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549Y1 -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 - Google Patents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549Y1
KR200440549Y1 KR2020060030583U KR20060030583U KR200440549Y1 KR 200440549 Y1 KR200440549 Y1 KR 200440549Y1 KR 2020060030583 U KR2020060030583 U KR 2020060030583U KR 20060030583 U KR20060030583 U KR 20060030583U KR 200440549 Y1 KR200440549 Y1 KR 200440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becue
heat
cooking
housing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501U (ko
Inventor
김영환
김기성
Original Assignee
김영환
김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김기성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20060030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54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5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5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5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6Shields or jackets for cooking utensils minimising the radiation of heat, fastened or movably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베큐 조리에 사용된 후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바베큐 장치의 이중 지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은,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 상측 방향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투명창(121)을 갖는 측벽면(120)과; 상기 측벽면(12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외부와 밀폐가 가능한 조리실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덮게면(130)과; 상기 제1 덮게면(130) 상측 방향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전체 테두리가 상기 제1 덮게면(130)의 테두리보다 바깥 방향으로 더 확장되게 형성되는 제2 덮게면(1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우징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열 효율을 제고시키며, 회수된 열로써 바베큐 재료를 한번 더 조리함으로써 바베큐 조리의 맛을 더욱 풍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바베큐, 하우징, 지붕, 이중

Description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Housing for barbecue having double roof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 바베큐장치 하우징의 이중지붕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4는 연소가스가이드조립체에 의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바베큐 조리용 열을 회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내에서 2단계로 바베큐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바닥면 120 : 측벽면 121 : 투명창
122 : 도어 130 : 제1 덮게면 131 : 연소열 유입구
140 : 제2 덮게면 150 : 연소가스 가이드부재
160 : 연소가스 순환팬 170 : 화덕 180 : 쇠꼬치
본 고안은, 바베큐 조리에 사용된 후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바베큐 장치의 이중 지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선을 비롯하여 돼지고기를 포함하는 육류나 야채 등을 조리하는 방법으로는, 직접 불의 열기를 이용하여 조리하거나, 고온의 기름, 돌 또는 모래 등에 상기 식재료를 넣어서 조리하거나, 또는 밀폐된 용기내에서 고온의 수증기를 쬐여서 식재료를 익히거나, 식재료의 겉을 진흙으로 감싼 후, 이를 불속에서 장시간 경과토록 하는 등의 여러 방법이 사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조리 방법은, 조리 대상인 식재료가 생선류인가 아니면 육류인가 등 어떠한 재료인가에 따라서 그 선택이 달라질 것이며, 또한 동일한 식재료라 하더라도 어떠한 맛이 나도록 조리할 것인가에 따라서도 선택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준비해야 하는 조리 도구 혹은 조리 기구가 달라지게 되며, 이렇게 조리된 식재료는 저마다 색다른 천차만별의 맛을 내게 된다.
특히, 생선을 비롯하여 돼지고기를 포함하는 육류를 조리함에 있어서는, 직접 불의 열기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인데, 상기의 식재료를 직접 불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서, 일정시간 유지한 상태에서 식재료가 익혀지게 되면 비로소 섭취하게 되는데, 재료 표면이 불에 타거나, 전체면이 골고루 익혀지지 않게 되어 그 맛을 잃게 되어 다른 방법을 강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인류는 오래전부터 돼지고기 등의 식재료를 꼬치에 꽂아서 불위에서 통으로 돌리면서 익히는 바베큐 요리를 즐기게 되었다.
