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180B1 - 수유식 튀김장치 - Google Patents

수유식 튀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180B1
KR100958180B1 KR1020090115446A KR20090115446A KR100958180B1 KR 100958180 B1 KR100958180 B1 KR 100958180B1 KR 1020090115446 A KR1020090115446 A KR 1020090115446A KR 20090115446 A KR20090115446 A KR 20090115446A KR 100958180 B1 KR100958180 B1 KR 100958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transparent window
water
oil
frying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섭
정 구 김
Original Assignee
이종섭
정 구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817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5818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섭, 정 구 김 filed Critical 이종섭
Priority to KR102009011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5Valves or arrangements to drain used oil or food particle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fry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튀김통 내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튀김통의 일 측면에 투명창이 마련된 수유식 튀김장치가 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튀김통 하부에 마련되는 하나의 배출밸브만을 구비한 상태에서도 튀김통 내부에 적정량의 물과 튀김기름을 셋팅할 수 있게 되므로, 튀김통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투명창을 통해 튀김통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된 상태에서는 수유식 튀김장치의 사용도중 기름층의 튀김기름을 튀김통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서도 기름층 하부의 물을 쉽게 교체하거나 보충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튀김통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보충 및 교환 작업도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유식 튀김장치{water and oil fryer }
본 발명은 수유식 튀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튀김통의 구조가 간소화됨과 동시에 물과 튀김기름의 보충 및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유식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튀김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내부에 히터가 설치된 튀김통을 구비하는 튀김장치를 사용하여 튀김통 내부에 튀김기름을 붓고 이를 히터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튀기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튀김음식물을 조리하다 보면, 튀김기름이 가열되면서 산패되어 인체에 해로운 지방산을 형성하게 되고, 튀김조리 과정에서 음식물로부터 음식물찌꺼기 등이 계속적으로 떨어져 나오게 된다.
이러한 지방산과 음식물찌꺼기는 튀김기름을 쉽게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는데, 이에 따라 종래 튀김장치의 사용 중에는 튀김기름을 수시로 갈아 주어야 했으며, 이로 인해 종래 튀김장치는 튀김기름이 과도한 소모로 인해 경제적이지 못했 다.
따라서 최근에는 튀김기름의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튀김기름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수유식 튀김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는 튀김통 내부에 물과 튀김기름을 함께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수유식 튀김장치에 있어서 튀김통 내부로 함께 수용된 물과 튀김기름은 비중차에 의해 물이 튀김통 저부에 위치되고 튀김기름이 물 상부의 튀김통 내부에 위치되도록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되고, 이때 튀김기름의 높이는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튀김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튀김기름이 가열되면서 형성되는 지방산이 튀김기름 하부의 물에 의해 용해되고, 튀김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음식물찌꺼기가 튀김기름 하부의 물 쪽으로 가라 않기 때문에, 지방산이나 음식물찌꺼기로 인해 튀김기름이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튀김기름의 소모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 수유식 튀김장치에 있어서 튀김통 내부에 함께 수용되는 물과 튀김기름의 량은 히터의 용량이나 한 번에 조리될 튀김음식물의 조리량에 맞게 항시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종래 튀김장치는 튀김통 외부에서 튀김통 내부의 물과 튀김기름의 적정량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튀김통에 튀김기름과 물을 적정수준으로 셋팅하기 위하여 튀김기름과 물의 경계 위치와 대응하는 튀김통 상부 측면 쪽과 바닥 쪽에 각각 별도의 배출밸브가 설치된다.
