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958A -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958A
KR20100104958A KR1020090023712A KR20090023712A KR20100104958A KR 20100104958 A KR20100104958 A KR 20100104958A KR 1020090023712 A KR1020090023712 A KR 1020090023712A KR 20090023712 A KR20090023712 A KR 20090023712A KR 20100104958 A KR20100104958 A KR 20100104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ayer
dimensional
back layer
surfa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937B1 (ko
Inventor
유일선
장후성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3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937B1/ko
Priority to PCT/KR2010/001120 priority patent/WO2010107186A2/ko
Publication of KR20100104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25/005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입체형상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이면층,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과 표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직조되되, 상기 직물을 형성하는 경사들은 이면층과 중간층을 형성하는 제1그룹경사와 표면층과 중간층을 형성하는 제2그룹경사로 제직되고, 상기 중간층은 제1그룹경사와 제2그룹경사가 함께 제직되어 상기 직물이 3차원 입체형상으로 전환시 상기 중간층은 표면층과 이면층에 직선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에 관한 것이다.
입체직물, 다층직물, 다층구조, 블라인드

Description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3D Fabric and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3차원적 입체형상 발현이 가능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직기 및 1공정으로 제직이 가능하며 평면형상과 3차원 입체형상간의 형상변화가 가능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로 단열효율이 높은 블라인드용으로 응용이 가능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직물이라 함은 어떤 원료로부터 제조되어 제직(weaving), 편성(knitting), 프레이팅(plaiting) 또는 브레이딩(braiding)의 방법에 의해 구성되며 또한 섬유의 교차(interlock)방법에 의해 펠트(felt) 직물이 만들어진다.
직물의 기본적인 표준 종류는 직물, 편성물, 펠트, 프레이트, 부직포, 접착직물, 몰드직물로 구분될 수 있다. 협의의 직물(織物:woven)이란 수직 방향의 경사와 수평 방향의 위사가 직각으로 교차(interlace)하여 직물을 구성한다. 내의(under wear)와 외의(outer wear)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직물이며 대부분 사용된다. 한편 편성물(knitted)은 1계통의 실이 편환(loop)을 만들고 이들 편환이 전후 좌우 방향에서 서로 조합하여 편성을 구성한다. 편성물은 신속하게 제편되며, 착용하면 축 늘어지고 탄력성이 있다. 또한 펠트(felt)라 함은 1단의 섬유를 열, 습기, 압력, 타격에 의해 교차(interlock)케 하여 펠트를 구성하며, 실은 여기에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프레이트(plaited), 브레이드(braid), 레이스(lace)는 여러 실이 어느 한 방향으로 주행하며, 1계통의 실이 교차하여 요구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부직포(nonwoven)는 접착 재료의 응용, 또는 표면의 화학작용을 통한 부착섬유, 또는 열가소성 섬유의 열에 의해 섬유의 웹(web) 또는 시트(sheet)가 서로 부착하여 직물을 구성한다. 또한 접착직물(laminated)은 1장 또는 2장의 직물에 폼(foam)을 접착하여 직물을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유연하고 푹신푹신한 촉감과 효과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몰드직물(molded)은 몰드 면적은 이것이 추출되었던 원평면보다도 그 표면이 크다. 몰드 제품(의류)은 푹신하거나 또는 파일(pile) 형태로 또는 편평하게 되어 있다. 이 제품은 착용감이 좋고 신체의 기능에도 잘 맞으며, 그 모양이 잘 변하지 않는다.
직물은 2차원적 입체감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그 측면을 활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봉제나 기타 접합법에 의해 3차원적 입체형상을 구현하다.
