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407B1 -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407B1
KR100841407B1 KR1020070058871A KR20070058871A KR100841407B1 KR 100841407 B1 KR100841407 B1 KR 100841407B1 KR 1020070058871 A KR1020070058871 A KR 1020070058871A KR 20070058871 A KR20070058871 A KR 20070058871A KR 100841407 B1 KR100841407 B1 KR 100841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l
group
vinylidene
hexine
b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호
김선대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58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3/0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3/04Acyclic alcohols with carbon-to-carbon triple bonds
    • C07C33/042Acyclic alcohols with carbon-to-carbon triple bonds with only one trip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74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07C29/76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by phys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74Separation; Purific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07C29/94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듐(In)과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6-dibromo-2,4-hexadiyne)의 반응을 통해 유기인듐 시약을 제조한 후에, 상기 유기인듐 시약을 알데하이드(aldehyde) 또는 케톤(ketone)의 카보닐 화합물과 첨가 반응하여 제조된 신규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와 이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4347220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 와 B는 각각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인듐, 유기인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 알데하이드, 케톤,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 첨가반응

Description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Allenyn-1,6-diol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본 발명은 신규 구조의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친핵체를 이용한 카보닐 화합물에 대한 첨가반응은 유기화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반응 중에 하나이며, 많은 유기합성 화학자들에 의해 수 많은 합성법이 소개되었다. 상기 첨가반응에는 통상적으로 마그네슘(Mg), 주석(Sn), 아연(Zn) 등의 유기금속 화합물이 이용되고 있다.
인듐(In) 금속의 경우 다른 유기 금속에 비해 물과 공기 중에 안정하며, 독성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인듐(In)을 이용한 카보닐 화합물의 알릴 첨가반응이 약 20년 전에 처음으로 소개되었고, 인듐(In)을 이용한 다양한 알릴 할라이드 유도체, 프로파질 할라이드 유도체 또는 알릴 아세테이트 유도체 등을 이용한 카보닐 화합물의 첨가반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수많은 합성 방법들이 소개되어 있다 [J. Org. Chem. 1988, 53, 1831; Tetrahedron Lett. 1991, 32, 7017; Chem. Commun. 1992, 747; Tetrahedron Lett. 1995, 36, 6863; Tetrahedron Lett. 1995, 36, 8957; Tetrahedron Asymmetry. 1996, 7, 1535; Tetrahedron Lett. 1999, 40, 1725; Tetrahedron Lett. 1999, 40, 4129; J. Org. Chem. 1999, 64, 696; Chem. Commun. 2000, 645; Chem. Commun. 2000, 933; Org. Lett. 2000, 2, 847; Org. Lett. 2000, 2, 3469; J. Am. Chem. Soc. 2003, 125, 2412].
그러나, 현재까지 보고된 어떠한 문헌에도 유기인듐 시약과 카보닐 화합물의 첨가반응에 의해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를 합성한 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규 구조의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인듐 시약을 알데하이드(aldehyde) 또는 케톤(ketone) 화합물과의 첨가 반응에 의해 신규 구조의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3472203-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5-C8 사이클로알킬기; 할로겐, 니트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2-C6 알킬카보닐, C2-C6 알콕시카보닐 및 C2-C6 알카노에이트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페닐-C1-C6 알킬기; 페닐-C2-C6알케닐기; 또는 산소원자를 포함한 5 내지 8각형 헤테로싸이클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는 분자내 고리화 반응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고리화합물 합성용 중간체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에 있어서의 치환기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쇄상의 탄소사슬을 일컫는다. 구체적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2차-부틸, t-부틸, 펜틸, 네오-펜틸, 헥실, 이소헥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사이클로알킬'은 5 내지 8 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부분 포화된 모노- 또는 폴리-카보사이클릭 고리를 포함하는 그룹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펜테닐,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헥세닐, 사이클로헵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헤테로싸이클'은 헤테로원자로서 산소를 포함하여 5 내지 8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를 일컫는다. 구체적으로는 퓨란, 피란, 이소벤조퓨란, 크로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에 있어 바람직한 화합물은, A 및 B가 각각 수소원자; C1-C4 알킬기; C5-C7 사이클로알킬기; 할로겐, 니트로, C1-C4 알킬, C1-C4 알콕시, C2-C4 알킬카보닐, C2-C4 알콕시카보닐 및 C2-C4 알카노에이트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페닐-C1-C4 알킬기; 페닐-C2-C6알케닐기; 또는 퓨란기이며; 다만 A와 B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화합물은 제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에 있어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A 및 B가 각각 수소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헥실기; 사이클로헥실기; 페닐기; 클로로, 요오도, 브로모, 니트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및 아세톡시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가 치환된 페닐기; 벤질기; 펜에틸기; 펜에테닐기; 신나밀기; 또는 퓨란기이며; 다만 A와 B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화합물은 제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3-비닐리덴-4-옥틴-2,7-다이올,
