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3193A -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 Google Patents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3193A
KR20010003193A KR1019990023390A KR19990023390A KR20010003193A KR 20010003193 A KR20010003193 A KR 20010003193A KR 1019990023390 A KR1019990023390 A KR 1019990023390A KR 19990023390 A KR19990023390 A KR 19990023390A KR 20010003193 A KR20010003193 A KR 20010003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king oil
frying
oil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권
Original Assignee
김흥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권 filed Critical 김흥권
Priority to KR1019990023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3193A/ko
Publication of KR20010003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1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93Skull removal; Cleaning of the converter mou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8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using fluids or gases, e.g. blowers, suc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8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using a flui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식용유를 튀김용기에 물과 함께 넣고 그 식용유를 가열하여 튀김을 조리할 수 있는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튀김 조리중 발생하여 잔류하는 튀김 부스러기에 의해 식용유가 변질되지 않게 하려는 것으로, 튀김용기(2)를 관통하여 외부공기가 통할 수 있고 그 용기내 물과 식용유가 이루는 경계부근 윗부분의 식용유층(6)을 지나가도록 설치되어 그 식용유층(6)과 열교환하는 복수의 냉각관(8)을 가지고 있다. 이 냉각관(8)들의 냉각작용에 의해 식용유층(6)로부터 물층(5)으로의 열전달이 억제되어 물이 끓지 않아서 튀김 조리가 가능하게 되며, 조리중 발생하여 가라앉는 튀김 부스러기는 식용유층(6)으로부터 물층(5)으로 이동하게 된다. 잔류된 튀김 부스러기에 의해 식용유의 변질이 방지되므로 식용유의 낭비가 줄어서 경제적이며, 튀김의 질을 떨어트리지 아니한다.

Description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flying utensil with cooking oil and water}
본 발명은 고온의 식용유에서 음식물을 튀기는 튀김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튀김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리중 발생하는 튀김 부스러기가 식용유에 잔류되지 않도록 한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주로 업소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튀김조리기는 단순한 통 모양의 용기에 식용유만을 넣고 그 용기를 외부에서 가열하거나 내부에 장착되는 전기히터로 식용유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튀기게 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튀김조리기에서는, 조리시 발생하는 튀김 부스러기중 일부는 식용유에 부유되고 일부는 용기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부유된 튀김 부스러기는 걸름망 등으로 쉽게 건져낼 수 있어서 그다지 문제되지 않으나, 용기 바닥에 가라앉은 부스러기는 쉽게 건져낼 수 없으므로 계속 잔류하게 된다. 문제는 잔류된 튀김 부스러기가 과도하게 튀겨져 탄화됨에 따라 식용유도 검게 변색되는 등 변질되는데 있다. 식용유가 변질되면 튀김의 조리상태가 나빠짐은 물론, 식용유를 자주 갈아주어야 하므로 그만큼 식용유 소비가 커지고 아울러 전기 등의 에너지 낭비도 증가하는 것이다.
잔류된 튀김 부스러기에 의해 식용유가 변질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기에 물과 식용유를 함께 넣어서 조리하는 방법이 종래에도 시도된 적이 있다. 즉 물과 식용유를 함께 넣으면 비중 차이에 의해 물과 식용유가 수직분리되어 용기 바닥측에 물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식용유층이 형성되므로 튀김 부스러기가 식용유층으로부터 물층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물의 비등점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100℃이나 식용유는 훨씬 높은 180℃로 가열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단순히 물과 식용유를 넣은 상태에서 식용유를 가열하면 고온의 식용유에 의해 물의 온도가 비등점까지 쉽게 상승되어진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식용유층으로 수증기가 올라와서 실질적으로 조리가 불가해지고 심지어 끓는 물에 의해 식용유가 사방으로 튀어서 화상을 입을 위험이 따른다. 즉, 물과 식용유를 함께 넣은 상태로 튀김 조리를 가능하게 하려면 고온의 식용유에 의해 물이 끓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강구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과 식용유를 함께 넣되 고온의 식용유에 의해 물이 가온되지 않고 되도록 상온(常溫)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리가 가능해지도록 하고 잔류된 튀김 부스러기는 물층에 가라앉게 하여 식용유를 변질시키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전체를 부분 절제하고 부분분리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 튀김용기 2a : 용기바닥
2b : 오목부 3 : 투명창
5 : 물층 6 : 식용유층
7 : 전기히터 8 : 냉각관
9 : 배수관 11 : 배유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물과 식용유를 함께 수용하기 위한 용기와 이 용기에 수용된 물과 식용유중 식용유를 가열하는 전기히터 등의 가열수단을구비하는 동시에, 용기 내에 수용된 물과 식용유가 이루는 경계 부근에서 그 식용유층에서 물층으로 전도되려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를 구성하였다.
