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239B1 -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 Google Patents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239B1
KR100961239B1 KR1020020072434A KR20020072434A KR100961239B1 KR 100961239 B1 KR100961239 B1 KR 100961239B1 KR 1020020072434 A KR1020020072434 A KR 1020020072434A KR 20020072434 A KR20020072434 A KR 20020072434A KR 100961239 B1 KR100961239 B1 KR 100961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roll
copper alloy
cobalt
cast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833A (ko
Inventor
로데디르크
리이체르트프레트
헬멘캄프토마스
보브커한스귄터
Original Assignee
카엠이 저머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24268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24268A1/de
Application filed by 카엠이 저머니 아게 filed Critical 카엠이 저머니 아게
Publication of KR20030041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6Alloys based on copper with nickel or cobalt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8Casting surfaces
    • B22D11/0651Casting whee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Mold Materials And Cor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은 비철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스트립을 최종 치수에 가깝게 주조할 경우에 아무런 문제 없이 교번 온도 하중 및 높은 롤 압력에 노출될 수 있어야 한다. 그를 위해, 그 외피는 각각 중량 %로 표현할 때에 부분적으로 니켈로 치환될 수 있는 0.4 % 내지 2 %의 코발트, 0.1 % 내지 0.5 %의 베릴륨, 선택적으로 0.03 % 내지 0.5 %의 지르코늄, 0.005 % 내지 0.1 %의 마그네슘과 필요에 따라 니오브, 망간, 탄탈, 바나듐, 티탄, 크롬, 세륨, 및 하프늄을 포함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대 0.15 %까지의 1종 이상의 원소, 제조 공정 상의 불순물을 포함한 잔부의 구리, 및 통상의 가공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시효 경화성 합금으로 된다.

Description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CASTING ROLL FOR TWO-ROLL CASTING INSTALLATION}
본 발명은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에 관한 것이다.
반제품을 최대한으로 최종 치수에 가깝게 주조하여 열간 성형 단계 및/또는 냉간 성형 단계를 감축시킨다고 하는, 특히 강 산업에서의 전세계적인 목표는 대략 1980년 이래로 예컨대 1롤 연속 주조 방법 및 2롤 연속 주조 방법의 개발을 가져왔다.
그러한 주조 방법에서는 수냉 롤러 또는 롤러 강 합금, 니켈, 구리, 및 열간 압연 가공이 곤란한 구리 합금을 주조할 경우에 용금의 주입 구역에서 매우 높은 표면 온도가 발생된다. 그러한 온도는 예컨대 강 합금을 최종 치수에 가깝게 주조할 경우에 350 ℃ 내지 450 ℃인데, 주조 롤의 외피는 전기 전도도가 48 Sm/㎟이고 열 전도도가 약 320 W/mK인 CuCrZr 재료를 구비한다. 지금까지, CuCrZr계 재료는 특히 높은 열 응력을 받는 연속 주조 주형 및 주조 휠(casting wheel)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한 재료에서는 주입 구역 직전으로 회전될 때마다 주기적으로 주조 롤을 냉각시킴으로써 표면 온도를 약 150 ℃ 내지 200 ℃로 떨어뜨린다. 반면에, 냉각되는 주조 롤의 이면에서는 회전 중에 표면 온도가 약 30 ℃ 내지 40 ℃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표면과 이면간의 그러한 온도 구배는 주조 롤의 표면 온도의 주기적 변동과 조합되어 외피 재료의 표면 구역에 열 응력을 발생시킨다.
종래에 사용되던 CuCrZr 재료에 대해 각종의 온도에서 ±0.3 %의 연신율 진폭 및 0.5 ㎐의 주파수(그러한 파라미터는 주조 롤러의 회전 속도가 약 30 U/min인 것에 해당함)로 실시한 피로 거동 시험에 따르면, 예컨대 수냉부 위의 벽 두께가 25 ㎜인 것에 상응하는 400 ℃의 최대 표면 온도에서 균열 형성시까지의 내구 수명은 가장 양호한 경우에 3000 사이클로 예상된다. 따라서, 주조 롤은 상대적으로 짧은 약 100 분의 작업 시간 후에 벌써 표면 균열의 제거를 위해 보수되어야만 한다. 그 경우, 보수 작업 사이의 유효 수명은 무엇보다도 주조 면에서의 윤활제/분금 분말(parting powder)의 효능, 구조 조건 및 공정 조건에 따른 냉각, 및 주조 속도에 의존하여 현저히 달라지게 된다. 주조 롤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주조 장치를 정지시켜 주조 과정을 중단해야 한다.
