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489B1 - 글레어 표면효과를 갖는 발색성 다층구조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글레어 표면효과를 갖는 발색성 다층구조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489B1
KR101678489B1 KR1020150109930A KR20150109930A KR101678489B1 KR 101678489 B1 KR101678489 B1 KR 101678489B1 KR 1020150109930 A KR1020150109930 A KR 1020150109930A KR 20150109930 A KR20150109930 A KR 20150109930A KR 101678489 B1 KR101678489 B1 KR 101678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layer
fiber
metal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서명덕
김국환
Original Assignee
이종원
서명덕
재단법인 한국자카드섬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원, 서명덕, 재단법인 한국자카드섬유연구소 filed Critical 이종원
Priority to KR1020150109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사, 금속사 및 섬유사를 다층구조로 복합 제직하여 고발색성의 글레어 표면효과를 구현하는 다층구조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색성 다층구조 원단은 상층의 필름사가 빛을 반사시켜 광택성 반사효과를 증가시키고 금속사 및 섬유사의 광택 및 색상이 상층의 투명한 필름사를 통하여 표현되므로 빛의 산란 및 굴절에 의해 원단 표면에 유리막을 씌운 것과 같은 글레어 표면효과를 나타내며, 엠보싱 효과에 의한 입체적인 굴곡성을 가져서 광학적 장식효과를 발현할 수 있으며, 또한 중간층의 금속사는 빛을 반사시켜 원단에 독특한 심미성을 부여하고 정전기 방지 및 전자파 차폐효과를 제공하며, 상층과 하층에 의해 보호되어 착용시 또는 세탁시 절사되거나 원단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하층의 섬유사는 원단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금속사가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금속사에 의한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글레어 표면효과를 갖는 발색성 다층구조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Multi-layered Chromogenic Fabric with Surface Glare Effe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름사, 금속사 및 섬유사를 다층구조로 복합 제직하여 고발색성의 글레어 표면효과를 구현하는 다층구조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원단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섬유제품의 외관을 변화시켜 새로운 느낌의 고부가가치 원단을 제조하기 위하여 여러 구조의 실이 개발되어 왔으며, 또한 제직·제편기술 및 가공방법 등에서도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어 왔다.
이러한 방안 중에서, 특히 제·편직물용 원사에 금, 은 또는 다양한 색상과 재질의 금속사 또는 얇은 두께로 제조된 금속 재질의 박사(薄紗)를 함께 사용하여 직물에 장식미를 가미시켜 왔다.
이러한 금속사가 첨가된 직물의 경우 빛의 반사각도에 따라 그 광도가 달라짐에 따라 일반 원단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심미성을 부여할 수 있어서 패션에 색다른 변화를 주고자 할 경우 이러한 이색 금속사가 첨가된 원단이 선호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복고풍의 영향으로 여성미가 강조되는 인체 밀착성 패션이 유행함에 따라 이러한 유행에 합치되면서 착용감이 좋은 의류를 제조하기 위하여 원단의 신축성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를 위하여 금속사를 탄성사와 함께 제편하는 경우 탄성사와 금속사 간의 신축률의 차이가 현격하여 원단제조의 곤란성과 제조된 원단의 불균일성이 유발되고 또한 원단의 감촉이 딱딱하게 되어 금속사 부분이 인체 피부에 닿을 경우 마찰에 의해 피부를 상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제·편직물의 표면에만 금속사를 살짝 부착하거나 삽입하는 방법으로 금속사를 함유하는 원단이 제조되어 왔으나, 이는 금속사가 다른 실과 함께 원단의 기본조직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어서 사용 중에 물체와의 마찰이나 잦은 세탁으로 금속사가 원단의 표면 바깥으로 돌출되거나 절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금속사를 사용하여 심미성을 부여한 원단은 금속사에 의한 무늬와 색상의 표현 정도에 따라 품질이 결정되는데, 금속사와 일반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의 혼직은 무늬가 선명하지 못하고 색상이 탈색된 것처럼 우중충하게 되며, 취급 중 금속사의 탈리로 인하여 원단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62260호에는 탄성성분의 사를 백 바아, 금속성분의 사를 제1 미들 바아, 비탄성성분의 사를 제2 미들 바아 및 프런트 바아로 하여 4 바아로 편성되는 금속사 함유 경편직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각 바아의 실이 서로 교차되면서 일정 조직으로 편성되고 금속성분의 사를 표면에 드러나도록 하여 고급스러운 무늬와 색상을 구현하도록 하며 금속사가 탄성성분의 사와 비탄성성분의 사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금속사가 원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본래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금속사를 인체가 닿는 이면에는 존재하지 않도록 하고 표면에만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금속사에 의한 인체의 손상을 방지하였다.
