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201B1 -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201B1
KR100956201B1 KR1020090104756A KR20090104756A KR100956201B1 KR 100956201 B1 KR100956201 B1 KR 100956201B1 KR 1020090104756 A KR1020090104756 A KR 1020090104756A KR 20090104756 A KR20090104756 A KR 20090104756A KR 100956201 B1 KR100956201 B1 KR 100956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jube
honey
carried out
container
dietary supp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흠
지민정
Original Assignee
고상흠
지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상흠, 지민정 filed Critical 고상흠
Priority to KR1020090104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대추 또는 가시오가피의 삶는 과정을 생략하여 대추 또는 가시오가피 자체에 함유된 유용한 성분 및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는 대추 또는 가시오가피 발효(농축)액을 마련한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산야초, 약용식물, 야채 또는 과실 중의 어느 하나의 원재료에 묻은 먼지나 오물을 제거하는 세척단계, (b) 70℃~90℃될 때까지 끓인 벌꿀을 마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에서 마련된 원재료와 상기 단계(b)에서 마련된 벌꿀을 용기 내에서 10 대 2의 질량 비율로 제1 혼합물을 조성한 후, 25℃~28℃에서 3~8일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저어 1차 발효시키는 단계, (d) 상기 단계(c)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단계(a)에서 마련된 원재료 질량의 50%에 해당하는 벌꿀을 상기 용기에 추가하여 제2 혼합물을 조성하여 2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d)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용기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대추차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추 고유의 성분을 유지할 수 있다.
벌꿀, 대추, 발효, 농축, 항아리

Description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Composion containing extract of natural 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산야초, 약용식물, 야채 또는 과실 중의 어느 하나와 꿀을 사용하는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추 또는 가시오가피의 삶는 과정을 생략하여 대추 또는 가시오가피 자체에 함유된 유용한 성분 및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는 대추 또는 가시오가피 발효(농축)액을 마련한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대추 또는 가시오가피 발효(농축)액을 물 또는 우유에 희석하여 음용하거나, 샐러드 또는 음식의 천연 소스로 이용할 수 있는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추는 동의보감, 유방유취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그 자체의 당도가 높고, 풍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적정한 상태로 건조된 경우에 저장성이 뛰어나 특히 예로부터 약리작용을 수행해온 바가 커 상고시대로부터 다양한 민간 한방요법의 재료로 널리 이용되어 왔던 열매로서, 양기를 보강하고 비위를 튼튼하게 하며 오래 먹 으면 안색이 좋아지고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할 수 있으며, 또한 오장육부를 보호하고, 내장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온몸을 튼튼하게 하며 12 경맥의 혈액순환을 도와 심장을 튼튼하게 하는 등 약리효과가 뛰어나고 정력을 높여주며, 여성의 히스테리를 가라앉히며 젊음을 유지시켜 주며, 약제로는 이뇨제, 강장제, 견이통완화제, 거담제, 만성기관지염, 결핵, 체력회복 등으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즉, 주지하는 바와 같이 대추는 조(棗) 또는 목밀(木蜜)이라고도 한다. 표면은 적갈색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1.5∼2.5cm 에 달하며 빨갛게 익으면 단맛이 있다. 또 대추는 감미가 강하며, 가용성 당류가 약 10 ~ 42% 함유되어 있으며(Kwon Y.I. et al 1997 Agri. Chem.Biotechnol., 40,43-47),과실은 생식할 뿐 아니라 채취한 후 푹 말려 건과(乾果)로서 과자, 요리 및 약용으로 쓰인다. 대추는 생활 속에서 가공하여 대추술, 대추차, 대추식초, 대추죽 등으로도 활용한다. 가공품으로서의 꿀 대추는 중국·일본·유럽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충청북도 보은(報恩)산의 대추가 유명하다.
