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008B1 -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008B1
KR100945008B1 KR1020090111694A KR20090111694A KR100945008B1 KR 100945008 B1 KR100945008 B1 KR 100945008B1 KR 1020090111694 A KR1020090111694 A KR 1020090111694A KR 20090111694 A KR20090111694 A KR 20090111694A KR 100945008 B1 KR100945008 B1 KR 100945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oor
transfer
steel shee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박재용
Original Assignee
(주)옥산아이엠티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산아이엠티, 김영진 filed Critical (주)옥산아이엠티
Priority to KR1020090111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12Arrangement or installation of roller tables in relation to a roll st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대상강판의 이송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는 이송대상강판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되게 복수의 롤러회전홈이 상호 이격상태로 요입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각각의 롤러회전홈에 설치되는 복수의 이송롤러, 이송롤러와 연결 설치되며, 이송롤러가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롤러구동부, 각각의 롤러회전홈 하부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하부도어, 이송롤러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이송롤러를 롤러회전홈의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롤러승강부, 하부도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부도어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하부도어가 상기 롤러회전홈을 개폐되게 하는 도어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Transfering device for steelstructural plate}
본 발명은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소에서 압연된 고온 상태의 강판을 이송시키는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을 비롯한 각종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생산라인에는 다수의 이송용 롤러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철강제품을 이송시키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송용 롤러는 회전샤프트와 결합되는 회전몸체의 외주면에 글래스 파이버 재질로 이루어진 일정 두께의 외피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이송용 롤러는 철강제품의 이송시 외피부가 고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충격을 완화시키고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는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으나, 이송되는 철강제품은 온도가 적어도 150℃의 고온으로서 계속 사용하는 경우 열에 의하여 외피부가 경화되거나 손상되어 외피부를 자주 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용 롤러는 일정 사용기간이 지나게 되면, 교환을 해주게 되는데, 종래에는 상기 이송용 롤러의 교환 작업시 전체 생산라인을 정지해야 함으 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생산라인의 정지없이 이송용 롤러를 교체할 수 있는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송대상강판의 이송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는 상기 이송대상강판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되게 복수의 롤러회전홈이 상호 이격상태로 요입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각각의 상기 롤러회전홈에 설치되는 복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가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롤러구동부와, 각각의 상기 롤러회전홈 하부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하부도어와, 상기 이송롤러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를 상기 롤러회전홈의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롤러승강부와, 상기 하부도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부도어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하부도어가 상기 롤러회전홈을 개폐되게 하는 도어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가 상기 롤러승강부에 의해 상기 롤러회전홈의 하부로 하강하면, 상기 하부도어는 상기 도어개폐구동부에 의해 상기 롤러회전홈의 하부로 이송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을 막으며, 상기 하부도어가 상기 도어개폐구동부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을 개방하면,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롤러승강부에 의해 상기 롤러회전홈으로 삽입되게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의 양 단부에는 베어링이 내장된 베어링하우스가 결합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대향되는 양측부에는 상기 베어링하우스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사이드베이스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구동부는, 롤러구동모터와, 상기 롤러구동모터의 회전축 및 상기 이송롤러의 일 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롤러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의 상기 이송롤러에 대한 전달여부를 조절하는 클러치가 내장된 클러치하우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승강부는, 롤러승강모터와, 상기 이송롤러에 수직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외측부에 설치되며, 하 단부가 상기 이송롤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롤러승강스크류잭과, 상기 롤러승강모터의 회전축에 연장 결합된 상태로 각각의 대향되는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승강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으로 전달하여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이송롤러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게 하는 승강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의 일 측부에는 판 형상의 측부도어를 더 구비하여, 상기 