즉, 종래 수유식 튀김장치에 있어서 튀김통에 물과 튀김기름을 셋팅할 때는 튀김통 내부를 완전히 비운 상태에서 상부 쪽 배출밸브를 개방하고 하부 쪽 배출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먼저 상부 쪽 배출밸브를 통해 물이 나오게 될 때까지 튀김통 내부로 물을 붓게 된다. 상부 쪽 배출밸브를 통해 물이 나온다는 것은 물이 정해진 량만큼 투입되는 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 상태에서 이용자는 상부 쪽 배출밸브를 닫고 물 상부의 튀김통 내부로 적정량의 튀김기름을 붓게 되고, 이를 통해 튀김통 내부에 적정량의 물과 튀김기름이 셋팅된다. 이러한 물과 튀김기름의 셋팅작업은 최초 튀김통 내부에 물과 튀김기름을 채울 때는 물론 튀김장치의 이용 도중 음식물찌꺼기를 물과 함께 배출한 후 다시 새로운 물을 채우거나 튀김기름을 보충 및 교체할 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2개의 배출밸브를 이용하여 튀김통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적정량을 셋팅하도록 되어 있는 종래 수유식 튀김장치는 2개의 배출밸브로 인해 튀김통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었으며, 물과 튀김기름의 보충 및 교체시에도 항시 튀김통 내부를 완전히 비운 상태에서 전술한 물과 튀김기름의 셋팅작업을 반복해야만 했기 때문에, 물과 튀김기름의 보충 및 교체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튀김통의 구조가 간소화됨과 동시에 물과 튀김기름의 보충 및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유식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상부로 개방된 튀김통과, 상기 튀김통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 하부 쪽 상기 튀김통 내부에 수용되는 물과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물 상부의 튀김통 내부에 수용되는 튀김기름의 량을 상기 튀김통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튀김통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투명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창에는 상기 물과 튀김기름 사이의 표준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표준선이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창은 상기 튀김통의 측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창 외곽에는 금속재질의 외곽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투명창은 상기 외곽 프레임을 통해 상기 튀김통 일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창이 상기 튀김통의 측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창 외곽에는 금속재질의 외곽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튀김통 일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투명창의 외면 쪽 상기 외곽 프레임에는 상기 물과 튀김기름 사이의 표준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금속재질의 강선으로 마련된 표준선이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튀김통을 감싸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창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싱의 일 측면에는 개폐도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상기 튀김통의 바닥면 쪽에 마련되는 배출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투명창 반대 쪽 상기 튀김통의 타 측면보다 상기 투명창이 마련된 상기 튀김통의 일 측면에 더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튀김통 타 측면과 상기 배출밸브 사이의 상기 튀김통의 바닥면은 상기 배출밸브 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창은 결정화 유리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창 외곽에는 금속재질의 외곽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투명창의 외곽 쪽 측면과 상기 투명창의 전면 테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투명창의 후면 테두리에는 상기 투명창을 상기 외곽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내열성 고무재질의 패킹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튀김통 내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튀김통의 일 측면에 투명창이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튀김통 하부에 마련되는 하나의 배출밸브만을 구비한 상태에서도 튀김통 내부에 적정량의 물과 튀김기름을 셋팅할 수 있게 되므로, 튀김통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투명창을 통해 튀김통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된 상태에서는 수유식 튀김 장치의 사용도중 기름층의 튀김기름을 튀김통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서도 기름층 하부의 물을 쉽게 교체하거나 보충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튀김통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보충 및 교환 작업도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상부로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하우징(10)을 통해 외관을 이룬다. 하우징(10)의 각 모서리 하단에는 지지다리(11)가 연결되고, 지지다리(11)의 하단에는 하우징(10)의 간편한 이동을 위한 바퀴(12)가 설치되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튀김통(20)이 설치된다.
튀김통(20) 역시 하우징(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부로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루며, 튀김통(20)은 개방부 둘레 상부가 하우징(10)의 개방부 둘레에 일체로 연결되어 하우징(10)에 고정된다.
상기 튀김통(20) 내부공간에는 튀김기름(o)과 물(w)이 함께 수용되는데, 이러한 물(w)과 튀김기름(o)은 상호 간의 비중차에 의해 튀김통(20) 내부공간의 하부에 물층(1)이 위치되고 튀김기름(o)이 물(w) 상부의 튀김통(20) 내부공간에 기름층(2)을 형성하도록 자연적으로 분리된다.
기름층(2) 중간 정도가 되는 튀김통(20) 내부 공간에는 튀김기름(o)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30)가 설치되며, 기름층(2) 저부 정도에 해당하는 히터(30) 하부 쪽 튀김통(20) 내부 공간에는 냉각관(40)이 설치된다.
히터(30)는 가스에 의해 발열하는 가스식이나 전기공급시 발열하는 전기식 중 어느 것으로든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관(40)은 튀김통(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자연대류에 의해 내부를 경유하는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기름층(2)에 인접한 물층(1)의 물(w)을 냉각시키게 된다.
