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146B1 - 부직포용 다층직물 - Google Patents

부직포용 다층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146B1
KR101908146B1 KR1020137008797A KR20137008797A KR101908146B1 KR 101908146 B1 KR101908146 B1 KR 101908146B1 KR 1020137008797 A KR1020137008797 A KR 1020137008797A KR 20137008797 A KR20137008797 A KR 20137008797A KR 101908146 B1 KR101908146 B1 KR 101908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warp
fabric
weft yarn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772A (ko
Inventor
쓰토무 우수키
Original Assignee
닛폰 휘루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휘루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휘루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94Bel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75Carbon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at random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21F1/0036Multi-layer screen-cl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ven Fabr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통기도, 횡강성이라는 요구 특성을 충족하고, 섬유에 박히는 문제를 개선하며, 표면 밀도, 비스듬한 강성, 시트 서포트성을 향상시키는 부직포용 다층 직물을 제공한다. 적어도 제 1의 날실과 제 2의 날실과 상면측 씨실과 주행면측 씨실을 가지는 부직포용 다층 직물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날실은 상면측 씨실에서 주행면측 씨실까지 모든 층의 씨실을 짜 넣고, 제 2의 날실은 상면측 씨실만을 짜 넣어 구성되어 있으며, 제 1의 날실은 2개 1조로 되어 상면측 층에 있어서 하나의 상면측 날실 조직을 형성하고 있고, 제 1의 날실과 상기 제 2의 날실이 2개씩 조로 되어 평직의 완전 조직을 형성한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다.

Description

부직포용 다층직물{MULTILAYER WEAVE FOR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통기도(通氣度), 횡강성(lateral rigidity)이 우수한 부직포용 다층 직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종래의 부직포용 직물에서 발생하고 있던 섬유가 박히는 문제를 개선하고, 표면밀도, 비스듬한 강성(oblique rigidity)을 향상시켜, 시트 서포트성(sheet supportability)을 향상시킨 부직포용 다층 직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행하는 무단(無端) 형상의 메쉬 벨트상에 섬유 집합체를 공급한 후, 해당 섬유 집합체를 반송하면서 부직포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부직포의 제법으로서는, 매우 많은 종류가 알려져 있고, 새로운 기술도 잇달아 개발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그 때문에, 부직포의 제법 유형을 명확하게 분류하는 것은 어렵지만, 주로 섬유의 결합 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대표적인 것으로 섬유 집합체에 저융점 섬유를 병용하거나, 저융점 수지를 피복한 심초형의 복합섬유를 사용하거나, 저융점 파우더를 혼합한 섬유 집합체를 메쉬 벨트상에 공급하고, 가열 또는 초음파 용접기에 의해 저융점 섬유를 용융하여 섬유간 융착을 발생시켜, 부직포를 형성하는 서멀 본드 제법이 알려져 있다. 또, 섬유 집합체를 메쉬 벨트상에 공급하여, 접착성 수지를 함침한 후, 건조함으로써 부직포를 형성하는 레진 본드 제법이 알려져 있다. 그 밖에 케미컬 본드 제법이나, 고압 수류로 섬유를 교락시키는 스판 레이스 제법(span racing method) 등도 알려져 있다.
부직포의 제법을 섬유 집합체의 공급 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건식 섬유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카드기를 사용하여 섬유 집합체를 공급하는 카딩(carding) 방식, 해섬(解纖)한 섬유를 에어를 사용하여 공급하는 에어레이드(air raid) 제법이나, 미리 형성된 부직포에 형성되기 전 상태의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섬유 원료로부터 실 형상으로 방사 한 직접 방사를 메쉬 벨트상에 공급하고, 가열 등 하면서 섬유간 융착시키는 스판 본드 제법(span bonding method)이 알려져 있다. 또한, 분무 형상으로 방사(紡絲) 하면서 메쉬 벨트에 공급하는 멜트 블로우 제법(melt blow method) 등도 알려져 있다.
