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769B1 -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 - Google Patents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769B1
KR101139769B1 KR1020090045877A KR20090045877A KR101139769B1 KR 101139769 B1 KR101139769 B1 KR 101139769B1 KR 1020090045877 A KR1020090045877 A KR 1020090045877A KR 20090045877 A KR20090045877 A KR 20090045877A KR 101139769 B1 KR101139769 B1 KR 101139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polyester
double
drawotex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436A (ko
Inventor
박상태
하성우
김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안
Priority to KR1020090045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76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3Heat-resistant, fireproof or flame-retardant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2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stiff, shape reten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조직과 이면조직으로 구성되는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에 있어서, 상기 표면조직으로 융착된 열융착성필라멘트사와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가 복합연사된 총섬도 800~1500데니어 굵기의 복합합연사가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면조직은 총섬도 75~150 데니어 굵기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가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홈인테리어용 직물의 고질적인 문제점이었던 필링문제 및 장시간 사용시 직물의 조직이 벌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직물고유의 터치감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 마모강도가 향상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직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열융착성필라멘트사,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 합연사,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 매트조직

Description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Two-Layer Fabrics Having Dimensional Stability Using For Home Interior}
본 발명은 쇼파지등에 사용되는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 생활의 개성화에 따라 홈인테리어 소재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주거공간의 구성요소로서 다양한 형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많은 홈인테리어 소재 중에서 홈인테리어 섬유제품은 건축 내장에 사용되는 섬유로서 카펫, 커튼, 벽지, 쇼파 및 침대 커버, 블라인드 등으로 그 활용 영역이 다양하다.
홈인테리어관련 섬유업계에서는 의류산업과 연계하여 기존 의류용 직물을 그대로 사용을 하거나 천연섬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홈인테리어용 소재를 합성섬유로 대체하여 개선하는 차원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의 제품 수준으로는 더 이상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높아진 소비자 욕구를 충족할 수 없기 때문에 홈인테리어 섬유의 고급화를 위한 고기능화, 첨단화 및 차별화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쇼파지등의 홈인테리어용 직물은 주로 1000데니어급의 폴리에스테르사를 이용하여 이중직물을 제직하여 사용하여 왔다. 이렇게 조직감이 강한 직물에서는 부 분적으로 강한 힘이 작용했을 때 가로방향으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조직이 갈라지는 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었으며, 마찰에 의해서 직물표면부분에서 필링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경사 또는 위사가 길게 부출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올이 당겨올라오는 현상(snagging)이 발생하거나,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해 표면이 헤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의자커버용 시트에 관한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4504호에서는 일반적인 섬유재질의 표면층 및 이면층과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층의 삼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층은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개재된 후 각 층이 접착제에 의한 접착 또는 열융착되어 상기 표면층, 이면층 및 중간층이 일체로 접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또는 의자 등의 커버용 시트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발명은 항균성, 방수성, 난연성 및 방오성에 중점을 두고 있을 뿐 직물의 형태안정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기술구성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조직이 갈라짐, 필링, 스내깅현상, 표면헤짐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촉감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조직과 이면조직으로 구성되는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에 있어서, 상기 표면조직으로 융착된 열융착성필라멘트사와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가 복합연사된 총섬도 800~1500데니어 굵기의 복합합연사가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면조직은 총섬도 75~150 데니어 굵기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가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표면조직으로 시쓰코어형 열융착성필라멘트사와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복합연사한 총섬도 800~1500데니어 굵기의 복합합연사를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공급하여 매트조직으로 제직하면서, 이면조직으로 75~150데니어 굵기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공급하여 평직으로 제직하면서 상기 표면조직과 연결시켜 이중직물을 제직한 후, 상기 이중직물을 150~17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상기 표면조직에 함유된 열융착성필라멘트사의 시쓰부를 부분융착 또는 전부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은 표면조직과 이면조직으로 구성되며, 표면조직의 구성사로서 저온융착성필라멘트사와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복합연사한 합연사를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쇼파용 원단과 같은 홈인테리어용 원단의 경우에는 필링, 마모강도, 조직의 벌어짐 현상등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표면조직의 구성사에 열융착성필라멘트를 함유하도록 하여 융착부분을 형성하여 필링이나 조직벌어짐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은 표면조직과 이면조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표면조직은 열융착성필라멘트사와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복합연사한 총섬도 800~1500데니어 굵기의 복합합연사가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면조직은 총섬도 75~150 데니어 굵기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가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면조직은 폴리에스테르 미연신 필라멘트(POY)를 연신하고 가연하여 만든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와 시쓰코어형 열융착성필라멘트사를 복합연사한 총섬도 800~1500데니어 굵기의 실을 사용하는데, 상기 복합연사한 복합합연사는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경사나 위사 중 어느 하나만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경사와 위사 모두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면조직은 폴리에스테르 미연신필라멘트(POY)를 연신하고 가연하여 만든 총섬도 75~150데니어 굵기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공급하여 제직하면서 상기 표면조직과 연결시키는 평직 으로 제직하면서 이중직물을 제직한다.