5-비닐리덴-6-도데신-4,9-다이올,
1,6-다이사이클로헥실-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다이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10-다이페닐-2-비닐리덴-1,9-데카다이엔-5-인-3,8-다이올,
1,6-비스-(4-클로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2-요오도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2-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3-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4-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4-메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2,6-비스-(2,4,6-트리메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4-니트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3-하이드록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4-아세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4-메톡시카보닐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4-아세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다이퓨란-2-일-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3,8-다이메틸-1,10-다이페닐-4-비닐리덴-5-데신-3,8-다이올,
1,6-다이시클로헥실-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2,7-다이페닐-3-비닐리덴-4-옥틴-2,7-다이올.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다음에 나타낸 바와 같은 2단계 제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과정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과 인듐(In)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인듐 시약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Figure 112007043472203-pat00003
Figure 112007043472203-pat00004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Cl, Br, I를 포함하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n은 0, 1, 또는 2이다.
제 2과정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인듐 시약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카보닐 화합물을 첨가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를 제조하는 과정이다.
Figure 112007043472203-pat00005
상기 화학식 4에서, A와 B는 각각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과 인듐(In)을 반응시켜 제조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인듐 시약을 별도의 분리 정제과정 없이 인 시츄(in situ)로 첨가반응을 수행하는 것도 권리범위로서 포함한다.
'인 시츄(in situ)'라 함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을 인듐(In)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인듐 시약을 별도로 분리 정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카보닐 화합물을 첨가하고 반응을 수행하는 제조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인듐 시약을 제조하는 제 1 과정에서 사용되는 인듐(In)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에 대하여 2 내지 3 당량, 바람직하기로는 2.1 내지 2.5 당량 범위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 2과정의 반응시간을 단축하고 수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할라이드 금속염을 첨가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할라이드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의 할라이드 화합물을 일컫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요오도화 리튬(LiI), 요오도화 나트륨(NaI), 요오도화 칼륨(KI), 염화 리튬(LiCl), 염화 나트륨(NaCl), 염화 칼륨(KC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할라이드 금속염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에 대하여 2 내지 3 당량, 바람직하기로는 2.1 내지 2.5 당량 범위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한 할라이드 금속염의 첨가효과는, 다음 반응에서 사용되는 카보닐 화합물이 알데하이드 화합물인 경우에 보다 뚜렷하게 나타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반응 용매는 통상의 유기용매이며 다이메틸포름아미드(DMF),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를 사용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반응 온도는 15℃ 내지 30℃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온에서도 반응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반응물질, 용매의 종류 및 용매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TLC 등을 통하여 출발물질이 모두 소모되었음을 확인 후 반응을 완결시키도록 한다. 반응이 완결되면, 추출과정을 통해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시킨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목적물을 분리 정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3-비닐리덴-4-옥틴-2,7-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06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아세틸 알데하이드(44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3-비닐리덴-4-옥틴-2,7-다이올(70 mg, 84%)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5.08(s, 2H), 4.33(q, J = 6.25 Hz, 1H), 4.03-3.96(m, 1H), 2.71(s, 2H), 2.59-2.45(m, 1H), 1.36(d, J = 6.25 Hz, 3H), 1.28(d, J = 6.10 Hz, 3H)
