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859B1 - 고체 촬상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고체 촬상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859B1
KR100955859B1 KR1020080054359A KR20080054359A KR100955859B1 KR 100955859 B1 KR100955859 B1 KR 100955859B1 KR 1020080054359 A KR1020080054359 A KR 1020080054359A KR 20080054359 A KR20080054359 A KR 20080054359A KR 100955859 B1 KR100955859 B1 KR 10095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tructure
solid
contact
state imaging
hol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0494A (ko
Inventor
카즈오 키노시타
카츠이츠 니시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0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1)은 피사체상을 형성하고, 광로를 따라 승강하는 광학 구조체(3)와, 광학 구조체(3)에 의해 형성된 피사체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고체 촬상 소자(21)와, 광학 구조체(3)를 내부에 유지함과 아울러, 고체 촬상 소자(21)를 내부에 수용하는 렌즈 홀더(4)를 구비하고 있고, 광학 구조체(3)의 이면에 렌즈 홀더(4)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34)를 구비하고 있다. 완충 부재(34)는 접촉면(4a)과의 접촉시에 접촉면(4a) 상의 먼지(D)를 접촉면(4a)의 외측으로 배척한다. 이것에 의해 먼지에 의한 화상 불량을 방지(또는 경감)하면서 소형의 카메라 모듈(1)을 제공할 수 있다.
고체 촬상 장치

Description

고체 촬상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제조시 및 사용시에 광로 상으로의 먼지의 부착을 방지하면서 소형화도 가능한 고체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등에 사용되는 촬상용 카메라 모듈(고체 촬상 장치)은 고체 촬상 소자{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 IC(integrated circuits)}, 적외선 필터 및 단자를 갖는 배선 기판과, 렌즈와, 렌즈 유지구가 일체로 된 모듈이다. 요즘에는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고체 촬상 소자의 제조 프로세스의 미세화가 진행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가 진행되면 광로 상에 존재하는 미소한 먼지(예를 들면, 25㎛ 이상)에 의해 화상 불량이 일어난다. 화상 불량의 원인은 광로 상의 먼지의 형체가 흑색의 점이나 얼룩으로서 촬상 화면에 전사되는 것에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광로는 렌즈와 고체 촬상 소자의 수광 부분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이러한 화상 불량의 원인이 되는 먼지는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의 구성 부 품의 입하시에 원래 부착되어 있던 것, 제조 공정 중의 발진에 의해 발생된 것 등이다. 여기에서, 입하시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는 미소한 수지편인 것이 많다. 한편, 제조 공정 중의 발진에 의해 발생된 먼지는 금속인 것이 많다. 이 금속은 카메라 모듈의 제조 장치(조립 장치)가 마모되어 발생된 것이다.
이렇게 해서 발생된 먼지가 광로 상에 부착되어 있으면 카메라 모듈의 제조 공정에 포함되는 출하 검사시에 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광로 이외의 부분에 일시적으로 부착된 먼지는 출하 검사시에는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양품으로서 출하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출하 후의 카메라 모듈의 반송중 및 운송중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일시적으로 부착된 먼지가 광로 상으로 이동해서 부착되어 버린다. 그 결과, 출하처(처음 유저; 예를 들면,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의 판매자)에서 화상 불량이 발생되어 버린다.
종래는 이러한 화상 불량의 대책의 하나로서 카메라 모듈의 구성 부품의 납품시에 그 부품에 이미 부착되어 있는 먼지의 스크리닝이 행해진다. 그리고, 먼지의 부착 정도에 따라서는 에어 블로우를 사용한 먼지의 블로잉, 초음파를 사용한 물세정, 또는 HFE(Hydrofluoroether;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 세정이 행해진다.
한편, 제조 공정 중의 발진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구성 부품에 부착되는 먼지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조 라인의 클린도를 높이는 시도가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외계와 차단된 클린룸 내에서의 제조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설비 투자, 유지 관리 및 제조 공정 유지 보수(장치 클리닝이나 마모되는 부품의 교환) 등이 필요하게 되어버린다. 즉, 클린룸의 설치, 공 기 순환을 위한 설비(에어 커튼, 공기 순환, 여과 설비, 세정 설비) 등에의 투자 및 이들 설비의 유지 관리에 방대한 비용이 든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린룸 내에서의 카메라 모듈의 조립시에 먼지의 혼입을 방지했다고 해도 요즘에는 카메라 모듈의 사용시에도 그 내부에서의 발진의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의 클린도를 확보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게 되었다.
그래서, 특허문헌1 및 2에는 화상 불량이 되는 먼지를 점착재를 이용해서 고착하는 고체 촬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20은 특허문헌1의 고체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구성에서는 패키지(111)와 고체 촬상 소자(112)와 밀봉용 유리(114)에 의헤 형성된 공간 내{패키지(111)의 내벽면}에 점착재(115)가 도포되어 있다. 점착재(115)는 그 공간 내에 발생된 먼지(113)를 부착한다.
한편, 도 21은 특허문헌2의 고체 촬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구성에서는 렌즈 홀더(216)의 오목부(218)의 내측 및 기판(202)에 의해 구획된 공간(220) 내에 대전 필름(23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전 필름(230) 상에는 공간(220) 내에 노출되도록 점착재(234)가 설치되어 있다. 점착재(234)는 대전 필름(230)이 정전기 작용에 의해 흡인한 먼지(232)를 고착한다.
또한, 특허문헌3에는 고체 촬상 소자로의 먼지의 부착을 방지하는 고체 촬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22는 특허문헌3의 고체 촬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경통(320)과 경통 부착 프레임(322)의 연접용 나사{내부 나사(308) 및 외부 나사(324)를 포함함}가 경통 부착 프레임(322)의 외부에 형성된 다. 이것에 의해 경통(320)과 고체 촬상 소자(327)의 거리를 조정해서 초점 조정할 때에 경통(320)과 경통 부착 프레임(322)의 마찰에 의해 발생된 먼지가 고체 촬상 소자(327)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먼지 대책이 불충분함과 아울러, 고체 촬상 장치를 소형화할 수도 없다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1의 구성에서는 고체 촬상 소자(112)와 동일한 공간에 설치된 점착재(115)에 먼지를 부착시킨다. 한편, 특허문헌2의 구성에서는 점착재(234)에 추가해서 대전 필름(230)에 의해 흡인된 먼지를 점착재(234)에 부착시킨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구성에서는 고체 촬상 소자(112)의 연장선 상의 밀봉용 유리(114) 표면에 먼지가 부착되어 버린다. 즉, 광로 상에 먼지가 부착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그 먼지에 의한 화상 불량이 발생되어 버린다.
