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861B1 - 편광필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필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861B1
KR100948861B1 KR1020070135328A KR20070135328A KR100948861B1 KR 100948861 B1 KR100948861 B1 KR 100948861B1 KR 1020070135328 A KR1020070135328 A KR 1020070135328A KR 20070135328 A KR20070135328 A KR 20070135328A KR 100948861 B1 KR100948861 B1 KR 100948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unit
polarizing film
conveying
loading
pola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614A (ko
Inventor
박두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70135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86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7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00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29C53/8091Cutting the ends, surface fin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편광필름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편광필름 제조장치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커팅된 다수의 편광필름들이 경사진 방향대로 로딩되어 이송되는 로딩이송유닛; 및 편광필름들의 이송 방향을 따라 로딩이송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경사지게 이송되는 편광필름들을 요구되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송시키는 회전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이재기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코스트(cost)가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발생 없이 생산 속도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특히 이재기 사용 시 발생되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필름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larization film}
본 발명은, 편광필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이재기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코스트(cost)가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발생 없이 생산 속도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특히 이재기 사용 시 발생되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편광필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평면디스플레이(FPD)는, 종전에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Display)로 주로 사용된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로서, 이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EL(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있다.
평면디스플레이(FPD)에는 광학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편광필름(polarization film)이 부착된다. 편광필름이 평면디스플레이(FPD)에 부착되기 위해 편광필름은 편광필름 제조장치 내의 편광필름 절단부(FCC)를 통해 소정의 단위 크기로 커팅된다.
한편, 편광필름 중에서도 특히, 모니터에 사용되는 모니터용 편광필름은 시야각의 확보를 위해 편광필름 절단부에서 45°로 커팅(cutting)되기도 한다. 45°로 커팅된 편광필름은 후공정, 예컨대 편광필름 박리공정이나 편광필름 부착공정에서 사용되기 위해 별도의 팔레트(트레이(tray)를 포함함)에 적재된 후,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원판의 크기로 제조된 편광필름을 단위 크기로 커팅하고 팔레트에 적재하는 일련의 공정을 진행하는 종래의 편광필름 제조장치는, 45°로 커팅된 다수의 편광필름이 이송되는 로딩이송유닛과, 로딩이송유닛의 일측에 마련되어 편광필름이 적재되는 적재유닛과, 로딩이송유닛을 따라 이송되는 다수의 편광필름을 개별적으로 하나씩 척킹(chucking)하여 일정 거리 이동 및 회전한 후에 다수의 팔레트로 적재시키는 이재기를 구비한다. 이재기로는 보통 로봇(robot)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편광필름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로봇으로 적용되는 이재기를 사용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된다. 즉, 로봇으로 적용되는 이재기의 가격이 높아 장치의 구축에 따른 코스트(cost)가 증가하게 되고, 택트 타임(tact time)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재기가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구동해야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야기되며, 이재기의 구동 시 비교적 많은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비교적 거대한 이재기가 사용되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된다.
참고로, 코스트 증가와 관련해서 살펴보면 이재기의 비용이 장치 전체 비용의 대략 50%를 차지할 정도로 고가이기 때문에 이재기를 사용하는 한 코스트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재기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코스트(cost)가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발생 없이 생산 속도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특히 이재기 사용 시 발생되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편광필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커팅된 다수의 편광필름들이 경사진 방향대로 로딩되어 이송되는 로딩이송유닛; 및 상기 편광필름들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로딩이송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경사지게 이송되는 상기 편광필름들을 요구되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송시키는 회전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이송유닛은, 상기 편광필름들의 이송 방향의 상류에 배치되는 제1 이송롤러부; 상기 편광필름들의 이송 방향의 하류에 배치되는 제2 이송롤러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송롤러부의 회전축과 하단의 거리가 일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배치되는 제3 이송롤러부; 및 상 기 제1 내지 제3 이송롤러부에 권취되며, 상기 제3 이송롤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호간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이송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이송롤러부는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테이퍼 롤러부일 수 있다.
상기 테이퍼 롤러부의 외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다수의 이송로프가 부분적으로 개별 삽입되는 다수의 로프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로프는 상기 편광필름들을 마찰력에 의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고무가 혼합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로딩이송유닛 및 상기 회전이송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로딩이송유닛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구동되면서 상기 편광필름들을 이송시켜 상호 측방향으로 접촉되어 있는 상기 편광필름들을 상호간 분리시키는 분리이송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딩이송유닛, 상기 분리이송유닛 및 상기 회전이송유닛은, 상기 편광필름들이 이송되는 이송 방향을 따라 인라인(in-line)화된 작업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편광필름들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이송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되는 편광필름들을 적재하는 적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일 수 있다.