상기 표면조직은 경사와 위사가 2:2로 배열되는 조직감이 강한 매트조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면조직은 조직의 집속력을 강하게 하는 평직으로 제직하면서, 상기 표면조직과 이면조직을 연결시켜서 제직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중직물의 용도인 홈인테리어용 직물로 사용하는데 필수사항인 필링문제, 마모강도문제, 조직벌어짐 문제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렇게 제직된 원단은 150~170℃의 온도로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표면조직에 함유된 열융착성필라멘트사의 시쓰부가 부분융착 또는 전부융착되어 열융착성필라멘트와 일부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와 붙게 되어 상기 이중직물의 표면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필링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며, 마모강도가 향상되며 장시간 사용시 직물의 조직이 벌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의 제조방법으로서 표면조직으로 시쓰코어형 열융착성필라멘트사와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복합연사한 총섬도 800~1500데니어 굵기의 복합합연사를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공급하여 매트조직으로 제직하면서, 이면조직으로 75~150데니어 굵기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공급하여 평직으로 제직하면서 상기 표면조직과 연결시켜 이중직물을 제직한 후, 상기 이중직물을 150~17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상기 표면조직에 함유된 열융착성 필라멘트사의 시쓰부를 부분융착 또는 전부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 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의 제조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상기 표면조직에 사용되는 실은 폴리에스테르 미연신필라멘트(POY)를 연신하고 가연하여 만든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와 시쓰코어형 열융착성필라멘트사를 복합연사한 총섬도 800~1500데니어 굵기의 복합합연사를 사용하는데, 상기 연신 및 가연가공은 통상적인 드로오텍스쳐사의 가공방법으로 행할 수 있으며, 복합연사는 M당 T/M이 450~650으로 하는 것이 합연사의 형태를 고정하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면조직 및 이면조직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사용하여 이중직물에 난연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 열융착성필라멘트사는 시쓰코어형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시쓰부분은 유리전이온도가 60℃~6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되어 있는 저온용융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고, 코어부분은 고유 점도 0.63~0.6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시쓰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열융착성필라멘트사인 것을 사용하는데, 직물제직후의 열처리에 의해 상기 시쓰부분이 부분융착 또는 전부융착되어 상기 열융착성필라멘트사와 일부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끼리 서로 붙어있는 형상을 띠게 된다.
상기 열융착성필라멘트사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 25중량부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중량부미만에서는 충분한 융착효과가 발현되기가 어렵고, 2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조직에서 융착부분이 너무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어 직물의 터치가 뻣뻣하게 되어서 용도에 부적합한 직물이 되기 쉽고, 열처리작업의 편차를 유발시키고, 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을 발현할 수가 있다.
상기 열융착성필라멘트사를 함유하는 복합합연사는 표면조직에서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경사 및 위사 모두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직물터치감을 주의하면서 제직해야 한다.