또한, 특허문헌2의 구성에서는 대전 필름(230)에 의해 먼지를 흡인한다. 그러나, 이 대전 필름(230)은 광로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령, 광로 상에 점착재(234)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먼지는 광로 상의 대전 필름(230)으로 끌어당겨진다. 또한, 점착재(234)는 렌즈 유닛(212)측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들의 결과, 광로 상의 대전 필름(230)의 양면에도 먼지가 부착되어 버린다. 이렇게 특허문헌2의 구성에서도 광로 상에 먼지가 부착되기 때문에 화상 불량이 발생되어 버린다.
또한, 특허문헌2의 구성에서는 먼지를 흡인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정전기가 고체 촬상 소자(206)의 오작동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나 금속의 먼지 등 정전기로는 흡인할 수 없는 먼지도 있다는 문제도 있다.
한편, 특허문헌3의 구성에서는 특허문헌1 및 2와 같은 점착재나 정전기를 이용하지 않고, 경통 부착 프레임(322)의 외부에 먼지가 발생되기 때문에 고체 촬상 소자(327)에는 먼지가 부착되지 않는다. 그러나, 경통(320)과 경통 부착 프레임(322)의 연접용 나사를 경통 부착 프레임(322)의 외부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경통 부착 프레임(322)의 외주면에 볼록대(325)를 연장 설치할 필요가 있고, 또한, 경통(320)에도 내면에 내부 나사(308)를 구비한 제 2 통부(304)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3의 고체 촬상 장치는 대형화되어 버린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2-261158호 공보(1987년 11월 13일 공개)」
[특허문헌2]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6-42230호 공보(2006년 2월 9일 공개)」
[특허문헌3]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7-06502호 공보(2007년 1월 11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먼지에 의한 화상 불량을 방지하면서 소형의 고체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피사체상을 형성하고, 광로를 따라 승강하는 광학 구조체와, 광학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피사체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고체 촬상 소자와, 광학 구조체를 내부에 유지함과 아울러, 고체 촬상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유지부를 구비한 고체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광학 구조체의 이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고 있고,
상기 광학 구조체는 이면에 상기 유지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유지부의 접촉면과의 접촉시에 접촉면 상의 먼지를 접촉면의 외측으로 배척하는 배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광학 구조체의 이면에 완충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광학 구조체가 강하되어 유지부에 있어서의 접촉면에 접촉되어도 접촉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지부의 내부에 광학 구조체가 유지되기 때문에 고체 촬상 장치가 대형화되는 일도 없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완충 부재는 유지부에 있어서의 접촉면 상의 먼지를 접촉면의 외측으로 배척하는 배척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광학 구조체가 강하되어 광학 구조체의 이면에 설치된 완충 부재와, 유지부에 있어서의 접촉면이 접촉되었을 때에 접촉면 상의 먼지를 배척부에 의해 광로로부터 멀리할 수 있 다. 따라서, 제조시 및 사용시에 발생된 먼지에 의한 화상 불량을 방지(또는 경감)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구성에 의하면 먼지에 의한 화상 불량을 방지(또는 경감)하면서 소형의 고체 촬상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나타내는 기재에 의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일형태에 대해서 도 1~도 19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광학 구조체와 유지부 사이에 설치된 비금속제의 완충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제조시 및 사용시의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소형의 고체 촬상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 디지털 스틸 카메라, 시큐리티 카메라 등의 촬영 가능한 전자 기기에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기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고체 촬상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은 배선 기판(2), 광학 구조체(3), 렌즈 홀더(4) 및 레버(5)를 구비하고, 이들이 일체로 된 구성이다. 즉, 배선 기판(2) 상에 촬영을 위한 광학 구조체(3)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4)가 형성되어 있고, 렌즈 홀 더(4) 상에 촬영 모드를 스위칭하는 레버(5)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5)의 중앙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광학 구조체(3)는 그 개구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광학 구조체(3)측을 표측(상측), 배선 기판(2)측을 이면편(하측)으로 표현한다.
여기에서, 카메라 모듈(1)의 각 부의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이용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도 2의 카메라 모듈(1)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배선 기판(2)은 도시하지 않은 패터닝된 배선을 갖는 기판이다. 배선 기판(2)의 중앙부에는 고체 촬상 소자(21)가 탑재되어 있다. 배선 기판(2)과 고체 촬상 소자(21)는 본딩 와이어(2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서로 전기 신호의 송수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체 촬상 소자(21)는 광학 구조체(3)가 형성하는 피사체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즉, 광학 구조체(3)로부터 입사된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는 센서 디바이스이다. 고체 촬상 소자(21)의 표면(상면)에는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된 수광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광면에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서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고체 촬상 소자(21)는 예를 들면, CCD 또는 CMOS 센서 IC이다.
고체 촬상 소자(21) 상에는 접착부(23)를 통해 투광성 덮개부(24)가 배치되어 있다. 투광성 덮개부(24)는 고체 촬상 소자(21)의 표면에 복수의 수광 소자가 배열된 유효 화소 영역을 적어도 덮도록 고체 촬상 소자(21)와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투광성 덮개부(24)는 예를 들면, 유리 등의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투광성 덮개부(24)는 접착부(23)를 통해 고체 촬상 소자(21)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고체 촬상 소자(21)(유효 화소 영역)와 투광성 덮개부(24)는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투광성 덮개부(24)의 사이즈는 고체 촬상 소자(21)보다 작다. 이렇게, 투광성 덮개부(24)는 고체 촬상 소자(21)의 유효 화소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효 화소 영역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유효 화소 영역을 외부의 습기, 더스트(먼지, 절삭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투광성 덮개부(24)에는 IR 컷팅 코팅 처리가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투광성 덮개부(24)는 외부로부터의 적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배선 기판(2) 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광축을 조정하기 위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 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 각 처리 과정의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RAM 등의 전자 부품도 구비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카메라 모듈(1) 전체가 제어된다.
