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173B1 -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와 금 촉매를 이용한 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와 금 촉매를 이용한 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173B1
KR100941173B1 KR1020070128538A KR20070128538A KR100941173B1 KR 100941173 B1 KR100941173 B1 KR 100941173B1 KR 1020070128538 A KR1020070128538 A KR 1020070128538A KR 20070128538 A KR20070128538 A KR 20070128538A KR 100941173 B1 KR100941173 B1 KR 100941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dihydrofuran
mmol
solvent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510A (ko
Inventor
이필호
박용광
김선대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28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17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7/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307/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8Silver or gold
    • B01J23/52Go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와 금 촉매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렌인-1,6-다이올 유도체를 금(Au) 촉매 조건에서 산소-탄소간의 선택적인 분자내 고리화 반응을 수행하여 제조된 신규 구조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8910397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 와 B는 각각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금(Au) 촉매, 알렌인-1,6-다이올, 분자내 고리화반응, 다이하이드로퓨란

Description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와 금 촉매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Dihydrofuran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using Au catalyst}
본 발명은 금(Au) 촉매 조건에서 알렌인-1,6-다이올 유도체를 산소-탄소간의 선택적인 분자내 고리화 반응시켜 제조된 신규 구조의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는 중요 천연물을 합성하는데 기본적인 골격을 이루고 있으며,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약품이나 향수 또는 향신료 등을 합성하는 중간체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는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있고, 유기합성 화학자들에 의해 많은 합성법이 개발되어 많은 문헌에 보고되어 있다. 특히 전이금속 예를 들면 팔라듐(Pd), 크롬(Cr), 구리(Cu) 등을 촉매로 이용한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의 합성방법은 입체 선택성이나 자리선택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불포화 화합물과 친핵체와의 반응을 통한 유기화합물의 합성에 있어, 금(Au)이 루이스 산으로 작용하여 불포화 탄소의 π-결합을 활성화시켜 친핵체와 반응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금(Au) 촉매를 이용하여 다이하이드로퓨란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은 흔치않다.
그러나 최근에는 금(Au) 촉매의 뛰어난 반응성을 이용한 많은 유기합성법이 개발되어 있다. [J. Org. Chem. 1984, 49, 3762; Angew. Chem. Int. Ed. Engl. 1980, 19, 461; Tetrahedron. 1987, 43, 3309; Chem. Eur. J. 1997, 3, 1170; J. Org. Chem. 2000, 65, 4198; J. Am. Chem. Soc. 2000, 122, 4992; Org. Lett. 2000, 2, 297; Org. Lett. 2001, 3, 2537; Org. Lett. 2002, 4, 289; Org. Lett. 2002, 4, 1387; J. Am. Chem. Soc. 2004, 126, 11164; Org. Lett. 2005, 7, 3367].
본 발명자들은 금(Au) 촉매가 알렌인-1,6-다이올 유도체의 분자내 고리화 반응에서 탁월한 입체 선택성이나 자리선택성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보고된 바에 의하면, 금(Au) 촉매를 이용한 분자내 고리화 반응에 의해 알렌인-1,6-다이올 화합물로부터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를 합성한 예는 어느 문헌에서도 보고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신규 구조의 알렌인-1,6-다이올 유도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Au) 촉매로 이용하여 알렌인-1,6-다이올 유도체의 분자내 고리화 반응을 수행하여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를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89103978-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5-C8 사이클로알킬기; 할로겐, 니트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2-C6 알킬카보닐, C2-C6 알콕시카보닐 및 C2-C6 알카노에이트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페닐-C1-C6 알킬렌기; 또는 산소원자를 포함한 5 내지 8각형 헤테로싸이클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구조의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와 상기한 신규 화합물을 알렌인-1,6-다이올 유도체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금(Au) 촉매하에서 선택적인 분자내 고리화 반응시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에 있어서의 치환기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쇄상의 탄소사슬을 일컫는다. 구체적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2차-부틸, t-부틸, 펜틸, 네오-펜틸, 헥실, 이소헥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사이클로알킬'은 5 내지 8 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부분 포화된 모노- 또는 폴리-카보사이클릭 고리를 포함하는 그룹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펜테닐,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헥세닐, 사이클로헵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헤테로싸이클'은 헤테로원자로서 산소를 포함하여 5 내지 8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를 일컫는다. 