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433B1 - 흡착열교환기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흡착열교환기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433B1
KR100947433B1 KR1020077027501A KR20077027501A KR100947433B1 KR 100947433 B1 KR100947433 B1 KR 100947433B1 KR 1020077027501 A KR1020077027501 A KR 1020077027501A KR 20077027501 A KR20077027501 A KR 20077027501A KR 100947433 B1 KR100947433 B1 KR 100947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stroke
raw material
material liquid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1407A (ko
Inventor
다카히사 스에오카
히로히코 마츠시타
아키라 가미노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1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he substrate being rot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45/00Coatings; Surface treat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흡착열교환기의 제조장치(20)에는, 흡착제가 액상의 바인더에 분산된 원료액을 저류시키는 저류조(35)와, 열교환기 본체(40)를 유지하는 지지부재(30)와, 축 부재(21)가 구성된다. 열교환기 본체(40)는, 핀(57)의 배열방향을 따르는 축 부재(21) 둘레를 회전한다. 열교환기 본체(40)가 원료액 중을 회전하면, 핀(57)의 틈새 전역에 걸쳐 원료액이 미치고, 핀(57)의 표면 전역에 원료액이 부착된다. 열교환기 본체(40)가 공기 중을 회전하면, 핀(57) 틈새에 고인 여분의 원료액이 비산되어, 핀(57) 표면 전역에 원료액의 막이 형성된다.
핀, 바인더, 흡착제, 흡착층, 흡착열교환기, 회전축, 회전, 비산행정

Description

흡착열교환기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ADSORPTION HEAT EXCHANGER,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교환기 본체 표면에 흡착제를 포함하는 흡착층이 형성된 흡착열교환기와, 이 흡착열교환기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 중의 수분을 흡탈착시켜 실내의 조습을 행하는 조습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흡착열교환기가 접속된 냉매회로를 갖는 조습장치가 개시되었다. 이 조습장치의 냉매회로에는, 압축기, 제 1 흡착열교환기, 팽창밸브, 제 2 흡착열교환기, 및 십자전환밸브가 접속된다. 이 냉매회로에서는,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그 결과, 2개의 흡착열교환기는, 한쪽 흡착열교환기가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다른 쪽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이 조습장치의 가습운전 시에는 응축기가 된 흡착열교환기를 실외공기가 통과한다. 이 흡착열교환기에서는, 냉매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며,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하여 실외공기에 방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가습된 공기는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 가습이 이루어진다. 한편, 실내공기는 증발기가 된 흡착 열교환기를 통과한다. 이 흡착열교환기에서는, 냉매에 의해 흡착제가 냉각되며,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는 동시에 그 때 발생하는 흡착열이 냉매에 탈취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한 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또, 이 조습장치의 제습운전 시에는, 증발기가 된 흡착열교환기를 실외공기가 통과한다. 이 흡착열교환기에서는, 냉매에 의해 흡착제가 냉각되며,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됨과 동시에 그 때 발생하는 흡착열이 냉매에 탈취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습된 공기는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의 제습이 이루어진다. 한편, 실내공기는 응축기가 된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다. 이 흡착열교환기에서는,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며,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하여 공기에 방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흡착제의 재생에 이용된 공기는 실외로 배출된다.
이 조습장치에서는, 공기의 유로를 댐퍼로 전환시키는 동시에, 냉매회로의 냉매 순환방향을 십자전환밸브로 전환시킴으로써, 2개의 흡착열교환기에서 재생동작과 흡착동작이 교대로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 조습장치에서는, 흡착제의 흡착능력이나 재생능력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조습된 공기가 실내로 연속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공기의 조습에 이용되는 흡착열교환기는, 열교환기 본체와, 이 열교환기 본체에 형성되는 흡착제의 적층막(흡착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 본체는,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평행으로 배열되는 알루미늄제의 다수 핀과, 각 핀을 관통하는 동제 전열관으로 이루어진 핀-튜브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또, 상기 흡착제로는, 분말상태의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및 활성탄 등이 이용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4-294048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열교환기 본체 표면에 흡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흡착제 및 바인더를 함유하는 슬러리상태의 원료액에 열교환기 본체를 침지시켜 열교환기 본체 표면에 원료액을 부착시키고, 이 막 상태로 부착된 원료액을 건조 경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열교환기 본체에 대해서는, 그 표면적을 얻기 위해 각 핀의 피치를 비교적 좁게(예를 들어, 1.4mm∼1.6mm)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각 핀의 틈새에 흡착제나 바인더가 막혀버린다. 특히, 흡착량의 증대를 목적으로 흡착층을 비교적 두껍게(예를 들어, 0.2mm∼0.3mm) 하고자 하면, 막힘 문제가 심각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막힘에 기인하여 각 핀의 틈새를 공기가 통과할 수 없게 되고, 이 흡착열교환기의 통풍저항 증가나 흡탈착 성능의 저하를 초래해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핀의 표면 전역에 막힘 없이 흡착층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흡착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이나, 그 제조방법을 행하는 제조장치, 또는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성능 흡착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 발명은, 전열관(58)의 연장방향으로 복수의 판상 핀(57)이 배열된 열교환기 본체(40)를 액상의 바인더 중에 흡착제가 분산된 슬러리 상태의 원료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열교환기 본체(40)의 표면에 흡착층을 형성하여 흡착열교환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이 흡착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은, 상기 열교환기 본체(40)를 상기 원료액 중에 침지하는 침지행정과, 상기 침지행정을 거친 열교환기 본체(40)를 상기 핀(57) 배열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기 중에서 회전시키는 비산행정과, 상기 비산행정을 거친 열교환기 본체(40)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서는, 흡착열교환기의 제조 시에 있어서, 이른바 핀-튜브식 열교환기 본체(40)를 흡착제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원료액에 침지시키는 침지행정이 이루어진다. 이 침지행정에서는, 각 핀(57)의 틈새로 원료액이 들어가 각 핀(57) 표면에 원료액이 부착된다. 한편, 이와 같은 침지행정에 있어서, 핀(57)의 피치가 비교적 좁게 설정되는 경우, 각 핀(57)의 틈새에 원료액이 막혀버리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침지행정 후에 비산행정이 실시된다. 이 비산행정에서는, 열교환기 본체(40)의 핀(57) 배열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열교환기 본체(40)가 공기 중에서 회전한다. 그 결과, 각 핀(57)의 틈새에 막힌 원료액이나, 각 핀(57)의 표면에 부착된 여분의 원료액이 원심력에 의해 비산된다. 이로써, 열교환기 본체(40)의 각 핀(57) 간격이 다소 좁아도, 각 핀(57)의 틈새를 메우고 있는 여분의 원료액은, 원심력을 받음으로써 각 핀(57) 사이로부터 확실하게 배제된다.