광학 구조체(3)는 피사체상을 형성하는 촬영 광학계이다. 즉, 광학 구조체(3)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고체 촬상 소자(21)에 결상하기 위한 광학계이다. 또한, 광학 구조체(3)는 레버(5)의 조작에 의해 광로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학 구조체(3)는 중앙에 렌즈(31)를 유지한 렌즈부(32), 렌즈부(32)를 유지하는 렌즈 배럴(경통)(33), 레버(5)의 조작시의 광학 구조체(3)와 렌즈 홀더(4)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34)로 구성된다. 렌즈(31)의 광축은 렌즈 배럴(33)의 중심축과 일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서는 렌즈부(32) 및 렌즈 배럴(33)은 모 두 수지제이다.
완충 부재(34)는 광학 구조체(3)의 이면에 광학 구조체(3)의 광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완충 부재(34)는 완충 부재(34)의 외측면과, 렌즈 홀더(4) 사이에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완충 부재(34)는 광학 구조체(3)의 이면에 접착되어 있고, 비금속제의 부재로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완충 부재(34)는 렌즈 홀더(4) 상의 먼지(D)를 배척하도록 되어 있다. 완충 부재(34)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렌즈 홀더(4)는 수지제의 통형상 부재이며, 상부에 광학 구조체(3)를 유지함과 아울러, 하부에 고체 촬상 소자(21)를 수용(밀봉)하는 공간(S)을 갖는다. 또한, 렌즈 홀더(4)의 중앙부는 내측면으로부터 안쪽(중앙)으로 돌출되어 있고, 광학 구조체(3)의 이면{즉, 완충 부재(34)}과 접촉되는 접촉면(4a)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1)에 의한 촬상은 렌즈(31) 및 투광성 덮개부(24)를 투과한 입사광을 고체 촬상 소자(21)가 도입함으로써 행해진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은 매크로 기능을 갖고 있고, 통상 촬영 모드와, 접사 모드의 스위칭이 가능하다. 각 모드의 스위칭은 레버(5)의 조작에 의해 광학 구조체(3){렌즈부(32) 및 렌즈 배럴(33)}를 승강시킴으로써 행한다. 광학 구조체(3)는 레버(5)의 조작에 의해 광로를 따라 승강한다. 레버(5)는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기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고, 촬영자가 레버(5)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레버(5)를 왼쪽으로 쓰러뜨리면 통상 촬영 모드의 초점 거리로 조정되고, 오른쪽으로 쓰러뜨리면 접사 모드의 초점 거리로 조정된다.
또한, 렌즈 홀더(4)와 렌즈 배럴(33)의 접촉부 및 렌즈부(32)와 렌즈 배럴(33)의 접촉부는 각각 서로 맞물리는 나사 구조를 갖고 있고, 레버(5)의 조작에 의해 각 부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3~도 5는 카메라 모듈(1)의 매크로 기능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광학 구조체(3)의 상태가 나타내어진다. 도 3은 통상 촬영 모드시, 도 4는 통상 촬영 모드와 접사 모드의 스위칭 도중, 도 5는 접사 모드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렌즈부(32) 및 렌즈 배럴(33)은 가동식이며, 레버(5)의 조작에 의해 모드를 스위칭하면 렌즈부(32) 및 렌즈 배럴(33)이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각 모드의 초점 거리로 렌즈(31)의 위치가 바뀐다. 각 모드의 초점 거리는 각 모드에서의 포커스가 맞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초점 거리란, 고체 촬상 소자(21)의 촬상면으로부터 렌즈(31)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렇게, 도 3~도 5의 상태가 반복됨으로써 각 모드가 스위칭된다. 또한, 레버(5)의 조작에 의해 모드를 스위칭하면 광학 구조체(3)의 승강 동작에 따라 완충 부재(34)도 승강되어 완충 부재(34)가 렌즈 홀더(4)의 접촉면(4a)과 접촉된 상태(도 3)로부터 접촉면(4a)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도 4·도 5)로, 또는 그 반대로 구동된다.
여기에서, 모드의 스위칭시, 예를 들면, 도 3의 상태로부터 도 4의 상태로의 이행시에는 도 4의 파선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부(32)와 렌즈 배럴(33)의 마찰 부분이 나온다. 마찬가지로, 도 4의 상태로부터 도 5의 상태로의 이행시에는 렌즈 배럴(33)과 렌즈 홀더(4)의 마찰 부분(파선부)이 나온다. 이 때문에, 카메라 모듈(1)의 사용과 함께 마찰 부분으로부터 발진되어 먼지(D)가 발생되어 버린다.
또한, 카메라 모듈(1)에서는 마찰 부분으로부터 발생되는 먼지에 추가해서 원래 카메라 모듈(1) 내에 부착된 먼지도 있다. 즉, 제조 공정 중에 카메라 모듈(1) 내에 혼입되어 출하 검사시에 검출되지 않은 먼지도 있다. 이 때문에 카메라 모듈(1)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그 먼지가 카메라 모듈(1) 내를 이동해 버린다.
이렇게, 카메라 모듈(1)에는 사용중에 마찰 부분으로부터 발생되는 먼지(사용시의 먼지)와, 제조 공정 중에 혼입된 먼지(제조시의 먼지)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먼지가 광로 상에 부착되면 부착된 먼지의 형체가 흑색의 점이나 얼룩으로서 촬상 화면에 전사되어 버린다. 즉, 광로 상에 부착된 먼지는 화상 불량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화상 불량의 원인이 되는 먼지(D)는 렌즈 홀더(4)의 접촉면(4a) 상에 특히 쌓이기 쉽다.
