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420B1 -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420B1
KR100940420B1 KR1020077011398A KR20077011398A KR100940420B1 KR 100940420 B1 KR100940420 B1 KR 100940420B1 KR 1020077011398 A KR1020077011398 A KR 1020077011398A KR 20077011398 A KR20077011398 A KR 20077011398A KR 100940420 B1 KR100940420 B1 KR 100940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r
elevator
land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4379A (ko
Inventor
다카하루 우에다
히로시 기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도어는 승강장 도어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는, 승강장 도어에 대해 나란히 설치되는 도어 병설 위치와, 승강장 도어에 대해 도어 병설 위치보다 소정의 거리만큼 문열림측에 위치하는 도어 이탈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갖고 있다. 승강장 도어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도어 이탈 위치에 있을 때에 서로 걸어맞춤하면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승강장 도어와의 사이에는 작동편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편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닫힘측 단부로부터 문닫힘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 위치와, 돌출 위치보다 문열림측에 위치하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승강장 도어와의 사이에 수용되는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는, 승강장 도어가 출입구를 전부 닫고 있을 때에, 도어 병설 위치와 도어 이탈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변위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도어 병설 위치에 있을 때에 작동편을 돌출 위치에 변위시키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도어 이탈 위치에 있을 때에 작동편을 후퇴 위치에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작동편, 후퇴 위치, 도어 병설 위치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DOOR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내와 승강장을 연통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한 쌍의 도어 사이에 이물(異物)이 끼인 것을 검출하기 위해, 도어에 대해 변위 가능한 작동편(動作片)이 도어의 문닫힘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작동편은, 도어의 문닫힘측 단부로부터 돌출한 채로 도어와 함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작동편이 이물에 접촉하여 도어에 대해 변위되면, 도어의 이동 방향이 문닫힘 방향으로부터 문열림 방향으로 반전된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특개평5-30169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도어가 이동될 때에 작동편이 도어로부터 돌출된 채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대차(臺車) 등이 작동편에 닿기 쉬워 작동편이 손상되기 쉽다. 이로 인하여, 작동편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편의 강성이나 중량이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물이 예를 들면 끈 등과 같은 구부러지기 쉽고 경량(輕量)의 것인 경우에는, 이물이 작동편에 접촉하더라도 작동편이 도어에 대해 변위하기 어려워, 이물을 검출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이물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는, 승강장 도어와, 승강장 도어에 대해 나란히 설치되는 도어 병설 위치와 승강장 도어에 대해 도어 병설 위치보다 소정의 거리만큼 문열림측에 위치하는 도어 이탈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갖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도어 이탈 위치에 있을 때에, 승강장 도어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서로 걸어맞춤하면서 이동되고,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승강장 도어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닫힘측 단부로부터 문닫힘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 위치와, 돌출 위치보다 문열림측에 위치하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승강장 도어와의 사이에 수용되는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작동편,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승강장 도어에 대한 변위에 따라 작동편을 변위시키는 변위 장치를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칸 도어는 승강장 도어가 출입구를 완전히 닫고 있을 때에, 도어 병설 위치와 도어 이탈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며, 변위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도어 병설 위치에 있을 때에 작동편을 돌출 위치로 변위시키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도어 이탈 위치에 있을 때에 작동편을 후퇴 위치에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출입구가 완전히 닫혀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출입구 상태가 완전열림 상태로부터 완전닫힘 상태로 될 때까지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도 5의 감속 구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가 크게 저하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5의 감속 구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가 완만하게 저하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c는 도 5의 감속 구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가 0으로 되어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작동편측 링크 부재가 캠판측 링크 부재에 대해 회동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출입구가 완전히 닫혀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출입구가 완전히 닫혀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1의 출입구(1)가 완전히 닫혀져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은 출입구(1)가 반쯤 열린 상태일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출입 구(1)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칸측 행거 케이스(2)와, 승강장측의 벽면에 고정된 승강장측 행거 케이스(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행거 케이스(2)에는, 수평 방향(출입구(1)의 정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칸측 도어 레일(3)이 설치되고, 승강장측 행거 케이스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장측 도어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도어 레일(3)에는, 출입구(1)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매달아져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측 도어 레일(3)상에 얹어진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행거 롤러(5)가 설치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는,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된 도어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의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측 도어 레일(3)을 따라서 이동된다. 각 행거 롤러(5)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이동에 수반하여 엘리베이터 칸측 도어 레일(3)상을 전동된다.