상기 비산행정 후에는 건조행정이 이루어진다. 이 건조행정에서는, 열교환기 본체(40)의 표면에 부착된 원료액이 건조 경화된다. 그 결과, 열교환기 본체(40)의 표면에 흡착제를 함유하는 흡착층이 형성된다. 이 때, 각 핀(57)의 표면에서는, 전술한 비산행정에 의해 원료액의 막힘이 해소된다. 이로써, 열교환기 본체(40)의 표면에는 비교적 균일하게 흡착층이 형성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지행정에서는, 상기 열교환기 본체(40)를 상기 비산행정 시보다 저속으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료액 중에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2 발명의 침지행정에서는, 상기 열교환기 본체(40)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원료액 중에 침지된다. 이 때, 열교환기 본체(40)는, 각 핀(57) 틈새에서의 원료액 통과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각 핀(57) 틈새 전역으로 원료액이 고루 미쳐 각 핀(57)의 표면 전역에 원료액이 부착된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57)은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산행정에서는, 상기 핀(57)의 한쪽 긴 변이 회전축 쪽을 향하는 자세로 열교환기 본체(4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3 발명에서는, 가늘고 긴 장방형 판상의 핀(57)이 전열관(58)의 신장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비산행정에서는, 핀(57)의 한쪽 긴 변이 항상 회전축 쪽을 향하도록 하여 열교환기 본체(40)가 회전한다. 이와 같은 자세로 열교환기 본체(40)가 회전하면, 핀(57)의 틈새에 막힌 원료액이나, 핀(57) 표면에 부착된 여분의 원료액은, 원심력으로 상기 핀(57)의 폭 방향으로 비산하게 된다. 즉, 이 자세로 열교환기 본체(40)를 회전시키면, 핀(57)으로부터 원료액을 비산시키기 쉬워지므로, 핀(57)의 틈새로부터 여분의 원료액이 확실하게 배제된다.
제 4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지행정과, 상기 비산행정과, 상기 건조행정과, 상기 건조행정을 거친 열교환기 본체(40)를 물에 침지하는 침수행정을 차례로 반복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에서는, 상기 건조행정에 있어서 열교환기 본체(40)의 표면에 흡착제를 함유하는 흡착층을 형성한 후, 열교환기 본체(40)를 물에 침지시키는 침수행정이 이루어진다. 이 침수행정에서는, 열교환기 본체(40) 표면의 흡착층이 수분을 함유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침수행정 후에는 상기 침지행정이 다시 실시된다. 이 침지행정에 있어서, 원료액 중에 침지되는 열교환기 본체(40)는, 상기 침수행정에 의해 그 표면의 흡착층이 수분을 함유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원료액 중에 침지될 열교환기 본체(40)의 흡착층이, 가령 건조상태일 경우 이 흡착층에 부착된 원료액 중의 수분이 흡착층 내로 흡수되기 쉬워진다. 때문에, 흡착층 표면에 부착된 원료액의 점도가 높아져버린다. 따라서, 그 후의 비산행정에서, 핀(57) 틈새의 원료액을 비산시켜 원료액의 막힘을 해소하기가 어려워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2회 이후의 침지행정에서는, 흡착층이 미리 수분을 함유한 상태가 되므로, 흡착층 표면에 원료액 중의 수분이 흡수되기 어려워져, 원료액의 점도를 소정값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후의 비산행정에서도 핀(57) 틈새의 원료액이 확실하게 배제되어, 원료액의 막힘이 해소된다.
제 5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유기계 수성에멀젼이며, 상기 원료액은, 상기 흡착제에 대한 상기 바인더의 고형분 중량비율이 10% 이상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에서는, 원료액에 배합되는 액상 바인더로서, 유기계 수성에멀젼이 이용된다. 또, 원료액 중에서는, 흡착제에 대한 바인더의 중량비율이 10% 이상 20% 이하가 되도록 흡착제와 바인더의 배합비율이 조정된다.
제 6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료액이 액 온도 25℃, 회전속도 60min-1의 조건에서 B형 회전점도계로 측정한 점도가 150mPa·s 이상 300mPa·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에서는, B형 회전점도계(25℃, 회전속도 60min-1(rpm))로 측정한 점도가 150mPa·s 이상 300mPa·s 이하로 되도록 원료액의 수분조정이 이루어진다.
제 7 발명은, 전열관의 신장방향으로 복수의 판상 핀이 배열된 열교환기 본체(40)와, 이 열교환기 본체(40)의 표면에 형성된 흡착제를 함유하는 흡착층을 구비하는 흡착열교환기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이 흡착열교환기는, 상기 흡착층 표면이 불규칙한 요철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에서는, 흡착열교환기의 흡착층 표면에, 육안으로도 충분히 관찰 가능한 불규칙한 요철모양이 형성된다. 이 요철모양은, 도료, 도장업계에서 이용되는, 이른바 "스티플(stipple) 모양", "잔물결 모양", 또는 "오렌지필(orange peel) 모양"과 유사한 모양이며, 미세한 요철이 물결형태 혹은 섬유형태의 불규칙한 모양을 형성한다.
제 8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착층의 평균 두께가 0.2mm 이상 0.3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8 발명에서는, 흡착층의 평균 두께가 0.2mm 이상 0.3mm 이하로 되도록 열교환기 본체(40)의 표면에 흡착층이 형성된다.
제 9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핀(57)의 피치가 1.4mm 이상 1.6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발명에서는, 상기 각 핀(57) 사이의 간격이 1.4mm 이상 1.6mm 이하의 열교환기 본체(40)의 표면에 흡착층이 형성된다.
