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121B1 - 오븐타입바베큐장치 - Google Patents

오븐타입바베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121B1
KR100959121B1 KR1020080015143A KR20080015143A KR100959121B1 KR 100959121 B1 KR100959121 B1 KR 100959121B1 KR 1020080015143 A KR1020080015143 A KR 1020080015143A KR 20080015143 A KR20080015143 A KR 20080015143A KR 100959121 B1 KR100959121 B1 KR 10095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cooling water
housing
air
type barbec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9959A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2008001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1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6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horizontal turn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를 재연소하여 완전연소시킨 후, 연소열을 포함하는 공기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반 밀폐형의 오븐타입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재료 고유의 맛을 유지하면서, 삼투압의 원리에 따라 재료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또는 육즙을 보존하고, 조리재료의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로써 고압증기를 생성시켜 재료가 조리되도록 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븐타입바베큐장치는, 외부와 밀폐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부(100) 내부 일측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회전축(210)이 회전됨에 따라,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하거나, 선택적으로 자전 또는 공전을 하는 다수의 쇠꼬치(25 0)를 포함하는 쇠꼬치구동부(200)와: 하우징부(100) 내면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상의 화덕지지판(310) 상면에 가상의 원호를 따라 설치된 다수의 화덕(320)을 포함하는 화덕구동부(300)와: 하우징부(100) 내면 바닥 중앙부에 설치되는 냉각수조(410) 상단 테두리부에 결합되어, 화덕(320) 상측의 각 불판조립체(33 0)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냉각수분사기(420)를 포함하는 냉각수분사부(400)와: 하우징부(100)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공기공급관(510)으로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공기분사노즐(520)을 포함하는 공기분사부(500)와: 상기 회전축(210)에 결합된 구동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80015143
밀폐, 오븐, 조리장치, 공기, 물, 바베큐, 제어, 처리

Description

오븐타입바베큐장치{Apparatus for oven-type barbecue}
본 발명은, 반 밀폐형 오븐타입의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로써 고압증기를 발생시켜 활성화에너지를 급상승시킴으로써, 열에너지의 전달과 보존을 극대화하여, 육류재료의 겉과 속을 신속하게 익힘으로써, 열에너지가 절약됨은 물론, 고온의 연소가스가 조리재료에 직접 닿지 않으면서도, 삼투압의 원리에 따라 육류재료 내부의 육즙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반면, 건강에 해로운 기름 성분 등은 빠져나오도록 하고, 연소 가스 및 하우징 내부의 공기에 남아있는 잔류찌꺼기가 조리재료에 흡착 또는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반 밀폐형 오븐타입의 하우징 내부에서 일명 '회전형 화덕'에 담겨진 연료가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최대한 보존시키되, 연료를 재연소하여 완전연소시킨 후, 연소열을 포함하고 있는 공기의 흐름을 나선형의 회오리방식으로 구현하여, 각 불판조립체 상의 고압증기를 분산시켜, 불판조립체에서의 기름성분에 의한 '착화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열에너지의 활용효율을 제고시키고, 냉각수로 사용되는 물로써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되는 연소가스를 포함하는 연기 등을 필터링하고, 육류재료 등으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성분 등이 연료에 직접 떨 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별도의 수거용기에 기름성분 등을 분리수거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토록 하는 친환경의 오븐타입바베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선을 비롯하여 소고기, 닭고기, 양고기, 돼지고기 등을 포함하는 육류나 야채 등을 조리하는 방법으로는, 직접 불의 열기를 이용하여 조리하거나, 고온의 기름, 돌 또는 모래 등에 상기 식재료를 넣어서 조리하거나, 또는 밀폐된 용기내에서 고온의 수증기를 쬐여서 식재료를 익히거나, 식재료의 겉을 진흙으로 감싼 후, 이를 불속에서 장시간 경과토록 하는 등의 여러 방법이 사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조리 방법은, 조리 대상인 식재료가 생선류인가 아니면 육류인가 등 어떠한 재료인가에 따라서 그 선택이 달라질 것이며, 또한 동일한 식재료라 하더라도 어떠한 맛이 나도록 조리할 것인가에 따라서도 선택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준비해야 하는 조리 도구 혹은 조리 기구가 달라지게 되며, 이렇게 조리된 식재료는 저마다 색다른 천차만별의 맛을 내게 된다.
특히, 생선을 비롯하여 소고기, 닭고기, 양고기, 돼지고기를 포함하는 육류를 조리함에 있어서는, 직접 불의 열기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인데, 상기의 식재료를 직접 불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서, 일정시간 유지한 상태에서 식재료가 익혀지게 되면 비로소 섭취하게 되는데, 재료 표면이 불에 타거나, 전체면이 골고루 익혀지지 않게 되어 그 맛을 잃게 되어 다른 방법을 강구하게 되었 다.
따라서, 오래전부터 소고기, 닭고기, 양고기, 돼지고기 등의 식재료를 꼬치에 꽂아서 불위에서 통으로 돌리면서 익히는 바베큐 요리를 즐기게 되었다.
