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593B1 - 지엽류의 구분 장치 및 지엽류 구분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지엽류의 구분 장치 및 지엽류 구분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593B1
KR100943593B1 KR1020080030993A KR20080030993A KR100943593B1 KR 100943593 B1 KR100943593 B1 KR 100943593B1 KR 1020080030993 A KR1020080030993 A KR 1020080030993A KR 20080030993 A KR20080030993 A KR 20080030993A KR 100943593 B1 KR100943593 B1 KR 100943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aper sheet
paper sheets
paper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1309A (ko
Inventor
마사노리 사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90071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1/00Measures preceding 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1/00Measures preceding 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1/10Sorting according to size or flexibility
    • B07C1/16Sorting according to thickness or stiffnes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구분 장치는, 기립한 상태에서 지엽류(P)를 반송하고, 기립한 상태에서 반송되는 지엽류(p)의 다양한 높이에 있어서의 금속의 유무를 복수의 금속 검지 센서(65a 내지 65d)에 의해 검지한다. 상기 구분 장치는, 각 금속 검지 센서(65a 내지 65d)에 의한 검지 결과를 기초로 하여, 특정 위치에 금속이 배치되어 있는 추적 서장, 혹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소형 금속을 포함하는 클립 서장을 검출하고, 상기 추적 서장 혹은 클립 서장을 정상 서장과 마찬가지로 구분 처리한다.
금속 검지 센서, 배제 검출부, 프리 바코드 판독부, 문자 인식부, 스태커 집적부

Description

지엽류의 구분 장치 및 지엽류 구분 장치의 제어 방법 {SHEET SOR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HEET S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우편번호 등의 구분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우편물 등의 지엽류(紙葉類)로부터 구분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면을 판독하고, 판독한 화상에 대한 문자 인식을 행하여 구분 처리를 행하는 구분 장치 및 구분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엽류를 구분하는 구분 장치에서는, 지엽류의 화상을 판독하고, 그 판독 화상으로부터 구분처를 나타내는 구분 정보로서의 문자를 인식 처리함으로써 지엽류를 구분하고 있다. 예를 들어, 7자릿수의 번호로 이루어지는 우편번호 등의 구분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지엽류에 대해서는, 판독 화상으로부터 문자의 영역을 잘라내어, 그 영역의 문자를 인식함으로써 구분 처리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분 장치에서는, 봉서 혹은 엽서 등의 복수의 지엽류를 반송로에 의해 순차 반송시키면서 구분 처리를 행한다. 이로 인해,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봉서 등의 지엽류는, 상기 구분 장치 내에서의 반송 과정에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종래의 구분 장치에서는, 지엽류에 포함되어 있는 이 물질을 검출하고,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지엽류를 배제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85957호 공보). 이와 같은 지엽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검지하는 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지엽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로서의 금속을 검지하기 위한 금속 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분 장치에서는, 금속성의 부재를 갖는 추적 서장(追跡 書狀; 예를 들어, 트랜스폰더 서장 혹은 바이브레이션 서장)은, 상기 금속 검지부에 의해 이물질을 포함하는 지엽류로서 검출되어 배제되어 버린다. 또한, 종래의 구분 장치에서는, 반송 중에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은 고정된 상태의 소형 금속[예를 들어, 클립 등의 소형의 고정 금속 부재]이라도, 상기 금속 검지부에 의해 이물질을 포함하는 지엽류로서 검출되어 배제되어 버린다. 배제된 지엽류는, 통상, 담당자의 수작업에 의해 구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추적 서장을 수작업으로 구분 처리한 경우, 당해 추적 서장에 의해 지엽류를 구분하는 시스템 전체의 처리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은 지엽류를 수작업으로 구분해야만 하는 경우, 상기 구분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전체의 효율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지엽류의 효율적인 구분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구분 장치 및 구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의 구분 장치는, 기립한 상태의 지엽류에 대해 다양한 높이에서 금속의 유무를 검지하는 복수의 센서와, 당해 지엽류에 대해 상기 복수의 센서가 금속을 검지한 패턴을 기초로 하여 당해 지엽류가 배제해야 하는 지엽류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배제해야 한다고 판정된 지엽류를 배제하는 배제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배제하면 안 된다고 판정된 지엽류를 당해 지엽류에 부여되어 있는 구분 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분하는 구분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의 구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지엽류의 구분 장치에 이용되는 제어 방법이며, 기립한 상태의 지엽류에 대해 다양한 높이에 설치한 복수의 센서에 의해 금속의 유무를 검지하고, 당해 지엽류에 대해 상기 복수의 센서가 금속을 검지한 패턴을 기초로 하여 당해 지엽류가 배제해야 하는 지엽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에 의해 배제해야 한다고 판정된 지엽류를 배제하고, 상기 판정에 의해 배제하면 안 된다고 판정된 지엽류를 당해 지엽류에 부여되어 있는 구분 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분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 및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고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들은 특별히 이후에 지시되는 수단들 및 조합들에 의해 인식되고 얻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합체되고 일부로 구성되는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한 일반적인 설명과 함께 하기되는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제될 필요가 없는 추적 서장 등을 정상 서장과 같이 취급함으로써, 구분 장치의 시스템 전체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구분 장치로서의 지엽류 구분 장치의 구조적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류 구분 장치는, 공급부(11), 취출부(12), 배제 검출부(13), 프리 바코드 판독부(14), 문자 인식부(15), 지연 반송부(16), 인쇄부(17), 검증 바코드 판독부(18), 분기부(19) 및 스태커 집적부(stacker collection unit; 20) 등의 처리 유닛을 갖고 있다. 이들 처리 유닛은, 후술하는 제어계에 의해 제어된다.
당해 지엽류 구분 장치에 의해 구분 처리되는 지엽류는 상기 공급부(11)에 적재된다. 상기 지엽류는, 예를 들어 제1 면에 구분 정보로서의 특정 영역을 나타내는 번호 정보 및 소재 등을 나타내는 문자열 정보가 기입되거나, 혹은 인쇄되어 있는 것을 상정(想定)하고 있다. 상기 공급부(11)에는, 상기 지엽류의 제1 면이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후단부를 가지런히 하여 기립한 상태로 수용된다. 상기 공급부(11)는 이들 지엽류를 소정의 취출 위치로 순차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지엽류의 취출 위치에는, 상기 공급부(11)에 공급된 지엽류를 반송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한 통씩 취출하는 취출부(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공급부(11) 내에 수용된 지엽류는, 취출 위치에 공급되었을 때에 구분 정보로서의 특정 영역을 나타내는 번호 정보(예를 들어, 우편번호)가 기재된 영역이 반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이 되도록 정렬하여 세트된다.