그런데 상기 경편직물은 금속사가 원단 표면에 드러나므로 착용시 또는 세탁시 금속사의 절단이나 탈리가 발생할 수 있고 금속사와 탄성사의 신축률 차이에 의해 원단제조시 불량률이 높은 단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83851호에는 폴리에스테르의 경사와 폴리에스테르 및 금속사의 위사에 열융착사를 부착하여 결합사를 만들거나 경사, 위사 또는 금속사 사이에 열융착사를 배치하여 무늬부가 형성되도록 직물지를 제조하고 텐터링 가공을 통해 열융착사의 표면 일부가 녹아서 경사, 위사 또는 금속사가 열융착사와 접착되어 직물조직이 안정되도록 하는 헤드타이용 직물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직물지는 금속사가 열융착사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경·위사에 접합되어 고정되므로 금속사의 탈리가 억제되고 다양한 무늬의 직물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용융된 열융착사로 인하여 무늬가 선명하게 나타나지 않고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여 고급스럽지 못하며 또한 표면감촉이 좋지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원단에 금속사를 포함시켜 심미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금속사의 독특한 색감을 살리면서 금속사의 의한 피부손상이 방지되어야 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금속사가 원단으로부터 탈리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원단 표면에 유리막을 씌운 것과 같은 글레어 표면효과를 나타내면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원단을 구성하는 각 섬유가 탈리되지 않고 원단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발색성 다층구조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경사(1)와 제1위사(4)의 투명필름사로 제직되는 제1층(11), 상기 제1층(11) 하부에 제2경사(2)의 섬유사와 제2위사(5)의 금속사로 제직되는 제2층(12), 상기 제2층(12) 하부에 제3위사(6)의 섬유사로 이루어지는 제3층(13) 및 상기 제3층(13) 하부에 제3경사(3)와 제4위사(7)의 섬유사로 제직되는 제4층(1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위사(4)는 제2경사(2) 및 제3경사(3)와 간헐적으로 교차하는 다층구조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빔의 상빔에 제1경사(1)의 투명필름사를 정경하고 하빔에 제2경사(2)와 제3경사(3)의 섬유사를 교차로 정경하는 단계; 제1위사(4)의 투명필름사가 상기 제1경사(1)와 상하 교차하고 제2경사(2) 및 제3경사(3)와 간헐적으로 교차하면서 제직되어 제1층(11)을 형성하며, 상기 제1층(11) 하부에 제2위사(5)의 금속사가 상기 제2경사(2)와 상하 교차하면서 제직되어 제2층(12)을 형성하며, 상기 제2층(12) 하부에 제3위사(6)의 섬유사로 제3층(13)을 형성하며, 상기 제3층(13) 하부에 제4위사(7)의 섬유사가 상기 제3경사(3)와 상하 교차하면서 제직되어 제4층(14)을 형성하는 다중직 제직단계; 및 상기 다중직을 130~150 ℃의 온도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구조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원단의 제2위사(5)로서 섬유사를 사용하고 제3위사(6)로서 금속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사는 투명한 필름사에 알루미늄 분말을 증착한 후 염료 또는 안료를 도포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층(11)은 평직이고 제2층(12)은 능직 또는 주자직이며 제4층(14)은 평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원단은 열처리를 통해 섬유사가 수축되어 엠보싱 문양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발색성 다층구조 원단은 상층의 필름사가 빛을 반사시켜 광택성 반사효과를 증가시키고 금속사 및 섬유사의 광택 및 색상이 상층의 투명한 필름사를 통하여 표현되므로 빛의 산란 및 굴절에 의해 원단 표면에 유리막을 씌운 것과 같은 글레어 표면효과를 나타내며, 엠보싱 효과에 의한 입체적인 굴곡성을 가져서 광학적 장식효과를 발현한다.
