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635Y1 - 마운팅 클립장치 - Google Patents

마운팅 클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635Y1
KR200338635Y1 KR20-2003-0033537U KR20030033537U KR200338635Y1 KR 200338635 Y1 KR200338635 Y1 KR 200338635Y1 KR 20030033537 U KR20030033537 U KR 20030033537U KR 200338635 Y1 KR200338635 Y1 KR 200338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ok
clip device
mount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후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성산업(주) filed Critical 후성산업(주)
Priority to KR20-2003-0033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6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운팅 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이스트 라인 몰딩이 자동차 패널에 조립될 때, 협소한 공간에서도 장착이 가능하도록 밑판의 장착높이를 감소시키고, 클립의 조립 후 클립의 회전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몰딩의 내측에 부착된 끼움블록에 걸릴 수 있게 후크가 형성된 마운팅 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립장치는 클립 고정 후드를 후드판의 양단에 설치하고 밑판을 바로 후드판에 연결함으로써 기존 클립장치의 형상으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협소한 공간(조립 높이)에 클립장치의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후크판의 홈부와 밑판의 상부가 끼움블록 상판의 상/하단면에 각각 접하게 하여 클립장치 조립 후 클립의 회전 및 유동방지로 자동차 패널과 몰딩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통 측부에 한쌍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몰딩에 대한 패널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으며, 몸통과 패널의 장착구 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을 보상하여 결합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운팅 클립장치{A Mounting Clip Device}
본 고안은 자동차의 마운팅 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이스트 라인 몰딩이 자동차 패널에 조립될 때, 협소한 공간에서도 장착이 가능하도록 밑판의 장착높이를 감소시키고, 클립의 조립후 클립의 회전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몰딩의 내측에 부착된 끼움블록에 걸릴 수 있게 후크가 형성된 마운팅 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보디 판넬중 차문의 측부에는 일종의 몰딩이 부착되어 있는데, 이를 웨이스트 라인 몰딩(Waist Line Molding)이라 한다. 이러한, 웨이스트 라인 몰딩은 자동차 측면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역할을 하도록 장착되었지만, 이보다는 자동차의 측면 특히, 차문의 측면에 부착되어 소정의 장식효과를 발현하는데 더 큰 비중으로 작용한다.
아울러, 자동차의 문에 해당하는 패널은 웨이스트 라인 몰딩이 조립되도록 측면을 따라 길게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을 따라 마운팅 클립장치의 결합을 위한 장착구들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마운팅 클립장치는 몰딩과 패널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일종의 조립매개 장치로서, 우선 몰딩의 끼움블록에 일측을 체결하여 고정한 뒤, 클립기능이 있는 타측을 패널에 형성된 장착구에 끼워넣어 결합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운팅 클립장치를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마운팅 클립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마운팅 클립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마운팅 클립장치(10)는 몸통(1), 날개(3), 리브(4), 플랜지(5), 밑판(7) 및 플랜지(5)와 밑판(7)을 연결하는 연결부(9)로 구성된다.
플랜지(5)는 밑판(7)과 같은 사각의 판재인데, 밑판(7)보다는 넓이가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플랜지(5)를 몰딩 내측에 부착되어 있는 끼움블록(11)의 상판(11b) 위로 미끌리도록 하고 연결부(9)를 진입구(11a)를 향하도록 하면 자연히 밑판(7)은 상판(11b)의 하면을 따라 미끌려 진입하게 된다. 진입이 끝나면, 몸통(1)을 자동차 패널(13)의 장착구(13a)에 삽입하게 된다.