측부도어가 상기 이송롤러의 하강시, 개방되는 상기 롤러회전홈의 측부를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저부에는 상기 하부도어를 상기 이송대상강판의 이송방향 전후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언더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도어개폐구동부는, 도어전후이송모터와,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에 수직되게 상기 케이스 외측부에 설치되며, 일 단부가 상기 하부도어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도어이송스크류잭과,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의 회전축에 연장 결합된 상태로 각각의 대향되는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으로 전달하여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하부도어를 상기 언더베이스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게 하여, 상기 롤러회전홈의 하부를 개폐시키게 하는 전후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구동부는, 도어구동실린더와, 양 단부는 각각 상기 도어구동실린더 및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제1링크부재와, 일 단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동되게 결합된 상기 제1링크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며, 타 단부는 상기 하부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에 전달된 상기 도어구동실린더의 구동력을 상기 하부도어로 전달하여 상기 하부도어가 상기 롤러회전홈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의 하부를 개폐시키게 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는, 복수의 롤러회전홈 상에 이송대상강판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송롤러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 해당되는 이송롤러가 롤러승강부에 의해 롤러회전홈 하부로 하강된 후, 새로운 이송롤러를 다시 롤러승강부에 의해 롤러회전홈 상으로 상승시키면서 이송대상강판을 이송시키는데 사용되게 한다. 따라서, 이송롤러를 교환하더라도 다른 이송롤러는 연속적으로 이송대상강판을 이송시킴으로 생산라인이 정지될 필요가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는, 케이스(100), 이송롤러(200), 롤러구동부(300), 하부도어(400), 롤러승강부(500), 도어개폐구동부(60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압연된 고온상태 이송대상강판(도면미도시)의 이송시, 상기 이송대상강판의 고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통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은 상기 이송대상강판의 이송라인(10)과 연결되는 양 단부, 즉, 상기 이송대상강판의 이송방향으로 연직된 양 측면은 상기 이송대상강판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이송롤러(200)가 설치되도록 복수의 롤러회전홈(110)을 요홈 형성한다. 즉, 상기 롤러회전홈(110)은 상기 이송롤러(200)가 상기 케이스(100)의 저면보다 일정높이 돌출될 수 있게 하여, 상기 이송롤러(200)의 회전력에 의한 상기 이송대상강판의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롤러회전홈(110)은 상기 이송대상강판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호 수평상태로 이격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대향되는 양측부, 즉, 상기 케이스(100)의 각 상 기 롤러회전홈(110) 양 단부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는 외측부에는 각각 이후 설명될 상기 이송롤러(200)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사이드베이스(120)가 결합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100)의 저부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하부도어(400)를 상기 케이스(100) 하부에서 상기 이송대상강판의 이송방향 전후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언더베이스(130)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롤러(200)는 상기 이송라인(10)을 통해 상기 이송대상강판이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하면서 이송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이송롤러(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롤러회전홈(110)에 대응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100) 외측부에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롤러(200)의 길이방향 양 단부, 즉 회전축 양 단부에는 베어링(도면미도시)이 내장된 베어링하우스(210)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베어링하우스(210)는 상기 케이스(100)의 사이드베이스(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같이, 상기 이송롤러(200)는 상기 베어링하우스(21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0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 이후 설명될 상기 롤러구동부(300)에 의한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하우스(210)는 이후 상기 이송롤러(20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이송롤러(200)의 회전축 양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이다.
상기 롤러구동부(300)는 상기 이송롤러(200)에 회전력을 발생 전달시킨다. 여기서, 상기 롤러구동부(300)는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이송롤러(20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200)의 회전축에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롤러구동 부(300)는 롤러구동모터(310), 클러치하우스(320)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구동모터(310)는 상기 이송롤러(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클러치하우스(320)는 내부에 클러치(도면미도시)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롤러구동모터(310)와 상기 이송롤러(200) 사이에 연결 상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클러치하우스(320)는 상기 롤러구동모터(310)의 회전축 및 상기 이송롤러(200)의 회전축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롤러구동모터(3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의 상기 이송롤러(200)에 대한 전달여부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330번은 상기 롤러구동모터(310)의 회전축을 상기 클러치하우스(320)의 클러치에 연결시키는 커플링이며, 도면부호 340번은 상기 이송롤러(200)의 회전축을 상기 클러치하우스(320)의 클러치에 연결시키는 유니버셜조인트이다.
