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095B1 -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095B1
KR100942095B1 KR1020077007235A KR20077007235A KR100942095B1 KR 100942095 B1 KR100942095 B1 KR 100942095B1 KR 1020077007235 A KR1020077007235 A KR 1020077007235A KR 20077007235 A KR20077007235 A KR 20077007235A KR 100942095 B1 KR100942095 B1 KR 10094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levator compartment
side members
rescu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548A (ko
Inventor
하츠오 야마다
마사아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8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에 있어서는, 구출구를 갖는 천장 덮개가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천장 덮개의 아래쪽에는 의장틀체가 배치되어 있다. 의장틀체 위에는, 천장 덮개에 대향하는 조명 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천장 덮개와 조명 커버와의 사이에는 조명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의장틀체는,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 위치와, 선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 내에 내려진 구출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한 격자 부재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ELEVATOR CAR}
본 발명은, 승객을 엘리베이터 칸실 내로부터 탈출시키기 위한 구출구가 천장부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에서는, 조명 커버(cover)의 구출구에 대향하는 영역이 엘리베이터 칸실의 내부 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영역의 상면에 복수의 발판 훅(hook)이 소정의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승객의 구출시에는, 상기 영역이 엘리베이터 칸실의 내부 측으로 회동되어, 발판 훅이 노출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실개평7-9876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에서는, 조명 커버의 상면에 발판 훅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발판 훅과 조명 기구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칸실의 천장부의 두께 치수를 충분히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되고, 엘리베이터 칸실 내의 천장 높이가 제한되어 버린다. 또, 발판 훅을 피해 조명 기구를 배치하려고 하면, 조명 기구의 레이아웃이 제한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천장부의 두께 치수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명 기구의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엘리베이터 칸실 내의 승객을 천장부로부터 용이하게 구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은,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출구를 갖는 천장 덮개, 천장 덮개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의장틀체, 천장 덮개에 대향하도록 의장틀체 위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 커버, 및 천장 덮개와 조명 커버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조명 기구를 구비하며, 의장틀체는,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 위치와, 선단부가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 내에 내려진 구출 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격자 부재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의 천장부를 도시한 바닥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천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천장부의 승객 구출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격자 부재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로드(rod)가 연결된 짧은 변 부재를 조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6의 로드가 삽입 구멍으로부터 뽑아진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6의 격자 부재가 엘리베이터 칸실 내부 측으로 요동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격자 부재가 구출 위치로 변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격자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격자 부재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연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격자 부재의 틀 본체로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의 천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격자 부재를 구출 위치로 변위시키는 도중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후단(後段)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격자 부재를 구출 위치로 변위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격자 부재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의 천장부를 도시한 바닥면도(엘리베이터 칸실 내에서 본 도면),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천장부를 도시한 사시도(경사진 아래쪽으로부터 올려다본 도면), 도 5는 도 4의 천장부의 승객 구출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1)는, 엘리베이터 칸 바닥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실 벽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실 벽(앞 벽)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a)(도 4 및 도 5)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1)의 상부에는, 천장 덮개(2)가 고정되어 있다. 천장 덮개(2)의 중앙 부근에는, 구출구(2a)가 마련되어 있다. 천장 덮개(2) 위에는, 구출구(2a)를 개폐하기 위한 구출구 커버(3)가 설치되어 있다.
천장 덮개(2)의 아래쪽에는, 의장틀체(의장 이음매)(4)가 배치되어 있다. 의장틀체(4)는, 천장 덮개(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의장틀체(4)는 틀 형상의 틀 본체(5)와, 사다리 형상의 격자 부재(6)를 가지고 있다. 격자 부재(6)는, 그 기단부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틀 본체(5)에 연결되어 있다. 즉, 격자 부재(6)는, 수평인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1)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 위치(도 4)와, 선단부가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1) 내에 내려진 구출 위치(도 5)와의 사이에서 요 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격자 부재(6)는, 통상으로도 의장틀체(4)의 일부로서 엘리베이터 칸실 내에 상시 노출되어 있다.