제 10 발명은, 전열관(58)의 신장방향으로 복수의 판상 핀(57)이 배열된 열교환기 본체(40) 표면에 흡착층을 형성하여 흡착열교환기를 제조하는 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이 흡착열교환기의 제조장치는, 액상 바인더 중에 흡착제가 분산된 슬러리상태의 원료액을 저장하는 저류조(35)와, 상기 핀(57)의 배열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열교환기 본체(40)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15)를 구비하며, 열교환기 본체(40)를 원료액 중에서 회전시키는 제 1 상태와, 이 열교환기 본체(40)를 원료액 중에서 꺼내 공기 중에서 회전시키는 제 2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 발명에서는, 열교환기 본체(40)의 표면에 흡착층을 형성하는 제조장치에 저류조(35) 및 회전기구(15)가 배치된다. 저류조(35)에는 바인더 및 흡착제를 포함하는 원료액이 저장된다. 회전기구(15)는, 핀(57)의 배열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열교환기 본체(40)를 회전시킨다.
이 제조장치가 제 1 상태가 될 때는, 회전기구(15)에 의해 구동되는 열교환기 본체(40)가 저류조(35) 내의 원료액 중에서 회전한다. 그 결과, 열교환기 본체(40)의 핀(57) 틈새로 원료액이 고루 미쳐 핀(57) 표면 전역에 원료액이 부착한다. 즉, 이 제조장치를 제 1 상태로 하여 열교환기 본체(40)를 회전시키면, 전술한 제 2 발명의 침지행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조장치가 제 2 상태가 될 때는, 회전기구(15)에 의해 구동되는 열교환기 본체(40)가 공기 중에서 회전한다. 그 결과, 열교환기 본체(40)의 핀(57) 틈새에 막혀 있던 원료액이 원심력에 의해 비산한다. 즉, 이 제조장치를 제 2 상태로 하여 열교환기 본체(40)를 회전시키면, 전술한 제 1 발명의 비산행정이 이루어진다.
제 11 발명은 제 10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15)가, 수평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회전축으로서의 축 부재(21)와, 핀(57)의 배열방향과 상기 축 부재(21)가 평행을 이루는 자세로 상기 열교환기 본체(40)를 유지하고, 상기 열교환기 본체(40)와 함께 이 축 부재(21) 둘레를 회전하는 지지부재(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 발명의 회전기구(15)에는, 수평방향으로 이어지는 축 부재(21)와, 열교환기 본체(40)를 유지시키는 지지부재(30)가 배치된다. 지지부재(30)는, 핀(57)의 배열방향과 축 부재(21)가 평행을 이루도록 열교환기 본체(40)를 유지시키면서 축 부재(21)와 함께 회전한다. 그 결과, 이 제조장치의 제 1 상태에서는, 지지부재(30)로 유지되는 열교환기 본체(40)가 원료액 중을 회전하여 상기 침지행정이 이루어진다. 또, 이 제조장치의 제 2 상태에서는, 지지부재(30)로 유지되는 열교환기 본체(40)가 공기 중을 회전하여 상기 비산행정이 이루어진다.
제 12 발명은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가, 상기 축 부재(21)를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이 되도록 한 쌍의 열교환기 본체(41, 4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 발명에서는, 지지부재(30)에 2개의 열교환기 본체(41, 42)가 유지된다. 각 열교환기 본체(41, 42)는, 축 부재(21)를 개재하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제조장치의 제 1 상태에서, 축 부재(21)와 함께 지지부재(30)가 회전하면, 각 열교환기 본체(41, 42)는 각각 원료액 중을 회전한다. 그 결과, 이 제조장치에서는 2개의 열교환기 본체(41, 42)의 침지행정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또, 이 제조장치의 제 2 상태에서, 축 부재(21)와 함께 지지부재(30)가 회전하면, 각 열교환기 본체(41, 42)는 각각 공기 중을 회전한다. 그 결과, 이 제조장치에서는 2개의 열교환기 본체(41, 42)의 비산행정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발명의 효과]
제 1 발명에서는, 열교환기 본체(40)를 원료액 중에 침지시키는 침지행정 후, 열교환기 본체(40)를 공기 중에서 회7전시키는 비산행정을 실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 본체(40)를 공기 중에서 회전시키면, 각 핀(57)의 틈새 등에 막힌 여분의 원료액을 원심력으로 비산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각 핀(57) 틈새의 흡착제나 바인더의 막힘을 해소하여, 핀(57) 표면 전역에 원료액을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열교환기 본체(40)의 표면 전역에 원료액을 부착시킨 후, 건조행정에서 원료액을 건조 경화시키면, 열교환기 본체(40)의 표면 전역에 걸쳐 균일한 부착층이 형성된 흡착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흡착열교환기의 통기저항을 저감함과 더불어, 이 흡착열교환기에 의한 수분 흡탈착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비산행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핀(57) 틈새의 흡착제 막힘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각 핀(57)의 피치를 좁게 설계할 수 있는 한편, 흡착층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흡착열교환기의 소형화, 혹은 흡착열교환기의 흡탈착 성능의 가일층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핀(57)의 표면에 부착된 원료액을 비산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원료액을 비산시키면, 흡착층 표면에 불규칙한 요철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요철모양은, 도료, 도장업계에서 이용되는, 이른바 "스티플 모양", "잔물결 모양", 또는 "오렌지필 모양"과 유사한 모양이며, 작은 요철이 물결형태 혹은 섬유형태의 불규칙한 모양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흡착층 표면에 요철모양을 형성함으로써, 흡착층의 표면적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흡착열교환기에 의한 수분의 흡탈착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발명에 의하면, 침지행정에 있어서 열교환기 본체(40)를 원료액 중에서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 결과, 각 핀(57)의 틈새 전역으로 원료액이 고루 미치므로, 각 핀(57)의 표면 전역에 원료액을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핀(57)의 표면 전역에 흡착층을 형성할 수 있어, 이 제조방법으로 얻은 흡착열교환기의 흡탈착 성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발명에 의하면, 각 핀(57)의 한 쪽 긴 변이 회전축 쪽을 향하도록 하면서 열교환기 본체(4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비산행정에 있어서 각 핀(57) 틈새에 막혀있던 원료액을 용이하게 비산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각 핀(57) 틈새의 흡착제 막힘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제 4 발명에 의하면, 건조행정에 의해 열교환기 본체(40) 표면에 흡착층을 형성한 후에 침지행정을 재차 행하기 전에, 열교환기 본체(40)를 물에 침지시키는 침수행정을 행하도록 한다. 이로써, 제 2 회 이후의 침지행정에서, 열교환기 본체(40) 표면에 흡착된 원료액의 점도가 높아져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그 후의 비산행정에서 각 핀(57) 틈새의 여분의 원료액을 용이하게 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흡착층 표면에 재차 원료액을 덧입힐 때도, 각 핀(57) 틈새의 흡착제나 바인더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어, 각 핀(57)의 표면 전역에 균일하게 원료액을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5 발명에 의하면, 원료액의 바인더로서 유기계 수성에멀젼을 사용하여 흡착층을 형성하도록 하므로, 예를 들어 무기계 바인더를 이용할 경우에 비해 흡착층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급격한 온도변화나 충격이 생겨도, 열교환기 본체(40)로부터 흡착층이 박리되기 어려워져, 열교환기 본체(40)에 대한 흡착층의 밀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흡착제에 대한 바인더(고형분)의 중량비율을 10% 이상 20% 이하로 함으로써, 광범위한 온도변화에 대해서도 충분한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6 발명에 의하면, 원료액의 B형 회전점도계로 측정한 점도를 150mPa·s 이상 300mPa·s 이하의 범위로 조정하므로, 침지행정 시 원료액 중에서 회전하는 열교환기 본체(40)에서, 각 핀(57)의 틈새 전역으로 용이하게 원료액이 미치게 할 수 있다. 