이상과 같이, 부직포에는 여러 가지의 제조방법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스판본드 제법에서는 사용하는 부직포용 직물에 횡강성, 통기도, 시트 서포트성 등의 특성이 요구된다. 부직포 제조 기계로서는, 부직포용 직물이 주행중 횡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손바닥을 댐으로써 움직임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사용하는 부직포용 직물의 횡강성이 낮으면 손바닥에 의한 간섭에 의해서 부직포용 직물 자체가 접혀 버리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또, 부직포용 직물에 요구되는 통기도는, 제직(製織)하는 부직포에 의해 적당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부직포용 직물에 있어서의 통기도가 너무 높으면 섬유가 누락해 버리고, 너무 낮으면 진공(vacuum)의 효과가 저하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시트 서포트성이 낮으면 부직포를 수송할 때에, 형성되는 부직포가 직물상에서 움직이는 일로, 접혀 들어가버리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직물로서 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도 19에 나타내는 것이 이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직물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통기도 등은 매우 양호하지만, 부직포의 제조공정으로 반복 사용함으로써, 경시적으로 섬유가 직물에 박혀 버리는 문제가 생겼다. 여기서, 섬유가 박힌다는 것은, 와이어의 너클 교점 사이에 섬유가 비집고 들어가 버리는 현상이다. 섬유 박힘이 생기면, 와이어가 부직포를 씹어 버리거나, 직물의 통기도가 저하해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도 15는, 종래의 직물에 있어서의 박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이 서로 짜여 있는 빈틈에 섬유가 박혀 있는 모습을 명확하게 간취(看取)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섬유의 박힘은, 와이어의 교점 지지력이 낮은 것에 의하여 발생한다. 즉, 와이어의 교점 지지력이 낮으면, 주행중에 와이어가 흔들림으로써, 와이어의 너클 교점 사이에 섬유가 끼임으로써 생긴다.
여기서, 와이어의 교점 지지력이란, 너클부에 있어서의 날실과 씨실의 상호 간에 걸리는 힘이며, 일반적으로 한 개의 실에 걸리는 너클은 교점 지지력이 강하고, 복수의 실에 걸리는 롱 너클은 교점 지지력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교점 지지력이 가장 높아지는 조직은 평직조직(平織組織)이다. 평직조직에서는, 모든 너클이 1개의 실에 걸리는 너클을 구성하기 위해, 너클 밀도가 가장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부직포용 직물에서는, 평직조직을 이용할 수 없었다. 평직조직에서는 씨실을 큰 지름으로 하면 표면 밀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횡강성과 표면 밀도가 상반되어버리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종래의 부직포용 직물에서는, 평직조직이 적합하게 이용되지 않았다.
특허 공보 제2558154호
본 발명은, 부직포용 직물로서 우수한 통기도 및 횡강성이라고 하는 요구 특성을 충족하고, 종래의 부직포용 직물에서 발생하고 있던 직물의 사용에 의한 섬유에 박히는 문제를 개선함과 함께, 표면 밀도, 비스듬한 강성을 향상시키고, 시트 서포트성을 향상시키는 부직포용 다층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면측 씨실이 이면에 돌출하는 씨실 마모형 구조를 가진 부직포용 다층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용 다층 직물은, 통기도, 횡강성이 우수하며, 섬유에 박히는 문제를 개선하고, 표면 밀도, 비스듬한 강성, 시트 서포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을 채용했다.
(1) 적어도 제 1의 날실과 제 2의 날실과 상면측 씨실과 하면측 씨실을 가지는 부직포용 다층 직물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날실은 상면측 씨실에서 하면측 씨실까지 모든 층의 씨실을 짜 넣고, 제 2의 날실은 상면측 씨실만을 짜 넣으므로써, 하면측 날실이 존재하지 않는 구성이고, 제 1의 날실은 2개 1조로 되어 상면측 층에 있어서 하나의 상면측 날실 조직을 형성하고 있고, 제 1의 날실과 제 2의 날실에 의하여 평직의 완전 조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다.
(2) 상기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 상면측 층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날실과 상기 제 2의 날실이 2개씩 조로 되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다.