몸통(1)에는 날개(3)와 리브(4)가 결합되어 있고 자동차의 장착구(13a)로 삽입될 때 중심축이 된다. 날개(3)는 몸통(1)에 대해 안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일측이 몸통(1)에 결합되고, 타측은 몸통(1)에 대해 소정거리를 유지한다. 이러한 날개(3)는 장착구(13a)로 클립장치(1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걸림부(3a)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마운팅 클립장치(10)에서는 몰딩의 끼움블록(11)과 결합되는 부분이 플랜지(5), 밑판(7) 및 연결부(9)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좁은 공간에서 작업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플랜지(5), 밑판(7) 및 연결부(9)가 끼움블록(11)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끼워지므로 수평방향의 작은 충격이나 자동차 운전중에 발생되는 엔진룸에서의 진동 및 바퀴를 통해 지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끼움블록(11)의 상판(11b)을 따라 미끌리게 되어 장치(10)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클립 고정 후드를 후드판의 양단에 설치하고 밑판을 바로 후드판에 연결함으로써 기존 클립장치의 형상으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협소한 공간(조립 높이)에 클립장치의 적용이 가능한 마운팅 클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후크판의 홈부와 밑판의 상부가 끼움블록 상판의 상/하단면에 각각 접하게 하여 클립장치 조립 후 클립의 회전 및 유동방지로 자동차 패널과 몰딩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마운팅 클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패널 조립시 가이드 역할을 하는 동시에 유격으로 인한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는 한 쌍의 리브를 구비하는 마운팅 클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부가 테이퍼져 좁아지는 판상의 몸통;
몸통에 대해 휘어질 수 있도록 일단은 몸통의 상대적으로 긴 변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몸통에 대해 소정거리를 유지하며, 자동차 패널의 장착구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날개;
패널에 대한 몸통의 유격을 보상하고 몸통을 장착구에 가이드하기 위해 몸통의 상대적으로 긴 변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리브;
몸통의 하단에 일체로 구성되고, 몰딩 안측면에 부착된 끼움블록의 진입구에 진입가능하도록 진입구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진입구가 대면하는 끼움블록 상판의 모서리에 걸리도록 길이방향으로 고정 후크가 형성되는 후크판; 및
후크가 상판의 모서리에 걸칠 수 있도록 후크판의 해당부분이 노출되게 후크판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판의 하부에 밀착되어 미끄러질 수 있는 직사각 판재 형상의 밑판;으로 구성되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판에는, 후크판의 길이방향의 일단 또는 타단이 진입구에 진입하여 진입구에 대면하는 모서리에 걸 수 있도록 일단 및 타단에 후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진입구가 대면하는 끼움블록 상판의 길이로 후크의 안측에서 상판의 두께에 해당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밑판은, 하부면의 폭방향 중앙에 형상 변형 방지를 위해 길이방향으로 일정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장치의 재질은,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마운팅 클립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마운팅 클립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클립장치의 제 1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클립장치의 제 2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20 : 몸통, 30 : 날개,
31 : 걸림부, 40 : 리브,
50 : 후크판, 51 : 후트,
52 : 홈부, 60 : 밑판,
61 : 절개부, 100 : 마운팅 클립장치,
200 : 끼움블록, 210 : 진입구,
220 : 상판, 300 : 패널,
310 : 장착구.
다음으로는 고안에 따른 마운팅 클립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클립장치의 제 1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클립장치의 제 2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장치(100)는 산봉우리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드,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클립장치(100)의 중심에 해당하는 기둥 형상의 몸통(20)과, 몸통(20)의 상대적으로 긴 변의 일단에서부터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30)와, 몸통(20)의 상대적으로 긴 변의 하부에 몸통(20)을 사이에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리브(40), 몸통(20)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판(50) 및 후크판(50) 하단에 형성되는 밑판(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몸통(20)은 하단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기둥 형상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가 테이퍼져서 좁아지는 직사각의 단면을 가진 판상의 구조이다.
이러한 몸통(20)에는 한 쌍의 날개(30)와 한 쌍의 리브(40)가 형성된다.