상기 팔레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적재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팔레트는, 소정의 착탈수단에 의해 상기 적재테이블 상의 소정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착탈수단은, 상호 접촉되는 상기 팔레트와 상기 적재테이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자석과,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자석과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를 연결하는 상기 이송로프들 각각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제2 이송롤러부는 상기 제1 이송롤러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필름은 모니터용 LCD(Liquid Crystal Display) 편광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이재기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코스트(cost)가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발생 없이 생산 속도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특히 이재기 사용 시 발생되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될 편광필름이란, 액정을 투과한 빛 중 특정 방향으로 강하게 진동하는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해 모니터용 LCD패널에 부착되는 모니터용 LCD 편광필름을 가리킨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의 성능을 조절하거나 혹은 빛을 최적의 조건으로 투과, 편광시키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광학 필름(혹은 시트(sheet))들, 예컨대 EMI 필름, 프리즘 필름, 보호 필름, 확산 필름, 반사 필름, DBEF, PVA, TAC, 이형 필름, 보상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등의 편광필름에도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이들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편광필름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테이퍼 롤러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제조장치는, 종래보다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를 통해서 45°로 커팅된 다수의 편광필름(P1,P2,P3)들을 다수의 팔레트(42)로 적재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편광필름 제조장치는, 크게 로딩이송유닛(10), 분리이송유닛(20), 회전이송유닛(30) 및 적재유닛(40)을 구비한다.
로딩이송유닛(10), 분리이송유닛(20), 회전이송유닛(30) 및 적재유닛(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필름(P1,P2,P3)들이 이송되는 이송 방향을 따라 인라인(in-line)화된 작업라인을 형성한다. 이러한 로딩이송유닛(10), 분리이송유닛(20), 회전이송유닛(30) 및 적재유닛(40)들 각각은 모두가 이송테이블(11), 분리이송테이블(21), 회전이송테이블(31) 및 적재테이블(41)을 구비한다.
로딩이송유닛(10)은, 원판의 편광필름(미도시)으로부터 단위 크기로 절단된 편광필름(P1)이 최초에 로딩되어 이송되는 부분이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편광필름(P1,P2,P3)은 모니터용 LCD 편광필름일 수 있으므로, 그 시야각의 확보를 위해 편광필름 절단부에서 보통 45°로 커팅(cutting)된 상태로 로딩이송유닛(10)으로 옮겨진다. 이 때, 45°로 커팅된 편광필름(P1)들은 커팅되어 경사진 방향 그대로 로딩이송유닛(10) 상에 로딩되어 로딩이송유닛(10)을 따라 이송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이송유닛(10) 상에서 이송되는 편광필름(P1)들은 측방향으로 상호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로딩이송유닛(10) 상에서 이송되는 편광필름(P1)들의 각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45°가 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사 각도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는 없다. 따라서 로딩이송유닛(10) 상에서 이송되는 편광필름(P1)들의 각도는 45°보다 작아도 좋고 혹은 커도 좋다. 또한 45°로 커팅된 편광필름(P1)들의 배치 및 배열은 도시된 바와 같을 수도 있고 혹은 다른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로딩이송유닛(10)은 이송테이블(11) 상에 장착된 컨베이어벨트로 적용될 수 있다.
