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031A -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의 랙기어박스 권양기 - Google Patents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의 랙기어박스 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031A
KR20160040031A KR1020140133505A KR20140133505A KR20160040031A KR 20160040031 A KR20160040031 A KR 20160040031A KR 1020140133505 A KR1020140133505 A KR 1020140133505A KR 20140133505 A KR20140133505 A KR 20140133505A KR 20160040031 A KR20160040031 A KR 20160040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ate
pinion
roller
rack ba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회
Original Assignee
황명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회 filed Critical 황명회
Priority to KR1020140133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0031A/ko
Publication of KR2016004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0Vertical-lift gates with guide wheels or rollers for the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게이트 양측면의 롤러가 문비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접촉되어, 상기 롤러게이트의 상승,하강에 의한 롤러게이트 양측면의 마찰에 따른 파손 및 마모 발생을 방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롤러게이트 양측 단부의 누수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롤러게이트를 승강 및 하강 가능하도록 래크바 하단과 결합하는 힌지부는 2단으로 구성하여, 래크바의 상승시에는 롤러게이트의 간격변화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하강시에는 수밀을 요하는 위치에서 2단으로 충분한 가압력을 가해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랙기어박스 내부의 제1 피니언 및 제2 피니언이 래크바와 각각 치합되어, 이중으로 상기 래크바 및 이와 연설되는 롤러게이트를 승강 및 하강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롤러게이트의 인양 하중이 제1 및 제2 피니언에 분산되어, 상기 래크바의 휨 현상을 미연에 예방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피니언의 파손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한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롤러게이트(110)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상기 롤러게이트(110)의 상승, 하강 운동으로 전환하는 랙기어박스(120)가 설치되는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130)와,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130)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전동기(141)와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141)에서 발생하는 회전 동력을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130)로 전달하는 전동기측 동력전달부(140)와,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130)에 의해 ㄷ형의 문비(150) 사이에 위치되는 롤러게이트(110)을 개폐하도록 하며, 상기 양측 ㄷ형의 문비(150) 내부에 양단부가 삽입되는 롤러게이트(110)가 상기 문비(15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롤러게이트(110) 양측면에는 회전축(161)을 개재하여 롤러(160)가 연설되고, 상기 랙기어박스(120)에는 래크바(180)가 수직으로 연설되어 그 하단부가 상기 롤러게이트(110)와 힌지부(170)로서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결합토록 되며, 상기 래크바(180)가 승강 및 하강토록 상기 구동 회전축(100)과 연설되는 제1 피니언(200)은 상기 래크바(180)의 전방으로 치합토록 되며, 상기 제1 피니언(200)과 구동 회전축(100)으로 제1 구동기어(210)가 연설되는 한편, 상기 래크바(180)가 승강 및 하강토록 상기 래크바(180)의 후방으로 제2 피니언(220)이 치합되며, 상기 제2 피니언(200)에 회전력을 전달토록 상기 제2 피니언(200)에 연설되는 제2 구동기어(230)는 상기 제1 구동기어(210)와 치합되어 상기 제2 피니언(2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롤러게이트 개폐장치{an open and close apparatus of roller gate}
본 발명은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로는 롤러게이트 양측면의 롤러가 문비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접촉되어, 상기 롤러게이트의 상승,하강에 의한 롤러게이트 양측면의 마찰에 따른 파손 및 마모 발생을 방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롤러게이트 양측 단부의 누수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롤러게이트를 승강 및 하강 가능하도록 래크바 하단과 결합하는 힌지부는 2단으로 구성하여, 래크바의 상승시에는 롤러게이트의 간격변화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하강시에는 수밀을 요하는 위치에서 2단으로 충분한 가압력을 가해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랙기어박스 내부의 제1 피니언 및 제2 피니언이 래크바와 각각 치합되어, 이중으로 상기 래크바 및 이와 연설되는 롤러게이트를 승강 및 하강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롤러게이트의 인양 하중이 제1 및 제2 피니언에 분산되어, 상기 래크바의 휨 현상을 미연에 예방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피니언의 파손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관계용수로 