또한, 격자 부재(6)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긴 변 부재(7)와, 긴 변 부재(7) 사이에 걸쳐진 복수의 짧은 변 부재(8)를 가지고 있다. 격자 부재(6)가 구출 위치에 있을 때, 격자 부재(6)는 사다리로서 기능하고, 짧은 변 부재(8)는 발판으로서 기능한다. 게다가 또, 격자 부재(6)의 전체 길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의장틀체(4) 위에는, 천장 덮개(2)에 대향하도록 복수의 조명 커버(9)가 설치되어 있다. 각 조명 커버(9)는, 빛을 투과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천장 덮개(2)와 조명 커버(9)와의 사이에는, 복수의 조명 기구(10)가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도 1의 격자 부재(6)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격자 부재(6)는, 기단부(基端部)에 설치된 요동축(11)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틀 본체(5)에 연결되어 있다. 긴 변 부재(7)의 선단부에는, 격자 부재(6)를 수납 위치로 유지하는 록(lock) 기구(12)가 내장되어 있다. 록 기구(12)는, 긴 변 부재(7)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격자 부재(6)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퇴몰(退沒) 가능한 로드(13)를 가지고 있다.
로드(13)의 기단부는, 격자 부재(6)의 제일 선단부 측에 위치하는 짧은 변 부재(8)에 연결되어 있다. 로드(13)가 연결된 짧은 변 부재(8)는, 로드(13)와 함께 소정의 스트로크만 긴 변 부재(7)의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로드(13)는, 그것이 연결된 짧은 변 부재(8)를 변위시킴으로써 변위된다. 틀 본체(5)에는, 로드(13)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13)의 선단부를 삽입 구멍(14)에 삽입함으로써, 격자 부재(6)가 수납 위치에 유지된다.
록 기구(12)에 의한 록을 해제하는 경우, 로드(13)가 연결된 짧은 변 부재(8)를 도 7의 화살표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 부재(6)의 기단부 측으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13)의 선단부가 삽입 구멍(14)으로부터 뽑아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 부재(6)가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1)의 내부 측으로 요동 가능해진다.
도 10은 도 1의 격자 부재(6)가 구출 위치로 변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격자 부재(6)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격자 부재(6)가 구출 위치로 변위될 때에는, 격자 부재(6) 위의 조명 커버(9)가 제거되어 있다. 격자 부재(6)는, 중공(中空) 구조의 격자 부재 본체(15)와, 격자 부재 본체(15)에 삽입된 연장부(16)를 가지고 있다.
격자 부재(6)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연장부(16)는, 격자 부재 본체(15)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 격자 부재(6)를 구출 위치로 변위시킬 때, 연장부(16)는, 격자 부재 본체(15)의 선단부로부터 소망의 길이만큼 인출된다. 이것에 의해, 격자 부재(6)의 전체 길이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격자 부재 본체(15)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연장부(16)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격자 부재(6)의 틀 본체(5)로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경사진 아래쪽에서부터 올려다본 도면), 도 15는 도 14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격자 부재(6)의 기단부는, 틀 본체(5)에 대해 요동 가능하며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틀 본체(5)에는, 격자 부재(6)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격자 부재(6)의 요동축(11)은, 가이드 홈(17)에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격자 부재(6)가 구출 위치에 있을 때, 예를 들면 도 15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 부재(6)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이 층 사이에 정지한 경우 등, 엘리베이터 칸실 내의 승객을 엘리베이터 칸 위로부터 구출하는 경우, 작업원이 위쪽 가장 가까운 층의 승강장으로부터 천장 덮개(2) 위로 이동하여, 구출구(2a)를 개방한다. 그리고, 구출구(2a)를 통하여 격자 부재(6) 위의 조명 커버(9)를 떼어내고, 격자 부재(6)를 구출 위치로 요동시킨다.
