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052B1 - 박스의 장착부 - Google Patents

박스의 장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052B1
KR100734052B1 KR1020060076222A KR20060076222A KR100734052B1 KR 100734052 B1 KR100734052 B1 KR 100734052B1 KR 1020060076222 A KR1020060076222 A KR 1020060076222A KR 20060076222 A KR20060076222 A KR 20060076222A KR 100734052 B1 KR100734052 B1 KR 100734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hole
collar
mounting
hook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의 장착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박스본체(10)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장착공(14)이 관통되어 천공되는 장착편(12)과, 상기 장착편(12)의 장착공(14)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절결부(22)가 형성되는 링형상의 칼라(20)와, 상기 장착공(14)의 내면과 상기 칼라(20)의 외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걸어지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2쌍 이상의 걸이채널(16,16')과 걸이돌기(24,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채널중 일부는 상기 장착공의 일측 입구를 향해 소정 거리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이채널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장착공의 타측 입구를 향해 소정 거리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에 의하면 장착부의 보강을 위한 칼라가 장착공에 보다 쉬우면서도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되어 장착부를 보다 쉽게 보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박스, 장착, 보강, 칼라

Description

박스의 장착부{Mounting portion of box}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장착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장착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박스본체 12: 장착편
14: 장착공 16,16': 걸이채널
18: 쳄퍼 20: 칼라
22: 절결부 24,24': 걸이돌기
본 발명은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박스와 퓨즈박스 등의 박스를 고정부에 장착하기 위해 박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장착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 등에서 전장부품에 전원이나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정션박스나 퓨즈박스 등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정션박스나 퓨즈박스는 차량의 엔진룸이나 차실 내부 등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이를 위해 정션박스나 퓨즈박스의 외관 일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부가 구비된다. 즉, 박스본체(1)의 외면 일측에 장착편(3)이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3)은 박스본체(1)의 외면과 직교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3)은 상기 박스본체(1)와 일체로서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박스본체(1)와 동일 재질이다.
상기 장착편(3)은 대략 4각형의 판상이고, 그 중앙에 장착공(5)이 천공된다. 상기 장착공(5)을 관통하여서는 볼트나 나사 등이 설치된다. 상기 볼트나 나사는 박스가 장착되는 고정부에 체결된다.
상기 장착공(5)의 내면을 둘러서는 장착편(3)의 강도 보강을 위해 칼라(7)가 설치된다. 상기 칼라(7)는 상기 장착공(5)의 횡단면과 같은 형상을 갖는 것으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칼라(7)는 상기 볼트나 나사 등이 금속재질이므로, 금속재질의 볼트와 나사에 의해 장착공(5)의 내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칼라(7)는 상기 장착공(5)에 압입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칼라(7)는 상기 장착공(5)에 압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칼라(7)가 상기 장착공(5)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칼라(7)가 상기 장착공(5)에 압입되는 정도가 정확히 조절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칼라(7)를 상 기 장착공(5)에 정확하게 압입시켜 두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즉, 칼라(7)가 쉽게 장착공(5)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힘으로 압입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칼라(7)를 장착공(5)에 삽입하는 힘이 상대적으로 커야 하므로 칼라(7)를 장착공(5)에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칼라(7)를 상기 장착공(5)에 상대적으로 쉽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칼라(7)가 장착공(5)에 압입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되면 칼라(7)가 상기 장착공(5)에서 쉽게 탈거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를 고정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편의 장착공에 칼라를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박스본체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장착공이 관통되어 천공되는 장착편과, 상기 장착편의 장착공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절결부가 형성되는 링형상의 칼라와, 상기 장착공의 내면과 상기 칼라의 외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걸어지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2쌍 이상의 걸이채널과 걸이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채널중 일부는 상기 장착공의 일측 입구를 향해 소정 거리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이채널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장착공의 타측 입구를 향해 소정 거리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의 적어도 일측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쳄퍼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은 상기 장착공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돌기는 상기 칼라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칼라의 절결부는 상기 칼라가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소정의 틈새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은 상기 장착공의 내부에 소정 길이만큼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은 각각 상기 장착공의 양측 입구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에 의하면 장착부의 보강을 위한 칼라가 장착공에 보다 쉬우면서도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되어 장착부를 보다 쉽게 보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장착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장착부의 구성이 단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본체(10)는 박스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박스본체(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결합되어 하나의 박스가 될 수 있다.
상기 박스본체(10)의 외면에는 장착편(12)이 설치된다. 상기 장착편(12)은 상기 박스본체(10)의 외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커버들에 장착편(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편(12)은 상기 박스본체(10)의 외면에 대략 직교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12)은 사각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12)의 중앙에는 장착공(14)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14)은 본 실시예에서 그 횡단면이 타원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장착공(14)의 횡단면이 반드시 타원형상일 필요는 없고 원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장착공(14)의 내면에는 제1 및 제2 걸이채널(16,1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16,16')은 상기 장착공(14)의 중간부분에서 양측 입구까지 각각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걸이채널(16,16')은 장착공(14)의 내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데, 그 중 제1걸이채널(16)은 장착공(14)의 내면 중간부분에서 장착편(12)의 상면에 해당되는 입구까지 연장되고, 제2걸이채널(16')은 상기 장착편(12)의 하면에 해당되는 입구까지 연장된다. 