구체적으로는 퓨란, 피란, 이소벤조퓨란, 크로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에 있어 바람직한 화합물은, 상기 A 및 B가 각각 수소원자; C1-C4 알킬기; C5-C7 사이클로알킬기; 페닐기; 할로겐, 니트로, C1-C4 알킬, C1-C4 알콕시, C2-C4 알킬카보닐, C2-C4 알콕시카보닐 및 C2-C4 알카노에이트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가 치환된 페닐기; 또는 퓨란기이며; 다만 A와 B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화합물은 제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에 있어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A 및 B가 각각 수소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헥실기; 사이클로헥실기; 페닐기; 클로로, 요오도, 브로모, 니트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및 아세톡시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가 치환된 페닐기; 또는 퓨란기이며; 다만 A와 B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화합물은 제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1-(2-프로필-2,5-다이하이드로퓨란-3-일)-1-헵틴-4-올, 1-시클로헥실-4-(2-시클로헥실-2,5-다이히드로퓨란-3-)-3-부틴-1-올, 1-페닐-4-(2-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 1-(4-클로로페닐)-4-[2-(4-클로로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 1-(3-메톡시페닐)-4-[2-(3-메톡시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 1-(4-메톡시페닐)-4-[2-(4-메톡시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 1-(4-아세틸페닐)-4-[2-(4-아세틸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 또는 1-(2-퓨릴)-4-[2-(2-퓨릴)-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렌인-1,6-다이올 화합물을 금(Au) 촉매 조건에서 분자내 고리화 반응을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89103978-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A, B는 각각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산소-탄소간의 분자내 고리화 반응을 수행함에 있어, 금(Au) 촉매의 선택 사용에 의해 선택적인 분자내 고리화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를 합성한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이 사용하는 금(Au) 촉매는 금 1가이온(Au1+) 또는 금 3가이온(Au3+)을 함유하는 금 화합물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구체적으로는 (PPh3)AuCl, AuBr, AuCl, AuBr3, AuCl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uCl3를 촉매로 사용한 예를 대표적으로 예시하였다. 상기한 금(Au) 촉매는 촉매량으로서 소량 첨가하더라도 이의 첨가효과는 충분히 얻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금(Au) 촉매의 사용량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을 두지는 않으나,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하여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렌인-1,6-다이올 화합물에 대하여 0.01 내지 0.5 당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고리화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는 통상의 유기용매이며 아세토나이트릴, 니트로메탄을 포함한 지방족 니트릴류, 다이클로로메탄, 다이클로로에탄을 포함한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는 대표적으로 다이클로로메탄을 사용하였다.
고리화 반응은 15℃ 내지 30℃ 온도범위에서 수행하며, 실온에서 반응을 수행하더라도 반응은 충분히 완결시킬 수 있다.
고리화 반응 시간은 반응물질, 용매의 종류 및 용매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TLC 등을 통하여 출발물질은 알렌인-1,6-다이올 화합물이 모두 소모되었음을 확인 후 반응을 완결시키도록 한다. 반응이 완결되면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시킨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목적물을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자내 고리화 반응을 수행하는데 있어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렌인-1,6-다이올 화합물 역시 신규 화합물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렌인-1,6-다이올 화합물과 이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58871호로서 특허출원한 바도 있으므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기출원된 명세서를 참조하도록 한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렌인-1,6-다이올 화합물은 ⅰ)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과 인듐(In)을 반응시켜 유기인듐 시약을 제조하고, ⅱ)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을 분리 정제한 후에 또는 분리 정제과정 없이 인 시츄(in situ)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카보닐 화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렌인-1,6-다이올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7089103978-pat00004
Figure 112007089103978-pat00005
상기 화학식 4에서, A와 B는 각각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에서 인듐(In)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에 대하여 2 내지 3 당량, 바람직하기로는 2.1 내지 2.5 당량 범위로 사용하도록 한다. 반응 용매는 통상의 유기용매이며 다이메틸포름아미드(DMF),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기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반응 온도는 15℃ 내지 30℃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온에서도 반응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반응물질, 용매의 종류 및 용매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TLC 등을 통하여 출발물질이 모두 소모되었음을 확인 후 반응을 완결시키도록 한다. 반응이 완결되면, 추출과정을 통해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시킨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목적물을 분리 정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카보닐 화합물이 알데하이드 화합물인 경우, 할라이드 금속염을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으며, 할라이드 금속염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에 대하여 2 내지 3 당량, 바람직하기로는 2.1 내지 2.5 당량 범위로 사용하도록 한다. 할라이드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의 할라이드 화합물을 일컫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요오도화 리튬(LiI), 요오도화 나트륨(NaI), 요오도화 칼 륨(KI), 염화 리튬(LiCl), 염화 나트륨(NaCl), 염화 칼륨(KC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의 제조예 및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제조예]
본 발명이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렌인-1,6-다이올 화합물의 대표적인 합성예이다.