격자 부재(6)를 엘리베이터 칸실 내에 내릴 때에는, 격자 부재(6)가 엘리베이터 칸실 내의 승객에 닿지 않도록 승객에게 주의를 촉구한다. 이 후, 승객은 격자 부재(6)를 올라, 구출구(2a)로부터 탈출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1)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 위치와, 선단부가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1) 내에 내려진 구출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한 격자 부재(6)를 의장틀체(4)에 설치함으로써, 사다리를 수납하는 전용 스페이스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천장부의 두께 치수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명 기구(10)의 배치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엘리베이터 칸실 내의 승객을 천장부로부터 용이하게 구출할 수 있다. 또, 의장틀체(4) 의 일부인 격자 부재(6)가 사다리의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구출용의 사다리를 따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부품점수를 삭감하여 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또, 격자 부재(6)를 수납 위치에 유지하는 록 기구(12)를 사용함으로써, 통상시에 격자 부재(6)가 엘리베이터 칸실 내로 변위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짧은 변 부재(8) 중 1개를 변위시킴으로써 록 기구(12)에 의한 격자 부재(6)의 유지 상태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록 기구(12)의 조작부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어,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격자 부재(6)가 장난에 의해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또, 격자 부재(6)의 기단부는, 틀 본체(5)에 대해 요동 가능하며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격자 부재(6)의 위치 및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격자 부재(6)를 사용하여 승객의 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하게 할 수 있다.
또, 격자 부재(6)의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 길이 치수 또는 폭 치수가 높이 치수보다 짧은 경우라도, 격자 부재(6)의 선단을 엘리베이터 칸 바닥까지 닿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출 위치에 있을 때의 격자 부재(6)의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격자 부재(6)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로드(13)를 가압하는 스프링을 록 기구(12)에 설치하여도 좋고, 이것에 의해 진동 등에 의해 록 기구(12)가 오(誤)해제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의 천장부를 도시한 사시도(경사진 아래쪽에서부터 올려다본 도면), 도 17은 도 16의 격자 부재를 구출 위치로 변위시키는 도중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후단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도 16의 격자 부재를 구출 위치로 변위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격자 부재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 예에서는, 짧은 변 부재(8)는, 격자 부재(6)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긴 변 부재(7)에 매설되고, 격자 부재(6)가 구출 위치에 있을 때 긴 변 부재(7) 사이에 걸쳐진다. 이 때문에, 각 짧은 변 부재(8)의 기단부는, 한쪽의 긴 변 부재(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른 한쪽의 긴 변 부재(7)에는, 짧은 변 부재(8)를 수용하는 걸어 맞춤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에서는, 통상은 짧은 변 부재(8)가 긴 변 부재(7)에 매설되어 노출하지 않기 때문에, 천장 의장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격자 부재의 수는 1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1개의 엘리베이터 칸실에 복수의 격자 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격자 부재의 전체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경우, 전체 길이는 연속적으로 조정 가능하여도 단계적으로 조정 가능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객을 엘리베이터 칸실 내로부터 탈출시키기 위한 구출구가 천장부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
    상기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출구를 갖는 천장 덮개,
    상기 천장 덮개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의장틀체,
    상기 천장 덮개에 대향하도록 상기 의장틀체 위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 커버, 및
    상기 천장 덮개와 상기 조명 커버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조명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의장틀체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실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 위치와, 선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실 본체 내에 내려진 구출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한 격자 부재를 가지며,
    상기 격자 부재는, 상기 의장틀체의 일부로서, 통상시에는 수납 위치에 있고, 상기 조명 커버의 아래쪽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실 내로 상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격자 부재에는, 이 격자 부재를 상기 수납 위치에 유지하는 록(lock)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격자 부재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긴 변 부재와, 상기 긴 변 부재 사이에 걸쳐진 복수의 짧은 변 부재를 가지며, 상기 짧은 변 부재 중 1개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록 기구에 의한 상기 격자 부재의 유지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장틀체는, 틀 본체를 더 가지고, 상기 격자 부재의 기단부는, 상기 틀 본체에 대해 요동 가능하며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부재의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부재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긴 변 부재와, 복수의 짧은 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짧은 변 부재는, 상기 격자 부재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긴 변 부재에 매설되며, 상기 격자 부재가 구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긴 변 부재 사이에 걸쳐지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
