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782B1 -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품 - Google Patents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782B1
KR100952782B1 KR1020047011047A KR20047011047A KR100952782B1 KR 100952782 B1 KR100952782 B1 KR 100952782B1 KR 1020047011047 A KR1020047011047 A KR 1020047011047A KR 20047011047 A KR20047011047 A KR 20047011047A KR 100952782 B1 KR100952782 B1 KR 100952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biquinone
oil
food
fa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126A (ko
Inventor
타다요시 시라이시
마사유키 아베
타케시 카와시마
토시노리 이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ublication of KR2004007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7/00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 A23D7/01Other fatty acid esters, e.g. phosphatides
    • A23D7/011Compositions other than sprea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7/00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 A23D7/01Other fatty acid esters, e.g. phosphatides
    • A23D7/013Sprea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1/426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vitamins, 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5/00Preserving by using additives, e.g. anti-oxidants
    • C11B5/0021Preserving by using additives, e.g. anti-oxidant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Dairy Product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퀴논 및 유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첨가하여 얻어지는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 유비퀴논을 함유하는 식용 유지 조성물; 유비퀴논을 유지에 가열 용해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식품 원료에 첨가하는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의 제조 방법; 유비퀴논을 유지에 가열 용해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식품 원료에 첨가하여 식품을 제조하는, 식품 중에서의 유비퀴논의 석출 및(또는) 국재화 방지 방법; 상기 식품을 섭취하는 유비퀴논의 보급 방법을 제공한다.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

Description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품 {Ubiquinone-Enriched Foods}
본 발명은 일상 생활에서 통상의 식품과 동일하게 섭취함으로써, 생체에 필수 불가결하며 나이가 들거나 스트레스에 의해 감소하여 부족하기 쉬운 유비퀴논을 쉽게 보급할 수 있는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품 및 그의 용도, 그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유비퀴논은 널리 생물계에 분포하는 벤조퀴논 유도체이다. 유비퀴논은 미토콘드리아, 리소좀, 골지체, 미크로솜, 퍼옥시솜 또는 세포막 등에 국재하며, 전자전달계의 구성 성분으로서 ATP 생산 활성 부여, 생체내에서의 항산화 작용, 막 안정화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생체의 기능 유지에 필수 불가결한 물질이다. 유비퀴논은 식사에 의해서 보급되는 한편, 생체내에서도 생합성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유비퀴논의 필요량은 충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들 생체내에서의 함량은 나이가 들거나 생체가 받는 여러가지 스트레스에 의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인간 심장 중 유비퀴논 함량은 19세 내지 22세의 경우 110.0 ㎍/g인 데 반하여, 77세 내지 81세에서는 47.2 ㎍/g으로 반감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Kalen. A. et al., Lipids, 24, 579-584(1989)). 또한, 요독증 및 만성의 혈 액 투석 환자, 다양한 알레르기 환자의 혈장 중 유비퀴논 함량은 정상인과 비교하여 감소되어 있다(Triolo, L., Nephron, 66153-156(1994)), (Folkers, K., BioFactors, 1303-306(1988)). 고지혈증 환자에서는, LDL 콜레스테롤 분획의 유비퀴논 함량이 감소되어 있다(Kontush, A., et al., Atherosclerosis, 129119-126(1997)). 또한, 현재 고콜레스테롤 혈장 치료제로서 범용되고 있는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제의 투여가, 유비퀴논의 생합성을 저해하여 조직에서의 유비퀴논 농도의 저하를 가져오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E. L. Appelkvist et al., Clinical Investigator, 71, S97-S102(1993)). 또한, 심한 운동이나 과로시 등 생체내에서 과산화물이 생성되기 쉬운 조건하에서도 조직내 농도의 감소가 추정되고 있다. 생체내 유비퀴논 함량의 저하는 그 특성상, ATP 생산력의 감퇴, 심기능의 감퇴,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의 감퇴, 생체막의 불안정화를 가져오므로, 건강상 바람직하지 않다.
부족한 유비퀴논을 보급하는 것은, 미토콘드리아에서의 에너지 생산 촉진 및 생체의 항산화능을 향상시켜 항상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유익하다. 사실, 유비퀴논 투여에 의해 심기능의 항진이 보고되어 있고(Kishi, T. et al., Clin. Investg., 71, S71-S75(1993)), 유비퀴논은 울혈성 심부전, 협심증, 심근 경색 등의 심질환의 개선 효과(Singh, R. B. et al., Inter. J. Cardiology, 68, 23-29(1999), Singh, R. B. et al., Cardiovasc. Ther., 12, 347-353(1998)), 동맥 경화ㆍ고혈압ㆍ당뇨병ㆍ암ㆍ치주병ㆍ알레르기의 예방ㆍ개선 효과(Singh, R. B. et al., Atherosclerosis, 148, 275-282(1999), Digiesi, V., et al., Curr. Therap. Res., 51, 668-672(1992), 기시 다쯔오 등, 구강 위생 학회지, 43, 667-672(1993), Shimura Y., et al., 임상과 연구, 58, 1349-1352(1981)), 생식능 향상 효과, LDL 콜레스테롤의 산화 억제, 신장 투석 환자에서의 투석 횟수의 감소 효과, 비특이적 면역능의 증강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Stocker, et al., Mol. Med., 18, S85-S103(1997), Lippa, S., Mol. Aspects Med., 15, S213-S219(1994)). 또한, 유비퀴논은 이미 울혈성 심부전 또는 가벼운 심질환에 의한 가슴 두근거림, 숨가쁨, 부종의 치료약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생체의 기능 유지에 필수 불가결하며 나이가 들거나 스트레스에 의해 감소하여 부족하기 쉬운 유비퀴논을 보급하는 방법으로서는, 정제, 캡슐제의 형태로 의약으로서, 또는 보충제(supplement)로서 보급하는 방법이 이미 실시되고 있지만, 부족한 정도가 가볍고 의료 대상이 되지 않는 건강인 또는 반건강인에 있어서, 정제나 캡슐로서 섭취하는 것보다 통상의 식품과 동일하게 섭취하는 것이 간편하다. 또한, 식품의 경우 다양한 풍미나 형태의 식품을 제조할 수 있고, 계속해서 이용하더라도 싫증나지 않는 장점이 많다.
유비퀴논은 육류, 어류, 곡물, 야채, 과일, 유제품, 알 등 통상의 많은 동식물 유래 식품에 널리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의 함량은 쇠고기 등에서 30 ㎍/g으로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낮다. 예를 들면 계란에서 1.5 ㎍/g, 소맥분빵에서 1.1 ㎍/g, 고구마에서 0.52 ㎍/g 정도밖에 없으며, 통상의 식사로 섭취할 수 있는 양은 1 일당 3 내지 5 mg 정도이다. 또한, 유비퀴논의 경구 섭취시의 흡수율은 낮고, 일반적인 식품을 통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으로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에 의해 감소하는 생체내 유비퀴논을 충분히 보충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경우,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품을 이용하면, 식품 성분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흡수율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고, 부족하기 쉬운 유비퀴논의 보급이 쉽게 가능해진다고 여겨지지만, 이제까지 유비퀴논이 근본적으로는 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식품으로서의 이용이 제한되어 있었던 경위도 있으며, 유비퀴논을 첨가한 식품의 예는 거의 없다. 드물게, 일본 특허 공개 (평) (3)-167293호 「지방 또는 지방 함유 제품의 산화 방지 방법」, 일본 특허 공개 2000-197445 「축육, 어육 및 이들의 가공품의 선도 유지제」, 일본 특허 공개 (평)10-45614 「혈액 응고를 저해하는 식사 요법 식품 및 의약」, 일본 특허 공표 2001-504343 「유비퀴논 함유 비알코올성 음료」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 (3)-167293호에는 유비퀴논, 아스코르브산 및 천연 유화제를 동시에 혼합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유지의 산화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보급용 식품으로서의 관점은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0-197445호에는 축육, 어육 및 이들의 가공품의 선도 유지제로서의 용도이며, 첨가량도 적고, 실질적으로 유비퀴논의 보급을 기대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10-45614에서는, 유비퀴논 함량이 높은 콘배아유를 이용하여 혈액 응고를 저해하는 식사 요법 식품이 개시되어 있지만, 유비퀴논 함량은 약 0.0007 내지 0.0008 중량%(이하%라 함) 정도로, 부족하기 쉬운 유비퀴논을 보급한다는 관점에서는 불충분하다. 또한, 이 경우, 원래 콘배아유가 함유하고 있는 유비퀴논을 이용하는 것으로, 유비퀴논을 강화시키는 개념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본 특허 공표 2001- 504343에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를 이용하여 유비퀴논을 가용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비이온 활성제의 사용은 용혈성, 점막 자극, 점막 결손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 식품에의 이용은 주저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생체에 필수 불가결하며 나이가 들거나 스트레스에 의해 감소하여 부족하기 쉬운 유비퀴논을 쉽게 보급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는, 유비퀴논이 충분히 강화되고, 흡수성이 개선되며, 또한 풍미가 우수한 식품을 생각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일상 생활에서 통상의 식품과 동일하게 유비퀴논을 섭취할 수 있는, 유비퀴논을 균일하게 분산하여 함유하는 식품과, 그의 용도, 그의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전보다 유비퀴논의 기능에 흥미를 가지고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품의 검토를 계속해 왔지만, 유비퀴논을 단순히 식품에 첨가한 경우, 식품중에서 유비퀴논이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되기 어렵고, 또한 한번 식품에 균일하게 용해된 경우에도 보존 중에 유비퀴논이 석출되거나, 식품 중에서의 국재화가 일어나 식품의 풍미 및 외관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아, 만족할 수 있는 식품은 얻기 어려웠다. 이것은 유비퀴논이 물에 불용인 것과, 상온에서의 유지류에 대한 용해도가 현저하게 낮은 것에서 기인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한 결과, 유비퀴논 및 유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유지의 용해도 이상으로 유비퀴논을 함유시키더라도 유비퀴논을 균일하고 안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유비퀴논 및 유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유비퀴논을 식품 중에 균일하게 용해ㆍ분산시킬 수 있고, 또한 식품 보존 중의 유비퀴논의 석출이나 국재화도 발생하지 않으며, 풍미, 식감, 외관이 양호한 것을 발견하고, 더욱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제1은, 유비퀴논 및 유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첨가하여 얻어지는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는,
(1) 유비퀴논을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상기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
(2) 유비퀴논을 유지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상기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
(3) 유지는, 융점이 20 ℃ 이상인 것인 상기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
(4) 유비퀴논 및 유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융점이 20 ℃ 이상인 유지에 유비퀴논을 가열 용해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고화 또는 가소화하거나, 또는 수중 유형 유화물 또는 유중 수형 유화물로 제조한 것인 상기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
(5) 유지는, 융점이 20 ℃ 미만인 것인 상기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
(6) 유비퀴논 및 유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융점이 20 ℃ 미만인 유지에 유비퀴논을 가열 용해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수중 유형 유화물로 제조한 것인 상기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
(7) 식품은 우유, 유제품류, 소스류, 빵류, 파이류, 케익류, 과자류, 루우류, 조미액류, 빙과류, 면류, 가공 식품, 쌀밥류, 잼류, 통조림류 및 음료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상기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
(8)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식용 가능성 색소를 더 함유하는 상기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 및
(9)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식용 가능성 색소는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 카테킨, 레시틴,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리그난 및 카로티노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상기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
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는, 유비퀴논을 함유하는 식용 유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는,
(1) 유비퀴논을 유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상기 식용 유지 조성물,
(2)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식용 가능성 색소를 더 함유하는 상기 식용 유지 조성물, 및
(3)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식용 가능성 색소는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 카테킨, 레시틴,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리그난 및 카로티노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상기 식용 유지 조성물
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은, 유비퀴논을 유지에 가열 용해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식품 원료에 첨가하는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는,
(1) 유지는 융점이 20 ℃ 이상인 것으로, 식품 원료에 첨가하는 혼합물은 유비퀴논을 상기 유지에 가열 용해시킨 후 고화 또는 가소화된 것이거나, 또는 수중 유형 유화물 또는 유중 수형 유화물로 제조된 것인 상기 제조 방법, 및
(2) 유지는 융점이 20 ℃ 미만인 것으로, 식품 원료에 첨가하는 혼합물은, 유비퀴논을 상기 유지에 가열 용해시킨 후 수중 유형 유화물로 제조된 것인 상기 제조 방법
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는, 유비퀴논을 유지에 가열 용해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식품 원료에 첨가하여 식품을 제조하는, 식품 중에서의 유비퀴논의 석출 및(또는) 국재화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는,
(1) 유지는 융점이 20 ℃ 이상인 것으로, 식품 원료에 첨가하는 혼합물은 유비퀴논을 상기 유지에 가열 용해시킨 후 고화 또는 가소화된 것이거나, 또는 수중 유형 유화물 또는 유중 수형 유화물로 제조된 것인 상기 석출 및(또는) 국재화 방지 방법, 및
(2) 유지는 융점이 20 ℃ 미만인 것으로, 식품 원료에 첨가하는 혼합물은 유 비퀴논을 상기 유지에 가열 용해시킨 후, 수중 유형 유화물로 제조된 것인 상기 석출 및(또는) 국재화 방지 방법
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는, 상기 식품을 섭취하는 유비퀴논의 보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술한다.
