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322A -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322A
KR20170083322A KR1020160002645A KR20160002645A KR20170083322A KR 20170083322 A KR20170083322 A KR 20170083322A KR 1020160002645 A KR1020160002645 A KR 1020160002645A KR 20160002645 A KR20160002645 A KR 20160002645A KR 20170083322 A KR20170083322 A KR 20170083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r door
elevator
card
pulle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413B1 (ko
Inventor
김택우
Original Assignee
김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우 filed Critical 김택우
Priority to KR102016000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4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83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30Adjustable or movab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양측 카도어 상단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최상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제 1 카도어 측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 1 풀리부, 제 2 카도어 측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풀리부와 대칭을 이루는 제 2 풀리부 및 상기 제 1 풀리부 및 상기 제 2 풀리부에 걸쳐 설치되는 타이밍벨트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일단은 상기 제 1 카도어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타이밍벨트부 중 카도어 개방시, 상기 제 2 풀리부로부터 상기 제 1 풀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에 연결되는 제 1 카도어 행거; 일단은 상기 제 2 카도어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타이밍벨트부 중 카도어 개방시, 상기 제 1 풀리부로부터 상기 제 2 풀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에 연결되는 제 2 카도어 행거; 및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며,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N ELEVATOR CA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이나 시설물 등에는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층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 엘리베이터에는 건물이나 시설물 등에 형성된 수직방향의 통로 내부에 이용자들이 탑승 가능한 카가 형성되고 카를 개폐하기 위한 카도어가 구비된다.
카도어는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승강식 카도어와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드식 카도어가 있으며, 통상 화물용 엘리베이터에는 승강식 카도어가 설치되고, 사용자용의 엘리베이터에는 슬라이드식 카도어가 구비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는 각 구성들의 상호 연결수단이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을 뿐더러 넓은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36884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는 구조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는 구동모터의 동력이 카도어로 전달됨에 있어 다수의 구성을 필요로 하여 구동부에 필요 이상의 작동이 유발되어 에너지가 낭비되고 작동 신뢰성이 떨어지며 부품의 생산과정에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에 설치될 때에도 복잡한 과정으로 인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주변의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공간의 제한으로 인해 구동모터가 엘리베이터의 상단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로 인해 내부 높이를 증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 및 구조가 단순화되고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절약되며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고 생산비용이 절감되며 설치시간이 단축되고 설치면적이 감소된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양측 카도어 상단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최상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제 1 카도어 측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 1 풀리부, 제 2 카도어 측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풀리부와 대칭을 이루는 제 2 풀리부 및 상기 제 1 풀리부 및 상기 제 2 풀리부에 걸쳐 설치되는 타이밍벨트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일단은 상기 제 1 카도어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타이밍벨트부 중 카도어 개방시, 상기 제 2 풀리부로부터 상기 제 1 풀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에 연결되는 제 1 카도어 행거; 일단은 상기 제 2 카도어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타이밍벨트부 중 카도어 개방시, 상기 제 1 풀리부로부터 상기 제 2 풀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에 연결되는 제 2 카도어 행거; 및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며,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카도어 측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카도어 행거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 1 카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제 1 카도어 레일; 및 상기 제 2 카도어 측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카도어 행거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 2 카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제 2 카도어 레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카도어 행거는 상기 제 1 카도어 레일의 상측 및 하측으로 접촉되며 상기 제 1 카도어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1 롤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카도어 행거는 상기 제 2 카도어 레일의 상측 및 하측으로 접촉되며 상기 제 2 카도어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2 롤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는 일측에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수값을 상기 제어모듈에 송신하는 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엔코더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값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 회전수값 초과시, 상기 구동모터 작동상태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는 구동모터의 동력이 제 1 풀리부 및 제 2 풀리부에 걸쳐 설치되는 타이밍벨트부를 통해 카도어로 전달되어 구성 및 구조가 단순화되고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절약되며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고 생산에 필요한 비용이 절감되며 설치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는 고정프레임 내에 다른 구성들이 구비되어 설치면적이 감소되므로 엘리베이터의 내부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3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에 관한 설명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10)의 구조 및 구성을 설명하면,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10)는 고정프레임(100); 구동모터(200); 제 1 풀리부(310), 제 2 풀리부(320) 및 타이밍벨트부(330)를 포함하는 구동유닛(300); 제 1 카도어 행거(400); 제 2 카도어 행거(500); 및 제어모듈(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프레임(100)은 엘리베이터의 양측 카도어(C) 상단과 엘리베이터의 최상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10)의 구성들이 내장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00)에는 고정프레임(100) 상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오염이나 이물질의 침투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커버가 추가 구비 될 수 도 있다.