등에서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물의 공급을 중지하기 위한 수문이 설치되며, 이와 같은 수문은 배수로 입구의 양측에 ㄷ형의 가이드 레일인 문비를 설치하고, 상기 문비에 배수로 입구를 개폐하는 수문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수문을 승강 작동기에 의해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문은, 승강 작동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문을 승강 작동시키므로서 배수로 입구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이나, 수문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고, 상기 수문의 개폐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배수 단면적을 극대화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수문의 개폐작동을 원활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문 개폐장치가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335233호에 알려져 있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로의 출구에 축조되고 하부에 배수구멍(1a)이 형성되어 있는 벽체(1)와, 'ㄷ'단면형으로 되어 상기 배수구멍(1a)의 양 측부에 수직되게 고정된 가이드프레임(2)과, 사각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2)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수문(3)과, 'ㄷ' 단면형으로 되어 그 하단부가 상기 수문(3)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로드(4)와, 승강로드(4)의 내측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함께 승강로드(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회동로드(5)와, 상기 승강로드(4)를 가이드하기 위해 벽체(1)에 고정된 가이드블록(7)과, 상기 회동로드(5)에 치합되어 있는 스프로킷휠(6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 또는 구동모터(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6)의 구동에 의해 이와 연설되는 스프로킷휠(6a)을 회전 구동시키며, 이때 상기 스프로킷휠(6a)의 회전에 의해 이와 치합된 복수의 회동로드(5)가 승강하여 승강로드(4)를 승,하강시키게 되며, 상기 승강로드(4)의 하단부는 수문(3)과 연설되어, 상기 승강로드(4)를 승,하강 동작에 의해 수문(3)도 일체로 승강 및 하강하여 배수로 입구를 개폐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문 개폐장치는, 단순히 구동모터(6)의 구동에 의해 이와 연설되는 스프로킷휠(6a)을 회전 구동시켜 수직으로 연결된 승강로드(4)를 승,하강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승강로드(4)와 연결된 수문(3)이 일체로 승,하강되어 배수로를 개폐시킴으로써, 상기 수문(3)의 승강시 승강로드(4)에 가해지는 수문(3) 인양 하중이 1개의 스프로킷휠(6a)에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스프로킷휠(6a)의 휨 및 승강로드(4)의 휨 현상이 극심하게 발생됨은 물론, 상기 스프로킷휠(6a)의 파손이 촉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문(3)의 개폐 동작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335233호(등록일 : 2002년 04월 2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롤러게이트 양측면의 롤러가 문비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접촉되어, 상기 롤러게이트의 상승, 하강에 의한 롤러게이트 양측면의 마찰에 따른 파손 및 마모 발생을 방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롤러게이트 양측 단부의 누수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롤러게이트를 승강 및 하강 가능하도록 래크바 하단과 결합하는 힌지부는 2단으로 구성하여, 래크바의 상승시에는 롤러게이트의 간격변화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하강시에는 수밀을 요하는 위치에서 2단으로 충분한 가압력을 가해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랙기어박스 내부의 제1 피니언 및 제2 피니언이 래크바와 각각 치합되어, 이중으로 상기 래크바 및 이와 연설되는 롤러게이트를 승강 및 하강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롤러게이트의 인양 하중이 제1 및 제2 피니언에 분산되어, 상기 래크바의 휨 현상을 미연에 예방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피니언의 파손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는 롤러게이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에 있어서,
롤러게이트와 양측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롤러게이트의 상승, 하강 운동으로 전환하는 랙기어박스가 각각 설치되는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전동기와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에서 발생하는 회전 동력을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로 전달하는 전동기측 동력전달부;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롤러게이트가 개폐되도록 상기 롤러게이트 양측에 위치되는 ㄷ형의 문비;
상기 양측 ㄷ형의 문비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게이트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롤러게이트 양측면에 회전축을 개재하여 연설되는 롤러;
상기 랙기어박스에 수직으로 연설되어 하단부가 롤러게이트와 힌지부로서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크바;
상기 래크바가 승강 및 하강토록 상기 구동 회전축과 연설되어 상기 래크바의 전방으로 치합되는 제1 피니언;
상기 제1 피니언과 구동 회전축으로 연설되는 제1 구동기어;
상기 래크바가 승강 및 하강토록 상기 래크바의 후방으로 치합되는 제2 피니언;