한편, 상기 이면조직은 폴리에스테르 미연신 필라멘트(POY)를 연신하고 가연하여 만든 총섬도 75~150데니어 굵기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공급하여 평직으로 제직하면서 상기 표면조직과 연결시켜 이중직물을 제직한다. 이렇게 이면조직은 평직으로 제직하여 강한 조직감과 견고한 물성을 나타내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제직된 이중직물은 150~170℃의 온도로 열처리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텐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열처리하여 상기 표면조직에 함유된 열융착성필라멘트사의 시쓰부의 부분융착 또는 전부융착시키게 된다. 상기 열처리에서 150℃미만으로 열처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면조직에 함유된 열융착성필라멘트사의 시쓰부의 융착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여 열융착성필라멘트와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가 잘 붙어있지 못하고 분리될 수 있으며, 17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융착성필라멘트사의 융착이 과도하게 되거나 열분해가 발생되어 이중직물의 터치감이 불량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여 기존의 쇼파지등에서 강한조직감 표현이 불가능한 부분을 소재의 조합과 사가공 기술, 조직의 적절한 조합, 가공의 열처리기술등을 접목하여 홈인테리어용 직물의 고질적인 문제점이었던 필링문제 및 장시간 사용시 직물의 조직이 벌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직물고유의 터치감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 마모강도가 향상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직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 다음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홈인테리어용 직물에 대한 비한정적인 예시를 하고 있다.
[실시예 1]
상기 시쓰부분은 유리전이온도가 60℃~6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되어 있는 저온용융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부분은 고유 점도 0.6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시쓰코어형 폴리에스테르 열융착성 필라멘트사 150데니어 36필라(로멜라, 휴비스산), 폴리에스테르 DTY 300/96 SD/3합 및 폴리에스테르 DTY 300/96 SD를 합치면서 복합연사기를 사용하여 M당 T/M 550으로 복합연사작업을 하여 1350데니어의 복합합연사를 만들어 경사, 위사로 공급하여 매트조직으로 표면조직으로 제직함과 동시에, 폴리에스테르 DTY150/48 SD사를 경사 및 위사로 공급하여 평직조직으로 제직하면서 상기 표면조직과 연결시켜 이중직물을 제직한 후, 상기 이중직물을 16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홈인테리어용 원단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스테르 DTY 300/96 SD / 4합사를 합치면서 공기압 4.5kg로 교락수가 60개/미터가 되도록 인터레이스하여 1200데니어의 인터레이스사를 만들어 경사 및 위사로 공급하여 레피아 직기로 매트조직으로 제직한 후 정련,염색 가공후 조직보완을 위해 이면에 폴리우레탄수지를 코팅처리하여 홈인테리어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도 10 및 도 11에 따르면 실시예 1의 직물은 필링이 4.5급인데 반하여 비교예 1은 3.0급으로 본 발명의 이중직물이 필링에 강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긁힘에 의해 직물의 일부분이 풀려 구성원사가 돌출되는 스내깅(snagging)현상도 실시예 1은 4.5급을 나타내고 있어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조직감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비교예 1의 직물의 표면사로 사용되는 인터레이스사의 사진이며,
도 2는 비교예 1의 직물의 가공전 직물표면사진이며,
도 3은 비교예 1의 직물의 가공후 표면사진이며,
도 4는 비교예 1의 직물의 가공후 이면에 폴리우레탄수지를 코팅처리를 한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의 표면사로 사용되는 복합한 원사 표면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의 가공이전의 생지표면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의 가공이전의 생지이면사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의 가공후 표면사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의 가공후 이면사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이중직물의 물성측정결과이며,
도 11은 비교예 1의 이중직물의 물성측정결과이며,
도 12는 기존의 이중직물의 직물벌어짐 현상의 사진이며,
도 13은 기존의 이중직물의 스내깅(snagging)이 발생된 부분의 사진이며,
도 14는 기존의 이중직물의 필링현상이 발생된 부분의 사진이다.