상기 취출부(12)에서 일정한 취출 간격으로 취출되는 지엽류는, 일정 속도로 주행하는 반송 벨트를 갖는 반송로에 의해 일정 반송 간격(피치)으로 반송된다. 상기 주 반송로 상에는, 배제해야 하는 지엽류를 검출하는 배제 검출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제 검출부(13)는, 후단의 처리(기계 처리)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기계 처리가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지엽류를 배제하는 것이다. 상기 배제 검출부(13)의 하류측에서 주 반송로로부터 분기된 분기 반송로에는, 상기 배제 검출부(13)의 검지에 의해 기계 처리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지엽류를 배제하는 배제 집적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제 검출부(13)는, 이물질이 지엽류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이물질 검지 센서(64)(후술함), 금속이 지엽류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금속 검지부(65)(후술함) 등을 갖고 있다. 이들 검지 기구에 의해, 상기 배제 검출부(13)는 기계 처리에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이물질 혹은 금속이 지엽류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검출한다. 상기 배제 검출부(13)는, 기계 처리에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 있다고 판정한 지엽류를 배제 집적부(도시하지 않음)에 집적하고, 그 이외의 지엽류를 후단의 처리 유닛으로 반송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상기 금속 검지부(65)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배제 검출부(13)의 하류측의 주 반송로 상에는, 지엽류에 미리 부여되어 있는 바코드를 판독하는 프리 바코드 판독부(14)와 문자열로 이루어지는 문자 정보가 기록된 지엽류의 제1 면의 화상을 판독하는 문자 인식부(OCR 스캐너부)(15) 를 갖는 판독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판독 장치에 있어서, 바코드가 미리 부여되어 있는 지엽류에 대해서는, 상기 프리 바코드 판독부(14)에 의해 바코드가 판독된다. 바코드가 부여되어 있는 지엽류는, 상기 프리 바코드 판독부(14)에 의해 판독한 바코드가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분 정보가 인식된다.
상기 판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부(15)는 미리 바코드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지엽류의 제1 면에 기재되어 있는 문자 정보로서의 구분 정보(우편번호 혹은 주소 정보 등)를 인식하는 처리를 행한다. 상기 문자 인식부(15)는 스캐너에 의해 구분 정보(지엽류의 구분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의 문자열 정보가 기록된 지엽류의 제1 면을 광학적으로 판독 주사(走査)한다. 상기 문자 인식부(15)는 상기 스캐너에 의해 판독한 화상에 대해 OCR 처리를 실시하여, 당해 지엽류의 제1 면에 기록되어 있는 구분 정보를 인식한다. 또, 상기 스캐너에 의해 판독한 화상에 대한 OCR 처리는, 후술하는 주 제어부(31)가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문자 인식부(15)의 후단에는 상기 지연 반송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연 반송부(16)는 상기 문자 인식부(15)의 스캐너에 의해 제1 면의 화상을 판독한 지엽류를 소정 시간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로이다. 상기 지연 반송부(16)는, 예를 들어 문자 인식부(15)에서 구분 정보를 인식할 수 없던 지엽류의 구분 정보를 작업자가 입력하기 위한 시간을 얻기 위한 반송로이다.
여기서, 상기 지엽류 구분 장치에서는, 문자 인식부(15)에 의해 구분 정보를 인식할 수 없었던 지엽류에 대해서는, 인쇄부(17)에 반송될 때까지의 동안에 작업 자가 구분 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온라인 비디오 코딩 시스템 : 온라인 VCS)이 채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온라인 VCS(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문자 인식부(15)에 의해 구분 정보를 인식할 수 없었던 지엽류가 지연 반송부(16)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동안에, 당해 지엽류의 화상을 모니터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키보드 등의 조작부에 의해 입력시키는 시스템이다. 즉, 상기 지엽류 구분 장치에서는, 상기 지연 반송부(16)에 의해 지엽류를 반송하는 시간이, 상기 온라인 VCS에 의해 구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처리 시간으로서 할당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인쇄부(17)는 상기 지연 반송부(16)에 의해 반송된 지엽류에 구분 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 정보를 인쇄하는 것이다. 상기 인쇄부(17)는 상기 프리 바코드 판독부(14)에 의해 판독한 바코드에 대응하는 구분 정보, 상기 문자 인식부(15)에 의해 인식된 구분 정보, 혹은 상기 온라인 VCS에 의해 작업자가 입력한 구분 정보를 기초로 하는 바코드를 당해 지엽류에 인쇄하는 것이다. 상기 인쇄부(17)에 의해 바코드 정보가 인쇄된 지엽류는 검증 바코드 판독부(18)로 반송된다. 상기 검증 바코드 판독부(18)는 상기 인쇄부(17)에 의해 당해 지엽류에 인쇄된 바코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판독하는 것이다. 상기 검증 바코드 판독부(18)에 의해 바코드 정보가 판독된 지엽류는 분기부(19)로 반송된다. 또한, 상기 검증 바코드 판독부(18)에 의한 판독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당해 지엽류의 구분처[스태커 집적부(20)에 있어서의 스태커]가 결정된다.
상기 분기부(19)는 지엽류가 상기 검증 바코드 판독부(18)에 의한 판독 결과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 구분처에 집적되도록, 원하는 반송로[단(段) 패스]로 분기 시켜 스태커 집적부(20)로 공급한다. 상기 분기부(19)는 지엽류를 스태커 집적부(20)의 복수의 단 패스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 패스 게이트를 갖고 있다. 즉, 상기 분기부(19)는, 각 지엽류의 구분 정보를 기초로 하여 단 패스 게이트를 구동하고, 각 지엽류를 스태커 집적부(20)의 각 단 패스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태커 집적부(20)는 복수의 단 및 복수의 열로 구획된 복수의 스태커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스태커 집적부(20)는, M단 N열의 M × N개의 스태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태커 집적부(20)에 있어서, 각 단의 스태커의 상방에는, 분기부(19)의 각 단 패스 게이트에 의해 분류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단 패스)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스태커에는, 상기 단 패스로부터 지엽류를 취입하기 위한 구분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스태커 집적부(20)에서는, 각 지엽류의 구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구분 게이트를 선택적으로 절환함으로써, 상기 분기부(19)의 단 패스 게이트에서 분류된 지엽류를 각 스태커에 취입하여 집적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지엽류 구분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계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지엽류 구분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류 구분 장치는, 장치 내의 각 부를 제어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주 제어부(31)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주 제어 부(31)는, 구분 정보와 각 스태커를 대응시킨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주 제어부(31)는, 지엽류의 구분 정보를 기초로 하여 당해 지엽류를 구분 집적해야 할 스태커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주 제어부(31)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 제어부(41), 배제 검출 제어부(42), 판독부 인터페이스 제어부(43), 인쇄 제어부(44), 반송 및 구분 제어부(반송/구분 제어부)(45) 및 패널 제어부(46) 등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취출 제어부(41)는, 공급부(11), 취출부(12) 및 그들의 주변 기구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취출 제어부(41)는, 상기 공급부(11)에 세트되어 있는 지엽류의 공급 및 취출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상기 배제 검출부(13)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에는, 모터 구동 회로(51), 게이트 제어 회로(52), 인코더 입력 회로(53), 스위치 제어 회로(54) 및 메모리(55) 등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모터 구동 회로(51)는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로부터의 동작 지시를 기초로 하여 인버터 모터(61)를 구동시키는 회로이다. 상기 인버터 모터(61)는, 상기 배제 검출부(13)에 있어서의 반송 벨트 등을 구동시키는 모터이다. 이 인버터 모터(61)의 구동에 의해 반송 벨트 등의 반송 기구가 구동하여 배제 검출부(13) 내의 지엽류가 반송된다.
상기 게이트 제어 회로(52)는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로부터의 동작 지시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배제 게이트(62)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게이트 제어 회로(52)에 의해 구동하는 배제 게이트에 의해 상기 배제 검출부(13) 내의 지엽류는, 상기 프리 바코드 판독부(14) 혹은 배제 집적부(도시하지 않음)로 선택적으로 반송된다. 즉, 상기 게이트 제어 회로(52)는 배제해야 한다고 판정된 지엽류를 상기 배제 게이트에 의해 배제 집적부로 반송시킨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제어 회로(52)는 배제하면 안 된다고 판정된 지엽류를 프리 바코드 판독부(14)로 반송시킨다.