또, 비산행정 시에 공기 중에서 회전하는 열교환기 본체(40)에 있어서, 각 핀(57) 표면의 원료액을 용이하게 비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열교환기 본체(40)의 표면에는, 그 전역에 걸쳐 한층 균일하게 원료액을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7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기 본체(40) 표면의 흡착층에 미세한 요철모양을 형성하도록 하므로, 이 흡착층의 표면적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써, 흡착열교환기에 의한 수분의 흡탈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8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기 본체(40) 표면의 흡착층 평균 두께를 0.2mm 이상 0.3mm 이하로 하므로, 흡착열교환기의 통기저항 증대를 억제하면서, 흡착층에 필요한 양의 흡착제를 담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9 발명에 의하면, 각 핀(57)의 피치를 1.4mm 이상 1.6mm 이하의 범위로 함으로써, 이 흡착열교환기의 통기저항 증대를 억제하면서, 흡착열교환기의 표면에 비교적 대량의 흡착제를 담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흡착열교환기의 수분 흡탈착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10 발명에 의하면, 제 1 발명의 비산행정 및 제 2 발명의 침지행정이 실현 가능한 흡착열교환기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제 11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30)로 열교환기 본체(40)를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비산행정이나 상기 침지행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열교환기 본체(41, 42)의 비산행정이나 침지행정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 흡착열교환기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들 2개의 열교환기 본체(41, 42)는, 축 부재(21)를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이 되는 자세로 회전하므로, 양 열교환기 본체(41, 42)의 원심력을 서로 상쇄할 수 있다. 이로써, 축 부재(21)의 회전동력을 저감시키면서, 각 열교환기 본체(41, 42)를 안정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냉매회로 구성을 나타낸 배관계통도이며, (A)는 제 1 동작 중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제 2 동작 중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흡착열교환기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흡착열교환기 제조장치의 개략구성도이며, (A)는 횡단면도이고, (B)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흡착열교환기 제조 시의 침지행정을 설명하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5는, 흡착열교환기 제조 시의 비산행정을 설명하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6은, 흡착열교환기 제조 시의 건조행정을 설명하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7은, 흡착열교환기 제조 시의 침수행정을 설명하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8은, 표면에 흡착층을 형성한 핀의 표면 사진이며, (A)는 실시형태에 관한 핀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비교대상인 핀을 나타낸 것이다.
[부호의 설명]
15 : 회전기구 20 : 제조장치
21 : 축 부재(회전축) 30 : 지지부재
40 : 열교환기 본체 51, 52 : 흡착열교환기
57 : 핀 58 : 전열관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흡착열교환기(51, 52)는, 실내의 조습을 행하는 조습장치(10)에 탑재된 것이다. 이 조습장치(10)는, 제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제습운전과,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가습운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조습장치의 구성>
상기 조습장치(10)는 냉매회로(50)를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냉매회로(50)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 제 2 흡착열교환기(52), 압축기(53), 십자전환밸브(54), 및 전동팽창밸브(55)가 배치된 폐쇄회로이다. 이 냉매회로(50)는, 충전된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증기압축 냉동주기를 실행한다.
상기 냉매회로(50)에 있어서, 압축기(53)는 그 토출측이 십자전환밸브(54)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십자전환밸브(54)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의 일단은 십자전환밸브(54)의 제 3 포트에 접속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의 타단은 전동팽창밸브(55)를 개재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2)의 일 단에 접속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의 타단은 십자전환밸브(54)의 제 4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십자전환밸브(54)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하고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하는 제 1 상태(도 1(A)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하고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하는 제 2 상태(도 1(B)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흡착열교환기의 구성>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흡착열교환기(5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2)는, 열교환기 본체(40) 표면에 흡착제를 포함한 흡착층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열교환기 본체(40)는, 크로스 핀형의 핀-튜브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이들 열교환기 본체(40)는, 알루미늄제의 핀(57)과, 이 핀(57)을 관통하는 동제 전열관(58)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핀(57)은, 길고 가는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전열관(58)의 신장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평행으로 배열된다.
상기 각 핀(57)의 피치는, 1.2mm 이상 2.2mm 이하의 범위가 적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mm 이상 1.6mm 이하의 범위가 적합하다. 또, 상기 전열관(58)의 직경은, 7.0mm 이상 9.5mm 이하의 범위가 적합하다. 또한, 전열관(58)에 대한 핀(57)의 폭 방향 열 수는 2열에서 4열까지의 범위가 적합하다. 그리고, 전열관(58)에 대한 핀(57)의 긴쪽 방향 단 수는, 10단에서 20단까지의 범위가 적합하다. 또한, 상기 핀(57)은, 장방형 판상의 이른바 플레이트 핀으로 구성되나, 이 핀(57)은, 그 폭 방향의 단면형상에서 완만한 파형을 이루는 이른바 워플(waffle) 핀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흡착열교환기 제조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상기 흡착열교환기(51, 52)의 제조장치(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장치(20)는 회전기구(15) 및 저류조(35)를 구비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15)는, 회전축으로서의 축 부재(21)와 구동모터(22) 및 지지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 축 부재(21)는, 수평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그 양단 쪽 부위가 각각 베어링 지지부재(22, 23)로 지지된다. 이 축 부재(21)의 한끝에는 구동모터(22)가 연결된다. 이 구동모터(22)는, 한 쌍의 베어링 지지부재(22, 23)의 기점을 중심으로 축 부재(21)를 회전시킨다.
