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853B1 - 워블 신호로부터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워블 신호로부터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853B1
KR100959853B1 KR1020047007564A KR20047007564A KR100959853B1 KR 100959853 B1 KR100959853 B1 KR 100959853B1 KR 1020047007564 A KR1020047007564 A KR 1020047007564A KR 20047007564 A KR20047007564 A KR 20047007564A KR 100959853 B1 KR100959853 B1 KR 100959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formation
wobble
recording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3223A (ko
Inventor
페테르 마르
미카엘 후온커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5002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VD+RW 와 같은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 트랙으로부터 스캐닝된 워블 신호로부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재생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라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 기록 트랙으로부터 스캐닝된 신호(WS)가 클록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회로 장치로 공급되는데, 상기 클록 신호는 상기 신호(WS)의 위상과 동기화되어 있는 위상을 가지는 구형파 전압이면서 동시에 상기 신호(WS) 안에 저장되어 있는 워블 신호의 주파수의 짝수배를 가진 신호이다. 이런 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신호(WS)와 동기화되어 있고 또한 주파수 분할기를 포함하는 위상 동기 루프를 제공하며, 상기 주파수 분할기는 디지털 위상 이동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며 또한 워블 신호의 주파수를 가지는 위상-동기 구형파 전압인 클록 신호(TS)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공된 위상 비교기는 신호(WS) 및 반전된 신호(WS)가 공급되는 반전 스위치(US)를 사용하여 형성된 배율기이다. 기록 매체 상의 기록 트랙의 파형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하여, 앞서 언급된 배율기와 유사한 회로 장치가 사용되며, 상기 회로 장치의 전환 스위치는 클록 신호(TS)에 의해 작동되고 저역통과 필터가 연결된다. 그후 신호 생성 수단을 사용하여 생성된 신호가 워블 트랙을 가지는 기록 매체에 대해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장치 내의 다른 기능의 유닛이 이용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워블 신호로부터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재생 장치{APPLIANCE FOR RECORDING OR PLAYING BACK INFORMATION HAVING MEANS FOR SIGNAL GENERATION FROM A WOBBLE SIGNAL}
본 발명은 DVD+RW와 같은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 트랙(undulating track)에서 스캐닝되는 워블 신호(wobble signal)로부터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 상의 기록 트랙의 파형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고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쓰기가능한 광 기록 매체 또는 데이터 및 정보 기록에 적합한 광 기록 매체는 일반적으로, 워블 트랙 또는 프리그루브(pregroove)라고도 지칭되기도 하는, 요동하는 기록 트랙을 구비한다.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되어질 정보 또는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질 정보는, 피트 및 그루브(pits and grooves) 구조를 이용하여 또는 해당 기록 매체의 광학적 성질을 변화시킴에 의해 상기 요동하는 기록 트랙에 저장되어 있거나 저장된다. 또한, 기록 트랙의 파형에는 스캐닝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정보나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출력에 관한 정보나 해당 디스크의 제조자 명칭과 같은 보조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미니디스크의 경우 주파수 변조의 결과로서 또는 DVD+RW의 경우에는 위상 변조의 결과로서 기록 트랙의 파형 내에 포함되며, 워블 신호라고 지칭되는데, 상기 워블 신호는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될 또는 재생될 정보와 함께 스캐닝된다. 워블 신호는, 예컨대 DVD+RW 로부터 스캐닝된 경우, 노이즈 비율이 매우 높은데, 이것은, 예컨대 상기 워블 신호를 쓰기 동작의 타이밍을 제어하는데 또는 현재 스캐닝 위치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는,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로부터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 또는 워블 신호를 생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적합한 수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있고 용이하게 워블 신호를 검출하거나 또는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검출하려는 것으로서, 상기 정보는 광 기록 매체로부터 스캐닝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워블 신호 또는 정보를 검출하려는 것과,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적절한 방식으로 평가 목적의 다른 기능의 유닛에서 이용가능하게 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의 독립항에 명시되어 있는 특징들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적인 개선 사항들은 종속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DVD+RW와 같은 광 기록 매체 상의 기록 트랙의 파형으로부터 스캐닝된 신호로부터, 워블 신호의 위상과 동기화된 위상을 가진 구형파(square-wave) 전압을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워블 신호의 주파수의 짝수배 주파수를 가진 클록 신호를 형성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클록 신호를 생성할 때, 워블 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클록 신호도 더 생성되어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디코딩하는데 사용된다. 광 기록 매체로부터 스캐닝된 신호는 매우 노이즈가 많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상-동기 클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또는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회로 장치가 사용되며, 상기 정보는 평가 목적의 또는 장치의 제어를 위한 다른 기능의 유닛에 적절한 방식으로 이용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로 장치는, 복잡성을 거의 요구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회로 장치가 워블 신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 및 클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 둘 모두를 허용하는 기본적인 설계를 가진 배율기(multiplier)를 가진다. 사용된 배율기는 전환 스위치와 인버터를 포함하는 회로 장치이다.