(3) 상기 상면측 씨실과 상기 하면측 씨실이 오프 스택(off stack)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다.
(4) 적어도 상기 제 1의 날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카본선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다.
(5) 상기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 상기 제 1의 날실 조와 제 2의 날실 조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다.
(6) 상기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 2층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다.
(7) 상기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 중간 씨실을 더 가짐으로써 3층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용 다층 직물은, 부직포용 직물로서 우수한 통기도 및 횡강성이라고 하는 요구 특성을 충족하고, 종래의 부직포용 직물에서 발생하고 있던 직물의 사용에 의한 섬유에 박히는 문제를 개선함과 함께, 표면 밀도, 비스듬한 강성을 향상시키고, 시트 서포트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하면측 씨실에 의해서 롱크림프(long crimp)를 채용함으로써 씨실 마모형 구조를 형성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부직포용 다층 직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1의 완전 조직을 나타내는 의장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날실(4)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제 1의 날실의 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제 2의 날실의 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2의 완전 조직을 나타내는 의장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날실(4)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3의 완전 조직을 나타내는 의장도이다.
도 8은, 종래 예에 따른 직물의 완전 조직을 나타내는 의장도이다.
도 9는, 종래 예에 있어서의 날실(1)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직물의 상면측 사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직물의 하면측 사진이다.
도 12는, 종래 예에 따른 직물의 표면 사진이다.
도 13은, 종래 예에 따른 직물의 이면 사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직물의 횡단면 사진이다.
도 15는, 종래 예(특허 문헌 1)에 따른 직물의 사용 후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용 다층 직물의 구조와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그 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용 다층 직물의 실시형태를 상술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용 다층 직물은, 적어도 제 1의 날실과 제 2의 날실과 상면측 씨실과 하면측 씨실을 가지는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다. 씨실로서는 또한 중간 씨실을 추가하여 구성해도 좋다.
제 1의 날실은 상면측 씨실에서 하면측 씨실까지 모든 층의 씨실을 짜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2의 날실은 상면측 씨실만으로 서로 짜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용 다층 직물은, 상면측 층에서는 적어도 제 1의 날실이 2개 1조로 되어 있다. 이때, 제 1의 날실은 2개 1조로 되어 상면측 날실 조직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진다. 또, 제 1의 날실과 제 2의 날실이 2개씩 조로 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제 1의 날실과 제 2의 날실에 의하여 상면측 날실 조직을 형성하고, 상면측 조직은 평직인 점에 특징을 가진다.
또한, 상면측 씨실과 하면측 씨실은 오프 스택구조이어도 좋다. 여기서, 오프 스택구조란, 상하에 배치되는 같은 방향의 실이 수직으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상면측 씨실과 하면측 씨실이 직물면의 수직 방향 상하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3층 직물에서는 상면측 씨실과 중간 씨실 및 하면측 씨실이 상하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간 씨실과 하면측 씨실은 상하로 겹쳐지도록 배치해도 좋다. 이러한 오프 스택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상면측 씨실과 하면측 씨실의 밀착성을 높여 공간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섬유의 누락 방지 기능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완전 조직이란 직물 조직을 형성하는 최소의 반복 단위이며, 이것이 전후 좌우로 반복되어 직물이 형성된다. 너클이란 날실이 1개 또는 복수 개의 씨실 위, 또는 아래를 통과하여 표면에 돌출한 부분을 말하고, 크림프란 씨실이 복수 개의 날실 위 또는 아래를 통과하여 표면에 형성된 긴 뜸(뜨는 부위)을 말한다.
본 발명은, 표면 평직조직이면서, 큰 지름의 씨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채용되고 있던 부직포용 다층 직물의 구조에 있어서, 평직조직으로서 큰 지름의 씨실을 이용하면 표면 밀도는 낮아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날실을 제 1의 날실, 제 2의 날실로 구성함으로써, 하면측 씨실에 큰 지름의 씨실을, 상면측에 그것보다도 지름이 가는 씨실을 이용하여 큰 지름의 씨실을 사용하면서 표면 밀도를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부직포용 직물의 구조에서는, 표면 밀도를 높이면 통기도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생겼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날실은 제 1의 날실과 제 2의 날실만으로 하면측 날실이 존재하지 않고, 표면 너클에 비해 이면 너클이 적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직물의 표면 사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직물의 이면의 사진이다. 도 12는, 종래의 직물의 표면 사진이다. 도 13은 종래의 직물의 이면의 사진이다.