승강장측 도어 레일에는, 출입구(1)를 개폐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7)가 매달아져 있다. 각 승강장 도어(7)는 승강장측 도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승강장 도어(7)는 추 혹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출입구(1)를 닫는 방향(문닫힘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출입구(1)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칸 문턱(6)과, 승강장측의 벽면에 고정된 승강장 문턱(8)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문턱(6)에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하부가 삽입되는 안내 홈(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장 문턱(8)에는, 각 승강장 도어(7)의 하부가 삽입되 는 안내 홈(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4) 및 승강장 도어(7)는,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도 2 및 도 4). 엘리베이터 칸 도어(4)와 승강장 도어(7)와의 사이에는, 출입구(1)의 정면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4)와 승강장 도어(7)를 서로 걸어맞춤하기 위한 걸어맞춤 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 장치(11)는 승강장 도어(7)에 설치된 걸어맞춤 롤러(10)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고정되고 걸어맞춤 롤러(10)에 걸어맞춤 가능한 베인(vane)(9)을 갖고 있다. 베인(9)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 부재이다. 또, 걸어맞춤 롤러(10)는,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롤러이다. 또한, 걸어맞춤 롤러(10)는 베인(9)의 문열림측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4)는,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길이 방향에 대해, 승강장 도어(7)에 대해 나란히 설치되는 도어 병설 위치(도 3)와, 승강장 도어(7)에 대해 도어 병설 위치보다 소정의 거리 A만큼 문열림측으로 이탈한 도어 이탈 위치(도 1)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인(9)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 이탈 위치에 있을 때에 걸어맞춤 롤러(10)에 걸어맞춤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문닫힘측 단부(4a)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 병설 위치에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길이 방향에 대해, 승강장 도어(7)의 문닫힘측 단부(7a)와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
출입구(1)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 및 각 승강장 도어(7)를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가 출입구(1)를 완전히 닫혀 있을 때에는, 출입구(1)의 중앙에 위치하는 완전닫힘 도어 단부위치 O에서,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문닫힘측 단부(4a)가 서로 맞닿게 되고, 각 승강장 도어(7)의 문닫힘측 단부(7a)가 서로 맞닿게 된다(도 3).
각 승강장 도어(7)가 출입구(1)를 완전히 닫고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는, 승강장 도어(7)에 대해 도어 병설 위치와 도어 이탈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3 및 도 4). 또, 승강장 도어(7)가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걸어맞춤되어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문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승강장 도어(7)는 추 등에 의한 문닫힘 방향으로의 가압에 역행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4)와 함께 문열림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승강장 도어(7)가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걸어맞춤되어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에 의해, 승강장 도어(7)는, 추 등에 의한 문닫힘 방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4)와의 걸어맞춤이 이탈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이동에 따라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4)와 승강장 도어(7)와의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대해 변위 가능한 작동편(12)과,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승강장 도어(7)에 대한 변위에 따라 작동편(12)을 변위시키는 변위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작동편(12)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량의 판 형상의 부재이다. 작동편(12)의 상부 및 하부에는, 문열림측으로 각각 돌출하는 상부 장착부(12b) 및 하부 장착부(12c)가 설치되어 있다.
작동편(12)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닫힘측 단부로부터 문닫힘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 위치(도 3 및 도 4)와, 돌출 위치보다 문열림측에 위치하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4)와 승강장 도어(7)와의 사이에 수용되는 후퇴 위치(도 1 및 도 2)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작동편(12)의 문닫힘측 단부(12a)는 작동편(12)이 돌출 위치에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문닫힘측 단부(4a) 및 승강장 도어(7)의 문닫힘측 단부(7a)의 어느 것보다도 문닫힘측에 위치하고, 작동편(12)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문닫힘측 단부(4a) 및 승강장 도어(7)의 문닫힘측 단부(7a)가 적어도 어느 것보다도 문열림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작동편(12)은 돌출 위치에 있을 때, 돌출량 C만큼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닫힘측 단부로부터 돌출된다(도 4).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높이 방향에 대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부 회동축(13) 및 하부 회동축(14)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편(12)은, 상부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부 회동 링크 (회동 부재)(15)와, 하부 회동축(1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하부 회동 링크(16)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지지되고 있다. 상부 회동 링크(15)의 일단부에는, 상부 장착부(12b)가 핀(15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 회동 링크(16)의 일단부에는, 하부 장착부(12c)가 핀(16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작동편(12)은, 상부 회동 링크(15) 및 하부 회동 링크(16)의 각각의 회동에 의해, 돌출 위치와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되게 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는, 상부 회동 링크(15)에 맞닿음으로써, 작동편(12)을 돌출 위치로 유지하 기 위한 스토퍼(20)가 설치되고 있다.