그러나, 바베큐 요리를 위한 여러가지 형태의 조리방식에도 불구하고, 한번에 다량의 식재료를 고르게 익히며, 필요에 따라서 익혀지는 속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열원인 화덕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손실이 발생하여 최근에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바베큐 장치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상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바, 국내등록 특허 제500950호에 " 다단 회전식 바비큐장치 "가 개시되어 있고, 도 1을 참고하여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따른 종래의 바베큐 장치는, 내부에 열원을 수용할 수 있는 화덕(1)과; 상기 화덕(1)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화덕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회전 자재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과; 상기 회전축(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3)과; 고기를 끼워 지지하기 위한 고기끼움봉(4)과; 상기 화덕(1)의 상부로 돌출된 회전축(2)의 일 지점에 장착되어, 상기 고기끼움봉(4)을 제자리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회전축 주위를 따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수단(5)과; 상기 제1 회전수단(5)과 동일하게 작동하며, 상기 제1회전수단 상부에 위치하는 제2 회전수단(6)과; 상기 제1 회전수단(5) 및 제2 회전수단(6)에 장착된 고기끼움봉(4)의 일부분을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화덕(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회전수단(5) 및 제2 회전수단(6)과 각각 동일한 높이에 수평링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 안내링(7)과: 제2 안내링(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베큐 장치에 따르면, 한번에 다량의 고기를 고르게 익힐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고기가 익혀지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화덕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다량의 고기를 빠른 시간 내에 익힐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바베큐 장치에 따르면, 다수개의 고기끼움봉(4)이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고기끼움봉(4)에 각각 식재료를 끼울수 있어서 다량의 고기를 한꺼번에 익힐 수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3)에 포함되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고기가 익혀지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바베큐 장치에 따르면, 상기 화덕에 놓여진 열원으로부터의 직화열을 이용하여 단순하게 가열(1차 조리)하여 식재료를 익힐 뿐, 훈제과정 또는 2차 숙성과정이 생략된 것으로서, 재료의 내부는 덜 익혀지게 되어 맛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화덕의 열원에서 생성되는 연소 가스는 고온의 열과 함께 지붕에 구비된 굴뚝을 통하여 곧 바로 바베큐 장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단지 1회 사용할 뿐,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열을 다시 회수할 수 없어서 에너지가 낭비되는데, 낭비되는 내부 열에너지를 보충하기 위하여서는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적정 온도 이상의 고온으로 항상 유지시켜야 함으로써, 이로써 바베큐 재료의 표면이 과열되어 검게 타게 되므로 건강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에너지 낭비가 더욱더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화덕에 놓여진 열원 으로부터의 직화열을 이용하여 1차 조리를 하고, 다시 회수되는 열을 이용하여 훈제과정 또는 2차 숙성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바베큐 특유의 맛과 훈제 효과를 나타내는 바베큐장치 하우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밖으로 배출되어 낭비되는 연소열을 다시 회수하여 조리에 재사용 함으로써, 열 효율을 제고토록 하는 바베큐장치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바베큐장치의 지붕 상측에 또 하나의 지붕을 이격되게 고정·설치하여, 두개의 지붕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가이드 통로로 하여서, 바베큐 장치 밖으로 방출되던 연소 열을 회수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상측 방향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투명창을 갖는 측벽면과; 상기 측벽면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외부와 밀폐가 가능한 조리실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덮게면과; 상기 제1 덮게면 상측 방향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전체 테두리가 상기 제1 덮게면의 테두리보다 바깥 방향으로 더 확장되게 형성되는 제2 덮게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각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의 바닥면은, 바베큐 장치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인 화덕이 상부면에 놓이는 부재로서, 바베큐장치 하우징이 직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부재이기도 하다.