이들 사진을 보면 너클의 차이는 명백하다. 즉, 종래의 직물 사진인 도 12와 도 13은, 너클의 수는 대략 같은 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사진인 도 10과 도 11에서는, 표면에 대하여 이면의 공간은 비어 있으므로, 표면 밀도를 높이면서도 통기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이해된다.
이들 구조는, 표면 평직조직이면서 큰 지름의 씨실을 이용하는 것으로 표면 밀도를 높이는 것을 양립시키며, 또한 통기도를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큰 지름의 씨실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횡강성도 부직포용 직물의 요구 특성을 충족할 수 있고, 또한 표면 평직조직으로 한 것으로, 종래보다 비스듬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용 다층 직물은, 종래품의 횡강성, 통기도를 유지한 채, 와이어로의 섬유의 박힘 방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시트 서포트성도 향상시킨 부직포용 직물이라고 말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3층 직물로 해도 좋다. 3층 직물로 함으로써 2층 직물보다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종래의 부직포용 직물은 단층 직물이며, 날실 보다 씨실이 굵고, 날실이 2개의 씨실의 하측을 통과하여 이면측 너클을 형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면에 날실이 돌출하고 마모하는 날실 마모형 구조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2층 직물도 마찬가지로 날실보다 하면측 씨실이 굵고, 날실이 2개의 씨실의 하측을 통과하여 이면측 너클을 형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면에 날실이 돌출하여 마모하는 날실 마모형 구조로 되어 있다.
그것에 대해, 본 발명의 3층 직물에서는 날실이 이면에서 1개의 하면측 씨실 아래를 통과하여 이면측 너클을 형성하기 때문에 하면측 씨실에 크림프가 형성되며, 하면측 씨실이 이면에 돌출하는 씨실 마모형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날실 마모형 직물보다 마모면이 넓어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3층 직물의 하면측 씨실은 지름이 굵은 만큼 내마모성이 우수하지만, 날실과의 선 지름 차가 너무 크면 크림프가 형성되지 않고 세로 마모형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3층 직물의 하면측 씨실은 날실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적당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제 1의 날실, 제 2의 날실을 각각 2개씩 조로 하여 배치하는 구조를 채용하면, 루프 레이싱에 대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은 용도에 따라 선택하면 좋지만, 예를 들면,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 외, 멀티 필라멘트(multifilament), 스펀얀(spun yarn), 권축가공(捲縮加工)이나 숭고가공(嵩高加工) 등을 실시한 일반적으로 텍스처드 얀 (textured yarn), 벌키 얀(bulky yarn), 스트레치 얀(stretch yarn)이라고 칭해지는 가공 실, 혹은 이들을 합쳐서 꼬는 등 조합한 실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실의 단면 형상도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형 형상이나 별 형상 등의 단형상(短形狀)의 실이나 타원 형상, 중공(中空) 등의 실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실의 재질로서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비닐리덴플로오라이드, 폴리프로필렌, 아라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틸렌 나프타 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면, 울,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공중합체나 이들 재질에 목적에 따라 다양한 물질을 브랜드 하거나 함유시킨 실을 사용해도 좋다. 일반적으로 부직포용 직물을 구성하는 실에는 강성이 있고,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의 날실의 일부에 카본선을 사용할 수 있다.부직포를 제조할 때, 정전기에 의해 와이어가 대전(帶電)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대전된 와이어와 부직포의 섬유가 반발하여, 와이어상에 부직포를 형성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제 1의 날실의 일부 또는 전부에 카본선을 이용함으로써, 와이어로부터 정전기를 제전(除電)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카본선을 제 1의 날실 이외(예를 들면, 상면 또는 하면측 씨실)에 이용한 경우를,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직물 구성 실의 선 지름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치밀하고 평활한 직물 표면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면측 층을 구성하는 상면측 날실, 상면측 씨실은 비교적 선 지름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머신이나 롤의 접촉면으로 되는 하면측 표면은 강성이나 내마모성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하면측 씨실, 하면측 날실은 비교적 선 지름이 큰 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용도나 사용환경, 상하 씨실 갯수의 배치 비율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면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의장도란 직물 조직의 최소 반복 단위로서 직물의 완전 조직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직물은 이 완전 조직에 상당한다. 이러한 완전 조직이 상하 좌우로 임의로 결합함으로써 최종적인 제품으로서 완성된다.