상부 회동 링크(15)의 타단부에는 캠 롤러(1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장 도어(7)에는, 캠 롤러(17)에 접촉하면서 상부 회동 링크(15)를 회동시키기 위한 캠판(18)이 설치되어 있다. 캠판(18)은 캠 롤러(17)의 문열림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변위 장치(21)는 상부 회동 링크(15), 캠 롤러(17) 및 캠판(18)을 가지고 있다.
작동편(12)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 병설 위치에 있을 때에 돌출 위치에 변위된다(도 3). 작동편(12)이 돌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캠 롤러(17)가 캠판(18)으로부터 간격 B만큼 개리되고, 상부 회동 링크(15)가 스토퍼(20)에 맞닿아 있다. 간격 B는, 베인(9)과 걸어맞춤 롤러(10)와의 사이의 간격 A보다 작아져 있다.
작동편(12)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 이탈 위치에 있을 때에 후퇴 위치에 변위된다(도 1). 작동편(12)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에는, 캠 롤러(17)가 캠판(18)에 가압된 채로 상부 회동 링크(15)의 회동이 유지되고 있다. 즉, 작동편(12)의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상부 회동 링크(15)의 회동을 캠판(18)이 받음으로써, 작동편(12)의 위치가 후퇴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 병설 위치로부터 도어 이탈 위치로 변위될 때에는, 베인(9)이 걸어맞춤 롤러(10)에 걸어맞춤될 때까지 캠 롤러(17)가 캠판(18)에 접촉한다. 이 후도,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 이탈 위치를 향하여 변위되면, 캠 롤러(17)가 캠판(18)에 가압되면서 상부 회동 링크(15)가 회동되고, 베 인(9)이 걸어맞춤 롤러(10)에 걸어맞춤된다. 이에 의해, 작동편(12)이 후퇴 위치에 변위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 이탈 위치로부터 도어 병설 위치에 변위될 때에는, 작동편(12)의 자중에 의해, 캠 롤러(17)가 캠판(18)에 접촉하면서, 상부 회동 링크(15)가 스토퍼(20)측으로 회동된다. 이 후, 상부 회동 링크(15)가 스토퍼(20)에 맞닿으면, 상부 회동 링크(15)의 회동이 정지되어, 작동편(12)이 돌출 위치에 유지된다. 이 후, 캠 롤러(17)가 캠판(18)으로부터 개리되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 병설 위치에 변위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는, 작동편(12)의 돌출 위치로의 변위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위치 검출 장치)(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19)는, 하부 회동 링크(16)에의 접촉 유무에 의해, 작동편(12)의 돌출 위치로의 변위 유무를 검출하게 되어 있다. 또, 출입구(1)에는, 출입구(1)가 완전히 닫혔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완전닫힘 검출센서(도시하지 않음 )가 설치되어 있다.
완전닫힘 검출센서 및 마이크로 스위치(19)로부터의 정보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보내지게 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완전닫힘 검출센서 및 마이크로 스위치(19)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즉,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출입구(1)를 완전히 닫고, 또한 작동편(12)이 돌출 위치에 있을 때에만,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 또,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출입구(1)를 완 전히 닫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개시되기 전에 작동편(12)의 위치가 돌출 위치로부터 이탈해 있을 때, 엘리베이터 도어를 문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출입구(1)를 완전히 닫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개시된 후에 작동편(12)의 위치가 돌출 위치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도 1의 출입구(1)의 상태가 완전열림 상태로부터 완전닫힘 상태가 될 때까지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는, 출입구(1)가 완전열림 상태로부터 완전닫힘 상태가 될 때까지의 동안에, 승속(昇速) 구간에서 상승하고, 정속(定速) 구간에서 일정해진 후, 감속 구간에서 저하한다.
