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185B1 - 니들펀칭 기구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직물 - Google Patents

니들펀칭 기구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185B1
KR100954185B1 KR1020080014493A KR20080014493A KR100954185B1 KR 100954185 B1 KR100954185 B1 KR 100954185B1 KR 1020080014493 A KR1020080014493 A KR 1020080014493A KR 20080014493 A KR20080014493 A KR 20080014493A KR 100954185 B1 KR100954185 B1 KR 100954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needle plate
fabric
patter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9116A (ko
Inventor
전수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승
Priority to KR1020080014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1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8/00Needling machines
    • D04H18/02Needling machines wit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 D04H3/10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by need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은 복수로 배열되는 바늘로 직물에 문양을 형성하는 니들펀치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바늘에 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분할 구조로 형성되는 바늘판(10); 상기 바늘판(10)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높이조절을 위한 나선축(22)을 수용하는 구동축(20); 및 상기 구동축(20)의 일측에 워엄휠(32)과 워엄기어(34)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바늘판(10)을 설정 위치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문양과 질감의 표현이 가능하여 양면을 뒤집어 착용하는 의복은 물론 홈패션과 실내장식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니들펀치, 펀칭, 문양, 패턴, 이중직물, 분할

Description

니들펀칭 기구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직물{Needle punching device and Double layered textile thereby}
본 발명은 니들펀칭 기구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직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문양과 질감의 표현이 가능하여 양면을 뒤집어 착용하는 의복은 물론 홈패션과 실내장식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니들펀칭 기구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직물에 관한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99690호는 표면(表面)직물과 이면(裏面)직물로 이루어진 이중직물을 제안하는 것으로, 경ㆍ위사의 조직사로 표면직물과 이면직물을 구성하는 이중직물에 있어서, 수분전이가 용이한 원사로 된 접결조직사가 표면직물과 이면직물의 조직을 구성하는 경사 또는 위사로 교착되고 동시에 표면직물과 이면직물을 교호로 연결하는 접결조직을 구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이중직물은 양면에서 다양한 문양을 표출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부직포, 카펫, 시트 등의 종류가 다른 직물의 질감을 동시에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89-0012055호의 단열 차광재에 의하면 부직포(7)의 양면에 합성수지 필름제 내피(6a)(6b)를 맞대고, 니들 펀치(4a)(4b)로 국소적으로 내피(6a)(6b)에의 천공과 동시에 일부 부직포 부분(7a)(7b)을 내피(6a)(6b)의 구멍밖으로 노출시켜 눕힌 상태로 각 내피(6a)(6b)의 외면에 합성수지 필름제 외피(9a)(9b)를 피복 가열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비닐하우스 등에서 방수, 단열, 보온 기능을 위한 단열 차광재의 내습성 및 인장, 파열, 인열 강도를 향상할 수 있기는 하지만 합성수지 필름재를 이용한 보강이 반드시 필요하고 미적인 문양을 연출하는 용도로는 적절하지 못한 단점을 지닌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99690호 “이중직물”
[문헌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89-0012055호 “차광단열재”
본 발명은 다양한 문양과 질감의 표현이 가능하여 양면을 뒤집어 착용하는 의복은 물론 홈패션과 실내장식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니들펀칭 기구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직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면은 복수로 배열되는 바늘로 직물에 문양을 형성하는 니들펀치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바늘에 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분할 구조로 형성되는 바늘판; 상기 바늘판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높이조절을 위한 나선축을 수용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워엄휠과 워엄기어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바늘판을 설정 위치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늘판은 2분할 구조의 일측부 또는 3분할 구조의 중앙부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제1항에 의한 바늘판을 복열로 배치한 멀티헤드 방식 니들펀치 기구에서 제1직물과 제2직물을 겹친 상태로 바늘판을 상하로 구동하여섬유웹에 의한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 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니들펀칭 기구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직물에 의하면 다양한 문양과 질감의 표현이 가능하여 양면을 뒤집어 착용하는 의복은 물론 홈패션과 실내장식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니들펀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직물을 부분 상세와 함께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직물을 절단 상태와 함께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면은 복수로 배열되는 바늘로 직물에 문양을 형성하는 니들펀치 기구에 관련된다. 