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752B1 -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752B1
KR100958752B1 KR1020080017025A KR20080017025A KR100958752B1 KR 100958752 B1 KR100958752 B1 KR 100958752B1 KR 1020080017025 A KR1020080017025 A KR 1020080017025A KR 20080017025 A KR20080017025 A KR 20080017025A KR 100958752 B1 KR100958752 B1 KR 100958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icycle
hole
hook
lock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841A (ko
Inventor
심현진
주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고
Priority to KR1020080017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75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2003/005Supports or hold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bike rental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설치되는 록킹기구(100)와, 자전거에 부착되며 상기 록킹기구(100)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기구(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기구(100)는 일측으로 통공(1207)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207)으로 연결되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경사부(1203)를 구비하며 서로 결합하여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120) 및 하부케이스(110)와, 상기 공간에 설치되는 회전축(1470)과, 상기 회전축(1470)이 삽입하는 힌지공(1705)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으로 평탄한 랜드부(1701)를 가지며 타측으로 걸림후크(1707)를 구비하는 후크부재(170)와,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부재(170)의 랜드부(1701)와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브라켓(1810)과, 상기 공간에 설치되는 모터(1460)와, 축공(1483)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1460)에 의하여 회전하며 일측으로 연장되어 랜드부(1701)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후크부재(170)의 회전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잠금부(1485)와 상기 잠금부(1485)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센싱돌기(1487)를 구비하는 잠금부재(1480)와, 상기 잠금부재(1480)의 하부로 설치되며 센싱돌기(1487)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 센서(1425) 및 제2 센서(1426)와, 상기 후크부재(170)와 브라켓(181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475)과, 상기 통공(1207)의 하부로 공간 내에 설치되는 송수신 안테나(1440)와, 상기 안테나(1440)와 제1 센서(1425) 및 제2 센서(1426) 그리고 상기 모터(14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피커(1490)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기구(200)는 걸림후크(1707)에 걸리는 걸림부재(240)와, 상기 안테나(1440)로 신호를 수신하고 안테나(1440)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RF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1)에 관한 것으로; 부정한 방법으로 파손하여 분리하는 것이 어려우며, 설치 높이에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며, 구조가 간단하며, 불완전한 걸림 상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자전거를 걸림 상태로 하거나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자전거, 록킹 장치

Description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Locking System of Bicycle for Lending}
본 발명은 대여용 자전거를 록킹하기 위한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정한 방법으로 파손하여 분리하는 것이 어려우며, 설치 높이에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며, 구조가 간단해지며, 걸림 상태가 불완전하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자전거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걸림 상태나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한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전거를 도시한 것이며, 도 26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 록킹 장치(10)에 자전거가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 록킹 장치(10)는 자전거(1000)를 밀어서 전방휠(1009)을 제1 베이스프레임(11) 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거치프레임(15) 사이에 끼워 거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11) 상의 받침대(14)는 자전거(100)의 전방휠(1009)을 후방 측에서 지지하여 걸림턱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거치프레임(15) 내에 자전거(1000)의 전방휠(1009)을 끼운 상태에서 잠금박스(17)의 동전투입구를 통해 동전을 투입시키게 되면 잠금바(19)가 잠금박스(17)로부터 전진하여 전방휠(1009)의 바퀴살(1011) 사이를 가로질러 잠금 상태를 이루게 되고 열쇠를 잠금박스(17)의 열쇠 구멍에 넣고 회전한 후 잠금바(19)를 후퇴시켜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01은 허브를, 1003은 상기 허브(100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을, 1005는 일측에 상기 하우징(1003)을 가지는 프레임을, 1007은 상기 허브(1001)로부터 연장 구비되는 지지요크를, 1013은 후방휠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록킹 장치(10)는 잠금바(19)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잠금바(19)를 용이하게 파손할 수 있는 구조이며, 자전거(1000)와 잠금박스(17)를 서로 인식시킬 수 없는 구조이므로 자전거(1000)의 인출 대수 등을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잠금바(19)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으면 자전거(1000)가 제대로 록킹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없는 구조이며, 록킹하여 자전거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자전거(1000)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자전거 록킹 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제안된 것으로서, 부정한 방법으로 파손하여 분리하는 것이 어려우며, 설치 높이에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며, 걸림 상태가 불완전하게 되는 것 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불법 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걸림 상태나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록킹 과정이나 언록 과정에서 자전거에 손상 발생 염려가 없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는 고정 설치되는 록킹기구와, 자전거에 부착되며 상기 록킹기구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기구는 일측으로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으로 연결되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경사부를 구비하며 서로 결합하여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와, 상기 공간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삽입하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으로 평탄한 랜드부를 가지며 타측으로 걸림후크를 구비하는 후크부재와,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부재의 랜드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브라켓과, 상기 공간에 설치되는 모터와, 축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며 일측으로 연장되어 랜드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후크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센싱돌기를 구비하는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의 