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133B1 - 박스의 장착부 - Google Patents

박스의 장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133B1
KR100948133B1 KR1020080020075A KR20080020075A KR100948133B1 KR 100948133 B1 KR100948133 B1 KR 100948133B1 KR 1020080020075 A KR1020080020075 A KR 1020080020075A KR 20080020075 A KR20080020075 A KR 20080020075A KR 100948133 B1 KR100948133 B1 KR 100948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mounting
box
mounting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015A (ko
Inventor
윤희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1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의 장착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박스본체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편(10)과 상기 장착편(10)의 장착공(11)에 결합되는 칼라(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공(11)은 장공형상으로 상기 장착편(10)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그 내면에는 상기 장착공(11)이 관통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의 가이드채널(13)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칼라(20)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채널(13)에 대응되는 가이드리브(23)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1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편(10)에 장공형상의 장착공(11)이 형성되므로 칼라(20)를 통과하는 체결구의 위치 설정이 어느 정도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박스를 차량 내부와 같은 설치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박스, 장착편, 칼라

Description

박스의 장착부{Mounting portion of box}
본 발명은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박스와 퓨즈박스 등의 박스를 고정부에 장착하기 위해 박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장착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 등에서 전장부품에 전원이나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정션박스나 퓨즈박스 등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정션박스나 퓨즈박스는 차량의 엔진룸이나 차실 내부 등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이를 위해 정션박스나 퓨즈박스의 외관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부가 구비된다. 즉, 박스본체(1)의 외면 일측에 장착편(3)이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3)은 박스본체(1)의 외면과 직교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3)은 상기 박스본체(1)와 일체로서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박스본체(1)와 동일 재질이다.
상기 장착편(3)은 대략 4각형의 판상이고, 그 중앙에 장착공(5)이 천공된다. 상기 장착공(5)을 관통하여서는 볼트나 나사 등이 설치된다. 상기 볼트나 나사는 박스가 장착되는 고정부에 체결된다.
상기 장착공(5)의 내면을 둘러서는 장착편(3)의 강도 보강을 위해 칼라(7)가 설치된다. 상기 칼라(7)는 상기 장착공(5)의 횡단면과 같은 형상을 갖는 것으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칼라(7)는 상기 볼트나 나사 등이 금속재질이므로, 금속재질의 볼트와 나사에 의해 장착공(5)의 내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칼라(7)는 상기 장착공(5)에 압입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칼라(7)는 상기 장착공(5)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칼라(7)가 장착공(5)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힘으로 압입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칼라(7)를 장착공(5)에 삽입하는 힘이 상대적으로 커야 하므로 칼라(7)를 장착공(5)에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압입과정에서, 금속재질인 칼라(7)가 합성수지재질인 장착공(5)주변을 손상시킬 우려도 있다.
또한, 작업자는 박스본체(1)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칼라(7)를 통과하여 장착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박스본체(1)를 어느 정도 유동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박스본체(1)가 설치되는 장착부의 환경에 따라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칼라(7)의 내경은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이러한 박스본체(1)의 위치 설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칼라(7)의 내경을 크게 하여 칼라(7)의 내부가 장공형상이 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렇게 되면 상기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칼라(7) 내부에서 유동될 염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칼라(7)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박스본체(1)의 재질인 합성수지에 비해 재료비가 비싸, 박스본체(1) 전체의 제조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를 고정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편의 장착공에 칼라를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편 내부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구의 위치 설정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칼라가 구비된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박스본체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장공형상의 장착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의 내면에는 상기 장착공이 관통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의 가이드채널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장착편과, 상기 장착편의 장착공에 삽입되고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채널에 대응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는 링형상의 칼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은 상기 장착공의 양측면을 따라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칼라의 양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칼라의 양측면에 각각 두 개씩 구비된다.
상기 칼라의 양측면에는 상기 장착공의 내측면에 접하는 결합면이 평면형상 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결합면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선단이 삽입되는 입구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선단을 지지하여 칼라의 삽입정도를 제한하는 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에는 상기 장착공을 둘러 감량홈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감량홈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된다.
상기 칼라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장착편은 박스본체 또는 커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장착편에 형성된 장착공에 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칼라에는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칼라가 장착공에 압입되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칼라의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장착편에 장공형상의 장착공이 형성되므로 칼라를 통과하는 체결구의 위치 설정이 어느 정도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박스를 차량 내부와 같은 설치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칼라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므로 박스의 제조비가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 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와 이에 결합되는 칼라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편의 구성이 다른 각도에서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박스본체에 대한 내용은 배경기술을 참조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박스본체에 