그래서, 카메라 모듈(1)에서는 렌즈 홀더(4)의 접촉면(4a)과의 접촉시에 접촉면(4a) 상의 먼지를 접촉면(4a)의 외측으로 배척하는 배척부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은 완충 부재(34)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완충 부재(34)는 광학 구조체(3)의 이면과 접촉되는 제 1 부재(35)와, 렌즈 홀더(4)의 접촉면(4a)과 접촉되는 제 2 부재(3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완충 부재(34){제 1 부재(35) 및 제 2 부재(36)}의 중앙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광학 구조체(3)로부터 고체 촬상 소자(21)까지의 광로는 확보되어 있다. 또한, 완충 부재(34)는 광학 구조체(3)로부터 고체 촬상 소자(21)까지의 광로가 확보되어 있으면 개구를 갖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34)가 투광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광로는 확보된다. 제 1 부재(35)와 제 2 부재(36)는 단일의 부재이어도 좋고, 각각 독립된 부재를 조합한 것이어도 좋다.
도 6과 같이, 완충 부재(34)는 렌즈 홀더(4)의 접촉면(4a)과의 접촉시에 접촉면(4a) 상의 먼지를 접촉면(4a)의 외측으로 배척하는 배척부로서 브러시(50)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은 도 6의 완충 부재(34)에 있어서의 제 2 부재(36)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제 2 부재(36)의 이면도이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러시(50)는 완충 부재(34)의 이면{즉, 광학 구조체(3)의 이면}에 외향으로 휘어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브러시(50)는 길이가 다르고, 짧은 브러시와 긴 브러시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완충 부재(34)의 이면에 브러시(50)가 설치되어 있으면 예를 들면, 상술한 도 4와 같이 완충 부재(34)와 접촉면(4a)이 서로 이간된 상태로부터 렌즈 배럴(33)이 강하되어 도 3과 같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될 때에 도 5와 같이 접촉면(4a) 상의 먼지(D)가 브러시(50)에 의해 접촉면(4a)의 외측으로 배척된다. 즉, 브러시(50)가 접촉면(4a)에 접촉됨으로써 브러시(50)가 접촉면(4a) 상의 먼지(D)를 외측으로 쓸어내어 먼지(D)를 광로로부터 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시 및 사용시에 발생된 먼지(D)에 의한 화상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또는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8과 같이, 브러시(50)가 이면에 외향으로 휘어져 있는 구성이면 브러시(50)가 접촉면(4a)에 접촉되면 접촉면(4a) 상의 먼지(D)를 확실하게 접촉면(4a)의 외측으로 쓸어내어 먼지(D)를 광로로부터 확실하게 멀리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8과 같이, 브러시(50)의 길이가 짧은 것과 긴 것이 혼재되어 있으면 브러시(50)가 접촉면(4a)에 접촉될 때{광학 구조체(3)의 강하시}에는 모든 브러시(50)에 의해 접촉면(4a) 상의 먼지(D)를 외측으로 쓸어내도록 작용한다. 한편, 브러시(50)가 접촉면(4a)으로부터 떨어질 때{광학 구조체(3)의 승진시}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브러시는 접촉면(4a)으로부터 빨리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긴 브러시는 접촉면(4a)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늦게 된다. 따라서, 브러시(50)에 의해 접촉면(4a)의 외측으로 배척된 먼지(D)가 접촉면(4a)의 내측으로 되돌아오는(광로 방향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6~도 8에서는 배척부가 완충 부재(34)의 이면에 설치된 브러시(50)였지만 브러시(50) 대신에 도 9와 같이, 완충 부재(34)의 이면이 다중 혼(horn)(다중 콘)형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도 9는 완충 부재(34){제 2 부재(36)}의 이면이 다중 혼형 구조(60)로 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꿔 말하면, 도 9의 다중 혼형 구조(60)는 다중의 나팔 구조, 다중 스피커 형태 구조 또는 아네모스탯(anemostat) 형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다중 혼형 구조(60)는 서로 바닥면을 공유하는(동심원상의 바닥면을 갖는) 복수의 원추대형이 다중으로 형성된 구조라고도 할 수 있다.
도 9의 다중 혼형 구조(60)도 도 7 및 8의 브러시(50)와 마찬가지로, 완충 부재(34)의 이면에 외향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브러시(50)와 마찬가지로, 접촉면(4a)으로의 접촉시에 다중 혼형 구조(60)가 접촉면(4a) 상의 먼지(D)를 확실하게 접촉면(4a)의 외측으로 쓸어내어 먼지를 광로로부터 확실하게 멀리할 수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1 및 2의 구성에서는 발생된 먼지를 점착재에 부착시키고 있고, 특허문헌3의 구성에서는 고체 촬상 소자로의 먼지의 부착을 방지하고 있다. 즉, 특허문헌1~3의 구성은 사용시에 발생된 먼지를 회수하는 것이다. 그러나,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는 대책은 조금도 강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 등은 고체 촬상 장치의 사용중에 발생되는 먼지의 원인을 검토한 결과, 텐션링(tension ring)에 문제가 있는 것을 밝혀냈다. 도 17은 텐션링을 구비한 종래의 고체 촬상 장치(400)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텐션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텐션링과 렌즈 배럴의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도 17에 있어서의 파선부의 확대도)이다. 도 17과 같이, 고체 촬상 장치(400)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완충 부재(34)를 대신하는 부재로서 금속제의 텐션링(434)을 구비하고 있다. 텐션링은 도 18과 같이 개구를 갖는 금속제의 부재이다. 도 19와 같이, 렌즈 배럴(433)에 의해 하방의 압력이 가해지면 그 압력에 의해 텐션링(434)이 외측을 향해서 연장된다. 본 발명자 등은 이 때에 금속제의 텐션링(434)이 렌즈 배럴(433)과의 접촉면을 깎아 먼지(D)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완충 부재(34)는 비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과 같이, 완충 부재(34)가 제 1 부재(35)와 제 2 부재(36)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6 참조), 적어도 제 1 부재(35)가 비금속제이면 좋다. 도 10은 제 1 부재(35)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렇게, 광학 구조체(3)와 렌즈 홀더(4) 사이에 배치된 완충 부재(34)가 비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완충 부재(34)가 광학 구조체(3){렌즈 배럴(33)}를 깎아서 발진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조시 및 사용시의 먼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다른 제 1 부재(35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제 1 부재(35a)는 광학 구조체(3)와의 접촉부의 일부가 제거된 홈(제 1 제거부)(37)을 갖고 있다. 즉, 홈(37)은 제 1 부재(35a)의 개구와 동심원상이며, 제 1 부재(35a)에 있어서의 광학 구조체(3)와의 접촉부가 일부 제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부재(35a)는 광학 구조체(3)와 부분적으로 접촉(부분 접촉)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 10과 같이 홈(37)을 갖지 않는 구성{즉, 광학 구조체(3)와 전면적으로 접촉되는 구성}보다 광학 구조체(3)와의 접촉 면적이 작게 된다. 따라서, 완충 부재(34)와 광학 구조체(3)의 마찰을 줄여 제조시 및 사용시의 먼지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에서는 레버(5)의 회전에 연동해서 광학 구조체(3)가 상하로 이동된다. 이 때, 완충 부재(34){특히 완충 부재(34)에 있어서의 광학 구조체(3)와의 접촉부}에 압력이 가해진다. 이 때문에, 완충 부재(34)를 구성하는 재료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수지, 엘라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완충 부재(34)의 탄성력에 의해 효율적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34)의 구체예는 와셔이다.