그런데, 바베큐 요리를 위한 여러가지 형태의 조리방식에도 불구하고, 한번에 다량의 식재료를 고르게 익히며, 필요에 따라서 익혀지는 속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열원인 화덕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손실을 발생하여 최근에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바베큐 장치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상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바베큐 장치에 따르면, 상기 화덕에 놓여진 열원으로부터의 직화열을 이용하여 단순하게 가열(1차 조리)하여 식재료를 익힐 뿐, 상·하단 간의 고기의 익혀진 정도에 있어서 균질의 조리를 할 수 없으며, 훈제과정 또는 2차 숙성과정이 생략된 것으로서 맛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상기 고기류 등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기름이 곧바로 화덕위로 떨어져서 타게 되면 그 잔유물이 다시 상승하여서 고기표면에 붙게 되고, 직화열의 고온의 열기에 의하여 고기 표면이 검게 타게 되는데, 이를 섭취하게 되면 암을 유발할 우려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화덕의 열원에서 생성되는 불꽃은, 상측으로부터 떨어지는 기름 등 여러 장애 요인에 의하여 완전연소가 이루어 지지 않게 되고, 유해 가스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발생된 유해 가스는 고온의 열과 함께 지붕에 구비된 굴뚝을 통하여 여과 없이 곧바로 바베큐 장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환경 오염은 물론, 1회 사용 후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열을 다시 회수할 수 없어서 에너 지가 낭비되는데, 상단부의 고기까지 충분히 익히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바베큐 장치의 전체 온도를 올려야 함으로써 에너지 낭비가 더욱더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바베큐 장치는, 상기 화덕 내의 열원에서 발생된 열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고기류 등을 조리케 됨으로써, 표면과는 달리 그 내부는 덜 익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고기류에서 배출되는 기름과 함께 내부에 함유된 수분 및 육즙이 고기 밖으로 빠르게 빠져나가게 되므로, 고기 등이 딱딱하게 굳어버려서 고기 특유의 맛을 잃어버리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반 밀폐형 오븐타입의 하우징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최적상태로 제어하여, 열에너지 효율을 제고시킴과 동시에, 열에너지의 보존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 외부로 방출되는 연소가스를 포함하는 연기 등을 깨끗하게 정화처리 할 수 있는 친환경의 오븐타입바베큐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육류재료 전반에 걸쳐 육즙이 잘 관리되도록 하되, 삼투압의 원리에 따라 육류재료 내부의 육즙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되, 반면에 건강에 해로운 기름성분은 밖으로 빠져나오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연소가스에 함유된 연기 등이 조리재료 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직화열의 고온의 열에너지에 의하여 고기 표면이 검게 타면서 생성되는 발암물질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를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를 위한 열원인 다수개의 화덕을 구비함에 있어서, '회전형 화덕'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수개의 화덕에 대하여 하나의 화덕용 도어만으로 선택적으로 대응되도록 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화덕에 담겨진 연료에 최대로 근접한 위치에서 연소가스를 한번 더 재연소시킴으로써,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 록 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고압증기를 발생시킨 후, 이를 삼투압의 원리하에서 육류재료에 투습시키며, 다수의 화덕에 담겨진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각 화덕에서 재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반 밀폐형 오븐타입의 하우징 내부에 별도의 송풍용 팬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부에서 화덕의 연직ㆍ상방으로만 순환하려는 공기의 흐름을 나선형의 '회오리방식'으로 변형ㆍ제어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로써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되는 연소가스를 포함하는 연기 등을 필터링시켜 정화처리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턴테이블 방식'의 화덕지지판 상면에 가상원을 이루도록 다수의 화덕을 배치시키고, 화덕지지판을 회전시켜 하나의 화덕용 도어 정면에 선택적이며, 순차적으로 놓여지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재료의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방출되는 연소가스를 포함하는 연기 등을 정화처리하고, 육류재료 등으로부터 떨어지는 기름 성분 등이 연료에 직접 떨어져 닿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별도의 수거용기에 이를 분리수거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삼투압의 원리에 따라 육류재료 내부의 육즙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반면, 건강에 해로운 기름 성분은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육류재료 전반에 걸쳐 육즙이 잘 관리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바베큐장치에 따르면, 반 밀폐형 오븐타입의 하우징부내에서 순환하는 공기에 잔류하는 기름성분 등의 찌꺼기가 조리재료에 흡착 또는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참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턴테이블(turntable) 방식'의 화덕 구동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다수의 화덕에 대응되는 다수의 화덕용 도어를 설치할 수 없는 좁은 공간에서도, 다수의 화덕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어 공간활용이 훨씬 자유로운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화덕에서 연료가 재연소되는 과정에서 완전연소됨으로써, 열에너지 효율을 제고시킴과 동시에, 유해가스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깨끗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음식점 등에서 식사를 즐기는 다수의 고객에 대하여 안심하고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오븐타입바베큐장치'는, 외부와 밀폐가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부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토록 수직 설치되는 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자전과 공전을 하는 다수의 쇠꼬치를 포함하는 쇠꼬치구동부와: 하우징부 내면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상의 화덕지지판 상면에 가상의 원호를 따라 설치된 하나 이상 다수의 화덕을 포함하는 화덕구동부와: 하우징부 내면 바닥 중앙부에 설치되는 냉각수조 상단 테두리부에 결합되어, 화덕 상측의 각 불판조립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냉각수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냉각수분사부와: 하우징부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공기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공기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공기분사부와: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정화처리하는 연소가스처리부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이들 구성요소를 살펴본다.