DVD+RW 라고도 불리우는, 다시쓰기가능 DVD와 같은, 워블 트랙을 가진 기록 매체에서, 트랙의 워블링(wobbling)은 나선형 트랙의 명목적인 중심 라인 또는 상징적인 중심 라인으로부터 일정한 파장으로 사인파 변동하는 것이다. 워블링은 위상-변조되어 있으며 따라서 갑작스런 위상 변화를 가진다. 워블 트랙은 기록 매체 위나 안에서 우묵한 홈이나 솟아나온 돌기의 형태로 제공되고, 쓰기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섹터 어드레스로서 사용되며 또한 추가적인 보조 정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워블 신호는 일정한 선형 속도로 기록 매체에 기록되며, 워블 변조는 예컨대 DVD+RW를 위한 ECMA 표준에서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캐닝 위치 또는 물리적 어드레스에 관한, 디지털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나, 광 수단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로부터 스캐닝된 때의 신호는 매우 높은 비율의 노이즈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상기 신호가 노이즈 많은 신호(noisy signal)라고도 불리우는 이유이며, 이것은 워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또는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로부터 워블 신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적절한 수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광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로부터 클록 신호 생성 수단이 제공되며,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회복하기 위하여 이 경우 ECMA 표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변조 신호와는 다른 형태를 가진 클록 신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블 변조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의 회복은, 워블 신호의 위상과 동기화된 위상을 가진 구형파 전압이자 또한 바람직하게는 워블 신호의 주파수에 비해 두배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인, 생성된 클록 신호에 의해 가능해진다. 원리적으로, 예컨대 쓰기 클록을 생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바와 같이, 워블 신호의 주파수에 비해 더 높은 짝수배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도 역시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2배 주파수의 사용은 낮은 지터(jitter)라는 면에서 장점이 있다.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로부터 생성된 클록 신호의 이들 성질 때문에, 비록 클록 신호의 형태와 워블 트랙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회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의 형태가 기록 매체 상의 워블 트랙 안에 정보를 기록하는데 사용된 신호의 형태와 다를지라도, 이 경우에는 워블 신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의 디코딩을 허용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충분한 신호 정보가 존재한다. 이런 점에서, "푸시-풀(push-pull)" 신호로서 픽업을 사용하여 형성된 신호를 광 기록 매체로부터 스캐닝된 신호로서 또는 입력 신호로서 사용하는 클록 신호 생성을 위한 배열이 제공된다. 푸시-풀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평가 목적을 위해 요구되지 않는 주파수 성분들을 차단하는 대역통과 필터를 경유하여, 상기 클록 신호 생성을 위한 배열로 공급된다. 상기 클록 신호 생성을 위한 배열은 검출된 신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워블 신호에 대해 필터링 및 클록 회복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열은 PLL이라고 지칭되는 위상 동기 루프(phase locked loop)를 포함하며, 상기 PLL은 입력 신호와 동기화된다. 이런 점에서, 제공되는 위상 비교기는 아날로그 기반으로 동작하는 배율기이며, 상기 비율기에는 입력 신호로서 기록 매체로부터 나온 검출된 신호가 공급되고 비교 신호로서 주파수-제어형 구형파 생성기로부터 나온 디지털 출력 신호가 공급된다. 이 점에서, 배율기의 출력단은 루프 필터를 경유하여 VCO 라고 지칭되는 전압-제어형 발진기(voltage-controlled oscillator)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VCO는 워블 신호의 주파수의 짝수배 주파수를 가진 클록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클록 신호는 사용된 배수로 나누어진 형태로 디지털 위상 이동기에 직접 공급된다. 그러나 주파수-제어형 구형파 생성기 즉 디지털 위상 이동기로부터 나온 디지털 출력 신호는 논리 상태 0과 1 만을 채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율기의 출력단은 논리 1 상태의 경우에는 검출된 신호를 직접 제공하며 논리 0 상태의 경우에는 반전된 신호를 제공한다. 회로 장치에서, 이것은 구형파 생성기로부터 나온 신호를 사용하여 스위칭되는 고속 전환 스위치 및 인버터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이러한 배율기는, 입력 신호가 90°의 위상 이동을 가지고 인가될 때마다 그 평균 출력 신호는 0라는 성질을 가진다. 그러나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는 VCO의 출력단이 배율기의 입력단에 연결될 때 경유하고 있는 디지털 위상 이동기가 보상 목적으로 제공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위상 이동기는 EX-OR 게이트와 연결된 주파수 분할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워블 신호의 위상과 동기화된 위상을 가지는 구형파 전압이자 동시에 워블 신호의 주파수에 비하여 짝수배의 주파수를 가진 신호인 클록 신호가 생성된다. 그후 이 클록 신호는 장치 내에서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후속적인 기능들을 위한 기초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기능들에는, 예컨대,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의 평가, 기록 정보를 위한 쓰기 클록, 또는 광 기록 매체를 위한 회전-속도 제어가 있다.
쓰기 클록은,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인 PLL을 사용하여, 클록 신호의 주파수의 배수로서 형성되며, 워블 신호 안에 또는 기록 매체에서 검출된 신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는 주파수-분할된 클록 신호를 사용하여 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평가되며, 상기 스위치는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저역통과 필터 및 비교기를 경유하여 디지털 평가 디바이스로 공급한다. 주파수-분할된 클록 신호는 워블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며 상기 워블 신호에 대하여 위상 동기화되어 있다. 또한, 광 기록 매체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클록 신호의 주파수 분할은 스핀들 서보를 위한 실제 회전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PLL에 있어서 높은 선택도 및 넓은 캡쳐 범위 사이의 충돌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의 해결책들이 특정된다.
평균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있어서, 전압-제어형 구형파 생성기는 중간-주파수를 출력한다. 적절한 치수조정의 결과로서, 이 주파수는 예상될 수 있는 워블 주파수에 가까와야만 하며, 위에서 예로서 언급된 해결책의 경우에는 그 값의 두 배 를 가진다. 높은 레벨의 선택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주파수 변동은 제어 전압에 대하여 작아야만 한다. 따라서, 전압-제어형 구형파 생성기의 경사도(gradient)가 각각의 요구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 경우 VCO에 있어서의 큰 입력 전압 변경의 이벤트에서 작은 주파수 변화를 야기하는 가파른 곡선(steep curve)은, 높은 레벨의 선택도를 가지지만 주파수 변동이 거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얕은 곡선(shallow curve)는 더 큰 주파수 변동을 처리할 수 있으나 낮은 선택도를 야기한다. 이러한 성질이 이용되어, 워블 신호를 확인하기 위해 얕은 곡선이 선택된다. 다시말해 PLL은 검출된 워블 주파수에 로킹될 수 있다. 그후 특성 곡선은 더욱 가파르게 제어되고, 그 결과 필요한 선택도가 달성된다. 중간-주파수는 이 경우에 그에 따라서 정렬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위상 동기 루프는 위상 비교기 및 VCO 사이에 배열된 가산기를 포함한다. 로킹 동작(locking operation)에 있어서, 삼각-파 전압이 가산기에 인가된다. 이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는, 규정 주파수 범위에 걸쳐 전부 스위핑되며, 그 결과 PLL은 VCO의 주파수가 워블 주파수와 일치될 때 동기가 맞춰진다는 것이다. 이 순간에, 삼각-파 전압의 값은 홀딩 즉 저장되어, PLL이 정상적으로 계속 발진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록 신호 생성의 장점에는, VCO의 중간-주파수의 제어의 결과로서 넓은 주파수 범위에 있어 매우 높은 선택도, 워블 주파수 변동에 대한 필터의 일치하는 동작, 및 생성된 클록 신호 내의 매우 낮은 지터가 있다. 더 나아가 클록 신호 생성을 위한 배열은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적절한 방식 으로 신뢰성있게 평가 목적의 다른 기능의 유닛들에게 이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거의 아무런 복잡성도 요구하지 않는다. 디지털 위상 이동기에 워블 주파수의 짝수배 주파수를 가진 클록 신호 및 사용된 배수로 분할된 클록 신호가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의 결과로서, 워블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를 가지며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 내의 ADIP 정보로서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디코딩하기에 적절한 클록 신호가 이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기록 매체 상의 워블 트랙 안에 포함되어 있는 ADIP 정보는, 광 스캐너의 스캐닝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또한 예컨대 쓰기 유닛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것과 같은, 시간과 상기 검출된 신호를 연관시킬 목적으로 제공된다. ADIP 정보는 3개의 신호 타입, 동기 펄스, 논리 0 및 논리 1 을 특징으로 하며, 하나의 규정된 워블 주기(wobble cycle) 내에서 위상 변조에 의해 또는 몇몇 워블을 반전시킴에 의해 형성된다. DVD+RW 의 경우에, 하나의 워블 주기는 워블 진동이 시작하는 방향에 따라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워블링으로서 지칭될 수 있는 여덟개의 워블 진동을 포함한다. 포지티브 워블링은, 기록 매체의 내측을 향해 기록 매체 상의 기록 트랙을 편향시킴으로써 워블 트랙이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VD+RW를 위한 변조 규칙으로서, 동기 펄스의 경우, 처음 네 개 진동의 위상은 180°에 걸쳐 회전되며 나머지 네 개 진동은 정상적인 위상이다. 진동 0, 6 및 7의 위상각이 회전하는 때에 0 이 생성되고, 진동 0, 4 및 5의 위상각이 회전할 때 1 이 생성된다.
