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399U - 부품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부품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399U
KR20120001399U KR2020100008653U KR20100008653U KR20120001399U KR 20120001399 U KR20120001399 U KR 20120001399U KR 2020100008653 U KR2020100008653 U KR 2020100008653U KR 20100008653 U KR20100008653 U KR 20100008653U KR 20120001399 U KR20120001399 U KR 201200013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racket
mounting bracket
channe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8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399U/ko
Publication of KR201200013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3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품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부품몸체(10)에 장착브라켓(20)이 상면방향에서 결합되거나 하면방향에서 결합되어 부품몸체(10)가 다양한 장착환경에서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부품몸체(10)에는 가이드리브(12)가 두 줄이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부품몸체(10)의 상면과 하면으로 모두 개방되게 후크채널(16)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채널(16)의 내부에는 상단걸이공(18)과 하단걸이공(1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20)의 골격을 브라켓몸체(22)가 형성하는데, 상기 브라켓몸체(22)에는 상기 후크채널(16)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체결후크(2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12)가 삽입되는 리브채널(24)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몸체(22)에는 체결편(30)이 브라켓몸체(22)의 중간부를 벗어난 영역에 직교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30)에는 체결공(32)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몸체(22)의 일단부에는 스토퍼(36)가 형성되어 상기 부품몸체(10)의 상면과 하면에 지지되어 장착브라켓(20)의 설치 위치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장착브라켓(20)을 부품몸체(10)에 장착하는 방향을 달리하여 체결편(30)의 위치를 부품몸체(10)에 대해 달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부품장착장치{Mounting apparatus for parts}
본 고안은 부품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착브라켓을 부품몸체에 다른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이 장착되는 구조가 달라지더라도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부품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 등에서 전장부품에 전원이나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박스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박스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되어 차량의 엔진룸이나 차실 내부 등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상기 박스를 엔진룸이나 차실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장착브라켓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장착브라켓은 박스외에도 다양한 부품을 다른 부분에 장착할 때, 사용된다.
도 1에는 차량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정션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박스의 외관 및 골격은 박스몸체(2)가 형성한다. 상기 박스몸체(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되고, 퓨즈나 릴레이와 같은 전장품이 실장된다.
상기 박스몸체(2)의 외면에는 걸이턱(3)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7)의 걸이후크(8)와 대응되는 것으로, 걸이후크(8)가 걸어져 박스몸체(2)와 커버(7)가 결합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턱(3)은 상기 박스몸체(2)의 외면을 둘러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박스몸체(2)의 외면에는 지지리브(4)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4)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7)의 스커트부(9)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박스몸체(2)와 커버(7)의 조립과정에서 커버(7)의 선단이 어긋나지 않고, 박스몸체(2)의 외면에 정확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박스몸체(2)의 외면에는 장착브라켓(5)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브라켓(5)은 상기 박스가 차량의 내부 등과 같은 설치장소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몸체(2)의 외면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박스몸체(2)에는 커버(7)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7)는 상기 박스몸체(2)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몸체(2)에 실장된 전장품을 차폐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7)에는 걸이후크(8)가 구비되어, 상기 박스몸체(2)의 걸이턱(3)에 걸어진다.
상기 커버(7)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스커트부(9)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커트부(9)는 상기 박스몸체(2)의 지지리브(4)에 안착되어, 커버(7)와 박스몸체(2)가 어긋나지 않고 서로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박스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다른 차종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박스가 장착되는 위치가 차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부품 구성은 동일하지만 상기 장착브라켓(5)의 형상이 달라져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경우에 전체 박스몸체(2)를 별도로 만들어 박스를 구성했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하는 경우에 박스몸체(2)를 포함하는 박스를 구성하는 커버(7) 등을 모두 별도의 금형에서 생산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박스몸체(2)가 장착되는 차체의 구성에서 상기 장착브라켓(5)이 체결되는 높이만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장착브라켓(5)이 높이가 다른 위치에 있는 박스몸체(2)를 각각 별도로 만들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5)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므로 차체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전동공구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장착브라켓(5)이 파손되면 전체 박스몸체(2)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착브라켓을 부품몸체와 별개로 만들어 착탈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특히 장착브라켓이 고정부와 결합되는 높이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착브라켓을 부품몸체와 별개로 만들어 착탈가능하게 하여 장착브라켓이 손상되는 경우에 장착브라켓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부품몸체와, 상기 부품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브라켓몸체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몸체의 중간부를 벗어난 위치에 체결편이 형성되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품몸체와 장착브라켓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후크채널과 상기 후크채널의 내부에 삽입되어 후크채널 내부의 상단걸이공이나 하단걸이공에 체결되는 체결후크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부품몸체와 장착브라켓이 서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부품몸체와 장착브라켓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가이드리브가 삽입되는 리브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부품몸체와 장착브라켓 사이의 결합을 안내한다.