여기서, 날개(30)는 몸통(20)에 대해 안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일단은 몸통(20)의 상대적으로 긴 변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몸통(20)에 대해 소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에서 보면 몸통(20)을 중심으로 좌우로 벌어져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날개(30)를 측부에서 보게 되면 몸통(2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때, 날개(30) 타단에는 걸림부(31)가 형성되어 있는데, 걸림부(31)는 날개(30) 타단이 안측으로 절곡되다가 다시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 형상으로, 패널(300)이 날개(30)를 타고 하향하다가 급격히 작아지는 경사를 만나 순간적으로 끼워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리브(40)는 몸통(20)의 상대적으로 긴 변의 하부에 축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판재 형상을 하는 것으로, 몰딩(미도시)이 자동차 패널(300)에 조립될 때 일종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몸통(20)과 패널(300) 사이의 유격을 보상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몸통(20), 날개(30) 및 리브(40)는 클립장치(100)가 자동차 패널(300)의 장착구(310)에 결합되기 위한 구조인데, 몸통(20)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후크판(50)과 밑판(60)은 클립장치(100)가 몰딩의 끼움블록(200)에 결합되기 위한 구조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후크판(50)은 몸통(20)의 하단에 일체로 구성되고, 몰딩 안측면에 부착된 끼움블록의 진입구(210)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진입구(210)가 대면하는 끼움블록 상판(220)의 모서리에 걸리도록 길이방향 양단에 고정 후크(51)가 각각 구비된다.
그러므로, 후크(51)가 모서리에 걸리는 것이 용이하도록 후크(51) 안측에는 상판(220)의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이고, 상판(220)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홈부(52)가 형성된다. 이러한 홈부(5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진입구(210) 방향의 상판(220)을 후크판(50)이 타고 넘어 모서리에 후크(51)가 걸릴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후크판(50)은 날개(30)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이것은 후크판(50)이 끼움블록(200)에 고정되고 날개(30)가 패널의 장착구(310)에 고정되었을 때 서로 간에 회전력을 보상하여 몰딩이 차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밑판(60)은 후크판(50)의 하단에 일체로 구성되는데, 후크(51)가 상판(220)의 모서리에 걸릴 수 있도록 후크판(50)의 홈부(52)가 노출되게 후크판(50)의 하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밑판(60)은 직사각 판재 형상을 하고 있는데, 밑판(60)의 폭은 후크판(50)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끼움블록 상판(220)의 하부에 밀착되어 미끄러질 수 있는 구조이다.
밑판(60)의 하부면은 폭방향 중앙에 절개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본 고안의 목적에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성가공되는 밑판(60)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클립장치(100)의 무게를 절감하는 기능도 한다.
본 고안은 밑판(60)의 하부면에 3개의 절개부(61)를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로 연결된 절개부 등 필요에 따라 변경 및 수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장치(100)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클립장치(100)의 하부, 즉 후크판(50)과 밑판(60)이 웨이스트 라인 몰딩의 끼움블록 상판(220)과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클립장치(100)는 자동차의 패널(300) 측면에 길게 덧대어지도록 결합되는 웨이스트 라인 몰딩의 조립을 위한 것으로, 우선 몰딩에 체결된 뒤, 패널(300)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한다.
웨이스트 라인 몰딩이 패널(300)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대략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 즉 옆면 3개면과 상판을 가진끼움블록(200)이 형성되어 있는데, 클립장치(100)의 후크판(50)과 밑판(60)이 끼움블록 상판(220)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 끼움블록의 상판(220)은 중앙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진입구(210)가 형성되는데, 상판(220)의 길이방향 양단을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옆면이 없는 일단에서 시작되어 타단의 일정 폭이 남아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진입구(210)로 후크판(50)이 진입하므로 후크판(50)의 폭방향 길이는 진입구(210)의 폭과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후크판(50)이 진입되면서 남아 있는 끼움블록의 상판(220)을 넘어 하향 절곡되는 끼움블록(200)의 모서리에 걸리도록 후크판(50)의 양단에는 후크(51)가 형성되어 그 중 진입 방향에 형성된 후크(51)가 모서리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후크판(5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밑판(60)은 후크판(50)이 진입구(210)로 진입하면 끼움블록 상판(220)의 하단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듯이 이끌려지면서 후크판(50)의 후크(51)가 모서리에 걸리면 클립장치(100)가 높이방향으로 끼움블록(20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밑판(60)은 진입구(21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다.