상기 하부도어(400)는 상기 롤러회전홈(110)을 개폐하는 판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하부도어(400)는 상기 롤러회전홈(110) 상에서 상기 이송롤러(200)가 회전시에는 상기 케이스(100)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110)을 밀폐상태로 유지되게 하며, 상기 롤러회전홈(110)에서 상기 이송롤러(200)가 하강될 경우, 상기 롤러회전홈(110)을 개방한 후, 상기 이송롤러(200)가 상기 케이스(100) 하방으로 이송되면 다시 상기 롤러회전홈(110)을 밀폐시킨다. 즉, 상기 하부도어(400)는 상기 케이스(100)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후 설명될 상기 도어개폐구동부(600)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110)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롤러승강부(500)는 상기 이송롤러(200)를 상기 롤러회전홈(110)의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즉, 상기 롤러승강부(500)는 상기 이송롤러(200)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송롤러(200)의 교환이 필요할 경우, 상기 이송롤러(200)를 상기 롤러회전홈(110)에서 이탈시킨 후, 상기 이송롤러(200)가 새것으로 교환되면 다시 상승시켜 상기 롤러회전홈(110)에 위치하면서 상기 이송대상강판을 이송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롤러승강부(500)는 롤러승강모터(510), 롤러승강스크류잭(520), 승강구동축(540)을 포함한다.
상기 롤러승강모터(510)는 상기 이송롤러(20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롤러승강모터(510)의 회전 구동력은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520)으로 전달되어,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520)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이송롤러(200)가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520)는 상기 이송롤러(200)에 수직하게 상기 케이스(100) 외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승강모터(51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면서, 상기 이송롤러(20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이러한,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520)의 하 단부는 상기 이송롤러(200)의 길이방향 양 단부, 즉, 회전축 양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베어링하우스(2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520)의 상 단부는 상기 케이스(100) 외측부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520)의 일 측부에는 판 형상의 측부도어(5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측부도어(530)는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520)이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송롤러(200)를 하강시킬 경우, 개방되는 상기 케이스(100)의 롤러회전홈(110) 측부를 막아줌으로써,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고열이 상기 개방된 상기 롤러회전홈(110)의 측부를 통해 배출되지 않게 하여 안전사고나 외부장치(도면미도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축(540)은 상기 롤러승강모터(510)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520)으로 전달한다. 즉, 상기 승강구동축(540)은 상기 롤러승강모터(510)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이 상기 이송롤러(20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된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540)으로 전달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승강모터(510)의 구동시, 대향되는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520)이 동시에 작동되게 하여 상기 이송롤러(200)의 안정적인 승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승강구동축(540)은 상기 롤러승강모터(510)의 회전축에 연장 결합된 상태로 각각의 상호 대향되는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520)에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승강모터(510)가 작동되면 상기 승강구동축(540)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520)이 작동되면서, 상기 이송롤러(20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550번은 상기 롤러승강모터(510)의 회전축을 상기 승강구동축(540)에 연결시키는 커플링이다.
상기 도어개폐구동부(600)는 상기 하부도어(400)를 상기 롤러회전홈(110) 하부에서 이송시키면서, 상기 롤러회전홈(1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이송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도어개폐구동부(600)는 상기 하부도어(400)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송롤러(200)가 상기 롤러승강부(500)에 의해 상기 롤러회전홈(110) 상에서의 승강여부에 따라 상기 하부도어(400)를 이송되게 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110)을 개폐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롤러(200)의 교환을 위해 상기 롤러승강 부(500)에 의해 상기 롤러회전홈(110)의 하부로 하강완료되면, 상기 하부도어(400)는 상기 도어개폐구동부(600)에 의해 상기 롤러회전홈(110)의 하부로 이송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110)을 막게 되며, 이후, 상기 하부도어(400)가 상기 도어개폐구동부(600)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최초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롤러회전홈(110)을 개방하면, 교환된 상기 이송롤러(200)는 상기 롤러승강부(500)에 의해 상기 롤러회전홈(110)으로 삽입되도록 상승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개폐구동부(600)는 도어전후이송모터(610), 도어이송스크류잭(620), 전후구동축(630)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610)는 상기 하부도어(400)를 상기 이송대상강판의 이송방향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610)의 회전 구동력은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으로 전달되어,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이 작동되면서 상기 하부도어(4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은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610)에 수직하게 상기 케이스(100) 외측부에 복수 설치되어,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61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면서, 상기 하부도어(400)를 상기 이송대상강판의 이송방향에 대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의 일 단부는 상기 하부도어(40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즉, 각각의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100)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하부도어(400)에 수직되게 결합한다.