기록 매체 상의 기록 트랙의 파형으로부터 스캐닝된 매우 노이즈 많은 신호 안에 포함되어 있는 ADIP 정보를 검출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로부터 스캐닝된 신호를 클록 신호와 직접적으로 동기화된 형태로 및 반전된 형태로 교호하여 저역-통과 필터에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전환 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출력 신호를 디지털화하기 위해 저역통과 필터의 하류에 비교기가 연결된다. 이 회로 장치의 출력단은, 예컨대 ADIP 정보인, 워블 신호 안에 디지털 형태로 저장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그후 ADIP 정보는, 예컨대 기록 매체 상의 스캐닝 위치에 관한 정보 또는 워블 트랙 안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류의 논리 회로를 사용하여 평가된다.
따라서 인버터 및 전환 스위치를 포함하는 배율기는, 유리하게, 기록 매체 상의 기록 트랙의 파형으로부터 스캐닝된 신호로부터 정보를 회복하기 위하여 그리고 클록 신호 생성을 위하여 사용된다.
클록 신호 생성을 위해 또는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 기록 트랙으로부터 검출된 신호의 위상과 동기화된 위상을 가지는 구형파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신호가 직접 및 반전된 형태로 인가되는 전환 스위치는 디지털 위상 이동기를 사용하여 작동되며, 상기 디지털 위상 이동기에는 루프 필터를 경유하여 배율기에 연결된 전압-제어형 발진기가 워블 신호의 주파수의 두배 주파수를 가지는 구형파 신호를 공급한다. 이것은, 형성되어 있는 위상 동기 루프를,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 기록 트랙으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대해 또는 워블 신호에 대해 동기화시킨다.
워블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디코딩하는 회로 장치에서, 배율기의 전환 스위치는 워블 신호의 주파수와 동기화되어 있는 위상을 가지는 클록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전환 스위치로 직접 및 반전된 형태로 공급되는 신호는 저역통과 필터로 공급된다.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 트랙으로부터 스캐닝된 워블 신호로부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는, 푸시-풀 신호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이미 상기 장치 내에 존재하는, 광검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시-풀 신호는 광 기록 매체로부터 스캐닝된 워블 신호를 포함하며, 이 워블 신호는 매우 노이즈가 많고 상기 워블 신호로부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에 바람직하게는 단순 대역통과 필터를 경유하여 공급된다. 제공된 신호 생성 수단은 클록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회로 장치 및 워블 신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회로 장치이거나, 또는 워블 필터링을 위한 회로 장치이다. 이들 회로 장치들은, 디코딩된 워블 신호 안에 포함되어 있는 ADIP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에 또는 기록 매체 상에 쓰기 과정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에, 연결된 출력단들을 가진 하나의 워블 검출 회로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신호 생성 수단으로서 제공된 회로 장치에서, 인버터 및 전환 스위치를 사용하여 형성된 배율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클록 신호 또는 상기 클록 신호로부터 유도된 기록 매체에 대한 스캐닝 디바이스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또는 스캐닝 디바이스를 위치지정하는데 사용될 클록 신호가 제공된다. 이 때문에, 규정된 회전 속도에서 기록 매체 상에 반경 위치에서 기대될 수 있는 클록 신호는, 앞서 언급된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의 기록 트랙으로부터 검출된 클록 신호와 비교된다. 이 경우에, 상기 클록 신호로부터 유도된 클록 신호는 워블 주파수에 비해 두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로부터, 주파수 분할 또는 주파수 곱에 의해, 유도된 임의의 클록 신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그리고 상기 비교를 수행하기 위해, 스캐닝 디바이스를 위치지정하기 위한 적절한 제어 유닛을 동작시키는 상기 장치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제공된다. 기록 정보를 위해 제공된 쓰기 디바이스도 또한 스캐닝 디바이스로서 지칭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과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도면으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WS) 및 이로부터 생성된 클록 신호(TS)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워블 신호로부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의 블록도.
도 3은 클록 신호 생성을 위한 회로 장치의 블록도.
도 4는 푸시-풀 신호(PP)를 형성하기 위한 배열의 개략도.
도 5는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를 위한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의 개략도.
도 6은 배율기(MTP)의 회로 장치의 블록도.
도 7은 전압-제어형 발진기(VCO)를 위한 제어 곡선의 개략도.
도 8은 탐색 모드에서 로크 모드로의 PLL의 전환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9는 워블 신호 내의 동기 펄스 코딩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은 워블 신호 내의 1 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워블 신호 내의 0 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는 워블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회로 장치의 개략도.
도 13은 워블 신호로부터 디코딩된 논리 1 의 그래프.
본 발명의 배열 및 방법은, 아래에서 짧게 디스크 또는 기록 매체라고 불리우는, 광 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 DVD+RW, 또는 워블 트랙을 가진 다른 1회-기록 디스크 또는 다시쓰기가능 디스크 포맷과 같은, 워블 트랙(wobble track)을 가진 기록 매체를 위한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아래에서 주로 DVD+RW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그러나 이것이 워블 신호가 검출되는 유사한 기록 매체를 위한 본 발명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참조 기호들은 도면들에서 대부분 동일하게 사용된다.
DVD+RW는 ECMA 표준 ECMA/TC31에 기초를 둔 다시쓰기가능한 광 기록 매체이다. 상기 표준은 또한 기록 매체의 세부사항을 그 워블 트랙의 면에서 더 규정하고 있다. DVD+RW 상에서 워블 트랙은, 디스크의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위상-변조형 데이터 신호의 형태인 추가 정보를 저장하는 나선 트랙의 중심 라인으로부터의 연속적인 사인파 형태의 편향에 의해 형성된다. 워블 트랙은 일반적으로 해당 디스크 제조 공정에서 스탬핑(stamping)에 의해 생성되며, DVD+RW의 경우, 약 4.2656 ㎛의 워블 주기 즉 파장을 가진다. 워블 트랙은 디스크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디스크 상의 쓰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그리고 섹터 어드레스를 규정 또는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기록 매체 상의 기록 트랙의 파형에 의해 형성된 워블 트랙은 보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워블 트랙에 저장되는 정보는 또한 ADIP(address-in-pregroove : 프리그루브 내 어드레스)라고 지칭된다. 워블 트랙은 디스크의 미기록 상태 또는 기록 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디스크 상에 존재하며 일정한 선형 속도로 기록된다.