적합한 주형 재료인 CuCrZr의 또 다른 단점은 경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약 110 HBW 내지 130 HBW 정도라는 것이다. 그러나, 1롤 또는 2롤 연속 주조 방법에서는 주입 구역 앞에서 이미 강 비산물이 롤 표면에 도달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그럴 경우, 응고된 강 입자가 상대적으로 연질인 주조 롤의 표면에 눌려짐으로써 두께가 약 1.5 ㎜ 내지 4 ㎜인 주조된 스트립의 표면 품질이 저하되게 된다.
약 1 %까지의 니오브이 첨가된 CuNiBe 합금도 낮은 전기 전도도로 인해 CuCrZr 합금에 비해 높은 표면 온도를 촉발한다. 전기 전도도는 대체로 열 전도도와 비례하기 때문에, CuNiBe 합금으로 이루어진 주조 롤의 외피에서의 표면 온도는 최대 온도가 표면에서 400 ℃이고 이면에서 30 ℃인 CuCrZr로 이루어진 외피를 구비한 주조 롤에 비해 높은 약 540 ℃로 된다.
CuNiBe 또는 CuCoBe 삼원 합금은 기본적으로 200 HBW를 넘는 브리넬 경도를 나타내기는 하지만, 그러한 재료로 제조된 표준 반제품, 예컨대 전기 저항 용접 전극이나 판금을 제작하기 위한 로드 및 스프링 또는 리드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스트립의 전기 전도도는 고작해야 26 Sm/㎟ 내지 32 Sm/㎟의 범위에 있는 값을 얻게 된다. 그러한 표준 재료에 의해서는 최적의 조건 하에서도 주조 롤의 외피에서의 표면 온도가 약 585 ℃에나 도달될 뿐이다.
미국 특허 제4,179,314호로부터 기초적으로 공지된 CuCoBeZr 또는 CuNiBeZr 합금에 있어서도 합금 성분을 의도적으로 선택했을 때에 200 HBW의 최소 경도와 함께 > 38 Sm/㎟의 전기 전도도를 얻을 수 있다는 언급은 제공되어 있지 않다.
또한, EP 0 548 636 B1의 청구 범위에서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코발트로 치환될 수 있는 1.0 % 내지 2.6 %의 니켈, 0.1 % 내지 0.45 %의 베릴륨, 선택적인 0.05 % 내지 0.25 %의 지르코늄과 필요에 따라 니오브, 탄탈, 바나듐, 티탄, 크롬, 세륨, 및 하프늄을 포함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대 0.15 %까지의 원소, 제조 공정 상의 불순물을 포함한 잔부의 구리, 및 통상의 가공 첨가제로 이루어지고, 최소 200 HBW의 경도 및 38 Sm/㎟을 넘는 전기 전도도를 수반하는 시효 경화성 구리 합금을 주조 롤 및 주조 휠 제조용 재료로서 사용하는 용도가 선행 기술에 속해 있다.
예컨대 CuCo2Be0.5 또는 CuNi2Be0.5 합금과 같은 그러한 조성의 합금은 상대 적으로 높은 합금 함량으로 인해 열간 성형성에서 단점을 드러낸다. 그러나, 입도가 수 밀리미터인 조립 주조 조직으로부터 출발하여 입도가 < 1.5 ㎜인 미립 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높은 열간 성형도가 요구된다(ASTM E 112에 따라). 특히, 대형 주조 롤의 경우에는 종래 매우 높은 비용을 들이기만 한다면 품질이 만족스러운 충분한 크기의 주괴를 제조할 수는 있지만, 지지될 만한 비용으로 주조 조직의 재결정을 위한 충분히 높은 열간 단접을 구현하는 데 가용될 수 있는 기술적 성형 장치는 거의 없다.