니들펀치 기구는 바늘을 상하운동하는 작동부와 직물을 지지하는 베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바늘 작동부는 정해진 위치에서 상하운동만 수행할 수도 있고 설정된 범위내에서 직선운동을 병행할 수도 있다. 베드 플레이트는 바늘의 찌르기 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직물과 엉키지 않고 이탈이 용이한 브러쉬 구조를 택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직물을 이중으로 겹치는 동시에 마치 수예를 하는 것처럼 문양(P)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카펫의 표면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패턴으로 다양한 문양(P)을 표출시키기 위해 2장의 상이한 시트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니들펀칭 가공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바늘에 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분할 구조로 형성되는 바늘판(10)이 구비된다. 바늘판(10)은 저면에 다수의 펀치용 니들을 지니는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바늘이 각형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원형 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것처럼 이중직물(A)(B)을 형성하면서 섬유웹(W)에 의한 문양(P)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바늘의 높이를 다르게 하는 것은 문양(P)의 다양화를 위해 필요하다.
이때, 상기 바늘판(10)은 2분할 구조의 일측부 또는 3분할 구조의 중앙부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방식을 택한다. 도 1에 의하면 제1바늘판(11), 제2바늘판(12), 제3바늘판(13)을 구비하는 3분할 구조를 예시한다. 이 경우 제1바늘판(11)과 제3바늘판(13)을 높이조절이 없는 고정 구조로 하고 중앙의 제2바늘판(12)을 높이조절 가능한 구조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늘판(10)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구동축(20) 상에 바늘판(10)의 높이조절을 위한 나선축(22)을 수용한다. 나선축(22)은 하단에서 제2바늘판(12)과 연결되고 상단에서 모터(26)와 연결된다. 제어기(미도시)의 설정에 따라 모터(26)에 정 또는 역회전 전원이 인가되면 제2바늘판(12)이 나선축(22)의 나선운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나선축(22)이 제2바늘 판(12)을 상승시키면 제1바늘판(11)과 제3바늘판(13)에 의한 니들펀칭의 섬유웹(W)이 두드러지고 반대로 제2바늘판(12)을 하강시키면 제2바늘판(12)에 의한 니들펀칭의 섬유웹(W)이 두드러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축(20)의 일측에 워엄휠(32)과 워엄기어(34)를 개재하는 회전수단(30)이 연결되어 바늘판(10)을 설정 위치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축(20)은 제1바늘판(11), 제2바늘판(12), 제3바늘판(13)에서 상측으로 동시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동축(20)의 외주면에는 워엄휠(32)이 형성되고 워엄휠(32)에는 워엄기어(34)가 연결된다. 본 발명이 이중직물에 수예의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므로 바늘판(10)을 직선주행과 곡선주행하며 문양(P)을 형성할 때 구동축(20)과 그에 연결된 바늘판(10)의 방향을 수시로 변경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이중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바늘판(10)을 복열로 배치한 멀티헤드 방식 니들펀치 기구에서 제1직물(A)과 제2직물(B)을 겹친 상태로 바늘판(10)을 상하로 구동하여 섬유웹(W)에 의한 문양(P)을 형성한다. 멀티헤드 방식은 다수의 바늘판(10)을 일직선 상으로 배치한 니들펀치 기구이다. 제1직물(A)과 제2직물(B)은 서로 다른 패턴으로 완성된 직물을 사용하는데, 반드시 직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작동에 있어서,제1직물(A)과 제2직물(B)을 맞대어 겹치고 제어기(미도시)에 입력된 니들 펀치의 패턴 정보에 따라 각 헤드의 바늘판(10) 및 베드 플레이트를 구동하여 펀칭을 행한다. 특히 문양(P)의 곡선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바늘판(10)의 구동축(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30)의 사용이 필요하다. 만일 회전수단(30)이 적절하게 회전되지 않으면 문양(P)의 패턴이 직선부와 곡선부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도 2 및 도 3처럼 이중직물(A)(B)의 문양(P)을 2열로 표현하기 위해 바늘판(10)에서 제2바늘판(12)을 약간 상승시켜 높이차를 둘 수 있다.
이후 핫 프레스 등의 수단에 의하여 폴리에틸렌 필름 등 열융착 생필름을 열융착하여 형성된 문자,도안 등의 문양(P)을 안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니들펀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직물을 부분 상세와 함께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직물을 절단 상태와 함께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A, B: 이중직물 P: 문양
10, 11, 12, 13: 바늘판 20: 구동축
22: 나선축 26: 모터
30: 회전수단 32: 워엄휠
34: 워엄기어 36: 모터

Claims (3)