하부로 설치되며 센싱돌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와, 상기 후크부재와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통공의 하부로 공간 내에 설치되는 송수신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와 제1 센서 및 제2 센서 그리고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기구는 걸림후크에 걸리는 걸림부재와, 상기 안테나로 신호를 수신하고 안테나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RF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면에 오목홈이 형성된 브라켓안착부를 구비하는 두 개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측으로 위치하며 돌출 형성된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부와, 상기 오목홈부의 일측으로 지지벽체를 가지는 모터설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은 회전축을 덮도록 브라켓안착부에 고정 설치되는 판 형상인 2개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서로 연결하는 회전방지보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방지보강부는 고정부로부터 이격되며 고정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스프링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의 양측은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며 브라켓안착부와 고정부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후크부재에는 오목하게 스프링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안착부에 접하고 타측은 스프링지지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모터는 모터설치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축에는 제1 기어가 삽입되고, 상기 잠금부재는 잠금부를 구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기어와 치합하는 제2 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는 하부측벽과, 상기 하부측벽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 및 하나 이상의 걸림홈과, 상기 상부케이스를 향하여 형성되는 중공의 잠금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중공의 잠금하우징에는 걸림부재를 가지는 잠금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돌기와 동수의 요홈부와 상기 걸림홈에 삽입하는 걸림홈과 동수의 돌기부와,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도록 상기 하부케이스를 향하여 돌출 연장되는 걸림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는 금속으로 제조되며; 상기 하부측벽의 일측으로 상기 통공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케이스에도 상기 개구부에 맞닿으며 상기 통공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는 개구부가 형성된 내측으로 나사공이 형성된 복수의 설치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개구부를 덮는 비금속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돌기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버부재의 결합 부분에서 침입하는 이물질로부터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와, 내측으로 연장되며 나사공이 형성된 복수의 제2설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테나는 커버부재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설치부재에는 상기 안테나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내측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걸림기구는 고정부재의 절곡부가 삽입되는 삽입통공이 형성된 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며 걸림부재의 걸림부가 노출되도록 안내통공이 형성된 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와 전면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통공을 통하여 후면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삽입공이 형성된 절곡부를 구비하는 판 형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후크부재의 걸림후크에 걸리도록 상기 안내통공을 통하여 전면으로 노출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걸림부 재가 안착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부는 전면커버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공의 내측으로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통공을 개폐하는 회전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커버의 내측으로 자석이 설치되며; 상기 회로기판은 안테나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테나를 제어하는 제3기판과, 상기 오목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과, 상기 통공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부케이스의 내측 설치되고 저면에 리드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2기판 및 제3기판 그리고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상기 안테나에 의하여 걸림기구의 RF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기판의 리드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스피커에서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기구는 절곡부의 삽입공에 허브가 삽입되고, 고정부재에 고정공이 형성되어 자전거의 전방브레이크 고정 볼트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자전거의 정면을 향하도록 자전거에 부착되며, 상기 전면커버는 포켓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1)에 의하면, 걸림부재(240)가 통공(1207)에 삽입된 후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부정한 방법 으로 파손하여 분리하는 것이 어려우며, 경사안내부(1203)에 의하여 록킹기구(100)의 설치 높이에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며, 걸림부재(240)를 절단하지 않는 경우에는 걸림부재(240)를 인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회로기판을 3개의 기판으로 분리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지며, 걸림 상태가 불완전하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걸림기구(200)를 자전거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걸림상태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자전거를 걸림상태로 하거나 열림상태로 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할 필요가 없으며, 록킹 과정이나 언록 과정에서 자전거(1000)에 손상 발생 염려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의 록킹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록킹 장치의 록킹기구가 고정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록킹 장치의 걸림기구가 자전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 걸림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걸림기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록킹기구를 이루는 하부케이스에 구비되는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전방부를 확대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0은 록킹기구에 구비되 는 잠금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1은 록킹기구에 구비되는 후크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2는 록킹기구에 구비되는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록킹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측단면도이며, 도 14는 록킹기구에 구비되는 하부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록킹기구에 구비되는 상부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4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록킹기구에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 및 도 20은 록킹기구에 구비되는 보호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1 및 도 