상기 인코더 입력 회로(53)는 상기 배제 검출부(13) 내의 로터리 인코더(63)에 접속된다. 상기 인코더 입력 회로(53)는 상기 로터리 인코더(6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배제 검출부(13) 내에 있어서의 지엽류의 반송 속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인코더 입력 회로(53)는 상기 로터리 인코더(63)로부터의 상기 반송 벨트의 구동 속도 혹은 상기 인버터 모터(61)의 구동 속도를 나타내는 신호에 의해 지엽류의 반송 속도를 검출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54)는 이물질 검지 센서(64), 금속 검지부(65), 시프트 센서(66) 등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시프트 센서(66)는 상기 배제 검출부(13) 내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의 지엽류의 유무(통과)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54)는 배제 게이트(62)의 전방에 설치된 시프트 센서(66)의 검지 결과에 의해 배제 게이트(62)의 구동 타이밍을 검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54)는 금속 검지부(65)의 전방에 설치된 시프트 센서(트리거 센서)(66)의 검지 결과에 의해 금속 검지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타이밍을 검출하고 있다.
상기 이물질 검지 센서(64)는 지엽류에 배제해야 하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54)는 상기 이물질 검지 센서(64)의 검지 결과를 취득하여,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상기 이물질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이물질의 혼입에 의해 배제해야 하는 지엽류를 검출하고 있다.
상기 금속 검지부(65)는 지엽류에 금속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복수의 금속 검지 센서를 갖고 있다. 상기 금속 검지부(65) 내의 각 센서는, 지엽류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의 금속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54)는 상기 금속 검지부(65)의 각 센서의 검지 결과를 취득하여,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상기 금속 검지부(65)의 각 센서에 의한 검지 결과를 기초로 하여 금속의 혼입에 의해 배제해야 하는 지엽류를 검출하고 있다. 상기 각 센서의 구성 및 상기 각 센서에 의한 검지 결과를 기초로 하는 배제해야 하는 지엽류의 판정 처리 등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55)는 각종 정보를 보유하기 위한 기억 장치이다. 여기서는, 상기 메모리(55)에는, 각 지엽류마다 각 금속 센서의 검지 결과를 보유하기 위한 카운터 테이블(90)이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 카운터 테이블(90)에 대해서도,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독부 인터페이스 제어부(43)는 프리 바코드 판독부(14), 검증 바코드 판독부(18) 혹은 문자 인식부(15)에서 판독한 정보를 주 제어부(31) 등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 상기 판독부 인터페이스 제어부(43)는 바코드 판독부(BCR) 통신 회로(71)와 문자 인식부(OCR) 통신 회로(72)를 갖고 있다.
상기 BCR 통신 회로(71)는 프리 바코드 판독부(14), 검증 바코드 판독부(18)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BCR 통신 회로(71)는 프리 바코드 판독부(14), 검증 바코드 판독부(18)에 의해 판독한 바코드 정보를 판독부 인터페이스 제어부(43)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OCR 통신 회로(72)는 상기 문자 인식부(1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OCR 통신 회로(72)는 상기 문자 인식부(15)에 의해 판독한 지엽류의 화상을 판독부 인터페이스 제어부(43)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쇄 제어부(44)는 지엽류의 구분 정보를 기초로 하는 바코드 정보를 상기 인쇄부(17)에 의해 당해 지엽류에 인쇄(IJP)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반송 및 구분 제어부(45)는 구분 장치 내에 있어서의 지엽류의 반송 및 각 스태커로의 집적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반송 및 구분 제어부(45)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구동 회로(74), 게이트 제어 회로(75), 인코더 입력 회로(76), 스위치 제어 회로(77), 램프 제어 회로(78) 등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모터 구동 회로(74)는 상기 반송 및 구분 제어부(45)로부터의 동작 지시를 기초로 하여 도시하지 않은 구분 장치 내의 반송 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인버터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시키는 회로이다.
상기 게이트 제어 회로(75)는 상기 분기부(19)의 단 패스 게이트 혹은 상기 스태커 집적부(20) 내에 있어서의 각 스태커의 구분 게이트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게이트 제어 회로(75)에 의해 제어되는 단 패스 게이트 혹은 구분 게이트에 의해, 각 지엽류는 구분 정보에 대응하는 스태커에 집적된다.
상기 인코더 입력 회로(76)는 구분 장치 내의 각 부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반송 벨트의 구동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로터리 인코더(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인코더 입력 회로(76)는 상기 로터리 인코더로부터의 반송 벨트의 구동 속도 혹은 상기 인버터 모터의 구동 속도를 나타내는 신호에 의해 지엽류의 반송 속도를 검출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77)는 시프트 센서, 가득 참 검지 센서, 혹은 스위치(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77)는 각 구분 게이트의 전방 등에 설치된 각 시프트 센서의 검지 결과에 의해 각 구분 게이트의 구동 타이밍을 검출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77)는 상기 가득 참 검지 센서의 검지 결과에 의해 각 스태커에 있어서의 지엽류의 집적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77)는 작업자가 각종 동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의 입력을 검출하고 있다.
상기 램프 제어 회로(78)는 각 스태커에 설치되어 있는 가득 참 램프 혹은 LED 등의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램프 제어 회로(78)는, 가득 참 램프 혹은 LED 등의 온(ON) 오프(OFF)를 행하는 회로이다.
또한, 상기 패널 제어부(46)는 작업 패널(도시하지 않음) 등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패널 제어부(46)는 지엽류의 집적 상황에 관한 정보나 구분기 내에서의 동작 이상 등의 정보를 도시하지 않은 작업 패널에 표시하거나, 상기 작업 패널에 입력된 정보를 상기 주 제어부(31)에 통지하는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상기 배제 검출부(13)에 있어서의 금속 검지부(65)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상기 배제 검출부(13)에 있어서의 금속 검지부(65)의 주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배제 검출부(13) 내에 있어서, 인버터 모터(61)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 벨트(87)에 의해 지엽류(P)가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지엽류(P)는 상기 배제 검출부(13) 내에 있어서, 기립한 상태에서 도면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반송 벨트(87)에 의해 기립한 상태에서 반송되는 지엽류(P)는 상기 시프트 센서(트리거 센서)(66)에 검지된 후, 상기 금속 검지부(65)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송 벨트(87)에 의한 지엽류의 반송 속도는, 상기 로터리 인코더(63)에 의해 검지된다. 따라서, 상기 반송 벨트(87)에 의해 반송되는 지엽류(P)가 상기 금속 검지부(65)를 통과하는 타이밍은, 상기 로터리 인코더(63)에 의해 검지되는 반송 속도 및 상기 시프트 센서(66)와 상기 금속 검지부(65)의 위치 관계를 기초로 하여 판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금속 검지부(65)는 4개의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 65d)를 갖고 있다. 상기 금속 검지부(65)에 있어서의 각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 65d)는, 그것들이 위로부터 차례로 나열된 배치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검지부(65)에 있어서, 상기 금속 검지 센서(65d)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상태의 지엽류(P)에 있어서의 가장 하측 영역에 포함되는 금속을 검지한다. 상기 한 바와 같은 금속 검지부(65)의 각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 65d)에 의한 금속의 검지 패턴을 기초로 하여 당해 지엽류(P)를 배제할지 여부가 판정된다.