상기한 냉각수단은 예컨대 용기를 관통하여 외부공기와 통할 수 있고 용기 내 물과 식용유의 경계 부근에서 식용유층과 열교환하는 냉각관을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하여 그 열을 단속거나, 또는 별도의 냉각관을 설치하지 않고도 냉각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용기 내 물과 식용유의 경계부근의 용적이 작아져서 그 열전달이 억제될 수 있도록 용기 자체를 그 경계 부근의 식용유층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용기 내 물과 식용유의 경계층 부근에서 그 식용유층으로부터 물층으로 전도되는 열을 적절히 냉각시킴으로써 물이 끓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상온(常溫)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물을 끓이지 않고 식용유만 충분히 가열하게 되면 튀김을 조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조리중 발생되어 가라앉는 튀김 부스러기는 자연히 물층으로 이동하여 식용유의 변질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의한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를 보인다. 도 1에서 부호 1은 외장몸체를 가리킨다. 외장몸체(1)의 상측에는 튀김용기(2)가 안착되어 있다. 튀김용기(2)는 물과 식용유를 함께 수용하도록 충분한 깊이를 갖는 통모양으로 형성하였다. 이 튀김용기(2)에는 물과 식용유의 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가능한 투명창(3)을 달아주었고, 그 투명창(3)에 물과 식용유의 경계를 맞출 수 있게 안내눈금(4)을 표시하였다. 안내눈금(4)에 맞추어 물과 식용유를 채워주면 그 경계 아래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층(5)이 형성되고 그 위에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식용유층(6)이 형성된다.
전기히터(7)는 대략 식용유층(6) 중간에 위치시켜 식용유층(6) 아래의 물층(5)이 직접적으로 영향받지 않게 하였다.
전기히터(7)에 의해 가온되는 식용유층(6)으로부터 물층(5)으로 전도되려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으로서는, 물과 식용유의 경계를 안내하는 안내눈금(4) 위치와 전기히터(7) 사이의 식용유층(6)에 여러개의 냉각관(8)을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였다. 냉각관(8)에는 그 각각의 양단부가 튀김용기(2)의 벽을 관통하여 외부공기가 통할 수 있고 열교환이 잘되는 금속재질의 중공형 관체를 사용하였다. 즉 외부공기의 자연통풍에 의한 공랭식으로 그 주위의 식용유층(6)과의 열교환으로 냉각작용을 하도록 배려한 것이다. 냉각관(8)들은 그 상호간에 조리중 발생되어 가라앉게 되는 움식물 부스러기가 경계 아래의 물층으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간격으로 이격시켰으며, 효과적인 냉각작용을 위해 그 적절한 체적비를 고려하였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다시 설명될 것이다.
튀김용기(2) 밑바닥에는 물과 식용유를 각각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밸브(10,12)가 각각 달려있는 배수관(9)과 배유관(11)을 연결하였다. 배수관(9) 단부는 튀김용기(2) 내부 바닥에 가라앉은 튀김 부스러기를 함께 배출할 수 있게 그 단부가 내부 바닥면(2a)보다 높지 않게 하였으며, 또한 그 바닥면(2a)을 배수관(9)쪽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배수시 그 바닥면에 가라앉은 튀김 부스러기의 배출이 용이하게 하였다. 배유관(11) 단부는 물과 식용유의 경계상에 머무는 튀김 부스러기가 그 위에 양호한 식용유와 함게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그 경계보다 약간 높게 하였다.
튀김용기(2) 내 전기히터(7) 위에는 조리중 튀김이 전기히터(7)에 닿아서 눌러붙지 않도록 하는 안전망(13)이 설치하였고, 전기히터(7) 밑에는 식용유의 온도를 체크하여 그 온도변화를 알리는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4)를 장착하였다.
외장몸체(1)의 전면 상측에는 제어패널(15)이 설치하여 거기에 전원스위치(16), 히터스위치(17), 타이머 구동스위치(18), 부저(19), 타이머조절기(20), 온도표시겸 조절기(21) 등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는 식용유의 온도와 타이머에 따라 전술한 전기히터(7)를 제어하여 식용유의 온도 및 조리시간을 자동조절하고, 부저(19)를 울려서 조리시간 종료 등을 알리도록 알리 수 있게 하는 통상적인 제어회로(도시생략)을 내장하였다.