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에 있어서의 '하우징부'는, 상·하부링을 포함하는 쇠꼬치구동부와 다수의 화덕을 일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화덕구동부를 감싸고, 바베큐 장치의 전체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곳으로서, 이는 지면에 놓여지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화덕구동부를 감싸며, 화덕용 도어를 갖는 화덕측벽면과; 상기 화덕측벽면 상측 방향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연장형성되며, 투명창이 구비된 도어를 갖는 도어측벽면과; 상기 도어측벽면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커버 역활을 하는 덮개면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하우징부' 덮개면의 저면 중앙부에는, 하우징부 내부에서 상승하며 모아진 연소가스를 하방으로 불어주기 위한 송풍팬이 설치되고, 이때 연소가스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연소가스가이드판이 상기 송풍팬의 둘레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에 있어서의 '쇠꼬치구동부'는, 바베큐 구이재료가 달려있는 다수의 쇠꼬치를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하거나, 선택적으로 자전 또는 공전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상·하로 다수쌍으로 구성된 상·하부기어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쌍의 상·하부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쇠꼬치는 각각 외경을 달리하는 상·하부기어에 치합되는 상·하부링의 회전속도차에 따라, 하부링에 지지되면서는 공전 운동을 하고, 상부링에 치합되면서는 자전운동을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쇠꼬치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토록 수직 설치되는 회전축과; 외주면이 회전축에 직교하며 회전축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상하로 다수쌍으로 구성된 상·하부기어에 각각 치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쌍의 상ㆍ하부링과; 일단부는 상기 각 상부링과 치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각 상부링 중심부의 꼬치지지판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각 쌍의 상ㆍ하부링이 회전됨에 따라 자전과 공전을 하는 다수의 쇠꼬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에 있어서의 '화덕구동부'는, 각 화덕에 담겨진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재연소가 이루어짐으로써 완전연소됨과 동시에, 하나의 화덕용 도어로써 하나 이상 다수의 화덕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관리할 수 있는 바베큐장치를 구현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턴테이블 방식'의 화덕지지판 상측에 가상원을 이루도록 각 화덕을 배치시키고, 화덕지지판을 회전시켜 하나의 화덕용 도어 정면에 각 화덕이 선택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화덕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부 바닥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상의 화덕지지판과; 화덕지지판 상면에 가상의 원호를 따라 설치 된 하나 이상의 다수의 화덕과; 상기 화덕지지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화덕구동부'의 화덕은, 서랍식으로 수납되는 재받이통과; 상기 재받이통의 상측에 놓여 참숯 등 연료가 놓이며, 연소된 재가 상기 재받이통으로 떨어지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재걸름망이 구비되고, 상단에 재연소를 위한 재연소망이 구비된 연료통과; 상기 연료통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를 이루며 결합되어, 연소열은 분산시키고, 기름은 하측방향으로 모이도록 하는 불판조립체와; 불판조립체의 하측방향으로 떨어지는 기름을 모으는 기름받이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통에 참숯 등 연료를 얹은 후, 조리하는 과정에서 재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재받이통에 쌓이게 되고, 연소가스는 최대한 근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재연소망을 거치면서 재연소되어 완전연소된 후, 상기 불판 조립체에서 확산되어 상승하게 되고,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은 경사지게 설치되는 불판조립체의 일측으로 모아져서 하측방향으로 떨어진 다음, 각 기름받이에 각각 수집되어 기름수거통에 최종적으로 분리수거된다.
더욱이,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의 불판조립체는, 조리용 식재료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내는 기름받이 역활과 동시에, 상기 연료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이 골고루 확산되도록 구성되는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소열 가이드공을 다수개 구비하는 불판을 상ㆍ하방향으로 다단으로 설치하되 각 불판에 형성된 연소열 가이드공이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도록, 어긋나게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에 있어서의 '냉각수분사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고압증기로 변화시킨 후, 육류재료 전반에 걸쳐 육즙이 잘 관리되도록 하되, 삼투압의 원리에 따라서 재료 내부의 육즙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반면, 건강에 해로운 기름성분은 밖으로 빠져나오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연소가스에 함유된 연기 등이 식재료 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본 발명의 '냉각수분사부'는, 상기 하우징부 바닥면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냉각수조와; 냉각수조 상단 테두리부에 결합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원형의 냉각수공급관과; 상기 냉각수공급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각 화덕의 불판조립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냉각수분사노즐과; 냉각수분사기 하측의 냉각수조 테두리부에 결합되며, 냉각수조의 중심부를 향하여 냉각수를 분무하는 다수의 정화수분무노즐과; 상기 냉각수조에 담겨진 냉각수의 수위가 일정높이로 유지되도록 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냉각수밸브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냉각수분사노즐'에서 분사된 냉각수는, 냉각수조 맞은편의 각 불판조립체에 떨어져서 기화되어 고압증기로 변화되면서 온도가 100°C 이상으로 상승하는데, 이때 상기 고압증기의 활성화에너지가 급상승하면서 육류재료의 겉은 물론 내부까지 열에너지가 신속하게 침투하게 됨으로써, 조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에너지가 절약됨은 물론, 겉은 타고 속은 덜 익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수분무노즐'에서 분무된 냉각수는, 냉각수조 상단부에서 분무되면서 상단부를 커버하는 일종의 '수막'을 형성하는바, 상기 하우징부의 송풍팬에 의하여 송풍되는 연소가스는 연소가스가이드판에 가이드되면서 냉각수조에 다다르게 되고, 정화수분무기에서 분무된 냉각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수막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저하됨과 동시에, 하우징부 외부로 방출되는 연소가스를 포함하는 연기 등을 필터링시켜 정화처리한다.
