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387B1 - 푸싱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 - Google Patents

푸싱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387B1
KR102070387B1 KR1020170182812A KR20170182812A KR102070387B1 KR 102070387 B1 KR102070387 B1 KR 102070387B1 KR 1020170182812 A KR1020170182812 A KR 1020170182812A KR 20170182812 A KR20170182812 A KR 20170182812A KR 102070387 B1 KR102070387 B1 KR 102070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guide
door pane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0398A (ko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주엔터프라이즈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주엔터프라이즈, 김기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주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17018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38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 스태킹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폐쇄시 외풍이 불어도 도어패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내구성이 향상된 패널 스태킹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가이드포스트;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양측 상부에 평행하게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메인롤러와 서브롤러가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롤러에 체인이 연결되는 도어패널; 상기 체인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패널의 수납시 상기 메인롤러를 안내하는 메인롤러가이드;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패널의 권상 및 권하시 상기 서브롤러를 안내하는 서브롤러 가이드 및 상기 도어패널의 권하시 상기 도어패널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싱수단; 을 포함하는 패널 스태킹 도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푸싱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Panel stacking door having pushing means}
본 발명은 패널 스태킹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폐쇄시 외풍이 불어도 도어패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내구성이 향상된 패널 스태킹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널 스태킹 도어는 복수의 도어패널로 이루어지고, 이 도어패널을 승강시켜 도어를 개폐한다. 이러한 패널 스태킹 도어는 도어의 내측 상부에 도어패널을 병렬로 적재하여 수납함에 따라 도어패널을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공간활용이 양호한 장점이 있다.
더욱이 도어패널의 내부에 폴리우레탄 등의 단열재를 충전하면 건물 내외부의 열의 출입을 차단하므로 에너지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널 스태킹 도어의 일예가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121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패널 스태킹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도어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도어패널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패널 스태킹 도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C)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복수의 도어패널(13), 상기 체인(C)을 감거나 풀어서 도어패널(13)을 승강시키는 스프라켓(S1, S2), 상기 스프라켓(S1, S2)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M)와 동력전달축(140), 상기 구동모터(M)와 스프라켓(S1. S2)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 상기 도어패널(13)의 승강시 도어패널(13)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이 형성된 가이드포스트(1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어패널(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13)의 승강시 가이드롤러(12)에 삽입되며 체인(C)이 회전가능하도록 축지지되는 메인롤러(R1)가 양측 상부에 형성되고, 양측 하부에는 서브롤러(R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패널 스태킹 도어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라켓(S1)을 회전시키면 체인(C)이 이동하면서 이 체인(C)에 연결된 도어패널(13)이 상승하게 되고 도어패널(13)이 상사점에 도달하면 방향을 전환하여 수평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적재된다. 이 때 메인롤러(R1)는 베이스플레이트(21)에 형성된 가이드바(23)에 안착되어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어를 폐쇄하기 위하여 스프라켓(S1)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인(C)이 이동하면서 이 체인(C)에 연결된 도어패널도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바(21)를 따라 이동하던 메인롤러(R1)는 도어패널(13)이 상사점 근처에 도달했을 때 방향을 전환하면서 가이드바(21)를 이탈하여 가이드레일(12)에 삽입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패널 스태킹 도어는 도어를 폐쇄하기 위하여 도어패널을 이동할 때 외풍에 의해 하부가 내측방향으로 회전되면 메인롤러가 가이드레일에 진입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패널의 적층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1.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1218호(2009. 11. 03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폐쇄시 외풍이 불어도 도어패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내구성이 향상된 패널 스태킹 도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가이드포스트;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양측 상부에 평행하게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메인롤러와 서브롤러가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롤러에 체인이 연결되는 도어패널; 상기 체인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패널의 수납시 상기 메인롤러를 안내하는 메인롤러가이드;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패널의 권상 및 권하시 상기 서브롤러를 안내하는 서브롤러 가이드 및 상기 도어패널의 권하시 상기 도어패널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싱수단; 을 포함하는 패널 스태킹 도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푸싱수단은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콘베이어벨트와, 상기 콘베이어벨트 상에 설치된 푸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푸셔는 그 선단의 원주속도가 상기 도어패널의 이동속도와 같은 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셔는 선단이 라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푸셔는 외주면에 탄성부재가 부착되눈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스태킹 도어는 도어패널을 밀어주는 푸싱수단을 구비하므로 외풍이 불어도 도어패널이 용이하게 가이드레일에 진입할 수 있어서 패널의 적층이 용이하다.