그러한 선행 기술로부터 출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철 금속으로 이루어진 스트립을 최종 치수에 가깝게 주조할 경우에 아무런 문제 없이 교번 온도 하중 및 높은 롤 압력에 노출될 수 있으면서도 내구 수명이 높은, 2롤 주조 설비의 부품으로서의 주조 롤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코발트 함량 및 베릴륨 함량이 의도적으로 낮게 차등화된 CuCoBeZr(Mg)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한편으로 높은 강도, 경도, 및 전도도를 얻는 데 더욱 충분한 시효 경화성이 확보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주조 조직을 완전히 재결정화시키고 소성이 충분한 미립 조직을 수립하는데는 단지 낮은 열간 성형도만이 필요하게 된다.
그와 같이 형성된 2롤 주조 설비의 부품으로서의 주조 롤 덕분에, 비철 금 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스트립을 주조할 때의 속도가 순수한 강 외피를 구비한 롤 장치에 비해 2배를 상회하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조된 스트립의 현격히 개선된 표면 품질이 얻어진다. 외피의 내구 수명이 현저히 더 길어지는 것도 보장된다.
주조 롤은 중공 실린더로서, 즉 코어가 없이 자체 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주조하려는 스트립과 접촉되는 표면은 코어, 특히 강 코어를 구비한 외피 부품일 수도 있다. 그 경우, 외피는 지지체로서의 그러한 코어 상에서 가열되어 끼워지거나 걸쳐지거나 감겨져서 기계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또한, 외피의 사용 시에는 그 외피가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주조 롤의 표면의 포락면(enveloping surface)은 원통형이거나 캠버(camber)에 의해 형성되어 필요 시에 롤의 휨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외피의 기계 특성을 더욱 개선시키는 것, 특히 인장 강도를 높이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2에 따라 구리 합금이 0.03 % 내지 0.35 %의 지르코늄 및 0.005 % 내지 0.05 %의 마그네슘을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구현된다.
또 다른 실시예(청구항 3)에 따르면, 외피용 구리 합금은 분율이 < 1.0 %인 코발트, 0.15 % 내지 0.3 %의 베릴륨, 및 0.15 % 내지 0.3 %의 지르코늄을 함유한다.
또한, 청구항 4에 따라 외피의 구리 합금 중에서 베릴륨에 대한 코발트의 비는 2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그러한 베릴륨에 대한 코발트의 비는 청구항 5에 따라 2.2 내지 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청구항 6의 특징에 상응하게 구리 합금이 코발트 이외에 0.6 %까지의 니켈을 함유하도록 할 수 있다.
주조 롤의 기계 특성은 청구항 7에 따라 외피의 구리 합금이 니오브, 망간, 탄탈, 바나듐, 티탄, 크롬, 세륨, 및 하프늄을 포함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대 0.15 %까지의 1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외피는 청구항 8에 따라 주조, 열간 성형, 850 ℃ 내지 980 ℃에서의 용체화 어닐링, 30 %까지의 냉간 성형, 및 400 ℃ 내지 550 ℃에서의 4 내지 32 시간 동안의 시효 경화로 이루어진 가공 단계에 의해 제조되지만, ASTM E 112에 따른 1.5 ㎜의 최대 평균 입도, 170 HBW 이상의 경도, 및 26 Sm/㎟ 이상의 전기 전도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는 청구항 9에 따라 시효 경화된 상태에서 ASTM E 112에 따른 30 ㎛ 내지 500 ㎛의 입도, 185 HBW 이상의 경도, 30 내지 36 Sm/㎟의 전기 전도도, 450 MPa 이상의 0.2 % 항복 강도, 및 12 % 이상의 파단 연신율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청구항 10의 특징에 상응하게 외피가 열 투과를 감소시키거나 열 흐름을 균일화시키는 코팅을 구비할 경우, 비철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주조 스트립의 제품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러한 코팅은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 외피의 작업 거동에 의거하여, 특히 알루미늄 스트립의 경우 에는 주조 및 압연 과정의 시초에 구리와 알루미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외피의 표면 상에 접착 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추가의 주조 처리 과정 중에 그 접착 층으로부터 알루미늄을 구리 표면 속에 침투시켜 그 곳에 그 두께 및 특성이 주조 속도 및 냉각 조건에 의해 주로 결정되는 안정된 저항성 확산 장벽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대로 구현되게 된다. 그럼으로써, 알루미늄 스트립의 표면 품질이 개선되고, 결과적으로 제품 품질이 현격히 향상되게 된다.