<발명의 상세한 개시>
본 발명은 유비퀴논 및 유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첨가하여 얻어지는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이다. 유비퀴논과 유지를 별도로 첨가하여 얻어지는 식품이나, 유비퀴논은 함유하지만 유지를 함유하지 않는 식품에서는, 유비퀴논을 식품 중에 균일하게 용해ㆍ분산시킬 수 없고, 식품 보존 중의 유비퀴논의 석출이나 국재화를 방지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의 식품은 유비퀴논을 식품 총 중량당,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 중량% 강화시킨 것이다. 유비퀴논의 함량이 총 식품 중량당 0.0001 중량% 미만이면, 나이가 들거나 스트레스에 의해 부족하기 쉬운 유비퀴논의 보충 목적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50 중량% 초과이면 실질적으로 유비퀴논을 식품 중에 용해ㆍ분산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유비퀴논을 유지 총 중량에 대하여,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함유하는 것이다. 유비퀴논의 함량이 유지 총 중량당 0.01 중량% 미만이면, 나이가 들거나 스트레스에 의해 부족하기 쉬운 유비퀴논의 보충 목적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50 중량% 초과이면 실질적으로 유비퀴논을 식품 중에 용해ㆍ분산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지는 융점 20 ℃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이다. 융점이 20 ℃ 미만인 경우에는, 보존 중에 고액 분리가 일어나 유비퀴논을 균일하게 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융점이 20 ℃ 미만인 유지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유비퀴논을 함유하는 유지 조성물을 수중 유형 유화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융점 20 ℃ 이상의 유지(즉, 20 ℃에서 고체인 유지)를 "고체 유지", 융점 20 ℃ 미만의 유지(즉, 20 ℃에서 액체인 유지)를 "액체 유지"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식품에서의 유지가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인 경우, 상기 혼합물의 융점이 20 ℃ 이상인 경우에는 고체 유지, 상기 혼합물의 융점이 20 ℃ 미만인 경우에는 액체 유지로 한다.
유지의 융점은 상승 융점을 의미한다. 상승 융점은 기준 유지 분석법((사)일본 유화 학회, 1996년도판)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ㆍ
본 발명의 식품 중의 유비퀴논 함량은, 식품을 그대로 또는 분쇄, 건조 등의 적절한 전처리를 행한 후, 식품의 건조 중량당, 예를 들면 약 10 배 용량의 적절한 유기 용매,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메탄올 (2/1: 용량비) 등을 이용하여 약 1 시간 정도의 교반 용해를 2 내지 3회 행한 후, 추출액의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얻어진 추출유를 헥산 또는 에탄올 등에 용해시킨 후, 제13 개정 일본 약방 해설서(히로까와 쇼뗀, 1996년)에 기재된 유비데카레논(유비퀴논의 별칭이며, 코엔자임 Q10으로서 알려짐)의 정량법을 참조하여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측정함으로써 정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의 종류로서는 그의 성분, 조성, 제조법, 형태, 용도 등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을 받는 경우는 없고,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유비퀴논이 소수성 용매에 양호하게 용해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유분 함량이 높은 식품인 것이 유비퀴논을 고함량으로 또한 식품 중에 균일하게 강화시키기 쉬워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식품으로서는, 식품용 유지류(식용 유지 조성물), 우유 또는 유제품류, 소스류, 빵류, 파이류, 케익류, 과자류, 루우류, 조미액류, 빙과류, 면류, 가공 식품, 쌀밥류, 잼류, 통조림류, 음료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말하는 "식품용 유지류"란, 트리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인지질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래, 동물 유래, 미생물 유래, 어패류 유래 등의 유지, 및 이들 유지를 경화, 분별, 에스테르 교환 또는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가공한 식용 정제 가공 유지, 마가린, 조제 마가린, 팻 스프레드 등의 마가린류, 버터류, 쇼트닝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지의 용도로서는 그대로 먹거나, 다른 식품의 가공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식재와 함께 먹는 형태 등을 들 수 있 다. 예를 들면 후라이용 조리유, 복음용 조리유, 샐러드용 조리유 등의 조리유류, 스프레이유류 등의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우유 또는 유제품류"란 우유, 특별 우유, 살균 산양유, 부분 탈지 분유, 가공유 등의 우유나, 크림, 휩 크림, 버터, 버터 오일, 치즈, 치즈 푸드 등의 치즈류, 농축 유장(whey), 아이스크림류, 농축유, 화이트너, 무당 연유, 가당 연유, 전분유, 크림 파우더, 유장 파우더, 단백질 농축 유장 파우더, 버터 밀크 파우더, 가당 분유, 제조 분유, 발효유, 유산균 음료, 유음료 등의 유제품이나 요구르트 등의 산유, 케피어나 코우미스 등의 알코올 발효유 등의 발효유류 등의 소위 우유 등 일본 위생성 법령에 정해진 "우유", "유제품", "우유 또는 유제품을 주원료로 하는 식품"은 물론, 합성 크림, 치즈형 식품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말하는 "소스류"로서는 화이트 소스, 크림 소스 등의 온제 소스나 마요네즈, 샐러드 드레싱 등의 냉제 소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말하는 "빵류"로서는 식빵, 롤빵, 과자빵, 조리빵, 찐빵, 도우넛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말하는 "파이류"로서는 애플 파이, 밤 파이, 호박 파이, 미트 파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말하는 "케익류"란 쇼트 케익, 롤 케익 등의 스폰지 케익류나 파운드 케익, 후루츠 케익 등의 버터 케익류나, 슈크림, 에클레아 등의 슈우 과자류나 사바란 등의 발효 과자류나 레어(rare) 치즈 케익 등의 크림 젤리 케익류나 푸딩, 블라만제(blancmange) 등의 디저트 과자류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과자류"란, 일본식 과자류, 스낵 과자류, 초콜렛 및 초콜렛 과자류, 유과자류, 검류, 캔디류를 포함하고, 더욱 구체적으로 일본식 과자류로서 떡, 모란병 등의 떡류나, 호빵, 찐양갱, 시루떡 등의 찜 요리, 도라야끼, 긴쯔바, 팥빵, 월병, 카스테라 등의 구이 요리나, 양갱 등의 유동물(cast confection)이나, 네리끼리, 규히 등의 반죽류 등의 생과자류나, 돌의 등의 앙꼬나, 모나까 등의 과자류, 자쯔우 등의 구이 요리 등의 반생과자류나, 라꾸강 등의 반죽물이나, 설탕 과자 등의 건과자류 등을 들 수 있고, 스낵 과자류로서는 쿠키, 비스켓, 크래커, 포테이토칩, 콘칩, 프렛즐(pretzel), 너츠, 팝콘, 시리얼, 튀김 과자, 짭짤한 과자, 전병 등의 미과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유과자류로서는 막과자 등을 들 수 있고, 검류로서는 판검, 풍선검, 당의검, 무설탕검 등을 들 수 있으며, 캔디류로서는 드롭, 브리틀 등의 하드 캔디, 캬라멜, 누가 등의 소프트 캔디, 콘페이토, 젤리 빈 등의 설탕을 바른 캔디, 레몬 소다 과자 등의 청량 과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루우류"로서는 루우 블란(백색 루우), 루우 블론(크림색 루우), 루우 블란(갈색 루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조미액류"란 식품의 조리ㆍ가공시 풍미, 보존성, 가공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는 액체 전반을 가리키며, 구체적으로는 깨소금을 넣은 조미국물, 뱀장어 조미국물, 불고기 조미국물 등의 조미국물류나 피클액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빙과류"로서는 아이스크림, 샤벳, 소르베, 아이스 캔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면류"란 곡분을 물 등과 빚은 반죽을 성형한 것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소맥분을 주원료로 한 우동, 소면, 냉소면, 중화면 등이나, 파스타 전용분을 이용한 스파게티나 마카로니 등의 파스타, 메밀분을 이용한 면, 미분을 이용한 중국 쌀면, 전분을 이용한 녹두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공 식품"으로서는 햄, 소시지, 베이컨 등의 가공 육 제품류, 생선묵, 꼬치 등의 수산 가공 제품류, 크로켓, 돈까스, 후라이드 포테이토, 새우 후라이 등의 후라이 식품류, 냉동 앙트레류, 축산 냉동 식품, 농산 냉동 식품 등의 냉동 식품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미반류"로서는 소위 밥을 비롯하여 타끼꼬미 고한(고기, 생선, 야채를 섞은 밥), 볶음밥, 초밥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잼류"란 귤, 딸기, 사과, 포도, 키위, 무화과 나무 등의 과일, 호박 등의 야채, 장미의 꽃잎 등을 원료로 하여 당류와 함께 적절한 농도까지 바짝 조린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조림류"로서는 고기, 어육, 과일, 야채나 이들 가공품 등을 캔이나 병에 채운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음료류"로서는 두유, 코코넛 밀크, 밀크 커피, 카페오레 등의 커피계 음료, 밀크 티, 차이 등의 홍차계 음료, 크림 소다, 콜라 음료 등의 탄산 음료, 레몬 과즙이 들어간 미네랄 워터 등의 향이 첨가된 물, 스포츠 음료, 각종 야채나 과일을 원재료로 한 야채 쥬스, 과즙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예시한 유지 함유 식품 외에, 이 유지 함유 식품을 그대로 또는 도포, 토핑, 삽입, 물엿을 씌우는 것, 이겨 넣는 것 등을 포함하여 다차 가공한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유비퀴논과 함께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식용 가능성 색소가 첨가될 수도 있다.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식용 가능성 색소의 첨가는 식품 중에서의 유비퀴논의 열 안정성이나 빛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식품의 풍미 유지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의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식용 가능성 색소의 예로서는,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 카테킨, 레시틴,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리그난; 아스타크산틴, 리코핀 등의 카로티노이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카테킨, 레시틴, 토코페롤이다. 시판되는 항산화제 및(또는) 식용 가능성 색소 제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식용 가능성 색소의 첨가는, 식품 총 중량당 0.001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고, 0.005 내지 1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0.001 중량% 미만에서는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식용 가능성 색소의 첨가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식품의 풍미나 색조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식품에 유비퀴논과 함께 이들 항산화성 물질 또는 식용 가능성 색소를 첨가하는 경우, 그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받지 않고, 유비퀴논 및 유지를 함유하는 식재와 함께 혼합 교반하여 용해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항산화성 물질 또는 식용 가능성 색소를 미리 유지 조성물에 첨가ㆍ교반함으로써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시킨 후, 그대로 또는 식품에 첨가함으로써 강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품을 섭취하는 것에 의한 유비퀴논을 보급하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품을 통상의 식품과 동일하게 섭취할 수 있고, 1일당, 바람직하게는 유비퀴논을 0.1 내지 5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 mg 정도 섭취할 수 있는 양의 식품을 섭취하는 외에, 그 섭취의 방법, 용량, 섭취의 빈도에 의해 특별히 제한을 받는 경우는 없다. 0.1 mg 미만이면 기대하는 효과가 약한 경우가 있고, 500 mg를 초과하여 섭취하면 효과의 면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경제적이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인간에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종래의 의약품이나 보충제 등에 의한 방법과 비교하여, 간편하며 섭취의 지속이 용이하고, 섭취량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개개인의 미각 등에 관한 기호에 대응할 수 있는 것 등이 우수하다. 