기름층(2)에 인접한 물층(1)의 물은 히터(30) 및 히터(30)에 의해 가열된 기름층(2)에 의해 가열되면서 수증기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수증기는 기름층(2)을 뚫고 상부로 비산되면서 폭발할 우려가 있는데, 상기 냉각관(40)을 설치하게 되면, 냉각관(40)을 따라 흐르는 외부 공기에 의해 기름층(2)에 인접한 물층(1)의 물(w)이 냉각됨에 따라 물층(1)의 폭발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수유식 튀김장치는 기름층(2)에 의해 튀겨지는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튀김망(50)을 더 구비하며, 이러한 튀김망(50)은 히터(30) 상부의 기름층(2) 내부로 투입되도록 마련된다. 또 하우징(10)의 개방부 후방 쪽으로는 상부로 연장된 지지대(13)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지지대(13)는 튀김망(50)을 걸기 위한 걸이홈(13a)을 구비하여 튀김 조리가 완료된 상태나 튀김 조리 준비 중에 있는 튀김망(50)을 걸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 하우징(10)의 전방 쪽 측면 상부에는 수유식 튀김장치의 전반적인 조작을 위한 조작패널(14)이 설치된다. 조작패널(14)에는 히터(30)의 온오프 동작 및 히 터(30)의 발열 정도나 히터(30)의 구동시간을 조작하기 위한 다수개의 조작스위치(14a)와, 수유식 튀김장치의 전반적인 동장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4b)가 설치된다. 그리고 조작패널 하부의 하우징(10)의 전방 쪽 측면에는 튀김통(20)을 청소할 때나 튀김통(20) 내부의 물(w)이나 튀김기름(o)을 보충 및 교체할 때 이용되도록 개폐도어(15)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마련되는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튀김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먼저 조작패널(14)의 조작스위치(14a)를 조작하여 히터(30)를 구동시키고 히터(30)의 가열정도 및 가열시간을 선택한 상태에서 기름층(2)을 가열시키고, 이 상태에서 튀길 음식물이 올려진 튀김망(50)을 히터(30) 상부의 기름층(2)에 집어 넣어 튀김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이때 튀김기름(o)이 가열되면서 형성되는 지방산은 튀김기름(o) 하부의 물(w)에 의해 용해되고, 튀김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음식물찌꺼기는 튀김기름(w) 하부의 물층(1) 속으로 가라 않기 때문에, 상기 튀김기름은 지방산이나 음식물찌꺼기로 인해 쉽게 오염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튀김통(20) 내부에 함께 수용되는 물(w)과 튀김기름(o)의 량은 히터(30)의 용량이나 한 번에 조리될 튀김음식물의 조리량에 맞게 항시 적정량의 표준상태 유지하여야 하며, 본 실시에에 따른 튀김장치는 상기 튀김통(20)의 일 측면에 튀김통(20) 내부 물층(1)과 기름층(2) 사이의 표준경계를 튀김통(20) 외부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60)이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이러한 투명창(60)으로 인해 튀김통(20)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튀김통(20)에 수용되는 물(w)과 튀김기름(o)의 보충 및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투명창(60) 및 투명창(60)의 설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창(60)은 이용자가 튀김통(20)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튀김통(20)의 청소시 이러한 투명창(60)을 통해 청소도구나 이용자의 손을 튀김통(20) 내부로 넣을 수 있도록 상기 개폐도어(15)와 대응하는 튀김통(20)의 일 측면에 튀김통(20)의 일 측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투명창(60)의 개폐구조를 위해 튀김통(20)의 일 측면에는 개구(21)가 형성되고, 투명창(60)은 외곽프레임(70) 등과 함께 투명창조립체(100)를 형성하며, 이러한 투명창조립체(100)는 상기 개구(21)에 상하방향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외곽프레임(70)은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투명창(60)의 외곽 쪽 측면과 투명창(60)의 전면 테두리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외곽프레임(70)의 상부에는 상기 개구(21)에 상부에 설치되는 힌지축(22)이 끼워지도록 힌지홀(71)이 가공되며, 투명창(60) 하부 쪽 튀김통(20)의 하면에는 닫혀진 상태의 외곽프레임(70) 하단을 구속하여 수유식 튀김장치의 사용도중 투명창조립체(100)의 개방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속수단(23)이 설치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24는 투명창조립체(100) 양측의 튀김통 외면에 배치되는 축브래킷으로, 상기 힌지축(22)은 이러한 축브래킷(24)을 통해 개구(21) 상부의 튀김통(20) 외부에 고정된다.