또한, 중간층의 금속사는 빛을 반사시켜 원단에 독특한 심미성을 부여하고 정전기 방지 및 전자파 차폐효과를 제공하며, 상층과 하층에 의해 보호되어 착용시 또는 세탁시 절사되거나 원단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하층의 섬유사는 원단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금속사가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금속사에 의한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원단의 경사방향 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원단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다층구조 원단을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광택도를 측정한 시험성적서이다.
도 4는 제1층에 사용된 투명필름사를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광택도를 측정한 시험성적서이다.
본 발명의 다층구조 원단은 필름사(film yarn), 금속사(metal yarn) 및 섬유사(fiber yarn)를 다층구조로 복합 제직하여 글레어(glare) 효과가 구현된 광학적 장식효과를 갖도록 하였으며, 세고타이(sego-tie) 제품이나 커텐, 벽지, 패널 등과 같은 고광택 인테리어용 제품에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원단의 경사방향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원단(100)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3 줄의 경사(1, 2, 3)와 4 줄의 위사(4, 5, 6, 7)로 구성되는 4개 층으로 이루어지며, 제1경사(1)와 제1위사(4), 제2경사(2)와 제2위사(5) 및 제3경사(3)와 제4위사(7)가 서로 상하 교차하면서 제직되어 있고 제3위사(6)는 경사와 교차하지 않으며, 제1위사(4)는 제2경사(2) 및 제3경사(3)와 간헐적으로 교차하여 4개 층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한다.
상기 제1경사(1)와 제1위사(4)는 투명필름사이고 제2위사(5)는 금속사이며, 제2경사(2), 제3경사(3), 제3위사(6) 및 제4위사(7)는 섬유사로 구성되거나, 또는 제1경사(1)와 제1위사(4)는 투명필름사이고 제3위사(6)는 금속사이며 제2경사(2), 제3경사(3), 제2위사(5) 및 제4위사(7)는 섬유사로 구성된다.
즉, 제1경사(1)와 제1위사(4)의 투명필름사로 제직되는 제1층(11), 상기 제1층(11) 하부에 제2경사(2)의 섬유사와 제2위사(5)의 금속사로 제직되는 제2층(12), 상기 제2층(12) 하부에 제3위사(6)의 섬유사로 이루어지는 제3층(13), 상기 제3층(13) 하부에 제3경사(3)와 제4위사(7)의 섬유사로 제직되는 제4층(14)으로 다층구조의 원단(100)을 구성되거나, 상기 구조의 원단(100)에서 제2층(12)의 제2위사(5)가 섬유사이고 제3층(13)의 제3위사(6)가 금속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원단(100)의 제직은 상빔에 제1경사(1)의 투명필름사를 정경하고 하빔에 제2경사(2)와 제3경사(3)의 섬유사를 교차로 정경하는 이중빔을 사용하고 이들 경사 사이에 위사를 상하 교차시켜 제직하며, 제직된 원단을 130~150 ℃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엠보싱 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제1경사(1)와 제1위사(4)를 구성하는 투명필름사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과 같은 수지로 제조되는 필름지를 리본(ribbon)상으로 가늘게 절단하여 얻을 수 있으며,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져서 제2층(12) 또는 제3층(13)의 금속사 또는 염색된 섬유사의 독특한 색감을 살리고 빛의 산란, 굴절 및 반사에 의한 무아레(moire) 장식효과를 만들어냄으로써 원단(100)이 화려한 광택성 반사효과와 심미성을 선명하게 표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름사는 편평구조에 의한 넓은 표면적과 내마찰성 저하로 인하여 제직 중 위입 또는 바디침 과정에서 필름사의 비틀림이 발생하여 외관상 결점을 유발하고 낮은 열적 안정성으로 인하여 직물 가공에 어려움이 