분리이송유닛(20)은, 작업라인을 따라 로딩이송유닛(10)의 후방에 배치되며, 로딩이송유닛(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구동되면서 편광필름(P2)들을 이송시켜 상호 측방향으로 접촉되어 있는 편광필름(P1)들을 상호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분리이송유닛(20)은 로딩이송유닛(10)보다 빠르게 구동함으로써 로딩이송유닛(10)과의 상대적인 속도 차에 의해 측방향으로 접촉되어 있는 편광필름(P1)들을 이송 중에 개별적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로딩이송유닛(10)이 50m/min의 속도로 구동하면서 편광필름(P1)들을 이송하였다면, 분리이송유닛(20)은 50m/min의 속도보다는 빠른 예컨대 60m/min의 속도로 구동하면서 편광필름(P2)들을 이송시키고 있다. 이처럼 분리이송유닛(20)이 로딩이송유닛(10)의 속도보다 빠르게 편광필름(P2)들을 이송시키는 경우, 그 속도 차에 의해 상호 접촉되어 있던 편광필름(P1)들은 상호간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분리이송유닛(20) 역시 로딩이송유닛(10)과 마찬가지로 분리이송테이블(21) 상에 장착된 컨베이어벨트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회전이송유닛(30)은, 편광필름(P1,P2,P3)들의 이송 방향을 따라 분리이송유닛(20)의 후방에 배치되어 경사지게 이송되는 편광필름(P2)들을 요구되는 소정의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직선의 방향임)으로 회전시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로딩이송유닛(10)과 분리이송유닛(20)이 단순한 컨베이어벨트로 적용되고 있는데 반해, 본 실시예에서 회전이송유닛(30)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회전이송유닛(30)은, 편광필름(P3)들의 이송 방향의 상류, 즉 분리이송유닛(20) 측에 배치되는 제1 이송롤러부(32)와, 편광필름(P3)들의 이송 방향의 하류, 즉 적재유닛(40) 측에 배치되는 제2 이송롤러부(33)와,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32,33)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3 이송롤러부(34)로서의 테이퍼 롤러부(34)와, 제1 이송롤러부(32), 제2 이송롤러부(33) 및 테이퍼 롤러부(34)에 권취되며, 테이퍼 롤러부(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호간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이송로프(3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32,33)는 모두가 이송로프(35)의 양단을 지지하는 롤러(roller)의 형태로 마련된다. 자세히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32,33) 중의 어느 하나에는 이송로프(35)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등이 장착된다. 모터가 장착된 부분이 구동 롤러부일 수 있고 나머지가 아이들 롤러부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이송롤러부(32)가 구동 롤러부로, 제2 이송롤러부(33)가 자유 회전하는 아이들 롤러부로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의 역할을 서로 바뀔 수도 있는 것이다. 모터에 의한 이송로프(35)의 회전 속도는 분리이송유닛(20)의 속도와 동일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송로프(35)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이송로프(35)는 제1 이송롤러부(32), 제2 이송롤러부(33) 및 테이퍼 롤러부(34)에 권취되는 부분으로서 실질적으로 편광필름(P3)을 이송시키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송로프(35)는 편광필름(P3)을 어느 정도 마찰로 끌면서 이송시킬 수 있는 소정의 마찰력을 보유한 재질(예컨대, 고무나 실리콘 등이 혼합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테이퍼 롤러부(34)는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32,33)의 수평 방향 축선에 비해 낮은 위치에 마련된다. 이러한 테이퍼 롤러부(34)의 외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다수의 이송로프(35)가 부분적으로 개별 삽입되는 다수의 로프삽입부(34a, 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로프삽입부(34a)는 이송로프(35)의 개수만큼 형성된다.
만약, 테이퍼 롤러부(34)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32,33)에 권취된 이송로프(35)들의 속도는 모두 동일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이송로프(35)들이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테이퍼 롤러부(34)에 개별적으로 권취되어 있을 경우, 테이퍼 롤러부(34)의 위치에 따라 각 이송로프(35)들에는 속도 차가 발생된다. 예컨대 모터가 동일한 속도로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32,33) 중에서 어느 하나를 회전시킨다고 가정할 때, 테이퍼 롤러부(34)의 직경이 가장 큰 부분에 권취되어 있는 이송로프(35)의 속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높다. 이 때, 테이퍼 롤러부(34)는 일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균일하게 감소되도록 제작되고 있으므로, 테이퍼 롤러부(34)에 권취된 이송로프(35)들의 속도는 테이퍼 롤러부(34)의 직경이 가장 작은 부분으로부터 가장 큰 부분을 향해 점진적으로 높아진다. 이처럼 이송로프(35)들의 속도에 서로 차이가 발생되면, 이송로프(35)들에 접촉되어 이송되는 편광필름(P3)들은 이송로프(35)들의 속도 차로 인해 경사진 방향(P2)에서 일측으로 정렬된, 실질적인 직선의 방향(P3)으로 회전되면서 이송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적재유닛(40)은, 편광필름(P1,P2,P3)들의 이송 방향을 따라 회전이송유 닛(30)의 후방에 배치되어 회전이송유닛(30)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이 완료된 편광필름(P3)을 적재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적재유닛(40)은 적재테이블(41) 상에 지지된 복수의 팔레트(42)를 구비한다. 팔레트(42)는 소위, 트레이(tray)라 하는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때, 만일 복수의 팔레트(42)가 적재테이블(41) 상에 고정되어 있다면, 팔레트(42)의 이동 및 운반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착탈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적재테이블(41)에 대해 팔레트(42)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착탈수단으로서는 자석식 착탈수단, 후크식 착탈수단 및 볼트식 착탈수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식 착탈수단을 채택하고 있다. 즉, 적재테이블(41)의 상면이 주로 금속재의 자성체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팔레트(42)들의 하부에 자석(미도시)을 마련함으로써 적재테이블(41)에 대해 팔레트(42)가 손쉽게 착탈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편광필름 제조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판의 크기로 제작된 편광필름(미도시)이 별도의 편광필름 절단부(FCC)를 통해 소정의 단위 크기로 커팅된 후, 커팅된 편광필름(P1)은 로딩이송유닛(10)의 상부로 로딩되어 대략 50m/min의 속도로 이송된다. 이 때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45°로 커팅된 편광필름(P1)들이 커팅되어 경사진 방향 그대로 로딩이송유닛(10) 상에 로딩되어 로딩이송유닛(10)을 따라 이송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이송유닛(10) 상에서 이송되는 편광필름(P1)들은 측방향으로 상호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로딩이송유닛(10)을 따라 이송되던 편광필름(P1)들이 분리이송유닛(20) 상으로 옮겨져 분리이송유닛(20)을 따라 이송되면, 로딩이송유닛(10)보다 빠르게 구동하는, 예컨대 60m/min의 속도로 구동하는 분리이송유닛(20) 상에서 상대적인 속도 차로 인해 편광필름(P2)들은 상호간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이송된 후, 대략 분리이송유닛(20)과 동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이송유닛(30) 상으로 옮겨진다.