또한, 유비퀴논은 단독으로 섭취하는 것보다 식품 성분, 특히 유지 성분과 동시에 섭취함으로써 흡수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그 점에서도 우수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식품의 제조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그의 제조법에 의해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고, 식품의 제조 공정에서 필요량의 유비퀴논과 유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첨가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는, 식품의 제조 과정에서 유지와 함께 유 비퀴논을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쉽게 유비퀴논을 고함량으로 균일하게 함유하는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지와 함께 첨가함으로써, 보존 중에 때때로 확인되는 유비퀴논의 석출이나 국재화를 피하는 것이 가능하고, 풍미ㆍ식감, 외관상 바람직한 식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비퀴논을 유지류에 가열 용해시킨 후, 냉각하여 균일화한 유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식품을 제조함으로써, 유비퀴논의 국재화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유분을 포함하는 식재로서는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유분 함량이 1 % 이상인 식재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식재의 예로서는, 식용 유지, 버터, 마가린, 팻 스프레드, 쇼트닝, 치즈, 치즈 푸드, 치즈형 식품, 초콜렛 및 초콜렛 함유 식재, 어육, 수육 등의 육류 및 그의 가공품, 계란 및 액란 등의 알가공품, 대두, 콘, 낙화생 등의 콩류 및 그의 가공품, 참깨, 밀, 쌀 등의 곡류 등을 분말화 또는 가공한 식재, 예를 들면 소맥분, 대맥루, 호밀 가루, 미분, 메밀 가루, 프리믹스 가루, 소맥 배아, 두유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식용 유지의 예로서는, 일반적으로 통상 식용에 사용되는 동식물 유지라면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고, 예를 들면 채종유, 대두유, 해바라기 종자유, 면실유, 낙화생유, 쌀겨유, 콘유, 홍화유, 올리브유, 카폭유, 참기름, 달맞이꽃유, 팜유, 시아버터, 살버터, 카카오버터, 야자유, 팜핵유 등의 식물성 유지 및 유지, 우지, 돈지, 어유, 경유 등의 동물성 유지, 이들을 수소 첨가나 에스테르 교환 등에 의해 가공한 식용 유지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중쇄 지방산 트리 글리세리드(MCT): 예를 들면, 6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리드, 지방산의 부분 글리세리드(모노글리세라이드나 디글리세리드): 예를 들면 6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모노글리세라이드나 디글리세리드 등도 상기 유지에 포함된다. 이들 식용 유지는 미정제유이든 정제유이든 특별히 제한은 받지 않지만, 일반적인 식용 유지와 동등하게 조리 또는 후라이용에도 사용 가능한 유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170 ℃ 이상의 발연점을 갖는 식용 유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유비퀴논과 유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이들이 완전히 용해하고 있는 것은 필수가 아니지만,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식품의 풍미, 혀의 촉감, 외관 및 보다 높은 흡수성을 얻기 위해서는, 유비퀴논이 유지에 완전히 용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비퀴논을 식용 유지 중에 용해시키는 경우, 식용 유지를 그의 융점 이상으로 가온하면서 유비퀴논을 불균일해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첨가ㆍ교반하여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지에의 용해도 이상으로 유비퀴논을 강화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고체 유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열 용해시킨 후에 냉각 조작에 의해서 고화 또는 혼화에 의한 가소화, 또는 수중 유형 유화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는 고체 유지 및 유비퀴논의 융점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이다. 냉각 조작은 균일성을 높이기 때문에, 급냉 조건하에 20 ℃ 이하로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화 및 가소화한 유지 조성물은 무수물일 수도 있고, 유중 수형 유화물일 수도 있다. 어느 것도, 연속상인 고체 유지 중 에 유비퀴논을 편중없이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상 사용되는 유화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한편, 유지에의 용해도 이상으로 유비퀴논을 강화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액체 유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열 용해시킨 후에 냉각 조작에 의해서 수중 유형 유화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는 유비퀴논의 융점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이고, 냉각 조작에 의해서 빠르게 10 ℃ 이하로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중 유형 유화물로 함으로써, 연속상인 수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오일 방울 중에 유비퀴논을 편중없이 함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중 유형 유화물에 통상 사용되는 유화제나 증점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수중 유형 유화물이 아니라 액체 유지 단독의 유지 조성물인 경우, 냉각 직후 유비퀴논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지만, 시간의 경과와 함께 고액 분리가 진행되어 유비퀴논의 편중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식용 유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비퀴논이 강화된 식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식품의 제조 과정의 유지를 첨가하는 공정에서, 상기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용 유지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다. 특히, 빵, 구운 과자 등의 소맥분 이용 식품의 제조에 있어서는 반죽해 넣는 특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고체 유지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가소성 유지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을 수상측에 첨가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액체 유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식품은 유비퀴논 및 상기 항산화성 물질 및(또는) 식용 가능성 색 소 이외에, 유비퀴논의 용해성, 안정성, 흡수성 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식품에 첨가되는 첨가물을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타민 A, 비타민 D 등의 비타민류, 식염 등의 무기염, 당 등의 감미료, 유단백질 등의 식용 단백질, CMC 등의 증점제, 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등의 항산화제, 소르브산 및 그의 칼륨염, 벤조산 및 그의 나트륨, 칼륨염 등의 보존료, 과실, 초콜렛 등의 첨가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제조에 사용하는 유비퀴논은 합성법 또는 발효법 등, 어떠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체상이든 용액상이든 결정상이든 비정질형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충제로서 판매되고 있는 유비퀴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식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비퀴논은 그의 순도에 의해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지만, 순도 0.01 % 이상이 바람직하고, 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또한, 정제품 외에 조정제품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제 유비퀴논은 고가의 물질이라, 이들을 강화시킨 식품은 고가일 수 밖에 없지만, 조정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저가의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식품은 원래 다양한 물질의 혼합계이고, 강화시키는 유비퀴논이 안전하다면 정제품일 필요는 없다. 조정제품의 예로서는 결정화, 용매 추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부분 정제된 제품을 들 수 있다. 또는, 조정제품의 일례로서, 유비퀴논을 함유하는 미생물 균체에 포함되는 유비퀴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비퀴논을 함유하는 미생물의 예로서는 효모, 실상균, 세균, 해초 류 원생 동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비퀴논은 동식물을 비롯하여 많은 식품 중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로, 안전성은 확인되어 있다. 조정제품 또는 유비퀴논을 함유하는 균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살균 등을 행하여 안전 위생상 식품으로서 유해한 물질이 혼입되지 않는 방법을 강구하거나, 균체를 파쇄시키는 등 흡수성 향상 방법을 강구할 수도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식품의 제조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품용 유지류는, 식용 유지로서 일반적으로 조리유로서 사용되고 있는 유지, 예를 들면 채종유, 대두유, 해바라기 종자유, 면실유, 낙화생유, 쌀겨유, 콘유, 홍화유, 올리브유, 카폭유, 참기름, 달맞이꽃유, 팜유, 시아버터, 살버터, 카카오버터, 야자유, 팜핵유 등의 식물성 유지, 및 유지(乳脂), 우지, 돈지, 어유, 경유 등의 동물성 유지, 이들을 수소 첨가나 에스테르 교환 등에 의해 가공한 유지,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MCT): 예를 들면 6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산의 부분 글리세라이드(모노글리세라이드나 디글리세라이드): 예를 들면 6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모노글리세라이드나 디글리세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그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가온 용해시키고, 교반하면서 목적량의 유비퀴논을 불균일해지지 않도록 천천히 첨가 용해시킨 후, 냉각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유는 상기 조리유 제조에 사용하는 유지와 동일한 식용 유지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스프레이유에 풍미를 부여하기 위해 유용성 향료, 유용성 비타민, 시즈닝 오일, 보존료 및 기타 식재, 예를 들면 소금, 축육, 닭고기, 물고기, 크림, 버터, 치킨, 양파, 마늘, 바질 등을 통상의 믹서로 혼합 또는 용해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스프레이유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버터의 제조는 우유로부터 통상법에 의해 제조된 크림분을 통상법에 의해 처닝(churning)하면서 목적량의 유비퀴논 분말, 또는 식용 유지에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시킨 유비퀴논을 서서히 첨가 교반한 후, 얻어진 버터 입자를 냉수로 세정한 후, 식염을 2.5 % 정도 첨가하고 다시 반죽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마가린류나 쇼트닝류는 일반적인 마가린류, 쇼트닝류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유지와 유비퀴논을 함께 혼합ㆍ용해ㆍ교반하고, 필요에 따라 유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인 식용 유지와 유비퀴논을 용해한 식용 유지 및 물, 유화제,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여 유화 탱크에서 60 ℃로 유화한 후, 15 ℃까지 급냉 반죽 혼합함으로써 마가린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통상적인 식용 유지와 동시에 미분말화한 정제 유비퀴논, 또는 조정제의 유비퀴논을 첨가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마가린을 얻을 수도 있다. 