있어서 무늬용 장식사로서 일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필름사를 가연하여 원사의 구조적인 단점을 극복하는 방안이 시도되고 있으나 가연된 필름사는 원형구조를 갖게 되어 내마찰성은 향상되나 장식효과에서 요구되는 광학적 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레인보우 필름사(iridescent film yarn)를 사용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고가인 레인보우 필름사의 물리적·열적 특성 저하로 양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직분야에서의 적용이 어려운 필름사를 금속사, 섬유사와 함께 일체화된 다층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하층의 섬유사의 지지력에 의해 필름사의 편평구조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필름사의 접힘과 비틀림 없이 경사와 위사로 공급하여 제직하고 금속사, 섬유사와 일체화함으로써 필름사가 갖는 유연성과 광학적 표면장식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필름사가 갖는 단점을 좀더 보완하기 위하여 투명필름사로 구성되는 제1층(11)의 제1경사(1)와 제1위사(4)는 평직으로 제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직은 능직, 주자직 등의 다른 조직에 비하여 조직점이 많아서 투명필름사가 조직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여 비틀림이 억제되고 마찰에 강하며, 다른 조직에 비하여 얇게 직조될 수 있어서 제2층(12) 또는 제3층(13)의 금속사 또는 염색된 섬유사의 색상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금속사는 금속광택을 가진 실로서 박사(箔絲), 절박(切箔), 평박(平箔), 금은사 등이 있으며, 빛을 반사시켜 빤짝이는 특성이 있어서 호화롭고 환상적인 효과를 표현하는데, 빛의 반사각도에 따라 그 광도가 달라짐에 따라 일반 원단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심미성을 부여한다.
또한, 금속사는 정전기 방지 및 전자파 차폐능력을 가지고 있고 악취제거와 인체 유해균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어서 인체의 건강과 청결유지 효과를 원단에 부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금속사는 금, 은 등의 금속을 얇은 판으로 만들어 리본상으로 절단한 실이거나, 구리 등의 금속섬유에 금, 은 등의 금속을 도금한 실이거나, 실크와 같은 천연섬유에 금속을 코팅한 실이거나, 수지로 제조되는 필름사에 금속을 증착한 실이거나, 얇은 금속판 양면에 필름지를 부착하고 리본상으로 가늘게 절단한 실일 수 있으며, 상기 종류의 금속사 외에도 금속성분을 포함하는 실이면 그 종류에 제한받지 않는다.
이러한 금속사로서, 상기 제1층에 사용되는 투명필름사에 알루미늄 분말을 증착한 금속사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알루미늄 증착 금속사에 염료 또는 안료를 도포한 착색 금속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필름사로 제조되는 금속사는 편평구조로 인하여 빛의 반사효과가 증가되어 광택도가 향상되고 알루미늄은 전기전도성이 높아서 원단의 정전기 방지 및 전자파 차폐효과를 향상시키며, 필름사는 표면특성상 염색이 잘 되지 않으나 필름사 표면에 알루미늄을 증착시키면 알루미늄이 매염제 역할을 수행하여 염료 또는 안료의 견뢰도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알루미늄을 이용한 매염은 색상을 밝게 해주어 표면 광택효과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금속사는 본 발명의 다층구조 원단(100)에서 제2층(12) 또는 제3층(13)에 삽입될 수 있으며, 금속사가 제2층(12)에 위치할 경우 금속사의 독특한 색감을 제1층(11)의 투명필름사를 통하여 외부로 표현할 수 있어서 금속사 표면에 유리막을 씌운 것과 같은 글레어 표면효과를 살릴 수 있으며, 금속사가 제3층(13)에 위치할 경우 제2층(12)의 섬유사에 가려져 금속사의 색감 표현이 감소하나 상하 제2층(12)과 제4층(14)의 섬유사에 보호되어 착용시 또는 세탁시 원단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이 좀더 방지된다.