또한,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에 있어서의 '공기분사부'는, 하우징부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최적으로 제어하여, 열에너지효율을 제고시킴과 동시에 열에너지의 보존을 극대화시키는 구성요소로서, 공기공급관의 일측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공기분사노즐을 통하여 공기를 분사시킴으로써, 하우징부내에서 화덕의 상측 방향으로 순환하려는 '정상 대류'의 공기흐름을 나선형을 이루는 '회오리 방식'의 공기흐름으로 변형ㆍ제어한다.
즉, 각 공기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기로 인하여 연소가스가 하우징부 내에서 회오리방식으로 운동함으로써, 각 불판조립체의 상측에 형성된 고압증기를 나선형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불판조립체상의 기름성분에 의한 '착화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활성화에너지가 급상승한 다량의 고압증기가 각 쇠꼬치에 끼워져 있는 조리재료와 더욱 활발하게 충돌하게 되어 바베큐조리가 더욱 촉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공기분사부'는, 상기 불판조립체의 둘레를 따라 하우징부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원형의 공기공급관과; 공기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며, 가상의 원호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공기분사노즐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에 있어서의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관통된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에 있어서의 '연소가스처리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로써 하우징부의 외부로 방출되는 연소가스를 포함하는 연기 등을 필터링시켜 정화처리함으로써, 친환경의 오븐타입 바베큐장치를 구현토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본 발명의 '연소가스처리부'는, 도어를 비롯하여 도어측벽면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가스와, 화덕용 도어를 비롯하여 화덕측벽면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가스 및 냉각수분사부의 정화수분무기에 의하여 형성된 수막을 통과한 연소가스들을 정화처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연소가스처리부'는, 상기 냉각수분사부의 냉각수조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하부흡입덕트와; 상기 하우징부 덮개면의 테두리 인접 저면과 하우징부 도어측벽면의 상단 외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후,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흡입덕트의 외측단부와 합류되는 상부흡입덕트와; 상기 하우징부 도어측벽면의 테두리 인접 저면과 하우징부 화덕측벽면의 상단 외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후,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흡입덕트의 외측단부와 합류되는 중앙부흡입덕트와 상기 상·중앙부흡입덕트 및 하부흡입덕트가 합쳐진 상태로 연장되는 합류덕트와; 상기 합류덕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흡입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흡입덕트의 내주면에는 연소가스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증감 또는 단속시키는 체크밸브가 구비되는데, 각 흡입덕트에 구비된 체크벨브를 선택하여 조합하되 각각 독립적으로 개ㆍ폐시킴으로써, 각 화덕에 담겨진 연료의 연소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연료의 소비를 최적화하면서 하우징부의 내부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합류덕트에는 수처리블럭이 결합되는바, 이는 양단부 일측에 연소가스유입구와 연소가스배출구가 구비되며, 지면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수처리관과; 상기 수처리관 내주면에 간격을 두어 설치되고, 표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수처리관 내주면 상측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일측 표면을 따라 흐르는 다수개의 기름처리판넬과; 상기 기름처리판넬과 연소가스배출구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름처리판넬을 통과하여 기름성분이 제거된 연소가스를 재처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처리관 내주면에 설치되고, 표면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수처리관 내주면 상측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일측 표면을 따라 흐르는 연소가스처리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의 주요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븐타입바베큐장치는, 외부와 밀폐가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부(100)와: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토록 수직 설치되는 회전축(210)과; 외주면이 회전축(210)에 결합된 각 상ㆍ하부기어(260,270)에 치합되어 연동하는 다수쌍의 상ㆍ하부링(220,230)과; 일단부는 상 기 각 상부링(220)과 치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각 상부링(220) 중심부의 꼬치지지판(240)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각 쌍의 상ㆍ하부링(220,230)이 회전됨에 따라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하거나, 선택적으로 자전 또는 공전운동을 하는 다수의 쇠꼬치(250)를 포함하는 쇠꼬치구동부(200)와: 상기 하우징부(100) 바닥면(1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상의 화덕지지판(310)과; 화덕지지판(310) 상면에 가상의 원호를 따라 설치된 하나 이상의 다수의 화덕(320)을 포함하는 화덕구동부(300)와: 상기 하우징부(100) 바닥면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냉각수조(410)와; 냉각수조(410) 상단 테두리부에 결합되며, 상기 각 화덕(320) 상측에 결합되는 불판조립체(330)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냉각수분사노즐(420)을 포함하는 냉각수분사부(400)와: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공기공급관(510)과; 공기공급관(510)으로부터 분기되며, 가상의 원호를 따라 설치된 다수의 공기분사노즐(520)을 포함하는 공기분사부(500)와: 상기 하우징부(100) 외부로 관통된 회전축(210)에 결합된 구동부(600)와: 상기 하우징부(100)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선택적으로 수(水)처리하는 연소가스처리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에 따르면, 쇠꼬치구동부(200)의 다수개 쇠꼬치(250)에 끼워져 있는 바베큐 조리재료는, 구동부(600)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부(100)내의 쇠꼬치구동부(200)에서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하거나, 혹은 선택적으로 자전 또는 공전을 하면서 익혀진다.