승속 구간에서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는 0으로부터 완만하게 상승한 후에 크게 상승한다. 감속 구간에서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는, 정속 구간에서의 속도로부터 크게 저하한 후에 완만하게 저하하고, 출입구(1)의 완전폐쇄 상태에서 0이 된다. 또한, 감속 구간에 있어서, 속도 변화가 클 때부터 완만하게 바뀔 때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 이하의 범위를 저속 범위로 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저속 범위를 20 mm/s 이하의 범위로 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가 저속 범위에 있을 때에는, 각 승강장 도어(7)가 출입구(1)를 완전히 닫고 있으며,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승강장 도어(7)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는, 도 5의 감속 구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가 크게 저하되고 있을 때(시각 t1에서의 상태)의 엘리베이터 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6b는, 도 5의 감속 구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가 완만하게 저하되고 있을 때(시각 t2에서의 상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6c는, 도 5의 감속 구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가 0으로 되어 있을 때(시각 t3에서의 상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출입구(1)가 완전히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되면, 승강장 도어(7)도,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걸어맞춤되면서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가 감속 구간에서 크게 저하되고 있을 때에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 이탈 위치에 변위되고, 베인(9)이 걸어맞춤 롤러(10)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 때, 캠 롤러(17)가 캠판(18)에 가압된 채로, 작동편(12)이 후퇴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가 저속 범위 내로 되고, 각 승강장 도어(7)가 출입구(1)를 완전히 닫으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장 도어(7)의 문닫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되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문닫힘 방향으로의 이동만이 도어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계속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도어(4)는, 도어 이탈 위치로부터 도어 병설 위치를 향하여 승강장 도어(7)에 대해 변위된다. 이 때, 베인(9)과 걸어맞춤 롤러(10)와의 걸어맞춤이 빠진다. 또, 캠 롤러(17)가 캠판(18)에 접촉하면서 상부 회동 링크(15)가 회동되고, 작동편(12)이 후퇴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를 향하여 변위된다.
이 후도,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문닫힘 방향으로의 이동이 계속되면, 상부 회동 링크(15)가 스토퍼(20)에 맞닿고, 상부 회동 링크(15)의 회동이 멈춰진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문닫힘 방향으로의 이동이 계속되어 캠 롤러(17)가 캠판(18)으로부터 개리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 병설 위치에 도달하고, 출입구(1)가 엘리베이터 도어에 의해 완전히 닫힌다(도 6c).
출입구(1)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는, 하부 회동 링크(16)가 마이크로 스위치(19)에 접촉하여, 작동편(12)이 돌출 위치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고 있다.
이 후, 작동편(12)의 돌출 위치로의 변위와, 출입구(1)의 완전닫힘 동작의 완료가 제어장치에 의해 확인되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열림 동작시에는, 상기와 반대의 동작으로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승강장 도어(7)에 걸어맞춤되고, 작동편(12)이 돌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변위된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끈 등의 이물이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에 끼였을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도어가 출입구(1)를 완전히 닫았을 때에,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에 이물이 개재하고 있으면, 작동편(12)의 돌출 위치로의 변위가 이물에 의해 방해받는다. 이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19)는 작동하지 않고, 작동편(12)이 돌출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것이 제어장치에 의해 검출된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가 문열림 동작된다.
각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에 이물이 끼인 채로,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개시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의해 이물에 장력이 주어짐으로 써, 작동편(12)은 돌출 위치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19)로부터 하부 회동 링크(16)가 개리되고, 작동편(12)이 돌출 위치로부터 이탈된 것이 제어장치에 의해서 검출된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승강장 도어(7)가 출입구(1)를 완전히 닫고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 병설 위치와 도어 이탈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되게 되어 있으며, 작동편(12)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 병설 위치에 있을 때에 돌출 위치로 변위되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도어 이탈 위치에 있을 때에 후퇴 위치에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통상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4)와 승강장 도어(7)와의 사이에 작동편(12)을 수용시키고, 엘리베이터 도어가 출입구(1)를 완전히 닫기 직전에만,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닫힘측 단부로부터 작동편(12)을 돌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대차 등이 작동편(12)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동편(12)의 강도를 작게 하여 작동편(12)을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끈 등의 경량이며 구부러지기 쉬운 이물이라도, 간단한 구성으로 이물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작동편(12)을 변위시키는 변위 장치(21)는, 승강장 도어(7)에 설치된 캠판(18)과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승강장 도어(7)에 대한 변위에 따라 캠판(18)에 가압되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대해 회동되는 상부 회동 링크(15)를 갖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작동편(12)의 엘리베이터 도어에 대한 변위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승강장 도어(7)에 대한 변위를 연동시킬 수 있다.