각 의장도에 있어서, 날실은 아라비아 숫자, 예를 들면 1, 2, 3...으로 나타낸다. 제 1의 날실은 F를 붙인 숫자, 제 2의 날실은 S를 붙인 숫자로 나타냈다.
씨실은, 대시를 붙인 아라비아 숫자, 예를 들면 1', 2', 3'...으로 나타낸다. 상면측 씨실은 u를 붙인 숫자, 하면측 씨실은 d를 붙인 숫자, 예를 들면 1'u, 2'd 등으로 나타낸다. 또, 3층 직물의 경우, 직물 내부에 배치되는 중간 씨실은 m을 붙인 숫자로 나타냈다.
의장도에 있어서, ■표시는 제 1의 날실이 상면측 씨실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표시는 제 1의 날실이 하면측 씨실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며, ×표시는 제 2의 날실이 상면측 씨실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2층 직물에서는 상면측 씨실과 하면측 씨실은 상하로 겹쳐지지 않게 배치되어 있고, 3층 직물에서는 상면측 씨실과 중간 씨실 및 하면측 씨실이 상하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며, 중간 씨실과 하면측 씨실은 상하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의장도에서의 실의 겹침은 의장도 좌부(左部)의 실을 나타내는 숫자에 의하여 표현되고 있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부직포용 다층 직물의 완전 조직을 나타내는 의장도이다. 또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의장도에 있어서의 날실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날실 (4F)에서 날실 (2S), 도 3은 날실 (4F)에서 (3F), 도 4는 날실 (2S)에서 (1S)까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부직포용 다층 직물은, 제 1의 날실(F)과 제 2의 날실(S)과, 상면측 씨실(u)과, 하면측 씨실(d)에 의하여 구성된 표면 평직조직에 의한 2층 직물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의 날실 (4F)는 상면측 씨실 (1'u)의 상측을 통과하여 상면측 너클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하면측 씨실 (2'd)의 상측을 통과한 후, 상면측 씨실 (3'u)의 하측을 통과하고, 하면측 씨실 (4'd)과 하면측 씨실 (6'd)의 하측을 통과하여 하면측 너클을 형성하고 있다. 그 다음에 상면측 씨실 (7'u)의 하측을 통과한 후, 하면측 씨실 (8'd)의 상측을 통과하고 있다.
또, 제 1의 날실 (3F)는 인접하는 제 1의 날실 (4F)와 조(그룹)로 되어 있다. 제 1의 날실 (3F)는 상면측 씨실 (5'u)의 상측에서 상면측 너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 1의 날실 (3F)와 (4F)의 2개에 의하여, (1'u) 및 (5'u)상에서 너클을 형성하면서 표면상에 1개 분의 상면측 날실 조직을 형성하고 있다.