축 부재(21)의 외주에는, 상기 한 쌍의 베어링 지지부재(22, 23) 사이에 한 쌍의 상기 지지부재(30)가 연결된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지지부재(30)는, 원반형의 환상부(環狀部)(31)와, 이 환상부(31)에서 지름방향 외측으로 이어나가는 4개의 리브부(32)와, 각 리브부(32)의 외단부로 연결되는 틀부(33)로 구성된다.
상기 환상부(31)는, 축 부재(21)가 관통되며 이 축 부재(21) 외주면에 접합된다. 상기 각 리브부(32)는, 환상부(31)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 환상부(31) 외주에 약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들 각 리브부(32)는, 지름방향 외측으로 신장된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틀부(33)는, 4매의 판부재(34, 34, 34, 34) 단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된다. 틀부(33)는, 그 안둘레 및 바깥둘레가 거의 정방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틀부(33)의 안둘레부에는, 각 판부재(34)의 길이방향 중앙부로 각 리브부(32) 끝단이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30, 30)에는, 2개의 열교환기 본체(41, 42)가 동시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각 열교환기 본체(41, 42)는, 각각 한 쌍의 지지부재(30, 30)에 걸쳐 배치되며, 그 양단의 각 핀(57, 57)의 한쪽 긴 변 부분이 각 지지부재(30, 30)의 판부재(34, 34)를 따르도록 체결된다. 그 결과, 각 열교환기 본체(41, 42)는, 핀(57) 한쪽의 긴 변이 축 부재(21)를 향함과 더불어, 복수 핀(57)의 배열방향과 축 부재(21)의 축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는 자세로 한 쌍의 지지부재(30, 30)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축 부재(21)가 회전하면, 각 지지부재(30, 30)는 각 열교환기 본체(41, 42)를 유지하면서 축 부재(21) 둘레를 회전한다. 그 결과, 각 열교환기 본체(41, 42)는, 자전은 하지 않고 축 부재(21)의 축심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또, 지지부재(30)에서는, 틀부(33)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조의 판 부재(34, 34)에 각 열교환기 본체(41, 42)의 각 핀(57)이 체결된다. 즉, 각 열교환기 본체(41, 42)는, 축 부재(21)의 축심을 기준으로 서로 선대칭이 되도록 하여 각 지지부재(30, 30)에 지지된다. 그 결과, 축 부재(21)의 회전과 함께 각 열교환기 본체(41, 42)가 선회하여도, 축 부재(21)에 작용하는 각 열교환기 본체(41, 42)의 원심력은 서로 상쇄된다.
상기 저류조(35)는, 액상의 바인더 중에 분말상태의 흡착제가 분산된 슬러리상태의 원료액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 저류조(35)는, 위쪽이 개방된 반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다리부(36)로 지지되어 축 부재(21) 하부에 설치된다. 이 저류조(35)는, 상기 축 부재(21)와 접근하는 제 1 상태(도 4의 상태)와 상기 축 부재(21)와 떨어지는 제 2 상태(도 5의 상태)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저류조(35)가 제 1 상태가 되어 축 부재(21)가 회전하면, 열교환기 본체(41, 42)가 저류조(35) 내의 원료액 중을 통과하면서 회전한다. 한편, 저류조(35)가 제 2 상태가 되어 축 부재(21)가 회전하면, 열교환기 본체(41, 42)는 저류조(35)의 원료액으로부터 끌어올려진 상태에서 공기 중을 회전한다.
<흡착열교환기의 제조방법>
다음으로, 상기 제조장치(20)에 의한 흡착열교환기(51, 52)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장치(20)의 지지부재(30, 30)에 2개의 열교환기 본체(41, 42)를 서로 대향하도록 체결한다.
다음으로, 제 1 상태의 저류조(35) 내에 원료액을 주입한다. 이 저류조(35) 내에는, 축 부재(21)로부터 원료액의 액면까지의 거리가, 이 축 부재(21)에서 열교환기 본체(41, 42)까지의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원료액이 저장된다. 이 원료액은, 흡착제에 대한 상기 바인더 고형분의 중량비율이 10% 이상 20% 이하로 되도록 조정된다. 또, 원료액은, 액 온도 25℃, 회전속도 60min-1의 조건에서 B형 회전점도계로 측정한 점도가 150mPa·s 이상 300mPa·s 이하로 되도록 수분 조정된다. 상기 원료액에 포함되는 흡착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친수성 또는 흡수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 고분자폴리머계 재료, 카르복실기 또는 술폰산기를 갖는 이온교환수지계 재료, 감온성 고분자 등의 기능성 고분자 재료, 세피올라이트(Sepiolite), 이모골라이트(Imogolite), 알로페인(allophane), 및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등의 점토광물계 재료 등, 수분 흡착에 우수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분산성이나 점도 등을 고려하면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또는 그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원료액에 포함되는 바인더는,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유기계 수성에멀젼이 적합하다.
다음의 침지행정에서는, 제 1 상태의 저류조(35)에서, 구동모터(22)가 통전되어 축 부재(21) 및 지지부재(30)가 회전된다. 그 결과, 각 열교환기 본체(41, 42)는, 각 핀(57)의 배열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축 부재(21) 주위를 선회한다. 여기에서, 상기 열교환기 본체(41, 42)는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한다.
이 침지행정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열교환기 본체(제 1 열교환기 본체)(41)가 회전하면서 저류조(35) 내의 원료액 중에 침지된다. 제 1 열교환기 본체(41)는, 각 핀(57)의 틈새에서 원료액의 통과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원료액은 제 1 열교환기 본체(41)의 각 핀(57) 틈새 전역으로 확실하게 고루 미치고, 각 핀(57)의 표면 전역에 막 형상의 원료가 부착된다.
침지행정에 있어서, 축 부재(21) 및 지지부재(30)가 더 회전하면, 다른 쪽 열교환기 본체(제 2 열교환기 본체)(42)가 회전하면서 저류조(35) 내의 원료액 중으로 침지된다. 제 2 열교환기 본체(42)는, 각 핀(57)의 틈새에서 원료액의 통과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원료액은 제 2 열교환기 본체(42)의 각 핀(57) 틈새 전역으로 확실하게 고루 미치고, 각 핀(57)의 표면 전역에 막 형상의 원료가 부착된다.