또, 각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 65d)에 의한 금속의 검지 결과는,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1 msec 간격의 주기)마다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54)에 취입되는 것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각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 65d)는, 각각이 설치되어 있는 높이(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에 있어서의 금속의 유무를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검지한다. 이에 의해, 반송 중인 지엽류에 대해서는, 소정의 각 높이(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에 있어서, 금속을 검지하는 시간 간격과 반송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반송 방향의 위치)마다 금속의 유무를 검지한다. 즉, 상기 금속 검지부(65)에서는, 지엽류 전체에 있어서의 2차원적인 금속물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금속 검지부(65)를 통과한 지엽류(P)는 상기 배제 게이트(62)에 반송된다. 상기 금속의 검지 결과에 의해 당해 지엽류(P)를 배제할지 여부는, 적어도 당해 지엽류(P)가 배제 게이트(62)에 도달할 때까지 판정된다. 즉, 당해 지엽류(P)를 배제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배제 게이트(62)는 당해 지엽류(P)를 배제 집적부로 반송시키도록 구동된다. 또한, 당해 지엽류를 배제하면 안 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배제 게이트(62)는 당해 지엽류(P)를 후단의 처리 유닛[도1에 나타내는 구성예에서는 프리 바코드 판독부(14)]으로 반송시키도록 구동된다.
다음에, 상기 금속 검지부(65)에 의한 검지 결과를 기초로 하는 배제해야 하는 지엽류의 판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구분 장치에서는, 기계 처리에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금속이 포함되는 지엽류를 배제해야 하는 지엽류라 판정하고, 금속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지엽류 및 금속이 포함되어 있어도 기계 처리에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은 지엽류를 배제하면 안 되는 지엽류라 판정한다. 즉, 본 구분 장치에서는, 금속이 포함되어 있는 지엽류(즉, 금속이 검지된 지엽류)에 대해서는, 배제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기계 처리에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금속이 포함되는 지엽류(배제해야 하는 지엽류)로서는, 동전 혹은 열쇠 등의 금속물이 동봉된 봉서를 상정하고 있다. 이것은, 동전 혹은 열쇠 등의 금속물이 동봉되어 있으면 봉서가 찢어져 상기 금속물이 튀어나오거나, 금속물이 예기치 않는 위치로 이동하여 반송 장해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금속이 포함되어 있어도 배제하면 안 된다고 판정되는 지엽류로서는, 소정의 구조를 갖는 추적 서장(트랜스폰더 서장, 바이브레이션 서장 등)이 상정된다. 또한, 금속성의 소형 클립 혹은 소형의 핀(예를 들어, 스테이플러 등) 등에 의해 고정된 서류가 동봉된 봉서(이하, 클립 서장이라 함) 등도, 배제하면 안 되는 지엽류로서 상정된다. 상기 추적 서장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속 부분이 소형이고, 또한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립 서장(clip letter)은, 고정 부위가 임의이지만, 금속 부분이 소형이고, 또한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은 추적 서장 및 클립 서장은, 배제하지 않아도, 구분 장치 내의 처리 공정에 있어서 반송 장해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황에 비추어, 본 구분 장치에서는, 금속이 검지된 지엽류 중에서도, 상기 추적 서장 및 상기 클립 서장을 배제하지 않고 처리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다양한 지엽류와 금속 검지부(65)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금속물(동전)(M1) 혹은 금속물(열쇠)(M2) 등의 금속물이 들어간 봉서(지엽류)(Pr)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전(M1) 혹은 열쇠(M2) 등의 금속물이 들어간 봉서(Pr)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 처리에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배제해야 하는 지엽류(배제 서장)로서 취급되는 것으로 한다.
동전(M1) 혹은 열쇠(M2) 등의 금속물이 들어간 봉서(배제 서장)(Pr)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한 상태(반송 상태)에서는 자중(중력)에 의해 상기 금속물이 가장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봉서(Pr)에 대해, 상기 금속 검지부(65)에서는, 반송 상태인 지엽류에 있어서의 가장 하측 영역에 있어서의 금속의 유무를 검지하는 금속 검지 센서(65d)만이 금속을 검지하고,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는 금속을 검지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봉서(P)에 들어간 금속 부재의 크기가 반송 상태인 지엽류에 있어서의 밑변으로부터 금속 검지 센서(65c)의 검지 위치에 걸리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면, 상기 금속 검지부(65)는 당해 봉서(P)에 대해 금속 검지 센서(65d)만이 금속을 검지한다.
도5는 금속성의 소형 클립(M3)으로 고정된 서류가 들어간 클립 서장(지엽류)(Pc)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립 서장(Pc)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 처리에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배제하면 안 되는 지엽류(처리 대상의 서장)로서 취급되는 것으로 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서류가 금속성의 소형 클립(M3) 등으로 고정된 상태의 서류가 들어간 봉서(지엽류)(Pc)에 있어서는, 그 반송 상태에 관계없이 중력에 의한 클립의 위치 변화가 적다. 따라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립 서장(Pc)에 대해서는, 클립(M3)의 위치에 대응하는 금속 검지 센서(65b)만이 금속을 검지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금속성의 소형 클립 혹은 소형의 핀 등 소형의 고정 금속 부재로 고정된 서류가 들어간 봉서(클립 서장)에서는, 지엽류의 임의의 일부에서만 금속이 검지된다. 즉, 클립 서장에서는, 고정 금속 부재(금속물)가 금속 검지 센서(65d)에서 검지되는 위치로 되는 것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서장은 금속 검지 센서(65d) 이외의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에서 검지되는 것이 많다고 추측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 비추면, 상기 금속 검지 센서(65d) 이외의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에서만 금속이 검지된 경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제할 필요가 없는 서장으로서의 클립 서장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할 수 있다. 즉, 기립한 상태(반송 상태)의 지엽류는, 가장 하측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만 금속이 검지되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립 서장으로 판정되는 지엽류는, 기계 처리에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배제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6은 추적 서장의 일종으로서의 트랜스폰더 서장(지엽류)(Pt)의 반송 상태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7은 추적 서장의 일종으로서의 바이브레이션 서장(지엽류)(Pb)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랜스폰더 서장(Pt) 혹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바이브레이션 서장(Pb)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 처리에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배제하면 안 되는 지엽류(처리 대상의 서장)로서 취급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적 서장이라 함은, 각지에서 수집되어 온 우편물로서의 지엽류가 목적지(수신처)에 도달할 때까지의 상황을 판정하기 위한 특수한 서장이다. 트랜스폰더 서장(Pt) 및 바이브레이션 서장(Pb)은 추적 서장의 일종이다. 이로 인해, 트랜스폰더 서장(Pt) 및 바이브레이션 서장(Pb)은, 가능한 한 통상의 지엽류와 동등한 취급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분하는 지엽류군에 트랜스폰더 서장(Pt) 혹은 바이브레이션 서장(Pb)이 혼입되어 있던 경우, 본 구분 장치에서는, 당해 트랜스폰더 서장(Pt) 혹은 바이브레이션 서장(Pb)도 다른 지엽류와 마찬가지로 구분 장치 내에서 구분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랜스폰더 서장(Pt)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바이브레이션 서장(Pb)에 있어서는, 그 반송 상태에 관계없이 중력에 의한 금속 부분의 위치 변화가 적다. 따라서, 상기 금속 검지부(65)의 각 금속 검지 센서에 의한 검지 패턴을 기초로 하여, 트랜스폰더 서장(Pt) 및 바이브레이션 서장(Pb)을 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폰더 서장(Pt)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부위에 금속물(전지)(M4)과 금속물(M5)이 설치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트랜스 폰더 서장(Pt)에 있어서의 금속물(M4)과 금속물(M5)이 각각 금속 검지 센서(65c, 65d)에서 대략 동일한 타이밍에 검지된다. 따라서, 금속 검지 센서(65c) 및 금속 검지 센서(65d)가 동시에 금속을 검지하는 타이밍을 기초로 하여, 당해 지엽류가 트랜스폰더 서장(Pt)인지 여부를 판정(추정)할 수 있다.