이를 응용한 산업용 부분에서 미국 등록특허 제3,384,519호에서는 원단을 이중으로 형성시킨 후 가운데에 이동형 블래이드를 형성시킨 후 상기 원단과 블래이드를 접합이나 본딩으로 접착시켜서 사용하는 블라인드가 제안되었다. 상기 방법은 블래이드가 수평으로 이동하여 메시형 직물을 통해 빛이 내부로 들어오고, 다시 블래이드가 수직으로 이동할 경우 빛을 차단하여 결국 광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직물의 부드러움과 메시구조를 통하여 차양을 제어하는 장점은 있으나 블래이드와 직물이 점착제 내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이유로 실내환경오염원이 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장기간 사용시에는 자외선에 의한 점착제의 물성저하로 접합상태가 저하되거나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직기 및 1공정으로 제직이 가능하며 평면형상과 3차원 입체형상간의 형상변화가 가능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차원적 입체형상 구현이 가능한 직물로서 입체형상의 변화에 따라 디자인 또는 심색성이 변화할 수 있는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체형상의 변화에 따라 차광제어가 가능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용도 사용될 경우 예를 들어 블라인드로서 사용가능 하도록 직물의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형태안정성이 유지되는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3차원 입체형상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이면층,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과 표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직조되되, 상기 직물이 3차원 입체형상으로 전환시 상기 중간층은 이면층과 표면층에 직선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이면층,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과 표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직조되되, 상기 직물을 형성하는 경사들은 이면층과 중간층을 형성하는 제1그룹경사와 표면층과 중간층을 형성하는 제2그룹경사로 제직되고, 상기 중간층은 제1그룹경사와 제2그룹경사가 함께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그룹경사는 이면층, 중간층을 형성하고 제1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에 연결되어 다시 이면층을 형성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고, 제2그룹경사는 표면층을 형성하고 제2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에 연결되고 중간층을 형성한 후, 다시 표면층을 형성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며, 직물 제직 후 상기 제1, 제2연결경사를 커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면층 또는 이면층에 상기 제1, 제2연결경사가 별도의 위사와 교차되어 직물의 표면에 노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직 후 상기 돌출부를 제거함으로서 3차원 입체형상 발현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직물이 3차원 입체형상으로 전환시 상기 중간층은 표면층과 이면층에 직선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면층 또는 표면층 또는 이면층과 표면층에 직물의 밀도를 다르게 하거나 또는 위사를 달리하여 문양을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이면층,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과 표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어, 상기 직물을 형성하는 경사들은 이면층, 중간층을 형성하고 제1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에 연결되어 다시 이면층을 형성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제1그룹경사와 표면층을 형성하고 제2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에 연결되고 중간층을 형성한 후, 다시 표면층을 형성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제2그룹경사로 구성되되, 이면층에서 시작되는 제1그룹 경사를 1,2,3,4, 중간층에서 시작되는 제1그룹 경사를 5,6, 표면층에서 시작되는 제2그룹 경사를 7,8,9,10, 중간층에서 시작되는 제2그룹 경사를 11,12 라고 할 때, 경사 1,2,3,4는 이면층을 형성한 후, 경사 1,2는 경사 7,8과 함께 중간층을 형성하고, 경사 3,4는 경사 5,6과 함께 이면층을 형성하며, 경사 5,6,11,12는 중간층을 형성한 후, 경사 5,6은 제1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에 연결되고, 경사 11,12는 경사 9,10과 함께 표면층을 형성하며, 경사 7,8,9,10는 표면층을 형성한 후, 경사 7,8은 제2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에 연결되고, 경사 9,10은 경사 11,12와 표면층을 형성하여 직물을 제직하고, 제직 후 상기 제1,제2연결경사를 커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와 난연사가 혼합된 원사 또는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직된 직물에 열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면층, 표면층이 메시구조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간층은 상기 이면층, 