또한, 완충 부재(34)는 광학 구조체(3)와의 접촉부{즉, 제 1 부재(35·35a)의 표면}이 불소 수지에 의해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는 불소를 함유하는 올레핀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합성 수지이다.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테프론(등록 상표)},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불소 수지 중에서도 특히 내구성 및 윤활성이 우수하고, 화학 약품에 대해서도 매우 안정적이다. 한편,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은 가공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불소 수지 코팅된 완충 부재(34)에는 비금속제의 완충 부재(34)에 불소 수지를 도포해서 코팅한 것, 비금속제의 완충 부재(34)에 불소 수지의 성형체를 씌운 것이어도 좋다.
한편, 완충 부재(34)의 이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는 제조시 또는 사용시에 발생된 먼지를 포착하기 위해서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부재(34) 이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으면 제조시 및 사용시에 먼지가 발생되었다고 해도 그 먼지를 그리스에 흡착시킬 수 있다. 즉, 완충 부재(34)의 이면에 브러시(50) 등의 배척부를 구비함으로써 제조시 및 사용시에 발생된 먼지(D)를 접촉면(4a)의 외측으로 배척할 뿐만 아니라 발생된 먼지를 그리스에 의해 포착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에 의한 화상 불량을 장기적으로 방지(또는 경감)할 수 있다.
그리스가 도포된 완충 부재(34)의 구성(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도 12~도 16과 같이 할 수 있다. 도 12~도 16은 도 6에 있어서의 제 2 부재(36)에 그리스가 도포된 완충 부재(34)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상단이 사시도이며, 하단이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 2 부재(36a)의 측면에 복수의 구멍(38)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에 그리스(G)가 주입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완충 부재(34){제 2 부재(36a)}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38)에 그리스(G)가 충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시 및 사용시에 먼지가 발생되었다고 해도 그 먼지를 그리스(G)에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흡착된 먼지를 구멍(38) 안에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3은 제 2 부재(36b)의 측면의 주위가 제거된 환상의 홈(39)(제 2 제거부)를 갖고 있고, 홈(39)에 그리스(G)가 주입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완충 부재(34){제 2 부재(36b)}의 측면의 주위에 형성된 홈(39)에 그리스(G)가 주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시 및 사용시에 먼지가 발생되었다고 해도 그 먼지를 그리스(G)에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흡착된 먼지를 홈(39)에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4는 제 2 부재(36c)가 광학 구조체(3)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광학 구조체(3)와의 접촉부에 대해서 평행한 단면이 작아져 있고, 제 2 부재(36c)의 측면에 그리스(G)가 도포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완충 부재(34){제 2 부재(36c)} 형상은 역원추대상(테이퍼상)이다. 즉, 완충 부재(34){제 2 부재(36c)}는 먼지가 쌓이기 쉬운 하방(유지부측)이 좁아져 있다. 그리고, 완충 부재(34){제 2 부재(36c)}의 측면에는 그리스(G)가 도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시 및 사용시에 먼지가 발생되었다고 해도 특히 먼지가 쌓이기 쉬운 완충 부재(34){제 2 부재(36c)}의 하방에서 그 먼지를 그리스(G)에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제 2 부재(36c)의 측면의 테이퍼 부분 전역에 그리스(G)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의 흡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5는 제 2 부재(36d)의 이면에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심(개구)을 향해서 복수의 홈(41)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홈(41)에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서는 완충 부재(34){제 2 부재(36d)}의 이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41)에 그리스(G)가 주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시 및 사용시에 먼지가 발생되었다고 해도 특히 먼지가 쌓이기 쉬운 완충 부재(34){제 2 부재(36d)}의 이면에서 그 먼지를 그리스(G)에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흡착된 먼지를 홈에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6은 제 2 부재(36e)의 이면에 렌즈 홀더(4)의 접촉면(4a)과의 접촉부의 일부가 제거된 홈(제 3 제거부)을 갖고 있고, 홈(42)에 그리스가 주입되어 있는 구성이다. 바꿔 말하면, 제 2 부재(36e)는 도 11의 제 1 부재(35a)를 역향으로 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즉, 제 2 부재(36e)의 이면에 형성된 홈(42)은 제 2 부재(36e)의 개구와 동심원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레버(5)의 조작에 의해 완충 부재(34)가 접촉면(4a)과의 접촉(압축) 상태(도 1 또는 도 3)와, 비접촉(개방) 상태(도 4 또는 도 5)를 반복하는 동안에 그리스(G)의 도포 부분으로 먼지가 이동한다. 따라서, 그리스(G)에 먼지를 포착할 수 있다.