다음의 비산행정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류조(35)가 제 2 상태가 되어 축 부재(21) 및 지지부재(30)가 회전한다. 그 결과, 열교환기 본체(41, 42)는 공기 중에서 선회한다. 여기에서, 이 비산행정에 있어 축 부재(21)는, 상기 침지행정보다 고속 회전한다(예를 들어, 500rpm).
공기 중에서 각 열교환기 본체(41, 42)가 회전하면, 각 열교환기 본체(41, 42)의 각 핀(57) 틈새에 막혀있던 여분의 원료액이 원심력에 의해 비산된다. 그 결과, 각 열교환기 본체(41, 42)에서는, 각 핀(57) 틈새의 여분의 원료액이 배제되어 각 핀(57)의 표면 전역에 부착된 원료액이 균일화된다.
상기 비산행정 후에는, 열교환기 본체(41, 42)의 건조행정이 실시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건조행정 시에는, 저류조(35) 대신 급기조(25)가 축 부재(2) 하측에 배치된다. 급기조(25)는 저류조(35)와 마찬가지로, 위쪽이 개방된 반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밑판에는 공기 토출구(26)가 형성된다. 이 토출구(26)로부터는 송풍기(27)에 의해 반송되는 온풍이 분출된다. 건조행정 시에는, 축 부재(21)의 회전에 따라, 각 열교환기 본체(41, 42)가 상기 토출구(26) 근방을 순차 통과한다. 그 결과, 각 열교환기 본체(41, 42) 표면에서는, 막 형상의 원료액이 건조 경화되어 흡착제를 포함하는 흡착층이 서서히 형성되어 간다.
상기 건조행정 후에는, 각 열교환기 본체(41, 42)의 침수행정이 이루어진다. 이 침수행정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열교환기 본체(41, 42)가 수 조(28) 내의 물에 침지된다. 그 결과, 각 열교환기 본체(41, 42)의 흡착층은 수분을 함유한 상태가 된다.
상기 침수행정 후에는, 전술한 침지행정이 재차 실시된다. 이 침지행정에 있어서, 원료액 중에 침지되는 열교환기 본체(41, 42)는, 그 표면의 흡착층이 수분을 함유한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원료액 중에 침지되는 열교환기 본체(41, 42)의 흡착층이 가령 건조상태일 경우, 이 흡착층에 부착된 원료액 중의 수분이 흡착층 내에 흡수되기 쉬워진다. 이로써, 흡착층 표면에 부착된 원료액의 점도가 높아져버린다. 따라서, 그 후의 비산행정에서 핀(57) 틈새의 원료액을 비산시키기가 어려워진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 번째 이후의 침지행정에서는, 흡착층이 미리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되므로, 흡착층 표면에 원료액 중의 수분이 흡수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그 후의 비산행정에서도 핀(57) 틈새의 원료액이 용이하게 비산된다.
이상과 같은 도 4에서 도 7까지의 각 행정을 반복함으로써, 열교환기 본체(41, 42) 표면의 흡착층이 서서히 두께를 더해간다. 이들 각 행정은, 열교환기 본체(41, 42) 각 핀(57)의 흡착층 평균 두께가 0.2mm 이상 0.3mm 이하의 범위가 될 때까지 반복 실시된다(예를 들어, 12주기 정도).
<핀 표면의 흡착층 형상>
이상과 같이 하여 얻은 흡착열교환기(51, 52)의 핀(57) 표면사진을 도 8(A)에 나타낸다. 한편, 도 8(B)는, 열교환기 본체를 원료액 중에 정지상태로 침지시킨 후, 핀 표면에 부착된 원료액을 공기로 비산시킨 후 건조 경화시켜 흡착층을 형 성한, 비교대상이 될 핀의 표면사진이다. 본 실시형태의 핀(57) 흡착층에는,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미세한 요철모양이 형성된다. 이 요철모양은, 전술한 비산행정 시에 원심력을 이용하여 핀(57) 표면에 부착된 원료액을 비산시킴에 기인하여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 이 요철모양은, 도료, 도장업계에서 이용되는, 이른바 "스티플 모양", "잔물결 모양", 또는 "오렌지필 모양"과 유사한 모양인 것으로 관찰된다.
-운전동작-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은 흡착열교환기(51, 52)를 구비한 조습장치(10)의 운전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이 이루어진다. 제습운전 중이나 가습운전 중의 조습장치(10)는, 도입한 실외공기(OA)를 조습한 후 공급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도입한 실내공기(RA)를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한다. 즉, 제습운전 중이나 가습운전 중의 조습장치(10)는 실내의 환기를 실행한다. 또, 상기 조습장치(10)는, 제습운전 중과 가습운전 중의 어느 쪽에서도,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번갈아 반복한다.
상기 조습장치(10)는, 제습운전 중이라면 제 1 공기로서 실외공기(OA)를, 제 2 공기로서 실내공기(RA)를 각각 도입한다. 또, 상기 조습장치(10)는, 가습운전 중이라면 제 1 공기로서 실내공기(RA)를, 제 2 공기로서 실외공기(OA)를 각각 도입한다.
우선, 제 1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동작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 기(51)로 제 2 공기가, 제 2 흡착열교환기(52)로 제 1 공기가 각각 공급된다. 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 대한 흡착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십자전환밸브(54)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압축기(53)를 운전시키면, 냉매회로(50) 내에서 냉매가 순환한다. 구체적으로,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방열하여 응축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응축된 냉매는, 전동팽창밸브(55)를 통과할 때 감압된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흡열하여 증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53)로 흡입되어 압축된 후, 다시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다.
이와 같이, 제 1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증발기가 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는, 핀(57) 표면의 흡착제가 전열관(58) 내의 냉매로 가열되고,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한편,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는, 핀(57) 표면의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발생한 흡착열이 전열관(58) 내의 냉매에 흡열된다.
그리고, 제습운전 중이라면,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제습된 제 1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51)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가습운전 중이라면,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가습된 제 2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 수분을 빼앗긴 제 1 공기 가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 2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동작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1)로 제 1 공기가, 제 2 흡착열교환기(52)로 제 2 공기가 각각 공급된다. 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 대한 흡착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동작 중의 냉매회로(50)에서는, 십자전환밸브(54)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압축기(53)를 운전시키면, 냉매회로(50) 내에서 냉매가 순환한다. 구체적으로,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방열하여 응축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응축된 냉매는, 전동팽창밸브(55)를 통과할 때 감압된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흡열하여 증발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53)로 흡입되어 압축된 후, 다시 압축기(53)로부터 토출된다.