그리고, 본 고안 바베큐장치 하우징의 측벽면은,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연장·형성되는 부재로서, 일반적으로 하우징 내부의 바베큐 재료의 조리 진행상태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투명창은 특히 고온의 열에 강한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온도에 의한 화상 등의 안전을 고려하여 이중유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투명창은 조리실 도어를 겸할 수 있는데, 이때 조리실 도어는 슬라이딩 되면서 개폐가능한 '미닫이 방식'의 도어로 구성하거나, 일측에 부착된 손잡이를 앞으로 잡아 당겨서 개폐가능한 '여닫이 방식'의 도어로 구성하여서, 바베큐 조리를 하기 위한 조리 재료를 넣거나, 바베큐 조리가 완료된 재료를 꺼내는데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방식의 도어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와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벽면 사이에는 실링처리를 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이는 상기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와 측벽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바베큐장치의 하우징 내부의 열 에너지가 밖으로 방출될 수 있으므로,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 바베큐장치 하우징의 제1 덮게면은, 상기 측벽에 고정되어 커버 역활을 함으로써, 바닥면, 측벽면과 함께 폐공간 즉, 조리실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단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베큐 장치의 하우징 형태이나, 본 고안에서는 후술하는 제2 덮게면과 함께 이중지붕 구조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덮게면은, 후술하는 제2 덮게면과 이루는 틈새로써 가이드로서 작용하는데, 가이드되는 회수 열 에너지를 다시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중앙에는 관통공 즉, 연소열 유입구를 설치하여야 하며, 상기 연소열 유입구 하방으로는 열 에너지의 회수 즉, 유입을 가속화하기 위하여 팬을 설치하고, 상기 팬에 의하여 유입되는 열 에너지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연소가스가이드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 연직 하방에 연소가스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덮게면 내측의 연소열 유입구 하측 방향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하우징 내측의 상부로 상승되어 머무르고 있는 연소가스 및 열 에너지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덮게면과 제2 덮게면이 이루는 틈새를 가이드로 하여서 상기 연소열 유입구로 유입되는 연소가스 및 열 에너지를 하측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상기 연소가스 가이드부재의 중앙 관통부를 통하여 연소가스 및 열을 하측 방향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연소가스 순환팬을 더 구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본 고안 바베큐장치 하우징의 제2 덮게면은, 상기 제1 덮게면의 상측방향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격되게 설치되는 부재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덮게면과 함께 하우징 밖으로 방출된 열 에너지를 회수하는 가이드 통로 역활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덮게면은, 전체 테두리가 상기 제1 덮게면의 테두리보다 바깥 방향으로 더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우징 밖으로 상승하는 열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하기 위함인데, 열 에너지의 가이드 통로 역활을 하는 제1, 2 덮게판의 배열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게면의 테두리를 통하여 상승하여 빠져나가려는 열 에너지를 너 넓은 테두리내에서 가두면서 포집하기 위하여, 그 테두리를 상기 제1 덮게면의 테두리보다 더 넓게 형성시켜야만, 효율적으로 방출되는 낭비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 바베큐장치 하우징의 이중지붕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은,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 상측 방향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투명창(121)을 갖는 측벽면(120)과; 상기 측벽면(12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외부와 밀폐가 가능한 조리실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덮게면(130)과; 상기 제1 덮게면(130) 상측 방향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전체 테두리가 상기 제1 덮게면(130)의 테두리보다 바깥 방향으로 더 확장되게 형성되는 제2 덮게면(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연소가스가이드조립체에 의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바베큐 조리용 열을 회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바베큐장치에 있어서, 굴뚝을 통하는 것을 제외하고 하우징 밖으로 방출되는 열 에너지의 유형을 살펴보면, 지붕(130)을 통하여 방출되는 열(Q1)과; 측벽면(120)을 통하여 밖으로 방출되는 열(Q2)과; 측벽면(120) 에 형성되는 도어(122)를 통하여, 바베큐재료를 넣거나, 꺼내는 과정에서 도어(12 2)의 열린 틈으로 방출되는 열(Q3)로 구분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바베큐장치 하우징의 이중지붕(130, 140) 구조를 통하여 이들 Q1, Q2, Q3인 열 에너지의 대부분이 회수되게 되는데, 지붕인 제1 덮게면(130)을 통하여 방출되는 상기 Q1 은 상기 제2 덮게면(140)의 내측에 갖히게 되고, 이와 같이 갖힌 열 에너지는 가이드 통로(P)를 따라서 가이드 되고, 상기 연소열 유입구(131)를 통하여 하우징 내부로 회수된다.
그리고, 측벽면(120)을 통하여 밖으로 방출되는 열 Q2와 측벽면(120)에 형성되는 도어(122)를 통하여, 바베큐재료를 넣거나, 꺼내는 과정에서 도어(122)의 열린 틈으로 방출되는 열 Q3는, 각각 상승하면서 제1 덮게면의 테두리 밖으로 따라가면서 상승하게 되나, 상기 제1 덮게면의 테두리보다 더 크게 테두리가 형성되는 제2 덮게면(140)의 내측면 테두리부에서 포집되고, 상기 연소가스가이드부재(150)를 따라서 가이드되다가 상기 연소열 유입구(131)를 통하여 하우징 내부로 회수된다.