따라서, 이러한 대추의 효능을 체험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대추즙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대추를 깨끗이 씻어 대추를 완전히 푹 끓여 베로 만든 보자기나 거즈 등에 싸서 짜면 이때 나온 즙을 다시 약한 불에 달여 물엿처럼 만들어 식힌 후 체에 걸려 대추껍질과 씨만 빼고 주물러서 한번 더 끓여 먹을 때 꿀이나 밤 곶감 등의 기호식품을 섞어 마시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대추즙 제조방법은 대추를 푹 끓여 보자기나 거즈 등에 짜서 나온 즙을 물엿처럼 달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추의 효능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나 단맛이 낮아서 먹기 전에 별도의 꿀 등의 단맛이 나는 식품을 적당량을 투입시켜 희석시켜 기호에 맞도록 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꿀에 관해 규합총서에서는 꿀에 졸이는 방법과 꿀에 재워서 오래 두는 방법이 있다고 기술되어 있으며, 제조방법에 따라 절임 전과, 조림 전과 및 건 전과로 분류되기도 하기만 통상은 그 주재료에 따라 인삼 전과, 연근 전과, 도라지 전과, 유자 전과, 살구 전과, 복숭아 전과, 앵두 전과, 죽순 전과, 동아 전과, 행인 전과 등으로 분류된다.
현재, 벌꿀을 이용한 제품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되는 데, 첫째는 벌꿀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벌꿀, 벌꿀차 등을 들 수 있고, 둘째는 벌꿀을 보조재료로서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벌꿀을 포함하는 빵, 과자 등의 각종 식품을 들 수 있으며, 셋째로는 벌꿀을 유효성분 또는 보조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종 의약제품이다. 상기 제품 중에서 국내벌꿀의 소비량이 가장 많은 제품은 첫번째 제품군인데, 두번째와 세번째 제품군은 대부분 수입벌꿀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한편 하기 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추차의 제조방법으로서, 대추에 묻은 먼지나 오물을 제거하는 세척 단계, 상기 세척 단계를 거친 대추에서 씨를 제거하는 씨제거 단계, 상기 씨제거 단계를 거친 대추를 오븐에 넣고 90℃에서 5시간 가열하는 굽는 단계, 상기 굽는 단계를 거친 대추를 함유물질이 굳도록 27℃에서 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대추를 분쇄하는 분쇄단계 및 티백제조단계로 이루어진 대추차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문헌 2에는 대추를 깨끗이 씻어 불순물을 제거하고 체에 걸러서 물 기를 제거하는 단계, 대추1kg, 물 2.5ℓ를 압력솥에서 1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물러진 대추에 물 3.0ℓ를 가하여 35mesh의 표준망으로 여과시키는 단계, 걸러진 여액을 당도가 360Bx가 되도록 농축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기능성 대추 페이스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문헌 3에는 생대추 또는 건조된 대추의 껍질과 씨를 제거하는 대추의 전처리 과정, 벌꿀, 저당, 올리고당, 설탕 중에서 하나 혹은 그 이상 혼합한 당류 85~98중량%, 홍삼, 구기자, 오미자, 산수유, 청궁, 환기, 당귀, 영지, 가시오가피로부터 추출된 엑기스를 하나 혹은 그 이상 선택하여 혼합한 한방 약초 엑기스 0.5~10%중량, 감초액 0.5~15중량%로 이루어진 당침액에 상기 전처리된 대추를 첨가하여 70-80℃에서 1-3시간 당침하는 과정, 상기 당침 처리된 대추를 오븐에 넣어 50~60℃에서 3~5시간 건조 숙성시키는 건조 과정으로 구성되는 대추를 주재료로 한 전과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문헌 4에는 수세정선된 생강 원료를 수분함량 20~30%에 이르도록 일광 또는 열풍 건조하는 단계, 상기 생강을 두께 1~4㎜로 얇게 써는 단계, 수제정선된 인삼, 대추, 오미자, 계피, 및 복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두께 1~4㎜로 얇게 써는 단계, 얇게 썬 상기 생강과, 상기 인삼, 대추, 오미자, 계피, 및 복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꿀을 1:0.5:1~2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35~45℃에서 3~4일간 효소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진저롤(gingerol) 함량이 0.4 중량% 이상인 생강추출액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문헌 5에 있어서는 대추 1kg을 세척하여 30℃의 물 10ℓ에 넣고 2 시간 대추의 영양성분을 우려내는 추출공정, 상기 추출공정을 거친 대추의 영양성분이 우려낸 추출물에 감초 30g을 넣어 150℃에서 40분 끓이고, 다시 80℃에서 2시간 달여 추출물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가열공정, 상기 가열공정을 거친 추출물을 60℃로 식혀서 엿기름가루 200g을 상기 추출물의 상부에 고르게 뿌려 버무리는 버무림공정, 상기 버무림공정을 거친 추출물을 60℃에서 2시간 삭히는 삭힘공정, 상기 삭힘공정을 거친 추출물을 80메쉬의 걸림망을 통해 대추의 씨와 껍질을 걸러 분리시키는 즙을 형성하는 제1 걸림공정, 상기 걸림공정을 거친 즙과 물을 1 : 1 비율로 혼합시켜 다시 40메쉬의 고운체를 통해 건더기를 거르는 제2 걸림공정, 상기 제2 걸림공정을 거친 즙을 150℃에서 30분 끓이고, 다시 80℃에서 2시간 달여 대추즙을 형성하는 달임공정을 거쳐 완성되는 대추즙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보 제0852293호 (2008.08.14 등록)