상기 제2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토록 상기 제1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2 피니언에 연설되는 제2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게이트 개폐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동기측 동력전달부와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인 랙기어박스사이에는 구동 회전축을 통해 감속기가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롤러게이트 양측면에 연설되는 롤러는 상기 롤러게이트의 양측면 상,하측으로 다수개 슬라이딩 가능토록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롤러게이트를 승강 및 하강 가능하도록 래크바 하단과 결합하는 힌지부는 제1 및 제2 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래크바의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치합되는 제1 및 제2 피니언은,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피니언의 상측으로 제2 피니언이 치합되며, 상기 래크바와 치합되는 제1 및 제2 피니언과 제1 및 제2 구동기어는 상기 랙기어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로 치합되는 제1 및 제2 구동기어의 치합부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어의 유동을 방지토록 가이드 롤러가 각각 횡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에 의하면, 롤러게이트 양측면의 롤러가 문비의 내측면과 슬라이딩 접촉되어, 상기 롤러게이트의 상승,하강에 의한 롤러게이트 양측면의 마찰에 따른 파손 및 마모 발생을 방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롤러게이트 양측 단부의 누수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롤러게이트를 승강 및 하강 가능하도록 래크바 하단과 결합하는 힌지부는 2단으로 구성하여, 래크바의 상승시에는 롤러게이트의 간격변화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하강시에는 수밀을 요하는 위치에서 2단으로 충분한 가압력을 가해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랙기어박스 내부의 제1 피니언 및 제2 피니언이 래크바와 각각 치합되어, 이중으로 상기 래크바 및 이와 연설되는 롤러게이트를 승강 및 하강시키며, 이에따라 상기 롤러게이트의 인양 하중이 제1 및 제2 피니언에 분산되어, 상기 래크바의 휨 현상을 미연에 예방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피니언의 파손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수문 개폐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수문 개폐장치의 측단면 구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의 정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롤러게이트의 개폐를 위한 랙기어박스의 정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랙기어 전,후방으로 구동기어를 개재하여 각각 치합되는 제1 및 제2 피니언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랙기어 전,후방으로 각각 치합되는 제1 및 제2 피니언의 연결상태 요부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인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의 정면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롤러게이트의 개폐를 위한 랙기어박스의 정단면 구조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랙기어 전,후방으로 구동기어를 개재하여 각각 치합되는 제1 및 제2 피니언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랙기어 전,후방으로 각각 치합되는 제1 및 제2 피니언의 연결상태 요부 구조도로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롤러게이트(110)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상기 롤러게이트(110)의 상승,하강 운동으로 전환하는 랙기어박스(120)가 설치되는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130)와,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130)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전동기(141)와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141)에서 발생하는 회전 동력을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130)로 전달하는 전동기측 동력전달부(140)와,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130)에 의해 ㄷ형의 문비(150) 사이에 위치되는 롤러게이트(110)을 개폐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동기측 동력전달부(140)와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130)인 랙기어박스(120) 사이에는 구동 회전축(100)을 통해 감속기(190)가 연설토록 된다.
또한,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130)에 의해 상기 롤러게이트(110)가 개폐되도록 상기 롤러게이트(110) 양측에는 단면이 ㄷ형의 문비(150)가 위치되며, 상기 양측 ㄷ형의 문비(150) 내부에 양단부가 삽입되는 롤러게이트(110)가 상기 문비(15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롤러게이트(110) 양측면에는 회전축(161)을 개재하여 롤러(160)가 연설되며, 상기 롤러게이트(110) 양측면에 연설되는 롤러(160)는 상기 롤러게이트(110)의 양측면 상,하측으로 다수개 슬라이딩 가능토록 연설된다.
또한, 상기 랙기어박스(120)에는 래크바(180)가 수직으로 연설되어 그 하단부가 상기 롤러게이트(110)와 힌지부(170)로서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결합도록 되며, 이때 상기 롤러게이트(110)를 승강 및 하강 가능하도록 래크바(180) 하단과 결합하는 힌지부(170)는 제1 및 제2 힌지부(170a)(170b)의 2단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래크바(180)가 승강 및 하강토록 상기 구동 회전축(100)과 연설되는 제1 피니언(200)은 상기 래크바(180)의 전방으로 치합토록 되며, 상기 제1 피니언(200)과 구동 회전축(100)으로 제1 구동기어(210)가 연설된다.