또한, 바이브레이션 서장(Pb)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부위에 금속물(소형 회로 기판)(M6) 이외에, 금속물(M7, M8, M9, M10)이 설치되어 있다. 도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바이브레이션 서장(Pb)에 있어서의 금속물(회로 기판)(M6)이 금속 검지 센서(65c, 65d)에서 동시에 검지되고, 금속물(M9)과 금속물(M10) 및 금속물(M7)과 금속물(M8)이 각각 금속 검지 센서(65c, 65d)에서 동시에 검지되는 영역이 있다. 따라서, 금속 검지 센서(65c) 및 금속 검지 센서(65d)가 동시에 금속을 검지하는 타이밍을 기초로 하여, 당해 지엽류가 바이브레이션 서장(Pb)인지 여부를 판정(추정)할 수 있다.
즉, 금속물의 배치가 미리 정해져 있는 지엽류는, 상기 금속 검지부(65)의 각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 65d)에 의한 검지 패턴을 기초로 하여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지엽류 구분 장치에서는, 도6 혹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금속물의 배치가 미리 정해져 있는 추적 서장을 각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 65d)에 의한 검지 패턴을 기초로 하여 검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각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 65d)에 의한 금속의 검지 패턴에 대해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각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 65d)는 반송 중인 지엽 류(P)에 대해,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1 msec마다)으로 금속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각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 65d)의 검지 결과를 기초로 하는 금속의 검지 패턴은 다양한 방법으로 판정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각 센서가 금속을 검지한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테이블(90)을 이용하여 금속의 검지 패턴을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8은 각 지엽류에 대한 금속의 검지 패턴을 판정하기 위한 카운터 테이블(9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카운터 테이블(90)은 각 지엽류마다 생성된다. 도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카운터 테이블(90)은, 식별 정보 영역(91), 제1 카운터(92a), 제2 카운터(92b), 제3 카운터(92c), 제4 카운터(92d) 및 하측 동시 카운터(9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식별 정보 영역(91)에는 당해 지엽류를 일의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식별 정보 영역(91)에 저장되는 식별 정보는, 각 지엽류에 부여되는 메일 번호 등의 정보이다. 또한, 상기 메일 번호로서는, 예를 들어 1 내지 16383(0001 내지 3FFF)의 번호 중 하나가 각 지엽류에 부여된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에는, 상기 메일 번호 등의 정보 외에, 각 지엽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여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에는, 최상위 비트에 2매 등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카운터(92a 내지 92d)는, 각 금속 검지 센서(65a 내지 65d)에 의해 금속을 검지한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또,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카운터(92a 내지 92d)는, 후술하는 판정 처리에 있어서, 당해 지엽류가 클립 서장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카운트값이 저장되는 카운터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1 카운터(92a)에는, 상기 식별 정보 영역(91)의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지엽류에 대해, 상기 금속 검지 센서(65a)(이하, 제1 센서라고도 함)가 금속을 검지한 횟수가 저장된다. 즉, 상기 제1 카운터(92a)는, 각 타이밍에서 취득한 제1 센서(65a)가 금속을 검지한 경우에 카운트 업된다.
상기 제2 카운터(92b)에는, 상기 식별 정보 영역(91)의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지엽류에 대해, 상기 금속 검지 센서(65b)(이하, 제2 센서라고도 함)가 금속을 검지한 횟수가 저장된다. 즉, 상기 제2 카운터(92b)는 각 타이밍에서 취득한 제2 센서(65b)가 금속을 검지한 경우에 합산된다.
상기 제3 카운터(92c)에는, 상기 식별 정보 영역(91)의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지엽류에 대해, 상기 금속 검지 센서(65c)(이하, 제3 센서라고도 함)가 금속을 검지한 횟수가 저장된다. 즉, 상기 제3 카운터(92c)는 각 타이밍에서 취득한 제3 센서(65c)가 금속을 검지한 경우에 합산된다.
상기 제4 카운터(92d)에는, 상기 식별 정보 영역(91)의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지엽류에 대해, 상기 금속 검지 센서(65d)(이하, 제4 센서라고도 함)가 금속을 검지한 횟수가 저장된다. 즉, 상기 제4 카운터(92d)는, 각 타이밍에서 취득한 제4 센서(65d)가 금속을 검지한 경우에 합산된다.
상기 하측 동시 카운터(93)는 상기 제4 센서(65d) 및 상기 제3 센서(65c)만이 동시에 금속을 검지한 횟수가 저장된다. 즉, 상기 하측 동시 카운터(93)는, 각 타이밍에서 취득한 전체 센서의 검지 결과에 있어서, 제4 센서(65d) 및 제3 센서(65c)만이 금속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 합산된다. 상기 하측 동시 카운터(93)는, 후술하는 판정 처리에 있어서, 당해 지엽류가 추적 서장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카운트값이 저장되는 추적 서장 카운터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상기 카운터 테이블(90)을 이용한 추적 서장의 판정 처리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추적 서장은, 상기 하측 동시 카운터(93)에 의한 카운트값을 기초로 하여 판정된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추적 서장에는 금속 검지 센서(65d) 및 금속 검지 센서(65c)만이 동시에 금속을 검지하는 영역이 있다. 이 점에 착안하면, 하측 동시 카운터(93)의 카운트값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의해 추적 서장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구분 장치에서는, 각 센서의 검지 결과를 기초로 하여 추적 서장을 검출하기 위해, 하측 동시 카운터(93)의 카운트값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의해 추적 서장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추적 서장은 금속물의 배치가 미리 특정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복수의 카운터[센서(65c, 65d)]가 동시에 금속을 검지한 횟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의해 추적 서장을 검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금속물의 배치가 미리 특정되어 있는 추적 서장의 배치인지 여부에 의해 추적 서장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한 바와 같은 임계치의 설정 이외에도, 각 추적 서장에 있어서의 금속물의 배치에 따른 다양한 임계치가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랜스폰더 서장(Pt)에 대해서는, 금속 검지 센서(65d) 및 금속 검지 센서(65c)만이 동시에 금속을 검지하는 영역(Rt1)이 있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금속이 검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상인 반송 상태(스큐가 없고, 소정의 반송 속도로 반송)의 트랜스폰더 서장(Pt)에 대해 각 금속 검지 센서(65d, 65c)가 동시에 금속을 검지하는 횟수는, 반송 속도, 영역(Rt1)[금속물(M4, M5)]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 및 각 센서[(65d, 65c)]에 의한 검지 주기 등에 의해 미리 산출할 수 있다. 즉, 각 금속 검지 센서(65d, 65c)가 동시에 금속을 검지하는 횟수(Nt회)에 대한 허용해야 할 오차(α)를 상정하면, 상기 하측 동시 카운터(93), 제3 카운터(92c) 및 제4 카운터(92d)의 각 카운트값이 각각 Nt ± α인지 여부에 의해, 당해 지엽류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랜스폰더 서장(Pt)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바이브레이션 서장(Pb)에 대해서는, 그 반송 방향에 착안하면, 금속 검지 센서(65d) 및 금속 검지 센서(65c)만이 동시에 금속을 검지하는 영역(Rb2, Rb4, Rb6), 금속 검지 센서(65c)만이 금속을 검지하는 영역(Rb1, Rb5), 금속 검지 센서(65d)만이 금속을 검지하는 영역(Rb3, Rb7), 금속이 검지되지 않은 영역이 각각 소정의 크기이다. 따라서, 정상인 반송 상태(스큐가 없고, 소정의 반송 속도로 반송)의 바이브레이션 서장(Pb)에 있어서의 각 영역(Rb1 내지 Rb7)이 각 금속 검지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횟수는, 반송 속도, 각 영역(Rb1 내지 Rb7)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 및 각 센서(65d, 65c)에 의한 검지 주기 등에 의해 미리 산출할 수 있다. 