표면층보다 직물의 밀도가 더 밀한 구조로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면층, 표면층에서 경사 또는 위사가 0.2 내지 2mm의 간격으로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 및 제조방법은 종래 직물의 제직방법으로 제직하면서도 2차원적 형상에 불과하던 직물을 3차원적 입체형상으로 형상변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 및 제조방법은 2차원 형상과 3차원 형상으로 변환을 통하여, 직물의 디자인, 심색성, 차광효과를 각각 달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물 및 제조방법은 점착제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표면 코팅공정없이 형태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1회 직조를 통해 3차원 입체형상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2차원 형상일 경우 다층구조로 블 라인드로 사용시 뛰어난 단열기능 및 보온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서 "직물"이라 함은 협의의 직물, 편성물, 펠트, 프레이트, 부직포, 접착직물, 몰드직물 모두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협의의 직물(織物:woven)을 예로서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설명함에서 있어서 경사와 위사가 모두 교차하여 직조됨은 당연한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경사만 직조된다'는 표현은 경사와 위사가 교차됨을 의미한다. 다만 구체적으로 위사와 교차되지 않는다는 표현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은 2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제로는 도 1과 같이 제직되나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2 내지 도 4과 같이 이면층 100, 중간층 200, 표면층 300을 이격시켜 설명키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경사진행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경사번호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나타낸 연결경사 커팅 후의 단면 개념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직물의 입체형상 발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면층100, 표면층 300과 이면층 100과 표면층 300을 연결하는 중간층 200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중간층 200이 포함된 A구간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직물이 구성되는 형태로 본 발명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형성하는 경사들은 이면층 100과 중간층 200을 형성하는 제1그룹경사와 표면층 300과 중간층 200을 형성하는 제2그룹경사로 제직된다.
상기 중간층 200은 제1그룹경사와 제2그룹경사가 함께 제직되는 층으로 이면층 100과 표면층 300을 연결하여 본 발명의 직물을 3차원 입체형상을 구현하게 된 다.
상기 제1그룹경사는 이면층 100, 중간층 200을 형성하고 제1연결경사 410를 형성하여 이면층 100에 연결되어 다시 이면층 100을 형성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경사들로 각각 이면층 100, 중간층 200에서 시작하여 동시에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2그룹경사는 표면층 300을 형성하고 제2연결경사 430를 형성하여 이면층 100에 연결되고 중간층 200을 형성한 후, 다시 표면층 300을 형성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경사들로 각각 표면층 300, 중간층 200에서 시작하여 동시에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도 2, 3에서 도시된 제1, 제2연결경사 410,430는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측면에서는 하나의 선으로 도시되나 이해를 위해 양 갈래로 도시하였다.
도 3은 경사번호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제직방법을 단순화한 것으로, 이면층에서 시작되는 제1그룹 경사를 1,2,3,4, 중간층에서 시작되는 제1그룹 경사를 5,6, 표면층에서 시작되는 제2그룹 경사를 7,8,9,10, 중간층에서 시작되는 제2그룹 경사를 11,12 라고 할 때, A, B구간의 제직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경사 1,2,3,4는 A구간의 이면층 100을 형성한 후, 경사 1,2는 A구간의 표면층 300을 형성하고 제2연결경사 430를 형성하며 이면층 100에 연결되는 경사 7,8과 함께 B구간의 중간층을 형성하게 되고, 경사 3,4는 B구간의 중간층 200을 형 성하고 제1연결경사 410로 이면층 100에 연결되는 경사 5,6과 함께 B구간의 이면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경사 5,6,11,12는 A구간의 중간층을 형성한 후, 경사 5,6은 제1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 100에 연결되어 상기와 같이 경사 3,4와 B구간의 이면층을 형성하고, 경사 11,12는 A구간의 표면층을 형성하는 경사 9,10과 함께 B구간의 표면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경사 7,8,9,10은 A구간의 표면층 300을 형성한 후, 경사 7,8은 B구간의 중간층 200을 형성하고, 경사 9,10은 B구간의 표면층을 형성한다.
상기의 제직방법은 다른구간에서도 경사번호가 바뀔 뿐 동일한 위치의 경사는 동일한 과정으로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이 제조된다.