한편, 예를 들면 통상적인 식용 유지에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유지를 첨가하고, 60 ℃에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약 20 분간 유화한 후, 15 ℃로 급냉 반죽 혼합함으로 써 쇼트닝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 크림의 제조는 목적량의 상기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와 유채씨 경화유, 야자 경화유 등의 고융점 유지, 유화제를 70 ℃ 정도에서 교반하여 가온 용해한 유상부를, 탈지유, 용해염, 유화제 등을 첨가하여 70 ℃ 정도로 가온 유화한 수상부에 첨가하고, 65 ℃ 정도로 유지하면서 예비 유화하여 이 혼합물을 균질기에 통과시켜 가압 균질화하고, 살균 처리한 후 압력으로 균질화한 후, 5 ℃ 정도까지 냉각한 후, 5 ℃에서 24 시간 정도 숙성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축유의 제조는 목적량의 상기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와, 무지방유 고형 성분, 정미성 무지방유 성분, 증점제, 유화제를 물에 용해한 수상부를 합쳐서 균질기로 유화시킨 후, 멸균 처리하여 균질화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이트너류의 제조는 목적량의 상기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와 유화제를 혼합, 유화한 유상부와, 탈지 분유, 용해염, 증점제, 유화제, 감미제, 비타민류, 항산화제 등을 첨가하여 용해한 수상부를 교반하여 예비 유화한 후, 가압하에서 균질화함으로써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샐러드 드레싱의 제조는, 첨가하는 유지로서 목적량의 상기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사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요네즈의 경우, 식초, 식염, 설탕, 조미료, 물의 적당량을 혼합기 등으로 교반 혼합하여 얻어지는 수상부에, 상기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와 난황 등 의 유화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유상부를 조금씩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예비 유화한 후, 콜로이드 밀 등을 이용하여 마무리 유화를 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드레싱에 사용되는 식용 유지, 및 다른 성분과 함께 고체상의 유비퀴논을 첨가하여 교반 유화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클액의 제조는, 첨가하는 유지로서 상기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사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피클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식용 유지, 및 다른 성분과 함께 고체상의 유비퀴논을 첨가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60 ℃까지 가온ㆍ교반한 유화제를 용해시킨 수상부에, 상기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와 유화 안정제를 60 ℃에서 가온 교반하여 제조한 유상부를 서서히 첨가하여 조유화한 후, 유화액의 온도를 50 ℃ 이하로 낮추고 나서 압력식 균질기 등의 균질기로 미세 유화한다. 그 후, 플레이트 쿨러 등의 열교환기로 급속 냉각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콜렛의 제조는 과자용 초콜렛과 목적량의 고체 또는 상기 식용 유지에 용해된 유비퀴논을 혼합한 후, 중탕으로 천천히 40 내지 50 ℃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한 후, 30 내지 32 ℃까지 냉각하고 형틀에 유동시켜 고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빵류, 케익류, 파이류의 제조는 그 제조 방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일반적인 빵류, 케익류, 파이류의 제조에 있어서 유지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목적량의 상기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상기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마가린, 쇼트닝을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일반적인 유지와 동시에, 또는 오일 성분을 함유하는 식재와 함께, 고체상 또는 균체에 포함되는 유비퀴논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빵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빵의 총 중량당, 유지로서 1 내지 40 %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1 % 미만 및 40 % 초과에서는 빵으로서의 풍미, 식감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루우류의 제조는 일반적인 루우의 제조에 있어서, 유지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목적량의 상기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상기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마가린류, 쇼트닝류를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일반적인 유지와 동시에, 또는 오일 성분이 풍부한 식재와 함께, 고체상 또는 균체에 포함되는 유비퀴논을 첨가하고, 다른 식재, 첨가제를 사용하여 이들을 혼합한 형태로 가열 처리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가열 처리 방법으로서는 포화 수증기에 의한 처리, 가압 가열 처리, 로우스트(roast) 처리, 오일을 이용한 로우스트 처리를 포함하는 상압에 의한 가열 처리 등, 어느 방법으로든 행할 수 있지만, 오일을 이용한 로우스트 처리가 간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루우에 색조를 주지 않을 때에는 110 ℃ 내지 120 ℃에서 단시간, 크림색으로 착색시키는 경우에는 최종 온도 140 내지 150 ℃를 목표로, 갈색 루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최종 온도가 190 ℃가 되도록 충분히 볶음으로써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면류의 제조는 일반적 면류의 제조에 있어서, 유지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목적량의 상기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일부 또는 전량 치 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상기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마가린류, 쇼트닝류를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일반적인 유지와 동시에, 또는 오일 성분을 함유하는 식재와 함께, 고체상 또는 균체에 포함되는 유비퀴논을 첨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선 본 발명의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가열, 용해하여 유상부를 제조하고, 별도로 물, 당류 등을 첨가하여 가열하여 제조한 수상부를 혼합한 후, 호모 믹서 등의 혼합기로 유화하고, 다시 교반ㆍ혼합하면서 냉각하여 유화시켜 얻어지는 유화액을 소맥분류와 혼합한 후, 반죽을 재우고, 롤 압연 후 이를 끊어 생면을 얻고, 그것을 건조 또는 데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후라이 식품류의 제조는, 본 발명의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 또는 본 발명의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조리유, 또는 본 발명의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쇼트닝류를 고온, 예를 들면 150 ℃ 내지 220 ℃에서 크로켓, 새우, 돈까스 등의 식재를 후라이함으로써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즈 푸드 및 치즈형 식품의 제조는, 본 발명의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일반적인 치즈 푸드 및 치즈형 식품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상적인 제조 방법에서 유지를 첨가하는 시기에 본 발명의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단독으로, 또는 다른 일반적인 유지와 배합하여 첨가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자연 치즈, 또는 가공 치즈와 본 발명의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용 유지 조성물과 식염, 용해염, 물의 소정량을 스테판 쿠커 등의 용기에 투입하고, 증기를 투입하면서 가온 혼합 반죽한 후 냉각함으로써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치즈 푸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치즈 가공 식품의 경우,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51 % 미만의 자연 치즈 또는 가공 치즈 및 본 발명의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 식염, 폴리인산 나트륨 등의 용해염, 및 물의 소정량을 스테판 쿠커 등의 용기에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직접 증기를 투입하여 가온, 용융, 혼합 반죽한 후, 용기에 넣어 냉각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모조 치즈의 경우, 용기에 물, 용해염, 식염을 가온 용해한 후, 렌네트 카제인, 탈지 분유 등의 탈지 단백질, 쌀 전분, 옥수수 전분, 아라비아 고무, 카라기난 등의 증점제를 첨가하여 가열 교반하고, 산미제 등과 물을 더 첨가하여 가열 교반한 후, 본 발명의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용 유지 조성물을 첨가하여 더욱 가열 교반하고, 치즈향, 착색료, 항산화제 등을 첨가하여 혼련하고, 마지막으로 고압 균질기로 균질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의 제조는 본 발명의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균일하게 분산, 유화 또는 용해시킨 후, 음료 원료에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음료 원료로서는 우유, 특별 우유, 살균 산양유, 가공유, 발효유, 커피 음료, 홍차 음료, 과즙 음료, 탄산 음료, 과실 음료, 유성(乳性) 음료, 야채 쥬스, 두유, 코코넛 밀크, 크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에 있어서, 본 발명의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사용하는 경우, 이 유지를 W/O형 유화물로 한 후, 그대로 또는 음료 원료에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에, 유화제, 유화 안정제, 친수성 산화 방지제를 첨가하여, 교반에 의해 수중에 분산시킨 후, 가온 용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한 식용 유지 중에 유화제와 친유성 항산화제를 첨가하여, 교반에 의해 오일 중에 분산시킨 후, 가온 용해한다. 유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교반이나 압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유화하는 방법이나, 막의 미세한 공극으로부터 수상 중에 유상을 압출 유화하는 막 유화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어떠한 방법으로든 충분한 성능을 갖는 유화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유화물은 그대로 유화물 함유 음료에 사용할 수도 있지만, 유화물 상태로 장기간 보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살균을 행할 수도 있다. 살균에 요하는 온도, 유지 시간 등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pH가 중성인 경우에는 120 내지 140 ℃에서 4 내지 30 초의 UHT 살균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균된 유화물은 무균 용기에 무균적으로 충전하여 냉장 상태로 보존된다. 음료 원료에의 유화물의 혼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화물 함유 음료 중에 1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 함유된다. 1 % 미만에서는 균일계의 유지가 어렵고, 80 %를 초과하면 풍미나 비용면에서 현실적이지 못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유화물 함유 음료는 필요에 따라 pH를 조절하여 항균제, 감미료를 첨가한 후, 캔, 병, 파우치 등의 가열 살균이 가능한 용기에 충전, 밀봉한 후, 120 내지 126 ℃에서 15 내지 60 분의 레토르트 살균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식품에 있어서도 그의 제조 방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일반적인 제조에 있어서 유지를 첨가하는 과정에서 목적량의 상기 유비퀴논을 용해ㆍ분산시킨 식용 유지를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상기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마가린류, 쇼트닝류를 일부 또는 전량 치환하여 첨가함으로써, 또는 일반적인 유지와 동시에 고체상 또는 균체에 포함되는 유비퀴논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부", "%"는 모두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조리유의 제조(1)