이와 같이, 냉매회로(50)에서는, 제 2 흡착열교환기(52)가 응축기가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51)가 증발기가 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는, 핀(57) 표면의 흡착제가 전열관(58) 내의 냉매로 가열되고,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한편,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는, 핀(57) 표면의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발생한 흡착열이 전열관(58) 내의 냉매에 흡열된다.
그리고, 제습운전 중이라면,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서 제습된 제 1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2)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가습운전 중이라면, 제 2 흡착열교환기(52)에서 가습된 제 2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51)에 수분을 빼앗긴 제 1 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흡착열교환기(51, 52)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교환기 본체(40)를 원료액 중에 침지시키는 침지행정 후, 열교환기 본체(40)를 공기 중에서 회전시키는 비산행정을 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 본체(40)를 공기 중에서 회전시키면, 각 핀(57)의 틈새 등에 막혀있던 여분의 원료액을 원심력에 의해 비산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각 핀(57) 틈새의 흡착제나 바인더 막힘을 해소하여, 핀(57) 표면 전역에 원료액을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열교환기 본체(40)의 표면 전역에 원료액을 부착시킨 후, 건조행정에서 이 원료액을 건조 경화시키면, 열교환기 본체(40)의 표면 전역에 걸쳐 균일한 흡착층이 형성된 흡착열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흡착열교환기의 통기저항을 저감하는 동시에, 이 흡착열교환기에 의한 수분 흡탈착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비산행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핀(57) 틈새의 흡착제 막힘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각 핀(57)의 피치를 좁게 설계할 수 있는 한편, 흡착층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흡착열교환기의 소형화, 혹은 흡착열교환기 흡탈착 성능의 가일층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비산행정 시에, 원심력을 이용하여 핀(57) 표면에 부착된 원료액을 비 산시킴으로써, 도 8(A)의 사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층 표면에 불규칙한 요철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으로 얻은 흡착열교환기(51, 52)에서는, 단순히 공기로 원료액을 비산시킨 도 8(B)의 흡착층에 비해 흡착층의 표면적비가 커진다. 따라서, 흡착열교환기에 의한 수분 흡탈착 성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이상의 본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교환기 본체의 표면에 흡착제를 포함하는 흡착층이 형성되는 흡착열교환기와, 그 흡착열교환기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유용하다.

Claims (12)

  1. 전열관의 연장방향으로 복수의 판상 핀이 배열된 열교환기 본체를 액상의 바인더 중에 흡착제가 분산된 슬러리 상태의 원료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열교환기 본체의 표면에 흡착층을 형성하여 흡착열교환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본체를 상기 원료액 중에 침지하는 침지행정과,
    상기 침지행정을 거친 열교환기 본체를 상기 핀 배열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기 중에서 회전시키는 비산행정과,
    상기 비산행정을 거친 열교환기 본체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을 구비하고,
    상기 핀은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산행정에서는, 상기 핀 한쪽의 긴 변이 회전축 쪽을 향하는 자세로 열교환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열교환기의 제조방법.
  2. 전열관의 연장방향으로 복수의 판상 핀이 배열된 열교환기 본체를 액상의 바인더 중에 흡착제가 분산된 슬러리 상태의 원료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열교환기 본체의 표면에 흡착층을 형성하여 흡착열교환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본체를 상기 원료액 중에 침지하는 침지행정과,
    상기 침지행정을 거친 열교환기 본체를 상기 핀 배열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기 중에서 회전시키는 비산행정과,
    상기 비산행정을 거친 열교환기 본체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을 구비하고,
    상기 침지행정에서는, 상기 열교환기 본체를 상기 비산행정 시보다 저속이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료액 중에서 회전시키고,
    상기 핀은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산행정에서는, 상기 핀 한쪽의 긴 변이 회전축 쪽을 향하는 자세로 열교환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열교환기의 제조방법.
  3. 전열관의 연장방향으로 복수의 판상 핀이 배열된 열교환기 본체를 액상의 바인더 중에 흡착제가 분산된 슬러리 상태의 원료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열교환기 본체의 표면에 흡착층을 형성하여 흡착열교환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본체를 상기 원료액 중에 침지하는 침지행정과,
    상기 침지행정을 거친 열교환기 본체를 상기 핀 배열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기 중에서 회전시키는 비산행정과,
    상기 비산행정을 거친 열교환기 본체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을 구비하고,
    상기 침지행정과,
    상기 비산행정과,
    상기 건조행정과,
    상기 건조행정을 거친 열교환기 본체를 물에 침지하는 침수행정을 차례로 반복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열교환기의 제조방법.
  4. 전열관의 연장방향으로 복수의 판상 핀이 배열된 열교환기 본체를 액상의 바인더 중에 흡착제가 분산된 슬러리 상태의 원료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열교환기 본체의 표면에 흡착층을 형성하여 흡착열교환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본체를 상기 원료액 중에 침지하는 침지행정과,
    상기 침지행정을 거친 열교환기 본체를 상기 핀 배열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기 중에서 회전시키는 비산행정과,
    상기 비산행정을 거친 열교환기 본체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을 구비하고,
    상기 침지행정에서는, 상기 열교환기 본체를 상기 비산행정 시보다 저속이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료액 중에서 회전시키고,
    상기 침지행정과,
    상기 비산행정과,
    상기 건조행정과,
    상기 건조행정을 거친 열교환기 본체를 물에 침지하는 침수행정을 차례로 반복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열교환기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전열관의 연장방향으로 복수의 판상 핀이 배열된 열교환기 본체 표면에 흡착층을 형성하여 흡착열교환기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액상 바인더 중에 흡착제가 분산된 슬러리 상태의 원료액을 저장하는 저류조와,
    상기 핀의 배열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열교환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구비하며,
    열교환기 본체를 원료액 중에서 회전시키는 제 1 상태와, 상기 열교환기 본 체를 원료액 중에서 꺼내 공기 중에서 회전시키는 제 2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열교환기의 제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수평방향으로 이어지는 회전축을 구성하는 축 부재와,
    상기 핀의 배열방향과 상기 축 부재가 평행을 이루는 자세로 상기 열교환기 본체를 유지하고, 상기 열교환기 본체와 함께 상기 축 부재 둘레를 회전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열교환기의 제조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축 부재의 축심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이 되도록 한 쌍의 열교환기 본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열교환기의 제조장치.