[문헌 2]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제2009-0076465호 (2008.07.13 공개)
[문헌 3]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제2009-0053229호 (2009.05.27 공개)
[문헌 4]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보 제0882084호 (2009.01.29 등록)
[문헌 5]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보 제0830014호 (2008.05.08 등록)
그러나 상기 문헌 1 내지 5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대추를 끓이는 데 시간이 걸려 즉시 음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대추를 일정 온도로 삶을 경우, 인체에 용이한 성분이 파괴되어 약효를 기대할 수 없으며, 단맛과 향을 내는 탄수화물의 당질 내지는 비타민 등이 표피에 차단되어 제대로 우 러나지 않고, 맛과 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대추 또는 가시오가피를 일정 온도로 삶는 과정을 생략하여 대추 또는 가시오가피 자체에 함유된 유용한 성분 및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는 대추 또는 가시오가피 발효(농축)액을 구비한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대추 또는 가시오가피 발효(농축)액을 물 또는 우유에 희석하여 음용하거나, 샐러드 또는 음식의 천연 소스로 이용할 수 있는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a) 산야초, 약용식물, 야채 또는 과실 중의 어느 하나의 원재료에 묻은 먼지나 오물을 제거하는 세척단계, (b) 70℃~90℃될 때까지 끓인 벌꿀을 마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에서 마련된 원재료와 상기 단계(b)에서 마련된 벌꿀을 용기 내에서 10 대 2의 질량 비율로 제1 혼합물을 조성한 후, 25℃~28℃에서 3~8일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저어 1차 발효시키는 단계, (d) 상기 단계(c)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단계(a)에서 마련된 원재료 질량의 50%에 해당하는 벌꿀을 상기 용기에 추가하여 제2 혼합물을 조성하여 2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d)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용기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과실은 대추이고, (f1) 상기 단계(e)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용기를 1년 이상 보관하는 단계와 (g1) 상기 단계(f1)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용기 내의 제2 혼합물에서 농축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b)는 80℃~90℃될 때까지 실행되고, 상기 단계(c)는 3~4일 동안 실행되며, 상기 2차 발효는 22℃~26℃에서 1개월 동안 2~3일 간격으로 저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용식물은 가시오가피 잎이고, (c2) 상기 단계(c)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용기 내의 제1 혼합물에서 농축액을 추출한 후 상기 단계(d)로 진행하는 단계와 (f2) 상기 단계(e)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농축액을 상기 용기에서 3개월 이상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b)는 70℃~80℃될 때까지 실행되고, 상기 단계(c)는 7~8일 동안 실행되며, 상기 2차 발효는 1일 간격으로 저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항아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e)의 밀봉은 상기 항아리 위에 면 보자기를 덮고, 보자기 위에 마분지를 덮고, 상기 마분지 위에 참숯을 적층하고, 상기 참숯 위에 황토를 반죽하여 봉하는 것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관은 어둡고 자연바람이 부는 장소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은 상술한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대추 또는 가시오가피 발효(농축)액을 물 또는 우유에 희석하여 음용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대추차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추 고유의 성분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대추 발효액에 꿀을 함유시키므로, 양봉 농가의 수입증진에 널리 이바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도 2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항아리를 밀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11은 도 2에 따른 각각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또한 도 2에 관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대추를 원재료로 사용한 실시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세척단계
본 발명의 원재료가 되는 대추는 수확된 생대추 또는 천일 건조나 열풍건조에 의해 건조 상태에서 유통되는 대추를 구입하여 이물질의 혼입이 없도록 정선하여 세척하고, 크기별, 건조 상태별로 미리 분류하여 3~4℃ 정도의 저온실에 보관한다(도 4 참조).