워블 트랙에 대응하는 신호를 스캐닝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푸시-풀 매트릭스"의 형태로 광검출기가 제공된다. 광검출기는 네개의 사분면을 포함하며 신호들(A, B, C, D)을 제공하는데, 상기 신호들(A, B, C, D)은 푸시-풀 신호(PP)라고도 지칭되고 워블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알려진 방식으로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푸시-풀 신호(PP)는, 트랙 방향(TD)으로 배열된 검출기로부터 나온 신호들(A 및 D, B 및 C)을 가산함으로써 그리고 후속적으로 상기 가산된 신호들의 차이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워블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평가하는데 요구되지 않는 신호 및 주파수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푸시-풀 신호(PP)는클록 신호 생성을 위한 회로 장치에 또는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된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신호(WS)로서, 바람직하게는 단순 대역통과 필터를 경유하여, 공급된다.
이 배열을 사용하여 DVD+RW 로부터 검출된 신호(WS)는 도 1의 상부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은, 검출된 신호(WS)가 ECMA 표준 ECMA/TC31에 예시되어 있는 워블 트랙 조정과 비교하여 높은 비율의 간섭 또는 노이즈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상기 신호(WS)로부터, 도 1의 하부 영역에 도시되어 있는 클록 신호(TS)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런 점에서, 워블 신호 또는 상기 신호(WS)의 위상과 동기화되어 있는 위상을 가진 구형파 전압이자 동시에 상기 신호(WS)의 주파수에 비해 바람직하게는 두배의 주파수를 가진 신호인, 클록 신호(2TS)가 생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도면은, 생성된 클록 신호(TS)의 매우 작은 비율만이 상기 검출된 신호(WS)에서 또는 상기 푸시-풀 신호(PP)에서 입력 신호로서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WS)로부터 생성된 클록 신호(TS)의 앞서 언급된 성질은,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의 디코딩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신호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워블 신호로서 상기 기록 매체 상의 기록 트랙의 파형에 정확하게 일치하는 신호를 생성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록 신호로서 생성되어 사용되는 워블 신호의 위상과 동기화되어 있는 위상을 가지는 구형파 전압의 결과로서 기록 매체 상의 워블 트랙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클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도 3에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는 클록 신호 생성 배열이 제공되는데, 상기 클록 신호 생성 배열은, 바람직하게는 단순 수동 대역통과 필터(BPF)경유하여 클록 신호 생성 배열에 공급되는 앞서 언급된 푸시-풀 신호(PP)를, 입력 신호로서 또는 광 기록 매체로부터 스캐닝되거나 검출된 신호(WS)로서 사용한다. 도 3에 도시된 클록 신호 생성 배열은 PLL이라고도 지칭되는 위상 동기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PLL은 신호(WS)에 동기화된다. 이 때문에, 기록 매체로부터 스캐닝된 신호(WS)는, 아날로그 기반으로 동작하는 배율기(MTP)의 제 1 입력단(In1)에 공급되는데, 상기 배율기는 위상 비교기를 형성하고, 상기 배율기로는 주파수-제어형 구형파 생성기로부터 나온 디지털 출력 신호가 상기 배율기(MTP)의 제 2 입력단(In2)에 비교 신호로서 공급된다. 주파수-제어형 구형파 생성기는, 전압-제어형 구형파 신호 생성기(VCO)를 이용하여 동작되는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이다. 위상 비교기의 제 1 입력단(In1)에서의 입력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인 검출된 신호(WS)이며, 위상 비교기의 제 2 입력단(In2)에서의 비교 신호는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에 의해 형성된 주파수-제어형 구형파 생성기로부터 나온 디지털 출력 신호이다. 위상 비교기로서 사용되는 배율기(MTP)는, 배율기(MTP)의 출력단에서, 아날로그 신호 및 디지털 신호의 곱(product)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위상 비교기의 제 2 입력단(In2)에서의 비교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서, 논리 상태 0 및 1 만을 채용하기 때문에, 이런 면에서 회로의 단순화가 제공된다. 논리 1 상태에 있어서는 입력 신호가 사용되는데, 다시 말해 이 경우 검출된 신호(WS)는 배율기(MTP)의 출력단(MTPout)으로 직접 통과된다. 논리 0 상태는 부정(negation)을 나타내며, 이 경우 반전된 신호(WS)가 출력된다. 사용된 배율기(MTP)에 대응하는 회로 장치가 도 6에 도시된다. 상기 회로 장치는 하나의 전환 스위치(US) 및 두 개의 증폭기(V, IV)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증폭기 중 하나의 증폭기(IV)는 반전시킨다. 반전 증폭기는 또한 인버터라고도 불리운다. 기본적으로, 신호(WS)는 전환 스위치(US)에 직접 및 반전된 형태로 공급된다. 증폭기(V)는, 전환 스위치(US)로 공급된 신호들이 하나의 일치하는 레벨을 가지며 또한 아무런 전파-지연 차이를 가지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단지 실제적인 고려사항에 의해서 제공된다. 병렬 경로에 부합되는 이득(gain)을 가지는 인버터(IV)의 경우, 증폭기(V)는 대응하는 지연 요소로, 또는 만약 인버터의 전파 지연이 대응하여 낮은 경우라면, 단순한 라인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증폭기(V 및 VI)의 입력단들은 서로에게 연결되어 위상 비교기의 제 1 입력단(In1)을 형성하며, 상기 입력단(In1)으로는 기록 매체로부터 스캐닝된 신호(WS)가 공급된다. 증폭기(V 및 VI)의 출력단들은 전환 스위치(US)를 경유하여 배율기(MTP)의 출력단(MTPout)을 형성하고, 상기 전환 스위치(US)는 비교 신호의 형태로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를 사용하여 작동된다. 따라서 전환 스위치(US)의 제어 입력단은 위상 비교기의 제 2 입력단(In2)을 형성한다. 이 경우 사용된 전환 스위치(US)는, 루프 필터(LF) 즉 위상 동기 루프의 루프 필터가 연결되어 있는, 고속 아날로그 MOS 스위치 IC 였다.