22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24는 도 21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25는 록킹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1)는 자전거(1000)를 록킹하여 적치하기 위한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록킹기구(100)와, 자전거(100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록킹기구(100)와 록킹 또는 언록되는 걸림기구(200)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록킹기구(100)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 상태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록킹기구(100)는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513)과, 상기 지지프레임(513)을 고정 연결하는 가로프레임(511)과, 록킹기구(1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중앙제어부가 내장된 중앙프레임(517)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물에 설치되며, 중앙프레임(517)의 중앙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기구(100)에 록킹 또는 언록되는 걸림기구(2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100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걸림기구(200)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커버(210)와 전면커버(220)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커버(210)에는 고정부재(230)가 삽입하여 후면커버(210)의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공(211)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커버(220)에는 걸림부재(240)의 걸림부(241)가 삽입되어 전면커버(220)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커버(210)와 전면커버(220) 사이에는 삽입공(233)이 형성된 절곡부(231)를 가지는 고정부재(23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230)와 전면커버(220) 사이에는 걸림부재(24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절곡부(231)는 후면커버(210)의 관통공(211)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따라서 삽입공(233)이 후방으로 노출된다.
상기 걸림부재(2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환형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부(241)를 구비하며,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기 걸림부(241)는 전면커버(22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된다. 상기 고정부재(2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커버(210)와 전면커버(220)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노출된다. 상기 고정부재(230)의 노출된 부분에는 걸림기구(200)를 자전거(10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23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기구(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노출된 절곡부(231)의 삽입공(233)에 자전거(1000)의 구성 일부가 삽입되어 자전거(100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공(235)에 나사 등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도 4에 도시 한 바와 같이 삽입공(233)에 자전거(1000)의 허브(1001)를 삽입하여 전방에 설치하며 고정공(235)에 자전거의 전방브레이크 고정 볼트(1013)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서 250은 걸림부재(240)와 고정부재(2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240)를 지지하는 안내부재를, 251은 상기 안내부재(250)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걸림부재(240)와 접촉하는 안내홈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록킹기구(10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통되는 통공(1207)이 형성된다. 이하에서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케이싱부"라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걸림기구(200)를 록킹하는 구성이 설치된다. 상기 통공(1207)의 하부로 외측에 통공(1207)으로 연결되며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 안내경사부(1203)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부(1203)는 하부케이스(110)나 상부케이스(120)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기구(200)를 록킹기구(100)에 록킹하는 경우 걸림기구(200)에 구비되는 걸림부재(240)의 걸림부(241)는 통공(1207)에 삽입된다. 상기 록킹기구(100)와 걸림기구(200)의 설치 높이에 오차가 있는 경우에는 걸림부재(240)의 걸림부(241)는 통공(1207)에 바로 삽입될 수 없게 되며, 통공(1207)의 하부 외측에 형성된 상기 안내경사부(1203)에 접하게 되고 통공(1207)으로 안내되며 자전거(1000)의 전방휠(1009)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들어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자전거(1000)는 안전하게 록킹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로 이루어진 케이싱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도록 케이싱부에 회전축(1470)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1470)에는 후크부재(17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470)은 하부케이스(11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부케이스(1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후크부재(170)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470)이 삽입하는 힌지공(1705)이 형성되며, 힌지공(1705)의 일측으로 평탄한 랜드부(1701)를, 타측으로는 평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후크(1707)를 가진다. 상기 걸림후크(1707)에 걸림부재(240)의 걸림부(241)가 걸리어 록킹기구(100)와 걸림기구(200)는 록킹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 평탄면인 랜드부(1701)의 일측으로는 랜드부(1701)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토퍼(170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랜드부(1701)와 걸림후크(1707) 사이의 몸체부(1709)에는 오목하게 스프링안착부(171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2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2개의 돌출부(1109)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1109)의 상면에는 평면인 브라켓안착부(1113)가 형성되며, 브라켓안착부(1113)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1111)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09)에 형성된 오목홈(1111)에 상기 회전축(1470)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안착부(1113)에 도 12에 도시한 브라켓(1810)이 설치되어 오목홈(1111)을 덮는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470)은 돌출부(1109)와 브라켓(181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도 14에서 도면부호 1127은 가로프레임(511)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세트고정홀을, 1121은 상기 회전축부(1115)의 일측으로 하부케이스(110)에 구비되어 모터는 모터설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회로기판과 중앙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 구멍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상기 브라켓(181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470)을 덮도록 브라켓안착부(1113)에 고정 설치되는 판 형상인 2개의 고정부(1811)와, 상기 고정부(1811)를 브릿지 형태로 서로 연결하는 회전방지보강부(18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방지보강부(1813)는 도 8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109)의 돌출 방향으로 고정부(1811)로부터 이격되며 고정부(1811)를 향하여 연장되는 스프링 지지부(1815)를 가진다.