제조예 1. 3-비닐리덴-4-옥틴-2,7-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06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아세틸 알데하이드(44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3-비닐리덴-4-옥틴-2,7-다이올(70 mg, 84%)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5.08(s, 2H), 4.33(q, J = 6.25 Hz, 1H), 4.03-3.96(m, 1H), 2.71(s, 2H), 2.59-2.45(m, 1H), 1.36(d, J = 6.25 Hz, 3H), 1.28(d, J = 6.10 Hz, 3H)
제조예 2. 5-비닐리덴-6-도데신-4,9-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07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부티릴 알데하이드(106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5-비닐리덴-6-도데신-4,9-다이올(95 mg, 85%)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5.07(s, 2H), 4.13(t, J = 6.42 Hz, 1H), 3.82-3.76(m, 1H), 2.59(dd, J = 4.60, 4.60 Hz, 1H), 2.47(dd, 6.81, 6.81 Hz, 1H), 1.93(s, 2H), 1.72-1.63(m, 4H), 1.60-1.25(m, 4H)
제조예 3. 1,6-다이사이클로헥실-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08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사이클로헥실카바알데하이드(112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다이사이클로헥실-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95 mg, 63%)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 TMS) δ 5.03(s, 2H), 3.82(d, J = 7.17 Hz, 1H), 3.53-3.49(m, 1H), 2.60(dd, J = 4.27, 4.27 Hz, 1H), 2.51(dd, J = 6.78, 7.39 Hz, 1H) 2.08(s, 2H), 1.93(t, J = 14.2 Hz, 2H), 1.78-1.65(m, 8H), 1.64-1.45(m, 2H), 1.28-1.12(m, 6H), 1.08-0.98(m, 4H)
제조예 4. 1,6-다이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09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벤즈알데하이드(106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다이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25 mg, 63%)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36-7.25(m,10H), 5.21(d, J = 2.06 Hz, 1H), 5.10(s, 2H), 4.75(t, J = 6.3 Hz, 1H), 2.69(d, J = 6.3 Hz, 2H), 2.27(s, 2H)
제조예 5. 1,10-다이페닐-2-비닐리덴-1,9-데카다이엔-5-인-3,8-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10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트랜스-신남알데하이드(132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10-다이페닐-2-비닐리덴-1,9-데카다이엔-5-인-3,8-다이올(153 mg, 70%)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40-7.34(m, 4H), 7.32-7.28(m, 4H), 7.25-7.22(m, 2H), 6.65(dd, J = 11.4, 11.4 Hz, 2H), 6.28(ddd, J = 15.9, 11.6, 6.2 Hz, 2H), 5.15(s, 2H), 4.81(d, J = 6.2 Hz, 1H), 2.78-2.65(m, 2H), 2.20(s, 2H)
제조예 6. 1,6-비스-(4-클로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11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4-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140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6-비스-(4-클로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54 mg, 86%)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29-7.26(m, 6H), 7.21-7.18(m, 2H), 5.16(s, 1H), 5.09(s, 2H), 4.76-4.72(m, 1H), 2.82(s, 2H), 2.72(d, J = 5.55 Hz, 2H)
제조예 7. 1,6-비스-(2-요오도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12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63 mg, 0.55 mmol), 염화리튬(74 mg, 0.55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65 mg. 0.275 mmol)을 THF(1.0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2-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16 mg, 1.0 mmol)를 THF(0.5 mL)에 녹인 후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4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2-요오도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04 mg, 77%)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69-7.63(m, 4H), 7.10(d, J = 8.05 Hz, 2H), 7.05-7.01(m, 2H), 5.14(s, 1H), 5.12(s, 2H), 4.73-4.71(m, 1H), 2.67(d, J = 6.75 Hz, 2H), 2.35(s, 2H)