상기 전후구동축(630)은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610)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으로 전달한다. 즉, 상기 전후구동축(630)은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610)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이 상기 하부도어(40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된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으로 전달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610)의 구동시, 대향되는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이 동시에 작동되게 하여 상기 하부도어(400)의 안정적인 전후이동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전후구동축(630)은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610)의 회전축에 연장 결합된 상태로 각각의 상호 대향되는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에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610)가 작동되면, 상기 전후구동축(630)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이 작동되면서, 상기 하부도어(400)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110)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640번 및 650번은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610)의 회전축을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에 연결시키는 커플링 및 상기 전후구동축(630)을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에 연결시키는 커플링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도어개폐구동부(600)에 의한 상기 하부도어(400)의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610)에서 회전 구동력이 발생되면, 그 구동력이 상기 전후구동축(630)을 통해 연결된 각각의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의 일 단부에 각각 연결 결합된 상기 하부도어(400)가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의 동작에 대응되게 전후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면서 상 기 롤러회전홈(110)을 개폐하게 된다.
도 9는 상기 도어개폐구동부(60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개폐구동부(601)는 도어구동실린더(660), 제1링크부재(670), 제2링크부재(6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구동실린더(660)는 상기 하부도어(400)를 상기 케이스(100)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도어구동실린더(660)의 구동력은 상기 제1링크부재(670) 및 상기 제2링크부재(680)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하부도어(4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링크부재(670)는 상기 도어구동실린더(660)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연결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1링크부재(670)의 일 단부는 상기 도어구동실린더(660)의 로드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핀 결합되며, 타 단부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 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680)는 상기 제1링크부재(670)에 전달된 상기 도어구동실린더(660)의 구동력을 상기 하부도어(400)로 전달하는 연결부재이다. 즉, 상기 제2링크부재(680)는 상기 도어구동실린더(660)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하부도어(400)가 상기 롤러회전홈(110)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110)의 하부를 개폐시키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제2링크부재(680)의 일 단부는 상기 케이스(100)에 회동되게 결합된 상기 제1링크부재(670)의 타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 단부는 상기 하부도어(400)의 고정 결합된다.
이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어개폐구동부(601)는 상기 도어구동실린 더(66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제1링크부재(670) 및 상기 제2링크부재(680)가 전달받은 후, 상기 하부도어(400)로 전달하면서 상기 하부도어(4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110)을 개폐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의 이송롤러 교환동작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송롤러(200)의 교환없이 상기 이송대상강판을 이송할 경우에는, 모든 상기 이송롤러(200)가 상기 롤러회전홈(110) 상에서 상기 롤러구동부(300)에 의해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일정사용시간이 되면서, 선택된 어느하나의 상기 이송롤러(200)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교환될 상기 이송롤러(200)는 상기 롤러구동부(300)의 클러치하우스(320)에 내장된 클러치에 의해 상기 롤러구동모터(410)로부터 전달받던 회전력이 차단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롤러승강부(500)에 의해 상기 이송롤러(200)는 상기 롤러회전홈(110) 하방으로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롤러승강부(500)의 롤러승강모터(510)가 작동하면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은, 상기 승강구동축(540)을 통해 상호 대향되는 상기 롤러스크류잭(520)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롤러스크류잭(520)은 상기 이송롤러(200)의 회전축 양단부에 결합된 상기 베어링하우스(210)를 하방으로 밀면서, 상기 이송롤러(200)가 상기 롤러회전홈(110)의 일정높이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이송롤러(200)의 하강이 시작되면, 상기 롤러회전홈(110)을 폐쇄하고 있던 상기 하부도어(400)가 상기 도어개폐구동부(400)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110)을 개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도어개폐구동부(600)의 도어전후이송모터(610)가 작동하면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은, 