상기 후크부재(170)는 하부케이스(110)의 돌출부(1109)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1810)은 돌출부(1109)의 상면인 브라켓안착부(1113)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1810)은 랜드부(1701)의 상부로 회전방지보강부(1813)가 위치하도록 브라켓안착부(1113)에 고정 설치하며, 따라서 상기 랜드부(1701)와 회전방지보강부(1813)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재(170)와 브라켓(1810) 사이에는 스프링(1475)이 설치된다. 도 8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1475)의 일측은 후크부재(170)에 스프링안착부(1711)에 안착하여 접촉하며, 타측으로는 회전방지보강부(1813)에 구비되는 스프링지지부(1815)가 삽입한다. 상기 후크부재(170)는 스프링(1475)에 의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후크(1707)가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09)의 후방(상기 랜드부(1701)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부(1109)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축부(1115)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부(1115)에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잠금부재(148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잠금부재(1480)는 잠금부재(148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모터(1460)에 의하여 구동 회전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1480)에는 상기 회전축부(1115)가 삽입하는 축공(1483)이 형성되며, 상기 축공(1483) 주위로 제2 기어(1481)가 형성된다. 상기 잠금부재(1480)는 축공(1483)의 형성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잠금부(1485)와, 상기 잠금부(1485)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센성돌기(1487)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부(1115)의 주위로는 오목하게 오목부(1117)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1480)는 센성돌기(1487)가 오목부(1117)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오목부(1117)에는 도 1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부(1115)의 원주 방향으로 제1 센서(1425) 및 제2 센서(1426)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센서(1425) 및 제2 센서(1426)는 'U자'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수광부, 타측은 발광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부재(1480)가 회전할 때, 잠금부재(1480)와 함께 회전하는 센성돌기(1487)는 제1 센서(1425) 또는 제2 센서(1426)의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간섭될 때, 잠금부재(148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117)의 일측으로 모터(1460)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460)의 축에는 상기 제2 기어(1481)와 치합하는 제1 기어(1461)가 설치된다. 도 14 및 도 21에서 도면부호 1119는 모터(146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체를 도시한 것이다. 제1 기어(1461)와 제2 기어(1481)는 베벨 기어가 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제1 기어(1461)와 제2 기어(1481)에 대한 상세한 도시는 생략한다.
도 8 및 도 25를 참조하여 록킹과 언록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브라켓(1810)을 생략한 것으로 잠금부재(1480)의 잠금부(1485)가 후크부재(170)의 랜드부(1701)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서, 잠금부(1485)에 의하여 후크부재(170)는 회전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에서 브라켓(1810)의 회전방지보강부(1813)는 상기 잠금부(1485)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잠금 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센싱돌기(1487)는 제1 센서(1425)에 위치한다. 도 25와 같은 상태에서는 걸림후크(1707)에 걸리어 있는 걸림부(241)를 이탈시킬 수 없게 된다. 도 25와 같은 상 태에서 모터(1460)에 의하여 도 8에 도시한 상태로 후크부재(170)가 회전하면, 센싱돌기(1487)는 제2 센서(1426)에 위치하고, 잠금부(1485)가 후크부재(170)의 랜드부(1701)의 상부로부터 이탈하며, 후크부재(170)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걸림부(241)를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후크(1707)의 전방 공간 내측으로는 송수신 안테나(1440)가 설치되며, 상기 걸림기구(200)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14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안테나(1440)로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신하는 RF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상기 RF부의 RF신호를 인증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경고음 등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14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록킹 장치(1)는 상기 모터(1460), 제1 센서(1425), 제2 센서(1426), 안테나(1440), 스피커(1490)에 연결되어, 제1 센서(1425), 제2 센서(1426) 및 안테나(14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1460)와 안테나(1440)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하부측벽(1101)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측벽(1101)은 일측으로 상기 통공(1207)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개구부(110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20)도 상기 개구부(1103)에 맞닿으며 상기 통공(1207)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의 개구부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82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재(1820)의 내측으로 안테나(1440)가 설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개구부(1103)가 형성된 내측으로 나사공이 형성된 복수의 설치돌기(1129)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부재(1820)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모서리에서 돌출 구비되어 상기 