상기 걸이채널(16,16')중 장착공(14)의 중간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까지 각각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걸이채널(16,16')은 2개가 형성되는 본 실시예와 달리 4개, 6개 또는 8개 등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걸이채널(16,16')은 서로 대칭이고 장착공(14)의 양측 입구까지 연장되는 것이 번갈아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16,16')이 반드시 짝수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홀수로 형성되는 것보다는 짝수로 형성되는 것이 힘이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견딜 수 있는 힘의 세기가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14)의 적어도 일측 입구에는 쳄퍼(1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쳄퍼(18)는 상기 장착공(14) 입구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 경사부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칼라(20)가 상기 장착공(14)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쳄퍼(18)가 상기 장착편(12)의 하면에 해당되는 입구 가장자리에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14)에는 칼라(20)가 압입된다. 상기 칼라(20)는 상기 장착공(14)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타원형 링모양이다. 상기 칼라(20)에는 절결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절결부(22)는 상기 칼라(20)가 상기 장착공(14)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잘라져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칼라(20)가 탄성변형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칼라(20)의 외면에는 상기 걸이채널(16,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 걸이돌기(24,24')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24,24')는 상기 걸이채널(16,16')에 걸어져 칼라(20)가 상기 장착공(14)의 내부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걸이돌기(24)가 상기 제1걸이채널(16)의 일측 끝부분에 걸어져 장착편(12)의 하방향으로 칼라(2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걸이돌기(24')가 상기 제2걸이채널(126')의 일측 끝부분에 걸어져 장착편(12)의 상방향으로 칼라(2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걸이돌기(24,24')는 상기 걸이채널(16,16')과 대응되는 갯수와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걸이채널(16,16')과 걸이돌기(24,24')는 서로 반대위치에 형성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걸이채널(16,16')이 칼라(20)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돌기(24,24')가 상기 장착공(140의 내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칼라(20)가 상기 장착편(12)의 장착공(14)에 압입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쳄퍼(18)가 형성되어 있는 장착편(12)의 장착공(14) 입구에 상기 칼라(2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칼라(20)는 상기 절결부(22)가 상대적으로 넓게 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제2걸이돌기(24')가 상기 제2걸이채널(16')의 입구에 위치되어야 한다.
상기 칼라(20)가 상기 장착공(14)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칼라(2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칼라(20)는 상기 쳄퍼(18)를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절결부(22)의 틈새가 줄어들도록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제2걸이돌기(24')는 상기 제2걸이채널(16')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제1걸이돌기(24)는 상기 장착공(14)의 내면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제1걸이돌기(24)가 상기 장착공(14)의 내면을 따라 안내됨으로 인해 상기 칼라(20)는 상기 절결부(22)의 틈새가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절결부(22)의 틈새가 없도록 된다.
상기 칼라(20)가 상기 장착공(14)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제1 및 제2 걸이돌기(24,24')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걸이채널(16,16')의 내측에 걸어지도록 된다. 즉, 상기 장착공(14)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던 제1걸이돌기(24)가 상기 제1걸이채널(16)에 안착되면서 칼라(20)가 어느 정도 복원된다. 물론, 칼라(20)의 탄성변형상태가 완전히 복원되지는 않고 일부 복원되어 상기 칼라(20)의 외면이 장착공(14)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절결부(22)의 틈새가 칼라(20)가 장착공(14)의 외부에 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칼라(20)가 상기 장착공(14)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칼라(20)가 상기 장착공(14)에 압입된 상태이어서 장착공(14)에서 쉽게 빠지지 않기도 하지만, 상기 제1걸이돌기(24)이 상기 제1걸이채널(16)의 일측 단부에 걸어지고, 상기 제2걸이돌기(24')가 상기 제2걸이채널(16')의 일측 단부에 걸어짐에 의해 양측 입구중 어느 쪽으로도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칼라(20)가 상기 장착공(14)의 내부에 장착되면, 상기 칼라(2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것이고, 상기 장착공(14)이 형성된 장착편(12)은 합성수지재질이어서, 상기 장착편(12)의 장착공(14)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장착편(12)의 장착공(14)을 관통하여서는 볼트나 나사가 관통하여 박스가 장착되어야 할 고정부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볼트와 나사가 고정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장착편(12)에 장착력을 작용하는데, 이와 같은 장착력은 상기 칼라(20)에도 작용하면서, 상기 장착편(12)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걸이채널(16,16')은 반드시 상기 장착공(14)의 양측 입구까 지 연장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걸이채널(16,16')을 상기 장착공(14)의 중간 부분에 상기 걸이돌기(24,24')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정도로만 형성하여도 된다. 하지만, 이 경우 상기 걸이돌기(24,24')가 상기 걸이채널(16,16')에 안착될 때까지, 걸이돌기(24,24')가 상기 장착공(14)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야 하므로, 상기 칼라(20)의 탄성변형정도가 더 커져야 하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이채널(16,16')을 상기 장착공(24)의 양측 입구를 향해 어느 정도의 거리에 걸쳐서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장착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장착편의 장착공에 칼라를 압입함에 있어, 칼라가 장착공에서 빠질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장착공과 칼라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걸이채널과 걸이돌기를 사용하여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칼라가 상기 장착편의 장착공에 압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칼라가 장착편의 장착공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되어 장착편을 보다 확실하게 보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박스본체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장착공이 관통되어 천공되는 장착편과,
    상기 장착편의 장착공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절결부가 형성되는 링형상의 칼라와,
    상기 장착공의 내면과 상기 칼라의 외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걸어지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2쌍 이상의 걸이채널과 걸이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채널중 일부는 상기 장착공의 일측 입구를 향해 소정 거리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이채널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장착공의 타측 입구를 향해 소정 거리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장착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의 적어도 일측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쳄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장착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채널은 상기 장착공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돌기는 상기 칼라의 외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장착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의 절결부는 상기 칼라가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소정의 틈새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박스의 장착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채널은 상기 장착공의 내부에 소정 길이만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장착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채널은 각각 상기 장착공의 양측 입구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장착부.
KR1020060076222A 2006-08-11 2006-08-11 박스의 장착부 KR100734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222A KR100734052B1 (ko) 2006-08-11 2006-08-11 박스의 장착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222A KR100734052B1 (ko) 2006-08-11 2006-08-11 박스의 장착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052B1 true KR100734052B1 (ko) 2007-07-02

