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392Y1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392Y1
KR200419392Y1 KR2020060009334U KR20060009334U KR200419392Y1 KR 200419392 Y1 KR200419392 Y1 KR 200419392Y1 KR 2020060009334 U KR2020060009334 U KR 2020060009334U KR 20060009334 U KR20060009334 U KR 20060009334U KR 200419392 Y1 KR200419392 Y1 KR 200419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s
elevator
car
sl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호
Original Assignee
정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호 filed Critical 정기호
Priority to KR2020060009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3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을 줄이고, 작동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홀도어(2,4)에 구비된 지지부재(6)와, 엘리베이터 카(8)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6)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구동모터(10)에 의해 구동되어 카도어(12,14)와 함께 홀도어(2,4)를 개폐하는 도어구동장치(16)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구동장치(16)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8)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직설치되며 그 일측에 상기 카도어(12,14)가 연결된 지지패널(22)과, 상기 지지패널(22)에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10)에 의해 좌우로 위치이동되는 슬라이드블록(24)과, 상기 지지패널(22)의 전면 상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회동링크(26,28)와, 상기 지지부재(6)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동링크(26,28)의 전방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회동링크(26,28)와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베인(30,32)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구동모터, 도어구동장치, 카도어, 지지패널, 슬라이드블록, 회동링크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elev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와 홀도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위치 감지수단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동모터 16. 도어구동장치
12,14. 카도어 22. 지지패널
24. 슬라이드블록 26,28. 회동링크
30,32. 베인 46. 회동암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을 줄이고, 작동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축물에 구성된 수직방향의 통로 내부에 사용자가 탑승하는 카를 승강가능하게 장착하고, 구동기구로 상기 카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도어는 카에 장착되는 카도어와, 건물 각층의 탑승장에 설치되는 홀도어로 구성되어, 카도어와 홀도어가 모두 열려야 탑승자가 카에 타거나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홀도어에는 별도의 개폐장치가 설치되지 않고, 엘리베이터에 구비된 개폐장치에 의해 카도어가 개폐될 때 홀도어가 카도어에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는 홀도어에 한 쌍의 지지부재를 장착하고, 카도어에 상기 지지부재를 밀어내는 별도의 베인을 장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인은 카의 승강시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를 통과하며, 각 층에 카가 정차하였을 경우, 베인이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모터를 작동하여 카도어를 개방하면 카도어에 장착된 베인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부재를 밀어 홀도어가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카의 승강시 베인이 부딪히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을 띄워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개폐구동기구는 상기 지지부재와 베인 사이에 유격이 있으므로, 카도어가 먼저 소정거리만큼 열려서 베인이 지지부재에 접촉되어야 홀도어가 밀려서 이동되기 시작한다. 즉, 카도어가 먼저 열리고, 나중에 홀도어가 열리게 되며, 도어가 닫힐 때도 마찬기지로 카도어가 먼저 닫히고 홀도어가 닫히게 된다. 따라서, 홀도어와 카도어의 개폐에 시간차가 발생될 뿐 아니라, 카도어는 홀도어보다 더 많이 열려야 하므로, 홀도어의 마감처리되지 않는 내측면이 탑승자에 보여서 미관상 좋지 못하고 작동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인이 지지부재에 부딪혀 지지부재를 밀게 되므로, 도어의 개폐시 불필요한 충격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의 전면 상측에는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각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도어가 완전히 닫히거나 열린 상태인 것을 감지하고, 도어의 위치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는 구동모터의 감속 등을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여러개의 감지센서가 엘리베이터의 상측에 각기 이격되어 장착되므로, 배선이 복잡하고, 엘리베이터의 수리시 정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을 줄이고, 작동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비성 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물의 각층에 구비된 엘리베이터 홀도어(2,4)에 구비된 지지부재(6)와, 엘리베이터 카(8)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6)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구동모터(10)에 의해 구동되어 카도어(12,14)와 함께 홀도어(2,4)를 개폐하는 도어구동장치(16)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구동장치(16)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8)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직설치되며 