설치돌기(1129)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1821)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버부재(1820)의 결합 부분에서 침입하는 이물질로부터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1823)와, 내측으로 연장되며 나사공이 형성된 복수의 제2설치부재(18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설치부재(1825)에는 상기 안테나(1440)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1453)를 구비하는 내측커버(145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측벽(1101)과, 상기 하부측벽(1101)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105) 및 하나 이상의 걸림홈(1107)과, 상기 상부케이스(120)를 향하여 형성되는 중공의 잠금하우징(1123)을 구비하며, 상기 중공의 잠금하우징(1123)에는 걸림부재(1125)를 가지는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20)는 도 15,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105)에 걸리는 걸림돌기(1105)와 동수의 요홈부(1205)와 상기 걸림홈(1107)에 삽입하는 걸림홈(1107)과 동수의 돌기부(1209)와, 상기 걸림부재(1125)에 걸리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를 향하여 돌출 연장되는 걸림돌기부(1223)를 구비한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걸림돌기(1105)는 상부케이스(120)의 요홈부(1205)에 삽입하며,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걸림홈(1107)에는 상부케이스(120)의 돌기부(1209)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하부케이스(110)의 잠금하우징(1123)에 구비되는 잠금장치의 걸림부재(1125)가 회전하면서 걸림돌기부(1223)에 걸리게 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는 서로 결합된다.
도 2, 도 15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20)에는 상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1213)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1212)에 록킹기구(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133)가 설치되며, 상기 표시램프(133)도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표시램프(133)를 설치하는 관통구멍(1213) 주위로는 안착홈부(1227)가 형성되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부(1227)에는 덮개부재(1840)가 부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20)에는 도시되지 않은 록킹 장치의 동작을 표시하거나 필요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기판은 1개의 기판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내부 배선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를 단순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판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록킹 장치(1)에서 상기 통공(1207)의 내측으로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통공(1270)을 개폐하는 회전커버(1850)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커버(1850)의 내측으로 자석(1851)이 설치된다. 상기 회로기판은 안테나(1440)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14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테나(1440)를 제어하는 제3기판(1430)과, 상기 오목부(1117)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센서(1425)와 제2 센서(14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1460)를 제어하는 제2기판(1420)과, 상기 통공(1207)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부케이스(120)의 내측으로 설치되고 저면에 리드스위치(1411)를 구비하며 상기 제2기판(1420) 및 제 3기판(1430) 그리고 모터(14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기판(14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로기판이 제1기판(1410), 제2기판(1420) 및 제3기판(143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표시램프(133)는 제1기판(1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3에서 도면부호 1231은 상부케이스(120)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의 변형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지지벽체를, 1229는 상부케이스(12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커버(18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격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보호부재(1830)를 도시한 것으로, 보호부재(1830)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되며, 걸림기구(200)가 통공(1207)으로 삽입할 때 충격하여 록킹기구(10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공(1207) 주위에 설치되며, 통공(1833)이 형성되며 통공(1833)으로 연결되는 경사진 안내부(1831)를 구비한다. 도면부호 1839는 상기 통공(1833)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설치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보호부재(1830)는 상하에 일측으로 돌출된 삽입부재(1835, 1837)를 구비한다. 상기 보호부재(1830)의 하부에 구비되는 삽입부재(1837)는 상부케이스(120)와 커버부재(1820)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18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삽입부재(1835)는 하부케이스(110)와 덮개부재(1840)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걸림기구(200)의 걸림부재(240) 절곡부는 스프링으로 형성하여 설치 오차가 더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도 록킹 및 언록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220)의 전방으로 포켓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포케부에 자전거(1000)의 자물쇠 를 해정하는 열쇠를 적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1)의 작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록킹기구(100)의 각각에 걸림기구(200)가 설치된 자전거가 록킹된 상태에서, 자전거 대여를 요청하는 경우, 중앙제어부로부터 특정 번호의 록킹기구(100)로 언록 신호를 송신하면, 모터(1460)가 작동하면서 도 25 상태로 있는 잠금부재(1480)가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하며, 후크부재(170)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 도 25에서는 잠금부재(1480)의 센싱돌기(1487)는 제1 센서(1425)의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센서(1425)에서는 수광부로 전달되는 발광부의 빛이 차단되고 제2 센서(1426)에서는 차단되지 않은 상태로 되어 후크부(170)의 회전 가능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도 8에서는 잠금부재(1480)의 센싱돌기(1487)는 제2 센서(1426)의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여 제2 센서(1426)에서는 수광부로 전달되는 발광부의 빛이 차단되고 제1 센서(1425)에서는 차단되지 않은 상태로 되어 후크부(170)의 회전 잠김 상태를 감지 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자전거(1000)를 후방으로 당기면 후크부재(170)의 걸림후크(1707)로부터 걸림부(241)가 이탈하여 자전거는 대여된다. 