이러한 배율기(MTP)는, 그 평균 출력 신호, 즉 도 3에 도시된 루프 필터(LF)의 하류에서 측정된 평균 출력 신호가 위상 비교기의 제 1 및 제 2 입력단(In1 및 In2)에서의 입력 신호들이 90°의 위상 이동을 가질 때는 0 라는 성질을 가진다. 그러나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것은 상기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가 보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EX-OR 게이트와 연결된 주파수 분할기(DV)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한다. 도 5는, 바람직하게 워블 신호의 주파수에 비해 두배의 주파수를 가지는 클록 신호(2TS)를 제공하는 전압-제어형 발진기(VCO)로부터 나온 출력 신호(VCOout), 주파수 분할기로부터 나온 출력 신호(DVout), 그리고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로부터 나온 출력 신호(DPSout)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부터, 워블 신호의 위상과 동기화되어 있는 위상을 가지는 구형파 전압이며 또 워블 주파수 에 비교하여 두배의 주파수를 가지는 클록 신호(2TS)인 클록 신호(2TS)가 형성된다. 상기 클록 신호(2TS) 또는 주파수 분할기(DV)의 출력단에서의 클록 신호(TS)는 그후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에서 여러가지 다른 기능을 위한 클록 기초로서 사용되는데, 상기 클록 신호(TS)는 광 기록 매체 상의 워블 트랙을 위한 워블 클록에 대응한다.
이렇게 하여, 추가적인 PLL을 사용하여 클록 신호(TS)의 배수로부터 또는 클록 신호(2TS)의 배수로부터 워블 주파수의 배수로서 또는 신호(WS)의 주파수의 배수로서, 예컨대, 쓰기 클록(write clock)이 형성되며, 한편 클록 신호(TS)는 ADIP 정보를 평가하도록 제공된다.
원리적으로, 필요한 제어 신호는 주파수 분할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스핀들 서보를 위한 실제 회전-속도 신호는,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요구되는데, 클록 신호(TS)의 주파수 분할에 의해 생성된다. 클록 신호(TS)가 워블 신호 또는 신호(WS)의 위상과 동기화되어 있는 위상을 가지는 구형파이기 때문에, 상기 클록 신호(TS)는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비트 클록 신호로서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덧붙여서, 클록 신호(TS)가 기록 매체의 회전 속도와 관련되기 때문에 또는 기준 위치에 대해 알려져 있는 워블 주파수와 관련되기 때문에, 클록 신호(TS)는 또한 스캐닝 위치의 결정을 위해 또는 스캐닝 위치의 이동을 위해 워블 트랙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복조하지 않고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록 신호(2TS)를 생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로 장치는, 협대역 필터의 장점을 필터 주파수의 가능한 정렬과 결합시키는데, 이는 이런 방식으로 형성된 위상 동기 루프가 실제 주파수를 매우 정밀하게 따라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작 위상에서 또는 디스크가 정지상태에서 정격 회전 속도로 가속될 때 클록 신호(2TS 또는 TS)가 실제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캡쳐 범위(capture range)를 확장하기 위한 수단의 사용이 유리하다. 일정한 회전 속도에서는 디스크의 크기 때문에 인자 2.7을 초과하는 워블 주파수의 변화가 예상되지 않으므로, 이들 수단은 일정한 회전 속도가 사용될 때는 필요없을 수 있다. 캡쳐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수단의 효과는 도 7에 도시된다. 그래프는 입력 신호(VCOin) 및 출력 주파수(Fout) 사이의 관계의 형태로 전압-제어형 발진기(VCO)에 대한 제어 곡선을 보여준다. 평균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있어서, 전압-제어형 발진기(VCO)는 중간-주파수를 출력한다. 적절한 치수조정의 결과로서, 이 주파수는 예상될 수 있는 워블 주파수에 근접하여야 하며, 이 경우에 이 주파수는 워블 주파수 값의 두 배를 가진다. 높은 레벨의 선택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주파수 변동은 제어 전압에 비해 작아야만 한다. 이것은 도 7에 도시된다. 이 경우, 가파른 곡선(NR)은 높은 선택도 및 작은 주파수 변동을 특징으로 한다. 얕은 곡선(WR)은 더 큰 주파수 변동을 잘 처리할 수 있으나 낮은 선택도를 야기한다. 이러한 성질이 이용되어, 신호(WS) 내의 워블 신호를 식별하기 위하여 얕은 곡선(WR)이 선택된다. 다시 말해서, PLL 회로는 워블 주파수에 로킹할 수 있다. 그후 특성 곡선은 더욱 가파르게 제어되고, 그 결과 필요한 선택도가 달성된다. 중간-주파수는 이 경우 그에 따라 정렬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된다.
이 경우, 가산기(+)가 루프 필터(LF) 및 전압-제어형 발진기(VCO)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로킹 동작(동기화 동작)에 있어서, 삼각파 전압(TRG)이 가산기(+)에 인가된다. 이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는, 특정한 주파수 범위에 걸쳐 스위핑되고, 전압-제어형 발진기(VCO)의 주파수가 워블 주파수와 일치할 때 PLL의 위상의 동기가 맞춰진다는 것이다. 이 때, 삼각파 전압(TRG)은 해당 순간 값에서 고정됨으로써, PLL이 정상적으로 발진을 계속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특정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필터 주파수의 가능한 정렬과 협대역 필터의 장점을 결합시키는 장점을 가지는데, 이는 위상 동기 루프(PLL)가 실제 주파수를 매우 정밀하게 따라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DVD+RW의 경우 단일 회전 속도 또는 단일 스캐닝 속도에서 약 820 kHz인, 상대적으로 높은 워블 주파수 때문에, 제어 루프의 반응 시간은 매우 짧다. 이것은 또한 스캐닝 디바이스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 또는 스캐닝 디바이스를 원하는 위치로 위치 지정하는 것이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탐색 동작 동안 위치 결정을 수행하는 것도 역시 가능한데, 그 결과 탐색 동작이 짧아진다. 워블 트랙이 디스크의 비기록 영역 및 기록 영역 둘 모두에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디스크의 전체 영역에서 클록 신호(TS)를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클록 신호(TS)는 기록 매체 상의 워블 트랙에 저장된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하여 유사하게 사용된다. 기록 매체 상의 워블 트랙에 포함되어 있는 ADIP 정보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ADIP 정보는 3개의 신호 타입으로 특징지워진 다. 이들 신호 타입은 도 9에 도시된 동기 펄스(ADIPsync), 도 10에 도시된 논리 0 (ADIPZERO), 및 도 11에 도시된 논리 1 (ADIPONE)이다. 이들은 몇개의 워블을 반전시킴으로써 또는 하나의 워블 주기 내에서 위상 변조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하나의 워블 주기는 DVD+RW의 경우 8개의 워블 진동을 포함한다. 워블링이 시작하는 방향에 따라, 포지티브 워블링(PW) 및 네거티브 워블링(NW)이 구별된다. 포지티브 워블링(PW)은, 기록 매체의 내측을 향하여 기록 매체 상의 기록 트랙을 편향함에 의해 워블 트랙이 시작한다라는 특징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DVD+RW의 경우 제공된 변조 규칙은, 하나의 동기 펄스(ADIPsync)가, 4개의 워블 진동으로 된 네거티브 워블링(NW)으로 시작하여, 그후 포지티브 워블링(PW)인 4개의 워블 진동이 후속한다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논리 0 (ADIPZERO)는, 하나의 워블 진동으로 된 네거티브 워블링(NW)으로 시작하고, 그후 포지티브 워블 패턴(PW)인 5개의 워블 진동과 네거티브 워블 패턴(NW)인 2개의 워블 진동이 후속한다. 도 11에 따르면, 논리 0 (ADIPONE)은 유사하게 네거티브 워블링(NW)인 하나의 워블 진동으로 시작하지만, 그후 포지티브 워블링(PW)인 3개의 워블 진동이 후속하고, 2개씩의 워블 진동으로 된 네거티브 워블링(NW) 및 포지티브 워블링(PW)이 교대로 후속한다.