종실 수확기 1~2개월간은 생과에 당질과 비타민 등이 주로 함유되어 있고, 건조 대추에는 수분과 탄수화물의 당질, 단백질, 지질, 섬유소, 회분, 칼슘, 인, 철, 나트륨, 비타민A, B1, B2, 나이아신 등의 성분이 들어 있다.
생대추는 먼저 껍질을 까고 씨를 제거하는 것이 편리하고, 건조 대추의 경우는 씨를 먼저 제거하고 껍질을 까서 전처리를 해 둔다(도 5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된 대추에 묻은 먼지나 오물을 수세척(水洗滌)하여 제거하는 세척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단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처리 과정에 앞서 세척단계를 먼저 할 수도 있으며, 껍질 및 씨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전처리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처리 단계에서는 씨의 쓴맛이 제거되도록, 씨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벌꿀 마련 단계
상용의 벌꿀을 가열 용기 내에 투입하고, 겔상태의 상용 벌꿀의 점성을 낮추어 벌꿀 자체에 발효 기능을 부여하도록, 상기 용기를 낮은 온도부터 가열하여 벌꿀의 온도가 약 70℃~90℃될 때까지 끓인다. 이는 70℃ 미만에서 끓이는 경우 벌꿀의 발효가 원만하게 진행하지 않으며, 90℃를 초월하는 경우 벌꿀의 함유 물질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80℃~90℃될 때까지 끓인 경우, 영양소의 파괴없이 벌꿀 자체의 진한 맛과 향을 구비하며, 점도가 낮아지게 된다.
(c) 1차 발효단계
상기 (a) 세척단계를 거친 대추(1)와 상기 (b)단계에서 끓여진 벌꿀(2)을 용기인 항아리(10) 내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마련한다.
이때 상기 대추(1)와 벌꿀(2)은 10 대 2의 질량 비율, 예를 들어 대추 1㎏와 벌꿀 200g로 혼합한 후, 25℃~28℃에서 3~8일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저어 1차 발효시킨다(도 6 참조).
한편 제1 혼합물의 조성시 25℃ 미만인 경우 1차 발효 과정이 지연되며, 28℃를 초월하면 과도하게 탄산 가스가 발생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는 26℃~27℃에서 3~4일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저어 발효시킨다.
이와 같이 저어주는 것에 의해 대추(1)와 벌꿀(2)이 부딪히면서 생기는 기포와 마찰 때문에 효모가 더욱 활발하게 움직인다.
또 저어주는 공정은 나무주걱 또는 회전날개가 구비된 혼화기 또는 균질기(미도시)를 사용하여 1~2시간 정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대추 1㎏에 대해 벌꿀 200g을 초과하는 경우, 본 발명의 효과가 포화 상태로 되므로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200g 미만인 경우 발효상태가 양호하지 않게 된다.