상기 장착브라켓의 브라켓몸체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부품몸체의 상면이나 하면에 걸어져 장착브라켓의 설치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리브채널은 양단부가 각각 상기 부품몸체나 장착브라켓의 상하면 모두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의 양측면 및 브라켓몸체의 양측면에 동시에 연결되게 삼각형 판형상의 보강편이 더 구비된다.
상기 체결편은 상기 브라켓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와 리브채널은 상기 장착브라켓의 브라켓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와 후크채널은 상기 부품몸체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는 후단부가 상기 브라켓몸체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체결후크의 선단부는 상기 브라켓몸체의 중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데, 체결후크의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턱은 상기 브라켓몸체의 외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부품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부품몸체를 고정부에 결합시키는 장착브라켓을 분리가능하게 하고 양방향으로 부품몸체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부품몸체를 차체에 결합시키는 높이를 하나의 장착브라켓을 사용하여 변경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장착환경에 맞춰 여러개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부품을 장착브라켓의 결합방향을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장착브라켓이 부품몸체와 별개로 만들어지므로, 장착브라켓이 파손되더라도 부품몸체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부품의 유지보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부품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장착브라켓을 부품몸체에 도 3과 반대방향으로 결합한 것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장착브라켓이 부품몸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설치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부품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부품몸체(10)에는 가이드리브(12)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2)는 본 실시예에서 2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2)는 상기 부품몸체(10)에서 직립되게 돌출되는 연결부(13)와 상기 연결부(13)와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13)의 상단에서 양측방향으로 소정폭 연장된 걸이부(14)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2)는 그 양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다른 돌출구조가 없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브라켓(20)의 브라켓몸체(22)가 부품몸체(10)에 결합될 때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장착브라켓(20)이 부품몸체(10)의 상면 상부에서도 부품몸체(10)에 결합될 수 있고, 하면 하부에서도 결합될 수 있게 되려면 가이드리브(12)의 양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브라켓몸체(22)와 간섭되는 구조가 없어야 한다.
상기 부품몸체(10)에는 또한 후크채널(16)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채널(16)은 상기 부품몸체(10)에 상기 가이드리브(12)의 형성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부품몸체(10)의 상면과 하면으로 개방되게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크채널(16)의 내부에는 상기 후크채널(16)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게 상단걸이공(18)과 하단걸이공(1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걸이공(18)은 상기 후크채널(16)의 상단 입구에서 소정 거리 떨어져 있고, 상기 하단걸이공(18')은 상기 후크채널(16)의 하단 입구에서 소정 거리 떨어져 있다. 이때, 상단걸이공(18)과 하단걸이공(18')이 각각의 후크채널(16)의 입구에서 떨어진 거리는 동일하게 된다.
상기 부품몸체(10)에는 장착브라켓(20)이 장착된다. 상기 장착브라켓(20)의 골격을 브라켓몸체(22)가 형성한다. 상기 브라켓몸체(22)에는 상기 가이드리브(12)가 삽입되는 리브채널(24)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리브채널(24)의 형성방향은 상기 가이드리브(12)의 연장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리브채널(24)은 상기 가리드리브(12)의 횡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다. 즉, 리브채널(24)의 내부의 폭은 상기 가이드리브(12)의 걸이부(14)의 폭과 같거나 크게 되고 상기 리브채널(24)의 입구의 폭은 상기 연결부(13)의 폭과 같거나 크게 된다.