아울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스태킹 도어는 스프라켓의 회전에 연동되어 콘베이어가 작동하므로 별도로 푸싱장치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스태킹 도어는 푸셔 선단의 원주속도가 일치하도록 구비되므로 푸싱수단에 의해 도어패널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스태킹 도어는 푸셔의 선단이 라운딩되어 출돌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스태킹 도어는 푸셔의 외주면에 탄성부재가 부착되어 충돌 소음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패널 스태킹 도어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도어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도어패널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태킹도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태킹도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태킹도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셔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스태킹 도어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태킹도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태킹도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태킹도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셔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태킹 도어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12)이 형성된 가이드포스트(110)와, 상기 가이드포스트(110)의 양측 상부에 평행하게 형성된 베이스판(120)와, 상기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이동하는 메인롤러(132)와 서브롤러(134)가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롤러(132)에 체인(140)이 연결되는 도어패널(130)과, 상기 체인(140)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판(120)에 설치된 스프라켓(150)과, 상기 스프라켓(15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0)와, 상기 베이스판(120)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패널(130)의 수납시 상기 메인롤러(132)를 안내하는 메인롤러가이드(170), 상기 도어패널(130)의 권상 및 권하시 상기 서브롤러(134)를 안내하는 서브롤러 가이드(180) 및 상기 도어패널(130)의 권하시 상기 도어패널(130)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싱수단(19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포스트(110)는 도어를 설치하고자 하는 문의 좌우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메인롤러(132)가 끼워지는 가이드레일(112)이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12)은 메인롤러(132) 뿐만 아니라 서브롤러(134)도 상기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므로 더욱 확실하게 도어패널(130)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포스트(110)에는 상기 구동모터(1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114)을 부착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어패널(114)과 구동모터(160)를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외부통신망과 연동되어 제어패널(114)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외부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으로 상기 제어패널를 제어하기 위하여 도어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베이스판(120)은 상기 가이드포스트(110)의 양측 상부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20)은 상기 도어패널(130)의 권상 또는 권하시 도어패널(130)을 간섭하지 않도록 도어페널(130) 양단보다 바깥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판(120)은 상기 도어패널(130)을 권상하고 권하하기 위한 구동모터(160), 스프라켓(150), 메인롤러가이드(170), 서브롤러 가이드(180) 및 푸싱수단(190)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패널(130)은 서로 적층되어 도어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도어의 폐쇄시 빈틈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상단과 하단이 서로 감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패널(130)은 양측에 메인롤러(132)와 서브롤러(13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메인롤러(132)는 중앙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패널(130)의 이동시 중심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롤러(132)의 하부에 상기 도어패널(13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브롤러(134)가 형성된다. 상기 서브롤러(134)는 상기 도어패널(130)의 권상이나 권하시 도어패널(130)이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롤러(132)에는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체인(140)이 연결설치된다. 상기 메인롤러(132)에 축지지된 체인(140)은 상기 도어패널(130)의 권상이나 권하시 상기 도어패널(130)을 이동시키는 원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도어패널(132)은 내부에 폴리우레탄과 같은 단열재가 충전되어 열의 출입을 차단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어패널(132) 중 일부의 도어패널(132)에는 내부나 외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사이트글래스(136)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라켓(150)은 상기 체인(140)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판(120)에 설치된다. 