상기 제1그룹 경사들은 두 구간의 이면층 100을 형성하고 중간층 200을 형성한 후, 제1연결경사 410로 다시 이면층 100과 접해져서 이면층 100을 형성하는 3구간을 주기로 반복하고, 제2그룹 경사는 두 구간의 표면층 300을 형성하고 제2연결경사 430로 이면층 100과 접해져서 중간층 200을 형성한 후, 다시 표면층 300을 형성하는 3구간을 주기로 반복하는 것으로 제1, 제2 그룹경사의 각각의 경사들은 다른 시작 위치에서 서로 순착적으로 동시에 진행되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이 제직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A구간에서는 중간층 200을 형성한 경사는 5,6,7,8이고 B구간에서 중간층 200을 형성한 경사는 1,2,7,8이면, 다음 구간의 중간층을 형성하는 경사는 3,4,9,10이 되고 다다음 구간에서는 A구간과 동일한 경사가 중간층을 형 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직된 본 발명의 직물은 제1,제2 연결경사 410,430에 의해 이면층 100과 표면층 300이 연결되어 있어 3차원 입체형상을 구현되지 못하므로 제직 후, 제1,제2 연결경사 410,430를 커팅하여야 한다.
상기 연결경사가 제거됨으로서 이면층 100, 표면층 300은 중간층에 의해 서로 연결된 형태로 3차원적 입체적 형상발현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제2 연결경사 410,430를 보다 쉽게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제2 연결경사 410,430를 이면층 또는 표면층 상에 노출시켜 돌출부 5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 500는 도 2의 부분확대도와 같이 제1,제2 연결경사 410,430를 2개의 위사로 위아래에서 감싸는 형태로 돌출부 500를 형성하여 이면층 또는 표면층의 표면에 돌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노출된 제1,제2 연결경사 410,430는 위사들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위사들은 폭 방향을 연속적으로 상기 제1,제2 연결경사 410,430(제거용 위사)와 함께 노출되어 있다. 상기 표면에 노출된 제거용 위사를 상승시켜 제거할 경우 상기 위사에 함께 교차 되어 있는 제1,제2 연결경사 410,430도 함께 상승되어 제1,제2 연결경사 410,430을 상기 위사와 함께 모두 제거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제1,제2 연결경사 410,430를 제거한 상태의 직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제2 연결경사 410,430가 제거됨으로서 이면층 100, 표면층 300은 중간층 200에 의해 서로 연결된 형태로 3차원적 입체적 형상발현이 가능해진다.
도 5,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표면층을 상승시켜 직물에 입체적 형상을 발현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이 3차원 입체형상으로 전환시 상기 중간층 200은 이면층 100과 표면층 300에 직선형태로 연결된다. 이는 중간층 200이 이면층 100과 표면층 300에 연결될 는 경사의 수가 중간층 200을 형성하는 경사의 반만이 연결되므로 중간층 200과 이면층 100 및 표면층 300의 연결점는 쉽게 굴곡되어 상기 중간층 200은 직선형으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 중간층 200은 직물의 굴곡성으로 완전한 직선이 아닐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직물의 중간층 200은 직물이 3차원 입체형상으로 전환시 중간층의 양쪽으로 잡아당긴 후 측정 길이를 최대길이, 힘을 제거한 후의 길이를 최소길이라고 할 때 최소길이/최대길이가 0.95이상으로 직선형태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이면층 100이나 표면층 300에 직물의 밀도를 다르게 하거나 또는 색이 다른 위사 등을 이용하여 직물 표면에 문양을 넣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열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경사 커팅 전에 열처리로서 직물에 스티프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열처리 전에 연결경사를 커팅을 수행할 경우 다층직물이 밀착된 상태에서 커팅과 같은 과격한 작용이 직물에 가해지므로 직물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사 및/또는 위사에 저융점사를 사용하여 제직할 수 있다. 상기 저융점사는 분자구조의 개질, 공중합, 블랜딩, 방사공정제어, 복합방사 로 이루어진 방법 중에서 1 이상 선택된 방법에 의해 의도적으로 융점을 낮춰 약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가할 경우 표면이 미세하게 융착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진 원사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특허발명 제289414호에서 제안된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형성유도체와 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을 공중합시켜서 제조한 코폴리에스터계 바인더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복합방사에 의해 제조된 LM(Low Melting)사로서 상기 LM사는 코어(core)부가 지지역할을 하고 시드(sheath)부가 열처리시 융착되는 부분으로서, 대한민국 특허발명 제587122호에서 제안된 저융점성분과 고융점 성분으로 되며, 상기 저융점 성분이 섬유방향으로 섬유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유리전이온도가 60℃ 이상이고 50∼70몰%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되어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80∼99중량%와 폴리올레핀 20∼1중량%와의 혼합물로 구성된 열융착성 복합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경사 및/또는 위사를 저융점사와 난연사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형성된 복합섬유(시스-코어형, 분할형, 다중해도형 등)나 혹은 저융점사와 난연사의 혼방사일 수 있다. 이 경우 산업용 소재로서 특히 커튼지나 블라인드용으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융점부와 난연부 또는 저융점사와 난연사의 비율은 약 15:85 내지 50:50중량%가 바람직하다. 