상기 섬유사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이거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나일론 섬유일 수 있으며, 난연가공한 난연사일 수 있고 염색처리한 염색사(원착사)일 수 있다.
제2경사(2), 제3경사(3), 제2위사(5) 또는 제3위사(6) 및 제4위사(7)의 섬유사는 서로 동일한 종류의 실이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실일 수 있으며, 제2경사(2)와 제2위사(5)는 제1층(11)을 통하여 표면에 비치게 되므로 염색사를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3경사(3), 제3위사(6), 제4위사(7)는 난연사를 사용하여 난연 기능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사는 일반적으로 열처리 가공에 의해 수축되거나 형태변화가 일어나는데, 상기 제직이 완료된 원단(100)을 열처리 가공하면 제2층(12) 내지 제4층(14)의 섬유사는 수축되고 금속사는 신장(伸張)하므로 원단(100)에 엠보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제3층(13)의 제3위사(6)가 섬유사일 경우, 제3층(13)은 위사방향으로 수축되고 경사방향으로는 수축이 일어나지 않으나 이때의 제2층(12)의 제2위사(5)는 금속사이므로 열에 의해 신장하고 제2경사(2)는 섬유사이므로 수축하여 제2층(12)은 위사방향으로 신장하고 경사방향으로 수축되어, 제3층(13)의 위사방향 수축 및 제2층(12)의 위사방향 신장과 경사방향 수축에 의해 결국 제2층(12)에서 오목볼록한 모양의 엠보싱 효과가 나타난다.
제3층(13)의 제3위사(6)가 금속사일 경우, 열에 의한 제3층(13)의 위사방향 신장 및 제2층(12)의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의 수축에 의해 결국 제3층(13)의 금속사가 곡선의 파형으로 변형되며, 열이 제거된 후 신장되었던 금속사가 원래 길이로 회복되어도 파형 형상은 남게 되고, 파형의 제3층(13) 금속사는 섬유사로 구성된 제2층(12)에 오목볼록한 모양의 엠보싱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원단(100)의 엠보싱 효과를 좀더 나타내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층(12)은 능직 또는 주자직으로 제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능직과 주자직은 평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연하고 표면이 매끄러우면서 광택이 좋아서 제2층(12)의 오목볼록한 입체적인 굴곡성을 좀더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으면서 고광택으로 인하여 글레어 표면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4층(14)은 평직으로 제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직은 조직이 치밀하고 강직하므로 원단(100)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제2층(12) 또는 제3층(13)의 금속사가 제4층(14)의 외부에 접할 수 있는 피부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형태가 안정된 원단(100)은 전체적으로 빛의 조사와 반사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광택, 발색, 글레어 효과 등의 광학적 장식효과를 안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원단(100)의 형태안정성을 좀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직 및 열처리한 원단의 제4층(14) 이면을 코팅하여 제4층(14)을 좀더 고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코팅은 제2층(12) 또는 제3층(13)의 금속사가 제4층(14)의 이면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차단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코팅은 습식코팅 방식보다 건식코팅 방식이 좀더 바람직한데, 건식코팅은 별도의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서 코팅으로 인한 필름사, 금속사의 광학적 효과와 섬유사의 염색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원단이 도시되어 있으며, 표면의 투명필름사에서 반사된 빛과 하층의 금속사가 반사한 빛 및 염색된 섬유사의 색이 표면의 투명필름사를 통하여 글레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구조 원단은 필름사, 금속사, 섬유사가 일체로 다층구조를 이루며, 제1층(11)의 투명필름사는 편평구조에 의한 표면 정반사 효과, 표면에 유리막을 씌운 것과 같은 글레어 표면효과, 빛의 산란, 굴절 및 반사에 의한 모아레 장식효과, 저밀도에 의한 경량성, 고광택성, 유연성, 드레이프성을 제공하고 하층의 금속사가 외부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금속사의 절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2층(12)은 제3층(13)과 조합하여 엠보싱 효과에 의한 입체적인 굴곡성을 가져서 뛰어난 광학적 장식효과를 발현하며, 금속사는 빛을 반사시켜 독특한 심미성을 부여하고 정전기 방지, 전자파 차폐, 악취 및 유해균 제거 효능을 부가하며, 제4층(14)의 섬유사는 원단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금속사에 의한 피부손상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다층구조 원단은 금속사 및 섬유사의 광택 및 색상이 투명한 필름사를 통하여 표현되는 글레어 표면효과를 구현하도록 하여 세고타이와 같은 의류제품뿐만 아니라 커텐, 벽지, 패널 등과 같은 인테리어용 제품에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섬유를 사용하여 상빔에는 제1층의 경사를 정경하고 하빔에는 제2층 및 제4층의 경사를 교차로 정경한 이중빔으로 4중직을 제직하였으며, 이를 130~150 ℃의 온도에서 30~40 m/mim의 속도로 열처리한 후 제4층 이면에 건식코팅 가공하여 다층구조의 원단을 얻었다.