그 일측에 상기 카도어(12,14)가 장착된 지지패널(22)과, 상기 지지패널(22)에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10)에 의해 좌우로 위치이동되는 슬라이드블록(24)과, 상기 지지패널(22)의 전면 상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회동링크(26,28)와, 상기 지지부재(6)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동링크(26,28)의 전방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회동링크(26,28)와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베인(30,32)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링크(26,28)중에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구비된 회동암(46)이 상기 슬라이드블록(24)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24)의 위치이동시 회동링크(26,28)가 회동되면, 상기 베인(30,32)의 수평방향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면서, 상기 홀도어(2,4) 지지부재(6)의 양측을 가압하거나 이격되어, 홀도어(2,4)와 카도어(12,14)가 상호 연동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패널(22)에 구비되며 카도어(12,14)가 열리면 상기 슬라이드블록(24)을 위치고정하여 베인(30,32)이 지지부재(6)의 양측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블록 멈춤수단(34,36)과, 상기 카도어(12,14)가 닫힐 때 상기 슬라이드블록 멈춤수단(34,36)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8)에 구비된 스토퍼(38)를 포함하며, 상기 카도어(12,14)가 닫히면 상기 슬라이드블록 멈춤수단(34,36)의 단부가 상기 스토퍼(38)에 밀착되면서 상기 회동링크(26,28)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엘리베이터 카(8)의 일측에 구비되어 카도어(12,14)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위치 감지수단(40)을 더 포함하며, 이 도어감지수단은 엘리베이터 카(8)에 고정된 케이스(62)와, 이 케이스(6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감속기(86)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10)에 연결된 회전축(64)과, 이 회전축(64)에 장착된 복수개의 캠(66,68,70,72)과, 이 캠(66,68,70,72)의 둘레면에 접촉되어 캠(66,68,70,72)의 회전에 따라 온오프되는 복수개의 감지스위치(78,80,82,8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이 도어 개폐장치는 건물의 각층에 구비된 엘리베이터 홀도어(2,4)에 구비된 지지부재(6)와, 엘리베이터 카(8)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6)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구동모터(10)에 의해 구동되어 카도어(12,14)와 함께 홀도어(2,4)를 개폐하는 도어구동장치(1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홀도어(2,4)와 카도어(12,1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좌우측 도어는 상호 벨트(18)로 연결되어, 일측의 도어를 밀면 양측의 도어가 상호 이격 및 근접되어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도어(2,4)를 개폐시킬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금속봉의 단부에 휠을 장착하여 구성되며, 그 단부가 상기 도어구동장치(16)를 향하도록 홀도어(2,4)에 장착된다.
상기 도어구동장치(16)는 카도어(12,14)의 개폐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벨트(20)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0)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8)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직설치되며 그 일측에 상기 카도어(12,14)가 연결된 지지패널(22)과, 상기 지지패널(22)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10)에 의해 좌우로 위치이동되는 슬라이드블록(24)과, 상기 지지패널(22)의 전면 상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회동링크(26,28)와, 상기 지지부재(6)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동링크(26,28)의 전방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회동링크(26,28)와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베인(30,32)과, 상기 지지패널(22)에 구비되며 카도어(12,14)가 열리면 상기 슬라이 드블록(24)을 위치고정하여 베인(30,32)이 지지부재(6)의 양측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블록 멈춤수단(34,36)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8)에 구비되어 상기 카도어(12,14)가 닫힐 때 상기 슬라이드블록 멈춤수단(34,36)의 단부가 밀착되는 스토퍼(38)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8)의 상측에 구비되어 카도어(12,14)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위치 감지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패널(22)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8)의 전면 상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그 하단에는 일측의 카도어(12,14)가 장착되어, 이 지지패널(22)이 좌우로 슬라이드되면, 카도어(12,14)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24)은 상기 지지패널(22)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슬라이드가이드(42)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벨트(20)를 통해 구동모터(1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가이드(42)의 양단에는 브래킷(44)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24)이 이 브래킷(44) 사이의 공간에서 좌우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써, 상기 구동모터(10)로 이 슬라이드블록(24)을 좌우로 슬라이드시키면, 슬라이드블록(24)이 상기 브래킷(44)에 닿아 지지패널(22)을 좌우로 밀어서 