실시예 2. 5-비닐리덴-6-도데신-4,9-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07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부티릴 알데하이드(106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5-비닐리덴-6-도데신-4,9-다이올(95 mg, 85%)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5.07(s, 2H), 4.13(t, J = 6.42 Hz, 1H), 3.82-3.76(m, 1H), 2.59(dd, J = 4.60, 4.60 Hz, 1H), 2.47(dd, 6.81, 6.81 Hz, 1H), 1.93(s, 2H), 1.72-1.63(m, 4H), 1.60-1.25(m, 4H)
실시예 3. 1,6-다이사이클로헥실-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08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사이클로헥실카바알데하이드(112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다이사이클로헥실-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95 mg, 63%)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 TMS) δ 5.03(s, 2H), 3.82(d, J = 7.17 Hz, 1H), 3.53-3.49(m, 1H), 2.60(dd, J = 4.27, 4.27 Hz, 1H), 2.51(dd, J = 6.78, 7.39 Hz, 1H) 2.08(s, 2H), 1.93(t, J = 14.2 Hz, 2H), 1.78-1.65(m, 8H), 1.64-1.45(m, 2H), 1.28-1.12(m, 6H), 1.08-0.98(m, 4H)
실시예 4. 1,6-다이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09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벤즈알데하이드(106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다이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25 mg, 63%)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36-7.25(m,10H), 5.21(d, J = 2.06 Hz, 1H), 5.10(s, 2H), 4.75(t, J = 6.3 Hz, 1H), 2.69(d, J = 6.3 Hz, 2H), 2.27(s, 2H)
실시예 5. 1,10-다이페닐-2-비닐리덴-1,9-데카다이엔-5-인-3,8-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10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트랜스-신남알데하이드(132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 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10-다이페닐-2-비닐리덴-1,9-데카다이엔-5-인-3,8-다이올(153 mg, 70%)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40-7.34(m, 4H), 7.32-7.28(m, 4H), 7.25-7.22(m, 2H), 6.65(dd, J = 11.4, 11.4 Hz, 2H), 6.28(ddd, J = 15.9, 11.6, 6.2 Hz, 2H), 5.15(s, 2H), 4.81(d, J = 6.2 Hz, 1H), 2.78-2.65(m, 2H), 2.20(s, 2H)
실시예 6. 1,6-비스-(4-클로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11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4-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140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 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6-비스-(4-클로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54 mg, 86%)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29-7.26(m, 6H), 7.21-7.18(m, 2H), 5.16(s, 1H), 5.09(s, 2H), 4.76-4.72(m, 1H), 2.82(s, 2H), 2.72(d, J = 5.55 Hz, 2H)
실시예 7. 1,6-비스-(2-요오도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12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63 mg, 0.55 mmol), 염화리튬(74 mg, 0.55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65 mg. 0.275 mmol)을 THF(1.0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2-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16 mg, 1.0 mmol)를 THF(0.5 mL)에 녹인 후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4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2-요오도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04 mg, 77%)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69-7.63(m, 4H), 7.10(d, J = 8.05 Hz, 2H), 7.05-7.01(m, 2H), 5.14(s, 1H), 5.12(s, 2H), 4.73-4.71(m, 1H), 2.67(d, J = 6.75 Hz, 2H), 2.35(s, 2H)
실시예 8. 1,6-비스-(2-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13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2-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68 mg, 0.5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8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2-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71 mg, 82%)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33-7.29(m, 2H), 7.27-7.22(m, 2H), 6.97-6.92(m, 2H), 6.90-6.84(m, 2H), 5.41(s, 1H), 5.03-4.97(m, 3H), 3.83(s, 3H), 3.81(s, 3H), 3.22(s, 1H), 2.86-2.81(m, 2H), 2.66(dd, J = 7.56, 7.61 Hz, 1H)
실시예 9. 1,6-비스-(3-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14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136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6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3-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42 mg, 81%)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28-7.21(m, 4H), 6.98-6.95(m, 2H), 6.95-6.80(m, 2H), 5.19(s, 1H), 5.11(s, 2H), 4.76-4.73(m, 1H), 3.80(s, 3H), 3.79(s, 3H), 2.69(d, J = 6.69 Hz, 2H), 2.48(s, 2H)