상기 전후구동축(630)을 통해 상호 대향되는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은 상기 하부도어(400)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하부도어(400)가 상기 롤러회전홈(100)의 연직 하부 위치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100)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이송롤러(200)가 상기 롤러회전홈(110)의 하방으로 하강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도어개폐구동부(600)에 의해 상기 하부도어(400)가 이동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110)의 하부를 막아,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고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개폐구동부(600)의 도어전후이송모터(610)가 작동하면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은, 상기 전후구동축(630)을 통해 상호 대향되는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620)은 상기 하부도어(400)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하부도어(400)가 상기 롤러회전홈(10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막아주면서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고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후, 새로 교체할 상기 이송롤러(200)의 설치는 앞서 설명한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롤러회전홈(110)에 재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대상강판을 이송시키는데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는, 복수의 롤러회 전홈(110) 상에 상기 이송대상강판을 이송시키는 상기 이송롤러(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롤러(200)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 해당되는 상기 이송롤러(200)가 상기 롤러승강부(500)에 의해 상기 롤러회전홈(110) 하부로 하강된 후, 새로운 상기 이송롤러(200)를 다시 상기 롤러승강부(500)에 의해 상기 롤러회전홈(110) 상으로 상승시키면서 상기 이송대상강판을 이송시키는데 사용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롤러(200)를 교환하더라도 다른 상기 이송롤러(200)는 연속적으로 상기 이송대상강판을 이송시킴으로 생산라인이 정지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도어개폐구동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나타낸 도어개폐구동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 설치상태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케이스 110: 롤러회전홈
120: 사이드베이스 130: 언더베이스
200: 이송롤러 210: 베어링하우스
300: 롤러구동부 310: 롤러구동모터
320: 클러치하우스 400: 하부도어
500: 롤러승강부 510: 롤러승강모터
520: 롤러승강스크류잭 540: 승강구동축
600: 도어개폐구동부 610: 도어전후이송모터
620: 도어이송스크류잭 630: 전후구동축
660: 도어구동실린더 670: 제1링크부재
680: 제2링크부재

Claims (8)

  1. 이송대상강판의 이송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는 상기 이송대상강판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되게 복수의 롤러회전홈이 상호 이격상태로 요입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각각의 상기 롤러회전홈에 설치되는 복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가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롤러구동부와;
    각각의 상기 롤러회전홈 하부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하부도어와;
    상기 이송롤러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이송롤러를 상기 롤러회전홈의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롤러승강부와;
    상기 하부도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부도어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하부도어가 상기 롤러회전홈을 개폐되게 하는 도어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가 상기 롤러승강부에 의해 상기 롤러회전홈의 하부로 하강하면, 상기 하부도어는 상기 도어개폐구동부에 의해 상기 롤러회전홈의 하부로 이송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을 막으며,
    상기 하부도어가 상기 도어개폐구동부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을 개방하면,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롤러승강부에 의해 상기 롤러회전홈으로 삽입되게 상승하는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의 양 단부에는 베어링이 내장된 베어링하우스가 결합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대향되는 양측부에는 상기 베어링하우스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사이드베이스가 결합 구비된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구동부는, 롤러구동모터와,
    상기 롤러구동모터의 회전축 및 상기 이송롤러의 일 단부와 각각 연결되어,상기 롤러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의 상기 이송롤러에 대한 전달여부를 조절하는 클러치가 내장된 클러치하우스를 포함하는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승강부는, 롤러승강모터와,
    상기 이송롤러에 수직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외측부에 설치되며, 하 단부가 상기 이송롤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롤러승강스크류잭과,