즉, 각 센서(65d, 65c)가 동시에 금속을 검지하는 횟수(Nb1), 센서(65c)만이 금속을 검지하는 횟수(Nb2) 및 센서(65d)만이 금속을 검지하는 횟수(Nb3)에 대해 허용해야 하는 오차(α1, α2, α3)를 상정하면, 상기 하측 동시 카운터(93)의 카운트값이 Nb1 ± α1, 제3 카운터(92c)의 카운트값이 Nb2 ± α2, 또한 제4 카운터(92d)의 카운트값이 Nb3 ± α3인지 여부에 의해, 당해 지엽류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바이브레이션 서장(Pb)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금속 검지부(65)의 각 센서는 반송 중인 지엽류에 대한 금속의 유무를 소정의 주기로 취득한다. 이에 의해, 상기 금속 검지부(65)의 각 센서에 의한 검지 결과를 기초로 하여 각 지엽류 전체에 있어서의 금속물의 배치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경과에 수반되는 각 센서의 검지 결과를 축적하는 2차원의 메모리 영역을 확보하면, 상기 메모리 영역에는 각 지엽류 전체에 있어서의 금속물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지엽류 전체에 있어서의 금속물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지엽류가 특정 금속물의 배치를 갖는 추적 서장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카운터 테이블(90)을 이용한 추적 서장의 판정 처리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클립 서장은, 각 제1, 제2, 제3 및 제4 카운터(92a 내지 92d)의 카운트값을 기초로 하여 판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구분 장치에서는, 도4에 도시 한 바와 같은 동전 혹은 열쇠 등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금속물이 동봉되어 있는 지엽류를 배제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금속 검지 센서(65d) 및 금속 검지 센서(65c)가 금속을 검지하지 않고 금속 검지 센서(65a 혹은 65b)만이 금속을 검지한 지엽류는 클립 서장이라 판정된다. 예를 들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립 서장은, 상기 금속 검지 센서(65d) 및 금속 검지 센서(65c)가 금속을 검지하지 않고 상기 금속 검지 센서(65b)만이 금속을 검지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구분 장치에서는, 각 센서의 검지 결과를 기초로 하여 클립 서장을 검출하므로, 각 제1 혹은 제2 카운터(92d, 92c)의 카운트값이 소정치 미만(「0」또는「오차 범위 이내」)이며, 또한 각 제3 혹은 제4 카운터(92b, 92a)의 카운트값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의해 클립 서장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클립 서장을 검출하기 위해, 기립한 상태의 지엽류에 있어서의 상측 영역에 금속물이 고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각 카운터의 값에 따라 판정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클립 혹은 핀 등은, 소형의 금속이고, 또한 서류의 단부를 고정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로 인해, 지엽류의 단부에 있어서 소형의 금속이 고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클립 서장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경과(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검지 위치의 변화)에 수반되는 각 센서의 검지 결과를 축적하는 2차원의 메모리 영역을 확보하면, 상기 메모리 영역에는, 각 지엽류 전체에 있어서의 금속물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지엽류 전체에 있어서의 금속물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하여, 당해 지엽류가 단부의 영역에 고정되어 있는 소형 금속을 포함하는 클립 서장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금속 검지부(65)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른 금속 검출 처리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배제 검출부(13) 내에 있어서 상기 금속 검지부(65) 전방의 시프트 센서(트리거 센서)(66)에 의해 지엽류가 검지되면(스텝 S11, 예),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타이머를 세트하고, 당해 지엽류에 대한 금속 검출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12). 상기 타이머는 당해 지엽류에 대한 금속 검출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금속 검지부(65)의 각 금속 검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지엽류의 선단부가 통과한 후 당해 지엽류의 후단부가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지엽류가 금속 검지부(65)를 통과하는 시간]이 타이머에 의해 계측된다. 또, 상기 지엽류에 대한 금속 검출 처리를 개시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55)에는, 당해 지엽류의 식별 정보가 식별 정보 영역에 저장된 카운터 테이블(90)이 작성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지엽류가 상기 금속 검지부(65)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 각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 65d)는, 각각 소정 주기(예를 들어, 1 msec 주기)로 금속의 유무를 검지한다. 즉, 소정의 검지 타이밍이 되면(스텝 S13, 예),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54)는 각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 65d)로부터 금속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취득한다(스텝 S14).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54)는 각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 65d)로부터 취득한 금속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에 공급한다.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54)를 통해 각 금속 검지 센서(65a, 65b, 65c, 65d)로부터 취득한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카운터(92a, 92b, 92c, 92d)의 값을 갱신한다(스텝 S15). 즉, 각 센서(65a, 65b, 65c, 65d)에 의한 금속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금속을 검지한 센서에 대응하는 카운터의 값을 합산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각 센서(65a, 65b, 65c, 65d)에 의한 금속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 경우,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센서(65c) 및 센서(65d)만이 금속을 검지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6). 이 판단에 의해 센서(65c, 65d)만이 금속을 검지한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16, 예),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하측 동시 카운터(93)를 합산한다(스텝 S17).
상기 스텝 S13 내지 스텝 S17의 처리(카운트 처리)는 당해 지엽류의 후단부가 금속 검지부(65)를 통과할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된다. 이 결과, 당해 지엽류에 대응하는 카운터 테이블(90)에는, 각 센서가 금속을 검출한 횟수와 하측 2개의 센서(65c, 65d)만이 금속을 검지한 횟수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카운터 테이블(90)에 저장된 정보(카운트값)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추적 서장 판정, 클립 서장 판정 및 금속 배제 판정을 행한다.
즉, 상기 카운트 처리가 종료되면(스텝 S18, 예),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당해 지엽류가 추적 서장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추적 서장 판정 처리를 행한다(스텝 S21). 이 추적 서장 판정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에 의 해 실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동시 카운터(93)에 의한 카운트값이 소정의 추적 서장 판정용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의해 추적 서장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당해 지엽류에 대응하는 카운터 테이블(90)에 있어서의 하측 동시 카운터(93)의 값이 소정의 추적 서장 판정용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 의해 하측 동시 카운터(93)의 값이 소정의 추적 서장 판정용 임계치 이상이라 판정한 경우(스텝 S21, 예),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당해 지엽류를 추적 서장이라 판정한다. 당해 지엽류를 추적 서장이라 판정한 경우,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당해 지엽류를 배제하지 않고, 후단의 처리 유닛으로 반송하도록, 상기 배제 게이트(62)를 온하는 제어를 행한다(스텝 S24).