이때, 상기 냉각수분사부(400)의 각 냉각수분사노즐(42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불판조립체(330)에 닿으면서 고압증기로 변화되고, 이때 활성화에너지가 급상 승하면서 재료의 겉과 속이 빠른 시간내에 골고루 익혀지게 되는데, 더욱이 상기 공기분사노즐(520)에서 분사되는 공기로 인하여 하우징부(100)내에서 연소가스가 '회오리방식'으로 운동하면서, 각 불판조립체(330) 상측의 고압증기를 분산시킴으로써, 불판조립체(330)상의 기름성분에 의한 '착화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 쇠꼬치(250)에 끼워져 있는 조리재료에 고압증기가 더욱 활발하게 충돌하면서 바베큐 조리가 더욱 촉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오븐타입바베큐장치는 '턴테이블(turntable) 방식'의 일명 '회전형 화덕'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참숯 등과 같은 연료가 모두 연소되어 각 화덕(320)의 연료를 보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화덕지지판(310)상의 각 화덕(320)이 화덕용 도어(121)의 정면에 다다르도록 구동모터(340)를 작동시키되, 순차적으로 각 화덕(320)의 연료를 보충할 수 있도록 화덕지지판(310)을 회동시킴으로써, 화덕용 도어(121)의 전면에 멈취선 화덕(320)의 연료를 각각 보충한다.
특히, 본 발명 화덕구동부(300)의 화덕(320)에 따르면, 연료통(322)에 담긴 연료가 1차로 연소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킨 다음, 연료통(322) 상단의 최근접한 곳에 설치되는 재연소망(324)을 통과하면서 재연소가 이루어짐으로써 완전연소된다.
그리고, 본 발명 화덕구동부(300)의 화덕(320)에 따르면, 육류재료 등으로부터 떨어지는 기름 등 잔류성분은 참숯 등의 연료에 직접 닿도록 떨어지지 아니하므로, 인체에 유해한 발암물질 등이 생성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뿐만 아니라, 불판조립체(325)에 떨어진 다음 일측으로 가이드된 후 떨어져서, 기름받이(325)에 모여져진 다음 최종적으로 기름수거통(B)에 합류되어 분리수거됨으로써 환경오염을 최대한 저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삼투압의 원리에 따라 육류재료 내부의 육즙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반면, 건강에 해로운 기름 성분 등은 빠져나오도록 하는 등, 육류재료 전반에 걸쳐 육즙이 잘 관리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면부호 P는 냉각수순환펌프가 구비된 '냉각수정화장치'로서, 수처리블럭(770)으로부터 강제순환되는 냉각수내에 함유되어 있는 기름성분을 포함하는 불순물 등을 걸러서 싸이클을 이루며 순환시켜 재사용토록 한다.
미설명부호 C는 화덕지지판 구동체인이다.
도 2는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의 쇠꼬치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를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상·하부링의 회전에 따라서 쇠꼬치가 공전 및 자전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쇠꼬치구동부(200)'는 다수개의 쇠꼬치(250)를 각각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하도록 하거나, 혹은 선택적으로 자전 또는 공전을 하도록 하는 것이면 어느 방식이나 무방하다.
다만, 도시한 바의 쇠꼬치구동부(200)는, 바베큐 구이재료가 달려있는 다수개의 쇠꼬치(250)를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하도록 하거나, 혹은 선택적으로 자전 또는 공전을 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토록 수직 설치되는 회전축(210)과; 외주면이 회전축(210)에 결합된 상ㆍ하부기어(260,270)에 치합되어 연동되는 다수쌍의 상ㆍ하부링(220,230)과; 일단부는 상기 각 상부링(220)과 치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각 상부링(220) 중심부의 꼬치지지판(240)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각 쌍의 상ㆍ하부링(220,230)이 회전됨에 따라 자전과 공전을 하는 다수의 쇠꼬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쇠꼬치구동부(200)'에 따르면, 구동부(600)의 구동모터(610)에 연동되는 회전축(210)상의 다수쌍의 상ㆍ하부기어(260,270)에 치합되어 다수쌍의 상ㆍ하부링(220,230)이 연동되고, 쇠꼬치(250)가 상기 하부링(230)상의 쇠꼬치지지구(230a)에 지지되어 공전 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상부링(220)상의 기어홈(220a)에 쇠꼬치(250)의 회전기어(251)가 순차적으로 걸리면서 회전하여 자전 운동을 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241은 꼬치지지홈이고, 251은 회전기어이며, r은 지지롤러이고, S는 중심축이고, SP는 써포터이다.