KR1020077007235A 2005-05-24 2005-05-24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 KR100942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09454 WO2006126254A1 (ja) 2005-05-24 2005-05-24 エレベータのかご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548A KR20070088548A (ko) 2007-08-29
KR100942095B1 true KR100942095B1 (ko) 2010-02-12

Family

ID=3745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235A KR100942095B1 (ko) 2005-05-24 2005-05-24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96713B2 (ko)
KR (1) KR100942095B1 (ko)
CN (1) CN1976858B (ko)
WO (1) WO2006126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8049A1 (de) * 2007-05-04 2008-11-05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kabine
FI125328B (fi) 2011-12-30 2015-08-31 Kone Corp Hissikori ja hissi
CN102862900A (zh) * 2012-09-29 2013-01-09 苏州新里程电控系统有限公司 装饰用电梯轿顶
JP6182497B2 (ja) * 2014-04-16 2017-08-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用救出支援装置
JP6345351B2 (ja) * 2015-07-13 2018-06-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かご
EP3530603B1 (en) 2018-02-27 2022-08-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comprising a working platform and method of moving a working platform
ES2923328T3 (es) * 2018-07-30 2022-09-26 Otis Elevator Co Cabina de ascens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3039A (en) * 1975-02-14 1976-08-14 Erebeetanorikagono tenjosochi
JPS6414779U (ko) * 1987-07-18 1989-01-25
JPH06278973A (ja) * 1993-03-30 1994-10-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室天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0245U (ko) * 1985-12-27 1987-07-14
JPS63190183A (ja) * 1987-01-30 1988-08-05 Anelva Corp 真空化学反応装置
JPH0511271Y2 (ko) * 1987-05-22 1993-03-19
JPS6414779A (en) * 1987-07-08 1989-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Storage device
EP0870722B1 (de) * 1997-04-10 2002-10-23 Inventio Ag Wartung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kab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3039A (en) * 1975-02-14 1976-08-14 Erebeetanorikagono tenjosochi
JPS6414779U (ko) * 1987-07-18 1989-01-25
JPH06278973A (ja) * 1993-03-30 1994-10-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室天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126254A1 (ja) 2008-12-25
CN1976858A (zh) 2007-06-06
WO2006126254A1 (ja) 2006-11-30
JP4896713B2 (ja) 2012-03-14
KR20070088548A (ko) 2007-08-29
CN1976858B (zh)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095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실
EP1982944B1 (en) Elevator car rescue device
ES2528445T3 (es) Protector de pies para una cabina de ascensor
ES2383009T3 (es) Dispositivos de seguridad para inspección de ascensores
JP2008044734A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JP2005138725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EP1422185A1 (en) Cage and elevator
JP2008285842A (ja) 駐車装置の作業床装置とこれを備える駐車装置
RU160234U1 (ru) Лестничный лифт
JP2002187546A (ja) 車両用梯子装置
JP2007204158A (ja) ピットはしご付きエレベータかご
EP1481936B1 (en) Elevator car comprising a car top handrail
JPH09227045A (ja) エレベーターピット点検用の梯子装置
KR20150145702A (ko) 엘리베이터의 구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
JP2010275112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
JP4941765B2 (ja) 車両用昇降装置
JP6476459B2 (ja) 作業足場用の階段手摺り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597216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0070340A (ja) エレベータ出入口装置
JP2007076854A (ja) マンコンベア用制御装置の持ち出し装置
JP2019156558A (ja) 搬器ユニット、及び、エレベータ
JP5570405B2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出入り装置
JP4047601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内作業用梯子装置
JP2006240786A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JP2005314086A (ja) エレベータの梯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