또한, 상기 래크바(180)가 승강 및 하강토록 상기 래크바(180)의 후방으로 제2 피니언(220)이 치합되며, 상기 제2 피니언(200)에 회전력을 전달토록 상기 제2 피니언(200)에 연설되는 제2 구동기어(230)는 상기 제1 구동기어(210)와 치합되어 상기 제2 피니언(22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래크바(180)의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치합되는 제1 및 제2 피니언(200)은,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피니언(200)의 상측으로 제2 피니언(220)이 치합되며, 상기 래크바(180)와 치합되는 제1 및 제2 피니언(200)(220)과 제1 및 제2 구동기어(210)(230)는 상기 랙기어박스(120) 내부에 설치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서로 치합되는 제1 및 제2 구동기어(210)(230)의 치합부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어(210)(230)의 구동에 의한 래크바(180)의 밀림을 방지토록 가이드 롤러(240)가 각각 횡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기측 동력전달부(140)의 전동기(141)에서 발생하는 회전 동력을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130)로 전달하게 되며, 이때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130)는 랙기어박스(120)에 의해 회전동력을 롤러게이트(110)의 상승, 하강 운동으로 전환하게 되어, ㄷ형의 문비(150) 사이에 위치되는 롤러게이트(110)을 용이하게 개폐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동기측 동력전달부(140)와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130)인 랙기어박스(120) 사이에는 구동 회전축(100)을 통해 감속기(190)가 연설토록 되어, 상기 랙기어박스(120)에서 승강 및 하강하는 롤러게이트(110)가 충분히 감속되어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130)에 의해 상기 롤러게이트(110)가 개폐되도록 상기 롤러게이트(1100 양측에는 단면이 ㄷ형의 문비(150)가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양측 ㄷ형의 문비(150) 내부에 양단부가 삽입되는 롤러게이트(110)는 상기 문비(15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롤러게이트(110) 양측면에는 회전축(161)을 개재하여 롤러(160)가 연설되며, 이때 상기 롤러게이트(110) 양측면에 연설되는 롤러(160)는 상기 롤러게이트(110)의 양측면 상,하측으로 다수개 슬라이딩 가능토록 연설되어, 상기 롤러게이트(110)의 상승, 하강에 의한 롤러게이트(110) 양측면의 마찰에 따른 파손 및 마모 발생을 방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롤러게이트(110) 양측 단부의 누수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랙기어박스(120)에는 래크바(180)가 수직으로 연설되는 상태에서, 상기 래크바(180)의 하단부가 상기 롤러게이트(110)와 힌지부(170)로서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결합도록 되며, 이때 상기 힌지부(170)는 제1 및 제2 힌지부(170a)(170b)의 2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래크바(180)의 상승시에는 롤러게이트(110)의 간격변화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하강시에는 수밀을 요하는 위치에서 2단으로 충분한 가압력을 가해줄 수 있게 되고, 특히 장기간 사용시 발생하는 롤러게이트(110)의 위치변화 오차에 대하여 수밀을 유지하면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래크바(180)가 승강 및 하강토록 상기 구동 회전축(100)과 연설되는 랙기어박스(120) 내부의 제1 피니언(200)은 상기 래크바(180)의 전방으로 치합토록 되며, 상기 래크바(180)의 후방으로 랙기어박스(120) 내부의 제2 피니언(220)이 치합되어, 이중으로 상기 래크바(180) 및 이와 연설되는 롤러게이트(110)를 승강 및 하강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롤러게이트(110)의 인양 하중이 제1 및 제2 피니언(200)(220)에 분산되어, 상기 래크바(180)의 휨 현상을 미연에 예방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피니언(200)(220)의 파손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바로 이때, 상기 제1 피니언(200)은 구동 회전축(100)으로 제1 구동기어(210)가 연설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피니언(200)에 회전력을 전달토록 상기 제2 피니언(200)에 연설되는 제2 구동기어(230)는 상기 제1 구동기어(210)와 치합되어 상기 제2 피니언(220)에 회전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래크바(180)의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치합되는 제1 및 제2 피니언(200)은,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피니언(200)의 상측으로 제2 피니언(220)이 치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래크바(180)와 치합되는 제1 및 제2 피니언(200)(220)과 제1 및 제2 구동기어(210)(230)는 상기 랙기어박스(120) 내부에 설치되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서로 치합되는 제1 및 제2 구동기어(210)(230)의 치합부 양측 단부에는 가이드 롤러(240)가 각각 횡설되어,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어(210)(230)의 구동에 의한 래크바(18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구동 회전축 110...롤러게이트
120...랙기어박스
130...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
140...전동기측 동력전달부
141...전동기 150...문비
160...롤러 161...회전축
170...힌지부 170a,, 170b...제1 및 제2 힌지부
180...래크바 190...감속기
200...제1 피니언 210...제1 구동기어
220...제2 피니언 230...제2 구동기어
240...가이드 롤러

Claims (7)

  1.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에 있어서,
    롤러게이트와 양측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롤러게이트의 상승,하강 운동으로 전환하는 랙기어박스가 각각 설치되는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전동기와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에서 발생하는 회전 동력을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로 전달하는 전동기측 동력전달부;