또한, 그리스(G)는 반고체상 또는 액체에 가까운 유지의 일종이며, 예를 들면, 반고체상(또는 고체에 가까운 상태), 또는, 페이스트상의 윤활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스(G)는 예를 들면, 이황화몰리브덴계 윤활제, 백색계 윤활제, 실리콘계 윤활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계 윤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리스(G)는광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유계 그리스, 폴리α올레핀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α 올레핀계 그리스, 실리콘 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실리콘계 그리스, 플루오로실리콘계 그리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계 그리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그리스(G)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리스(G)는 예를 들면, 리튬 비누, 칼슘 비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 그리스용 첨가물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좋다. 그리스(G)는 삼출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스(G)로서는 예를 들면, 도레이 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모리코트(상품명) EMD-D11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스(G)의 도포량은 먼지(D)를 부착시킬 수 있는 정도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리스(G)의 도포량은 그리스(G)의 특성에 따라 설정하면 좋다. 또한, 먼지(D)가 발생되기 쉬운 부분에는 그리스(G)를 넉넉하게 도포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1)에서는 완충 부재(34)가 비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제조시 및 사용시의 먼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홀더(4)의 내부에 광학 구조체(3)가 유지되기 때문에 특허문헌3의 구성과 같이, 카메라 모듈(1)이 대형화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에 의하면 제조시 및 사용시의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소형의 카메라 모듈(1)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리스(G)를 사용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도 있다.
(a) 그리스(G)는 먼지(D)를 부착시킬 뿐만 아니라 그리스(G)의 도포 전에 도포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코팅하는 것(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b) 그리스(G)는 유동성을 갖기 때문에 도포 위치에 침투시키기 쉽다.
(c) 그리스(G)는 특성(예를 들면, 내열성, 내후성 등의 물성)의 열화가 적다.
(d) 무독이다.
(e) 그리스(G)의 조성을 바꿈으로써 용이하게 그리스의 특성을 변경하는 것(예를 들면, 점도 조정)이 가능하다.
(f) 유지 보수가 불필요하다.
또한, 그리스 대신에 열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점착 테이프 등의 점착 재를 이용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카메라 모듈(1)은 예를 들면, 각각 제조된 고체 촬상 소자(21)를 갖는 배선 기판(2)과, 광학 구조체(3)를 유지한 렌즈 홀더(4)를 조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34)로의 그리스(G)의 도포는 예를 들면, 디스펜서 방식을 적용해서 실현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에서는 완충 부재(34)의 이면에 브러시(50) 등의 배척부를 구비하는 이외에는 공지의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2-062462호 공보)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매크로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오토 포커스(AF) 기능, 줌 기능 등, 초점 조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기능을 실행하면 광학 구조체(3)로부터 먼지가 발생되기 쉽다. 그러나, 각 기능을 실행할 때에 먼지가 발생되었다고 해도 그 먼지를 그리 스(G)에 의해 흡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이상과 같이, 광학 구조체의 이면에 설치된 완충 부재가 유지부의 접촉면과의 접촉시에 접촉면 상의 먼지를 접촉면의 외측으로 배척하는 배척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먼지에 의한 화상 불량을 방지(또는 경감)하면서 소형의 고체 촬상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상기 배척부는 브러시인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척부가 브러시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브러시가 유지부의 접촉면에 접촉되면 브러시가 접촉면 상의 먼지를 외측으로 쓸어내어 먼지를 광로로부터 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시 및 사용시에 발생된 먼지에 의한 화상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또는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상기 브러시는 광학 구조체의 이면의 외측으로 휘어져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브러시가 광학 구조체의 이면에 외향으로 휘어져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브러시가 광학 구조체의 이면의 외측을 향해서 벌어져 있다. 즉, 브러시가 광로에 대해서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브러시가 유지부의 접촉면에 접촉되면 브러시가 접촉면 상의 먼지를 확실하게 외측으로 쓸어내어 먼지를 광로로부터 확실하게 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상기 브러시의 길이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척부가 길이가 다른 브러시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브러시가 유지부의 접촉면에 접촉될 때에는 모든 브러시에 의해 접촉면 상의 먼지를 외측으로 쓸어낼 수 있다. 한편, 브러시가 유지부의 접촉면으로부터 떨어질 때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브러시는 접촉면으로부터 빨리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긴 브러시는 접촉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늦게 된다. 따라서, 브러시에 의해 접촉면의 외측으로 배척된 먼지가 접촉면의 내측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상기 배척부는 다중 혼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척부가 다중 혼(콘)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배척부가 다중의 나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이 구성에서도 배척부는 광학 구조체의 이면의 외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다중 혼형 형상의 배척부가 유지부의 접촉면에 접촉되면 배척부가 접촉면 상의 먼지를 확실하게 외측으로 쓸어내어 먼지를 광로로부터 확실하게 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상기 완충 부재의 이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완충 부재의 이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배척부에 의해 접촉면 상의 먼지를 접촉면의 외측으로 배척하는데에 추가해서 그 먼지를 그리스에 흡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에서는 먼지를 광로로부터 멀리할 뿐만 아니라 발생된 먼지를 그리스에 의해 포착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에 의한 화상 불량을 장기적으로 방지(또는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상기 완충 부재는 광학 구조체와의 접촉부가 불소 수지에 의해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완충 부재의 광학 구조체와의 접촉부가 내구성 및 윤활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 코팅되어 있다. 따라서, 제조시 및 사용시의 먼지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상기 완충 부재는 광학 구조체와의 접촉부의 일부가 제거된 제 1 제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완충 부재의 광학 구조체와의 접촉부가 일부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 부재는 광학 구조체와 부분적으로 접촉(부분 접촉)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완충 부재가 제 1 제거부를 갖지 않는 구성(즉, 광학 구조체와 전면적으로 접촉되는 구성)보다 광학 구조체와의 접촉 면적이 작게 된다. 따라서, 완충 부재와 광학 구조체의 마찰을 줄여 제조시 및 사용시의 먼지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오토 포커스 기능, 줌 기능 및 매크로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광학 구조체로부터 먼지가 발생되기 쉬운 오토 포커스 기능, 줌 기능 및 매크로 기능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기능을 실행할 때에 먼지가 발생되었다고 해도 그 먼지를 유지부에 있어서의 접촉면의 외측으로 배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완충 부재가 렌즈 홀더의 접촉면과의 접촉시에 접촉면 상의 먼지를 접촉면의 외측으로 배척하는 배척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먼지에 의한 화상 불량을 방지(또는 경감)하면서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 디지털 스틸 카메라, 시큐리티 카메라 등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 부재에 그리스를 도포함으로써 고체 촬상 장치의 사용시(조작시 또는 가지고 다닐 때) 및 제조시에 가령 먼지가 발생되었다고 해도 그 먼지를 그리스에 부착시켜서 포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품질 향상과 대폭적인 수율 향상에 의한 비용 다운을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즉,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해서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 있어서 이룬 구체적인 실시형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백하게 하는 것이며, 그러한 구체예에만 한정해서 협의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 청구 사항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통상 촬영 모드시의 광학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통상 촬영 모드와 접사 모드의 스위칭 도중의 광학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접사 모드시의 광학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완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완충 부재에 있어서의 제 2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 2 부재의 이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완충 부재에 있어서의 다른 제 2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이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완충 부재에 있어서의 제 1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완충 부재에 있어서의 다른 제 1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의 완충 부재에 있어서의 제 2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다.