(d) 2차 발효단계
상기 (c) 1차 발효단계에서 마련된 제1 혼합물에다 상기 원재료인 대추의 질량 대비 50% 정도에 해당하는 벌꿀을 추가하여 제2 혼합물을 조성하고, 22℃~30℃, 바람직하게는 22℃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1개월 동안 1~3일 간격, 바람직하게는 2~3일 간격으로 저어 2차 발효시킨다(도 7, 8 참조).
한편 제2 혼합물의 조성시 22℃ 미만인 경우 2차 발효 과정이 지연되며, 30℃를 초월하면 과도하게 탄산 가스가 발생해 바람직하지 않다.
(e) 밀봉단계
상기 2차 발효단계를 완료한 후, 상기 항아리(10)를 밀봉한다. 밀봉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아리(10)의 입구 위에 면 보자기(30)를 덮고, 보자기(30) 위에 마분지(40)를 덮고, 상기 마분지(40) 위에 참숯(50)을 적층하고, 상기 참숯 (50)위에 황토(60)를 반죽하여 봉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3에서 대추(1)는 설명의 편의상 생대추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조 대추 또는 건조 대추를 잘게 썬 것을 사용할 수 있다.
(f) 보관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밀봉된 항아리(10)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어둡고 자연바람이 부는 장소에서 1년 이상 보관한다(도 9, 10 참조).
(g) 농축액 추출단계
그 후, 상기 항아리(10) 내의 제2 혼합물에서 농축액(도 11 참조)을 추출한다. 이러한 농축액의 추출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40메시 정도의 체에 의해 실행하던가 또는 전통적인 방법으로서 삼베 보자기를 통해 추출하면 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 농축액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물 또는 우유 등으로 희석하여 복용하면 된다. 또한 당분이 증가하면 미생물의 활동이 줄어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장기간 보관시에는 소량의 꿀을 추가하여 저온에서 보관하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12에 따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로서, 도 12에 관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시오가피를 원재료로 사용한 실시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 가시오가피라 함은 오가피나무과의 가시오가피나무(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의 껍질을 말린 것이다. 알려진 화학 성분으로는 엘레우테로시드라는 배당체를 비롯하여 배당체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 정유성분과 플라보노이드 등이 들어있다. 가시오가피는 보약으로 정신 및 육체적 피로와 병후쇠약에 사용되었으며, 히스테리, 당뇨, 동맥 경화증 및 류머티즘성 심근염에도 치료 효과가 있다. 가시오가피는 고래로부터 사용되어 온 약재로서, 체내 섭취에 따른 인체 안전성이 이미 확보되어 있으며, 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자극도 거의 없는 극히 안전한 식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시오가피의 잎을 사용하여 발효액을 제조한다.
(a) 세척단계
본 발명의 원재료가 되는 가시오가피 잎은 수확된 생가시오가피 잎을 마련하여 이물질의 혼입이 없도록 정선하여 세척하고, 크기별, 건조 상태별로 미리 분류하여 3~4℃ 정도의 저온실에 보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된 가시오가피 잎에 묻은 먼지나 오물을 수세척(水洗滌)하여 제거하는 세척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단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처리 과정에 앞서 세척단계를 먼저 할 수도 있으며, 세척단계가 이루어진 가시오가피 잎을 잘게 썬다.
(b) 벌꿀 마련 단계
상용의 벌꿀을 가열 용기 내에 투입하고, 겔상태의 상용 벌꿀의 점성을 낮추어 벌꿀 자체에 발효 기능을 부여하도록, 상기 용기를 낮은 온도부터 가열하여 벌꿀의 온도가 약 70℃~90℃될 때까지 끓인다. 이는 70℃ 미만에서 끓이는 경우 벌꿀의 발효가 원만하게 진행하지 않으며, 90℃를 초월하는 경우 벌꿀의 함유 물질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80℃~90℃될 때까지 끓인 경우, 영양소의 파괴없이 벌꿀 자체의 진한 맛과 향을 구비하며, 점도가 낮아지게 된다.