5 L 부피의 비이커 내에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덴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융점은 0 ℃ 이하) 999 g을 넣고 실온에서 천천히 교반하면서 유비퀴논(가네까후찌 가가꾸 고교(주) 제조, 순도 99.2 %) 1 g을 불균일해지지 않도록 조금씩 첨가하고, 이어서 천천히 교반ㆍ용해함으로써 유비퀴논을 약 0.1 % 강화시킨 조리유를 얻었다. 얻어진 오일은 투명한 오렌지색 오일로, 풍미도 양호하여 후라이유, 볶음유로서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2)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조리유의 보존성
실시예 1의 1 %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대두유를 투명 유리병 2개에 나누어 넣고, 한쪽에는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및 d-α-토코페롤 합제(상품명: 리껭 EC-100, 리껭 비타민(주) 제조) 0.1 %, 및 아스타크산틴(상품명: Astax-S, 이타노 식껭(주) 제조) 0.1 %를 첨가하고, 다른 쪽에는 대조로서 무첨가하였다. 실온하에 밝은 곳에서 4 주간 방치하여, 1 주간마다 잔존하는 유비퀴논량을 측정하였다. 유비퀴논의 측정은, 각각의 유지를 헥산으로 100 배 희석한 후, 그의 10 ㎕를 제13 개정일본 약방 해설서(히로까와 쇼뗀, 1996년)에 기재된 유비데카레논(유비퀴논의 별칭)의 정량법에 따라서, 컬럼으로서 YMC-PacK R&D ODS를 이용하여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하였다. 결과, 대조 조리유 중의 유비퀴논 양이 30일 후에는 약 60 %까지 감소한 데 대하여,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및 D-α-토코페롤 합제 및 아스타크산틴을 첨가한 조리유 중의 유비퀴논은 75 % 이상 잔존하여, 항산화 물질 및 식용 가능성 색소의 첨가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3) 마가린의 제조
5 L 부피의 비이커 내에 경화 면실유 조성물(상품명: 스노라이트, 가네까후찌 가가꾸 고교(주) 제조, 융점 32 ℃) 99 %와 유비퀴논 (가네까후찌 가가꾸 고교(주) 제조, 순도 99.2 %) 1 %를 60 내지 65 ℃에서 가온하면서 천천히 교반 용해하여 얻은 유지 조성물 83.5 부 및 물 16.5 부를 60 내지 65 ℃로 유화 탱크에서 15 분간 교반 유화한 후, 15 ℃로 급냉 혼합 반죽하여 풍미적으로도 물성적으로도 문제가 없는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마가린을 얻었다. 또한, 10 ℃로 급냉 혼합 반죽 후 레스트 튜브를 통과시켜 시트 성형기로 접어 넣는 마가린을 얻었다. 어떤 마가린도 외관 및 내층에 있어서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뷸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4) 팻 스프레드의 제조
수상 성분으로서 젤라틴 2 부, 식염 1.5 부, 물 44 부를 60 ℃로 가온하였다. 유상 성분으로서 60 ℃로 가온한 대두 경화유(융점 40 ℃) 25 부,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덴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융점은 0 ℃ 이하) 15 부, 유 비퀴논 0.5 부, 모노스테아레이트 0.3 부, 레시틴 0.2 부, 비타민 A 0.02 부, β-카로틴 0.002 부, 토코페롤 0.3 부를 혼합하여 60 ℃로 가온한 후, 교반하면서 수상 성분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물을 얻었다. 또한, 이 유화물을 콤비네이터로 급속하게 냉각한 후,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팻 스프레드를 얻었다. 이 팻 스프레드는 통상의 팻 스프레드와 비교하여 유비퀴논에서 유래하는 착색 이외에 성상, 안정성 모두 큰 차이가 없고, 입맛도 매끄러우며 풍미도 양호하고, 외관 및 내층에 있어서도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5) 쇼트닝의 제조
경화 대두유(융점 40 ℃) 60 부, 유채씨유(융점은 0 ℃ 이하) 40 부, 유비퀴논 제조의 중간 정제물(유비퀴논 순도 80 %) 5 부, 레시틴 0.3 부, 모노스테아레이트 0.3 부, 항산화제로서 비타민 E 5 ppm을 첨가하여 60 ℃에서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15 분간 유화한 후, 15 ℃로 급냉 반죽 혼합하여 풍미적으로 문제가 없는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쇼트닝을 얻었다. 이 쇼트닝은 외관 및 내층에 있어서도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6) 식빵의 제조
소맥분 70 부에 이스트 2 부, 이스트 푸드 0.1 부, 이어서 물 40 부를 첨가하고 믹서로 혼합하여 중종(中種) 반죽을 만들고(반죽 온도 24 ℃), 4 시간 예비 발효시킨 후, 소맥분 30 부, 설탕 5 부, 실시예 3에서 얻은 유비퀴논을 강화한 마가린 6 부, 식염 2 부, 탈지 분유 3 부, 물 23 부를 첨가하여 반죽물을 제조한 후, 플로어 타임(fermentation time) 25 분 후 분할하고, 벤치 타임 25 분 후 성형하여 제빵 건조기 38 ℃ㆍ50 분, 소성 180 ℃ㆍ35 분으로 식빵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식빵은 풍미, 색조 모두 양호하였다. 또한, 빵의 외관 및 내층에 있어서도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1) 식빵의 제조
소맥분 70 부에 이스트 2 부, 이스트 푸드 0.1 부, 유비퀴논 (가네까후찌 가가꾸 고교(주) 제조, 순도 99.2 %) 0.5 부, 이어서 물 40 부를 첨가하고 믹서로 혼합하여 중종 반죽을 만들고(반죽 온도 24 ℃), 4 시간 예비 발효시킨 후, 소맥분 30 부, 설탕 5 부, 시판되는 마가린(가네까후찌 가가꾸 고교(주) 제조, 네오마가린) 6 부, 식염 2 부, 탈지 분유 3 부, 물 23 부를 첨가하여 반죽물을 제조한 후, 플로어 타임 25 분 후 분할하고, 벤치 타임 25 분 후 성형하여 제빵 건조기 38 ℃ㆍ50 분, 소성 180 ℃ㆍ35 분으로 식빵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식빵의 내층은 곳곳에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황색의 색 불균일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7) 식탁 롤빵의 제조
강력분 70 부, 상백당 2 부, 이스트 2.5 부, 이스트 푸드 0.1 부, 물 40 부를 혼합하고, 4 분간 반죽 온도 24.5 ℃로 반죽한 후, 30 ℃하에서 3 시간 발효시켜 중종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강력분 20 부, 박력분 10 부, 상백당 10 부, 식염 1.6 부, 탈지 분유 3 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유비퀴논을 강화한 마가린 15 부를 첨가하고, 전란 12 부, 물 6 부를 첨가하여 6 분 28 ℃가 되도록 반죽한 후, 실온에서 플로어 타임 40 분으로 발효하여 분할하고, 벤치 타임 10 분 후 성형하여 제빵 건조기 38 ℃ㆍ50 분, 소성 245 ℃ㆍ11 분으로 식탁 롤빵을 제조하였다. 얻어 진 식탁 롤빵은 풍미, 색조 모두 양호하였다. 또한, 빵의 외관 및 내층에 있어서도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제조한 롤빵 1개를 커피 밀로 분쇄한 후, 10 배량의 n-헥산으로 2회 추출하고, 추출액을 N0.2 여지로 여과한 후, 40 ℃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오일 성분을 n-헥산으로 희석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비퀴논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1개 34 g 당 유비퀴논 15.3 mg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8) 초콜렛의 제조
카카오버터(융점 35 ℃) 22.5 %, 유비퀴논 (가네까후찌 가가꾸 고교(주) 제조, 순도 99.2 %) 0.2 %, 당 분말 52.0 %, 카카오 매스 15.0 %, 전지 분유 14.0 %, 레시틴 0.3 %를 이용하여, 통상 실시되는 제조 방법에 의해 믹싱, 롤링, 콘칭, 템퍼링을 행하여 몰드 초콜렛을 얻었다. 퇴적(deposit)시의 점성 및 이형성에 문제없이 초콜렛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초콜렛의 외관 및 내층에 있어서도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9) 파운드 케익의 제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유비퀴논을 강화한 마가린 405 g과 상백당 405 g을 투입 비중 0.65까지 휩핑하고, 전란 405 g을 5회로 나누어 첨가 혼합하였다. 그 위에 체로 거른 박력분 450 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파운드형으로 반죽을 500 g 넣고, 240 ℃에서 33 분간 소성하여 파운드 케익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파운드 케익의 맛, 식감은 양호하였다. 또한, 케익의 외관 및 내층에 있어서도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0) 쿠키의 제조
박력분 600 g, 상백당 250 g,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유비퀴논을 강화한 마가린 240 g, 가당 연유 30 g, 식염 3 g을 적당히 부드러워질 때까지 교반 유화한 후, 탄산 암모늄 4 g을 물 30 g에 풀어 첨가하고 중속으로 서서히 유화하며, 이어서 체에 거른 박력분 600 g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반죽을 정돈하여 하룻밤 재운 후, 시터로 5 mm 두께로 연장시켜 직경 4 cm의 국화형으로 뽑아 상부판에 나란히 하고, 220 ℃에서 10 분간 소성하여 쿠키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쿠키의 맛, 식감은 모두 양호하였다. 또한, 쿠키의 외관 및 내층에 있어서도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얻어진 쿠키 중의 유비퀴논 함량을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결과, 쿠키 1개(7.6 g)당, 유비퀴논을 0.45 mg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휩 크림의 제조
융점 34 ℃의 유채씨 경화유 70 부와 융점 32 ℃의 야자 경화유 30 부로 이루어지는 혼합 유지에 유화제로서 합성 디글리세롤스테아레이트 0.8 부, 대두 레시틴 0.6 부, 유비퀴논(가네까후찌 가가꾸 고교(주) 제조, 순도 99.2 %) 0.5 부를 오일 온도 70 ℃에서 첨가 용해하여 유지 조성물을 얻었다. 별도로 탈지유 54.9 부에 헥사메탈린산 나트륨 0.1 부를 첨가하여 55 ℃까지 교반하면서 가온하였다. 이 탈지유 중에 상기 유화제 첨가 유지 조성물 45 부를 첨가하여 교반 용해하고, 65 ℃로 유지하면서 예비 유화하고, 이 혼합물을 균질기에 통과시켜 1회째 80 kg/cm2, 2회째 20 kg/cm2의 압력으로 균질화한 후, 95 ℃에서 15 초간 살균 처리하고 플레이트식 냉각기를 이용하여 5 ℃까지 더 냉각한 후, 5 ℃의 항온기 중에서 24 시간 숙성시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기포성 합성 크림을 얻을 수 있었다. 얻어진 크림은 풍미에 문제가 없고,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얻어진 기포성 합성 크림을 미리 준비한 스폰지 케익에 도포하여 데코레이션 케익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농축유의 제조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덴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융점은 O ℃ 이하) 10 부에 레시틴 0.1 부, 유비퀴논 0.5 부를 첨가하고 65 ℃에서 용해하여 유상부로 하였다. 한편, 탈지 분유 25 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0.1 부,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1 부를 60 ℃의 물 64.2 부에 용해하여 수상부로 하였다.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를 합쳐 균질기로 유화시켰다. 그 후, 145 ℃에서 4 초간 멸균 처리한 후, 균질화 압력 200 kg/cm2로 처리한 후 냉각하여 용기에 충전하고, 기름의 좋은 맛, 깊은 맛을 유지한 풍미가 좋은 유비퀴논을 함유하는 가공용 농축유를 얻었다. 이 농축유은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3) 우유빵의 제조