상기 스프라켓(150)은 구동모터(16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상기 스프라켓(150)이 회전하면 상기 체인(140)이 이동하게 되고, 상기 체인(140)이 이동하게 되면 상기 체인(140)이 축지지된 도어패널(130)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160)는 상기 스프라켓(150)을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160)의 회전력을 분배하여 마주하는 스프라켓(150)에도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는 것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160)의 회전수를 줄이고 토오크를 향상시키기 위한 감속기가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160)는 후술하는 상기 푸싱수단(190)의 컨베이어벨트(192)에도 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메인롤러 가이드(170)는 상기 베이스판(120)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패널(130)의 수납시 상기 메인롤러(132)를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메인롤러 가이드(170)는 상기 도어패널(130)의 권상시 수납된 도어패널(130)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적재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일롤러 가이드(170)는 상기 도어패널(130)이 스프라켓(150)의 간섭을 받지 않는 최대의 거리까지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롤러 가이드(180)는 상기 베이스판(120)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패널(130)의 권상 및 권하시 상기 서브롤러(134)를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서브롤러 가이드(180)는 상기 도어패널(130)의 권상시 서브롤러(134)를 안내하는 권상가이드(182)와 상기 도어패널(130)의 권하시 서브롤러(134)를 안내하는 권하가이드(18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권상가이드(182)는 도어패널(130)의 서브롤러(134)가 가이드레일(112)의 선단을 지나서 상승하면 내측으로 안내한다. 또한 권하가이드(184)는 상기 도어패널(130)의 서브롤러(134)가 가이드레일(112)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푸싱수단(190)은 상기 도어패널(130)의 권하시 상기 도어패널(130)을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구비된다. 상기 푸싱수단(190)은 상기 스프라켓(15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콘베이어벨트(192)와, 상기 콘베이어벨트(192) 상에 설치된 푸셔(194)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베이어벨트(192)는 상기 스프라켓(150)의 회전에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 벨트, 기어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지만 정확한 동력전달을 위하여 체인(196)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콘베이어벨트(192)의 회전속도는 콘베이어벨트(192)가 1회전할 때 연속하여 진입하는 상기 도어패널(130)이 같은 위치에서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셔(194)는 콘베이어벨트(192)가 회전하는 구간에서의 선단의 원주속도가 상기 도어패널(130)의 이동속도와 같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푸셔(19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라운딩되어 서브롤러(134)의 회전중심축과 접촉시 충돌이나 마찰로 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더욱 상기 푸셔(194)는 외주면에 탄성부재(198)가 부착하므로 더욱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태킹 도어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160)가 작동하면 이에 연동되어 스프라켓(15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프라켓(150)이 회전하면 상기 스프라켓(150)에 치합되어 있는 체인(140)이 구동하게 된다. 상기 체인(140)이 구동하면 상기 체인(14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최상단의 도어패널(130)이 상방으로 들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패널(130)이 들려지다가 서브롤러(134)가 가이드레일(112)에서 벗어나면 서브롤러(134)는 권상가이드(18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인(140)이 구동하여 최상단의 도어패널(130)이 상사점에 도달하면 이동하는 방향이 바뀌면서 메인롤러(132)가 메인롤러 가이드(170)에 안착되고 자중에 의해 내측으로 서서히 이동게 된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도어패널(130)이 순차적으로 권상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의 상부에 적재된다.
다음으로 도어를 폐쇄하기 위하여 구동모터(160)가 도어의 폐쇄시와 반대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이에 연동되어 스프라켓(15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프라켓(150)이 회전하면 상기 스프라켓(150)에 치합되어 있는 체인(140)이 구동하게 된다. 상기 체인(140)이 구동하면 상기 체인(14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최상단의 도어패널(130)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최상단의 도어패널(130)이 전방으로 이동하다 스프라켓(150)에 인접하면 상기 스프라켓(150)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콘베이어벨트(192)의 푸셔(194)가 도어패널(130)의 서브롤러(134)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 푸셔(194)가 이동하면서 서브롤러(134)를 지지하므로 도어패널(130)이 외풍에 의해 메인롤러(13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130)이 비스듬한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상사점에 도달하면 방향이 전환되어 하강하게 되고 푸셔(194)는 서브롤러(134)가 가이드롤러(112)에 거의 도달했을 때 분리되고 서브롤러(134)는 가이드레일(112)에 진입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패널(130)이 순차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도어를 완전히 폐쇄하게 된다.