도시된 워블 진동들은 기록 매체로부터 스캐닝된 신호(WS)에 포함되어 있으며,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우 노이즈가 많다. 상기 매우 노이즈가 많은 신호(WS)에서 앞서 언급된 신호 타입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 장치가 제공된다. 이 회로 장치는 두개의 스위치(SW1, SW2)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들은 기록 매체로부터 스캐닝된 신호(WS)를 직접 및 반전된 형태로 저역통과 필터로 공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저역통과 필터는 저항(R0) 및 캐패시터(C0)로 구성된다. 스위치(SW1, SW2)는, 클록 신호(TS)에,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록 신호(TS) 및 반전된 클록 신호(
Figure 112009017491746-pct00001
)와 동기적으로 교호하여 동작된다. 스위치(SW1, SW2)는, 저역통과 필터의 상류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클록 신호(TS)에 따라 전환되는 하나의 전환 스위치로 대체될 수 있는데, 스위치(SW2)의 상류에 연결된 인버터(INV)와 함께, 도 6과 유사하게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배율기를 형성한다. 위상 비교기로서 사용된 상기 배율기와, 저항(R0) 및 캐패시터(C0)로 형성된 저역통과 필터는, 기록 매체 상의 기록 트랙의 형태로 존재하는 바와 같은, 워블 패턴의 파형을 복구하지 않고서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디코딩하는데 사용된다. 도 12에서 도시된 회로 장치의 출력단(DA)은, 워블 신호 내에 디지털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 또는 ADIP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도 13에서 예를 들어 하나의 신호에 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디코딩된 워블 신호는 저역통과 필터의 출력단에서 이미 이용가능하다. 디지털화 목적으로, 상기 디코딩된 워블 신호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임계값 스위치(COMP)로 공급되는데, 상기 스위치(COMP)에는 비교 전압(REF)이 인가되어 있다. 이들 수단을 사용하여 복구된 ADIP 정보는 그후, 예를 들어 기록 매체 상의 현재 스캐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류의 논리 회로를 사용하여 평가된다.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또는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WS)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평가하기 위하여, 스위치들(SW1, SW2) 또는 하나의 전환 스위치가, 클록 신호의 위상과 동기하여 단순한 방식으로 동작되고,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WS)를 저역통과 필터 및 비교기 또는 임계값 스위치(COMP)를 경유하여 디지털 평가 디바이스로 공급한다.
따라서 인버터(IV 또는 INV) 및 전환 스위치(US)를 포함하는 배율기(MTP)는, 클록 신호 생성을 위하여 그리고 기록 매체 상의 기록 트랙의 파형으로부터 스캐닝된 신호(WS)로부터 정보를 복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클록 신호 생성 목적을 위하여 또는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 기록 트랙으로부터 검출된 신호(WS)의 위상과 동기화되어 있는 위상을 가진 구형파 전압을 생성하기 위하여, 전환 스위치(US)는, 신호(WS)가 직접 또는 반전된 형태로 인가되는데, 루프 필터(LF)를 경유하여 배율기(MTP)에 연결된 전압-제어형 발진기(VCO)가 워블 신호의 주파수의 두배 주파수를 가지는 구형파를 공급하는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를 사용하여 작동된다. 형성된 위상 동기 루프는 따라서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 기록 트랙으로부터 검출된 신호(WS)와 또는 워블 신호와 동기화된다.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서, 배율기 내의 하나의 전환 스위치 또는 스위치들(SW1, SW2)는 워블 신호의 위상에 동기화되어 있는 위상을 가진 클록 신호(TS)를 사용하여 제어되고, 전환 디바이스로 직접 또는 반전된 형태로 공급되는 신호(WS)는 저역통과 필터로 공급된다.
워블 신호로부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재생 장치는 일반적으로 푸시-풀 신호(PP)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수단을 이미 가지고 있다. 따라서 푸시-풀 신호(PP)는 이미 사용가능하고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풀 신호(PP)는 신호(WS)로서 바람직하게는 단순 대역통과 필터(BPF)를 경유하여 워블 신호로부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급된다. 제공된 신호 생성 수단은, 클록 신호(TS)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회로 장치이며, 이들은 하나의 워블 검출 회로(WFCG)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블 검출 회로(WFCG)를 사용하여 생성된 신호는 그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디코딩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디코딩된 워블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ADIP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제 1 회로 블록(ADPBD)으로 공급되고, 기록 매체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기록 매체 상의 쓰기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로 블록(ADPBD)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회로 블록(WPDS)으로 공급된다. 신호 생성 수단으로서 제공된 회로 장치에서, 그후 인버터 및 전환스위치를 사용하여 형성된 배율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단순히 예로서 지적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만들어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DVD+RW와 같은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 트랙(undulating track)에서 스캐닝되는 워블 신호(wobble signal)로부터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재생 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undulating) 기록 트랙으로부터 스캐닝되고, 클록 신호(TS)를 포함하는 노이즈 있는(noisy) 신호(WS)로부터, 신호를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로서,
    클록 신호(2TS)는 회로 장치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회로 장치는:
    -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undulating) 기록 트랙으로부터 스캐닝되는 상기 노이즈 있는 신호(WS)와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undulating) 기록 트랙으로부터 스캐닝되는 반전된 노이즈 있는 신호(WS)가 인가되는 전환 스위치(US)로서, 상기 클록 신호(2TS)를 생성시키기 위해 주파수 분할기(DV)에 의해 동작되는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주파수 분할기(DV)에는 루프 필터(LF)를 경유하여 상기 전환 스위치(US)에 연결된 전압-제어형 발진기(VCO)에 의해 제공된 상기 클록 신호(2TS)가 인가되는, 전환 스위치(US)와;
    - 상기 전환 스위치(US)에 의해 형성된 배율기(MTP)인 위상 비교 회로를 포함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신호(2TS 또는 TS)를 생성시키기 위한 상기 회로 장치는 전환 스위치(US)와 두 개의 증폭기(V 및 IV)를 포함하는 위상 비교기를 포함하며, 이들 중 하나의 증폭기(IV)는 반전시키고, 상기 증폭기(V 및 IV)의 서로 연결된 입력단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WS)가 인가되는 상기 위상 비교기의 제1 입력단(In1)을 형성하고, 상기 증폭기(V 및 IV)의 출력단은 상기 전환 스위치(US)를 통해 위상 비교기의 출력단(MTPout)을 형성하고,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로부터 디지털 비교 신호로 동작하는 전환 스위치(US)의 제어 입력단은 상기 위상 비교기의 제2 입력단(In2)을 형성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신호(2TS 또는 TS)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 장치는 워블 신호의 주파수를 가지는 위상-동기화된 구형파 전압인 클록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주파수 분할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형파 전압은 상기 워블 신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 제공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워블 신호 안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상기 전환 스위치(SW1, SW2)는, 두 개의 스위치(SW1, SW2)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의 일측은 저역통과 필터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의 타측은 상기 신호(WS) 및 상기 반전된 신호(WS)가 각각 상기 스위치로 인가되도록 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워블 신호 안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상기 회로 장치는, 디코더에 상기 워블 신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저역통과 필터(R0,C0)와 비교기(COMP)를 추가로 포함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통과 필터는 저항(R0)과 커패시터(C0)를 포함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7.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undulating) 기록 트랙으로부터 스캐닝되고, 클록 신호(TS)를 포함하는 노이즈 있는 신호(WS)로부터, 신호를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로서,