도 13은 도 6의 완충 부재에 있어서의 다른 제 2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6의 완충 부재에 있어서의 다른 제 2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6의 완충 부재에 있어서의 다른 제 2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6의 완충 부재에 있어서의 다른 제 2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텐션링을 구비한 종래의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텐션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의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텐션링과 렌즈 배럴의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특허문헌1에 기재된 고체 촬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특허문헌2에 기재된 고체 촬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특허문헌3에 기재된 고체 촬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Claims (12)

  1. 피사체상을 형성하고, 광로를 따라 승강하는 광학 구조체;
    상기 광학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상기 피사체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고체 촬상 소자; 및
    상기 광학 구조체를 내부에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광학 구조체의 이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광학 구조체는 이면에 상기 유지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유지부의 접촉면과의 접촉시에 접촉면 상의 먼지를 접촉면의 외측으로 배척하는 배척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척부는 브러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광학 구조체의 이면의 외측으로 휘어져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길이가 서로 다른 짧은 브러시와 긴 브러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5. 피사체상을 형성하고, 광로를 따라 승강하는 광학 구조체;
    상기 광학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상기 피사체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고체 촬상 소자; 및
    상기 광학 구조체를 내부에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광학 구조체의 이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광학 구조체는 이면에 상기 유지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유지부의 접촉면과의 접촉시에 접촉면 상의 먼지를 접촉면의 외측으로 배척하는 배척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척부는 다중 혼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6. 피사체상을 형성하고, 광로를 따라 승강하는 광학 구조체;
    상기 광학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상기 피사체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고체 촬상 소자; 및
    상기 광학 구조체를 내부에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광학 구조체의 이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광학 구조체는 이면에 상기 유지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완충 부재의 이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7. 피사체상을 형성하고, 광로를 따라 승강하는 광학 구조체;
    상기 광학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상기 피사체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고체 촬상 소자; 및
    상기 광학 구조체를 내부에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광학 구조체의 이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광학 구조체는 이면에 상기 유지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광학 구조체와의 접촉부가 불소 수지에 의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광학 구조체와의 접촉부의 일부가 제거된 제 1 제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9. 피사체상을 형성하고, 광로를 따라 승강하는 광학 구조체;
    상기 광학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상기 피사체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고체 촬상 소자; 및
    상기 광학 구조체를 내부에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광학 구조체의 이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광학 구조체는 이면에 상기 유지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오토 포커스 기능, 줌 기능 및 매크로 기능 중 1개 이상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10. 고체 촬상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상기 고체 촬상 장치는,
    피사체상을 형성하고, 광로를 따라 승강하는 광학 구조체,
    상기 광학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상기 피사체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고체 촬상 소자, 및
    상기 광학 구조체를 내부에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광학 구조체의 이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광학 구조체는 이면에 상기 유지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유지부의 접촉면과의 접촉시에 접촉면 상의 먼지를 접촉면의 외측으로 배척하는 배척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척부는 브러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고체 촬상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상기 고체 촬상 장치는,
    피사체상을 형성하고, 광로를 따라 승강하는 광학 구조체,
    상기 광학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상기 피사체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고체 촬상 소자, 및
    상기 광학 구조체를 내부에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광학 구조체의 이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광학 구조체는 이면에 상기 유지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유지부의 접촉면과의 접촉시에 접촉면 상의 먼지를 접촉면의 외측으로 배척하는 배척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척부는 다중 혼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브러시와 상기 긴 브러시는 완충 부재의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KR1020080054359A 2007-06-15 2008-06-10 고체 촬상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KR100955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59366 2007-06-15
JP2007159366A JP4344761B2 (ja) 2007-06-15 2007-06-15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494A KR20080110494A (ko) 2008-12-18
KR100955859B1 true KR100955859B1 (ko) 2010-05-04

Family

ID=4013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359A KR100955859B1 (ko) 2007-06-15 2008-06-10 고체 촬상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29045B2 (ko)
JP (1) JP4344761B2 (ko)
KR (1) KR100955859B1 (ko)
CN (1) CN1013246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045B1 (ko) * 2008-12-18 2010-09-1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9640B1 (ko) * 2009-06-02 2017-02-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오토 포커스 카메라 모듈
KR101056111B1 (ko) * 2009-07-09 2011-08-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오토 포커스 카메라 모듈
CN102087397B (zh) * 2009-12-04 2013-09-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CN104834074B (zh) * 2015-04-30 2017-06-13 北京空间机电研究所 一种多焦面相机无应力结构
JP6418330B2 (ja) * 2015-08-04 2018-11-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振動装置及びカメラ
US10341541B2 (en) 2015-08-14 2019-07-02 Gopro, Inc. Integrated sensor and lens assembly with post-tuning optical alignment
US10116853B2 (en) * 2015-11-11 2018-10-30 Gopro, Inc. Integrated sensor and lens assembly with differential threads adjustment
KR102335306B1 (ko) * 2016-03-12 2021-12-03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어레이 이미징 모듈, 성형 감광성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5681640B (zh) * 2016-03-28 2019-12-27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摄像模组及其制造方法
WO2017169656A1 (ja) * 2016-03-31 2017-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JP6983550B2 (ja) * 2017-06-29 2021-12-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および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208026957U (zh) * 2018-02-09 2018-10-30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镜头模组