그런데, 밑판(60)은 끼움블록 상판(220)의 하단에 접하고 후크판(50)은 상판(220)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므로 후크(51)가 남아 있는 상판(220)을 넘어 모서리에 걸리도록 후크판(50)에는 후크(51)의 안측으로 끼움블록 상판(220)의 두께에 해당하는 홈부(52)가 일정길이 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일정길이는 남아 있는 상판(220)의 길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밑판(60)은 홈부(5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홈부(52)의 안측에서 후크판(5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클립장치(100)는 몸통(20)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 패널(300)에는 클립장치(100)에 대응 결합되는 장착구(310)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장착구(310)에 클립장치(100)를 삽입한 후, 후방에서 몰딩을 눌러 결합할 수 있다. 자동차 패널(300)의 장착구(310)와 클립장치(100)의 결합관계는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장치(100)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클립장치(100)의 상부, 즉 날개(30)와 리브(40)를 통해 자동차 패널(300)의 장착구(310)에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몸통(20)의 중심을 패널(300)의 장착구(310)의 중심부로 삽입하면, 날개(30)가 장착구(310) 가장자리 부분에 접하면서 그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 때 날개(30)는 장착구(310)로부터 소정의 압박력을 받아 안측으로 휘어진다.
그리고, 날개(30)의 걸림부(31)에 장착구(310)의 가장자리 부분이 이르게 되면 급격히 경사가 작아지는 부분을 만나게 되는데, 이 경사 부분에 장착구(310) 가장자리가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 때, 걸림부(31)의 경사진 부분은 장착구(310) 가장자리 부분의 압박력이 가장 집중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반발력 또한 가장 집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300)은 클립장치(100)의 걸림부(31)에 고정 및 조립됨으로써, 그 조립이 보다 공고해질 수 있다.
그리고, 리브(40)는 날개(30)가 압박을 받을 때에 날개(30)에 과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날개(30)가 압력을 받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압력이 가해지면 날개(30)는 리브(40)의 보상으로 인해 더 이상 휘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만일 장착구(310) 가장자리 부분이 날개(30)를 압박하여 보다 안측으로 밀려들어오게 되면 리브(40)에 닿아 더 이상의 접근이 저지당하게 됨으로써,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패널(300)의 조립이 헐거워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리브(40)는 클립장치(100)를 장착구(310)에 넣을 때 몸통(20)을 장착구(310)의 중앙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도 한다.
패널(300)은 걸림부(31)에 의해 저지되어 이탈되지 못하는데, 만약 날개(30)를 몸통(20)에 대해 양측에서 안측으로 눌러 주면 패널(300)이 걸림부(31)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100)를 통해 몰딩과 패널(300)의 결합과정과 일치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장치(100)는 먼저 몰딩의 끼움블록(200)에 고정하고, 그 후 자동차 패널(300)의 장착구(310)에 삽입하게 된다. 그런데 도 5에서 클립장치(100)의 후크판(50) 및 밑판(60)이 끼움블록(200)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도 6에서 클립장치(100)의 날개(30) 및 리브(40)가 장착구(310)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따라서, 도 5와 더불어 설명된 결합관계 및 도 6과 더불어 설명된 결합관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장치(100)를 통해 몰딩과 자동차패널(300)을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클립장치(100)에서, 재질은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외에,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과 같은 합성수지재 중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리브(40)는 한 쌍이 형성되는 것 외에, 3개로 두 쌍을 형성하는 등 임의로 그 개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클립장치에 따르면, 클립 고정 후드를 후드판의 양단에 설치하고 밑판을 바로 후드판에 연결함으로써 기존 클립장치의 형상으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협소한 공간(조립 높이)에 클립장치의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후크판의 홈부와 밑판의 상부가 끼움블록 상판의 상/하단면에 각각 접하게 하여 클립장치 조립후 클립의 회전 및 유동방지로 자동차 패널과 몰딩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통 측부에 한쌍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몰딩에 대한 패널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으며, 몸통과 패널의 장착구 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을 보상하여 결합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5)