상기 리브채널(24)은 상기 브라켓몸체(22)의 상면과 하면으로 모두 개방되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장착브라켓(20)을 상기 부품몸체(10)에 상부로부터 또는 하부로 부터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장착브라켓(20)의 브라켓몸체(22)중 상기 부품몸체(10)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체결후크(26)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26)는 상기 후크채널(1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후크(26)는 상기 양측 리브채널(24)의 사이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체결후크(26)는 상기 부품몸체(10)의 외면을 따라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선단에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턱(2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28)은 상기 상단걸이공(18)이나 하단걸이공(18')에 걸어지는 것이다. 상기 체결턱(28)은 상기 브라켓몸체(22)의 외면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체결후크(26)의 후단부는 상기 브라켓몸체(22)의 단부쪽에서 브라켓몸체(22)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후크(26)의 후단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체결편(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후크(26)의 선단부는 상기 브라켓몸체(22)의 중간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20)의 브라켓몸체(22)에는 상기 체결후크(26)가 형성된 반대쪽에 체결편(3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30)은 상기 브라켓몸체(22)의 일단부에 치우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장착브라켓(20)을 반대로 부품몸체(10)에 장착했을 때, 체결편(30)의 위치가 부품몸체(10)에 대해 달라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제로 상기 체결편(30)은 상기 부품몸체(10)의 중간부분이 아닌 중간부분에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체결편(30)은 상기 브라켓몸체(22)에서 직립되게 연장되어 형성된 판형상이다. 상기 체결편(30)에는 체결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32)을 관통하여서는 장착브라켓(20)을 차체의 패널 등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공(32)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이 개방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즉, 체결공(32)이 정원으로 되거나, 타원형으로 될 수 있으며, 그 내면에 금속재로 된 부싱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편(30)의 양단에는 상기 체결편(30)의 양측면에 직교하는 동시에 상기 브라켓몸체(22)에 직교하게 보강편(34)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편(34)은 대략 삼각형의 판상으로 상기 체결편(3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라켓몸체(22)에는 스토퍼(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36)는 상기 체결후크(26)가 상기 브라켓몸체(22)와 연결된 부분 근처에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리브채널(24)의 일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브라켓몸체(22)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36)는 상기 부품몸체(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안착되어 상기 장착브라켓(20)이 설치되는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토퍼(36)는 상기 체결후크(26)의 후단 양측에 각각 하나씩 두개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부품장착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장착브라켓(20)은 상기 부품몸체(10)의 상면쪽에서 결합되거나 하면쪽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브라켓(20)의 체결편(30)이 상기 장착브라켓(20)의 브라켓몸체(22)의 중간부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착브라켓(20)의 장착방향에 따라, 부품몸체(10)에 대해 상기 체결편(30)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도 3 및 도 5의 (a)에는 장착브라켓(20)이 부품몸체(10)의 상면쪽에서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의 (b)에는 장착브라켓(20)이 부품몸체(10)의 하면쪽에서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장착브라켓(20)이 부품몸체(10)의 상면쪽에서 결합되는 것을 살펴본다. 이때에는 상기 체결편(30)이 상기 부품몸체(10)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후크(26)의 선단이 상기 부품몸체(10)의 상면쪽에 있는 후크채널(16)의 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기 리브채널(24)은 각각 상기 가이드리브(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후크(26)를 상기 후크채널(16)에 삽입하고, 상기 리브채널(24)에 상기 가이드리브(12)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로 상기 장착브라켓(20)을 부품몸체(10)에 대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가이드리브(12)는 상기 리브채널(24)의 내부로 더 삽입되고, 상기 체결후크(26)는 상기 후크채널(16)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장착브라켓(20)의 이동은 상기 스토퍼(36)가 상기 부품몸체(1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체결후크(26)의 체결턱(28)이 상기 후크채널(16) 내부의 상단걸이공(18)에 걸어질 때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36)가 부품몸체(10)의 상면에 걸어지고 상기 체결후크(26)의 체결턱(28)이 상단걸이공(18)에 걸어진 상태가 되면 상기 장착브라켓(20)이 상기 부품몸체(1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장착브라켓(20)이 상기 부품몸체(10)의 하면쪽에서 결합되는 것을 살펴본다. 이때에는 상기 체결편(30)이 상기 부품몸체(10)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후크(26)의 선단이 상기 부품몸체(10)의 하면쪽에 있는 후크채널(16)의 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리브채널(24)도 각각 상기 가이드리브(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후크(26)를 상기 후크채널(16)에 삽입하고, 상기 리브채널(24)에 상기 가이드리브(12)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장착브라켓(20)을 부품몸체(10)에 대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가이드리브(12)는 상기 리브채널(24)의 내부로 더 삽입되고, 상기 체결후크(26)는 상기 후크채널(16)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장착브라켓(20)의 이동은 상기 스토퍼(36)가 상기 부품몸체(10)의 하면에 안착되고, 상기 체결후크(26)의 체결턱(28)이 상기 후크채널(16) 내부의 하단걸이공(18')에 걸어질 때까지 이루어진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브라켓(20)이 부품몸체(10)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체결편(30)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장착브라켓(20)이 장착된 부품몸체가, 예를 들어 다른 장착환경을 가지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20)에서 상기 체결편(30)의 위치를 달리한 것을 다양하게 구비하면, 다양한 장착환경에 대해 부품몸체(10)의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리브(12)와 리브채널(24)의 형성위치는 서로 반대로 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리브(12)가 상기 브라켓몸체(22)에 형성되고 상기 리브채널(24)이 상기 부품몸체(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리브(12)와 리브채널(24)이 부품몸체(10)와 브라켓몸체(22)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부품몸체(10)의 일측에는 가이드리브(12)가 타측에는 리브채널(24)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브라켓몸체(22)에는 상기 부품몸체(10)의 가이드리브(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리브채널(24)이 형성되고 리브채널(24)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리브(12)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후크(26)와 후크채널(16)도 역시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각각 반대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체결후크(26)가 부품몸체(10)에 구비되고, 상기 후크채널(16)이 상기 장착브라켓(20)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36)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체결후크(26)의 체결턱(28)이 상기 걸이공(18,18')에 걸어진 상태로 상기 장착브라켓(20)이 부품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면 스토퍼(36)가 없어도 상관없다.