또 상기 투명창(60)은 후면이 튀김통(20) 내부에서 가열되는 튀김기름(o)과 직접 접촉되도록 마련되므로 내열성이 커야하며, 튀김통(20)의 측벽 일부를 형성하는 만큼 충분한 강성을 지녀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창(60)은 결정화 유리를 통해 마련된다.
일반적으로는 산화리튬과 알루미나와 규산을 기초성분으로 하는 유리를 자외선을 쬔 후에 가열하면 연화온도 약 500℃ 부근에서 작은 결정이 생기고, 이를 다시 가열하면 작은 결정을 핵으로 하여 0.02 ~ 20㎛의 미세한 결정으로 가득 찬 결정화 유리를 얻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투명창(60)을 형성하는 결정화 유리는 일반적인 결정화 유리의 성분 이외에 산화지르코늄 및 산화티타늄과 같은 금속산화물 조성을 더 구비하여 800℃ 부근에서 2번의 결정화과정을 거쳐 마련된 고성능의 초 내열성 결정화 유리가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창(60)은 조직이 치밀하여 내열성이 높고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열팽창률이 0에 가까울 정도로 작아 튀김음식물의 조리시에 파손 및 손상될 우려가 없다.
또 전술한 초 내열성 결정화 유리로 마련된 상기 투명창(60)은 열이 가해졌을 때 약간의 연성을 지니도록 마련되어 외곽프레임(70)의 변형시에도 깨지지 않게 되는데, 이를 좀더 효과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상기 투명창(60)의 후면 쪽 테두리에는 투명창(60)을 외곽프레임(70)에 고정시키기 위한 내열성 고무재질의 패킹부재(80)가 마련된다. 패킹부재(80)는 높은 내열성과 신축성을 갖도록 마련된 것으로 튀김통(20)의 온도에 의해 외곽프레임(70)이 변형될 경우 이를 흡수하여 투명창(60)의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튀김통(20) 내부 물(w)과 튀김기름(o)의 적정량 셋팅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투명창(60) 주변의 튀김통(20) 외면이나 투명창(60)에는 물(w)과 튀김기름(o) 사이의 표준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표준선(9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표준선(90)은 투명창(60)에 일체로 마련되어 물층(1)과 기름층(2) 간의 경계가 표준선(90)과 겹쳐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투명창(60)에는 상기 표준선(90)이 일체로 마련되며, 이러한 표준선(90)은 금속재질의 강선으로 마련되어 양단이 투명창(60) 전면 쪽 외곽프레임(70) 양쪽에 용접됨으로써 투명창(60)과 일체를 이룬다. 이와 같이 금속재질의 강선으로 마련되어 투명창(60) 전면 쪽 외곽프레임(70)에 용접되는 표준선(90)은 수유식 튀김장치의 사용기간 내내 변형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상기 투명창(60)의 길이는 튀김통(20) 내부 물(w)과 튀김기름(o)의 셋팅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상단이 상기 물층(1)과 기름층(2)의 표준 경계보다 높고 하단이 튀김통(20)의 바닥 쪽에 인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튀김통(20)의 바닥면 쪽에는 물(w)이나 튀김기름(o)과 같은 튀김통(20) 내부의 내용물의 보충 및 교체나 청소시에 이러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밸브(200)가 마련되는데, 상기 배출밸브(200)를 통해 튀김통(20) 외부로 배출되는 물(w)이나 튀김기름(o)의 배출동작을 투명창(60)을 통해 보다 용 이하게 관찰 할 수 있도록 튀김통(20)의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는 경사를 갖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밸브(200)는 튀김통(20) 바닥면에 연결되는 배출구(201) 및 배출구(201)의 개방동작을 조작하는 밸브체(202)로 구성되어 투명창(60) 반대 쪽 튀김통(20)의 측면보다 투명창(60)이 마련된 쪽 튀김통(20)의 측면 쪽에 더 인접하도록 튀김통(20)의 바닥면 쪽에 설치되며, 튀김통(20)의 바닥면에 있어서 투명창(60) 반대 쪽 튀김통(20)의 측면과 배출밸브(200) 사이의 튀김통(20) 바닥면은 배출밸브(200) 쪽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25)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튀김통(20)의 