    클록 신호(2TS)는 회로 장치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회로 장치는: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undulating) 기록 트랙으로부터 스캐닝되는 상기 노이즈 있는 신호(WS)와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undulating) 기록 트랙으로부터 스캐닝되는 반전된 노이즈 있는 신호(WS)가 인가되는 전환 스위치(SW1, SW2)로서, 클록 신호(2TS)를 생성시키기 위한 상기 전환 스위치(SW1, SW2)는, 주파수 분할기(DV)에 의해 동작하는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에 의해 제어되고, 이 주파수 분할기는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undulating) 기록 트랙의 클록 신호(TS)와 일치하는 상기 클록 신호(TS)를 상기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에 공급하고, 상기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는 상기 주파수 분할기(DV)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대해 90도 이동되는 출력 신호(DPSout)로 전환 스위치를 동작시키며, 또한 상기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에는 루프 필터(LF)를 통해 상기 전환 스위치(SW1, SW2)에 연결된 전압-제어형 발진기(VCO)에 의해 제공된 상기 클록 신호(2TS)가 인가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신호(2TS)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 장치는, 요동하는 기록 트랙(DPS)에서 스캔된 신호와 상기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로부터의 신호가 인가되는 배율기(MTP)에 의해 형성되는 위상 비교기를 포함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신호(2TS)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 장치는, 상기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요동하는 기록 트랙에서 스캔된 신호와 반전된 신호가 인가되는 전환 스위치(US)에 의해 형성된 배율기(MTP)인 위상 비교기를 포함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전환 스위치(US)가 두 개의 증폭기(V 및 IV)에 연결되고, 이들 중 하나의 증폭기(IV)는 반전시키고, 상기 증폭기(V 및 IV)의 서로 연결된 입력단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WS)가 인가되는 상기 위상 비교기의 제1 입력단(In1)을 형성하고, 상기 증폭기(V 및 IV)의 출력단은 상기 전환 스위치(US)를 통해 위상 비교기의 출력단(MTPout)을 생성하고,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로부터 디지털 비교 신호로 동작되는 전환 스위치(US)의 제어 입력단은 상기 위상 비교기의 제2 입력단(In2)을 형성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신호(TS)는 워블 신호의 주파수를 갖는 위상-동기화된 구형파 전압이며, 상기 구형파 전압은 상기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된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 제공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12.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undulating) 기록 트랙으로부터 스캐닝되고, 클록 신호(TS)를 포함하는 노이즈 있는 신호(WS)로부터, 신호를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로서,
    워블 신호 내에 저장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는 회로 장치에 의해 제공되며, 이 회로 장치는: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undulating) 기록 트랙으로부터 스캐닝되는 상기 노이즈 있는 신호(WS)와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undulating) 기록 트랙으로부터 스캐닝되는 반전된 노이즈 있는 신호(WS)가 인가되는 전환 스위치(US)로서, 상기 워블 신호 내에 저장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워블 신호의 클록 신호(2TS)에 의해 제어되는, 전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신호(2TS)를 생성시키기 위한 상기 회로 장치는, 상기 요동하는 기록 트랙으로부터 스캐닝된 상기 신호(WS) 및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로부터 나온 신호가 공급되는, 배율기(MTP)에 의해 형성되는 위상 비교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신호(TS)는 상기 워블 신호의 주파수를 갖는 위상-동기화된 구형파 전압이며, 상기 구형파 전압은 상기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된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 제공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워블 신호 안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상기 전환 스위치(SW1, SW2)는, 두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의 일측은 저역통과 필터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의 타측은 상기 신호(WS) 및 상기 반전된 신호(WS)가 각각 상기 스위치로 인가되도록 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워블 신호 안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회로 장치는, 상기 워블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디코더에 제공하기 위하여 저역통과 필터(R0,C0)와 비교기(COMP)를 더 포함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통과 필터는 저항(R0)와 커패시터(C0)를 포함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18. 기록 매체 상의 요동하는(undulating) 기록 트랙으로부터 스캐닝되고, 클록 신호(TS)를 포함하는 노이즈 있는 신호(WS)로부터, 신호를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로서,
    클록 신호(2TS)는 회로 장치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회로 장치는:
    전환 스위치(US)에 의해 형성된 배율기(MTP)인 위상 비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 스위치(US)는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전환 스위치에는 상기 요동하는 기록 트랙으로부터 스캔된 신호와 상기 요동하는 기록 트랙으로부터 스캔된 반전된 신호가 인가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스위치(US)는 두 개의 증폭기(V 및 IV)에 연결되고, 이들 중 하나의 증폭기(IV)는 반전시키고, 상기 증폭기(V 및 IV)의 서로 연결된 입력단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WS)가 인가되는 상기 위상 비교기의 제1 입력단(In1)을 형성하고, 상기 증폭기(V 및 IV)의 출력단은 상기 전환 스위치(US)를 통해 위상 비교기의 출력단(MTPout)을 생성하고, 디지털 위상 이동기(DPS)로부터 디지털 비교 신호로 동작하는 전환 스위치(US)의 제어 입력단은 상기 위상 비교기의 제2 입력단(In2)을 형성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신호(TS)는 워블 신호의 주파수를 갖는 위상-동기화된 구형파 전압이며, 상기 구형파 전압은 상기 워블 신호 내에 포함된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 제공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워블 신호 내에 저장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전환 스위치(SW1, SW2)는 두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스위치의 일측은 저역통과 필터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의 타측은 상기 신호(WS) 및 상기 반전된 신호(WS)가 각각 상기 스위치로 인가되도록 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워블 신호 안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회로 장치는, 상기 워블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디코더에 제공하기 위하여 저역통과 필터(R0,C0)와 비교기(COMP)를 더 포함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통과 필터는 저항기(R0)와 커패시터(C0)를 포함하는, 신호 생성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정보 재생을 위한 장치.