제조예 8. 1,6-비스-(2-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13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2-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68 mg, 0.5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8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2-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71 mg, 82%)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33-7.29(m, 2H), 7.27-7.22(m, 2H), 6.97-6.92(m, 2H), 6.90-6.84(m, 2H), 5.41(s, 1H), 5.03-4.97(m, 3H), 3.83(s, 3H), 3.81(s, 3H), 3.22(s, 1H), 2.86-2.81(m, 2H), 2.66(dd, J = 7.56, 7.61 Hz, 1H)
제조예 9. 1,6-비스-(3-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14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136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6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3-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42 mg, 81%)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28-7.21(m, 4H), 6.98-6.95(m, 2H), 6.95-6.80(m, 2H), 5.19(s, 1H), 5.11(s, 2H), 4.76-4.73(m, 1H), 3.80(s, 3H), 3.79(s, 3H), 2.69(d, J = 6.69 Hz, 2H), 2.48(s, 2H)
제조예 10. 1,6-비스-(4-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15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4-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136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3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4-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36 mg, 78%)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30(d, J = 8.59 Hz, 1H), 7.29(d, J = 8.59 Hz, 1H), 7.23(d, J = 8.7 Hz, 1H), 7.22(d, J = 8.7 Hz, 1H), 6.89-6.83(m, 4H), 5.16(s, 1H), 5.11(s, 2H), 4.74(t, J = 6.32 Hz, 1H), 3.80(s, 3H), 3.79(s, 3H), 2.70(d, J = 6.32 Hz, 2H), 2.28(s, 2H)
제조예 11. 1,6-비스-(4-메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16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4-메틸벤즈알데하이드(60 mg, 0.5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4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4-메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69 mg, 81%)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25-7.23(m, 2H), 7.17-7.08(m, 6H), 5.15(s, 1H), 5.06(s, 2H), 4.71(t, J = 6.28 Hz, 1H), 3.03(s, 2H), 2.66(d, J = 6.28 Hz, 2H), 2.33(s, 3H), 2.32(s, 3H)
제조예 12. 2,6-비스-(2,4,6-트리메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17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2,4,6-트리메틸벤즈알데하이드(74 mg, 0.5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34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2,4,6-트리메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77 mg, 82%)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6.80(d, J = 8.14 Hz, 4H), 5.72(q, J = 4.23 Hz, 1H), 5.13-5.09(m, 1H), 5.07(d, J = 4.46 Hz, 2H), 2.89(dd, J = 9.7, 9.7 Hz, 1H), 2.59-2.50(m, 1H), 2.37(s, 3H), 2.36(s, 3H), 2.34(s, 6H), 2.23(s, 4H), 2.22(s, 4H)
제조예 13. 1,6-비스-(4-니트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18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4-니트로벤즈알데하이드(151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5 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4-니트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80 mg, 95%)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8.22-8.11(m, 4H), 7.59-7.49(m, 4H), 5.34(s, 1H), 5.16(s, 2H), 4.94-4.92(m, 1H), 2.96(s, 1H), 2.88(s, 1H), 2.71-2.69(m, 2H)
제조예 14. 1,6-비스-(3-하이드록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19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3-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122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8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3-하이드록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28 mg, 80%)을 얻었다.