제 2의 날실 (1S)는, 상면측 씨실 (1'u)의 상측을 통과하여, 상면측 너클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상면측 씨실 (3'u)의 하측을 통과한 후, 상면측 씨실 (5'u)의 상측을 통과하여 상면측 너클을 형성하며, 상면측 씨실 (7'u)의 하측을 통과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직포용 2층 직물에 있어서는, 제 1의 날실, 제 2의 날실 모두 각각 2개 1조로 되어 있고, 제 2의 날실 (1S)와 (2S)(도 4), (5S)와 (6S)가, 제 1의 날실 (3F)와 (4F)(도 2), (7F)와 (8F)가 각각 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씨실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면측 씨실과 하면측 씨실의 선 지름에 제한은 없지만, 하면측 씨실은 직물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큰 지름의 실이 바람직하고, 상면측 씨실은 표면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하면측 씨실보다 가는 것이 좋다. 또, 상면측 씨실과 하면측 씨실은 오프 스택구조로 되어 있고, 오프 스택구조를 취함으로써 상면측 씨실과 하면측 씨실의 밀착성을 올리는 것으로 공간 밀도를 향상시키고 있어, 섬유의 누락 방지 기능을 높이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부직포용 2층 직물은, 의장도보다 표면 너클에 대하여 하면측 너클이 적은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 도 11은 본 실시예의 표면 사진, 이면 사진이다.
한편, 도 8, 도 12, 도 13은 종래의 부직포용 직물의 의장도, 표면 사진, 이면 사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부직포용 직물은, 보조 씨실을 이용한 홑겹 직물이다. 의장도에 있어서 보조 씨실은 f를 붙인 숫자로 나타내고, 예를 들면 2'f, 4'f로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부직포용 직물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날실 (1)을 예로 들면, 날실 (1)은 1개의 씨실 (1'), 1개의 보조 씨실 (2'f), 1개의 씨실 (3')의 상측을 연속하여 통과하고, 그 다음에 1개의 보조 씨실 (4'f), 1개의 씨실 (5'), 1개의 보조 씨실 (6'f), 1개의 씨실 (7'), 1개의 보조 씨실 (8'f)의 하측을 연속해서 통과하는 조직이며, 또 인접하는 날실을 씨실 2개 분, 4개 분과 교대로 시프트하여 완전 조직을 형성하고 있다.
종래품에서는 표면 너클과 이면 너클의 수가 동등하고, 표면 밀도의 증가는 그대로 통기도의 저하로 연결된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부직포용 2층 직물은, 표면측 너클에 대하여 하면측 너클이 적기 때문에 이면 공간이 비어 있고, 표면 밀도를 높여도 통기도의 저하가 적어 고(高)통기도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부직포용 3층 직물의 의장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날실 (2S)에서 (4F)까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 2에 따른 부직포용 3층 직물은, 제 1의 날실(F), 제 2의 날실(S), 상면측 씨실(u), 중간 씨실(m), 하면측 씨실(d)에 의하여 구성된 표면 평직조직의 3층 직물이다. 상기 실시형태 1과는 중간 씨실(m)이 존재하는 점이 다르다.
도 5에 나타내는 상면측 날실에 대하여 보면, 제 1의 날실 (4F)은 상면측 씨실 (1'u)의 상측을 통과하여 상면측 너클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중간 씨실 (2'm)의 상측을 통과한 후, 상면측 씨실 (3'u)의 하측을 통과하여, 중간 씨실 (4'm)과 하면측 씨실 (4'd)의 사이를 통과한 후, 하면측 씨실 (6'd)의 하측을 통과하여 하면측 너클을 형성한다. 그 다음에 상면측 씨실(7'u)의 하측을 통과한 후, 중간 씨실 (8'm)의 상측을 통과하고 있다.