난연부(사)가 상기 비율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난연효과가 저하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 될 경우 열처리시 저융점부(사)가 융착되는 정도가 낮아 직물에 스티프한 성질 부여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직물들은 상기 이면층, 중간층, 표면층은 각각 조직의 밀도를 달리하여 제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면층, 표면층을 메시구조로 직조하고 중간층을 이보다 더 밀한 구조로 형성할 경우 상기 직물에서 입체적 형상이 발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직물을 경계로 내외부가 서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나,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이 입체적 형상을 발현할 경우 중간층이 이면층, 표면층에 대하여 수직형태로 이동하고 이로서 이면층, 표면층의 메시구조로 인하여 직물의 내외부가 서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가 실현된다.
이는 차광이나 보안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의류소재로서도 새로운 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면층, 표면층에서 경사와 위사의 간격을 0.2 내지 2mm로 위치시키면 더욱 바람직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직물은 상기 표면층, 이면층, 중간층의 조직구조나 디자인을 달리하여 제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사용처에 따라 방염 처리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경사진행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경사번호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의한 직물의 제직방법을 나타낸 연결경사 커팅 후의 단면 개념도.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직물의 입체형상 발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이면층 200 : 중간층
300 : 표면층 410 : 제1연결경사
430 : 제2연결경사 500 : 돌출부

Claims (16)

  1. 3차원 입체형상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이면층,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과 표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직조되되,
    상기 직물이 3차원 입체형상으로 전환시 상기 중간층은 이면층과 표면층에 직선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이 3차원 입체형상으로 전환시 상기 중간층은 최소길이/최대길이가 0.9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3. 3차원 입체형상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이면층,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과 표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직조되되,
    상기 직물을 형성하는 경사들은 이면층과 중간층을 형성하는 제1그룹경사와 표면층과 중간층을 형성하는 제2그룹경사로 제직되고,
    상기 중간층은 제1그룹경사와 제2그룹경사가 함께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경사는 이면층, 중간층을 형성하고 제1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에 연결되어 다시 이면층을 형성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고, 제2그룹경사는 표면층을 형성하고 제2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에 연결되고 중간층을 형성한 후, 다시 표면층을 형성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며, 직물 제직 후 상기 제1, 제2연결경사를 커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또는 이면층에 상기 제1, 제2연결경사가 별도의 위사와 교차되어 직물의 표면에 노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직 후 상기 돌출부를 제거함으로서 3차원 입체형상 발현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이 3차원 입체형상으로 전환시 상기 중간층은 표면층과 이면층에 직선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층 또는 표면층 또는 이면층과 표면층에 직물의 밀도를 다르게 하거나 또는 위사를 달리하여 문양을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8. 3차원 입체형상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이면층,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과 표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어,
    상기 직물을 형성하는 경사들은 이면층, 중간층을 형성하고 제1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에 연결되어 다시 이면층을 형성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제1그룹경사와 표면층을 형성하고 제2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에 연결되고 중간층을 형성한 후, 다시 표면층을 형성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제2그룹경사로 구성되되,
    이면층에서 시작되는 제1그룹 경사를 1,2,3,4, 중간층에서 시작되는 제1그룹 경사를 5,6, 표면층에서 시작되는 제2그룹 경사를 7,8,9,10, 중간층에서 시작되는 제2그룹 경사를 11,12 라고 할 때,
    경사 1,2,3,4는 이면층을 형성한 후, 경사 1,2는 경사 7,8과 함께 중간층을 형성하고, 경사 3,4는 경사 5,6과 함께 이면층을 형성하며,
    경사 5,6,11,12는 중간층을 형성한 후, 경사 5,6은 제1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에 연결되고, 경사 11,12는 경사 9,10과 함께 표면층을 형성하며,