도 5는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의 화덕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있어서, 화덕구동부를 포함하는 바베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있어서, 화덕구동부를 포함하는 바베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의 '화덕구동부(300)'는, 상기 하우징부(100) 바닥면(1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상의 화덕지지판(310)과; 화덕지지판(310) 상면에 가상의 원호를 따라 설치된 하나 이상의 다수의 화덕(32 0)과; 상기 화덕지지판(31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화덕구동부(300)'는, 구동모터(340)가 회전함에 따라 화덕지지판(310) 상면에 놓여 있는 다수개의 화덕(320)이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는데, 각 화덕(320)에 담겨진 참숯 등과 같은 연료가 모두 연소되어 새것을 보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340)를 제어하여 구동시킴으로써, 해당 화덕(320)이 각각 화덕용 도어(121)의 정면에서 멈추도록 하고, 새로운 연료를 화덕(32)에 각각 보충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의 '화덕구동부(300)'에 따르면, '턴테이블(turntable) 방식'의 화덕지지판(310)상에 놓여진 다수의 화덕(320)을 구동시킴으로써, 다수의 화덕(320)에 각각 대응되도록 화덕용 도어(121)를 다수개 설치할 수 없는 좁은 공간에서도, 하나의 화덕용 도어(121)로써 다수의 화덕(320)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어, 공간활용이 훨씬 자유로운 특징이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분사부(500)'는, 상기 불판조립체(330)의 둘레를 따라 하우징부(100)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원형의 공기공급관(510)과; 상기 공기공급관(510)으로부터 분기되며, 가상의 원호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공기분사노즐(5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분사부(500)'에 따르면, 공기공급관(51 0)을 통하여 공급된 공기는 상기 다수개의 공기분사노즐(520)로부터 분사되는데, 이때 상기 공기분사노즐(520)이 가상의 원호를 형성하고, 그 분사방향 또한 가상의 원호를 향하게 되어, 분사된 공기는 하우징부(100) 내에서 원을 그림과 동시에 상승하며 마치 '회오리'현상을 일으키게 되는데, 냉각수분사부(400)에 의하여 생성된 고압증기와 연소가스는 공기분사노즐(520)로부터 분사된 공기와 함께 나선을 그리며 대류하게 된다.
따라서, 나선을 그리며 상승하는 연소가스를 포함하는 고압증기 등에 의하여 조리재료는 신속하게, 그리고 겉과 속이 균일하게 익혀지게 된다.
도 8는 냉각수분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수분사부(400)'는, 상기 하우징부(100) 바닥면(110) 중앙부에 설치되는 냉각수조(410)와; 상기 냉각수조(410) 상단 테두리부에 결합되며, 상기 각 화덕(320) 상측에 결합되는 불판조립체(330)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냉각수분사노즐(420)과; 상기 냉각수조(410) 상단 테두리부에 결합되며, 수조중심부를 향하여 냉각수를 분무하는 다수의 정화수분무노즐(430)과; 상기 냉각수조에 일정높이로 수위가 유지되도록 하는 부력체(441)를 포함하는 냉각수밸브(440)와; 상기 냉각수분사노즐(420)과 정화수분무노즐(430)에 연결되어 각각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45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냉각수분사부(400)'에 따르면, 냉각수공급관(450)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의 일부는 다수의 냉각수분사노즐(420)을 통하여 불판조립체(330)를 향해 분사되어 고압증기로 변하고, 나머지는 다수의 정화수분무노즐(430)을 통하여 분무되어 수막을 형성한 후, 상기 냉각수조(410)에 집결된다.
미설명부호 O는 기름수거유로이고, T는 기름수거통이다.
도 9는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의 수처리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의 연소가스처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소가스처리부(700)'는, 냉각수분사부(400)의 냉각수조(410)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하부흡입덕트(710)와; 상기 하우징부 덮개면(140)의 테두리 인접 저면과 하우징부 도어측벽면(130)의 상단 외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후,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흡입덕트(710)의 외측단부와 합류되는 상부흡입덕트(720)와; 상기 하우징부 도어측벽면(130)의 테두리 인접 저면과 하우징부 화덕측벽면(120)의 상단 외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후,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흡입덕트(710)의 외측단부와 합류되는 중앙부흡입덕트(730)와 상기 상·중앙부흡입덕트(720,730) 및 하부흡입덕트(710)가 합쳐진 상태로 연장되는 합류덕트(740)와; 상기 합류덕트(740)의 일측에 결합되는 흡입팬(750)과 각 흡입덕트(71 0,720,730)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다수의 밸브(760)와; 상기 흡입팬(750)과 합류덕트(740)사이에 설치되는 수처리블럭(7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연소가스처리부(700)'의 상부흡입덕트(720)를 통하여 흡입되는 연소가스의 흡입력은, 상부흡입덕트(720)로부터 멀리 위치한 곳일수록 흡입력이 약하게 되고 반면, 상부흡입덕트(720)로부터 가까이 위치한 곳일수록 흡입력이 강하게 형성되는바, 이러한 흡입력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 덮개면(140)의 테두리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 배출효율이 제고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 덮개면(140)의 테두리 인접 저면의 전 유로영역에 걸쳐서 흡입력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부 덮개면(140)의 테두리 인접 저면과 하우징부(100) 도어측벽면(130)의 상단 외면(131) 사이의 유로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부흡입덕트(720)로부터 멀리 위치한 곳일수록 유로(G1)를 좁게 형성시키고, 상부흡입덕트(720)로부터 가까이 위치한 곳일수록 유로(G2,G3)를 넓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F는 유로합류부이다.