실시예 10. 1,6-비스-(4-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15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4-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136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3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4-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36 mg, 78%)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30(d, J = 8.59 Hz, 1H), 7.29(d, J = 8.59 Hz, 1H), 7.23(d, J = 8.7 Hz, 1H), 7.22(d, J = 8.7 Hz, 1H), 6.89-6.83(m, 4H), 5.16(s, 1H), 5.11(s, 2H), 4.74(t, J = 6.32 Hz, 1H), 3.80(s, 3H), 3.79(s, 3H), 2.70(d, J = 6.32 Hz, 2H), 2.28(s, 2H)
실시예 11. 1,6-비스-(4-메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16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4-메틸벤즈알데하이드(60 mg, 0.5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4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4-메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69 mg, 81%)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25-7.23(m, 2H), 7.17-7.08(m, 6H), 5.15(s, 1H), 5.06(s, 2H), 4.71(t, J = 6.28 Hz, 1H), 3.03(s, 2H), 2.66(d, J = 6.28 Hz, 2H), 2.33(s, 3H), 2.32(s, 3H)
실시예 12. 2,6-비스-(2,4,6-트리메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17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2,4,6-트리메틸벤즈알데하이드(74 mg, 0.5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34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2,4,6-트리메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77 mg, 82%)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6.80(d, J = 8.14 Hz, 4H), 5.72(q, J = 4.23 Hz, 1H), 5.13-5.09(m, 1H), 5.07(d, J = 4.46 Hz, 2H), 2.89(dd, J = 9.7, 9.7 Hz, 1H), 2.59-2.50(m, 1H), 2.37(s, 3H), 2.36(s, 3H), 2.34(s, 6H), 2.23(s, 4H), 2.22(s, 4H)
실시예 13. 1,6-비스-(4-니트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18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4-니트로벤즈알데하이드(151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5 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4-니트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80 mg, 95%)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8.22-8.11(m, 4H), 7.59-7.49(m, 4H), 5.34(s, 1H), 5.16(s, 2H), 4.94-4.92(m, 1H), 2.96(s, 1H), 2.88(s, 1H), 2.71-2.69(m, 2H)
실시예 14. 1,6-비스-(3-하이드록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19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3-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122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8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3-하이드록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28 mg, 80%)을 얻었다.
1H NMR(400 MHz, DMSO-d6, 25℃) δ 9.24(s, 2H), 7.11-7.03(m, 2H), 6.79-6.69(m, 4H), 6.67-6.61(m, 2H), 5.70-5.67(m, 1H), 5.37(d, J = 4.35 Hz, 1H), 5.12(s, 2H), 4.91(s, 1H), 4.55-4.49(m, 1H), 2.60-2.49(m, 2H)
실시예 15. 1,6-비스-(4-아세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20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4-아세틸벤즈알데하이드(148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8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1,6-비스-(4-아세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54 mg, 82%)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95-7.89(m, 4H), 7.37(d, J = 8.23 Hz, 2H), 7.40(d, J = 8.23 Hz, 1H), 7.39(d, J = 8.23 Hz, 1H), 5.28(s, 1H), 5.15(s, 2H), 4.86(dd, J = 5.73, 4.68 Hz, 1H), 2.74(dd, J = 5.73, 4.68 Hz, 1H), 2.61(s, 1H), 2.51(s, 1H)
실시예 16. 1,6-비스-(4-메톡시카보닐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21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메틸 4-포밀벤조에이트(164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7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1,6-비스-(4-메톡시카보닐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90 mg, 82%)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8.00-7.94(m, 4H), 7.43(d, J = 8.23 Hz, 1H), 7.42(d, J = 8.32 Hz, 1H), 7.35(d, J = 8.27 Hz, 1H), 7.34(d, J = 8.27 Hz, 1H), 5.25(s, 1H), 5.09(s, 2H), 4.82(dd, J = 5.06, 5.73 Hz, 1H), 3.90(s, 6H), 2.99(s, 2H), 2.71-2.69(m, 2H)
실시예 17. 1,6-비스-(4-아세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22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4-아세톡시벤즈알데하이드(164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0 ℃ 에서 24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1,6-비스-(4-아세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40 mg, 69%)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40(d, J = 8.51 Hz, 2H), 7.32-7.29(m, 2H), 7.08-7.01(m, 4H), 5.21(s, 1H), 5.11(s, 2H), 4.74(dd, J = 5.42, 6.16 Hz, 1H), 2.68(d, J = 6.16 Hz, 2H), 2.29(s, 6H)