110 : 가이드포스트
112 : 가이드레일
114 : 제어패널
120 : 베이스판
130 : 제어패널
132 : 메인롤러
134 : 서브롤러
136 : 사이트 글래스
140, 196 : 체인
150 : 스프라켓
160 : 구동모터
170 : 메인롤러 가이드
180 : 서브롤러 가이드
182 : 권상가이드
184 : 권하가이드
190 : 푸싱수단
192 : 콘베이어벨트
194 : 푸셔
198 : 탄성부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12)이 형성된 가이드포스트(110)와,
    상기 가이드포스트(110)의 양측 상부에 평행하게 형성된 베이스판(120)과,
    상기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이동하는 메인롤러(132)와 서브롤러(134)가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롤러(132)에 체인(140)이 연결되는 도어패널(130)과,
    상기 체인(140)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판(120)에 설치된 스프라켓(150)과,
    상기 스프라켓(15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0)와,
    상기 베이스판(120)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패널(130)의 수납시 상기 메인롤러(132)를 안내하는 메인롤러가이드(170)와,
    상기 베이스판(120)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패널(130)의 권상 및 권하시 상기 서브롤러(134)를 안내하는 서브롤러 가이드(180)와,
    상기 스프라켓(15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콘베이어벨트(192)와, 상기 콘베이어벨트(192) 상에 설치되는 푸셔(194)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패널(130)의 권하시 상기 도어패널(130)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싱수단(194)를 포함하되,
    상기 콘베이어밸트(192)가 1회전할 때 연속하여 진입하는 상기 도어패널(130)이 같은 위치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푸셔(194) 선단의 원주속도가 상기 도어패널(130)의 이동속도와 같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스태킹 도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푸셔(194)는 선단이 라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스태킹 도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푸셔(194)는 외주면에 탄성부재(198)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스태킹 도어.
KR1020170182812A 2017-12-28 2017-12-28 푸싱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 KR102070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812A KR102070387B1 (ko) 2017-12-28 2017-12-28 푸싱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812A KR102070387B1 (ko) 2017-12-28 2017-12-28 푸싱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398A KR20190080398A (ko) 2019-07-08
KR102070387B1 true KR102070387B1 (ko) 2020-01-28

Family

ID=67256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812A KR102070387B1 (ko) 2017-12-28 2017-12-28 푸싱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3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5353A (ja) * 2009-03-16 2010-09-30 Toyota Motor Corp フリーローラコンベア
KR101395242B1 (ko) * 2009-07-07 2014-05-16 아레바 게엠베하 분리 플랜트 및 이와 관련된 분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554A (ko) * 2001-12-21 2003-06-27 이경규 폴드 업 셔터의 이탈방지장치
KR20090011218U (ko) 2008-04-29 2009-11-03 주식회사 피비엔텍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5353A (ja) * 2009-03-16 2010-09-30 Toyota Motor Corp フリーローラコンベア
KR101395242B1 (ko) * 2009-07-07 2014-05-16 아레바 게엠베하 분리 플랜트 및 이와 관련된 분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398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035B1 (ko)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 가이드장치
KR102070387B1 (ko) 푸싱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
CN109081023A (zh) Agv小车及其与机台的对位方法
KR101062489B1 (ko) 자전거 리프트 장치
KR101555057B1 (ko) 과일 수확용 작업장치
CN111453642B (zh) 一种水利施工用钢板桩输运吊装设备
KR101532914B1 (ko) 오버헤드도어의 개폐구동장치
JP5504480B2 (ja) 横型ブラインド
CN110510331B (zh) 一种高层幕墙板块自动化提升垂直供料设备
KR101504235B1 (ko) 건설용 리프트 장치
KR20080073510A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KR100945008B1 (ko) 제철소 압연강판용 이송장치
KR102070388B1 (ko) 견인수단을 구비한 패널 스태킹 도어
US20200300014A1 (en) High speed overhead door
KR20160003957U (ko) 흔들림 방지 구조를 갖는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KR102001905B1 (ko)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
CN206014154U (zh) 一种可限制运载物尺寸的升降装置
KR101225754B1 (ko) 창문고정용 베란다 펜스
KR101011056B1 (ko) 승강기에 회전판 업다운과 회전기능을 갖는 주차장치
KR101812597B1 (ko) 대형 도어의 수동 개방장치
JP3100711U (ja) 電動シャッター
CN210558801U (zh) 电梯门用滑轮组件
CN220182133U (zh) 高位整形码垛机组
CN207194779U (zh) 一种双层光幕安全卷帘门
CN216583697U (zh) 一种新型电动罐帘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