10: 부품몸체 12: 가이드리브
13: 연결부 14: 걸이부
16: 후크채널 18: 상단걸이공
18': 하단걸이공 20: 장착브라켓
22: 브라켓몸체 24: 리브채널
26: 체결후크 28: 체결턱
30: 체결편 32: 체결공
34: 보강리브 36: 스토퍼

Claims (7)

  1. 부품몸체와,
    상기 부품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브라켓몸체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몸체의 중간부를 벗어난 위치에 체결편이 형성되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품몸체와 장착브라켓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후크채널과 상기 후크채널의 내부에 삽입되어 후크채널 내부의 상단걸이공이나 하단걸이공에 체결되는 체결후크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부품몸체와 장착브라켓이 서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부품몸체와 장착브라켓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가이드리브가 삽입되는 리브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부품몸체와 장착브라켓 사이의 결합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의 브라켓몸체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부품몸체의 상면이나 하면에 걸어져 장착브라켓의 설치위치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장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채널은 양단부가 각각 상기 부품몸체나 장착브라켓의 상하면 모두로 개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장착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의 양측면 및 브라켓몸체의 양측면에 동시에 연결되게 삼각형 판형상의 보강편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장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상기 브라켓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장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와 리브채널은 상기 장착브라켓의 브라켓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와 후크채널은 상기 부품몸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장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는 후단부가 상기 브라켓몸체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체결후크의 선단부는 상기 브라켓몸체의 중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데, 체결후크의 선단부에 형성된 체결턱은 상기 브라켓몸체의 외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장착장치.
KR2020100008653U 2010-08-19 2010-08-19 부품장착장치 KR201200013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653U KR20120001399U (ko) 2010-08-19 2010-08-19 부품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653U KR20120001399U (ko) 2010-08-19 2010-08-19 부품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99U true KR20120001399U (ko) 2012-02-29

Family

ID=4593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653U KR20120001399U (ko) 2010-08-19 2010-08-19 부품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39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55U (ko) * 2017-11-21 2019-05-2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KR20190057996A (ko) * 2017-11-21 2019-05-2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55U (ko) * 2017-11-21 2019-05-2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KR20190057996A (ko) * 2017-11-21 2019-05-2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5784B2 (ja) 電気接続箱
JP4869814B2 (ja) ドアライニングの固定構造および固定方法
KR200449875Y1 (ko) 박스
US9255635B2 (en) Fastening device on the underbody of a motor vehicle
US9085330B2 (en) Fairing mounting assembly
JP5067175B2 (ja) 車載用の電気接続箱
US10457238B2 (en) Impact absorber
KR20090008655U (ko)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KR100974746B1 (ko) 정크션 박스 마운팅 브라켓
JPWO2013187490A1 (ja) 荷重伝達部材及び自動車用ドアへの荷重伝達部材取付構造
JP201107208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KR20120001399U (ko) 부품장착장치
JP6440124B2 (ja) 電気接続箱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ブラケット付電気接続箱
US20220161680A1 (en) Device for installing traction batteries, a system and a vehicle
CN104340130B (zh) 一种物品固定吊钩总成
WO2015053240A1 (ja) ボックス
JP5464731B2 (ja)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および電気接続箱
US5484034A (en) Motor vehicl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CN109591741B (zh) 保险杠安装结构和车辆
CN205791045U (zh) 电器柜
CN203441881U (zh) 卡扣、窗帘导轨固定结构与车辆
CN204172799U (zh) 一种物品固定吊钩总成
KR100995273B1 (ko) 박스
CN204402662U (zh) 发动机的附件支架及发动机
CN211623000U (zh) 发动机罩锁的安装结构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