카도어(12,14)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링크(26,28)와 베인(30,32)은 각각 한 쌍씩으로 구성되어, 상호 사각형을 이루도록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회동링크(26,28)는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지지패널(22)의 상하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상기 베인(30,32)은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어 그 상하단이 상기 회동링크(26,28)의 양단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동링크(26,28)를 회동시키면, 상기 베인(30,32)이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링크(26,28) 중에서 상측의 회동링크(26) 일측에는 회동암(46)이 상측으로 연장되며, 이 회동암(46)의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블록(24)에 연결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블록(24)의 일측에는 연장축(48)이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동암(46)은 그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50)이 형성되어, 이 장공(50)이 상기 연장축(48)에 끼워지므로써, 상기 슬라이드블록(24)이 좌우로 슬라이드되면, 상기 회동암(46)에 의해 회동링크(26,28)가 회동되면서 베인(30,32)이 상호 근접 및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블록(24)의 연장축(48)은 상기 지지패널(22)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공(52)을 통해 지지패널(22)의 배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 멈춤수단(34,3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패널(22)의 배면에 힌지결합되며 측면이 상기 슬라이드블록(24)의 연장축(48) 후단부에 밀착되는 연장축고정부재(34)와, 상기 지지패널(22)의 배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프링(54)에 의해 돌출되며 돌출시 그 일측으로 연장된 고정핀(56)이 상기 연장축고정부재(34)에 접촉되어 연장축고정부재(34)를 고정하는 슬라이드바(36)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축고정부재(34)는 상기 연장축(48)과 밀착되는 고정홈(58)이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축(48)의 단부가 상기 고정홈(58)에 끼워지면 회동상승되면서 연장축(48)과 슬라이드블록(24)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 연장축고정부재(34)의 상면은 캠(66,68,70,72)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24)에 의해 연장축(48)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연장축고정부재(34)가 자동으로 회동상승되고, 연장축(48)이 우측 으로 이동하면 연장축고정부재(34)가 회동하강되며, 이 연장축고정부재(34)의 선단부 하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바(36)의 고정핀(56)이 밀착되는 돌출부(60)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바(36)는 그 선단이 상기 지지패널(22)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라켓(44)에 밀착되는 것으로, 카도어(12,14)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38)에 밀착되어 후퇴되어 상기 연장축고정부재(34)가 회동하강될 수 있도록 하며, 카도어(12,14)가 열려 상기 스토퍼(38)로부터 이격되어 스프링(54)에 의해 돌출되면서 그 일측의 고정핀(56)이 상기 연장축고정부재(34)의 돌출부(60)에 끼워져 연장축고정부재(34)가 회동하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도어감지수단은 엘리베이터 카(8)에 고정된 케이스(62)와, 이 케이스(6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모터(10)에 연결된 회전축(64)과, 이 회전축(64)에 장착된 복수개의 캠(66,68,70,72)과, 이 캠(66,68,70,72)의 둘레면에 접촉되어 캠(66,68,70,72)의 회전에 따라 온오프되는 복수개의 감지스위치(78,80,82,84)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회전축(64)은 감속기(86)로 상기 구동모터(1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0)가 구동되어 상기 카도어(12,14)를 열거나 닫을 때, 상기 회전축(64)은 1회전 이하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캠(66,68,70,72)은 한쌍의 캠판(74,76)이 상호 겹쳐져 하나의 캠(66,68,70,72)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각 캠판(74,76)은 회전축(64)에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 세팅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카도어(12,14)가 열리거나 닫힐 때, 상기 회전축(64)과 캠(66,68,70,72)이 회전되면, 상기 감지스위치(78,80,82,84)가 캠(66,68,70,72)에 의해 온오프되면서, 카도어(12,14)가 개폐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캠(66,68,70,72)과 감지스위치(78,80,82,84)가 4개로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캠(66) 및 제1 감지스위치(78)는 카도어(12,14)가 완전히 닫혔을 때 온 되도록 세팅되며, 제4 캠(72)과 제4 감지스위치(84)는 카도어(12,14)가 완전히 열렸을 때 온되도록 세팅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와 제3 캠(68,70) 및 제2 와 제3 스위치(80,82)는 카도어(12,14)의 개폐시 카도어(12,14)의 개폐속도를 감속시킬 위치를 감지하도록 세팅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0)를 제어하는 제어부(87)는 상기 제1 감지스위치(78)가 온되면 카도어(12,14)가 완전히 닫힌 것으로 판단하고, 카도어(12,14)를 열 때 제3 감지스위치(82)가 온되면 구동모터(10)를 감속시켜 카도어(12,14)가 천천히 열리도록 하고, 제4 감지스위치(84)가 온되면 카도어(12,14)가 완전히 열린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모터(10)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카도어(12,14)가 닫힐 때는 상기 제2 감지스위치(80)가 온되면 카도어(12,14)를 감속시키고, 제1 감지스위치(78)가 온 되면 카도어(12,14)를 정지시킨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88은 양단이 상기 베인(30,32)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링크(26,28)가 베인(30,32)이 인접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돕는 스프링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도어(12,14)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드블록(24)이 지지패널(22)의 우측에 위치되며 상기 베인(30,32)은 홀 도어(2,4)의 지지부재(6) 양측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0)가 작동되면,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블록(24)이 지지패널(22)의 좌측으로 이동하여 브래킷(44)에 걸리며, 슬라이드블록(24)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동링크(26,28)가 회동되어 베인(30,32)이 지지부재(6)의 양측에 접촉가압한다. 