1H NMR(400 MHz, DMSO-d6, 25℃) δ 9.24(s, 2H), 7.11-7.03(m, 2H), 6.79-6.69(m, 4H), 6.67-6.61(m, 2H), 5.70-5.67(m, 1H), 5.37(d, J = 4.35 Hz, 1H), 5.12(s, 2H), 4.91(s, 1H), 4.55-4.49(m, 1H), 2.60-2.49(m, 2H)
제조예 15. 1,6-비스-(4-아세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20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4-아세틸벤즈알데하이드(148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8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4-아세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54 mg, 82%)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95-7.89(m, 4H), 7.37(d, J = 8.23 Hz, 2H), 7.40(d, J = 8.23 Hz, 1H), 7.39(d, J = 8.23 Hz, 1H), 5.28(s, 1H), 5.15(s, 2H), 4.86(dd, J = 5.73, 4.68 Hz, 1H), 2.74(dd, J = 5.73, 4.68 Hz, 1H), 2.61(s, 1H), 2.51(s, 1H)
제조예 16. 1,6-비스-(4-메톡시카보닐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21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메틸 4-포밀벤조에이트(164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7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1,6-비스-(4-메톡시카보닐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90 mg, 82%)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8.00-7.94(m, 4H), 7.43(d, J = 8.23 Hz, 1H), 7.42(d, J = 8.32 Hz, 1H), 7.35(d, J = 8.27 Hz, 1H), 7.34(d, J = 8.27 Hz, 1H), 5.25(s, 1H), 5.09(s, 2H), 4.82(dd, J = 5.06, 5.73 Hz, 1H), 3.90(s, 6H), 2.99(s, 2H), 2.71-2.69(m, 2H)
제조예 17. 1,6-비스-(4-아세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 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22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4-아세톡시벤즈알데하이드(164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0 ℃ 에서 24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1,6-비스-(4-아세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40 mg, 69%)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40(d, J = 8.51 Hz, 2H), 7.32-7.29(m, 2H), 7.08-7.01(m, 4H), 5.21(s, 1H), 5.11(s, 2H), 4.74(dd, J = 5.42, 6.16 Hz, 1H), 2.68(d, J = 6.16 Hz, 2H), 2.29(s, 6H)
제조예 18. 1,6-다이퓨란-2-일-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23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2-퓨릴알데하이드(96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2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1,6-다이퓨란-2-일-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23 mg, 91%)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38(d, J = 10.1 Hz, 2H), 6.35-6.32(m, 3H), 6.28(t, J = 3.90 Hz, 1H), 5.20-5.18(m, 3H), 4.84(t, J = 6.10 Hz, 1H), 2.88(d, J = 6.10 Hz, 2H), 2.43(s, 2H)
제조예 19. 3,8-다이메틸-1,10-다이페닐-4-비닐리덴-5-데신-3,8-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24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89 mg, 1.65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95 mg. 0.82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4-페닐-2-부탄온(75 mg, 0.5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7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3,8-다이메틸-1,10-다이페닐-4-비닐리덴-5-데신-3,8-다이올(61 mg, 65%)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28-7.24(m, 4H), 7.18(d, J = 7.06 Hz, 6H), 5.17(s, 2H), 2.74-2.67(m, 4H), 2.60(s, 2H), 2.03-1.97(m, 2H), 1.90(ddd, J = 6.16, 7.2, 6.53 Hz, 2H), 1.44(s, 3H), 1.35(s, 3H)
제조예 20. 1,6-다이시클로헥실-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25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89 mg, 1.65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 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95 mg. 0.82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시클로헥산온(49 mg, 0.5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7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1,6-다이시클로헥실-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50 mg, 73%)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5.09(s, 2H), 2.52(s, 2H), 1.74-1.60(m, 12H), 1.59-1.48(m, 4H), 1.28-1.26(m, 2H)
제조예 21. 2,7-다이페닐-3-비닐리덴-4-옥틴-2,7-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26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89 mg, 1.65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95 mg. 0.82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아세토페논(60 mg, 0.5 mmol)을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20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 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2,7-다이페닐-3-비닐리덴-4-옥틴-2,7-다이올(108 mg, 68%)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40-7.26(m, 10H), 5.17(s, 1H), 2.87-2.64(m, 2H), 1.90(s, 2H), 1.54(d, J = 10.4 Hz, 3H), 1.41(d, J = 12.5 Hz, 3H)
[실시예]
상기한 제조예로부토 합성한 알렌인-1,6-다이올 유도체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분자내 고리화 반응을 수행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를 합성한 대표적 예이다.