Claims (7)

  1. 표면조직과 이면조직으로 구성되는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에 있어서,
    상기 표면조직으로 융착된 열융착성필라멘트사와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가 복합연사된 총섬도 800~1500데니어 굵기의 복합합연사가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면조직은 총섬도 75~150 데니어 굵기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가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조직은 매트조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면조직은 상기 표면조직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평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된 열융착성필라멘트사는 열융착성필라멘트표면의 일부분 또는 전부가 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조직 및 이면조직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는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
  5. 표면조직으로 시쓰코어형 열융착성필라멘트사와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복합연사한 총섬도 800~1500데니어 굵기의 복합합연사를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공급하여 매트조직으로 제직하면서,
    이면조직으로 75~150데니어 굵기의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를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공급하여 평직으로 제직하면서 상기 표면조직과 연결시켜 이중직물을 제직한 후,
    상기 이중직물을 150~17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상기 표면조직에 함유된 열융착성필라멘트사의 시쓰부를 부분융착 또는 전부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조직의 복합합연사의 시쓰코어형 열융착성필라멘트사는 시쓰부분이 유리전이온도가 60℃~6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되어 있는 저온용융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고, 코어부분이 고유 점도 0.63~0.6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성필라멘트사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드로오텍스쳐사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45877A 2009-05-26 2009-05-26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 KR101139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877A KR101139769B1 (ko) 2009-05-26 2009-05-26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877A KR101139769B1 (ko) 2009-05-26 2009-05-26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436A KR20100127436A (ko) 2010-12-06
KR101139769B1 true KR101139769B1 (ko) 2012-05-07

Family

ID=4350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877A KR101139769B1 (ko) 2009-05-26 2009-05-26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404B1 (ko) * 2011-10-13 2013-02-20 주식회사 알켄즈 건축용 기능성 내장 직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163A (ja) * 1989-07-20 1991-03-14 Toray Ind Inc セールクロス
KR100369573B1 (en) 2002-05-31 2003-01-30 Silver Star Corp High absorbent terry fabric having different materials between the surface and the rear sid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0639793B1 (ko) 2006-01-20 2006-10-31 장순오 난연직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17993B1 (ko) 2006-09-28 2008-03-31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열융착 직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163A (ja) * 1989-07-20 1991-03-14 Toray Ind Inc セールクロス
KR100369573B1 (en) 2002-05-31 2003-01-30 Silver Star Corp High absorbent terry fabric having different materials between the surface and the rear sid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0639793B1 (ko) 2006-01-20 2006-10-31 장순오 난연직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17993B1 (ko) 2006-09-28 2008-03-31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열융착 직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436A (ko)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4608B (zh) 一种立体织物
JP4708494B2 (ja) 繊維積層シートとこれを用いた人工皮革及びこれに用いる合成繊維紙
RU2599607C2 (ru) Ткань из углеродного волокна и способ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TWI639739B (zh) 多重紗布織品、二重紗布織品、衣物及床具類
JP2011502756A5 (ko)
CA2912042A1 (en) Abrasion-resistant fabric
CN102330243A (zh) 一种双层面料
KR101139769B1 (ko)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홈인테리어용 이중직물
JP3187096U (ja) 縫製品
CN202800953U (zh) 一种凉席
JP2016191163A (ja) 衣類
CN202099483U (zh) 一种超细pvc包覆纱面料
US20060003653A1 (en) Synthetic fabric which mimics a dried grass fabric
JP4584762B2 (ja) 裏地用織物
US8778818B2 (en) Anti-vandalism fabric suitable for upholstering seats
US10221505B1 (en) Textile products incorporating banana or raffia 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JP2016215441A (ja) 積層体布帛
JP2010077542A (ja) 重ね織物
US6092563A (en) Decorative outdoor fabrics
CN212073219U (zh) 一种具有双重包裹功能的织带
JP5034968B2 (ja) 接着芯地
CN109706585B (zh) 一种双面耐磨条纹面料
JP3165569U (ja) 重ね織物
CN201367506Y (zh) 抗静电纤维布
CN201393887Y (zh) 横向折叠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