회전이송유닛(30) 상으로 옮겨져 이송되는 편광필름(P3)들은, 테이퍼 롤러부(34)에 의해 서로 다른 속도 차를 갖는 이송로프(35)로 인해 일측으로 정렬된, 실질적인 직선의 방향(P3)으로 회전되면서(도 2 참조) 이송될 수 있게 되며, 최종적으로 적재유닛(40)의 팔레트(42) 내로 적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를 통해서 45°로 커팅된 다수의 편광필름(P1,P2,P3)들을 다수의 팔레트(42)로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이 과정에서 종래의 이재기(미도시, robot)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코스트(cost)가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발생 없이 생산 속도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특히 이재기 사용 시 발생되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회전이송유닛(30)은,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32,33)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32,33)를 연결하는 이송로프(35)들 각각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였다.
이렇게 구성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하기에는 충분하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테이퍼 롤러부(34)가 마련되고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32,33)를 연결하는 이송로프(35)들 각각의 길이가 모두 동일한 경우 회전이송유닛(30) 상에서, 편광필름(P3)들 중 속도가 빠른 이송로프(35) 측에 배치된 일부 편광필름(P3)이 원하는 각도(제로(zero))로 회전이 완료된 이후에도 이송되면서 불필요하게 더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회전이송유닛(30)은 이송로프(35)들의 상대적인 속도 차에 의해 경사진 편광필름(P1,P2)들을 제로 상태, 즉 수평 상태의 편광필름(P3)으로 회전시켜 팔레트(42)로 적재하는 역할을 하는데, 만약 하나의 테이퍼 롤러부(34)가 마련되고 이송로프(35)들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다면 그 상태에서 모든 편광필름(P3)들이 팔레트(42) 적재 시에 수평 상태로 되도록 조절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속도가 빠른 이송로프(35) 측에 배치된 일부 편광필름(P3)이 제로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더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현상을 용이하게 예방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회전이송유닛(30a)은, 제1 이송롤러부(32a)에 대해 제2 이송롤러부(33a)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32a,33a)를 연결하는 이송로프(35a)들 각각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다. 즉, 테이퍼 롤러부(34)의 직경이 가장 큰 부분에 권취되어 있는 이송로프(35a)의 길이가 가장 길게 형성되고 테이퍼 롤러부(34)의 직경이 작은 부분으로 갈수록 이송로프(35a)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마련된다. 이는, 테이퍼 롤러부(34)의 직경이 가장 큰 부분에 권취되어 있는 이송로프(35a)의 속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1 이송롤러부(32a)에 대해 제2 이송롤러부(33a)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여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32a,33a)를 연결하는 이송로프(35a)들 각각의 길이를 서로 상이하게 마련함으로써 정상 상태로 회전이 완료된 편광필름(P3)들이 불필요하게 더 회전하는 현상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와 같은 회전이송유닛(30a)이 사용되는 경우라면, 팔레트(42a)의 형상 및 배치 구조도 회전이송유닛(30a)에 대응하도록 도 6과 같이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테이퍼 롤러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1,P2,P3 : 편광필름 10 : 로딩이송유닛
20 : 분리이송유닛 30 : 회전이송유닛
32 : 제1 이송롤러부 33 : 제2 이송롤러부
34 : 테이퍼 롤러부 34a : 로프삽입부
35 : 이송로프 40 : 적재유닛
42 : 팔레트

Claims (13)

  1.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커팅된 다수의 편광필름들이 평면 상태에서 경사진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로딩되어 이송되는 로딩이송유닛; 및
    상기 편광필름들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로딩이송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며, 경사진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송되는 상기 편광필름들을 이송 방향과 나란하게 평면적으로 회전시켜 이송시키는 회전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송유닛은,
    상기 편광필름들의 이송 방향의 상류에 배치되는 제1 이송롤러부;