  1. 복수로 배열되는 바늘로 직물에 문양을 형성하는 니들펀치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바늘에 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분할 구조로 형성되는 바늘판(10);
    상기 바늘판(10)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높이조절을 위한 나선축(22)을 수용하는 구동축(20); 및
    상기 구동축(20)의 일측에 워엄휠(32)과 워엄기어(34)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바늘판(10)을 설정 위치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펀치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판(10)은 2분할 구조의 일측부 또는 3분할 구조의 중앙부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펀치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바늘판(10)을 복열로 배치한 멀티헤드 방식 니들펀치 기구에서 제1직물(A)과 제2직물(B)을 겹친 상태로 바늘판(10)을 상하로 구동하여 섬유웹(W)에 의한 문양(P)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직물.
KR1020080014493A 2008-02-18 2008-02-18 니들펀칭 기구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직물 KR100954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493A KR100954185B1 (ko) 2008-02-18 2008-02-18 니들펀칭 기구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493A KR100954185B1 (ko) 2008-02-18 2008-02-18 니들펀칭 기구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116A KR20090089116A (ko) 2009-08-21
KR100954185B1 true KR100954185B1 (ko) 2010-04-21

Family

ID=41207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493A KR100954185B1 (ko) 2008-02-18 2008-02-18 니들펀칭 기구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1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743B1 (ko) 2018-08-10 2019-01-04 박진성 균일 펀칭이 가능한 부직포 니들펀칭기
KR102456976B1 (ko) 2021-07-22 2022-10-19 김건우 부직포 가공용 무베어링 니들펀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5357A (zh) * 2017-11-08 2018-06-01 四川环龙技术织物有限公司 一种造纸毛毯针刺机用高效张力行车传动装置
CN111188130B (zh) * 2020-03-02 2021-09-24 桐乡佳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立式针刺机
CN111206335B (zh) * 2020-03-02 2021-08-10 桐乡佳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采用立式针刺机生产非织造布的方法
CN114672929A (zh) * 2022-04-29 2022-06-28 杭州萧山凤凰纺织有限公司 一种无纺布加工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9189A (en) * 1980-12-19 1983-04-05 Phillips Petroleum Company Nonwoven textile fabric with fused face and raised loop pile
JPS58163587U (ja) 1982-04-26 1983-10-31 株式会社日機 針刺加工用ニ−ドルボ−ド
US5548881A (en) * 1994-04-28 1996-08-27 Textilmaschinenfabrik Dr. Ernst Fehrer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needling a nonwoven web with a rocking needle board
JPH11350327A (ja) 1998-06-10 1999-12-21 Bariomachikku Machine Kk 多針体,多針ヘッド及びニードリング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9189A (en) * 1980-12-19 1983-04-05 Phillips Petroleum Company Nonwoven textile fabric with fused face and raised loop pile
JPS58163587U (ja) 1982-04-26 1983-10-31 株式会社日機 針刺加工用ニ−ドルボ−ド
US5548881A (en) * 1994-04-28 1996-08-27 Textilmaschinenfabrik Dr. Ernst Fehrer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needling a nonwoven web with a rocking needle board
JPH11350327A (ja) 1998-06-10 1999-12-21 Bariomachikku Machine Kk 多針体,多針ヘッド及びニードリング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743B1 (ko) 2018-08-10 2019-01-04 박진성 균일 펀칭이 가능한 부직포 니들펀칭기
KR102456976B1 (ko) 2021-07-22 2022-10-19 김건우 부직포 가공용 무베어링 니들펀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116A (ko) 200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185B1 (ko) 니들펀칭 기구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직물
CN101558191B (zh) 3d织物及其制备方法
JP5694630B2 (ja) ハイドロエンゴルジスパンメルト不織布
CN101166857A (zh) 用于生产特别柔软、耐用并具有有益外观的无纺布的工艺
JP2009503277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ニップにおける不織布の改良
JPS5818477B2 (ja) セイシキカイヨウ ノ ニ−ドルフエルト ノ セイホウ オヨビ ソウチ
KR101908146B1 (ko) 부직포용 다층직물
US20060150331A1 (en) Channeled warming blanket
US3956783A (en) Mattress
JP6370374B2 (ja) テキスタイルの面状ヒーティングエレメントを製造する方法
KR20100104958A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56760A1 (zh) 具有局部三明治效果的多梳贾卡织物
JP2017158894A5 (ko)
CN106149342B (zh) 一种羊毛衫针刺接缝的加工方法
CN113756014A (zh) 一种纱线透气网布、制作方法及应用该网布的鞋面
CN201125323Y (zh) 弹力布起皱绣品
KR200390310Y1 (ko) 원단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자수기
JP6382462B1 (ja) 布類
JP2006296501A (ja) タイルカーペット用基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タイル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40199A (ja) 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とその製造方法
CN218921863U (zh) 一种新型编织的复合电绣面料以及采用该面料的鞋面和鞋子
JP5502444B2 (ja) マット
JP2584850B2 (ja) ダストコントロ−ルマットの製造方法
KR101253539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399940B2 (ja) 不織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