소맥분 70 부에 이스트 2 부, 이스트 푸드 0.1 부, 이어서 물 40 부를 첨가하고 믹서로 혼합하여 중종 반죽을 만들고(반죽 온도 24 ℃), 4 시간 예비 발효시 킨 후, 소맥분 30 부, 설탕 5 부, 시판되는 마가린(가네까후찌 가가꾸 고교(주) 제조, 네오마가린) 6 부, 식염 2 부, 탈지 분유 3 부, 실시예 12의 농축유 8 부, 물 15 부를 첨가하여 반죽물을 제조한 후, 플로어 타임 25 분 후 분할하고, 벤치 타임 25 분 후 성형하여 제빵 건조기 38 ℃ㆍ50 분, 소성 180 ℃ㆍ35 분으로 우유빵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빵의 외관 및 내층에 있어서도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4) 화이트 소스 및 피자 및 그라탕빵의 제조
소맥분 100 g과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마가린 100 g을 동시에 볶아 제조한 화이트 소스용 루우에,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가공용 농축유 400 g을 물에 의해 2배로 희석한 수용액 800 g에 식염, 향신료 1.0 g을 첨가하여 루우를 늘리면서 85 ℃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화이트 소스를 제조하였다. 이것을 캔에 충전하여 레토르트 살균기에 의해 121 ℃에서 20 분간 가열 처리한 후, 실온까지 식혀 레토르트 화이트 소스를 얻었다. 얻어진 화이트 소스는 풍미, 식감 모두 양호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제조한 레토르트 살균 전의 화이트 소스 100 부에 계육을 살짝 데쳐 처리한 것 10 부, 효모 엑기스 0.2 부, 치킨 콘소메 0.6 부를 첨가한 치킨 그라탕을 제조하고, 이것을 피자용 토핑, 조리빵용 필링제로서 사용했더니 각각 종래품에 손색이 없는 피자 및 그라탕빵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5) 화이트터의 제조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덴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융점은 O ℃ 이하) 360 중량부를 65 내지 70 ℃로 가온한 후, 대두 레시틴 7.2 중량부 및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HLB치 1) 4.5 중량부, 유비퀴논(가네까후찌 가가꾸 고교(주) 제조, 순도 99.2 %) 10 부를 각각 첨가 용해하여 유상을 제조하였다. 별도로 65 내지 70 ℃의 온수 1212.3 중량부에 탈지 분유 57.6 중량부, 카제인 나트륨 81 중량부, 트레할로스(상품명: 트레하오스, 하야시바라 쇼지 판매) 40 중량부, 자당 18 중량부, 친수성 유화제로서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상품명: 포엠 0081H(HLB치 14), 리껭 비타민 판매) 1.8 중량부,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HLB치 15) 3.6 중량부, 제2 인산 나트륨 5.4 중량부 및 제2 인산 칼륨 3.6 중량부를 각각 첨가 용해하여 수상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수상 및 유상을 각각 균질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65 내지 70 ℃로 15 분간 가열하여 예비 유화한 후, 인가 압력을 2 단계(제1 단계 180 kg/cm2, 제2 단계 50 kg/cm2)로 바꾸어 균질화하였다. 이어서, UHT 멸균기로 옮겨 145 ℃에서 2 초간 가열하여 멸균한 후, 무균 균질기로 옮겨 압력을 2 단계(제1 단계 100 kg/cm2, 제2 단계 50 kg/cm2)로 바꾸면서 70 ℃에서 더 균질화하여 풍미에 문제가 없는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화이트너를 얻었다. 이 화이트너는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6) 카스타드 크림의 제조
냄비에 난황 2개를 풀고,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농축유 100 ㎖를 2배로 희석한 용액 200 ㎖ 2 큰술을 첨가하여 나무 주걱으로 혼합하고, 소맥분 2 큰술과 설탕 40 g을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나머지 농축유의 희석액을 서 서히 첨가하여 전체에 불균일이 생기지 않도록 잘 섞어 90 ℃에서 30 분간 크림상이 될 때까지 혼합하여 충분히 익히고, 잠시 식힌 후에 바닐라 에센스를 첨가하여 잘 혼합함으로써 풍미가 좋은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카스타드 크림을 얻었다. 이 카스타드 크림은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7) 슈크림의 제조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덴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융점은 0 ℃ 이하) 20 %, 대두 경화유(융점 40 ℃) 60 %, 팜유(융점 28 ℃) 20 %로 이루어지는 유지 조성물 50 부, 유비퀴논 1 부, 레시틴 0.3 부, 모노글리세라이드 0.3 부, 물 16 부, 식염 2 부, 항산화제로서 비타민 E 5 ppm을 첨가하여 60 ℃에서 유화 탱크에서 15 분간 교반 유화한 후, 15 ℃로 급냉 반죽 혼합하여 유비퀴논 함유 마가린을 얻었다. 얻어진 마가린 130 g,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농축유 65 ㎖를 물로 2배 희석한 것 130 ㎖를 냄비에 넣어 50 ℃에서 마가린을 녹이고, 마가린이 완전히 용해되어 끓어오르기 시작하면 체에 거른 박력분 800 g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전분을 α화시켰다. 200 ㎖의 전란을 몇회 나누어 첨가하고 잘 혼합하였다. 마지막 전란을 첨가할 때 탄산 암모늄 0.5 g을 전란에 잘 용해하여 첨가하였다. 이어서, 직경 10 cm의 둥근 금구를 붙인 짜는 주머니를 반죽으로 채우고, 페이퍼를 깐 철판 상에 둥근 형태를 만들고, 반죽 전체에 분무기로 물을 뿌려 20O ℃로 데운 오븐 하단에 넣고 10 분간 소성하여 충분히 팽창시킨 후, 170 ℃에서 더 소성하여 슈 반죽을 제조하였다. 소성 후, 망 위에 얹어 식히고, 피 위에서 1/3 정도되는 곳을 가로로 절단하고, 그 사이에 실시예 16에서 제조한 카스타드 크림을 넣어 풍미, 식감에 문제가 없는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슈크림을 제조하였다. 이 슈크림은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8) 초콜렛 바바루아의 제조
냄비에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농축유의 2배 희석 용액 250 ㎖와 설탕 20 g을 넣어 불에 달구고, 비등 직전에 불을 꺼 미리 준비한 난황 2개와 설탕 20 g의 거품을 낸 것을 몇회로 나누어 첨가하고, 잘 혼합하여 약한 불로 가열한 후, 물로 재구성한 젤라틴 6 g을 넣어 잘 혼합 여과하면서 초콜렛 50 g을 넣은 볼에 조금씩 넣어 혼합한 후,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크림 100 ㎖를 거품 내어 3회로 나누어 첨가 혼합하고, 푸딩형에 넣어 냉장고에서 잘 식힘으로써 풍미가 좋은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초콜렛 바바루아를 얻었다. 이 초콜렛 바바루아는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9) 카레 루우의 제조
소맥분 20 부와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덴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융점은 0 ℃ 이하) 20 부를 사용하여 로우스트 처리한 소맥분 39 부와 식용 유지(돈지(융점 35 ℃)와 우지(융점 47 ℃)의 혼합 유지) 15 부, 유비퀴논 1 부, 카레분 20 부, 식염 10 부, 각종 부용 등의 조미료 15 부를 90 ℃에서 30 분간 가열 혼합하여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카레 루우를 제조하였다. 모두 풍미, 입맛에 문제가 없고,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0) 베샤멜 소스의 제조
우선 두꺼운 냄비에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덴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융점은 O ℃ 이하) 100 g을 넣고, 가열하면서 박력분 100 g과 유비퀴논 5 g을 한번에 넣어 태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90 ℃에서 20 분간 나무 주걱으로 잘 혼합하였다. 그 후, 불에서 내려 잠시동안 식혀 화이트 루우를 얻었다. 또한, 식힌 우유 1컵을 넣어 잘 혼합하여 부드럽게 하고, 10 ℃의 우유 1.5컵을 첨가하여 거품기에서 윤기가 나기 시작할 때까지 충분히 혼합하고, 10 ℃의 우유 2.5컵을 첨가하여 잘 혼합하였다. 그 후, 클로브를 찌른 양파, 월계수 잎을 첨가하고 약한 불로 바짝 조려 끈적끈적하게 하였다. 월계수 잎, 양파를 꺼내 시노와로 여과하고, 다시 냄비로 옮겨 약한 불로 눌어붙지 않을 정도의 화력을 주어 풍미, 입맛 모두 양호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베샤멜 소스 550 g을 얻었다. 이 소스는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1) 마요네즈의 제조
식초(아세트산을 10 % 포함하는 물질) 5 부, 식염 2 부, 설탕 0.5 부, 머스타드 분말 0.3 부, 물 0.2 부를 혼합기 중에 첨가하고, 15 ℃ 내지 20 ℃하에서 교반 혼합하여 수상을 제조한 후, 미백교유(융점은 0 ℃ 이하) 68 부에 난황 7 부, 유비퀴논 0.5 부를 첨가하여 교반 유화하여 얻은 유화액(10 ℃ 내지 15 ℃)을 조금씩 첨가하면서 15 ℃ 내지 20 ℃하에서 교반하여 예비 유화하였다. 이어서,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마무리 유화를 행하여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마요네즈를 얻었다. 얻어진 마요네즈의 속맛, 깊은 맛, 입맛은 시판되고 있는 마요네즈와 동일하였다. 이 마요네즈는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2) 프렌치 드레싱의 제조
물 33.1 부에 식초(아세트산 농도 10 %) 15 부, 설탕 8 부, 전분 3 부, 후추 0.5 부, 크산탄검 0.4 부를 용해한 후 살균하기 위해 80 ℃에서 30 분 가온 후, 20 ℃까지 냉각하고, 미리 10 내지 15 ℃로 보온한 미백교유(융점은 0 ℃ 이하) 40 부, 유비퀴논 1 부를 첨가하여 15 내지 20 ℃에서 교반하여 예비 유화하고, 그 후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마무리 유화를 행하여 프렌치 드레싱을 얻었다. 얻어진 프렌치 드레싱의 속맛, 깊은 맛, 입맛은 양호하고,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3) 포테이토 샐러드의 제조
껍질을 벗긴 감자 5 부, 당근 1 부를 각지게 썰어 사란(Raran) 랩에 싼 후, 전자 레인지의 근채 조리 조건으로 가온하여 부드럽게 한 후 냉각하고, 별도로 준비한 물로 씻어낸 양파 2 부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마요네즈를 2 부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풍미와 입맛이 양호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포테이토 샐러드를 얻었다.
(실시예 24) 아이스크림의 제조
용기에 난황 10개분을 풀어 설탕 250 g, 옥수수 전분 10 g을 넣어 잘 혼합하고,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농축유의 2배 희석액 1 L를 75 ℃로 가온하여 서서히 첨가해서 혼합하고, 수낭으로 거르고 90 ℃에서 45 분간 따뜻하게 하여 눌어붙지 않도록 천천히 걸쭉해질 때까지 혼합한 후, 얼음으로 냉각하여 식힌 후, 바닐라 에센스 약간을 첨가하여 -20 ℃에서 교반 냉동하고, 굳어지면 실 시예 11에서 제조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휩 크림 270 g에 거품을 낸 후 첨가하고, 다시 교반 냉각하고 용기에 넣어 냉동하여 풍미와 입맛이 좋은 바닐라 아이스크림을 얻었다. 이 바닐라 아이스크림은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5) 푸딩의 제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농축유의 2배 희석액 1000 ㎖를 40 ℃ 정도까지 따뜻하게 하여 설탕 250 g과 전란 250 g을 합친 것에 혼합하였다. 이 푸딩액을 고운 체로 거른 후 푸딩형에 넣어 150 ℃의 오븐에서 30 내지 40 분간 탕(湯)중 로우스팅함으로써 풍미가 좋은 카스타드 푸딩을 얻었다. 이 카스타드 푸딩은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6) 피클액 및 돈까스의 제조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덴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융점은 0 ℃ 이하) 5 부, 카제인 나트륨 0.1 부, 피롤린산 4나트륨 0.1 부, 식염 2 부, 유비퀴논 0.2 부를 혼합 교반하고, 물 95.6 부를 더 첨가하여, 압력 균질기를 이용하여 100 kg/cm2로 유화하여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피클액을 얻었다.