    경사 7,8,9,10는 표면층을 형성한 후, 경사 7,8은 제2연결경사를 형성하여 이면층에 연결되고, 경사 9,10은 경사 11,12와 표면층을 형성하여 직물을 제직하고, 제직 후 상기 제1,제2연결경사를 커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사는 분자구조의 개질, 공중합, 블랜딩, 방사공정제어 및 복합방사로 이루어진 방법 중에서 1 이상 선택된 방법에 의해 의도적으로 융점을 낮춰 섭씨 120 내지 190도의 온도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가할 경우 표면이 미세하게 융착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진 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1.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에 사용되는 경사, 위사 또는 경사 및 위사는 저융점사와 난연사가 혼합된 원사 또는 저융점부와 난연부로 이루어진 복합섬유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2.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의 형태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거나 뻣뻣한(stiff)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직된 직물에 열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3.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층, 표면층이 메시구조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4.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이면층, 표면층보다 직물의 밀도가 더 밀한 구조로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5.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층, 표면층에서 경사 또는 위사가 0.2 내지 2mm의 간격으로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6.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KR1020090023712A 2009-03-19 2009-03-19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0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712A KR101160937B1 (ko) 2009-03-19 2009-03-19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0/001120 WO2010107186A2 (ko) 2009-03-19 2010-02-23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712A KR101160937B1 (ko) 2009-03-19 2009-03-19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958A true KR20100104958A (ko) 2010-09-29
KR101160937B1 KR101160937B1 (ko) 2012-07-03

Family

ID=4300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712A KR101160937B1 (ko) 2009-03-19 2009-03-19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9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171B1 (ko) * 2012-01-20 2013-02-07 차기철 입체형상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68520B1 (ko) * 2012-04-20 2014-03-12 김상진 블라인드용 입체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입체직물지
KR101678489B1 (ko) * 2015-08-04 2016-11-22 이종원 글레어 표면효과를 갖는 발색성 다층구조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69301A1 (ko) * 2015-10-20 2017-04-27 주식회사 영원무역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243B1 (ko) 2018-07-30 2019-07-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입체구조의 텍스타일 보강재 제작방법 및 이를 활용한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841A (ja) * 1999-12-14 2001-06-26 Kawashima Textile Manuf Ltd 二重カーテン地
KR100815577B1 (ko)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5579B1 (ko) * 2007-02-08 2008-03-20 주식회사 새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171B1 (ko) * 2012-01-20 2013-02-07 차기철 입체형상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68520B1 (ko) * 2012-04-20 2014-03-12 김상진 블라인드용 입체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입체직물지
KR101678489B1 (ko) * 2015-08-04 2016-11-22 이종원 글레어 표면효과를 갖는 발색성 다층구조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69301A1 (ko) * 2015-10-20 2017-04-27 주식회사 영원무역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937B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579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5577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746097B2 (ja) 3層構造を有する3次元立体形状織物
KR101562043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0937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2674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9870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0719B1 (ko) 3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0791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3539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6707B1 (ko) 허니콤 구조를 갖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0721B1 (ko) 3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4956A (ko) 3차원 입체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