상기 판정에 의해 하측 동시 카운터(93)의 값이 소정의 추적 서장 판정용 임계치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 즉 당해 지엽류가 추적 서장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21, 아니오),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당해 지엽류가 클립 서장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클립 서장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스텝 S22). 이 클립 서장의 판정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2개의 센서(65c, 65d)에 대응하는 카운터(92c, 92d)에 의한 카운트값이 소정치 미만(「0」혹은「오차 범위 이내」)이고 , 또한 상측 2개의 센서(65a 혹은 65b)에 대응하는 카운터(92a 혹은 92b) 중 어느 하나의 카운트값이 소정의 클립 서장 판정용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의해 당해 지엽류가 클립 서장인지 여부를 판정 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당해 지엽류에 대응하는 카운터 테이블(90)에 있어서의 제3 및 제4 카운터(92c, 92d)의 값이 소정치 미만이고, 또한 제1 혹은 제2 카운터(92a, 92b)의 값이 소정의 클립 서장 판정용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 의해 제3 및 제4 카운터(92c, 92d)의 값이「0」 혹은「오차 범위 이내」이고, 또한 제1 혹은 제2 카운터(92a, 92b)의 값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라 판정한 경우(스텝 S22, 예),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당해 지엽류를 클립 서장이라 판정한다. 당해 지엽류를 클립 서장이라 판정한 경우,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당해 지엽류를 배제하지 않고, 후단의 처리 유닛으로 반송하도록 상기 배제 게이트(62)를 온하는 제어를 행한다(스텝 S24).
당해 지엽류가 클립 서장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22, 아니오),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당해 지엽류가 배제해야 하는 지엽류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배제 서장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스텝 S23). 이 배제 서장의 판정 처리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측 2개의 센서(65c)에 대응하는 제3 카운터(92c) 혹은 센서(65d)에 대응하는 제4 카운터(92d)에 의한 카운트값이 소정의 배제 판정용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의해 당해 지엽류가 배제해야 하는 서장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한다. 즉, 기립한 상태에서 반송되는 지엽류의 하측 영역에서 금속이 검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따라서,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당해 지엽류에 대응하는 카운터 테이블(90)에 있어서의 제3 혹은 제4 카운터(92c 혹은 92d)의 값이 소정의 배제 판정용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3). 이 판정에 의해 제3 혹은 제4 카운터(92c 혹은 92d)의 값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23, 예),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당해 지엽류를 배제 서장이라 판정한다. 당해 지엽류를 배제 서장이라 판정한 경우,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당해 지엽류를 배제하도록(배제 집적부로 반송하도록), 상기 배제 게이트(62)를 오프하는 제어를 행한다(스텝 S25). 상기 판정에 의해 제3 혹은 제4 카운터(92c 혹은 92d)의 값이 소정의 배제 판정용 임계치 미만이라 판정한 경우(스텝 S23, 아니오),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당해 지엽류가 정상 서장이라 판정한다. 당해 지엽류를 정상 서장이라 판정한 경우, 상기 배제 검출 제어부(42)는 당해 지엽류를 후단의 처리 유닛으로 반송시키기 위해 상기 배제 게이트(62)를 온하는 제어를 행한다(스텝 S24).
이상의 처리에 따르면, 본 지엽류 구분 장치에서는, 기립한 상태에서 반송되는 지엽류에 대해 다양한 높이에서 금속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복수의 금속 검지 센서에 의한 검지 결과를 기초로 하여 트랜스폰더 서장 혹은 바이브레이션 서장 등의 추적 서장과, 클립 서장을 검출한다. 이에 의해, 본 지엽류 구분 장치에서는, 동전 혹은 열쇠 등이 동봉된 봉서 등의 기계 처리에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엽류를 배제하는 동시에, 특정 위치에 금속물이 배치되어 있는 추적 서장, 혹은 임의의 위치에 고정 금속 부재 등의 소형의 금속물이 고정되어 있는 클립 서장을 배제하지 않고 후단의 처리 유닛으로 반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추적 서장 혹은 클립 서장을 구분 처리할 수 있는 구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추적 서장을 통상의 지엽류와 동등한 처리 공정에서 구분 처리할 수 있으므로, 추 적 서장에 의한 시스템 전체에 있어서의 처리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클립 서장을 구분 처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원의 작업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어, 구분 처리 전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이점 및 변경들은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용이하게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보다 넓은 관점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설명 및 대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의 기술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구분 장치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지엽류 구분 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3은 금속 검지부와 그 주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배제 서장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클립 서장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트랜스폰더 서장(추적 서장)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바이브레이션 서장(추적 서장)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카운터 테이블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금속 검지 처리의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공급부
12 : 취출부
13 : 배제 검출부
14 : 프리 바코드 판독부
15 : 문자 인식부
16 : 지연 반송부
17 : 인쇄부
18 : 검증 바코드 판독부
19 : 분기부
20 : 스태커 집적부

Claims (8)

  1. 기립한 상태의 지엽류에 대해 다양한 높이에 위치하여 지엽류 내의 금속의 유무를 다양한 높이에서 검지하는 복수의 센서와,
    지엽류의 배제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가 배제 판정한 지엽류를 배제하는 배제부와,
    상기 판정부가 배제하면 안 된다고 판정한 지엽류를 당해 지엽류에 부여되어 당해 지엽류의 구분처를 표시하는 구분 정보에 따라 구분하는 구분부를 갖고,
    상기 판정부는 당해 지엽류에 대해 상기 복수의 센서가 검지한 금속의 배치 패턴을 기초로 하여 기계 처리가 불가능한 금속을 포함하는 지엽류를 배제 판정하는, 지엽류의 구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검지한 금속의 배치 패턴을 기초로 기계 처리가 가능한 금속을 포함하는 지엽류를 배제하면 안된다고 판정하는, 지엽류의 구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가장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센서가 금속을 검지하지 못하면 당해 지엽류를 배제하면 안된다고 판정하는, 지엽류의 구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지엽류를 기립한 상태에서 반송하는 반송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기립한 상태에서 반송되는 지엽류에 대해 각 높이에 있어서의 금속의 유무를 소정 간격으로 복수회 검지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각 센서가 금속을 검지한 횟수를 기초로 하여 당해 지엽류의 배제 여부를 판정하는, 지엽류의 구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미리 정해진 센서들이 동시에 금속을 검지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판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 당해 지엽류를 배제하면 안 된다고 판정하는, 지엽류의 구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중 가장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센서에서 금속을 검지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미만이고, 또한 가장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센서 이외의 센서에서 금속을 검지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판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 당해 지엽류를 배제하면 안 된다고 판정하는, 지엽류의 구분 장치.