    상기 롤러승강모터의 회전축에 연장 결합된 상태로 각각의 대향되는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승강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으로 전달하여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이송롤러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게 하는 승강구동축을 포함하는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롤러승강스크류잭의 일 측부에는 판 형상의 측부도어를 더 구비하여, 상기 측부도어가 상기 이송롤러의 하강시, 개방되는 상기 롤러회전홈의 측부를 막아주는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부에는 상기 하부도어를 상기 이송대상강판의 이송방향 전후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언더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도어개폐구동부는, 도어전후이송모터와,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에 수직되게 상기 케이스 외측부에 설치되며, 일 단부가 상기 하부도어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도어이송스크류잭과,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의 회전축에 연장 결합된 상태로 각각의 대향되는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전후이송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도어이 송스크류잭으로 전달하여 상기 도어이송스크류잭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하부도어를 상기 언더베이스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게 하여, 상기 롤러회전홈의 하부를 개폐시키게 하는 전후구동축을 포함하는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구동부는, 도어구동실린더와,
    양 단부는 각각 상기 도어구동실린더 및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제1링크부재와,
    일 단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동되게 결합된 상기 제1링크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며, 타 단부는 상기 하부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에 전달된 상기 도어구동실린더의 구동력을 상기 하부도어로 전달하여 상기 하부도어가 상기 롤러회전홈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롤러회전홈의 하부를 개폐시키게 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KR1020090111694A 2009-11-18 2009-11-18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KR100945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694A KR100945008B1 (ko) 2009-11-18 2009-11-18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694A KR100945008B1 (ko) 2009-11-18 2009-11-18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5008B1 true KR100945008B1 (ko) 2010-03-05

Family

ID=4218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694A KR100945008B1 (ko) 2009-11-18 2009-11-18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0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638B1 (ko) * 2010-07-06 2011-01-04 에스앤에스아이앤씨 주식회사 단조 제품용 집화장치
KR101034079B1 (ko) * 2010-12-08 2011-05-13 오혜영 열교환기용 팬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52392B1 (ko) 2011-12-12 2012-06-07 주식회사 세코 유체 분사 롤러 유닛
CN110460815A (zh) * 2019-08-19 2019-11-15 深圳市九兴智能技术有限公司 监控设备运维管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8973U (ko) 1987-03-31 1988-10-18
JPH05302294A (ja) * 1992-04-27 1993-11-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カレンダのロール交換装置
JPH08225827A (ja) * 1995-02-21 1996-09-03 Nippon Steel Corp ロール交換装置
JPH11314812A (ja) 1998-03-05 1999-11-16 Daimler Chrysler Ag 膜ロ―ルの自動交換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8973U (ko) 1987-03-31 1988-10-18
JPH05302294A (ja) * 1992-04-27 1993-11-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カレンダのロール交換装置
JPH08225827A (ja) * 1995-02-21 1996-09-03 Nippon Steel Corp ロール交換装置
JPH11314812A (ja) 1998-03-05 1999-11-16 Daimler Chrysler Ag 膜ロ―ルの自動交換装置及び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638B1 (ko) * 2010-07-06 2011-01-04 에스앤에스아이앤씨 주식회사 단조 제품용 집화장치
KR101034079B1 (ko) * 2010-12-08 2011-05-13 오혜영 열교환기용 팬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52392B1 (ko) 2011-12-12 2012-06-07 주식회사 세코 유체 분사 롤러 유닛
CN110460815A (zh) * 2019-08-19 2019-11-15 深圳市九兴智能技术有限公司 监控设备运维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008B1 (ko)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KR101627503B1 (ko) 고온 진공 열처리로의 이송장치
KR101542224B1 (ko) 강화유리 제조장치의 노 개폐장치
CN211541239U (zh) 一种工位可调式工业机器人
CN114934754B (zh) 一种钻杆自动输送装置及钻孔设备
CN107824775A (zh) 一种自动浇注系统
CN110155856A (zh) 安葬工作系统及运载平台对位方法
CN105021034B (zh) 一种可自动输料的杆件加热炉
CN204528549U (zh) 自动上料设备及自动上下料系统
KR100800510B1 (ko) 게이트 컨베이어
KR20160040031A (ko)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의 랙기어박스 권양기
CN217554834U (zh) 一种用于导轨加工的自动上料装置
KR100857053B1 (ko) 반전 기능을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승강장치
CN106995870B (zh) 退火密封装置
CN109911506A (zh) 一种电机半成品顶开移动机构
KR101940140B1 (ko) 배터리 팩 제조 설비용 사이드 플레이트 공급 장치
CN112938518A (zh) 一种z型提升机卸料装置
CN220997030U (en) Opening box supporting mechanism suitable for box filling machine
CN220722533U (zh) 旋挖钻杆外主键自动上料
CN217946878U (zh) 一种玻璃上下片辅助机构
CN206692553U (zh) 一种钢化玻璃炉用自动升降炉门
CN107056034A (zh) 一种钢化玻璃炉用自动升降炉门
KR102070387B1 (ko) 푸싱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
CN220745701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退火炉
CN212952421U (zh) 插销式柜门开闭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