실시예 18. 1,6-다이퓨란-2-일-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23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26 mg, 1.1 mmol), 염화리튬(147 mg, 1.1 mmol)을 THF(2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30 mg. 0.55 mmol)을 THF(3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2-퓨릴알데하이드(96 mg, 1.0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2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1,6-다이퓨란-2-일-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123 mg, 91%)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38(d, J = 10.1 Hz, 2H), 6.35-6.32(m, 3H), 6.28(t, J = 3.90 Hz, 1H), 5.20-5.18(m, 3H), 4.84(t, J = 6.10 Hz, 1H), 2.88(d, J = 6.10 Hz, 2H), 2.43(s, 2H)
실시예 19. 3,8-다이메틸-1,10-다이페닐-4-비닐리덴-5-데신-3,8-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24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89 mg, 1.65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95 mg. 0.82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4-페닐-2-부탄온(75 mg, 0.5 mmol)를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7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3,8-다이메틸-1,10-다이페닐-4-비닐리덴-5-데신-3,8-다이올(61 mg, 65%)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28-7.24(m, 4H), 7.18(d, J = 7.06 Hz, 6H), 5.17(s, 2H), 2.74-2.67(m, 4H), 2.60(s, 2H), 2.03-1.97(m, 2H), 1.90(ddd, J = 6.16, 7.2, 6.53 Hz, 2H), 1.44(s, 3H), 1.35(s, 3H)
실시예 20. 1,6-다이시클로헥실-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25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89 mg, 1.65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95 mg. 0.82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시클로헥산온(49 mg, 0.5 mmol)를 반응용매에 첨 가하여 실온에서 7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1,6-다이시클로헥실-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50 mg, 73%)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5.09(s, 2H), 2.52(s, 2H), 1.74-1.60(m, 12H), 1.59-1.48(m, 4H), 1.28-1.26(m, 2H)
실시예 21. 2,7-다이페닐-3-비닐리덴-4-옥틴-2,7-다이올의 제조
Figure 112007043472203-pat00026
질소분위기 하에서 인듐(189 mg, 1.65 mmol)을 THF(1 mL) 용매에 녹인 후 여기에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195 mg. 0.825 mmol)을 THF(1.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시킨 후 아세토페논(60 mg, 0.5 mmol)을 반응용매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20 시간 교반시킨 후 10% 염산 수용액(3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 시켰다. 이 혼합물은 Et2O(20 mL×3)로 추출하고 물(20 mL)과 포화 NaCl 수용액(20 mL)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2,7-다이페닐-3-비닐리덴 -4-옥틴-2,7-다이올(108 mg, 68%)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25℃, TMS) δ 7.40-7.26(m, 10H), 5.17(s, 1H), 2.87-2.64(m, 2H), 1.90(s, 2H), 1.54(d, J = 10.4 Hz, 3H), 1.41(d, J = 12.5 Hz, 3H)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는 현재까지 어느 문헌에도 보고된 바 없는 신규 화합물이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과 인듐(In)의 반응으로부터 얻어지는 유기 인듐시약을 별도의 정제과정 없이 인-시츄(in-situ) 반응으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카보닐 화합물과 반응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 화합물을 좋은 수득률로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화합물은 전이금속 촉매를 이용한 분자내 고리화 반응의 원료물질로서도 유용하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112008016314322-pat00027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5-C8 사이클로알킬기; 할로겐, 니트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2-C6 알킬카보닐, C2-C6 알콕시카보닐 및 C2-C6 알카노에이트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페닐-C1-C6 알킬기; 페닐-C2-C6알케닐기; 또는 산소원자를 포함한 5 내지 8각형 헤테로싸이클기를 나타내고; 다만 A와 B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화합물은 제외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B가 각각 수소원자; C1-C4 알킬기; C5-C7 사이클로알킬기; 할로겐, 니트로, C1-C4 알킬, C1-C4 알콕시, C2-C4 알킬카보닐, C2-C4 알콕시카보닐 및 C2-C4 알카노에이트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페닐-C1-C4 알킬기; 페닐-C2-C6알케닐기; 또는 퓨란기를 나타내고; 다만 A와 B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화합물은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B가 각각 수소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헥실기; 사이클로헥실기; 페닐기; 클로로, 요오도, 브로모, 니트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및 아세톡시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가 치환된 페닐기; 벤질기; 펜에틸기; 펜에테닐기; 신나밀기; 또는 퓨란기를 나타내고; 다만 A와 B가 동시에 수소원자인 화합물은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3-비닐리덴-4-옥틴-2,7-다이올,
    5-비닐리덴-6-도데신-4,9-다이올,
    1,6-다이사이클로헥실-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다이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10-다이페닐-2-비닐리덴-1,9-데카다이엔-5-인-3,8-다이올,