이때, 상기 연장축고정부재(34)는 상기 슬라이드블록(24)의 연장축(48)에 밀려 회동상승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0)가 더욱 회전되면,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44)에 걸린 슬라이드블록(24)에 의해 지지패널(22) 전체가 이동되어 카도어(12,14)와 홀도어(2,4)가 동시에 열리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바(36)의 단부는 스토퍼(38)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스프링(54)에 가압되어 그 일측에 구비된 고정핀(56)이 연장축고정부재(34)의 돌출부(60) 하측에 끼워져 지지하여, 상기 연장축(48)이 연장축고정부재(34)의 고정홈(58)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카도어(12,14)가 완전히 열인 후, 닫힐 때까지 상기 베인(30,32)이 지지부재(6)의 양측을 가압하여, 도 7의 c에 도시한 상태를 유지하여, 카도어(12,14)와 홀도어(2,4)가 일체로 개폐되도록 하며, 카도어(12,14)가 닫혀 상기 슬라이드바(36)의 단부가 스토퍼(38)에 접촉되면, 전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슬라이드바(36)가 후퇴하면서 슬라이드바(36)의 고정핀(56)과 연장축고정부재(34)의 돌출부(60)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연장축고정부재(34)가 하강되며, 이에따라, 연장축고정부재(34)와 연장축(48)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블록(24)이 우측으로 더욱 전진하면서, 상기 회동링크(26,28)이 회동되어 상기 베인(30,32)이 지지부재(6)의 양측에서 이격되는 초기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도어위치 감지수단(40)은 카도어(12,14)의 개폐시 카도어(12,14)의 위치를 감지하여, 카도어(12,14)의 위치에 따라 구동모터(10)의 작동상태를 제어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는 엘리베이터 카(8)에 구비된 도어구동장치(16)에 카도어(12,14)의 개폐와 연동되어 상호 근접 및 이격되는 한쌍의 베인(30,32)이 구비되어, 이 베인(30,32)이 홀도어(2,4)에 구비된 지지부재(6)의 양측을 가압하여, 카도어(12,14)와 홀도어(2,4)가 상호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하므로, 엘리베이터의 카도어(12,14)와 홀도어(2,4)가 개폐될 때, 시간차가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카도어(12,14)와 홀도어(2,4)가 개방되는 넓이가 동일하여, 작동신뢰성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인(30,32)이 홀도어(2,4)의 지지부재(6)에 밀착되어 도어가 개폐되므로, 도어의 개폐시 충격이나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22)의 배면에 슬라이드블록 멈춤수단(34,36)이 구비되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블록(24)이 지지패널(22)에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열 때와 닫을 때, 상기 베인(30,32)이 홀도어(2,4)의 지지부재(6) 양측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완벽한 작동 신뢰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8)의 일측에 도어위치 감지수단(40)을 마련하고, 이 도어위치 감지수단(40)의 케이스(62)에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스위치(78,80,82,84)를 집중적으로 배치하므로써, 배선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비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이 도어위치 감지수단(40)은 구동모터(10)에 연결된 회전축(64)에 복수개의 캠(66,68,70,72)을 장착하고, 이 캠(66,68,70,72)에 감지스위치(78,80,82,84)를 구비하여, 캠(66,68,70,72)의 회전에 따라 각 감지스위치(78,80,82,84)가 온오프되어 도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캠(66,68,70,72)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량 또는 모터의 구동력 등을 고려하여, 각 캠판(74,76)의 각도를 조절하여 세팅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한종류의 도어위치 감지수단(40)을 다양한 종류의 엘리베이터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카도어(12,14)의 개폐에 따라 상호 근접 및 이격되는 한쌍의 베인(30,32)을 구비하여, 도어의 개폐시 상기 베인(30,32)이 홀도어(2,4)의 지지부재(6)와 가압 접촉된 후에 카도어(12,14)와 홀도어(2,4)가 일체로 이동 개폐되고, 구동모터(1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4)에 캠(66,68,70,72)을 구비하고, 감지스위치(78,80,82,84)를 이용하여 캠(66,68,70,72)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을 줄이고, 작동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건물의 각층에 구비된 엘리베이터 홀도어(2,4)에 구비된 지지부재(6)와, 엘리베이터 카(8)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6)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구동모터(10)에 의해 구동되어 카도어(12,14)와 함께 홀도어(2,4)를 개폐하는 도어구동장치(16)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구동장치(16)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8)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직설치되며 그 일측에 상기 카도어(12,14)가 장착된 지지패널(22)과, 상기 지지패널(22)에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구동모터(10)에 의해 