실시예 1. 1-(2-프로필-2,5-다이하이드로퓨란-3-일)-1-헵틴-4-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27
질소 분위기 하에서 골드트리클로라이드(AuCl3, 9.1 mg, 0.03 mmol)를 CH2Cl2(0.5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5-비닐리덴-6-도데신-4,9-다이올(44 mg, 0.2 mmol)를 CH2Cl2(1 mL) 용매에 녹여 실온에서 5분 교반시킨 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물의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인 1-(2-프로필-2,5-다이하이드로퓨란-3-일)-1-헵틴-4-올(23 mg, 51 %)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6.05(s, 1H), 4.76-4.63(m, 3H), 3.81-3.78(m, 1H), 2.59(dd, J = 4.87, 4.87 Hz, 1H), 2.49(dd, J = 6.55, 6.55 Hz, 1H), 1.84(d, J = 4.43 Hz, 1H), 1.77-1.68(m, 1H), 1.60-1.34(m, 7H), 0.95(t, J = 7.35 Hz, 6H)
실시예 2. 1-시클로헥실-4-(2-시클로헥실-2,5-다이히드로퓨란-3-)-3-부틴-1-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28
질소 분위기 하에서 골드트리클로라이드(9.1 mg, 0.03 mmol)를 CH2Cl2(0.5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사이클로헥실-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60 mg, 0.2 mmol)를 CH2Cl2(1 mL) 용매에 녹여 실온에서 10분 교반시킨 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물의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인 1-시클로헥실-4-(2-시클로헥실-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32 mg, 60 %)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6.09(s, 1H), 4.66-4.61(m, 1H), 3.57-3.51(m, 1H), 2.66-2.49(m, 2H), 1.90-1.76(m, 12H), 1.37-1.06(m, 11H)
실시예 3. 1-페닐-4-(2-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29
질소 분위기 하에서 골드트리클로라이드(9.1 mg, 0.03 mmol)를 CH2Cl2(0.5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58 mg, 0.2 mmol)를 CH2Cl2(1 mL) 용매에 녹여 실온에서 10분 교반시킨 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물의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인 1-페닐-4-(2-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35 mg, 60 %)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39-7.21(m, 10H), 6.18(s, 1H), 5.61(s, 1H), 4.94(dd, J = 5.99, 5.99 Hz, 1H), 4.83(d, J = 14.4 Hz, 1H), 4.74-4.68(m, 1H), 2.73-2.60(m, 2H), 2.12(s, 1H)
실시예 4. 1-(4-클로로페닐)-4-[2-(4-클로로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30
질소 분위기 하에서 골드트리클로라이드(9.1 mg, 0.03 mmol)를 CH2Cl2(0.5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비스-(4-클로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72 mg, 0.2 mmol)를 CH2Cl2(1 mL) 용매에 녹여 실온에서 15분 교반시킨 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물의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인 1-(4-클로로페닐)-4-[2-(4-클로로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46 mg, 64 %)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 TMS) δ 7.33(d, J = 6.54 Hz, 2H), 7.28(d, J = 8.48 Hz, 2H), 7.22(d, J = 6.54 Hz, 2H), 7.17(d, J = 8.48 Hz, 2H), 6.19(s, 1H), 5.58-5.54(m, 1H), 4.91(dd, J = 5.72, 5.57 Hz, 1H), 4.81(d, J = 14.3 Hz, 1H), 4.75-4.69(m, 1H), 2.73-2.61(m, 2H), 2.17(s, 1H)
실시예 5. 1-(3-메톡시페닐)-4-[2-(3-메톡시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31
질소 분위기 하에서 골드트리클로라이드(9.1 mg, 0.03 mmol)를 CH2Cl2(0.5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비스-(3-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 올(70 mg, 0.2 mmol)를 CH2Cl2(1 mL) 용매에 녹여 실온에서 10분 교반시킨 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물의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인 1-(3-메톡시페닐)-4-[2-(3-메톡시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43 mg, 61 %)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 TMS) δ 7.30-7.20(m, 2H), 6.93-6.80(m, 6H), 6.18(s, 1H), 5.63-5.58(m, 1H), 4.94(dd, J = 5.95, 5.59 Hz, 1H), 4.83(d, J = 14.5 Hz, 1H), 4.75-4.69(m, 1H), 3.81(s, 3H), 3.79(s, 3H), 2.70-2.66(m, 2H), 2.17(s, 1H)
실시예 6. 1-(4-메톡시페닐)-4-[2-(4-메톡시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32