구동모터(200)는 제 1 카도어(C1) 측 고정프레임(100) 상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통해 하술될 제 1 카도어 행거(400) 및 제 2 카도어 행거(500)를 이동시켜 양측 카도어(C)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구동력을 생성한다.
또한, 구동모터(200)의 일측에는 정밀한 감속을 위한 웜감속기(미도시)가 구비되도록 설계가능하다.
그리고, 구동모터(200)는 일측에 구동모터(200)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수값을 하술될 제어모듈(600)에 송신하는 엔코더(미도시)를 구비할 수 도 있다.
추가적으로, 구동모터(200)는 하술될 제어모듈(600)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양측 카도어(C)를 여는 방향인 정회전, 양측 카도어(C)를 닫는 방향인 역회전으로 작동될 수 도 있고 정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구동모터(200)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DC구동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도 있다.
구동유닛(300)은 구동모터(200)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 1 풀리부(310), 제 2 카도어(C2) 측 고정프레임(100)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1 풀리부(310)와 대칭을 이루는 제 2 풀리부(320), 제 1 풀리부(310) 및 제 2 풀리부(320)에 걸쳐 설치되는 타이밍벨트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유닛(300)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구동유닛(300)은 구동모터(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타이밍벨트(330)가 움직이도록 한다. 하술될 제 1 카도어 행거(400) 및 제 2 카도어 행거(500)는 타이밍벨트(330)에 연결되어 타이밍벨트(330)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제 1 카도어 행거(400)는 일단이 제 1 카도어(C1)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타이밍벨트부(330) 중 양측 카도어(C) 개방시, 제 2 풀리부(320)로부터 제 1 풀리부(310)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에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제 1 카도어 행거(400)는 엘리베이터 승강운행 중 카의 내부에서 승객이 양측 카도어(C)를 강제로 열지 못하도록 카도어 잠금장치(미도시)가 구비 될 수 도 있다.
제 2 카도어 행거(500)은 일단이 제 2 카도어(C2)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타이밍벨트부(330) 중 양측 카도어(C) 개방시, 제 1 풀리부(310)로부터 제 2 풀리부(320)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에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제 2 카도어 행거(500)는 엘리베이터 승강운행 중 카의 내부에서 승객이 양측 카도어(C)를 강제로 열지 못하도록 카도어 잠금장치(미도시)가 구비 될 수 도 있다.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10)는 제 1 카도어(C1) 측 고정프레임(100) 상에 설치되며 제 1 카도어 행거(400)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 1 카도어(C1)의 개폐를 안내하는 제 1 카도어 레일(700) 및 제 2 카도어(C2) 측 고정프레임(100) 상에 설치되며 제 2 카도어 행거(500)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 2 카도어(C2)의 개폐를 안내하는 제 2 카도어 레일(800)을 더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제 1 카도어 레일(700) 및 제 2 카도어 레일(800)이 맞닿는 측면에 인터록장치(미도시)가 구비 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인터록장치는 엘리베이터가 정지하지 않는 층의 도어에서 전용열쇠를 사용하지 않으면 열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를 보호하는 도어록과 도어록이 잠기지 않거나 양측 카도어(C)가 닫혀있지 않으면 승강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도어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즉, 도어스위치는 도어록이 잠기고 양측 카도어(C)가 닫혀있어야 승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제 1 카도어 레일(700)은 제 1 카도어(C1)가 제 1 카도어 레일(700)의 끝에서 이탈되는 것 방지 위해 제 1 스톱퍼(미도시)가 구비 될 수 도 있고, 제 2 카도어 레일(800)은 제 2 카도어(C2)가 제 2 카도어 레일(800)의 끝에서 이탈되는 것 방지 위해 제 2 스톱퍼(미도시)가 구비 될 수 도 있다.