바닥면에 있어서 투명창(60)에서 멀리 떨어지게 되는 후방 쪽이 투명창(60)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된 상태에서는 이용자가 투명창(60)을 통해 튀김통(20) 외부에서 내부를 들여다 볼 때 배출밸브(200)로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동작을 보다 정확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경사면(25)은 배출밸브(200)를 통한 물(w)의 배출동작시 물(w)에 가라앉은 음식물찌꺼기를 배출구(201) 쪽으로 원활하게 안내 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 투명창(60)을 이용하여 튀김통(20) 내부에 물(w)과 튀김기름(o)을 적정량으로 셋팅하는 과정 및 이를 통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최초 비어 있는 튀김통(20) 내부에 물(w)과 튀김기름(o)을 정해진 적정량으로 셋팅하고자 채워 넣을 때는 상기 배출밸브(200)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먼저 튀김 통(20) 상부의 개방부를 통해 튀김통(20) 내부로 물(w)을 넣게 된다.
이때 이용자는 개폐도어(1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투명창(60)을 통해 튀김통(20) 내부 물층의 수면이 상기 표준선(90)에 일치될 때까지 지켜보면서 적정량의 물(w)을 튀김통(20) 내부에 넣을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이 상태의 튀김통(20) 내부 구조가 도시된다.
그리고 튀김통(20) 내부의 물(w)이 상기 표준선(90)까지 정확하게 채워진 이후 이용자는 튀김통(20)의 개방부 상부 쪽에서 튀김통(20)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적정량의 튀김기름(o)을 튀김통(20) 내부로 붓게 되고, 이로써 수유식 튀김장치의 사용 전에 물(w)과 튀김기름(o)의 정확한 셋팅 작업이 완료된다. 기름층(2)의 적정량이 표시되도록 상기 히터(30) 상부의 튀김통(20) 내벽에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또 수유식 튀김장치의 사용 도중에는 물층(1) 속에 가라앉은 음식물찌꺼기를 배출구(20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거나, 물(w)이나 튀김기름(o)을 보충 및 교체할 필요가 생기게 되며, 이러한 작업 이후에도 튀김통(20) 내부의 물(w)과 튀김기름(o)의 량은 적정량으로 다시 셋팅되어야 한다.
단순히 튀김기름(o)을 보충하는 경우에는 튀김통(20) 상부의 개방부를 통해 튀김기름(o)을 보충하면 되고, 튀김기름(o)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튀김통(20) 내부 물(w)과 튀김기름(o)을 배출밸브(200)를 통해 외부로 모두 빼 낸 상태에서 전술한 최초 셋팅시의 동작이 반복되므로,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튀김통(20) 내부 물을 교체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수유식 튀김장치의 사용 도중 물층(1)에 가라앉은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하고 다시 물을 깨끗한 것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 먼저 이용자는 상기 투명창(60)을 통해 튀김통(20) 내부를 관찰하면서 배출밸브(200)를 열어 물층(1)의 물(w)이 대부분 튀김통(2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튀김통(20) 내부 음식물찌꺼기는 물(w)과 함께 튀김통(20)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계속해서 이용자는 투명창(60)을 통해 튀김통(20) 내부를 확인하여 물층(1) 상부에 분리된 튀김기름이 배출되기 전에 배출밸브(200)를 닫게 된다. 도 6에는 이 상태의 구조가 도시된다.
그리고 튀김통(20)의 물(w)이 대부분 튀김통(20) 외부로 배출되어 배출밸브(200)를 잠근 상태에서 이용자는 튀김통(20)의 개방부를 통해 튀김통(20) 내부로 새로운 물을 넣게 된다. 이때 튀김통(20) 내부로 부어진 물은 잠시 기름층(2)의 튀김기름(o)과 혼합되었다가 튀김기름(o)과의 비중차에 의해 기름층(2) 하부로 이동되어 물층(1)을 형성하게 된다. 도 7에는 이 상태의 구조가 도시된다.