청구항 11의 특징에 의하면, 외피의 내구 수명이 훨씬 더 연장될 수 있다.
주조 롤의 표면은 청구항 12에 따라 평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그러한 구성은 롤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이 하여, 균열 형성 및 균열 전개에 대한 부가의 저항성을 구현하여 주조 롤의 내구 수명을 증대시키는 압축 응력이 가장자리 구역에 유도되게 된다.
또한, 청구항 13에 상응하게 주조 롤의 표면이 패턴화되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한 패턴화는 예컨대 절삭, 롤러 가공, 에칭, 또는 분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조치에 의해, 열 전달 계수에 의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끝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4에 따라 패턴화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 내에 열 전도도가 구리의 그것보다 더 낮은 재료가 매립되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한 재료는 특히 니켈 또는 니켈 합금과 같은 금속 재료 이외에 세라믹 재료일 수도 있다. 그와 같이 패턴화에 의해 주조 롤의 표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채우는 것은 양호한 표면 품질을 조성하고 열 전도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7개의 주조 롤의 외피용 합금(A 내지 G 합금) 및 3개의 비교 합금(H 내지 J 합금)에 의거하여, 해당 조성이 얻으려는 특성의 조합을 구현하는 데 얼마나 임계적인 것인가를 나타내기로 한다.
모든 합금을 도가니 노에서 용해시켜 동일한 판형의 원형 블록으로 주조하였다. 중량 % 단위의 조성은 다음의 표 1에 주어져 있다. 마그네슘의 첨가는 용금을 예비 환원시키는 역할을 하고, 지르코늄의 첨가는 열 가소성에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
합금 Co(%) Ni(%) Be(%) Zr(%) Mg(%) Cu(%)
A
B
C
D
E
F
G
0.68
1.0
1.4
0.65
1.0
1.4
1.0
-
-
-
--
-
-
0.1
0.20
0.22
0.20
0.29
0.31
0.28
0.22
0.20
0.22
0.18
0.21
0.24
0.29
0.16
0.03
0.03
0.02
0.04
0.01
0.03
0.03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H
I
J
-
2.1
-
1.7
-
1.4
0.27
0.55
0.54
0.16
0.24
0.20
-
-
-
잔부
잔부
잔부

이어서, 합금을 5.6:1의 낮은 압축 비(= 주괴의 횡단면/압축 봉의 횡단면)로 950 ℃에서 압출에 의해 평봉으로 프레스 가공한다. 다음으로, 850 ℃ 이상에서 30분간 용체화 어닐링한 후에 물로 급냉시켜 합금화 처리하고, 이어서 400 ℃ 내지 550 ℃의 온도 구간에서 4 내지 32 시간 동안 시효 경화시켰다. 그와 같이 하여, 다음의 표 2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특성의 조합을 얻었다.
합금 Rm
Mpa
Rp0.2
Mpa
A
%
HBW 2.5
187.5
전기 전도도
Sm/㎟
입도
A
B
C
D
E
F
G
694
675
651
707
735
735
696
492
486
495
501
505
520
513
21
18
18
19
19
19
18
207
207
211
207
229
224
213
36.8
32.8
30.0
31.4
33.6
32.3
33.5
0.09-0.25
0.09-0.18
0.045-0.13
0.09-0.25
0.045-0.18
0.09-0.25
0.065-0.18
H
I
J
688
784
645
556
541
510
10
11
4
202
229
198
41.0
30.3
30.9
2-3
1.5-3
4-6
Rm = 인장 강도, Rp0.2 = 0.2 % 항복 강도
A = 파단 연신율, HBW = 브리넬 경도
이러한 특성의 조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조 롤의 외피 제조용 합금은 얻고자 하는 양호한 파단 연신율에 상응하게 재결정화된 미립 조직을 구현하고 있다. H 내지 J의 비교 합금의 경우에는 입도가 1.5 ㎜를 상회하고, 그로 인해 재료의 가소성이 떨어진다.