또한, 제 1 카도어 행거(400)는 제 1 카도어 레일(700)의 상측 및 하측으로 접촉되며 제 1 카도어 레일(70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1 롤러부(410)를 구비한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 1 카도어 행거(400)는 제 1 롤러부(410)를 통해 제 1 카도어 레일(700)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 1 카도어(C1)의 이동경로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카도어 행거(500)는 제 2 카도어 레일(500)의 상측 및 하측으로 접촉되며 제 2 카도어 레일(80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2 롤러부(510)를 구비한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 2 카도어 행거(500)는 제 2 롤러부(510)를 통해 제 2 카도어 레일(800)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 2 카도어(C2)의 이동경로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양측 카도어(C)가 개폐되는 메카니즘에 대해 설명하면, 타이밍벨트(330)는 제 1 풀리부(310) 및 제 2 풀리부(320)에 걸쳐 설치되므로 어느 한 풀리부를 거치기 전의 이동방향과 거친 후의 이동방향이 반대가 된다. 다시 말해, 제 1 풀리부(310) 및 제 2 풀리부(320) 사이의 타이밍벨트부(330)의 어느 한 지점을 생각할 때, 타이밍벨트부(330)가 회전하여 그 지점이 제 1 풀리부(310)로부터 제 2 풀리부(320)로 이동하게 되어 제 2 풀리부(320)를 지나가게 되면 제 2 풀리부(320)로부터 제 1 풀리부(310)로 이동하게 되어 이전의 제 1 풀리부(310)로부터 제 2 풀리부(320)로 이동했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타이밍벨트(330) 상에서 어느 한 풀리부를 거친 후의 지점들과 거치기 전의 지점들은 이동방향이 반대가 된다.
여기서, 구동유닛(300), 제 1 카도어 행거(400) 및 제 2 카도어 행거(500)를 정리하면, 구동유닛(300)의 타이밍벨트(330) 상 상호 이동방향이 반대가 되는 지점에 제 1 카도어 행거(400) 및 제 2 카도어 행거(500)가 결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양측 카도어(C)의 개폐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제어모듈(600)은 구동모터(2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며, 고정프레임(100) 상에 설치된다.
또한, 제어모듈(600)은 양측 카도어(C) 개폐시 구동되는 구동모터(200)의 회전수값을 엔코더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 회전수값 초과시, 구동모터(200)의 작동상태를 정지시킬 수 도 있다.
부가적으로, 제어모듈은 구동모터(200)의 작동상태를 정지시킬 뿐 만 아니라 작동시켜 양측 카도어(C)의 개폐를 진행 할 수 도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양측 카도어(C)의 개폐시에 승객 혹은 이물질 등이 카도어(C)에 걸려 개폐도중 개폐가 불가능해 질 경우, 제어모듈(600)은 엔코더로부터 개폐가 진행되던 동안 수신된 회전수값을 기준으로 구동모터(200)를 개폐가 진행되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카도어(C)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고, 소정의 시간이 흐른 뒤 다시 카도어(C)를 개폐시킬 수 도 있다.
2.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의 구조로 인한 엘리베이터 내부 공간활용도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20, 이하 ‘종래 개폐 장치’이라 함)의 구조 및 구성과 공간활용도에 대해 설명하면, 종래 개폐 장치(20)는 고정프레임(1000); 구동모터(2000); 제 1 벨트(3100), 1차 풀리(3200), 제 2 벨트(3300), 2차 풀리(3400) 및 암(3500)을 포함하는 구동유닛(3000); 도어행거(4000); 카도어 레일(50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개폐 장치(20)의 구동유닛(3000)은 구동모터(2000)에 결합된 모터풀리와 1차 풀리(3200)에 걸쳐 설치되는 제 1 벨트(3100), 1차 풀리(3200)와 2차 풀리(3400)에 걸쳐 설치되는 제 2 벨트(3300), 제 2 벨트(3300)와 도어행거를 연결하는 암(3500)을 포함한다.
종래 개폐 장치(20)는 엘리베이터(E)의 상단에 설치되고 고정프레임(1000)의 일측에 관통 연결된 구동모터(2000)가 회전운동을 통해 생성하는 구동력이 제 1 벨트(3100) - 1차 풀리(3200) - 제 2 벨트(3300) - 2차 풀리(3400) - 암(3500)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도어행거(4000)의 이동 및 카도어(C)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개폐 장치(20)는 카도어(C)를 개폐하는데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3000)이 많은 구성을 필요로 하고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졌다.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E)는 승객이 탑승하는 공간인 카(D)의 높이(H)를 확장시키는 것이 엘리베이터(E) 상단에 설치된 구동모터(2000)로 인해 제한되어 공간활용도가 낮았다.
즉, 구동모터(2000)의 높이(h)만큼의 빈 공간을 다른 용도로 사용 할 수 없었다.
도 4를 참조하여,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10)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구조 및 공간활용도에 대해 설명하면,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10)는 고정프레임(100)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00)가 회전운동을 통해 생성하는 구동력을 구동모터(200)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 1 풀리부(310)와 타이밍벨트부(330)를 통해 제 1 카도어 행거(400) 및 제 2 카도어 행거(500)로 전달하여 카도어(C)가 개폐되도록 하여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구동모터(200)가 고정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종래 개폐 장치(20)가 설치된 엘리베이터(E) 상단의 구동모터(2000)가 설치되었었던 공간을 통해 카(D)의 높이(H+h)가 확장되어, 엘리베이터(E) 내부 카(D)의 공간이 넓어져 공간활용도가 높아진다.