또, 작동편(12)의 돌출 위치에의 변위 유무가 마이크로 스위치(19)에 의해서 검출되고, 마이크로 스위치(19)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오동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출입구(1)를 완전히 닫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개시되기 전에 작동편(12)의 위치가 돌출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있을 때, 엘리베이터 도어를 문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끈 등의 구부러지기 쉬운 이물이 승강장 및 엘리베이터 칸 사이에 걸쳐진 채로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에 끼워진 경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의 개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출입구(1)를 완전히 닫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개시된 후에 작동편(12)의 위치가 돌출 위치로부터 이탈했을 때,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끈 등의 구부러지기 쉬운 이물이 승강장과 엘리베이터 칸 내와의 사이에 걸쳐진 채로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개시된 경우라도, 작동편(12)의 변위에 의해, 즉석에서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편(12)이 돌출 위치에 있을 때의 작동편(12)의 돌출량 C는, 상부 회동 링크(15)의 상부 회동축(13)과 핀(15a) 사이의 부분의 길이와, 상부 회동 링크(15)의 상부 회동축(13)과 캠 롤러(17) 사이의 부분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 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또, 도 8은, 도 7의 작동편측 링크 부재(32)가 캠판측 링크 부재(33)에 대해 회동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부 회동 링크(31)는, 공통의 상부 회동축(13)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 가능한 작동편측 링크 부재(32) 및 캠판측 링크 부재(33)를 가지고 있다.
상부 회동축(13)에는 작동편측 링크 부재(32)의 일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작동편측 링크 부재(32)의 타단부에는, 상부 장착부(12b)가 핀(15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캠판측 링크 부재(33)의 일단부에는, 캠판측 링크 부재(3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 부재(34)가 설치되어 있다. 받침 부재(34)는, 작동편(12)이 문닫힘 방향으로 변위될 때의 작동편측 링크 부재(32)의 캠판측 링크 부재(33)에 대한 회동을 규제한다. 또한, 캠판측 링크 부재(33)의 타단부에는 캠 롤러(17)가 설치되어 있다.
캠판측 링크 부재(33)는, 캠판(18)에 가압되면서 상부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작동편측 링크 부재(32)는, 작동편(12)의 중량에 의해 받침 부재(34)측에 가압 되어있다. 이에 의해, 작동편측 링크 부재(32)는 받침 부재(34)에 가압된 채로, 캠판측 링크 부재(33)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부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작동편측 링크 부재(32)는, 예를 들면 이물의 접촉 등에 의해, 작동편(12)에 의한 가압에 역행하여 작동편(12)이 들어올려졌을 때에는 캠판측 링크 부재(33)에 대해 회동된다.