Family

ID=3850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222A KR100734052B1 (ko) 2006-08-11 2006-08-11 박스의 장착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0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3949A (ja) * 1993-12-28 1995-07-28 Yazaki Corp 電線固定具
KR970051626A (ko) * 1995-12-29 1997-07-29 한승준 자동차의 퓨즈 박스 커버용 잠금장치
JP2004208429A (ja) 2002-12-25 2004-07-22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のアース接続構造
JP2004253759A (ja) 2002-12-24 2004-09-0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制御回路基板及び回路構成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3949A (ja) * 1993-12-28 1995-07-28 Yazaki Corp 電線固定具
KR970051626A (ko) * 1995-12-29 1997-07-29 한승준 자동차의 퓨즈 박스 커버용 잠금장치
JP2004253759A (ja) 2002-12-24 2004-09-0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制御回路基板及び回路構成体
JP2004208429A (ja) 2002-12-25 2004-07-22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のアース接続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556B1 (ko) 실린더의 위치검출스위치 설치구
KR100734052B1 (ko) 박스의 장착부
KR101694264B1 (ko) 패스너의 유동을 방지하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JP4283136B2 (ja) 固定構造、プロテ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US20030228205A1 (en) Device for fastening molded or extruded plastics parts,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otive body by positive locking
KR20180066349A (ko) 자동차용 선루프 장착용 파스너
PL178225B1 (pl) Układ do mocowania montażowego urządzeń elektroinstalacyjnych
KR100948133B1 (ko) 박스의 장착부
KR100804279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100922155B1 (ko) 박스의 브라켓
KR950034929A (ko) 기판 고정기구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
US6971708B2 (en) Fixing structure of protector
KR20100114366A (ko) 커넥터조립체
KR200264495Y1 (ko) 전자제품의파워코드스토퍼설치구조
KR100602656B1 (ko) 자동차의 사출물 체결구조
KR101984114B1 (ko) 어시스트 핸들을 차체판넬에 고정하는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는 암나사 기능을 가진 클립
KR100773836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100774759B1 (ko) 후드 릴리이즈 케이블 연결구조
KR100673609B1 (ko) 조인트박스의 링터미널용 너트설치구조
KR0130457Y1 (ko) 패키지 트레이 어셈블리
KR200338635Y1 (ko) 마운팅 클립장치
CN116264379A (zh) 连接件
KR0129063Y1 (ko) 스마트 카드 케이스의 장착구조
KR0129510Y1 (ko) 더미스터 클램프
KR20080004321U (ko) 정션박스의 커버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