즉, 종래 개폐 장치(20)가 설치된 엘리베이터(E)의 카(D)의 높이(H)에 비해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10)가 설치된 엘리베이터(E)는 더 높은 카(D)의 높이(H+h)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100 : 고정프레임
200 : 구동모터
300 : 구동유닛
310 : 제 1 풀리부
320 : 제 2 풀리부
330 : 타이밍벨트부
400 : 제 1 카도어 행거
410 : 제 1 롤러부
500 : 제 2 카도어 행거
510 : 제 2 롤러부
600 : 제어모듈
700 : 제 1 카도어 레일
800 : 제 2 카도어 레일
C : 양측 카도어
C1 : 제 1 카도어
C2 : 제 2 카도어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양측 카도어 상단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최상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제 1 카도어 측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 1 풀리부, 제 2 카도어 측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풀리부와 대칭을 이루는 제 2 풀리부 및 상기 제 1 풀리부 및 제 2 풀리부에 걸쳐 설치되는 타이밍벨트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일단은 상기 제 1 카도어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타이밍벨트부 중 카도어 개방시, 상기 제 2 풀리부로부터 상기 제 1 풀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에 연결되는 제 1 카도어 행거;
    일단은 상기 제 2 카도어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타이밍벨트부 중 카도어 개방시, 상기 제 1 풀리부로부터 상기 제 2 풀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에 연결되는 제 2 카도어 행거; 및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며,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도어 측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카도어 행거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 1 카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제 1 카도어 레일; 및
    상기 제 2 카도어 측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카도어 행거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 2 카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제 2 카도어 레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도어 행거는 상기 제 1 카도어 레일의 상측 및 하측으로 접촉되며 상기 제 1 카도어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1 롤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도어 행거는 상기 제 2 카도어 레일의 상측 및 하측으로 접촉되며 상기 제 2 카도어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 2 롤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일측에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수값을 상기 제어모듈에 송신하는 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엔코더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값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 회전수값 초과시, 상기 구동모터 작동상태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KR1020160002645A 2016-01-08 2016-01-08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KR101865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645A KR101865413B1 (ko) 2016-01-08 2016-01-08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645A KR101865413B1 (ko) 2016-01-08 2016-01-08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322A true KR20170083322A (ko) 2017-07-18
KR101865413B1 KR101865413B1 (ko) 2018-06-07

Family

ID=5943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645A KR101865413B1 (ko) 2016-01-08 2016-01-08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3989A (zh) * 2020-04-16 2020-08-28 开沃新能源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汽车线控自动门
KR102459919B1 (ko) 2022-05-04 2022-10-27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출입문이 탑승카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구비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782B1 (ko) * 2018-11-12 2020-05-07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용 엘리베이터 시뮬레이션 안전교육교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3763A (ja) * 1997-01-20 1998-08-0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ドア制御装置
KR20090022262A (ko) * 2007-08-30 2009-03-0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7027B2 (ja) * 2008-01-11 2013-05-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111163B1 (ko) * 2011-07-19 2012-02-24 세화정공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출입구 폭 이내 구간에 설치되는 카도어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3763A (ja) * 1997-01-20 1998-08-0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ドア制御装置
KR20090022262A (ko) * 2007-08-30 2009-03-0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3989A (zh) * 2020-04-16 2020-08-28 开沃新能源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汽车线控自动门
KR102459919B1 (ko) 2022-05-04 2022-10-27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출입문이 탑승카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구비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413B1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9567B1 (ja) 乗り場扉ロック装置
EP2358626B1 (en)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JP6270962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機構付き係合装置
JP5755033B2 (ja) 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RU210701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шахтной двери с дверью кабины лифта для их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варианты)
JP6232503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1114863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865413B1 (ko)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KR20000038410A (ko)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
US20090301821A1 (en) Elevator entrance apparatus
WO2009128155A1 (ja) エレベーター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WO201813889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075734B1 (ko) 자동문 개폐장치
JP200830300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側ドア施錠装置
CN209618632U (zh) 一种齿轮齿条传动式电梯门机装置
CN112499446A (zh) 一种井道升降机轿厢的自动水平门装置
CN114104927B (zh) 电梯门结构及电梯
US3436863A (en) Door operating means
JP6195588B2 (ja) ホーム柵
WO2017199426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319712B2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JP2020059598A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2017019603A (ja) ドア装置
JP6079882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09298537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