    상기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롤러게이트가 개폐되도록 상기 롤러게이트 양측에 위치되는 ㄷ형의 문비;
    상기 양측 ㄷ형의 문비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게이트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롤러게이트 양측면에 회전축을 개재하여 연설되는 롤러;
    상기 랙기어박스에 수직으로 연설되어 하단부가 롤러게이트와 힌지부로서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크바;
    상기 래크바가 승강 및 하강토록 상기 구동 회전축과 연설되어 상기 래크바의 전방으로 치합되는 제1 피니언;
    상기 제1 피니언과 구동 회전축으로 연설되는 제1 구동기어;
    상기 래크바가 승강 및 하강토록 상기 래크바의 후방으로 치합되는 제2 피니언;
    상기 제2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토록 상기 제1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2 피니언에 연설되는 제2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게이트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측 동력전달부와 롤러게이트측 동력전달부인 랙기어박스 사이에는 구동 회전축을 통해 감속기가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게이트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게이트 양측면에 연설되는 롤러는 상기 롤러게이트의 양측면 상,하측으로 다수개 슬라이딩 가능토록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게이트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게이트를 승강 및 하강 가능하도록 래크바 하단과 결합하는 힌지부는 제1 및 제2 힌지부의 2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게이트 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바의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치합되는 제1 및 제2 피니언은,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피니언의 상측으로 제2 피니언이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게이트 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바와 치합되는 제1 및 제2 피니언과 제1 및 제2 구동기어는 상기 랙기어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게이트 개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치합되는 제1 및 제2 구동기어의 치합부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기어의 구동에 의한 래크바의 밀림을 방지토록 가이드 롤러가 각각 횡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게이트 개폐장치.
KR1020140133505A 2014-10-02 2014-10-02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의 랙기어박스 권양기 KR20160040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505A KR20160040031A (ko) 2014-10-02 2014-10-02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의 랙기어박스 권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505A KR20160040031A (ko) 2014-10-02 2014-10-02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의 랙기어박스 권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031A true KR20160040031A (ko) 2016-04-12

Family

ID=5580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505A KR20160040031A (ko) 2014-10-02 2014-10-02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의 랙기어박스 권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00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1321A (zh) * 2017-07-10 2017-11-24 中设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叠梁门连接起吊装置
KR102463799B1 (ko) * 2021-12-02 2022-11-04 주식회사 삼성엔비코 슬라이드식 방재용 차수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1321A (zh) * 2017-07-10 2017-11-24 中设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叠梁门连接起吊装置
KR102463799B1 (ko) * 2021-12-02 2022-11-04 주식회사 삼성엔비코 슬라이드식 방재용 차수문
KR102495505B1 (ko) * 2021-12-02 2023-02-06 주식회사 삼성엔비코 슬라이드식 방재용 차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7609B (zh) 分割門構造
KR20160040031A (ko) 롤러게이트 개폐장치의 랙기어박스 권양기
CN104764030A (zh) 一种平移式烟囱盖自动启闭设备
KR101220424B1 (ko) 인양식 수문
KR20070053928A (ko) 수문 개폐장치
KR101762566B1 (ko) 수문 개폐 제어장치
KR20130036413A (ko) 수문용 체인식 개폐장치
CN205778350U (zh) 安全防辐射门
JP3197819U (ja) 自動ドア装置
KR100945008B1 (ko)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KR101034348B1 (ko) 수문
JP2014101739A (ja) 円弧式ローラゲート
KR20150128272A (ko) 유압 매립형 인양 수문
CN206360538U (zh) 内置式电动门窗驱动装置
KR20070008078A (ko) 안전망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승강기 안전 장치
KR200427614Y1 (ko) 수동식 수문개폐장치
JPH10159068A (ja) 水門自昇降式門扉
CN204608722U (zh) 矿井泵房至吸水井全自动配水闸门
CN104775400B (zh) 矿井泵房至吸水井全自动配水闸门
KR20160040030A (ko) 롤러게이트 개폐장치
CN113605821A (zh) 一种隐藏式地下拦水坝
KR101805822B1 (ko) 슬라이딩 도어 어셈블리
KR20160003957U (ko) 흔들림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101856765B1 (ko) 화물용 승강기의 승강장도어 개폐장치
RU25092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и опускания заслонки печ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