이때 통공(120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커버(1850)가 회전하면서 제1기판(1410)에 구비된 리드스위치(1411)가 "OFF"상태로 되며, 안테나(1440)로부터 RF부가 멀어짐으로써 RF부의 신호가 안테나(1440)로 수신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상기 안테나(1440)와 상기 리드스위치(1411)의 상태는 중앙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기판(1410)을 통하여 중앙제어부로 전달되어 자전거(1000)가 정상적으로 인출되었음을 알려준다.
한편, 자전거(1000)를 반납하는 경우 록킹기구(100)에 걸림기구(200)가 완전히 걸리지 않은 경우에는 안테나(1440)로부터 RF부의 신호는 수신되나 회전커버(1850)가 완전하게 회전하지 않게 되어 리드스위치(1411)가 여전히 "OFF"상태로 되며, 이때에는 제1기판(1410)의 신호에 의하여 스피커(1490)로부터 경고음이 발생하며 중앙제어부에도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반납된 자전거(1000)가 분실 가능한 상태임을 알려준다. 또한, 리드스위치는 "ON"이지만 RF부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도 제1기판(1410)의 신호에 의하여 스피커(1490)로부터 경고음이 발생한다.
그리고 록킹기구(100)에 걸림기구(200)가 완전히 걸려, 안테나(1440)로부터 RF부의 신호가 수신되고, 리드스위치(1411)가 "ON"상태로 된 경우에는 제1기판(1410)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모터(1460)가 작동하고, 잠금부재(1480)가 회전하여 록킹 상태로 된다.
상기 록킹장치(1)는 중앙제어부에 의하여 신호를 주고 받으며 제어되며, 사용자에게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종합시스템(KIOSK)으로 운영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자전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록킹 장치의 록킹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록킹 장치의 걸림기구가 자전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 걸림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걸림기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록킹기구를 이루는 하부케이스에 구비되는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전방부를 확대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록킹기구에 구비되는 잠금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록킹기구에 구비되는 후크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록킹기구에 구비되는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록킹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록킹기구에 구비되는 하부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록킹기구에 구비되는 상부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록킹기구에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록킹기구에 구비되는 보호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도 21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록킹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6는 종래 기술에 의한 대여용 자전거의 록킹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록킹 장치 100 : 록킹기구
110 : 하부케이스 120 : 상부케이스
133 : 표시램프 170 : 후크부재
200 : 걸림기구 210 : 후면커버
220 : 전면커버 230 : 고정부재
240 : 걸림부재 1410 : 제1기판
1420 : 제2기판 1430 : 제3기판
1440 : 안테나 1450 : 내측커버
1460 : 모터 1470 : 피봇축
1480 : 잠금부재 1810 : 브라켓
1820 : 커버부재 1830 : 보호부재
1840 : 덮개부재

Claims (8)

  1. 지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록킹기구(100)와, 자전거에 고정되며 상기 록킹기구(100)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기구(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기구(100)는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통공(1207)이 형성된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에 설치되어 공간 내에 위치하는 회전축(1470)과, 상기 회전축(14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으로 랜드부(1701)를 가지며 타측으로 걸림후크(1707)를 구비하는 후크부재(170)와, 상기 케이싱부에 설치되며 상기 랜드부(1701)와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브라켓(1810)과, 상기 케이싱부에 설치되어 잠금부재(1480)를 회전시키는 모터(1460)와, 상기 케이싱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으로 연장되어 랜드부(1701)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후크부재(170)의 회전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잠금부(1485)와 타측으로 연장되는 센싱돌기(1487)를 구비하는 잠금부재(1480)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케이싱부에 구비되며 잠금부재(1480)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센싱돌기(1487)의 간섭에 의하여 센싱돌기(1487)를 감지하는 제1 센서(1425) 및 제2 센서(1426)와, 일단은 후크부재(170)에 연결되며 타단은 브라켓(1810)에 연결되는 스프링(1475)과, 상기 케이싱부에 설치되는 송수신 안테나(1440)와, 상기 안테나(1440)와 제1 센서(1425) 및 제2 센서(1426) 그리고 상기 모터(14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피커(1490)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기구(200)는 통공(1207)으로 삽입되어 걸림후크(1707)에 걸리는 걸림부재(240)와, 상기 안테나(1440)와 송수신하는 RF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1).