도 1 및 도 2에서 미설명된 부호중 도면중 미설명된 부호 22는 외장몸체(2) 전면에 설치된 문이며, 23은 외장몸체(2) 양 측면에 형성한 통기창, 24는 조리완료된 튀김을 올려놓기 위한 튀김 분리대, 그리고 25는 튀김용기(2)의 덮개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난 식용유층(6) 내 안전망(13) 위에서 조리중인 튀김으로부터 발생되는 튀김 부스러기중에서 일부는 식용유층(6) 유면상으로 부상되고 또 일부는 안전망(13)과 냉각관(8)들 사이를 통과하게 되며 또한 그 일부는 물층(5)으로 이동하여 튀김용기(2) 바닥에 가라앉고 나머지 일부는 물과 식용유의 경계상에 머물게 됨을 투명창(3)을 통해 관찰하였으며, 별도의 온도계를 달아서 측정해 본 결과 종래에 비하여 물의 온도상승이 둔화됨을 알 수 있었다. 즉, 외부공기가 통하는 냉각관(8)들의 표면을 통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져 그 부분의 식용유층(6) 온도가 외부로 발산됨으로써 물층(5)으로 전도되는 현상이 억제되는 실질적인 냉각작용이 이뤄지는 것이다.
냉각작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냉각관(8)의 표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냉각관(8)의 단면적을 너무 크게하면 식용유의 온도상승에 의한 대류현상이 너무 빨라져서 냉각효과에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여러 가지로 그 조건을 변경하여 실험해 본 결과, 식용유의 용량에 대한 냉각관(8)들 전체 단면적이 차지하는 체적비로 나타낼 때 1/7~1/8가 가장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튀김 조리기에 사용하는 전기히터(7)는 6W의 것이 사용되어 왔는데, 이 경우에 전기히터(7) 표면에서 식용유가 직접 탄화되는 현상이 발견되어 이를 4W로 낮춤으로써 식용유를 가열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고 그 탄화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실질적으로 식용유 용량 13.5ℓ에 대하여 체적비를 1/7.5로 설계한 4개의 냉각관(8)을 도 2와 같이 설치하고 4W의 전기히터(7)로 가열해 본 결과, 식용유가 180℃로 상승하는데 약 20분 소요되었으며 이동안 물의 온도는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또한 식용유의 상승온도를 24시간 유지시킨 상태에서도 물이 상온으로 유지되어, 물을 끓이지 않고 튀김을 조리할 수 있었다.
물층(5)에 튀김 부스러기가 쌓이면서 물이 변색되면 그 위의 식용유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때 물을 갈아주면 된다. 물을 갈아주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단 배유관(11)의 밸브(12)를 열어서 식용유를 먼저 배출하여 따로 모아둔 다음, 배수관(9)의 밸브(10)를 열어서 더러워진 물과 그 위 경계부근에 남는 소량의 식용유 그리고 물층(5)과 그 경계부근에 잔류된 튀김 부스러기를 배출시킨다. 물과 식용유의 배출이 끝나면 모든 밸브(10,12)를 잠근 상태에서 깨끗한 물과 따로 모아둔 식용유를 다시 채우고 배출된 소량의 식용유만큼 보충하면 된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튀김조리기의 변형된 튀김용기(2')를 보인다. 변형된 튀김용기(2')는 냉각수단으로서 전술한 첫 번째 실시예의 냉각관 사용을 배제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기름의 경계부근 윗부분이 점차 오목하게 된 오목부(2b)를 가진다. 이 오목부(2b)에 의하여 식용유층(6)의 경계부근 단면적이 축소되어 열용량이 그만큼 줄어들므로 열전도가 억제되는 동시에, 그 오목부(2b)가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외부공기와 접하므로 충분한 냉각작용이 이뤄지는 것이다.