작동편측 링크 부재(32)와 받침 부재(34)와의 사이에는, 작동편측 링크 부재(32)의 캠판측 링크 부재(33)에 대한 회동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 치(회동 검출 장치)(35)가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35)는 작동편측 링크 부재(3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편측 링크 부재(32)가 캠판측 링크 부재(33)에 대해 회동되면, 마이크로 스위치(35)는 받침 부재(34)에 대해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마이크로 스위치(35)는, 받침 부재(34)에 가압되어 있을 때에 작동된다(도 7). 또, 마이크로 스위치(35)의 작동은, 마이크로 스위치(35)가 받침 부재(34)로부터 개리되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해제된다(도 8). 또한, 도 8에서는, 작동편측 링크 부재(32)와 받침 부재(34)와의 사이의 각도가 D로 되며, 마이크로 스위치(35)의 작동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장치는 마이크로 스위치(35)의 작동 유무에 근거하여, 작동편측 링크 부재(32)의 캠판측 링크 부재(33)에 대한 회동 유무를 판단하게 되어 있다. 즉, 제어장치는, 마이크로 스위치(35)가 작동되고 있을 때에는, 작동편측 링크 부재(32)가 캠판측 링크 부재(33)에 대해 회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마이크로 스위치(35)의 작동이 해제되어 있을 때에는, 작동편측 링크 부재(32)가 캠판측 링크 부재(33)에 대해 회동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마이크로 스위치(35)의 작동이 해제되었을 때에, 이물이 작동편(12)에 접촉한 것을 검출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상부 회동 링크(31)는, 캠판(18) 에 가압되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대해 회동 가능한 캠판측 링크 부재(33)와, 작동편(12)이 설치되고 캠판측 링크 부재(33)에 대해 회동 가능한 작동편측 링크 부재(32)를 갖고, 캠판측 링크 부재(33)에는, 작동편(12)이 문닫힘 방향으로 변 위될 때의 작동편측 링크 부재(32)의 캠판측 링크 부재(33)에 대한 회동을 규제하는 받침 부재(34)가 설치되고, 작동편측 링크 부재(32)와 받침 부재(34)와의 사이에는, 작동편측 링크 부재(32)의 캠판측 링크 부재(33)에 대한 회동 유무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3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동편(12)이 돌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작동편(12)에 이물이 접촉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조기에 이물을 검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11은 도 9의 출입구(1)가 완전히 닫혀져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대해 변위 가능한 세이프티 슈(safety shoe)(41)가 설치되어 있다. 세이프티 슈(41)는,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길이 방향에 대해, 작동편(12)과 승강장 도어(7)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와 작동편(12)과의 사이에는 틈새 E가 존재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는 지지축(42)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42)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높이 방향에 대해, 상부 회동축(13)과 하부 회동축(14)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세이프티 슈(41)는, 지지축(4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 링크(43)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지지되어 있다.
세이프티 슈(41)는, 회동 링크(43)의 일단부에 핀(43a)을 중심으로 회동 가 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회동 링크(43)의 타단부에는, 세이프티 슈(41) 에 대한 이물의 접촉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검출 장치)(55)가 설치대(54)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회동 링크(43)를 회동시키는 링크 회동 장치(45)가 탑재되어 있다. 링크 회동 장치(45)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이동에 따라 회동 링크(43)를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링크 회동 장치(45)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설치된 지지축(4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캠 회동체(47)와,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48)와, 캠 회동체(47)와 지지 부재(48)를 연결하는 연결체(49)를 가지고 있다.
캠 회동체(47)는, 지지축(46)에 설치된 회동부(50)와 회동부(50)의 회동 링크(43)측의 단부에 고정된 캠부(51)를 가지고 있다. 연결체(49)는, 지지 부재(48)의 상단부 및 회동부(50)의 반(反)캠부(51)측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캠 회동체(47)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정면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지지축(46)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마이크로 스위치(55)는, 세이프티 슈(41)가 엘리베이터 도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회동 링크(43)가 회동됨으로써, 캠부(5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세이프티 슈(41)가 엘리베이터 도어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회동 링크(43)가 회동됨으로써, 캠부(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회동 링크(43)의 핀(43a)과 지지축(42)과의 사이의 부분에는, 핀(44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 가압 부재(44)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 가압 부재(44)의 자유단부는, 회동 링크(43)의 타단부와 캠부(51)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회동 가압 부재(44)의 자유단부에는 캠부(51)에 접촉하는 캠 플로우(52)와, 마이크로 스위치(55)에 접촉하는 좌판(53)이 설치되어 있다. 캠 플로우(52)는 회전축(52a)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세이프티 슈(41)의 엘리베이터 도어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는, 캠 회동체(47)가 캠 플로우(52)에 접촉함으로써 규제된다. 세이프티 슈(41)의 엘리베이터 도어로부터의 돌출량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정면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변화한다. 이 예에서는, 세이프티 슈(41)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출입구(1)를 완전히 닫고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 도어에 수용되고, 엘리베이터 도어가 문열림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로부터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마이크로 스위치(55)가 가압되어 작동되고 있을 때에 통상의 개폐 동작의 제어를 실시하고,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작동이 해제되어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 방향을 문닫힘 방향으로부터 문열림 방향으로 반전하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55)는, 세이프티 슈(41)의 자중으로 좌판(53)에 가압됨으로써 작동된다. 