  7. 지엽류의 구분 장치에 이용되는 지엽류 구분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기립한 상태의 지엽류에 대해 다양한 높이에 설치한 복수의 센서에 의해 금속의 유무를 검지하는 단계와,
    당해 지엽류에 대해 상기 복수의 센서가 검지한 금속의 배치 패턴을 기초로 하여 기계 처리가 불가능한 금속을 포함하는 지엽류를 배제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 배제 판정된 지엽류를 배제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서 배제하면 안 된다고 판정된 지엽류를 당해 지엽류에 부여되어 당해 지엽류의 구분처를 표시하는 구분 정보에 따라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엽류 구분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지엽류를 기립한 상태에서 반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지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상기 기립한 상태에서 반송되는 지엽류의 각 높이에서 금속의 유무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회 검지하고,
    상기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센서가 금속을 검지한 횟수를 기초로 당해 지엽류의 배제 여부를 판정하는, 지엽류 구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030993A 2007-12-27 2008-04-03 지엽류의 구분 장치 및 지엽류 구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943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7799A JP5148265B2 (ja) 2007-12-27 2007-12-27 区分装置及び区分装置の制御方法
JPJP-P-2007-00337799 2007-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309A KR20090071309A (ko) 2009-07-01
KR100943593B1 true KR100943593B1 (ko) 2010-02-24

Family

ID=4045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993A KR100943593B1 (ko) 2007-12-27 2008-04-03 지엽류의 구분 장치 및 지엽류 구분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08223B2 (ko)
EP (1) EP2077162B1 (ko)
JP (1) JP5148265B2 (ko)
KR (1) KR1009435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0122B2 (ja) * 2008-03-14 2010-0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廃棄装置、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文書廃棄制御プログラム
CN102034081B (zh) * 2009-09-25 2016-06-22 神基科技股份有限公司 使用影像作为数据来源的计算器装置
DE102011083580A1 (de) * 2011-09-28 2013-03-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Sortieranlage und Sortierverfahren zum gemeinsamen Sortieren von verschiedenartigen Gegenständen
FR3035013B1 (fr) 2015-04-14 2017-04-14 Holweg Group Procede et machine de tri de sacs plats
JP2017090974A (ja) * 2015-11-02 2017-05-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199A (ja) * 1993-08-31 1995-03-07 Anritsu Corp 物品選別装置
JP2003285957A (ja) 2002-03-28 2003-10-07 Toshiba Corp 紙葉類の混入物検知装置および紙葉類の混入物検知方法
KR20060112655A (ko) * 2003-10-30 2006-11-01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우편물 더미에서 세로로 놓인 납작한 우편물들을 분리하는장치
JP2007075760A (ja) 2005-09-15 2007-03-29 Toshiba Corp 区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区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6285A (en) * 1959-11-24 1963-10-08 Goodman Mfg Co Long wearing flexible troughing idler assembly for flexible belt conveyors
US4863037A (en) * 1986-09-05 1989-09-05 Opex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 automated processing of bulk mail and the like
US5460273A (en) * 1986-09-05 1995-10-24 Opex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 automated processing of bulk mail having varied characteristics
US5240116A (en) * 1986-09-05 1993-08-31 Ope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orientation of a document
US5464099A (en) * 1986-09-05 1995-11-07 Opex Corporation Method for the automated processing of documents and bulk mail
US5036310A (en) * 1991-01-04 1991-07-30 Russell David E Remote mail delivery reporting system triggered by predetermined mail in a mailbox
GB2265464B (en) 1992-03-13 1996-01-03 Opex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redit/debit cards in connection with the processing of bulk mail
US5420403A (en) * 1992-05-26 1995-05-30 Canada Post Corporation Mail encoding and processing system
US5692029A (en) * 1993-01-15 1997-11-25 Technology International Incorporated Detection of concealed explosives and contraband
JPH07333351A (ja) * 1994-04-13 1995-12-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ボンベ等の検出装置
FR2729310A1 (fr) * 1995-01-12 1996-07-19 Alcatel Postal Automation Syst Dispositif pour detecter la presence d'un objet dur dans un pli de courrier
JPH08243500A (ja) * 1995-03-09 1996-09-24 Toshiba Corp 郵便物処理装置、紙葉類区分装置及び書留郵便物処理装置
US6112902A (en) * 1996-05-17 2000-09-05 Ope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nd acquiring image data for documents
JPH10149471A (ja) * 1996-11-15 1998-06-02 Miyota Co Ltd 識別装置
US6481624B1 (en) * 1997-11-26 2002-11-19 Ope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s to distinguish various types of documents
US6114646A (en) * 1997-12-12 2000-09-05 Ope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ocuments having ferrous objects
US6003677A (en) * 1998-04-17 1999-12-21 Agissar Corporation Method for the automated processing of ATM envelopes
US6381342B2 (en) * 1999-01-13 2002-04-30 James E. Foley Method for reading and sorting documents
JP3694613B2 (ja) 1999-05-27 2005-09-1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区分装置
JP2001137787A (ja) * 1999-11-15 2001-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葉類搬送装置の異物除去装置
JP3373187B2 (ja) * 2000-02-21 2003-0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異常郵便物の除去装置
EP1463536A4 (en) * 2001-11-07 2006-06-28 Sheree Wen DISINF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ISINFECTING ARTICLES
US20030132398A1 (en) * 2001-11-21 2003-07-17 Xiaoling Wa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killing bacteria and viruses in mail items
WO2008092118A2 (en) * 2007-01-25 2008-07-31 Ada Technologies, Inc. Stroboscopic signal amplification and surface enhanced raman spectroscopy
JP4420122B2 (ja) * 2008-03-14 2010-0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廃棄装置、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文書廃棄制御プログラム
JP2011247697A (ja) * 2010-05-25 2011-12-08 Toshiba Corp 紙葉類の重量測定装置、この重量測定装置を備えた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の重量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199A (ja) * 1993-08-31 1995-03-07 Anritsu Corp 物品選別装置
JP2003285957A (ja) 2002-03-28 2003-10-07 Toshiba Corp 紙葉類の混入物検知装置および紙葉類の混入物検知方法
KR20060112655A (ko) * 2003-10-30 2006-11-01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우편물 더미에서 세로로 놓인 납작한 우편물들을 분리하는장치
JP2007075760A (ja) 2005-09-15 2007-03-29 Toshiba Corp 区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区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08223B2 (en) 2015-08-18
EP2077162B1 (en) 2015-05-20
JP2009154130A (ja) 2009-07-16
US20090166270A1 (en) 2009-07-02
JP5148265B2 (ja) 2013-02-20
KR20090071309A (ko) 2009-07-01
EP2077162A1 (en)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22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nd acquiring image data for documents
KR100943593B1 (ko) 지엽류의 구분 장치 및 지엽류 구분 장치의 제어 방법
US20070095898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partition card user therefor
US8276733B2 (en) Sheet processing system,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method
KR100965059B1 (ko) 바코드 처리 장치, 구분 장치 및 바코드 처리 방법
JPH0739820A (ja) 街区認識装置および宛名読取区分機
JP5955650B2 (ja) 紙幣処理装置、紙幣処理システム、及び紙幣処理方法
JPH01159088A (ja) 郵便物自動区分機
JP2002334362A (ja) 紙葉類処理装置
JP3800967B2 (ja) 郵便物区分集積装置
JP4454759B2 (ja) 紙葉類の重なり判定方法と紙葉類仕分け装置
KR20120106557A (ko) 지엽류 집적 장치
JP3212871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4445071B2 (ja) 紙葉類区分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区分集積方法
JP4435550B2 (ja) 紙葉類区分装置。
JP2018116393A (ja) 紙葉類不正取出検知方法および紙葉類不正取出検知システム
JP2004240778A (ja) 券類処理装置、および券類処理システム
JPH1176946A (ja) 区分装置
JPH1094760A (ja) 紙葉類区分装置および紙葉類区分方法
JP2001151404A (ja) 区分け装置
JP2001087712A (ja) 紙葉類区分装置
JP3557061B2 (ja) 郵便物区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226592A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07083156A (ja) 郵便物読取区分機及び優先ステッカー処理方法
JP2005177660A (ja) 紙葉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