KR1020047007564A 2001-11-23 2002-08-29 워블 신호로부터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재생 장치 KR100959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57331.6 2001-11-23
DE10157331A DE10157331A1 (de) 2001-11-23 2001-11-23 Gerät zur Aufzeichnung oder Wiedergabe von Informationen mit Mitteln zur Signalerzeugung aus einem Wobbel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223A KR20050023223A (ko) 2005-03-09
KR100959853B1 true KR100959853B1 (ko) 2010-05-27

Family

ID=770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564A KR100959853B1 (ko) 2001-11-23 2002-08-29 워블 신호로부터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36334B2 (ko)
EP (1) EP1446798B1 (ko)
JP (1) JP4627623B2 (ko)
KR (1) KR100959853B1 (ko)
CN (1) CN1263010C (ko)
AU (1) AU2002337031A1 (ko)
DE (2) DE10157331A1 (ko)
WO (1) WO20030447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4756B2 (en) * 2005-10-11 2010-09-28 Zoran Corporation DVD−R/RW and DVD+R/RW recorders
EP2012320B1 (en) * 2006-03-24 2012-11-21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CN102957423B (zh) * 2011-08-26 2017-03-29 华润矽威科技(上海)有限公司 压电陶瓷变压器谐振频率跟踪电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8410A (en) 1978-05-15 1979-11-20 Oki Electric Ind Co Ltd Timing extracting pll circuit
JPS62266477A (ja) 1986-05-15 1987-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検査方法
JPH0297122A (ja) * 1988-10-03 1990-04-09 Olympus Optical Co Ltd Pll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512A (en) * 1859-12-20 Platform-scale
JPS6011374B2 (ja) * 1975-02-05 1985-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H0416517Y2 (ko) 1985-07-18 1992-04-14
NL8701632A (nl) * 1987-07-10 1989-02-01 Philips Nv Systeem voor het optekenen en/of uitlezen van een informatiesignaal, een registratiedrager, een opteken en/of uitleesinrichting voor toepassing in een dergelijk systeem, en een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ergelijke registratiedrager.
KR940011436B1 (ko) 1989-04-19 1994-12-15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자기디스크 기억장치
SE501156C2 (sv) 1993-04-21 1994-11-28 Ellemtel Utvecklings Ab Referenssignal sammansatt av klocksignal och synkroniseringssignal,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synkronisering m.h.a. referenssignal
ID19364A (id) 1996-09-25 1998-07-02 Thomson Brandt Gmbh Mereproduksi atau alat perekaman untuk mereproduksi, atau perekam, suatu medium perekam optikal
CN1114920C (zh) * 1996-10-11 2003-07-16 三洋电机株式会社 数字记录方法、数字盘记录装置以及数字盘再生装置
TW357346B (en) 1996-10-22 1999-05-01 Hitachi Ltd Data recording medium and data recording reproduction device by means of oscillation of tracks for showing data
JPH10208323A (ja) 1997-01-21 1998-08-07 Sony Corp 周波数復調回路およびそれを有する光ディスク装置
US6310851B1 (en) * 1997-01-21 2001-10-30 Sony Corporation Frequency demodulating circuit, optical disk apparatus thereof and preformating device
TW451191B (en) * 1997-03-19 2001-08-21 Hitachi Ltd Wobble signal detecting circuit, wobble abnormality detecting circui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se circuit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ed in the apparatus or method
JP4143873B2 (ja) 1997-05-14 2008-09-03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6192015B1 (en) 1997-11-06 2001-0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recording medium
JP3447942B2 (ja) * 1998-01-14 2003-09-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JP2000339692A (ja) 1999-05-26 2000-12-08 Hitachi Ltd 情報の記録再生方法、及び情報の記録再生装置
JP2001126250A (ja) * 1999-10-27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EP1098301A2 (en) 1999-11-03 2001-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ysical identification data addressing method using wobble signal, wobble address encoding circuit, method and circuit for detecting wobble address, and recording medium
JP3415574B2 (ja) 2000-08-10 2003-06-09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Pll回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8410A (en) 1978-05-15 1979-11-20 Oki Electric Ind Co Ltd Timing extracting pll circuit
JPS62266477A (ja) 1986-05-15 1987-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検査方法
JPH0297122A (ja) * 1988-10-03 1990-04-09 Olympus Optical Co Ltd Pll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46798A2 (en) 2004-08-18
AU2002337031A8 (en) 2003-06-10
JP4627623B2 (ja) 2011-02-09
DE10157331A1 (de) 2003-05-28
JP2005510001A (ja) 2005-04-14
US7136334B2 (en) 2006-11-14
CN1263010C (zh) 2006-07-05
DE60211203T2 (de) 2006-10-19
CN1592924A (zh) 2005-03-09
WO2003044781A3 (en) 2003-10-23
DE60211203D1 (de) 2006-06-08
EP1446798B1 (en) 2006-05-03
KR20050023223A (ko) 2005-03-09
US20040257938A1 (en) 2004-12-23
WO2003044781A2 (en) 2003-05-30
AU2002337031A1 (en) 200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2461B1 (ko) 위상동기루프회로및이것이내장된재생장치
JPH1098377A (ja) Pll回路
US6341110B1 (en) Pre-pit signal detec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JP3881835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959853B1 (ko) 워블 신호로부터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또는 재생 장치
US6992958B2 (en) Phase-locked loop circuit for reproducing a channel clock
US7061845B2 (en) Write clock generating circuit and optical disk apparatus
US6813231B1 (en) Combined electronics channels in optical disc drive for data detection during reading and for wobble detection during writing
US20040165497A1 (en) Decoder having analog PLL circuit and digital PLL circuit
JP4494941B2 (ja) データ記録用クロック信号発生回路
JP2002032962A (ja) クロック信号発生装置
JP2001052450A (ja) チャネルクロック再生システム
WO2006129478A1 (ja) Pll回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4262214B2 (ja) Pll回路
JP2000149459A (ja) Pll回路
JP3971772B2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JP3720350B2 (ja) 情報記録装置
JP2003157537A (ja) 光ディスク駆動装置
KR19990039389A (ko) 광디스크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JP2004103045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の記録制御方法
JP2005322407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JP2002298367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6107659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8315367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2208233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