또, 제 1의 날실 (3F)는, 인접하는 제 1의 날실 (4F)와 조로 되어 있고, 제 1의 날실 (3F,4F)에 의하여 상면측 씨실 (1'u), 상면측 씨실 (5'u)의 상측으로 각각 상면측 너클을 형성하고, 2개로 1개 분의 상면측 날실 조직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제 2의 날실(S)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대략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실시형태 2에 따른 부직포용 3층 직물에서는, 하면측 씨실(d)에 의하여 롱크림프를 형성하고 있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 2의 횡단면 사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측 씨실(d)의 롱크리프가 이면에 돌출하는 구조로 되고 있고, 씨실 마모형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날실 마모형에 비해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실시형태 3
도 7은, 실시형태 3에 따른 부직포용 2층 직물의 의장도이다. 실시형태 1의 직물과 같은 표면 평직조직의 2층 직물이지만, 실시형태 1의 직물이 제 1의 날실 (F), 제 2의 날실(S) 모두 4개인 것에 대해, 제 1의 날실(F) 4개, 제 2의 날실 (S) 2개이며, 그 이외는 같은 구조이다. 이와 같이 제 1의 날실(F)과 제 2의 날실(S)의 비율을 변경하는 것으로 통기도를 조정하거나, 이면 너클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보다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3F, 4 F, 5 F, 6 F, 7 F, 8 F, 11 F, 12 F, 15 F, 16 F. 제 1의 날실
1S, 2S, 5S, 6S, 9S, 10S, 13S, 14S. 제 2의 날실
1'u, 3'u, 5'u, 7'u. 상면측 씨실
2'd, 4'd, 6'd, 8'd. 하면측 씨실
2'm, 4'm, 6'm, 8'm. 중간 씨실

Claims (7)

  1. 적어도 제 1의 날실과 제 2의 날실과 상면측 씨실과 하면측 씨실을 가지는 부직포용 다층 직물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날실은 상면측 씨실에서 하면측 씨실까지 모든 층의 씨실을 짜 넣고, 제 2의 날실은 상면측 씨실만을 짜 넣으므로써, 하면측 날실이 존재하지 않는 구성이고, 제 1의 날실은 2개 1조로 되어 상면측 층에 있어서 하나의 상면측 날실 조직을 형성하고 있고, 제 1의 날실과 제 2의 날실에 의하여 평직의 완전 조직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용 다층 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 상면측 층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날실과 상기 제 2의 날실이 2개씩 조로 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용 다층 직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측 씨실과 상기 하면측 씨실이 오프 스택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용 다층 직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의 날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카본선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용 다층 직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 상기 제 1의 날실의 조와 제 2의 날실의 조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용 다층 직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 2층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용 다층 직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용 다층 직물이, 중간 씨실을 더 가짐으로써 3층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용 다층 직물.
KR1020137008797A 2011-04-11 2012-03-21 부직포용 다층직물 KR101908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87481 2011-04-11
JP2011087481 2011-04-11
PCT/JP2012/057093 WO2012140992A1 (ja) 2011-04-11 2012-03-21 不織布用多層織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772A KR20130138772A (ko) 2013-12-19
KR101908146B1 true KR101908146B1 (ko) 2018-12-10

Family

ID=4700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797A KR101908146B1 (ko) 2011-04-11 2012-03-21 부직포용 다층직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58559B2 (ko)
EP (1) EP2698458A4 (ko)
JP (1) JP5749795B2 (ko)
KR (1) KR101908146B1 (ko)
CA (1) CA2832017C (ko)
WO (1) WO20121409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29187A4 (en) * 2013-07-31 2017-05-10 Nippon Filcon Co., Ltd Industrial fabric by double-warp and single-weft woven fabric
DK3115490T3 (da) 2014-03-04 2020-06-29 Nippon Filcon Kk Industrielt dobbeltlagsstof
CN103849977A (zh) * 2014-03-31 2014-06-11 南通纺织职业技术学院 一种联合组织面料
JP6822782B2 (ja) 2016-04-28 2021-01-27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不織布用二層織物
JP7156941B2 (ja) * 2018-12-28 2022-10-19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不織布用多層織物
RU2724657C1 (ru) * 2019-11-21 2020-06-25 Софром Гусейнович Керимов Тканый каркас однопрокладочной конвейерной ленты с эластомерным покрытие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7215A (ja) 2004-08-23 2006-03-02 Nippon Filcon Co Ltd 工業用二層織物