(c1) 1차 발효단계
상기 (a) 세척단계를 거친 가시오가피 잎을 칼이나 작두로 적당히 잘라서 원재료를 마련하고, 상기 (b)단계에서 끓여진 벌꿀을 상기 원재료에 골고루 잘 버무려 용기인 항아리 내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마련한다. 투입시 가시오가피 잎의 표면에 차곡차곡 눌러서 담는다. 이와 같이 눌러서 담는 것에 의해 삼투압 작용이 일어나며, 가시오가피 잎과 줄기에 상기 벌꿀이 잘 달라붙어서 수액이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가시오가피 잎과 상기 벌꿀은 10 대 2의 질량 비율, 예를 들어 가시오가피 잎 1㎏와 벌꿀 200g로 혼합한 후, 25℃~28℃에서 7~8일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저어 1차 발효시킨다. 한편 제1 혼합물의 조성시 25℃ 미만인 경우 1차 발효 과정이 지연되며, 28℃를 초월하면 과도하게 탄산 가스가 발생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26℃~27℃에서 7~8일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저어 발효 시킨다.
이와 같이 저어주는 것에 의해 가시오가피 잎과 벌꿀이 부딪히면서 생기는 기포와 마찰 때문에 효모가 더욱 활발하게 움직인다. 또 저어주는 공정은 금속성이 아닌 물질, 예로 목재로 이루어진 주걱 또는 혼화기 또는 균질기를 사용하여 1~2시간 정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시오가피 잎 1㎏에 대해 벌꿀 200g을 초과하는 경우, 본 발명의 효과가 포화 상태로 되므로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200g 미만인 경우 발효상태가 양호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1차 발효단계에 의해 꿀맛은 없어지고, 가시오가피 향이 나고 달면서 그 본성의 쓴맛이 난다. 또한 발효가 지나치게 오래되면 향과 맛이 떨어지고 알코올 향 또는 군내가 나며, 발효가 다 되지 않아 미숙하면 풋내가 난다.
(c2) 농축액 추출단계
그 후, 상기 항아리 내의 제1 혼합물에서 농축액을 추출한다. 이러한 농축액의 추출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40메시 정도의 체에 의해 실행하던가 또는 전통적인 방법으로서 삼베 보자기를 통해 추출하면 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d) 2차 발효단계
상기 (c2) 농축액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농축액에다 상기 원재료 질량의 50% 정도에 해당하는 벌꿀을 추가하여 제2 혼합물을 조성하여 2차 발효를 3개월 정도 관찰하며 발효시킨다.
(e) 밀봉단계
상기 2차 발효단계를 완료한 후 상기 항아리를 밀봉한다. 밀봉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아리 위에 면 보자기를 덮고, 보자기 위에 마분지를 덮고, 상기 마분지 위에 참숯을 적층하고, 상기 참숯 위에 황토를 반죽하여 봉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f) 보관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밀봉된 항아리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어둡고 자연바람이 부는 장소에서 3개월 정도 보관한다.