    1,6-비스-(4-클로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2-요오도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2-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3-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4-메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4-메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2,6-비스-(2,4,6-트리메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4-니트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3-하이드록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4-아세틸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4-메톡시카보닐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비스-(4-아세톡시페닐)-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1,6-다이퓨란-2-일-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3,8-다이메틸-1,10-다이페닐-4-비닐리덴-5-데신-3,8-다이올,
    1,6-다이시클로헥실-2-비닐리덴-3-헥신-1,6-다이올, 및
    2,7-다이페닐-3-비닐리덴-4-옥틴-2,7-다이올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과 인듐(In) 반응을 반응시켜 유기인듐 시약을 제조한 후에,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카보닐 화합물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112008016314322-pat00028
    [화학식 4]
    Figure 112008016314322-pat00029
    [화학식 1]
    Figure 112008016314322-pat00030
    상기 화학식에서,
    A 및 B는 각각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5-C8 사이클로알킬기; 할로겐, 니트로, C1-C6 알킬, C1-C6 알콕시, C2-C6 알킬카보닐, C2-C6 알콕시카보닐 및 C2-C6 알카노에이트 중에서 선택된 치환체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페닐-C1-C6 알킬기; 페닐-C2-C6알케닐기; 또는 산소원자를 포함한 5 내지 8각형 헤테로싸이클기를 나타낸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유기인듐 시약의 분리 정제 없이 인 시츄(in situ)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듐(In)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6-다이브로모-2,4-헥사다이인에 대하여 2 내지 3 당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카보닐 화합물이 알데하이드인 경우는 할라이드 알칼리금속염이 첨가된 조건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할라이드 알칼리금속염은 할로겐화 리튬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70058871A 2007-06-15 2007-06-15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KR100841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871A KR100841407B1 (ko) 2007-06-15 2007-06-15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871A KR100841407B1 (ko) 2007-06-15 2007-06-15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407B1 true KR100841407B1 (ko) 2008-06-25

Family

ID=3977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871A KR100841407B1 (ko) 2007-06-15 2007-06-15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761B1 (ko) 2008-12-30 2011-10-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퓨란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724A (ko) * 2001-07-23 2003-02-05 (주)바이오니아 유기 인듐 화합물을 사용한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들간의결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724A (ko) * 2001-07-23 2003-02-05 (주)바이오니아 유기 인듐 화합물을 사용한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들간의결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761B1 (ko) 2008-12-30 2011-10-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퓨란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16914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2,6-диэтил-4-метилфенилуксусной кислоты
EP2687521B1 (en) "Process for the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landiolol"
KR100841407B1 (ko) 알리나인-1,6-다이올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KR101902373B1 (ko) 치환된 페닐프로판온의 제조 방법
JP4360096B2 (ja) 光学活性四級アンモニウム塩、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相間移動触媒として用いた光学活性α−アミノ酸誘導体の製造方法
JP5192856B2 (ja) オセルタミビル及びその類縁化合物の製造方法
KR100906478B1 (ko) 호모알렌일 알코올 유도체와 인듐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JP2003335735A (ja) パーフルオロイソプロピルアニリン類の製造方法
KR100941174B1 (ko) 퓨란 유도체와 은 촉매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JP2018135293A (ja) アミド化合物の製造方法
CN108727323B (zh) 一种氮杂环卡宾催化合成三氟甲基取代高异黄酮类化合物的方法
KR100941173B1 (ko) 다이하이드로퓨란 유도체와 금 촉매를 이용한 이의제조방법
JP5448572B2 (ja) アセチル化合物、該アセチル化合物の製造方法、および該アセチル化合物を使用したナフト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
JP4427266B2 (ja) β−アラニ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280284A1 (en) Optically active 2,2'-biphenol derivative and production method of same
KR20120100823A (ko) 란디올롤의 거울상선택적 합성 방법
CN109942480B (zh) 一种芳环并吲哚-5-醇类化合物的合成方法
JP6038800B2 (ja) 光学活性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JP5280858B2 (ja) 5,5’位で連結された1,1’−ビフェニル類軸性キラリティー配位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860510B2 (ja) β位に不斉点を有するカルボン酸の製造及び求核剤
JP4667589B2 (ja) 2,4−ジヒドロキシピリジンの製造方法
KR102157528B1 (ko) 2-아미노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 방법
JP5072030B2 (ja) 環状α−ヒドロキシ−α,β−不飽和ケトン化合物及びシクロペンテノン化合物の製造方法
JP4082883B2 (ja) アジリジン誘導体の製造方法
KR100927242B1 (ko) 알릴알렌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