4중직 다층구조 원단의 원사 선정
시료1 시료2 시료3 시료4 시료5
제1층1) 경사4 ) 폴리프로필렌 불투명필름사7) 폴리프로필렌 투명필름사8) 폴리프로필렌 투명필름사 폴리프로필렌 반투명필름사9) 폴리프로필렌 반투명필름사
위사6 ) 폴리프로필렌 불투명필름사 폴리프로필렌 투명필름사 폴리프로필렌 투명필름사 폴리프로필렌 불투명필름사 폴리프로필렌 반투명필름사
제2층2) 경사5 ) 70d 폴리에스테르 원착사 70d 폴리에스테르 원착사 70d 폴리에스테르 원착사 70d 폴리에스테르 원착사 70d 폴리에스테르 원착사
위사6 ) 75d 폴리에스테르 난연사 75d 폴리에스테르 난연사 금속사10 ) 금속사 75d 폴리에스테르 난연사
제3층 위사6 ) 150d 폴리에스테르 난연사 금속사 150d 폴리에스테르 난연사 150d 폴리에스테르 난연사 금속사
제4층3) 경사5 ) 70d 폴리에스테르 원착사 70d 폴리에스테르 원착사 70d 폴리에스테르 원착사 70d 폴리에스테르 원착사 70d 폴리에스테르 원착사
위사6 ) 75d 폴리에스테르 난연사 75d 폴리에스테르 난연사 75d 폴리에스테르 난연사 75d 폴리에스테르 난연사 75d 폴리에스테르 난연사
1) 평직
2) 4매 능직
3) 평직
4) 상빔: 제1층의 경사밀도 62 본/inch
5) 하빔: 제2층과 제4층의 경사밀도 각 62 본/inch, 총밀도 124 본/inch
6) 위사: 각층의 위사밀도 각 40 본/inch, 총밀도 160 본/inch
7) 불투명성 필름을 슬리팅(slitting)하여 제조된 편평단면 필름사
8) 투명성 필름을 슬리팅하여 제조된 편평단면 필름사
9) 반투명성 필름을 슬리팅하여 제조된 편평단면 필름사
10) 폴리에스테르 필름사에 알루미늄 분말을 증착하고 염색한 금속사
<시험예> 광택도 측정
상기 실시예의 시료 5 점을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광택도를 측정하여 도 3에 도시하였으며, 시험방법은 KS M ISO 2813:2007(도료와 바니시-비금속성 도료 도막의 20°, 60° 및 85°경면 광택도 측정) 방법 중 입사각 60°로 측정하였다.
도 3을 보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시료2와 시료3의 원단이 제1층에 투명필름사를 사용하지 않은 시료1, 시료4 및 시료5에 비하여 광택도가 우수하고, 제2층에 금속사를 사용한 시료3이 제3층에 금속사를 사용한 시료2보다 광택도가 좀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제2층 내지 제4층의 금속사 및 섬유사의 광택 및 색상이 제1층의 투명필름사를 통하여 표현됨을 알 수 있으며, 금속사가 제2층에 위치하면 금속사의 빛 반사효과가 더해져 원단의 광택도가 좀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원단에 금속사를 사용하지 않은 시료1이 금속사를 사용한 시료4 및 시료5보다 광택도가 좀더 낮았는데, 이를 통하여 금속사가 빛을 반사시켜 원단의 광택도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층의 폴리프로필렌 투명필름사 시료 2 점의 광택도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도 4에 도시하였다.