한편,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첫 번째 실시예에 의한 냉각관(8)이나 두 번째 실시예에 의한 튀김용기(2')의 오목부(2b)에 대해 자연통풍시키지 않고 그 한쪽에 송풍기를 설치하여 이를 상시 또는 간헐적이나 주기적으로 가동함으로써 강제통풍시키면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냉각수단은 그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밖의 다른 형식의 냉각구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여 튀김을 조리함에 있어서 고온의 식용유에 의해 물이 끓지 않게, 바람직하게는 상온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을 구현하여, 물과 함께 수용된 식용유만을 가열하여 튀김 조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튀김 조리중 발생되어 잔류하는 튀김 부스러기로부터 식용유를 변질시키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식용유의 낭비를 막고 전기에너지의 소비를 줄여서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용유를 변질없이 오래 사용하므로 튀김의 질을 떨어트리지 아니할 수 있으며, 폐유량을 줄이므로 환경저해 요인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물과 식용유를 함께 수용하기 위한 튀김용기와, 이 튀김용기에 수용된 물과 식용유중 식용유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용기 내에 수용된 물과 식용유가 이루는 경계 부근에서 그 식용유층에서 물층으로 전도되려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튀김용기에 수용된 물과 식용유의 경계 일부를 포함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설치되고 물과 식용유의 경계를 안내하는 안내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투명창이 더 구비되어 있는 물과 기름을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이 상기 튀김용기를 관통하여 외부공기와 통할 수 있고 용기 내 물과 식용유의 경계 부근에서 식용유층과 열교환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관을 구비하여 되는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이 상기 튀김용기를 상기 물과 식용유의 경계부근에서의 용적이 작아지게 그 측벽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여 되는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튀김용기 내 물과 식용유를 각각 배출시키기 위해 설치된 배수관과 배유관을 더 포함하는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유관이 튀김용기 내 물과 식용유의 경계보다 높은 위치에서 그 식용유를 배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이 상기 튀김용기 내 바닥면에 가라앉는 튀김부스러기와 함께 상기 물을 배수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그 바닥면이 배수관측으로 경사져 있는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KR1019990023390A 1999-06-22 1999-06-22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KR20010003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390A KR20010003193A (ko) 1999-06-22 1999-06-22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390A KR20010003193A (ko) 1999-06-22 1999-06-22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193A true KR20010003193A (ko) 2001-01-15

Family

ID=1959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390A KR20010003193A (ko) 1999-06-22 1999-06-22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319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80B1 (ko) * 2009-11-26 2010-05-14 이종섭 수유식 튀김장치
KR101036804B1 (ko) * 2010-07-14 2011-05-25 이곤재 냉각기가 구비된 튀김기계
KR101134138B1 (ko) * 2010-04-13 2012-04-09 주식회사 청우이엔지 수유 튀김기
KR101129063B1 (ko) * 2009-11-13 2012-04-12 배시영 수유식 튀김기
WO2012165835A2 (ko) * 2011-05-30 2012-12-06 Choi Chi Jeong 냉각기능이 개선된 수유식 튀김기
KR101379444B1 (ko) * 2011-11-04 2014-03-31 장성남 후라이팬 기능이 부과된 가정용 튀김기
CN105360190A (zh) * 2014-08-19 2016-03-02 Chaeum产业株式会社 油水式油炸机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063B1 (ko) * 2009-11-13 2012-04-12 배시영 수유식 튀김기
KR100958180B1 (ko) * 2009-11-26 2010-05-14 이종섭 수유식 튀김장치
KR101134138B1 (ko) * 2010-04-13 2012-04-09 주식회사 청우이엔지 수유 튀김기
KR101036804B1 (ko) * 2010-07-14 2011-05-25 이곤재 냉각기가 구비된 튀김기계
WO2012165835A2 (ko) * 2011-05-30 2012-12-06 Choi Chi Jeong 냉각기능이 개선된 수유식 튀김기
WO2012165835A3 (ko) * 2011-05-30 2013-03-28 Choi Chi Jeong 냉각기능이 개선된 수유식 튀김기
KR101379444B1 (ko) * 2011-11-04 2014-03-31 장성남 후라이팬 기능이 부과된 가정용 튀김기
CN105360190A (zh) * 2014-08-19 2016-03-02 Chaeum产业株式会社 油水式油炸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3622A (en) Fat frier
US6002111A (en) Heating device for foodstuffs, particularly for frying, with an outer bowl
CN100377681C (zh) 油炸锅
KR101257483B1 (ko) 냉각기능이 개선된 수유식 튀김기
KR101134138B1 (ko) 수유 튀김기
KR20010003193A (ko) 물과 식용유를 사용하는 튀김조리기
KR101222767B1 (ko) 유수 분리식 튀김기
CN201160789Y (zh) 家用电炸锅
KR20120119666A (ko) 순환식 위생 튀김기
TWM636962U (zh) 改良水冷式油水分離油炸機
KR101667887B1 (ko) 수유식 튀김기
KR200312289Y1 (ko) 테이블 부착형 튀김기
KR200214993Y1 (ko) 튀김장치
KR20100114613A (ko) 수용성 튀김기계
KR20170059353A (ko) 유수 분리형 전기 튀김기
KR200456047Y1 (ko) 전기튀김기
KR20110090260A (ko) 전기 튀김기
CN205072712U (zh) 一种节能炸炉
KR20060129126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춘 오븐
KR200162623Y1 (ko) 튀김기기
KR950001500Y1 (ko) 음식물 튀김기
KR102484204B1 (ko) 튀김유 대류방지키트를 구비한 튀김장치
KR102484205B1 (ko) 튀김유 대류방지키트를 구비한 튀김장치
CN204427643U (zh) 火腿蒸箱
KR102484203B1 (ko) 튀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