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상면에 오목홈(1111)이 형성된 브라켓안착부(1113)를 구비하는 두 개의 돌출부(1109)와, 상기 돌출부(1109)의 일측으로 위치하며 돌출 형성된 회전축부(1115)와, 상기 회전축부(1115)의 둘레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부(1117)와, 상기 오목홈부(1117)의 일측으로 지지벽체(1119)를 가지는 모터설치부(1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1810)은 회전축(1470)을 덮도록 브라켓안착부(1113)에 고정 설치되는 판 형상인 2개의 고정부(1811)와, 상기 고정부(1811)를 서로 연결하는 회전방지보강부(1813)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방지보강부(1813)는 고정부(1811)로부터 이격되며 고정부(1811)를 향하여 연장되는 스프링지지부(1815)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1470)의 양측은 상기 오목홈(1111)에 삽입되며 브라켓안착부(1113)와 고정부(1811)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후크부재(170)에는 오목하게 스프링안착부(1711)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1475)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안착부(1711)에 접하여 연결되고 타측은 스프링지지부(1815)가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 모터(1460)는 모터설치부(1211)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모터(1460)의 축에는 제1 기어(1461)가 삽입되고, 상기 잠금부재(1480)에는 상기 제1 기어(1461)와 치합하는 제2 기어(148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1).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하부측벽(1101)과, 상기 하부측벽(1101)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105) 및 하나 이상의 걸림홈(1107)과, 상기 상부케이스(120)를 향하여 형성되는 중공의 잠금하우징(1123)을 구비하며; 상기 중공의 잠금하우징(1123)에는 걸림부재(1125)를 가지는 잠금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20)는 상기 걸림돌기(1105)에 걸리는 걸림돌기(1105)와 동수의 요홈부(1205)와 상기 걸림홈(1107)에 삽입하는 걸림홈(1107)과 동수의 돌기부(1209)와, 상기 걸림부재(1125)에 걸리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를 향하여 돌출 연장되는 걸림돌기부(12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1).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는 금속으로 제조되며; 상기 하부측벽(1101)의 일측으로 상기 통공(1207)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개구부(1103)가 형성되며 상부케이스(120)에도 상기 개구부(1103)에 맞닿으며 상기 통공(1207)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개구부(1103)가 형성된 내측으로 나사공이 형성된 복수의 설치돌기(1129)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의 개구부를 덮는 판형상의 비금속 커버부재(18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재(1820)는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돌기(1129)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1811)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버부재(1820)의 결합 부분에서 침입하는 이물질로부터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1823)와, 내측으로 연장되며 나사공이 형성된 복수의 제2설치부재(113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테나(1440)는 커버부재(1820)의 내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2설치부재(1131)에는 상기 안테나(1440)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1453)를 구비하는 내측커버(14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1).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200)는 고정부재(230)의 절곡부(231)가 삽입되는 삽입통공(211)이 형성된 후면커버(210)와, 상기 후면커버(210)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며 걸림부재(240)의 걸림부(241)가 노출되도록 안내통공이 형성된 전면커버(220)와, 상기 후면커버(210)와 전면커버(2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통공(211)을 통하여 후면커버(21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삽입공(233)이 형성된 절곡부(231)를 구비하는 판 형상의 고정부재(230)와, 상기 고정부재(230)에 고정되며 상기 후크부재(170)의 걸림후크(1707)에 걸리도록 상기 안내통공을 통하여 전면으로 노출되는 걸림부(241)를 구비하는 걸림부재(240)와, 상기 걸림부재(240)와 고정부재(230) 사이에 구비되며 걸림부재(240)가 안착하는 안내홈(251)이 형성된 보강부재(250)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144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부는 전면커버(220)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1).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1207)의 내측으로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통공(1207)을 개폐하는 회전커버(1850)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커버(1850)의 내측으로 자석이 설치되며; 상기 회로기판은 안테나(1440)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14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테나(1440)를 제어하는 제3기판(1430)과, 상기 오목홈부(1117)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센서(1425)와 제2 센서(14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1460)를 제어하는 제2기판(1420)과, 상기 통공(1207)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부케이스(120)로 내측 설치되고 저면에 리드스위치(1411)를 구비하며 상기 제2기판(1420) 및 제3기판(1430) 그리고 모터(14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기판(1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1).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1440)에 의하여 걸림기구(200)의 RF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기판(1410)의 리드스위치가 작동하는 경우, 스피커(1490)에서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1).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200)는 절곡부(231)의 삽입공(233)에 자전거의 허브가 삽입되고, 고정부재(230)에 고정공(235)이 형성되어 자전거의 전방브레이크 고정 볼트(1013)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자전거의 정면을 향하도록 자전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1).