시효 경화 전에 냉간 성형을 함으로써 추가로 강도가 상승될 수 있다. 다음의 표 3에는 프레스 가공된 재료를 850 ℃ 이상에서 30분 이상 용체화 어닐링한 후에 물로 급냉시키고, 10 % 내지 15 % 냉간 가공(횡단면 감축)하며, 이어서 400 ℃ 내지 550 ℃의 온도 구간에서 2 내지 32 시간 동안 시효 경화시켜 얻은 A 내지 J 합금에 대한 특성의 조합이 기재되어 있다.
합금 Rm
Mpa
Rp0.2
Mpa
A
%
HBW 2.5
187.5
전기 전도도
Sm/㎟
입도
A
B
C
D
E
F
G
688
679
741
690
735
741
695
532
534
600
537
576
600
591
20
18
17
21
19
17
15
211
207
227
207
230
227
224
36.7
34.6
34.4
32.6
34.7
34.4
33.0
0.13-0.25
0.045-0.18
0.065-0.18
0.065-0.25
0.045-0.18
0.13-0.25
0.18-0.35
H
I
J
751
836
726
689
712
651
9
10
6
202
229
198
40.9
31.0
31.5
2-4
2-3
3-6

본 발명에 따른 A 내지 G 합금은 또 다시 양호한 파단 연신율 및 0.5 ㎜ 미만의 입도를 나타내는 반면에, H 내지 J의 비교 합금은 입도가 1.5 ㎜를 넘는 조대한 입도 및 낮은 파단 연신율을 보이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은 외피, 특히 2롤 주조 설비의 대형 주조 롤의 외피를 제조함에 있어 명백한 가공상의 장점을 수반하고, 그에 의해 그 특성이 해당 용도에 가장 적합한 미립의 최종 제품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에서는 코발트 함량 및 베릴륨 함량이 의도적으로 낮게 차등화된 CuCoBeZr(Mg)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한편으로 높은 강도, 경도, 및 전도도를 얻는 데 더욱 충분한 시효 경화성이 확보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주조 조직을 완전히 재결정화시키고 소성이 충분한 미립 조직을 수립하는데는 단지 낮은 열간 성형도만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2롤 주조 설비의 대형 주조 롤의 외피를 제조함에 있어 명백한 가공상의 장점을 수반하고, 그에 의 해 그 특성이 해당 용도에 가장 적합한 미립의 최종 제품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4)

  1. 비철 금속으로 이루어진 스트립을 최종 치수에 가깝게 주조할 경우에 교번 온도 하중을 받고, 그 외피는 각각 중량 %로 표현할 때에 부분적으로 니켈로 치환될 수 있는 0.4 % 내지 2 %의 코발트, 0.1 % 내지 0.5 %의 베릴륨, 0.03 % 내지 0.5 %의 지르코늄, 0.005 % 내지 0.1 %의 마그네슘과, 니오브, 망간, 탄탈, 바나듐, 티탄, 크롬, 세륨, 및 하프늄을 포함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대 0.15 %까지의 1종 이상의 원소, 및 제조 공정 상의 불순물을 포함한 잔부의 구리를 포함하는 시효 경화성 구리 합금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상기 외피에 관해 주조, 열간 성형, 850 ℃ 내지 980 ℃에서의 용체화 어닐링, 30 %까지의 냉간 성형, 및 400 ℃ 내지 550 ℃에서의 4 내지 32 시간 동안의 시효 경화로 이루어진 가공 단계에 의해 제조되고, 1.5 ㎜의 ASTM E 112에 따른 최대 평균 입도, 170 HBW 이상의 경도, 및 26 Sm/㎟ 이상의 전기 전도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합금은 0.03 % 내지 0.35 %의 지르코늄 및 0.005 % 내지 0.05 %의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합금은 1.0 % 미만의 코발트, 0.15 % 내지 0.3 %의 베릴륨, 및 0.15 % 내지 0.3 %의 지르코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합금 중에서 베릴륨에 대한 코발트의 중량 %의 비는 2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합금 중에서 베릴륨에 대한 코발트의 중량 %의 비는 2.2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합금은 0.4% 내지 2 %의 코발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발트는 0.6 %까지의 니켈과 치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합금은 니오브, 망간, 탄탈, 바나듐, 티탄, 크롬, 세륨, 및 하프늄을 포함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대 0.15 %까지의 1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시효 경화된 상태에서 ASTM E 112에 따른 30 ㎛ 내지 500 ㎛의 입도, 185 HBW 이상의 경도, 30 Sm/㎟ 내지 36 Sm/㎟의 전기 전도도, 450 MPa 이상의 0.2 % 항복 강도, 및 12 % 이상의 파단 연신율을 각각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열 투과성을 감소시키는 코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11. 삭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면이 평활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면이 패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 내에 구리의 열 전도도와 비교해 낮은 열 전도도를 갖는 재료가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KR1020020072434A 2001-11-21 2002-11-20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KR100961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56926 2001-11-21