질소 분위기 하에서 골드트리클로라이드(9.1 mg, 0.03 mmol)를 CH2Cl2(0.5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비스-(4-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70 mg, 0.2 mmol)를 CH2Cl2(1 mL) 용매에 녹여 실온에서 10분 교반시킨 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물의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인 1-(4-메톡시페닐)-4-[2-(4-메톡시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 부틴-1-올(42 mg, 60 %)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 TMS) δ 7.24-7.15(m, 4H), 6.90(d, J =8.67 Hz, 2H), 6.83(d, J =8.67 Hz, 2H), 6.25(s, 1H), 5.61-5.57(m, 1H), 4.91(dd, J = 5.73, 4.93 Hz, 1H), 4.80(d, J = 17.6 Hz, 1H), 4.73-4.68(m, 1H), 3.81(s, 3H), 3.79(s, 3H), 2.66(d, J = 5.99 Hz, 2H), 2.18(s, 1H)
실시예 7. 1-(4-아세틸페닐)-4-[2-(4-아세틸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33
질소 분위기 하에서 골드트리클로라이드(9.1 mg, 0.03 mmol)를 CH2Cl2(0.5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비스-(4-아세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75 mg, 0.2 mmol)를 CH2Cl2(1 mL) 용매에 녹여 실온에서 10분 교반시킨 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물의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인 1-(4-아세틸페닐)-4-[2-(4-아세틸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51 mg, 68 %)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 TMS) δ 7.93(d, J = 8.22 Hz, 2H), 7.88(d, J = 8.29 Hz, 2H), 7.40(d, J = 8.22 Hz, 2H), 7.34(d, J = 8.29 Hz, 2H), 6.20(s, 1H), 5.67-5.62(m, 1H), 4.96(dd, J = 5.73, 5.87 Hz, 1H), 4.87-4.80(m, 2H), 2.78-2.69(m, 2H), 2.60(s, 3H), 2.59(s, 3H), 2.48-2.43(m, 1H)
실시예 8. 1-(2-퓨릴)-4-[2-(2-퓨릴)-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의 제조
Figure 112007089103978-pat00034
질소 분위기 하에서 골드트리클로라이드(9.1 mg, 0.03 mmol)를 CH2Cl2(0.5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퓨란-2-일-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54 mg, 0.2 mmol)를 CH2Cl2(1 mL) 용매에 녹여 실온에서 10분 교반시킨 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물의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인 1-(2-퓨릴)-4-[2-(2-퓨릴)-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38 mg, 70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25 ℃, TMS) δ 7.42 (s, 1H), 7.36 (s, 1H), 6.36-6.30 (m, 3H), 6.26 (d, J = 1.79 Hz, 1H), 6.22 (d, J = 3.13 Hz, 1H), 5.68-5.65 (m, 1H), 4.85 (dd, J = 5.69, 5.69 Hz, 1H), 4.78 (dd, J = 6.12, 6.12 Hz, 1H), 4.77-4.73(m, 1H), 2.85 (d, J = 6.12 Hz, 2H), 2.23 (s, 1H)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는 신규 화합물이며, 금(Au) 촉매 조건에서 알렌인-1,6-다이올 화합물의 분자내 고리화 반응으로 인한 산소-탄소 결합방법을 통해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는 천연물의 기본골격을 이루며 의약 또는 향수 등의 합성에 있어 중간체로서 유용하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 :
    [화학식 1]
    Figure 112009064552814-pat00035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5-C8 사이클로알킬기; 할로겐, C1-C6 알킬, C1-C6 알콕시, 및 C2-C6 알킬카보닐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퓨란기를 나타내며; 다만 A와 B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화합물은 제외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B가 각각 수소원자; C1-C4 알킬기; C5-C7 사이클로알킬기; 페닐기; 할로겐, C1-C4 알킬, C1-C4 알콕시, 및 C2-C4 알킬카보닐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가 치환된 페닐기; 또는 퓨란기이며; 다만 A와 B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화합물은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B가 각각 수소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헥실기; 사이클로헥실기; 페닐기; 클로로, 요오도, 브로모,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및 아세틸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가 치환된 페닐기; 또는 퓨란기이며; 다만 A와 B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화합물은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1-(2-프로필-2,5-다이하이드로퓨란-3-일)-1-헵틴-4-올,
    1-시클로헥실-4-(2-시클로헥실-2,5-다이히드로퓨란-3-)-3-부틴-1-올,
    1-페닐-4-(2-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
    1-(4-클로로페닐)-4-[2-(4-클로로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
    1-(3-메톡시페닐)-4-[2-(3-메톡시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
    1-(4-메톡시페닐)-4-[2-(4-메톡시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 올, 및
    1-(4-아세틸페닐)-4-[2-(4-아세틸페닐)-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 및
    1-(2-퓨릴)-4-[2-(2-퓨릴)-2,5-다이히드로퓨란-3-일]-3-부틴-1-올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렌인-1,6-다이올 유도체를 (PPh3)AuCl, AuBr, AuCl, AuBr3, AuCl3로 이루어진 Au+ 또는 Au3+ 함유 화합물으로부터 선택되는 금(Au) 촉매 조건에서 분자내 고리화 반응을 수행하여 제조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의 제조방법 :