KR1020080017025A 2008-02-26 2008-02-26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 KR100958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025A KR100958752B1 (ko) 2008-02-26 2008-02-26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025A KR100958752B1 (ko) 2008-02-26 2008-02-26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841A KR20090091841A (ko) 2009-08-31
KR100958752B1 true KR100958752B1 (ko) 2010-05-19

Family

ID=4120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025A KR100958752B1 (ko) 2008-02-26 2008-02-26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7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1499B2 (en) 2008-04-23 2011-11-22 Societe De Velo En Libre-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movable item to a structure
KR101423045B1 (ko) * 2012-12-05 2014-07-24 주식회사 세올전자 침입방지용 플래시 장치
CN107130848A (zh) * 2017-06-29 2017-09-05 美的智慧家居科技有限公司 锁具、智能门锁及其防盗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0464A (ja) 1999-08-20 2001-05-15 Miyata Ind Co Ltd 自転車の施錠装置
KR20070061523A (ko) * 2004-07-21 2007-06-13 지쌔데코 소시에떼 아노님 자전거 자동 보관 시스템
JP2007293472A (ja) 2006-04-24 2007-11-08 Amano Corp 駐輪場管理システム
KR100806049B1 (ko) 2007-02-16 2008-02-26 권혁숙 자전거 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0464A (ja) 1999-08-20 2001-05-15 Miyata Ind Co Ltd 自転車の施錠装置
KR20070061523A (ko) * 2004-07-21 2007-06-13 지쌔데코 소시에떼 아노님 자전거 자동 보관 시스템
JP2007293472A (ja) 2006-04-24 2007-11-08 Amano Corp 駐輪場管理システム
KR100806049B1 (ko) 2007-02-16 2008-02-26 권혁숙 자전거 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841A (ko) 200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12251A (ja) メダル貸出機
KR100958752B1 (ko) 대여용 자전거 록킹 장치
JP4578982B2 (ja) 遊技機
JP4721873B2 (ja) 遊技機
JP2010201107A (ja) 遊技機
JP2004305421A (ja) 遊技機の基板不正監視装置及び遊技機の基板ケース
JP3711532B2 (ja) パチンコ遊技機の基板収納ケース
JP2013162910A (ja) 遊技機
JP4078228B2 (ja) 分離型遊技機
JP2011050413A (ja) 遊技機
JP4353908B2 (ja) 遊技機
JP4011298B2 (ja) パチンコ遊技機の基板収納ケースの着脱構造
JP2006230524A (ja) 遊技機
JP2007061238A (ja) 遊技機
JP4093559B2 (ja) 遊技機
JP2009247403A (ja) 遊技機用基板ケースの取付構造
JP2012120558A (ja) 遊技機
JP2011189002A (ja) 遊技台の基板収納ケース
JP5079553B2 (ja) 遊技機
JP5417625B2 (ja) 遊技台の基板収納ケース
JP4984507B2 (ja) 遊技機
JP4116416B2 (ja) 遊技機
JP5344625B2 (ja) 遊技機
JP5950447B2 (ja) 基板ケース
JP2004275389A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