돈까스용 로스육에 대하여 피클액을 고기 중량의 20 % 상당 주입한 후, 마사지하여 한입 크기로 절단하고 버터액에 재운 후, 빵가루를 묻혀 후라이하여 쥬우시(juicy)하고 풍미가 좋은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돈까스를 얻었다.
(실시예 27) 도포용 유지 조성물 및 버터 롤의 제조
물 68 부에 푼 계란 2 부를 서서히 첨가하면서 호모 믹서로 분산시켜 70 ℃로 가온하였다. 이어서, 미리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덴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융점은 0 ℃ 이하) 30 부에 유비퀴논 1 부를 용해시킨 유지를 서서히 첨가하고, 다시 10 분간 교반한 후, 142 ℃에서 2 초간 살균하고 압력 균질기를 이용하여 100 kg/cm2로 유화하여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도포용 유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도포용 유지 조성물을 발효시킨 버터 롤 반죽 1개분당 0.5 g 도포하고, 200 ℃에서 9 분간 소성하여 윤기와 풍미가 좋은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버터 롤을 얻었다.
(실시예 28) 크로켓의 제조
통상법에 의해 제조한 크로켓 중종에 버터 믹스분(상품명: 버터 믹스 U-869, 리껭 비타민(주) 제조), 채종유와 물을 1:2:4로 혼합한 버터를 바르고, 빵가루를 묻혀 170 ℃에서 후라이한 후, 크로켓을 얻었다. 얻어진 크로켓 1개(약 40 g)의 앞뒤에 실시예 27에서 제조한 도포용 조성물 1 g을 분무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크로켓은 냉동 보존 후 전자 레인지에서 조리해도 식감이 양호하고, 풍미도 좋으며,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9) 스낵 과자의 제조
콘 플라워 55 부, 감자 전분 13 부, 그래뉴당 3 부, 식염 0.5 부 및 물 22 부를 2축 익스트루더에 공급하여 배럴 온도 140 ℃에서 7 초간 처리하고 나선상으로 압출하며, 이것을 30 mm 간격으로 절단하여 두께가 0.8 mm인 스낵 반죽을 얻었다. 얻어진 스낵 반죽을 40 ℃에서 16 시간 예비 건조한 후, 콘베이어 드라이어로 260 ℃에서 26 초간 팽창화 처리하였다. 얻어진 팽창화 처리 후의 반죽 100 g에 대하여 실시예 27에서 얻은 도포용 조성물 3 g을 분무하여 풍미, 윤기가 좋은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스낵 과자를 얻었다. 이 스낵 과자는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30) 우동의 제조
우선 대두유(상품명: 대두 골덴 샐러드유, 요시하라 세유(주) 제조, 융점은 0 ℃ 이하) 20 부, 글리세린 모노 포화 지방산 에스테르(상품명: 에말지 MS, 리껭 비타민(주) 제조) 2.5 부, 글리세린 모노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상품명: 포엠 OL-200, 리껭 비타민(주) 제조) 0.8 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상품명: 포엠 OL-100A, 리껭 비타민(주) 제조) 0.05 부,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HLB-1)(상품명: DKF-10,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주) 제조) 1.5 부, 레시틴 0.4 부, 유비퀴논 1 부로 이루어지는 유상부를 혼합, 가열, 용해하여 유상으로 하였다. 한편, 물 30 부, 환원 전분 당화물(상품명: 에스이 57(고형분 75 %), 니껭 가가꾸(주) 제조) 13 부, 소르비톨(상품명: 소르비톨 F(고형분 70 %), 니껭 가가꾸(주) 제조) 25 부, 배합된 수상부 조성물을 혼합, 가열하여 수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상기 유상과 수상을 혼합하여 호모 믹서로 유화하고, 다시 교반, 혼합하면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유화 유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에서 얻은 각 유지 유화물 각각 3 부에 대하여 소맥분 100 부, 물 32 부를 첨가하여 통상법에 의해 혼합 반죽, 성형, 롤 압연을 행하여 얻은 두께 2.5 mm의 면대를 N0.10의 절단기로 절단하여 생우동을 얻었다. 얻어진 생우동을 끓는물 중에서 7 분간 데치고, 데친 우동의 상태 및 식감을 판정하였다. 그 결과, 찰기가 있는 우동이었다. 또한, 생면을 10 일간 냉장 보존한 후, 마찬가지로 평가했더니 풍미, 식감 모두 문제가 없고,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31) 밀크티의 제조
홍차잎의 열수 추출물 50 g, 그래뉴당 60 g,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5 g, 중탄산 나트륨 1 g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가공용 농축유 50 g을 첨가하고, 물을 첨가하여 1000 ㎖의 풍미가 좋은 유화물을 얻었다. 80 ℃로 가열한 후, 캔 용기(190 ㎖)에 충전하여 124 ℃에서 20 분의 레토르트 살균을 행하여 유지 풍미 특유의 깊은 맛이 있는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밀크티 캔 음료를 얻었다. 이 밀크티는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32) 카페오레의 제조
실시예 12에서 얻은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가공용 농축유 50 g을 커피 추출물 50 g, 그래뉴당 60 g,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5 g, 중탄산 나트륨 1 g에 배합 교반 유화하여 풍미와 깊은 맛이 좋은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카페오레를 얻었다. 이 카페오레는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33) 산성 음료의 제조
미백교유(융점은 O ℃ 이하) 100 g에 각각 슈크로오스ㆍ디아세테이트ㆍ헥사이소부틸레이트 130 g, 유비퀴논 2 g 및 천연 비타민 E 1 g을 혼합 용해하여 균일한 유성 재료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을 글리세린 615 g,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HLB12) 60 g 및 물 135 g을 혼합 용해한 용액에 첨가하고 예비 교반하여 분산시킨 후, T.K.호모 믹서(도꾸슈 기까 고교 제조)를 이용하여 5000 rpm으로 10 분간 유화하여 균일한 유화 조성물을 얻었다. 별도로 그래뉴당 200 g, 시트르산 5 g, 비타민 C 0.5 g을 적량의 물에 용해시키고, 시트르산 나트륨을 사용하여 pH 3.0으로 조정한 후, 2 L의 산성 음료용 시럽을 제조하였다. 이 시럽 각 180 ㎖에 상기에서 제조한 유화물을 각각 20 ㎖ 첨가 혼합한 후, 병에 충전 후 뚜껑을 닫아 85 ℃에서 15 분간 살균 후 냉각하여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산성 음료를 얻었다. 이 산성 음료는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34) 커피 음료의 제조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HLB16) 6 g,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HLB7) 8 g, 인산염 1 g, 카라기난 0.5 g, 카제인 나트륨 65 g, 아스코르브산 나트륨 38 g, 물 550 g을 혼합하고 60 ℃로 가온하여 용해하였다. 별도로 미백교유(융점은 0 ℃ 이하) 200 g, 대두 경화유(융점 40 ℃) 100 g,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HLB1) 2 g, 유비퀴논 5 g, 천연 비타민 E 0.5 g, β-카로틴 0.5 g, 레시틴 0.3 g, 토코트리에놀 0.3 g, 참깨 리그난 0.1 g을 혼합하여 60 ℃에서 용해하였다. 60 ℃로 보온된 수상부에 마찬가지로 60 ℃로 보온된 유상부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예비 유화하였 다. 이어서, 180 kg/cm2의 압력으로 균질화하여 유화액을 얻은 후, 120 ℃에서 20 초의 UHT 살균을 행하여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무균 유화액을 얻었다. 이어서, 로우스트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 50 g, 그래뉴당 60 g,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5 g, 중탄산 나트륨 1 g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상기에서 얻은 무균 유화액 20 g을 첨가하고, 물을 첨가하여 1000 ㎖의 유화물 함유 커피 추출액을 얻었다. 80 ℃로 가열한 후, 캔 용기(190 ㎖)에 충전하여 124 ℃에서 20 분의 레토르트 살균을 행하여 풍미가 좋은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커피 캔 음료를 얻었다. 이 커피 음료는 유비퀴논의 국재화에서 기인하는 색 불균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35) 롤빵 및 쿠키에 의한 혈중 유비퀴논 농도의 상승
Crj:CD(SD) 래트 웅성(체중 260 g 내지 300 g) 16 마리를 4 마리마다 4 군으로 나누었다. 제1군(유비퀴논 롤빵군)은 사료로서 실시예 7에서 제조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탁 롤빵을 1일 1개(30 g) 제공하고, 제2군(대조 롤빵군)은 사료로서 유비퀴논을 첨가하지 않고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한 식탁 롤빵을 1일 1개(30 g)를 제공하며, 제3군(유비퀴논 쿠키군)은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쿠키를 1일 4개(28 g) 제공하고, 제4군(대조 쿠키군)은 사료로서 유비퀴논을 첨가하지 않고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한 쿠키를 1일 4개(28 g) 제공하고,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여 1 주간 사육하였다.
1 주일째 아침 에테르 마취하에서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채취한 혈장 1.0 ㎖에 물 2.0 ㎖, 에탄올 4.0 ㎖, n-헥산 10.0 ㎖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약 5 분간 세차게 진탕하고, 원심 분리하여 2층으로 분리하였다. 유기 용매층을 분취하고, 남은 수층에 n-헥산 10.0 ㎖를 첨가하여 동일한 추출 조작을 2회 반복하고, 얻어진 유기 용매층을 합쳐서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건고물을 얻었다. 얻어진 건고물을 250 ㎕의 에탄올: 1 N 염산(99:1, v/v)에 용해시킨 후, 그 중 10 ㎕를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유비퀴논 양을 측정하였다.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조건은 칼럼: YMC-PacKR&D ODS, 250×4.6 mm(YMC사 제조), 이동상: 0.5 M NaClO4/C2H5OH:CH3OH:CH3 CN: 70 % HClO4(400:300:300:1, v:v), 검출 파장: 275 nm, 유속: 1 ㎖/분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대조 롤빵군의 혈중 유비퀴논 농도는 4 마리 평균 0.01 ㎍/㎖이었던 것에 대하여, 유비퀴논 롤빵군에서는 0.46 ㎍/㎖로 유의한 혈중 유비퀴논 농도의 상승이 확인되었다. 동일하게 대조 쿠키군에서는 0.01 ㎍/㎖이었던 것에 대하여, 유비퀴논 쿠키군에서는 0.48 ㎍/㎖였다. 어느 것도 유비퀴논 강화 식품의 섭취에 의해 혈중 유비퀴논 함량이 유의하게 높아지고, 유비퀴논 강화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쉽게 부족하기 쉬운 유비퀴논을 보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식품 중에 유비퀴논을 균일하게 용해ㆍ분산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식품 보존 중의 유비퀴논의 석출이나 국재화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유비퀴논을 균일하게 용해ㆍ분산시켜 강화시킨 식품은, 통상의 식품과 동일하게 섭취함으로써 부족하기 쉬운 유비퀴논을 보급할 수 있는 식품이다. 유비퀴논 부족에 의해 야기되는 피로나 여러가지 건강하지 못한 상태의 예방ㆍ개선용 식품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2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융점이 20 ℃ 이상인 고체 유지의 경우에는, 유비퀴논 및 유지를 이들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액체 상태에서 상용시켜 혼합물을 얻고, 융점이 20 ℃ 미만인 액체 유지의 경우에는, 유비퀴논을 그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하여 유지와 혼합함으로써 혼합물을 얻고, 얻어진 혼합물을 식품 원료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유지는 고체 유지이고, 식품 원료에 첨가하는 혼합물은 유비퀴논 및 상기 고체 유지를 가열 용해시킨 후, 급냉 조건하에서의 냉각에 의해 고화 또는 혼화에 의해 가소화된 것이거나, 또는 유화함으로써 수중 유형 유화물 또는 유중 수형 유화물로 제조된 것인 제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유지는 액체 유지이고, 식품 원료에 첨가하는 혼합물은 유비퀴논 및 상기 액체 유지를 가열하여 유비퀴논을 용해시킨 후, 유화함으로써 수중 유형 유화물로 제조된 것인 제조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은 유비퀴논을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제조 방법.