DE10156926.2 2001-11-21
DE10224268.2 2002-05-31
DE10224268A DE10224268A1 (de) 2001-11-21 2002-05-31 Gießwalze für eine Zweiwalzengieß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833A KR20030041833A (ko) 2003-05-27
KR100961239B1 true KR100961239B1 (ko) 2010-06-03

Family

ID=2601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434A KR100961239B1 (ko) 2001-11-21 2002-11-20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30094219A1 (ko)
EP (1) EP1314495B1 (ko)
JP (1) JP4295492B2 (ko)
KR (1) KR100961239B1 (ko)
CN (1) CN1419982A (ko)
BR (1) BR0204713A (ko)
CA (1) CA2410245C (ko)
MX (1) MXPA02010879A (ko)
NO (1) NO340437B1 (ko)
TW (1) TW5908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80079T1 (de) * 2003-12-01 2007-12-15 Sms Demag Ag Haspeltreiber mit treiberrollen mit gussmänteln
CN101333609B (zh) * 2007-06-28 2011-03-16 周水军 重力、低压铸造用低铍铜合金模具材料及其生产工艺
DE102008015096A1 (de) * 2008-03-19 2009-09-24 Kme Germany A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ießformteilen sowie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Gießformteile
DE102019214056A1 (de) 2019-09-16 2021-03-18 Aktiebolaget Skf Rollenmantel, rollenkörper und verfahren
CN113234956B (zh) * 2021-05-14 2022-05-24 中铝沈阳有色金属加工有限公司 一种大吨位的铬锆铜铸锭真空熔铸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0879A (ja) * 1985-09-10 1987-03-17 Ngk Insulators Ltd 耐摩耗性銅合金部材
JPH05247565A (ja) * 1991-12-24 1993-09-24 Km Kabelmetall Ag 硬化可能な銅合金
JPH09108776A (ja) * 1995-10-16 1997-04-28 Ngk Insulators Ltd 銅合金を用いた鋳造用金型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0644A (en) * 1969-09-19 1974-08-20 Hitachi Shipbuilding Eng Co Copper alloy for plastic-working molds
US4179314A (en) * 1978-12-11 1979-12-18 Kawecki Berylco Industries, Inc. Treatment of beryllium-copper alloy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4377424A (en) * 1980-05-26 1983-03-22 Chuetsu Metal Works Co., Ltd. Mold of precipitation hardenable copper alloy for continuous casting mold
US4657601A (en) * 1983-11-10 1987-04-14 Brush Wellman Inc. Thermomechanical processing of beryllium-copper alloys
US4599120A (en) * 1985-02-25 1986-07-08 Brush Wellman Inc. Processing of copper alloys
JPH02111835A (ja) * 1988-10-20 1990-04-24 Chuetsu Gokin Chuko Kk 電磁攪拌用鋳型材料
JP2869076B2 (ja) * 1988-12-19 1999-03-10 中越合金鋳工株式会社 析出硬化型連続鋳造用鋳型材料
JP3303623B2 (ja) * 1995-09-22 2002-07-22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製鋼連続鋳造用銅合金モールド素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モールド
DE69606755T2 (de) * 1995-11-17 2000-07-13 Ngk Insulators Ltd Gussform aus einer Kupferlegierung für Aluminium bzw dessen Legierungen