그리고, 각 흡입덕트(710,720,730)에 구비된 각각의 체크벨브(760)를 선택적으로 개ㆍ폐시킴에 따라, 각 화덕(320)에 담겨진 연료의 연소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연료의 소비를 최적화하면서 하우징부(100)의 내부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그리고, 상기 수처리블럭(770)은, 양단부 일측에 연소가스유입구(771a)와 연소가스배출구(771b)가 구비되며, 지면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수처리관(771)과; 상기 수처리관(771) 내주면에 간격을 두어 설치되고, 표면에 다수개의 관통공(772a)이 형성되며, 수처리관(771) 내주면 상측의 냉각수분사노즐(771c)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일측 표면을 따라 흐르는 다수의 기름처리판넬(772)과; 상기 기름처리판넬(772)과 연소가스배출구(771b)사이에 설치되고, 표면에 다수개의 배수공(773a)이 형성되며, 수처리관(771) 내주면 상측의 냉각수분사노즐(77 1c)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일측 표면을 따라 흐르는 연소가스처리판넬(7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가스처리판넬(773)로 유입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기름처리판넬(77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름성분이 제거된 연소가스를 한번 더 재처리하는 것으로서, 기름성분의 혼입으로 인한 공기정화에 따른 성능저하를 예방함과 동시에 재처리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소가스처리부(700)'에 따르면, 하우징부(100)의 바깥으로 배출되는 연소가스 등의 공기를 흡입팬(750)으로써 각 흡입덕트(710,720,730)를 통하여 모으고, 이를 수처리블럭(770)을 통과시키는데, 이때 수처리블럭(770)내의 다수의 기름처리판넬(772)과 연소가스처리판넬(773)에 부딪히면서 표면을 흐르는 냉각수에 의하여 온도가 내려감은 물론,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연기를 비롯한 각종 끄을음 등의 찌꺼기를 냉각수에 흡착시키고, 정화된 공기는 연소가스배출구(771b)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도 1은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의 주요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의 상·하부 회전링 작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를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상·하부링의 회전에 따라서 쇠꼬치가 공전 및 자전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의 화덕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 화덕구동부를 포함하는 바베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5에 있어서, 화덕구동부를 포함하는 바베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의 냉각수분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의 수처리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오븐타입바베큐장치의 연소가스처리부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부 110 : 바닥면
120 : 화덕측벽면 130 : 도어측벽면
200 : 쇠꼬치구동부 210 : 회전축
220 : 상부링 230 : 하부링
240 : 꼬치지지판 250 : 쇠꼬치
300 : 화덕구동부 310 : 화덕지지판
320 : 화덕 330 : 불판조립체
400 : 냉각수분사부 410 : 냉각수조
420 : 냉각수분사노즐 430 : 정화수분무노즐
440 : 냉각수밸브 450 : 냉각수공급관
500 : 공기분사부 510 : 공기공급관
520 : 공기분사노즐 600 : 구동부
700 : 연소가스처리부

Claims (10)

  1. 하우징부내에 다수의 화덕과 다수의 쇠꼬치를 구비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부 바닥면(110)의 중앙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하부흡입덕트(710)와;
    하우징부 덮개면(140)의 테두리부(143) 인접 저면과 하우징부 도어측벽면(130)의 상단외면(13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후,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흡입덕트(710)의 외측단부와 합류되는 상부흡입덕트(720)와;
    하우징부 도어측벽면(130)의 테두리부(133) 인접 저면과 하우징부 화덕측벽면(120)의 상단외면(12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후,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흡입덕트(710)의 외측단부와 합류되는 중앙부흡입덕트(730)와;
    상기 상·중앙부흡입덕트(720,730) 및 하부흡입덕트(710)가 합쳐진 상태로 연장되는 합류덕트(740)와;
    상기 합류덕트(740)의 일측에 결합되는 흡입팬(7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750)과 합류덕트(740)사이에 설치되는 수처리블럭(7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블럭(770)은, 양단부 일측에 연소가스유입구(771a)와 연소가스배출구(771b)가 각각 구비되는 수처리관(771)과; 상기 수처리관(771) 내주면에 간격을 두어 설치되고, 표면에 다수개의 관통공(772a)이 형성되며, 수처리관(771) 내주면 상측의 냉각수분사노즐(771c)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일측 표면을 따라 흐르는 다수의 기름처리판넬(772)과; 상기 기름처리판넬(772)과 연소가스배출구(771b)사이에 설치되고, 표면에 다수개의 배수공(773a)이 형성되며, 수처리관(771) 내주면 상측의 냉각수분사노즐(77 1c)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일측 표면을 따라 흐르는 연소가스처리판넬(77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하우징부 바닥면(1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상의 화덕지지판(310)과; 화덕지지판(310) 상면에 가상의 원호를 따라 설치된 다수의 화덕(320)과; 상기 화덕지지판(31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40)로 이루어지는 화덕구동부( 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 바닥면(110) 