도 5는 본 고안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내에서 2단계로 바베큐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내에서는, 직화열에 의한 1차 바베큐 조리외에도, 회수되는 열 에너지에 의한 2차 바베큐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1차 바베큐 조리는, 하우징의 바닥면(110) 상측에 놓인 화덕(170)에서 발생되는 연소 열 및 연소 가스에 의하여, 각각의 쇠꼬치(180)에 꼽혀진 바베 큐 재료에 직화열이 가해짐으로써, 재료의 표면이 익혀지는 과정이나, 이는 대부분 바베큐 재료의 겉 표면만을 익히는 작용을 할 뿐이다.
그러나, 본 고안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내에서 이루어지는 2차 바베큐 조리는, 직화열 보다 다소 낮은 온도를 갖는 회수된 열(Q4)이 하우징 내면의 상층부에서 연소가스가이드부재(150)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연소가스 순환팬 (160)에 의하여 강제로 하강하여서, 상기 1차 조리된 바베큐 재료에 한번 더 가해짐으로써, 바베큐 재료의 속까지 은근하게 열 에너지가 침투된 후, 연소가스 배출팬(190)에 의하여 바베큐 장치밖으로 배출되므로, 이와같이 두 차례에 결쳐서 바베큐 조리가 이루어진 고기는 그 맛이 더욱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화덕에 놓여진 열원으로부터의 직화열을 이용하여 1차 조리를 하고, 하우징 밖으로 방출되는 열을 회수하여, 이로써 훈제과정 또는 2차 숙성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바베큐 특유의 맛과 훈제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베큐 조리에 사용된 후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회수하여, 조리에 재사용 함으로써 열 효율을 제고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투명창(121)을 갖는 측벽면(120)과;
    상기 측벽면(12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외부와 밀폐가 가능한 조리실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덮게면(130)과;
    상기 제1 덮게면(130) 상측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전체 테두리가 상기 제1 덮게면(130)의 테두리보다 바깥 방향으로 더 확장·형성되는 제2 덮게면(1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게면(130)은,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연소열 유입구(1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게면(130)의 연소열 유입구(13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연소가스 및 열 에너지를 하측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연소가스 가이드 부재(150) 와: 상기 연소가스 가이드 부재(150)의 중앙 관통부를 통하여 연소가스 및 열을 하측 방향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연소가스 순환팬(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면(120)은, 일측에 여닫이형 또는 미닫이형 중의 어느 한 형태의 도어(122)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
KR2020060030583U 2006-11-28 2006-11-28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 KR200440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583U KR200440549Y1 (ko) 2006-11-28 2006-11-28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583U KR200440549Y1 (ko) 2006-11-28 2006-11-28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501U KR20080001501U (ko) 2008-06-02
KR200440549Y1 true KR200440549Y1 (ko) 2008-06-17

Family

ID=4132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583U KR200440549Y1 (ko) 2006-11-28 2006-11-28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5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445B1 (ko) * 2014-06-16 2015-12-28 오라관광 주식회사 라운드 슬로우 쿠킹 바비큐 그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501U (ko) 2008-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528B1 (ko) 고기 구이장치
KR200471216Y1 (ko) 바베큐 장치
KR100959121B1 (ko) 오븐타입바베큐장치
KR100617385B1 (ko) 회전식 바비큐 그릴
KR100843323B1 (ko) 회전식 바베큐 장치
KR200440549Y1 (ko)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
KR100614684B1 (ko) 숯불 구이기
KR200196866Y1 (ko) 훈제구이화로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100954556B1 (ko) 참나무 장작 구이기
KR100569211B1 (ko) 고기 구이장치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KR101185789B1 (ko) 요리용 화덕
KR101156632B1 (ko) 바베큐용 오븐조리기
KR100776306B1 (ko) 바베큐 장치
KR102489688B1 (ko) 훈제구이기
KR100777782B1 (ko) 구이실을 갖는 하향연소식 연탄난로
KR200339850Y1 (ko) 구이통이 내장된 회전구이기
KR100936422B1 (ko) 바베큐 구이기
KR100581976B1 (ko) 구이통이 내장된 회전구이기
KR880000236Y1 (ko) 훈연제 스모키 바베큐 가마
KR20100038549A (ko) 연소열이 균등순환되는 바베큐장치
KR200393095Y1 (ko) 음식물 구이장치
KR100725221B1 (ko) 육류 구이장치
KR200411291Y1 (ko) 바베큐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