또,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작동은 세이프티 슈(41)의 자중에 역행하여, 세이프티 슈(41)가 엘리베이터 도어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해제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세이프티 슈(4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동작시에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캠 회동체(47)가 회동된다. 이에 의해, 회동 링크(43)가 회동되고 세이프티 슈(41)가 변위된다. 이 때, 마이크로 스위치(55)는, 세이프티 슈(41)의 자중에 의해, 회동 가압 부재(44)를 통하여 캠부(51)에 항상 가압되고 있다. 이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55)는 작동된 채로 되어 있으며, 통상의 개폐 동작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승객 등이 세이프티 슈(41)에 접촉하여 세이프티 슈(41)가 변위되면, 마이크로 스위치(55)는 회동 링크(43)의 회동에 의해, 회동 가압 부재(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작동이 해제되고,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 방향이 문닫힘 방향으로부터 문열림 방향으로 반전된다. 또한, 작동편(12)의 동작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작동편(12)과는 별개로 세이프티 슈(41)가 엘리베이터 도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끈 등의 가볍고 구부러지기 쉬운 것뿐만 아니라, 승객 등의 접촉력이 큰 이물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류가 다른 이물을 더욱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작동편(12)이 세이프티 슈(41)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4)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의 안쪽길이 방향에 대해, 작동편(12)과 엘리베이터 칸 도어(4)를 서로 가깝게 배치할 있으며, 출입구(1)를 완전히 닫는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에 예를 들면 끈 등이 끼여 있을 때에는, 끈의 작동편(12)에 대한 접촉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큰 장력을 끈 등의 이물에 부여할 수 있어서 이물의 검출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15는 도 14의 출입구(1)가 완전히 닫혀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는 지지축(42)이 설치되어 있다. 세이프티 슈(41)는, 지지축(4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 링크(43)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지지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는, 지지축(42)에 대해 간격을 두어 배치된 고정축(62)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42) 및 고정축(62) 사이에는 고정 가압 부재(61)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 가압 부재(61)에는, 마이크로 스위치(55)가 접촉하는 좌판(53)이 설치되어 있다.
세이프티 슈(41)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출입구(1)의 정면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닫힘측 단부로부터 돌출한 채로 되어 있다. 회동 링크(43)는, 세이프티 슈(41)의 자중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55)가 좌판(53)에 가압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55)는, 회동 링크(43)에 의한 좌판(53)에의 가압에 의해 작동된다. 또, 마이크로 스위치(55)는, 세이프티 슈(41)가 자중에 역행하여 변위되었을 때에 좌판(5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작동은, 마이크로 스위치(55)의 좌판(5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해제된다.
작동편(12)의 문닫힘측 단부(12a)는 작동편(12)이 돌출 위치에 있을 때에, 세이프티 슈(41)보다 문닫힘측에 위치하고(도 15), 작동편(12)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에, 세이프티 슈(41)보다 문열림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14).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의 형태 3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세이프티 슈(41)의 엘리베이터 도어에 대한 변위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 방향으로의 이동을 연동시키지 않고 독립하게 하였으므로, 도어 장치의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중앙으로부터 분리되어 양측으로 열리는 방식인 양쪽 열림식의 도어 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도어가 한 방향으로만 열리는 한쪽 열림식의 도어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Claims (7)

  1. 삭제
  2. 승강장 도어와, 상기 승강장 도어에 대해 나란히 설치되는 도어 병설 위치와 상기 승강장 도어에 대해 상기 도어 병설 위치보다 소정의 거리만큼 문열림측에 위치하는 도어 이탈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갖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상기 도어 이탈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승강장 도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서로 걸어맞춤하면서 이동되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상기 승강장 도어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문닫힘측 단부로부터 문닫힘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 위치와, 상기 돌출 위치보다 문열림측에 위치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상기 승강장 도어와의 사이에 수용되는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 변위 가능한 작동편, 및
    상기 승강장 도어에 설치된 캠판과, 상기 작동편이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상기 승강장 도어에 대한 변위에 의해, 상기 캠판에 접촉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대해 회동되는 회동 부재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상기 승강장 도어에 대한 변위에 따라 상기 작동편을 변위시키는 변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는, 상기 승강장 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전부 닫고 있을 때에, 상기 도어 병설 위치와 상기 도어 이탈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변위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상기 도어 병설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작동편을 상기 돌출 위치에 변위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상기 도어 이탈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작동편을 상기 후퇴 위치에 변위시키며,
    상기 작동편은, 상기 회동 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의 상기 돌출 위치로의 변위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 장치, 및