JP2006152462A (ja) * 2004-11-26 2006-06-15 Nippon Filcon Co Ltd 工業用二層織物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1874A (en) * 1980-03-24 1982-09-28 Jwi, Ltd. Low permeability dryer fabric
US4420529A (en) * 1980-08-22 1983-12-13 Scapa Dryers, Inc. Anti-static dryer fabrics
JP2558154B2 (ja) 1988-08-31 1996-11-27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製紙面の凹所に補助緯糸を配置した製紙用一重織物
JPH02234945A (ja) * 1989-03-09 1990-09-18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摺動材
US5437315A (en) 1994-03-09 1995-08-01 Huyck Licensco, Inc. Multilayer forming fabric
JP3883275B2 (ja) * 1997-11-28 2007-02-21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上層織物に補助緯糸を配置した工業用2層織物
JP3938817B2 (ja) * 1999-02-16 2007-06-27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織物の接合用ループとこのループを用いた接合部
US7005038B2 (en) * 2001-10-05 2006-02-28 National Wire Fabric, Inc. Belt-machine combination
JP2004156164A (ja) * 2002-11-05 2004-06-03 Nippon Felt Co Ltd 工業用多層織物
US7300554B2 (en) * 2003-09-11 2007-11-27 Albany International Corp. Textured surface of a tissue forming fabric to generate bulk, cross directional tensile, absorbency, and softness in a sheet of paper
DE102004019182A1 (de) * 2004-04-16 2005-11-10 Voith Fabrics Patent Gmbh Formiersieb
JP4481765B2 (ja) * 2004-08-23 2010-06-16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JP4762513B2 (ja) * 2004-08-23 2011-08-31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JP4762529B2 (ja) * 2004-11-17 2011-08-31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JP4762530B2 (ja) * 2004-11-30 2011-08-31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US7219701B2 (en) * 2005-09-27 2007-05-22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machine direction stitching yarns that form machine side knuckles
JP4819477B2 (ja) * 2005-10-31 2011-11-24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US7624766B2 (en) * 2007-03-16 2009-12-01 Weavexx Corporation Warped stitched papermaker's forming fabric
US7959764B2 (en) * 2007-06-13 2011-06-14 Voith Patent Gmbh Forming fabrics for fiber webs
US7861747B2 (en) * 2008-02-19 2011-01-04 Voith Patent Gmbh Forming fabric having exchanging and/or binding warp yar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7215A (ja) 2004-08-23 2006-03-02 Nippon Filcon Co Ltd 工業用二層織物
JP2006152462A (ja) * 2004-11-26 2006-06-15 Nippon Filcon Co Ltd 工業用二層織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32017A1 (en) 2012-10-18
US20140020786A1 (en) 2014-01-23
EP2698458A4 (en) 2014-11-12
CA2832017C (en) 2019-02-26
EP2698458A1 (en) 2014-02-19
US9458559B2 (en) 2016-10-04
JP5749795B2 (ja) 2015-07-15
JPWO2012140992A1 (ja) 2014-07-28
KR20130138772A (ko) 2013-12-19
WO2012140992A1 (ja)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146B1 (ko) 부직포용 다층직물
JP5178929B2 (ja) 3次元立体形状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539341A5 (ko)
JP5746097B2 (ja) 3層構造を有する3次元立体形状織物
MXPA05012518A (es) Tejido industrial de dos capas.
JP2003013382A (ja) 工業用多層織物
JP2004068168A (ja) 工業用二層織物
JP5192021B2 (ja) 抄紙機用織布
JP2008519918A5 (ko)
JP5711946B2 (ja) 工業用二層織物
TW200914679A (en) Subassembly for industrial fabrics
JP2000239941A (ja) 工業用織物の接合用ループとこのループを用いた接合部
KR101160937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882742A (zh) 工业织物
JP2002235258A (ja) 工業用多層織物
JP6822782B2 (ja) 不織布用二層織物
JP2010100947A (ja) 製紙用フェルト
JP2013501153A (ja) 繊維質ウェブ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フォーミングファブリック
KR101146707B1 (ko) 허니콤 구조를 갖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342853A (ja) 工業用多層織物
JP2004052188A (ja) 工業用多層織物
RU2337189C2 (ru) Гидроперепутывани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кани, содержащей уплощенные нити
KR20160130208A (ko) 공업용 2층 직물
JP2003239189A (ja) 工業用多層織物
KR101060721B1 (ko) 3층구조를 가지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