좌우로 위치이동되는 슬라이드블록(24)과, 상기 지지패널(22)의 전면 상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회동링크(26,28)와, 상기 지지부재(6)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동링크(26,28)의 전방양측에 상호 평행하게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회동링크(26,28)와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베인(30,32)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링크(26,28)중에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구비된 회동암(46)이 상기 슬라이드블록(24)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24)의 위치이동시 회동링크(26,28)가 회동되면, 상기 베인(30,32)의 수평방향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면서, 상기 홀도어(2,4) 지지부재(6)의 양측을 가압하거나 이격되어, 홀도어(2,4)와 카도어(12,14)가 상호 연동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22)에 구비되며 카도어(12,14)가 열리면 상기 슬라이드블록(24)을 위치고정하여 베인(30,32)이 지지부재(6)의 양측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블록 멈춤수단(34,36)과, 상기 카도어(12,14)가 닫힐 때 상기 슬라이드블록 멈춤수단(34,36)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8)에 구비된 스토퍼(38)를 포함하며, 상기 카도어(12,14)가 닫히면 상기 슬라이드블록 멈춤수단(34,36)의 단부가 상기 스토퍼(38)에 밀착되면서 상기 회동링크(26,28)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3.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8)의 일측에 구비되어 카도어(12,14)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위치 감지수단(40)을 더 포함하며, 이 도어감지수단은 엘리베이터 카(8)에 고정된 케이스(62)와, 이 케이스(6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감속기(86)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10)에 연결된 회전축(64)과, 이 회전축(64)에 장착된 복수개의 캠(66,68,70,72)과, 이 캠(66,68,70,72)의 둘레면에 접촉되어 캠(66,68,70,72)의 회전에 따라 온오프되는 복수개의 감지스위치(78,80,82,8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2020060009334U 2006-04-07 2006-04-07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200419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334U KR200419392Y1 (ko) 2006-04-07 2006-04-07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334U KR200419392Y1 (ko) 2006-04-07 2006-04-07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392Y1 true KR200419392Y1 (ko) 2006-06-20

Family

ID=4176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334U KR200419392Y1 (ko) 2006-04-07 2006-04-07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3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318B1 (ko) * 2018-05-02 2019-08-12 이장문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장치
CN110467097A (zh) * 2019-08-17 2019-11-19 成都红旗油脂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318B1 (ko) * 2018-05-02 2019-08-12 이장문 승강 설비의 도어 개폐장치
CN110467097A (zh) * 2019-08-17 2019-11-19 成都红旗油脂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220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の戸ロック装置
JP5312449B2 (ja) エレベーター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EP3048075B1 (en) Car door lock
JP4879477B2 (ja) エレベータドア駆動装置
BRPI0914619B1 (pt) elevador abrangendo uma cabine do elevador e processo para o acionamento de um bloqueio da porta da cabine de um travamento da porta da cabine de um elevador
CN100375828C (zh) 具有多个可侧向移动的壁单元的滑动壁
KR200482807Y1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KR200419392Y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100940420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KR20170083322A (ko)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US7156210B2 (en) Freight elevator landing door control
EP1932796A1 (en) Door device for elevator
KR100420041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잠금장치
JP63518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78432B2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装置及びその開閉装置
KR20060040320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잠금 확인장치
KR20010011622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20070084575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KR10033634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JP2000118924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安全装置
US20230271810A1 (en) Elevator Car Door Control System
JP200500838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S5916384Y2 (ja) エレベ−タドアの安全装置
KR100351289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커플링 장치
KR200228250Y1 (ko) 차량 입,출입 통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