그럼 이용자는 계속해서 투명창(60)으로 튀김통(20) 내부를 관찰하면서 튀김통(20)의 개방부를 통해 물층(1)의 상부 수면이 표준선(90)에 다다를 때까지 조금씩 물을 더 붓게 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선(90)과 물층(1) 상부의 수면이 일치되면 튀김통(20) 내부 물의 교체작업이 완료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튀김통(20) 내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상기 투명창(60)을 통해 튀김통(20) 하부에 마련되는 하나의 배출밸브(200)만을 구비한 상태에서도 튀김통(20) 내부에 적정량의 물(w)과 튀김기름(o)을 셋팅할 수 있게 되므로, 배출밸브(200)가 수를 줄여 튀김통(20)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창(60)을 통해 튀김통(20)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된 상태에서는 수유식 튀김장치의 사용도중 기름층(2)의 튀김기름(o)을 튀김통(20)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서도 기름층(2) 하부의 물(w)을 쉽게 교체하거나 보충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튀김통(20) 내부 물(w)과 튀김기름(o)의 보충 및 교환 작업도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정면도로, 하우징 내부구조가 보이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에 있어서, 투명창 조립체의 구조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에 있어서, 튀김통 내부에 물이 적정량으로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사용도중 튀김통 내부 물을 교체하기 위해 튀김통 내부 대부분의 물을 튀김통 외부로 배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튀김통 내부로 소정량의 물을 채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튀김통 내부 물을 적정량이 되도록 보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물층 2: 기름층
10: 하우징 20: 튀김통
60: 투명창 90: 표준선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상부로 개방된 튀김통과, 상기 튀김통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 하부 쪽 상기 튀김통 내부에 수용되는 물과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물 상부의 튀김통 내부에 수용되는 튀김기름의 량을 상기 튀김통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튀김통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투명창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창은 상기 튀김통의 측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 외곽에는 금속재질의 외곽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투명창은 상기 외곽 프레임을 통해 상기 튀김통 일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에 힌지 회동 가능 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5. 삭제
  6. 상부로 개방된 튀김통과, 상기 튀김통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 하부 쪽 상기 튀김통 내부에 수용되는 물과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물 상부의 튀김통 내부에 수용되는 튀김기름의 량을 상기 튀김통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튀김통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투명창과, 상기 튀김통을 감싸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창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싱의 일 측면에는 개폐도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7. 삭제
  8. 상부로 개방된 튀김통과, 상기 튀김통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 하부 쪽 상기 튀김통 내부에 수용되는 물과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물 상부의 튀김통 내부에 수용되는 튀김기름의 량을 상기 튀김통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튀김통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투명창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창은 결정화 유리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 외곽에는 금속재질의 외곽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투명창의 외곽 쪽 측면과 상기 투명창의 전면 테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기 투명창의 후면 테두리에는 상기 투명창을 상기 외곽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내열성 고무재질의 패킹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10. 제3항과 제6항과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에는 상기 물과 튀김기름 사이의 표준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표준선이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11. 제3항과 제6항과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이 상기 튀김통의 측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창 외곽에는 금속재질의 외곽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튀김통 일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투명창의 외면 쪽 상기 외곽 프레임에는 상기 물과 튀김기름 사이의 표준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금속재질의 강선으로 마련된 표준선이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12. 