록 하기 때문에, 부품실장면의 견고함 을 유지하면서 연성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부피를 증가시켜 그라운드 부분의 저항값이 더욱 작아져 연성회로기판을 통하는 신호의 세기가 약화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부피가 크기 때문에, 그라운드에 전자기파가 침투하지 못하여 연성회로기판을 통하는 신호에 노이즈가 유발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방법의 일 실시 예를 공정별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와 같은 상부 커버레이(110) 및 하부 커버레이(100) 사이에 신호선이 패터닝된 연성회로기판을 마련한다. 이때 신호선은 하부동박(102), 절연체(폴리이미드)(104), 및 상부동박(106)이 차례로 적층되되, 적층된 하부동박(102), 절연체(104), 및 상부동박(106)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 표면에 동도금층(108)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1b와 같이 부품이 신호선의 상측 표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영역의 상부 커버레이(110) 및 부품영역 중 그라운드 영역의 하부 커버레이(100)를 오픈한다.
도 1c와 같이 상부 커버레이(110)가 오픈된 영역의 신호선의 상측 표면에 상부 금도금층(122)을 형성하고 하부 커버레이(100)가 오픈된 영역의 신호선의 하측 표면에 하부 금도금층(120)을 형성한다.
도 1d와 같이 부품영역의 하부 커버레이(100) 및 하부 금도금층(120)의 하측 표면에 전도성 테이프(130) 및 전도성 금속(132)을 차례로 적층한다. 이때 전도성 금속(132)으로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전도성 금속(132)의 전기적 특성을 반영구적으로 향상시킨다. 즉, 스테인리스강은 크롬과 탄소 외에 용도에 따라 니켈, 텅스텐, 바나듐, 구리, 규소 따위의 원소를 함유한 내식성 강철로, 녹이 슬지 않고 약품에도 부식하지 않는다.
도 1e와 같이 부품(142)을 상부 금도금층(122)에 땜납(1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연성회로기판상의 부품(142)영역에 실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상에 실장된 부품(142)의 연성회로기판 반대면 부품(142)영역에 전도성 테이프(130) 및 전도성 금속(132)을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통하도록 적층하여 부품(142)영역의 연성회로기판이 견고하게 보강되도록 하기 때문에, 부품(142)실장면의 견고함을 유지하면서 연성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부피를 증가시켜 그라운드 부분의 저항값이 더욱 작아져 연성회로기판을 통하는 신호의 세기가 약화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의 그라운드 부피가 크기 때문에, 그라운드에 전자기파가 침투하지 못하여 연성회로기판을 통하는 신호에 노이즈가 유발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방법의 일 실시 예를 공정별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부 커버레이
102 : 하부 동박
104 : 절연체
106 : 상부 동박
108 : 동도금층
110 : 상부 커버레이
120 : 하부 금도금층
122 : 상부 금도금층
130 : 전도성 테이프
132 : 전도성 금속
140 : 땜납
142 : 부품

Claims (6)