CN110753175B (zh) * 2019-11-05 2021-01-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JP2023538862A (ja) * 2020-08-11 2023-09-12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メラ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これを含むカメラ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5332A (ja) * 1994-02-10 1995-08-22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鏡筒の遮光装置
KR20050113982A (ko) * 2004-05-31 2005-12-05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JP2006235575A (ja) 2005-02-25 2006-09-07 Ashu Kogaku Kofun Yugenkoshi 鏡筒モジュール
JP2007020191A (ja) * 2005-07-09 2007-01-25 Altus Technology Inc デジタルカメラ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1054A (en) * 1980-05-15 1981-12-11 Ushio Electric Inc Sterilizing method
FR2518904A1 (fr) * 1981-12-24 1983-07-0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pour deposer a distance un produit sur une surface et son application a la fixation de poussieres toxiques sur les parois d'une cavite contaminee
JPS62261158A (ja) 1986-05-08 1987-11-13 Matsushita Electronics Corp 固体撮像装置
US5581412A (en) 1993-12-27 1996-12-03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supporting structure of lens barrel
US5862035A (en) * 1994-10-07 1999-01-19 Maxwell Energy Products, Inc. Multi-electrode double layer capacitor having single electrolyte seal and aluminum-impregnated carbon cloth electrodes
JP3323022B2 (ja) * 1995-01-19 2002-09-09 株式会社壽 シャープペンシル
US6013917A (en) * 1997-03-12 2000-01-11 Photoscience Japan Corporation UV ray irradiation apparatus having scraper rings fitted to light transmission tubes
US6483101B1 (en) * 1999-12-08 2002-11-19 Amkor Technology, Inc. Molded image sensor package having lens holder
JP3954332B2 (ja) * 2000-07-17 2007-08-08 株式会社東芝 光学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TWI221207B (en) 2000-07-17 2004-09-21 Toshiba Corp Optical lens unit having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focal point of the optical lens
JP3725012B2 (ja) 2000-08-17 2005-12-07 シャープ株式会社 レンズ一体型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4134753B2 (ja) 2002-06-26 2008-08-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写真用感光体、電子写真用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246364B2 (en) 2002-10-15 2007-07-17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pickup device
FR2849275B1 (fr) * 2002-12-24 2005-04-15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d'assemblage d'un systeme optique en avant sur un boitier optique
JP4118172B2 (ja) 2003-03-12 2008-07-16 シチズンミヨタ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CA2519830A1 (en) * 2003-03-20 2004-11-04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Sample mounts for microcrystal crystallography
EP1498756A1 (fr) * 2003-07-17 2005-01-19 STMicroelectronics S.A. Méthode de fixage d'une lentille par rapport à un capteur optique dans un dispositif de prise d'images
JP4303056B2 (ja) 2003-07-29 2009-07-29 シチズンファインテックミヨタ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US7038865B2 (en) * 2003-09-09 2006-05-02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apparatus and lens barrel
JP4352910B2 (ja) 2004-01-27 2009-10-28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US7196332B2 (en) * 2004-05-04 2007-03-27 General Electric Company Monolithic x-ray detector with staggered detection areas
US7391466B2 (en) * 2004-05-04 2008-06-24 Micron Technology, Inc. Camera module with dust trap
TWM267483U (en) * 2004-07-16 2005-06-11 Kingpak Tech Inc Image sensor module
JP2006042230A (ja) 2004-07-30 2006-02-09 Seiko Epson Corp 光モジュール
JP2006058662A (ja) 2004-08-20 2006-03-02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及び小型カメラ
US7355697B2 (en) * 2004-08-26 2008-04-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Flow-through, thermal-expansion-compensated cell for light spectroscopy
JP2006163006A (ja) 2004-12-08 2006-06-22 Nec Access Technica Ltd カメラモジュール固定構造及びその固定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JP2006173855A (ja) * 2004-12-14 2006-06-29 Shinko Electric Ind Co Ltd 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赤外線カット用のフィルム付きスペーサ
WO2006073920A2 (en) 2004-12-30 2006-07-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ernal components of optical device comprising hardcoat
JP2006284841A (ja) 2005-03-31 2006-10-19 Seiko Precision Inc 固体撮像装置
JP2006293100A (ja) 2005-04-12 2006-10-26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組み立て方法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CN1885909A (zh) 2005-06-24 2006-12-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码相机模块
US7576401B1 (en) * 2005-07-07 2009-08-18 Amkor Technology, Inc. Direct glass attached on die optical module
JP2007052076A (ja) 2005-08-15 2007-03-01 Canon Inc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ーおよび撮像装置
CN100531310C (zh) * 2006-01-14 2009-08-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码相机模组
JP2007194931A (ja) * 2006-01-19 2007-08-02 Fujifilm Corp 撮影装置
US7554599B2 (en) * 2006-03-02 2009-06-30 Kingpak Technology, Inc. Image sensor module with air escape ho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5332A (ja) * 1994-02-10 1995-08-22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鏡筒の遮光装置
KR20050113982A (ko) * 2004-05-31 2005-12-05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JP2006235575A (ja) 2005-02-25 2006-09-07 Ashu Kogaku Kofun Yugenkoshi 鏡筒モジュール
JP2007020191A (ja) * 2005-07-09 2007-01-25 Altus Technology Inc デジタルカメラ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312051A (ja) 2008-12-25
CN101324691B (zh) 2010-09-22
CN101324691A (zh) 2008-12-17
JP4344761B2 (ja) 2009-10-14
US20080309814A1 (en) 2008-12-18
US7929045B2 (en) 2011-04-19
KR20080110494A (ko)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859B1 (ko) 고체 촬상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KR100945005B1 (ko) 고체 촬상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JP4621748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4064431B1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製造装置
JP514836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9251517A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983045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308238A (zh) 相机模组
JP2009145598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80170305A1 (en) Lens modu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1117502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組み立て方法、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5595786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5558181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10914943B2 (en) Non-ghosting imaging device
CN107547777B (zh) 定焦摄像模组及其制造方法
KR20080110682A (ko) 촬상 장치
KR100772587B1 (ko) 카메라 모듈
JP2010010909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009208B1 (ko) 카메라 모듈
KR101018107B1 (ko) 카메라 모듈
JP2010093796A (ja) 撮像装置及び埃塵除去装置
JP2011044854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00019817A (ko) 카메라 모듈
KR2005011497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