    [화학식 2]
    Figure 112009064552814-pat00036
    [화학식 1]
    Figure 112009064552814-pat00037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A 및 B는 각각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5-C8 사이클로알킬기; 할로겐, 니트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2-C6 알킬카보닐, C2-C6 알콕시카보닐 및 C2-C6 알카노에이트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페닐-C1-C6 알킬렌기; 또는 산소원자를 포함한 5 내지 8각형 헤테로싸이클기를 나타낸다.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Au) 촉매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렌인-1,6-다이올 유도체에 대하여 0.01 내지 0.5 당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70128538A 2007-12-11 2007-12-11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와 금 촉매를 이용한 이의제조방법 KR100941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538A KR100941173B1 (ko) 2007-12-11 2007-12-11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와 금 촉매를 이용한 이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538A KR100941173B1 (ko) 2007-12-11 2007-12-11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와 금 촉매를 이용한 이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510A KR20090061510A (ko) 2009-06-16
KR100941173B1 true KR100941173B1 (ko) 2010-02-10

Family

ID=4099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538A KR100941173B1 (ko) 2007-12-11 2007-12-11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와 금 촉매를 이용한 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091B1 (ko) 2010-04-08 2011-04-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984, 49권, 3762면
Tetrahedron, 1987, 43권, 3309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091B1 (ko) 2010-04-08 2011-04-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510A (ko)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0025B2 (en) Process for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prostacyclin derivatives
WO1996030360A1 (fr) Technique de production de derives de 1,4-benzodioxane
CA2531167C (en) Asymmetric urea compound and process for producing asymmetric compound by asymmetric conjugate addition reaction with the same as catalyst
KR100941173B1 (ko)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와 금 촉매를 이용한 이의제조방법
EP2687521B1 (en) "Process for the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landiolol"
KR100941174B1 (ko) 퓨란 유도체와 은 촉매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JP2016535084A (ja) Thf−ジオールからの二酸、ジアルデヒド、またはジアミンの合成
CN101560191A (zh) α-萘甲基取代的螺环双噁唑啉配体、合成方法及其在合成吡唑烷衍生物中的应用
JP5192856B2 (ja) オセルタミビル及びその類縁化合物の製造方法
KR100841407B1 (ko)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JPWO2005085204A1 (ja) 含窒素5員環化合物の製造方法
AU766368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ylated 1,3-dicarbonyl compounds
KR100906478B1 (ko) 호모알렌일 알코올 유도체와 인듐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JP2007291010A (ja) 光学活性2−メチルエピハロヒドリン等の製造法
RU213928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ромат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содержащих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ую систему
KR101140134B1 (ko) 신규한 3-아릴부텐올라이드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Roman Selected Michael additions to thiophene-containing analogues of chalcone
KR100941736B1 (ko) 다이하이드로 퓨란 유도체와 금 촉매를 이용한 이의 합성
JP2012184229A (ja) ランジオロールのエナンチオ選択的合成のためのプロセス
RU280604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1-метил-N-арил-3-оксо-8-фенил-2-окса-6-тиабицикло[2.2.2]октан-5-карбоксамидов
KR20010092864A (ko) 광학활성을 갖는 시아노부탄트리올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07534B1 (ko) 3,4-디히드로피라논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합성된 3,4-디히드로피라논 유도체
RU2628339C2 (ru) Пиридин-n-оксиды 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KR101957304B1 (ko) 보란촉매 하에 퓨란 유도체로부터 실란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356454B1 (ko) 불포화 알데히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