    상기 편광필름들의 이송 방향의 하류에 배치되는 제2 이송롤러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송롤러부의 회전축과 하단의 거리가 일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배치되는 제3 이송롤러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이송롤러부에 권취되며, 상기 제3 이송롤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호간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이송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롤러부는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 된 테이퍼 롤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롤러부의 외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다수의 이송로프가 부분적으로 개별 삽입되는 다수의 로프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프는 상기 편광필름들을 마찰력에 의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고무가 혼합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이송유닛 및 상기 회전이송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로딩이송유닛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구동되면서 상기 편광필름들을 이송시켜 상호 측방향으로 접촉되어 있는 상기 편광필름들을 상호간 분리시키는 분리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이송유닛, 상기 분리이송유닛 및 상기 회전이송유닛은, 상기 편광필름들이 이송되는 이송 방향을 따라 인라인(in-line)화된 작업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들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이송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되는 편광필름들을 적재하는 적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적재테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팔레트는, 소정의 착탈수단에 의해 상기 적재테이블 상의 소정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호 접촉되는 상기 팔레트와 상기 적재테이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자석과,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자석과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송롤러부를 연결하는 상기 이송로프들 각각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제2 이송롤러부는 상기 제1 이송롤러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은 모니터용 LCD(Liquid Crystal Display) 편광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장치.
KR1020070135328A 2007-12-21 2007-12-21 편광필름 제조장치 KR10094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328A KR100948861B1 (ko) 2007-12-21 2007-12-21 편광필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328A KR100948861B1 (ko) 2007-12-21 2007-12-21 편광필름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614A KR20090067614A (ko) 2009-06-25
KR100948861B1 true KR100948861B1 (ko) 2010-03-22

Family

ID=4099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328A KR100948861B1 (ko) 2007-12-21 2007-12-21 편광필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8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6357A (ja) * 1994-12-13 1996-06-25 Ibiden Co Ltd 外観検査装置
KR200332159Y1 (ko) 2003-07-28 2003-11-07 김용래 로프콘베이어
JP2005300883A (ja) 2004-04-12 2005-10-27 Optrex Corp 偏光膜切断装置
KR20070036888A (ko) * 2005-09-30 2007-04-04 마이크로하이테크 주식회사 정전 대전 이송방식 편광필름 정밀 자동검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6357A (ja) * 1994-12-13 1996-06-25 Ibiden Co Ltd 外観検査装置
KR200332159Y1 (ko) 2003-07-28 2003-11-07 김용래 로프콘베이어
JP2005300883A (ja) 2004-04-12 2005-10-27 Optrex Corp 偏光膜切断装置
KR20070036888A (ko) * 2005-09-30 2007-04-04 마이크로하이테크 주식회사 정전 대전 이송방식 편광필름 정밀 자동검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614A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691B1 (ko) 캐리어 회전 장치
KR100971436B1 (ko) 기능성 필름 부착 시스템 및 그 방법
TWI393205B (zh) 基板搬送裝置及基板搬送方法
TW200811073A (en) Glass conveying apparatus
KR100948862B1 (ko) 편광필름 제조장치
JP3682396B2 (ja) 薄板状材の定点搬送装置
TWI717699B (zh) 輸送裝置及其輸送方法
KR20190079024A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0948861B1 (ko) 편광필름 제조장치
KR20140072988A (ko) 기판 이송 장치
JP2010155683A (ja) 基板搬送機構および基板処理装置
KR20120081911A (ko) 평면디스플레이용 유리 제거장치
US7762389B2 (en) Workpiece conveying mechanism and product line using the same
KR20110063016A (ko) 기판 이송 장치
KR20150130853A (ko) 방향전환장치가 구비된 글라스 이송장치
KR101493790B1 (ko) 소형 글라스 연마시스템에 사용되는 트레이 이송장치
KR100783069B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20100095841A (ko)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JP2009147283A (ja) 基板搬送装置
KR101873048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편광필름 부착장치
KR102221103B1 (ko) 광학 시트 제조 장치 및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KR20100024741A (ko) 이송장치
KR100939682B1 (ko) 평면디스플레이용 면취기
CN110817501B (zh) 输送装置
JP2008214033A (ja) 表示用パネル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