구비되는 장착편과 칼라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박스본체의 외면에는 장착편(10)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10)은 상기 박스본체의 외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박스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들에 장착편(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편(10)은 상기 박스본체의 외면에 대략 직교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10)은 사각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10)의 중앙에는 장착공(1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11)은 아래에서 설명될 칼라(2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원통형상의 칼라(20)가 상기 장착공(11)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공(11)의 내면에는 가이드채널(1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13)은 상기 장착공(11)의 내면에 상기 장착공(11)이 관통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후술할 칼라(20)의 가이드리브(23)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채널(13)은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다수개가 형성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채널(13)에는 입구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부(13')는 가이드채널(13)의 일단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칼라(20)의 가이드리브(23)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채널(13)의 타단에는 고정부(13'')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3'')는 칼라(20)의 가이드리브(23)의 선단을 지지하여 칼라(20)의 삽입정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입구부(13')는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칼라(20)가 어느 정도 탄성변형되면서 가이드채널(13)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편(10)에는 상기 장착공(11)을 둘러 감량홈(15)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감량홈(15)은 상기 장착편(10)의 무게, 즉 박스의 전체무게를 줄이고 장착편(10)을 만들기 위한 재료를 절감하기 위한 일종의 살빼기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감량홈(15)에는 보강리브(16)가 구비되어, 감량홈(15)에 의해 장착편(10)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장착공(11)에는 칼라(20)가 삽입된다. 상기 칼라(20)는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되는 몸체(21)가 그 외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관통된다. 이는 상기 체결구가 상기 장착공(11)에 직접 죄어짐으로써, 장착편(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칼라(20)의 몸체(21) 내부에는 결합공(2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5)은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칼라(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칼라(20)의 몸체(21) 양측면에는 결합면(22)이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 기 결합면(22)은 상기 장착공(11)의 내면에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평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면(22)의 표면에는 가이드리브(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3)는 상기 장착공(11)의 가이드채널(13)에 삽입되어 상기 칼라(20)가 장착편(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리브(23)는 상기 결합면(22)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칼라(20)가 보다 견고하게 장착공(1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리브(23)는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결합면(22)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가이드리브(23)가 상기 가이드채널(13)에 삽입되었을 때, 그 선단이 상기 가이드채널(13)의 고정부(13'')에 걸어져 지지되므로, 상기 고정부(13'')로부터 상기 장착편(10)의 상면에 이르는 거리만큼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칼라(20)의 몸체(2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장공형상의 장착공(11) 내부에서 다양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장착공(11)이 장공형상으로 될 뿐 아니라, 상기 장착공(11)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채널(13)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5에는 상기 칼라(20)가 상기 장착공(11) 내부에서 도 3과는 다른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칼라(2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물론, 상기 칼라(20)는 단순한 합성수지재질 뿐 아니라, 섬유강화플라스틱과 같은 보다 강도가 강화된 재질로 만들어져, 금속재질의 체결구와의 접촉에 견고하게 견딜 수 있도록 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칼라(20)가 장착편(10)에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칼라(20)는 도 2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하방에서 상방으로 상기 장착편(10)의 장착공(1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칼라(20)의 가이드리브(23)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채널(13)의 입구부(13')를 통해 상기 가이드채널(13)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칼라(20)가 상기 가이드채널(13)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칼라(20)는 상기 가이드채널(13)의 고정부(13'')에 걸어져 그 삽입되는 정도가 규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칼라(20)가 상기 장착공(11)에 완전히 삽입되면,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칼라(20)의 상면 및 하면과 상기 장착편(10)의 상면 및 하면은 각각 연속된 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칼라(20)의 외면에는 결합면(22)이 평면형상으로 되어, 상기 칼라(20)의 내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리브(23)는 상기 칼라(20)의 양측면에 각각 두 개가 구비되므로 칼라(20)의 보다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박스를 차량의 내부와 같은 장착공간에 설치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작업자는 상기 체결구가 상기 칼라(20)의 결합공(25)을 통과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형성된 조립공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전동공구와 같은 강한 토크를 발생시키는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구를 회전시키게 되더라도, 상기 칼라(20)의 내주면에서 체결구가 회전하므로 장착편(10)이 직접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설사 상기 칼라(20)가 손상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의 조립공의 위치에 오차가 있어, 상기 박스가 정확하게 고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는 상기 칼라(20)를 상기 장착편(10)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장착공(11)의 다른 위치에 삽입하여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칼라(20)의 외면에 평면형상의 결합면(22)은 생략되고 상기 칼라(20)의 외주면이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리브(23)의 개수도 반드시 2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한 개 또는 3개 이상이 하나의 결합면(22)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편(10)은 박스본체 뿐 아니라 커버에도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와 이에 삽입되는 칼라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와 이에 결합되는 칼라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편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라가 장착공의 다른 위치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장착편 11: 장착공
13: 가이드채널 13': 입구부
13'': 고정부 15: 감량홈
16: 보강리브 20: 칼라
21: 몸체 22: 결합면
23: 가이드리브 25: 결합공