  1. 상부가 테이퍼져 좁아지는 판상의 몸통(20);
    상기 몸통(20)에 대해 휘어질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몸통(20)의 상대적으로 긴 변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몸통(20)에 대해 소정거리를 유지하며, 자동차 패널(300)의 장착구(310)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걸림부(31)가 형성되는 날개(30);
    상기 패널(300)에 대한 몸통(20)의 유격을 보상하고 상기 몸통(20)을 상기 장착구(310)에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몸통(20)의 상대적으로 긴 변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리브(40);
    상기 몸통(20)의 하단에 일체로 구성되고, 몰딩 안측면에 부착된 끼움블록(200)의 진입구(210)에 진입가능하도록 상기 진입구(210)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진입구(210)가 대면하는 끼움블록 상판(220)의 모서리에 걸리도록 길이방향으로 고정 후크(51)가 형성되는 후크판(50); 및
    상기 후크(51)가 상기 상판(220)의 모서리에 걸칠 수 있도록 상기 후크판(50)의 해당부분이 노출되게 상기 후크판(50)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상판(220)의 하부에 밀착되어 미끄러질 수 있는 직사각 판재 형상의 밑판(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클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판(50)에는, 상기 후크판(50)의 길이방향의 일단 또는 타단이 상기 진입구(210)에 진입하여 상기 진입구(210)에 대면하는 모서리에 걸 수 있도록 일단 및 타단에 후크(51)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클립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판(50)에는, 상기 진입구(210)가 대면하는 끼움블록 상판(220)의 길이로 상기 후크(51)의 안측에서 상기 상판(220)의 두께에 해당하는 홈부(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클립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60)은, 하부면의 폭방향 중앙에 형상 변형 방지를 위해 길이방향으로 일정 형상의 절개부(6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클립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0)의 재질은,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클립장치.
KR20-2003-0033537U 2003-10-27 2003-10-27 마운팅 클립장치 KR200338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537U KR200338635Y1 (ko) 2003-10-27 2003-10-27 마운팅 클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537U KR200338635Y1 (ko) 2003-10-27 2003-10-27 마운팅 클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635Y1 true KR200338635Y1 (ko) 2004-01-16

Family

ID=4942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537U KR200338635Y1 (ko) 2003-10-27 2003-10-27 마운팅 클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6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2243A (en) Plastic holding device with noise dampening
JP4869814B2 (ja) ドアライニングの固定構造および固定方法
US7328873B2 (en) Pipe clamp
US6321495B1 (en) Window device for use in a motor vehicle
KR200338635Y1 (ko) 마운팅 클립장치
US20070126259A1 (en) Unit carrier comprising an integrated lock fix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door
KR20180066349A (ko) 자동차용 선루프 장착용 파스너
KR100251841B1 (ko) 범퍼 장착구조
KR102202540B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 체결용 클립
KR200246887Y1 (ko) 마운팅 클립 장치
KR10032163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마운팅용 클립
KR200346242Y1 (ko) 마운팅 클립장치
KR100395689B1 (ko) 자동차의 소음 차단재 조립구조
KR100558727B1 (ko) 조립장치
KR200150866Y1 (ko) 자동차의 범퍼체결용 너트 스피드
KR100558723B1 (ko) 아웃사이드 미러의 가장착 구조
JP3312274B2 (ja) ドアミラーハウジングの取付構造
KR19980028230A (ko) 자동차의 트림 고정용 클립
KR100569236B1 (ko) 범퍼 커버 그릴 결합 구조
KR19990021482U (ko) 트림 고정용 구조물
JP2002096692A (ja) 装飾部品の取付構造
KR960002164Y1 (ko) 도어트림 체결 리테이너 구조
KR100381477B1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장착구조
JP2000081116A (ja) 自動変速機の鉄粉回収用マグネット固定構造
JPH0741029U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