    상기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완전히 닫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작동편의 위치가 상기 돌출 위치로부터 이탈해 있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문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완전히 닫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개시된 후에 상기 작동편의 위치가 상기 돌출 위치로부터 이탈했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캠판에 가압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대해 회동 가능한 캠판측 링크 부재와, 상기 작동편이 설치되고 상기 캠판측 링크 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한 작동편측 링크 부재를 갖고,
    상기 캠판측 링크 부재에는, 상기 작동편이 문닫힘 방향으로 변위될 때의 상기 작동편측 링크 부재의 상기 캠판측 링크 부재에 대한 회동을 규제하는 받침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편이 문열림 방향으로 변위될 때의 상기 작동편측 링크 부재의 상기 캠판측 링크 부재에 대한 회동의 유무를 검출하는 회동 검출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상기 승강장 도어와의 사이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에 대해 문열림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이물의 존재를 검출하는 세이프티 슈가 상기 작동편과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KR1020077011398A 2005-08-25 2005-08-25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KR100940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5433 WO2007023549A1 (ja) 2005-08-25 2005-08-25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379A KR20070084379A (ko) 2007-08-24
KR100940420B1 true KR100940420B1 (ko) 2010-02-02

Family

ID=37771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398A KR100940420B1 (ko) 2005-08-25 2005-08-25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18241A4 (ko)
JP (1) JPWO2007023549A1 (ko)
KR (1) KR100940420B1 (ko)
CN (1) CN100569623C (ko)
WO (1) WO20070235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81059B (zh) * 2009-02-12 2011-05-25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具有开门异常防护功能的安全电梯及其安全控制方法
JP2011116493A (ja) * 2009-12-02 2011-06-1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籠ドア装置
EP2345618A1 (de) 2010-01-18 2011-07-20 Inventio AG Sicherheitskontaktleiste einer Kabinentür
JP6016338B2 (ja) * 2011-08-10 2016-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かごの戸安全装置
JP5978119B2 (ja) * 2012-12-19 2016-08-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104401860A (zh) * 2014-09-22 2015-03-11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垂直电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9674A (ja) * 1994-12-19 1996-07-0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カゴ扉の物挟み検出装置
JP2005008383A (ja) * 2003-06-20 2005-01-13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8165A (en) * 1962-06-11 1965-02-02 Serge Elevator Company Inc Protective door reversing means
GB1227197A (ko) 1968-10-31 1971-04-07
JPH05301692A (ja) 1992-04-27 1993-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出入口扉の安全装置
JP4106908B2 (ja) 1999-09-29 2008-06-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9674A (ja) * 1994-12-19 1996-07-0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カゴ扉の物挟み検出装置
JP2005008383A (ja) * 2003-06-20 2005-01-13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023549A1 (ja) 2009-02-26
EP1918241A1 (en) 2008-05-07
EP1918241A4 (en) 2013-01-16
KR20070084379A (ko) 2007-08-24
WO2007023549A1 (ja) 2007-03-01
CN101048333A (zh) 2007-10-03
CN100569623C (zh)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420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FI101529B (fi) Lukitusmekanismilla varustetulla ovenkäyttölaitteella varustettu hissi
KR920004311B1 (ko) 빗장기구를 갖는 승강기문 구동장치
JP5312449B2 (ja) エレベーター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JP5755033B2 (ja) 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RU210701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шахтной двери с дверью кабины лифта для их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варианты)
JP2010120745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JP544830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側ドア施錠装置
EP1932796A1 (en) Door device for elevator
JP5875465B2 (ja) エレベータ
JP46697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70084575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CN113544076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JP5239243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JP5945024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扉装置
JP2018034927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19392Y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JP2005008383A (ja) エレベータ装置
US11772937B2 (en) Elevator car door control system
JP5376842B2 (ja) エレベータの異物検出装置
JP2011098837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JP2000118924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安全装置
KR20060040320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잠금 확인장치
JP2017019641A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
KR20240058344A (ko)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