이 농축액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물 또는 우유 등으로 희석하여 복용하거나, 샐러드 또는 음식의 천연 소스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당분이 증가하면 미생물의 활동이 줄어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장기간 보관시에는 소량의 꿀을 추가하여 저온에서 보관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을 대추 및 가시오가피의 발효(농축)액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산야초, 약용식물, 야채 또는 포도, 사과 배 등의 과일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대추차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항아리를 밀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11은 도 2에 따른 각각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Claims (7)

  1.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대추 또는 가시오가피 잎 중의 어느 하나의 원재료에 묻은 먼지나 오물을 제거하는 세척단계,
    (b) 70℃~90℃될 때까지 끓인 벌꿀을 마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에서 마련된 원재료와 상기 단계(b)에서 마련된 벌꿀을 용기 내에서 10 대 2의 질량 비율로 제1 혼합물을 조성한 후, 25℃~28℃에서 3~8일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저어 1차 발효시키는 단계,
    (d) 상기 단계(c)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단계(a)에서 마련된 원재료 질량의 50%에 해당하는 벌꿀을 상기 용기에 추가하여 제2 혼합물을 조성하여 2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d)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용기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가 대추인 경우,
    (f1) 상기 단계(e)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용기를 1년 이상 보관하는 단계와
    (g1) 상기 단계(f1)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용기 내의 제2 혼합물에서 농축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b)는 80℃~90℃될 때까지 실행되고,
    상기 단계(c)는 3~4일 동안 실행되며,
    상기 2차 발효는 22℃~28℃에서 1개월 동안 2~3일 간격으로 저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가 가시오가피 잎인 경우,
    (c2) 상기 단계(c)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용기 내의 제1 혼합물에서 농축액을 추출한 후 상기 단계(d)로 진행하는 단계와
    (f2) 상기 단계(e)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농축액을 상기 용기에서 3개월 이상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b)는 70℃~80℃될 때까지 실행되고,
    상기 단계(c)는 7~8일 동안 실행되며,
    상기 2차 발효는 1일 간격으로 저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항아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의 밀봉은 상기 항아리 위에 면 보자기를 덮고, 보자기 위에 마분지를 덮고, 상기 마분지 위에 참숯을 적층하고, 상기 참숯 위에 황토를 반죽하여 봉하는 것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은 직사광선을 피하고, 어둡고 자연바람이 부는 장소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KR1020090104756A 2009-11-02 2009-11-02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956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756A KR100956201B1 (ko) 2009-11-02 2009-11-02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756A KR100956201B1 (ko) 2009-11-02 2009-11-02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6201B1 true KR100956201B1 (ko) 2010-05-06

Family

ID=4228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756A KR100956201B1 (ko) 2009-11-02 2009-11-02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2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638B1 (ko) 2000-06-19 2003-01-29 김점선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20050083287A (ko) * 2004-02-23 2005-08-26 정경수 농산식물을 이용한 천연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100761994B1 (ko) 2001-05-04 2007-10-04 성영락 미나리 발효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819211B1 (ko) 2006-06-21 2008-04-02 서희동 식물발효추출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638B1 (ko) 2000-06-19 2003-01-29 김점선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0761994B1 (ko) 2001-05-04 2007-10-04 성영락 미나리 발효 혼합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83287A (ko) * 2004-02-23 2005-08-26 정경수 농산식물을 이용한 천연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100819211B1 (ko) 2006-06-21 2008-04-02 서희동 식물발효추출액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084B1 (ko) 구기자와 겨우살이를 이용한 식품첨가제
CN107691704A (zh) 一种红茶菌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988955A (zh) 一种利用牡丹籽粕制备焦香牡丹茶的方法
KR101716297B1 (ko) 생약성분이 함유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CN103289859B (zh) 一种火龙果罗汉果复合型果酒及其酿制方法
CN103653080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101853848B1 (ko) 참외 주박 소금 제조방법 및 그 참외 주박 소금
KR101183247B1 (ko) 마늘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2175589B1 (ko) 귤과 사과를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CN110959733A (zh) 一种糖浆及其制备方法
KR100956201B1 (ko) 건강 보조 식품 농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2266B1 (ko) 새싹삼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새싹삼 장아찌
KR102320421B1 (ko) 식방풍잎차 및 그 제조방법
CN102613644A (zh) 一种具有清热解毒功效的醋饮料及其生产方法
KR102537246B1 (ko) 부티아 시럽 및 그 제조방법
KR101772014B1 (ko) 아로니아와 배를 포함하는 건강음료 제조방법
CN105011244A (zh) 一种红枣金针菇汤及其制备方法
KR100607670B1 (ko) 오갈피를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19735B1 (ko) 안동마를 이용한 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잼
KR102390434B1 (ko) 가을무를 이용한 식혜
KR102390431B1 (ko) 순무를 이용한 식혜
KR102199529B1 (ko) 대추감주 및 그 제조방법
KR102316867B1 (ko) 능이버섯을 주로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2629922B1 (ko) 금화규를 이용한 조청 제조방법
CN107236642A (zh) 一种龙眼百香果保健酒的酿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