  24.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은 유비퀴논을 유지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제조 방법.
  25.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비퀴논 보급용 식품은 식품용 유지류, 우유, 유제품류, 소스류, 빵류, 파이류, 케익류, 과자류, 루우류, 조미액류, 빙과류, 면류, 가공 식품, 쌀밥류, 잼류, 통조림류 및 음료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제조 방법.
KR1020047011047A 2002-01-18 2003-01-20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품 KR100952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09739 2002-01-18
JPJP-P-2002-00009739 2002-01-18
PCT/JP2003/000396 WO2003061396A1 (fr) 2002-01-18 2003-01-20 Aliments enrichis en ubiquin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126A KR20040078126A (ko) 2004-09-08
KR100952782B1 true KR100952782B1 (ko) 2010-04-14

Family

ID=2760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047A KR100952782B1 (ko) 2002-01-18 2003-01-20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678404B2 (ko)
EP (1) EP1474992B1 (ko)
JP (1) JP4351062B2 (ko)
KR (1) KR100952782B1 (ko)
CN (1) CN100448359C (ko)
AT (1) ATE516711T1 (ko)
AU (1) AU2003203261B2 (ko)
CA (1) CA2473663C (ko)
RU (1) RU2311046C2 (ko)
TW (1) TW200302054A (ko)
WO (1) WO20030613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000B1 (ko) * 2019-06-03 2019-11-21 이창훈 갈라짐 현상이 저감된 냉동떡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326B1 (ko) 2003-01-17 2007-06-04 타이요 카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코엔자임 q10 함유 조성물
JPWO2005035477A1 (ja) * 2003-10-08 2007-11-22 株式会社カネカ キノン骨格を有する化合物の安定化方法及び安定化された組成物
JP2006212019A (ja) * 2004-04-30 2006-08-17 National Institute Of Agrobiological Sciences 植物を用いたユビキノン−10の製造方法
JP2006014730A (ja) * 2004-05-31 2006-01-19 Toyo Shinyaku:Kk 食品
DE102004043824A1 (de) * 2004-09-10 2006-03-16 Cognis Ip Management Gmbh Emulsionen mit ungesättigten Fettsäuren und deren Estern
JP2006117626A (ja) * 2004-09-24 2006-05-11 Nisshin Pharma Inc コエンザイムq10配合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6141271A (ja) * 2004-11-19 2006-06-08 Fuji Oil Co Ltd シュー用油中水型乳化物
JP2007297395A (ja) * 2006-05-05 2007-11-15 Softgel Formulators Inc 高吸収性コエンザイムq10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05813A (ja) * 2006-06-30 2008-01-17 Ezaki Glico Co Ltd コエンザイムq10含有チョコレート
BRPI0605162A (pt) * 2006-10-19 2008-06-10 Bunge Alimentos S A óleo de natureza triglicerìdica com propriedades nutricionais melhoradas e processo para preparação do mesmo
US20080131515A1 (en) 2006-12-01 2008-06-05 Fujifilm Corporation Emulsion composition, and foods and cosmetics containing the emulsion composition
JP4836976B2 (ja) * 2008-02-15 2011-12-14 ハウス食品株式会社 固形食品用着色材
JP4869267B2 (ja) * 2008-03-03 2012-02-08 長谷川香料株式会社 コエンザイムq10を含有する飲料用乳化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US10104903B2 (en) 2009-07-31 2018-10-23 Mars, Incorporated Animal food and its appearance
CN102057991B (zh) * 2009-12-31 2013-11-06 山东三星玉米产业科技有限公司 一种富含辅酶q10的玉米油及其生产方法
RU2645983C2 (ru) * 2012-05-21 2018-02-28 Марс, Инкорпорейтед Экструдированная композиция корма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JP6050037B2 (ja) * 2012-06-29 2016-12-21 株式会社J−オイルミルズ 油脂組成物、それを利用した食品、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食用油脂の光劣化抑制方法
US9138453B2 (en) 2013-10-14 2015-09-22 Biomarker Pharmaceuticals, Inc. Nutrient combinations for affecting an aging process
KR20150080342A (ko) * 2013-12-31 2015-07-09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기능성 음료
CN107529789A (zh) 2015-04-28 2018-01-02 马斯公司 制备灭菌湿宠物食品的方法
EP3370545B1 (en) * 2015-10-30 2021-04-14 Toroz Pte. Ltd. A processing method to make low oil content noodles and other foods produced by the same
RU2657538C1 (ru) * 2016-12-15 2018-06-14 федеральное каз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рмский институт Федеральной службы исполнения наказаний (ФКОУ ВО Пермский институт ФСИН России)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ресвератрола и убихинона как стимуляторов обоняния у собак
CN108294085A (zh) * 2018-01-27 2018-07-20 云南爱尔康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含有虾青素的功能性月饼及其制备方法
US11471426B2 (en) 2019-10-16 2022-10-18 American River Nutrition, Llc Compositions comprising quinone and/or quinol and methods of preparations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2616A (en) 1977-12-28 1979-07-23 Ota Pharma Ubidecalenone soft capsule preparation
JPS57142911A (en) 1981-02-28 1982-09-03 Furointo Sangyo Kk Absorption-improving agent
EP0438386A4 (en) * 1986-11-05 1991-09-11 George Weston Foods Limited Novel improvers for flour and yeast raised baked goods
JPS6445614A (en) 1987-08-17 1989-02-20 Nippon Steel Corp Method for injection-molding styrene-based resin composition
CH680072A5 (ko) 1989-10-27 1992-06-15 Nestle Sa
US5258179A (en) * 1989-10-27 1993-11-02 Nestec S.A. Protection of a food, cosmetic or pharmaceutical product against oxidation
JPH04278066A (ja) 1991-03-01 1992-10-02 Health Eido:Kk スピルリナ含有カプセル食品
JP3565323B2 (ja) 1993-12-08 2004-09-15 アールティーエー・アソシエーツ有限会社 畜肉、魚肉およびこれらの加工品の鮮度保持剤
AU6003796A (en) * 1995-06-01 1996-12-18 Unilever Plc Fat based food products
IL117773A (en) * 1996-04-02 2000-10-31 Pharmos Ltd Solid lipid compositions of coenzyme Q10 for enhanced oral bioavailability
EP1068805A1 (en) * 1996-04-23 2001-01-17 Cpc International Inc. Dietetic food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inhibiting blood coagulation
CZ119697A3 (en) 1996-04-23 1997-11-12 Cpc International Inc Dietary foodstuff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inhibiting blood sedimentation rate
JP3889481B2 (ja) * 1996-08-16 2007-03-07 株式会社カネカ 医薬組成物
DE19647352C2 (de) 1996-11-15 2000-06-29 Aqua Nova Getraenketechnologie Nicht alkoholisches Getränk mit einem Gehalt an Q 10
JP4473968B2 (ja) 1996-11-19 2010-06-02 出光興産株式会社 血球流動性改善剤
WO1998056368A1 (en) * 1997-06-09 1998-12-1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uperiority of formulations containing coenzyme q10 in coconut oil
US6616942B1 (en) * 1999-03-29 2003-09-09 Soft Gel Technologies, Inc. Coenzyme Q10 formulation and process methodology for soft gel capsules manufacturing
JP2000302677A (ja) 1999-04-21 2000-10-31 Koowa Techno Search:Kk カルニチン自己産生能改善作用を有する医薬および食品・飼料組成物
IT1317035B1 (it) * 2000-05-30 2003-05-26 Sigma Tau Healthscience Spa Integratore ad attivita' antiossidante comprendente unaalcanoilcarnitina ed una associazione di polifenoli estratti dal
US6441050B1 (en) 2000-08-29 2002-08-27 Raj K. Chopra Palatable oral coenzyme Q liquid
JP2003088330A (ja) * 2001-09-14 2003-03-25 Wakan Shiyouyaku Kenkyusho:Kk ユビキノン含有栄養補助食品
US6652891B2 (en) * 2001-12-12 2003-11-25 Herbasway Laboratories, Llc Co-enzyme Q10 dietary suppl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000B1 (ko) * 2019-06-03 2019-11-21 이창훈 갈라짐 현상이 저감된 냉동떡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302054A (en) 2003-08-01
AU2003203261B2 (en) 2007-11-29
CN100448359C (zh) 2009-01-07
US7678404B2 (en) 2010-03-16
EP1474992B1 (en) 2011-07-20
JP4351062B2 (ja) 2009-10-28
CA2473663A1 (en) 2003-07-31
TWI331512B (ko) 2010-10-11
EP1474992A1 (en) 2004-11-10
EP1474992A4 (en) 2005-04-13
ATE516711T1 (de) 2011-08-15
CA2473663C (en) 2011-07-05
CN1617671A (zh) 2005-05-18
JPWO2003061396A1 (ja) 2005-05-19
KR20040078126A (ko) 2004-09-08
RU2004125158A (ru) 2006-01-27
US20050181109A1 (en) 2005-08-18
WO2003061396A1 (fr) 2003-07-31
RU2311046C2 (ru) 200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259B1 (ko) 우비퀴놀을 부화한 유지 함유 식품
KR100952782B1 (ko) 유비퀴논을 강화시킨 식품
FI63851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halvfuktiga foer anvaendning faerdiga djupfrysta livsmedel
CN104780779A (zh) 甜味和/或乳风味增强剂
US10918114B2 (en) Prepared foods having high efficacy omega-6/omega-3 balance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JP2000125811A (ja) ミネラル含有食品
CN101287382A (zh) 含有输送装置的食物制品及其制造方法
JP2002186424A (ja) 共役トリエン酸系油脂を含有する飲食品
US11737471B2 (en) Products having high efficacy omega-6/omega-3 balance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JP2005179278A (ja) 脂質排出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