필름사 자체의 광택도는 도 4와 같이 491.1, 537.3으로서 본 발명의 다층구조 원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다층구조 원단에서의 광택도는 제1층의 투명필름사에 의한 영향이 큼을 추정할 수 있다.
1:제1경사, 2:제2경사, 3:제3경사, 4:제1위사, 5:제2위사, 6:제3위사, 7:제4위사, 11:제1층, 12:제2층, 13:제3층, 14:제4층, 100:원단

Claims (7)

  1. 제1경사(1)와 제1위사(4)의 투명필름사로 제직되는 제1층(11),
    상기 제1층(11) 하부에 제2경사(2)의 섬유사와 제2위사(5)의 금속사로 제직되는 제2층(12),
    상기 제2층(12) 하부에 제3위사(6)의 섬유사로 이루어지는 제3층(13) 및
    상기 제3층(13) 하부에 제3경사(3)와 제4위사(7)의 섬유사로 제직되는 제4층(1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위사(4)는 제2경사(2) 및 제3경사(3)와 간헐적으로 교차하는 다층구조 원단.
  2. 제1경사(1)와 제1위사(4)의 투명필름사로 제직되는 제1층(11),
    상기 제1층(11) 하부에 제2경사(2)와 제2위사(5)의 섬유사로 제직되는 제2층(12),
    상기 제2층(12) 하부에 제3위사(6)의 금속사로 이루어지는 제3층(13) 및
    상기 제3층(13) 하부에 제3경사(3)와 제4위사(7)의 섬유사로 제직되는 제4층(1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위사(4)는 제2경사(2) 및 제3경사(3)와 간헐적으로 교차하는 다층구조 원단.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층(11)은 평직이고 제2층(12)은 능직 또는 주자직이며 제4층(14)은 평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원단.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후열처리를 통해 섬유사가 수축되어 엠보싱 문양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원단.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금속사는 투명한 필름사에 알루미늄 분말을 증착한 후 염료 또는 안료를 도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원단.
  6. 이중빔의 상빔에 제1경사(1)의 투명필름사를 정경하고 하빔에 제2경사(2)와 제3경사(3)의 섬유사를 교차로 정경하는 단계;
    제1위사(4)의 투명필름사가 상기 제1경사(1)와 상하 교차하고 제2경사(2) 및 제3경사(3)와 간헐적으로 교차하면서 제직되어 제1층(11)을 형성하며, 상기 제1층(11) 하부에 제2위사(5)의 금속사가 상기 제2경사(2)와 상하 교차하면서 제직되어 제2층(12)을 형성하며, 상기 제2층(12) 하부에 제3위사(6)의 섬유사로 제3층(13)을 형성하며, 상기 제3층(13) 하부에 제4위사(7)의 섬유사가 상기 제3경사(3)와 상하 교차하면서 제직되어 제4층(14)을 형성하는 다중직 제직단계; 및
    상기 다중직을 130~150 ℃의 온도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구조 원단의 제조방법.