중앙부에 설치되는 냉각수조(410)와; 상기 냉각수조(410) 상단 테두리부에 결합되며, 상기 각 화덕(320) 상측에 결합되는 불판조립체(330)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냉각수분사노즐(420)과; 상기 냉각수조(410)내의 냉각수위가 일정높이로 유지되도록 하는 부력체(441)를 포함하는 냉각수밸브(440)와; 상기 냉각수분사노즐(42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450)으로 이루어지는 냉각수분사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덕(320) 상측에 결합되는 불판조립체(330)의 둘레를 따라 하우징부(100)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공기공급관(510)과; 상기 공기공급관(510)으로부터 분기되며, 가상의 원호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공기분사노즐(520)로 이루어지는 공기분사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덕(320)은, 구동모터(340)가 작동함에 따라 하우징부 화덕측벽면( 120)의 화덕용도어(121)의 전면에 순차적으로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덕(320)은, 서랍식으로 수납되는 재받이통(321)과; 상기 재받이통(321)의 상측에 놓여 연료가 놓이며, 연소된 재가 상기 재받이통(321)으로 떨어지도록 관통공(h))이 형성된 재걸름(323)망이 구비되고, 상단에 재연소를 위한 재연소망(324)이 구비된 연료통(322)과; 상기 연료통(322)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를 이루며 결합되어, 연소열은 분산시키고, 기름은 하측방향으로 모이도록 하는 불판조립체(330)와; 불판조립체(330)의 하측방향으로 떨어지는 기름을 모으는 기름받이(3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분사부(400)는, 상기 냉각수조(410) 상단 테두리부에 결합되며, 수조중심부를 향하여 냉각수를 분무하는 다수의 정화수분무노즐(4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노즐(520)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하여 하우징부내에서의 공기흐름이 나선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타입바베큐장치.
KR1020080015143A 2008-02-20 2008-02-20 오븐타입바베큐장치 KR100959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143A KR100959121B1 (ko) 2008-02-20 2008-02-20 오븐타입바베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143A KR100959121B1 (ko) 2008-02-20 2008-02-20 오븐타입바베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959A KR20090089959A (ko) 2009-08-25
KR100959121B1 true KR100959121B1 (ko) 2010-05-25

Family

ID=4120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143A KR100959121B1 (ko) 2008-02-20 2008-02-20 오븐타입바베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880B1 (ko) * 2018-08-08 2019-06-11 황종대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273B1 (ko) * 2009-09-24 2011-01-04 박태신 바베큐 구이장치의 화덕
KR101879958B1 (ko) * 2016-12-20 2018-07-18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훈제돈육 제조방법 및 훈연장치
CN106580122A (zh) * 2017-02-22 2017-04-26 合肥舒实工贸有限公司 一种电烤箱封装组件
CN108645178A (zh) * 2018-07-17 2018-10-12 湖北谱莱光电材料有限公司 可提高防雾膜生产效率的烤箱
CN109363526B (zh) * 2018-08-21 2023-12-29 平湖伟峰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燃料烧烤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783A (ko) * 1999-05-10 1999-08-05 박종혁 육류 구이기
KR100500950B1 (ko) 2004-09-25 2005-07-11 권태균 다단 회전식 바비큐 장치
KR100828035B1 (ko) 2006-08-02 2008-05-08 김영환 균질조리 바베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783A (ko) * 1999-05-10 1999-08-05 박종혁 육류 구이기
KR100500950B1 (ko) 2004-09-25 2005-07-11 권태균 다단 회전식 바비큐 장치
KR100828035B1 (ko) 2006-08-02 2008-05-08 김영환 균질조리 바베큐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880B1 (ko) * 2018-08-08 2019-06-11 황종대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959A (ko)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121B1 (ko) 오븐타입바베큐장치
CA2172586C (en) Roasting oven
US5373778A (en) Roasting oven
KR102321891B1 (ko) 육류 직화구이기
KR100828035B1 (ko) 균질조리 바베큐 장치 및 방법
WO1995020902A9 (en) Roasting oven
KR101321528B1 (ko) 고기 구이장치
KR20150055359A (ko) 회전식 구이물 구이기
KR100914173B1 (ko) 회전 구이기
KR100999432B1 (ko) 바베큐장치
KR100950534B1 (ko) 초소형바베큐장치 및 쇠꼬치구동방법
KR100617385B1 (ko) 회전식 바비큐 그릴
KR101974094B1 (ko) 회전 구이 장치
KR100738839B1 (ko) 고기 구이용 황토가마
KR100776306B1 (ko) 바베큐 장치
KR101018466B1 (ko) 연소열이 균등순환되는 바베큐장치
KR101689089B1 (ko) 가마형 구이장치
KR102224413B1 (ko) 회전식 고기 구이기
KR200259785Y1 (ko) 훈연기를 가진 바베큐기
KR100850532B1 (ko) 회전식 바비큐장치
KR200460459Y1 (ko) 가마솥 회전구이기
KR200321549Y1 (ko) 고기구이기
KR200440549Y1 (ko)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
KR102562991B1 (ko) 훈연 구이 장치
KR102562985B1 (ko) 장기간 사용 안정성이 향상된 직화구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