제3항과 제6항과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통의 바닥면 쪽에 마련되는 배출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투명창 반대 쪽 상기 튀김통의 타 측면보다 상기 투명창이 마련된 상기 튀김통의 일 측면에 더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튀김통 타 측면과 상기 배출밸브 사이의 상기 튀김통의 바닥면은 상기 배출밸브 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KR1020090115446A 2009-11-26 2009-11-26 수유식 튀김장치 KR100958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446A KR100958180B1 (ko) 2009-11-26 2009-11-26 수유식 튀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446A KR100958180B1 (ko) 2009-11-26 2009-11-26 수유식 튀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180B1 true KR100958180B1 (ko) 2010-05-14

Family

ID=4228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446A KR100958180B1 (ko) 2009-11-26 2009-11-26 수유식 튀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1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615B1 (ko) * 2010-01-28 2011-07-29 주식회사 산지 튀김기
KR200464259Y1 (ko) * 2010-01-08 2012-12-21 (주) 대호에스앤씨 튀김기
KR101508193B1 (ko) 2014-08-19 2015-04-09 주식회사 채움산업 유수식 튀김기
KR101517131B1 (ko) * 2013-11-25 2015-05-06 (주)메타사이언스 유수조 튀김 장치
WO2016028017A1 (ko) * 2014-08-19 2016-02-25 주식회사 채움산업 유수식 튀김기
KR101667887B1 (ko) * 2015-08-10 2016-10-19 조상훈 수유식 튀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3955B1 (ko) * 1997-05-15 1999-10-15 오예환 음식물전기튀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03193A (ko) * 1999-06-22 2001-01-15 김흥권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KR200266658Y1 (ko) 1999-03-08 2002-03-06 오예환 전기수유식 튀김기의 냉각장치
KR200440640Y1 (ko) * 2007-06-22 2008-06-23 이영수 튀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3955B1 (ko) * 1997-05-15 1999-10-15 오예환 음식물전기튀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66658Y1 (ko) 1999-03-08 2002-03-06 오예환 전기수유식 튀김기의 냉각장치
KR20010003193A (ko) * 1999-06-22 2001-01-15 김흥권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KR200440640Y1 (ko) * 2007-06-22 2008-06-23 이영수 튀김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259Y1 (ko) * 2010-01-08 2012-12-21 (주) 대호에스앤씨 튀김기
KR101052615B1 (ko) * 2010-01-28 2011-07-29 주식회사 산지 튀김기
KR101517131B1 (ko) * 2013-11-25 2015-05-06 (주)메타사이언스 유수조 튀김 장치
WO2015076516A1 (ko) * 2013-11-25 2015-05-28 (주)메타사이언스 유수조 튀김 장치
JP2016538082A (ja) * 2013-11-25 2016-12-08 メタ・サイエン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油水槽フライヤー装置
US10058215B2 (en) 2013-11-25 2018-08-28 Meta Science Inc. Oil/water tank deep frying device
CN105992539B (zh) * 2013-11-25 2019-04-23 梅塔科学公司 油水槽油炸装置
KR101508193B1 (ko) 2014-08-19 2015-04-09 주식회사 채움산업 유수식 튀김기
WO2016028017A1 (ko) * 2014-08-19 2016-02-25 주식회사 채움산업 유수식 튀김기
KR101667887B1 (ko) * 2015-08-10 2016-10-19 조상훈 수유식 튀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180B1 (ko) 수유식 튀김장치
US9226609B2 (en) Multi-purpose cooking device through heating of a water bath
KR101184696B1 (ko) 수유식 튀김장치
KR101161828B1 (ko) 수유식 안전 튀김 장치
US6523457B1 (en) Pasta machine
KR100882950B1 (ko)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KR20110114152A (ko) 수유 튀김기
KR101753996B1 (ko) 자동 튀김장치의 배기 장치
CN116058681A (zh) 油炸器
KR20120015081A (ko) 수유식 튀김장치
KR200456048Y1 (ko) 전기튀김기
KR101222767B1 (ko) 유수 분리식 튀김기
JP2013039229A (ja) フライヤ
KR101196864B1 (ko) 튀김요리용 조리장치
KR101117486B1 (ko) 튀김기
JP2013518661A (ja) フライ鍋
ES2246046T3 (es) Aparato para cocinar y dispensar productos alimentarios.
US9655467B1 (en) Pasta-cooking device
JP2009030874A (ja) 蒸気調理器
JPS5814215B2 (ja) 揚げ物調理用器具のための揚げ物受けなべ
JP4884421B2 (ja) グリル装置
KR100223955B1 (ko) 음식물전기튀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12289Y1 (ko) 테이블 부착형 튀김기
KR101379444B1 (ko) 후라이팬 기능이 부과된 가정용 튀김기
JP5345177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702

Effective date: 201103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427

Effective date: 2011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