  1. 상부 커버레이(110) 및 하부 커버레이(100) 사이에 신호선이 패터닝된 연성회로기판상의 부품영역에 부품이 실장된 구조로서,
    상기 부품이 상기 신호선의 상측 표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영역의 상기 상부 커버레이(110)가 오픈되며, 상기 상부 커버레이(110)가 오픈된 영역의 상기 신호선의 상측 표면에 상부 금도금층(122) 및 땜납(140)이 차례로 적층되고 상기 부품이 상기 땜납(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부품영역 중 그라운드 영역의 상기 하부 커버레이(100)가 오픈되고 상기 하부 커버레이(100)가 오픈된 영역의 상기 신호선의 하측 표면에 하부 금도금층(120)이 형성되며, 상기 부품영역의 상기 하부 커버레이(100) 및 상기 하부 금도금층(120)의 하측 표면에 전도성 테이프(130) 및 전도성 금속(132)이 차례로 적층되되,
    상기 신호선은 하부동박(102), 절연체(104), 및 상부동박(106)이 차례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하부동박(102), 절연체(104), 및 상부동박(106)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 표면에 동도금층(10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금속(132)은 스테인리스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구조.
  3. 상부 커버레이(110) 및 하부 커버레이(100) 사이에 신호선이 패터닝된 연성회로기판상의 부품영역에 부품을 실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품이 상기 신호선의 상측 표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영역의 상기 상부 커버레이(110) 및 상기 부품영역 중 그라운드 영역의 상기 하부 커버레이(100)를 오픈하는 제1 공정;
    상기 상부 커버레이(110)가 오픈된 영역의 상기 신호선의 상측 표면에 상부 금도금층(122)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커버레이(100)가 오픈된 영역의 상기 신호선의 하측 표면에 하부 금도금층(120)을 형성하는 제2 공정;
    상기 부품영역의 상기 하부 커버레이(100) 및 상기 하부 금도금층(102)의 하측 표면에 전도성 테이프(130) 및 전도성 금속(132)을 차례로 적층하는 제3 공정; 및
    상기 부품을 상기 상부 금도금층(122)에 땜납(1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상의 부품영역에 실장하는 제4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신호선은 하부동박(102), 절연체(104), 및 상부동박(106)이 차례로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하부동박(102), 절연체(104), 및 상부동박(106)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 표면에 동도금층(10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금속(132)은 스테인리스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90126189A 2009-12-17 2009-12-17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구조 및 그 실장방법 KR100961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89A KR100961272B1 (ko) 2009-12-17 2009-12-17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구조 및 그 실장방법
JP2010240909A JP2011129886A (ja) 2009-12-17 2010-10-27 軟性回路基板の部品実装構造及びその実装方法
CN2010105555319A CN102105019A (zh) 2009-12-17 2010-11-19 部件安装在柔性印刷电路板上的结构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89A KR100961272B1 (ko) 2009-12-17 2009-12-17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구조 및 그 실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272B1 true KR100961272B1 (ko) 2010-06-03

Family

ID=4236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189A KR100961272B1 (ko) 2009-12-17 2009-12-17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구조 및 그 실장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129886A (ko)
KR (1) KR100961272B1 (ko)
CN (1) CN1021050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277A (ko) * 2012-11-21 2014-05-29 주식회사 엠디에스 인터포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WO2018199394A1 (ko) *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진영알앤에스 금 적층 구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9411A1 (zh) * 2020-03-27 2021-09-30 鹏鼎控股(深圳)股份有限公司 覆盖膜、电路板及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0608A (ja) 2004-09-30 2006-04-13 Aica Kogyo Co Ltd 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2009026898A (ja) 2007-07-18 2009-02-05 Daisho Denshi:Kk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多層プリント配線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9399B2 (ja) * 2005-06-20 2010-10-2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回路基板
JP2008042145A (ja) * 2006-08-10 2008-02-21 Toshiba Corp プリント配線板、機器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JP2009200113A (ja) * 2008-02-19 2009-09-03 Nitto Denko Corp シールド配線回路基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0608A (ja) 2004-09-30 2006-04-13 Aica Kogyo Co Ltd 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2009026898A (ja) 2007-07-18 2009-02-05 Daisho Denshi:Kk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多層プリント配線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277A (ko) * 2012-11-21 2014-05-29 주식회사 엠디에스 인터포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KR101582548B1 (ko) * 2012-11-21 2016-01-05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인터포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WO2018199394A1 (ko) *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진영알앤에스 금 적층 구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GB2570287A (en) * 2017-04-28 2019-07-24 Jin Young R&S Co Ltd Gold-deposited copp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29886A (ja) 2011-06-30
CN102105019A (zh)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1459B2 (en) Flex-rigi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272276A1 (en) Wired circuit board and connection structure of wired circuit board
US20200253056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051399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10531569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604346B2 (en) Flex-rigi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353026A1 (en) Wiring board
JP2006269979A (ja) フレックスリジッド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フレックスリジッド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100961272B1 (ko) 연성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구조 및 그 실장방법
US811288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s
JP2015159153A (ja) 電子部品内蔵多層配線板
US10193055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071885B2 (en) Printed circuit board
CN101959376B (zh) 多层柔性印刷布线板的制造方法
JP2011146427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を備える電子機器
KR20180112977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US7992290B2 (en) Method of mak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1946989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6344887A (ja) 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686024A (zh) 多层配线基板
JP2013157490A (ja) 両面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両面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2015038908A (ja) フレックスリジッド配線板
KR20090006601U (ko)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 기판
KR102561936B1 (ko) 인쇄회로기판
KR102108433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