FR2750438B1 (fr) * 1996-06-27 1998-08-07 Usinor Sacilor Procede et installation de revetement electrolytique par une couche metallique de la surface d'un cylindre pour coulee continue de bandes metalliques minces
DE10018504A1 (de) * 2000-04-14 2001-10-18 Sms Demag Ag Verwendung einer aushärtbaren Kupferlegierung für Kokillen
DE10156925A1 (de) * 2001-11-21 2003-05-28 Km Europa Metal Ag Aushärtbare Kupferlegierung als Werkstoff zur Herstellung von Giessform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0879A (ja) * 1985-09-10 1987-03-17 Ngk Insulators Ltd 耐摩耗性銅合金部材
JPH05247565A (ja) * 1991-12-24 1993-09-24 Km Kabelmetall Ag 硬化可能な銅合金
JPH09108776A (ja) * 1995-10-16 1997-04-28 Ngk Insulators Ltd 銅合金を用いた鋳造用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833A (ko) 2003-05-27
TW590822B (en) 2004-06-11
CN1419982A (zh) 2003-05-28
NO20025563D0 (no) 2002-11-20
EP1314495A2 (de) 2003-05-28
JP2003191056A (ja) 2003-07-08
CA2410245A1 (en) 2003-05-21
NO340437B1 (no) 2017-04-24
CA2410245C (en) 2017-03-21
US20030094219A1 (en) 2003-05-22
MXPA02010879A (es) 2004-07-16
EP1314495A3 (de) 2003-12-10
EP1314495B1 (de) 2017-01-11
JP4295492B2 (ja) 2009-07-15
BR0204713A (pt) 2003-09-16
NO20025563L (n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0448B2 (en) Al—Zn—Mg alloy product with reduced quench sensitivity
KR100958687B1 (ko) 주형 제조용 재료로서의 시효 경화성 구리 합금
EP2048252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luminum alloy fin material for heat exchanger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through brazing of the fin material
KR100993840B1 (ko)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4534573B2 (ja) 高温高速成形性に優れたAl‐Mg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55934B1 (ko) 마그네슘 합금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1632B1 (ko) 쌍롤 주조법을 이용한 알루미늄-아연계 합금 판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알루미늄-아연계 합금 판재
EP1715067A1 (en) METHOD FOR PRODUCING Al-Mg-Si BASED ALUMINUM ALLOY PLATE EXCELLENT IN BAKE-HARDENABILITY
JP4701998B2 (ja) 強度および耐肌荒れ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61239B1 (ko) 2롤 주조 설비용 주조 롤
EP1614760A1 (en) Aluminum alloy plate excellent in press formability and continuous resistance spot weldability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6589443B2 (ja) Al−Si−Mg系アルミニウム合金板、該合金板の製造方法及び合金板を用いた自動車用部品
US6565681B1 (en) Age-hardenable copper alloy casting molds
KR101757733B1 (ko) 결정립이 미세화된 알루미늄-아연-마그네슘-구리 합금 판재의 제조방법
KR102175426B1 (ko) 고강도 고전도도 동합금 및 그 제조방법
EP0305986A2 (en) Mold Member and Rapidly Solidifying Water Cooled Rotary Roll Member
KR20210005241A (ko) 구리 합금의 용도
JPH03249148A (ja) 強度、延性に優れた低熱膨張アルミニウム合金
JPH04210438A (ja) 高強度Cu 合金製連続鋳造鋳型材
JP3467711B2 (ja) 銅基合金の鋳造方法
KR102345418B1 (ko) 스마트 기기용 알루미늄 합금 외장재의 제조 방법
JP5328886B2 (ja) 鋳型部材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鋳型部材
JPH046233A (ja) 冷却能の高いCu合金製連続鋳造鋳型材およびその製造法
KR101232221B1 (ko) 쌍롤주조법을 이용한 마그네슘 합금 주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마그네슘 합금 주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