Claims (8)

  1. 박스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장공형상의 장착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의 내면에는 상기 장착공이 관통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의 가이드채널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장착편과,
    상기 장착편의 장착공에 삽입되고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채널에 대응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는 링형상의 칼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박스의 장착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채널은 상기 장착공의 양측면을 따라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칼라의 양측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장착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칼라의 양측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장착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의 양측면에는 상기 장착공의 내측면에 접하는 결합면이 평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결합면의 표면에 형성됨 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장착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채널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선단이 삽입되는 입구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선단을 지지하여 칼라의 삽입정도를 제한하는 고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장착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편에는 상기 장착공을 둘러 감량홈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감량홈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장착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장착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편은 박스본체 또는 커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장착부.
KR1020080020075A 2008-03-04 2008-03-04 박스의 장착부 KR100948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075A KR100948133B1 (ko) 2008-03-04 2008-03-04 박스의 장착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075A KR100948133B1 (ko) 2008-03-04 2008-03-04 박스의 장착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015A KR20090095015A (ko) 2009-09-09
KR100948133B1 true KR100948133B1 (ko) 2010-03-18

Family

ID=4129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075A KR100948133B1 (ko) 2008-03-04 2008-03-04 박스의 장착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1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649A (ko) * 2012-09-05 2014-03-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쉬 및 이를 사용한 장착브라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3911U (ko) * 1988-04-05 1990-03-05
JPH0547584U (ja) * 1991-10-08 1993-06-25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取付部材の振動遮断形取付構造
JP2002165328A (ja) 2000-11-24 2002-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の取り外し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3911U (ko) * 1988-04-05 1990-03-05
JPH0547584U (ja) * 1991-10-08 1993-06-25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取付部材の振動遮断形取付構造
JP2002165328A (ja) 2000-11-24 2002-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の取り外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015A (ko)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867B2 (en) Outside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JP4226622B2 (ja) 車両の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US20070120755A1 (en) Roof antenna for mounting on a vehicle roof with a central fastener between an outer cover and an intermediate cover
RU2596110C2 (ru) Формованный фиксатор в корпусе
US9849840B2 (en) Attaching structure for vehicle-mounted equipment
JP6089105B2 (ja) バッテリーセンサの位置決め具、これを備えるバッテリーセンサアッセンブリ、及びバッテリーセンサ
JP2009240115A (ja) 配線・配管材引出具
JP2011226508A (ja) ブラケット及び金属カラー
JP5784937B2 (ja) ボルト固定部構造
US9183999B2 (en) Vehicle push button switch
WO2016157793A1 (ja) 環状部材の固定構造及び電子キー
KR20090063498A (ko) 프론트엔드모듈캐리어의 라디에이터 어퍼마운팅부 구조
KR100948133B1 (ko) 박스의 장착부
KR20130095628A (ko) 건설기계의 운전석 루프용 방수 그로멧
JP4283136B2 (ja) 固定構造、プロテ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US20140300062A1 (en) Seal Structure
KR102010616B1 (ko) 루프랙 체결용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루프랙 조립체
CN114427559A (zh) 阻尼装置、具有阻尼装置的部件及相应的部件连接、制造方法和连接方法
KR102042650B1 (ko) 차량용 램프의 조립 구조
KR100922155B1 (ko) 박스의 브라켓
KR100734052B1 (ko) 박스의 장착부
CN110832153A (zh) 带有钉保持部的型材轨道端盖
JP5584009B2 (ja) 車両用組付部品
KR20120001399U (ko) 부품장착장치
KR100528009B1 (ko) 차량용 엔진커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