  7. 이중빔의 상빔에 제1경사(1)의 투명필름사를 정경하고 하빔에 제2경사(2)와 제3경사(3)의 섬유사를 교차로 정경하는 단계;
    제1위사(4)의 투명필름사가 상기 제1경사(1)와 상하 교차하고 제2경사(2) 및 제3경사(3)와 간헐적으로 교차하면서 제직되어 제1층(11)을 형성하며, 상기 제1층(11) 하부에 제2위사(5)의 섬유사가 상기 제2경사(2)와 상하 교차하면서 제직되어 제2층(12)을 형성하며, 상기 제2층(12) 하부에 제3위사(6)의 금속사로 제3층(13)을 형성하며, 상기 제3층(13) 하부에 제4위사(7)의 섬유사가 상기 제3경사(3)와 상하 교차하면서 제직되어 제4층(14)을 형성하는 다중직 제직단계; 및
    상기 다중직을 130~150 ℃의 온도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구조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150109930A 2015-08-04 2015-08-04 글레어 표면효과를 갖는 발색성 다층구조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8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930A KR101678489B1 (ko) 2015-08-04 2015-08-04 글레어 표면효과를 갖는 발색성 다층구조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930A KR101678489B1 (ko) 2015-08-04 2015-08-04 글레어 표면효과를 갖는 발색성 다층구조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489B1 true KR101678489B1 (ko) 2016-11-22

Family

ID=5754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930A KR101678489B1 (ko) 2015-08-04 2015-08-04 글레어 표면효과를 갖는 발색성 다층구조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4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909B1 (ko) 2017-01-19 2017-12-12 문지윤 금속사 문양을 지닌 다기능성 직물
KR101921497B1 (ko) * 2017-12-26 2018-11-26 권은순 강성포를 의류용 사로 된 포로 덮어씌운 구조의 포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
KR20190062701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자인 잡초생육방지 및 지반 침하방지 보도블럭용 합포 직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CN113681994A (zh) * 2021-07-13 2021-11-23 崔良 一种可变色的褶皱面料生产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958A (ko) * 2009-03-19 2010-09-2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24133A (ko) * 2009-05-18 2010-11-26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3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21610A (ko) * 2010-08-10 2012-03-0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958A (ko) * 2009-03-19 2010-09-2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24133A (ko) * 2009-05-18 2010-11-26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3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21610A (ko) * 2010-08-10 2012-03-0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909B1 (ko) 2017-01-19 2017-12-12 문지윤 금속사 문양을 지닌 다기능성 직물
KR20190062701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자인 잡초생육방지 및 지반 침하방지 보도블럭용 합포 직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KR102088779B1 (ko) * 2017-11-29 2020-03-13 주식회사 자인 잡초생육방지 및 지반 침하방지 보도블럭용 합포 직물시트
KR101921497B1 (ko) * 2017-12-26 2018-11-26 권은순 강성포를 의류용 사로 된 포로 덮어씌운 구조의 포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
CN113681994A (zh) * 2021-07-13 2021-11-23 崔良 一种可变色的褶皱面料生产工艺
CN113681994B (zh) * 2021-07-13 2023-08-15 台洋纺织(苏州)有限公司 一种可变色的褶皱面料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489B1 (ko) 글레어 표면효과를 갖는 발색성 다층구조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15156B1 (ko) 형태안정성및/또는내수성을갖는포면및그에사용되는심초형복합섬유
CN108486734A (zh) 提花双面呢面料及其制备方法
CN108360121B (zh) 一种具有充棉立体效果的面料及其织造方法
JP2001295154A (ja) カーテン用遮光織物
KR101593199B1 (ko) 린넨직물
KR101564528B1 (ko) 비코팅 경량성 암막직물
KR101984381B1 (ko) 한복용 직물
CN104790098A (zh) 一种印花植绒面料
CA3101892C (en) Woven fabric
KR101645968B1 (ko)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이용한 장식사 및 직물의 제조방법
KR20130062020A (ko) 흡한속건성과 볼륨감이 우수한 이중직 자카드 아웃웨어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214759235U (zh) 一种牢固有型的梭织羽绒服
TWM582510U (zh) 色彩變化梭織織物
CN214027517U (zh) 一种隔热复合纺织窗帘面料
WO2019082804A1 (ja) 編地
CN210911547U (zh) 一种抗菌防辐射面料
CN218140433U (zh) 一种彩色反光革
Önlü et al. Visual effects of stainless steel and retro-reflective yarns on woven fabrics
CN207889276U (zh) 非双轴泡泡布面料
JP3963930B2 (ja) カバリング糸及び平面平滑性を与えた布帛
CN113584666B (zh) 一种镜面反光面料生产方法及面料
CN211106075U (zh) 一种变色面料
CN211106000U (zh) 一种抗皱轻薄型涤粘面科
CN209904162U (zh) 一种耐磨损的棉锦交织提花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