KR1020077027501A 2005-06-28 2006-06-23 흡착열교환기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947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88877 2005-06-28
JP2005188877A JP3918852B2 (ja) 2005-06-28 2005-06-28 吸着熱交換器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407A KR20080011407A (ko) 2008-02-04
KR100947433B1 true KR100947433B1 (ko) 2010-03-12

Family

ID=3759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501A KR100947433B1 (ko) 2005-06-28 2006-06-23 흡착열교환기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40048B2 (ko)
EP (1) EP1901022A4 (ko)
JP (1) JP3918852B2 (ko)
KR (1) KR100947433B1 (ko)
CN (1) CN100557371C (ko)
AU (1) AU2006263190B2 (ko)
WO (1) WO2007000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15153A1 (de) * 2011-03-25 2012-09-27 Sortech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führen eines alternierenden Verdampfungs- und Kondensationsprozesses eines Arbeitsmediums
JP5939679B2 (ja) * 2012-07-05 2016-06-22 シャープ株式会社 熱交換器の表面処理方法
CN102935417B (zh) * 2012-11-30 2016-01-13 成都易态科技有限公司 内滤滤管卧式旋转浸膜装置及系统
CN102941179B (zh) * 2012-11-30 2015-05-13 成都易态科技有限公司 滤管卧式旋转浸膜方法及系统
CN102941180B (zh) * 2012-11-30 2015-10-07 成都易态科技有限公司 外滤滤管卧式旋转浸膜装置及系统
JP5790640B2 (ja) * 2012-12-26 2015-10-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吸着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5228726B (zh) * 2013-04-24 2017-05-17 三菱电机株式会社 除湿装置
CN106001462B (zh) * 2016-06-21 2018-10-12 孙志军 一种用于球墨铸铁管砂芯的自动涂料机
KR101928888B1 (ko) * 2018-06-25 2018-12-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리튬 흡착용 다공체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흡착용 다공체 제조방법
WO2020003415A1 (ja) * 2018-06-27 2020-01-0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ならびに熱交換器の製造方法
CN109186015A (zh) * 2018-08-13 2019-01-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及空调系统的控制方法
CN110496742A (zh) * 2019-09-05 2019-11-26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样板封边装置及方法
US11946706B2 (en) 2021-02-19 2024-04-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dehumidifier, dehumidification element, and dehumidifier including dehumidification el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649A (ja) * 1994-03-31 1995-10-17 Kobe Steel Ltd 乾式除湿装置
JP2001054737A (ja) * 1999-08-20 2001-02-27 Cataler Corp 触媒担体のコーティング方法
JP2002263436A (ja) * 2001-03-06 2002-09-17 Daikin Ind Ltd 除湿素子の製造方法
JP2003251133A (ja) * 2002-03-07 2003-09-09 Seibu Giken Co Ltd 吸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着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8637A (en) * 1992-10-02 1995-02-1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Activated carbon absorbent with integral heat transfer device
JPH06206047A (ja) * 1993-01-07 1994-07-26 Sumitomo Metal Ind Ltd 意匠性塗装金属板
WO1997035938A1 (fr) * 1996-03-28 1997-10-02 Nippon Light Metal Company, Ltd. Agent de revetement hydrophile a base d'eau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ailette d'echangeur de chaleur prealablement enrobee de cet agent
JP3876749B2 (ja) * 2002-04-10 2007-02-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プレート素材の表面処理方法及び熱交換器用放熱フィン
JP2004071186A (ja) * 2002-08-01 200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塗膜付ランプ用管球の製造方法
JP3596549B2 (ja) * 2003-03-10 2004-12-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US20040202793A1 (en) * 2003-04-08 2004-10-14 Harper Bruce M. Dip-spin coa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649A (ja) * 1994-03-31 1995-10-17 Kobe Steel Ltd 乾式除湿装置
JP2001054737A (ja) * 1999-08-20 2001-02-27 Cataler Corp 触媒担体のコーティング方法
JP2002263436A (ja) * 2001-03-06 2002-09-17 Daikin Ind Ltd 除湿素子の製造方法
JP2003251133A (ja) * 2002-03-07 2003-09-09 Seibu Giken Co Ltd 吸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着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10181A (ja) 2007-01-18
EP1901022A1 (en) 2008-03-19
WO2007000948A1 (ja) 2007-01-04
JP3918852B2 (ja) 2007-05-23
CN100557371C (zh) 2009-11-04
AU2006263190B2 (en) 2009-07-30
US8240048B2 (en) 2012-08-14
US20090126397A1 (en) 2009-05-21
CN101180511A (zh) 2008-05-14
AU2006263190A1 (en) 2007-01-04
EP1901022A4 (en) 2011-09-07
KR20080011407A (ko) 200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433B1 (ko) 흡착열교환기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934392A (zh) 吸附热交换器
KR100855446B1 (ko) 열교환기
JP2008528263A (ja) 湿気及び/又は熱交換装置
WO2016194407A1 (ja) 除湿装置及び除湿方法
JPH01503215A (ja) トータル・エネルギー回収ホイール用の選択的伝達高効率顕熱及び潜熱交換媒体
CA3077343C (en) Gas adsorbent body,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and carbon dioxide gas concentration device
CN102414532A (zh) 热交换器及其制造方法
CN102712135A (zh) 包括大孔干燥剂的蜂窝状基体及其方法与应用
JP2011027332A (ja) 熱交換器およびヒートポンプ型デシカントシステム
JP2010270973A (ja) 吸着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06893A (ja) 吸着素子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ならびに吸着素子の製造方法
JP4120688B2 (ja) 吸着熱交換器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05095882A1 (ja) 熱交換器
JP2014035110A (ja) 吸着熱交換器
CN114234302A (zh) 一种稳定除湿机组送风湿度的方法及装置
CN108253557A (zh) 多级分区转轮除湿系统及其运行方法
JP3742932B2 (ja) 熱交換器
JP2012211745A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1194670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ehumidifier, dehumidification element, and dehumidifier including dehumidification element
JP4674009B2 (ja) ガス交換装置
US11874018B1 (en) Cooling and dehumidifcation system
JP2005283052A (ja) 調湿装置の熱交換器
JP2005315465A (ja) 熱交換器
JP2014040928A (ja) 吸着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