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919B1 - 출입문이 탑승카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구비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출입문이 탑승카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구비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919B1
KR102459919B1 KR1020220055332A KR20220055332A KR102459919B1 KR 102459919 B1 KR102459919 B1 KR 102459919B1 KR 1020220055332 A KR1020220055332 A KR 1020220055332A KR 20220055332 A KR20220055332 A KR 20220055332A KR 102459919 B1 KR102459919 B1 KR 102459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r
timing belt
hall
wir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20055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185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문이 탑승카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구비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출입문이 탑승카의 진행방향과 직각인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탑승카(20)에 구비되는 카도어가 탑승카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인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20)의 상부에 카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카도어 구동장치가 구비되며, 승강장에 구비되는 홀도어가 상기 카도어와 대응되게 승강로의 측면에 구비되고, 최하부층과 최상부층 외에 중간층에도 홀도어가 구비되며, 각 승강장의 홀도어 상부에 홀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홀도어 구동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카도어 구동장치는 탑승카에 구비된 카도어를 개폐하고, 상기 홀도어 구동장치는 승강장에 구비된 홀도어를 개폐하되, 동기화장치에 의해 상기 카도어와 홀도어를 동시에 개폐하고, 타이밍벨트(62a)에 고정되어 이동하는 이동부재(63)에 의해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를 기계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출입문이 탑승카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구비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DOOR OPENING, CLOSING AND LOCKING APPARATUS OF INCLINED ELEVATOR HAVING A DOOR PERPENDICULAR TO CAR MOVING DIRECTION}
본 발명은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문이 탑승카의 진행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구비된 경사형 엘리베이터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하는 탑승카가 승강장에 설치된 홀 도어의 개폐장치와 충돌 또는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는, 고층건물 등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원하는 층으로 운송시킨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중에 일정 각도로 설치된 경사로를 따라 사선방향으로 승강하는 엘리베이터가 있는데, 이를 통상 경사형 엘리베이터라 한다.
상기한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계단의 옆 또는 주변 여건상 수직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가 곤란한 장소에 설치되어, 일반 승객은 물론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휠체어 이용자나 유모차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와이어 로프에 의해 구동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로(10)를 따라 이동하는 탑승카(20)와, 상기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와, 상기 탑승카(20)와 카운터웨이트(40)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50)와, 상기 와이어 로프(50)가 감긴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31a)를 구동하는 구동부(31)와, 상기 와이어 로프(50)를 안내하는 중간 시브(33,34)와, 탑승카(10)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31), 중간 시브(33,34) 및 제어반(32)은, 승강로(10)의 상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기계실(30)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로(10)의 양측에는 탑승카(1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이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10)의 하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카운터웨이트(40)는, 별도의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을 따라 상기 탑승카(20)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한다.
그리고 와이어 로프(50)의 일단은, 상기 탑승카(1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시브(33), 트랙션 시브(31a), 제2시브(34)를 거쳐 카운터웨이트(40)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트랙션 시브(31a)을 정/역회전시킴으써 탑승카(10)를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가 있다.
한편 경사형 엘리베이터 중에는, 와이어 로프를 사용하지 않고 랙과 피니언에 의해 탑승카를 구동시키는 방식도 있다.
그리고 출입문이 탑승카의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종래의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20)의 전방에 한 쌍의 전방 카도어(20a)가 구비되고, 탑승카의 후방에 한 쌍의 후방 카도어(10b)가 구비된다.
또한 최하층의 승강장에는, 상기 탑승카의 전방 카도어(20a)와 대응되는 하부 홀도어(10a)가 구비되고, 최상층의 승강장에는 상기 탑승카의 후방 카도어(20b)와 대응되는 상부 홀도어(10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방 카도어(20a)와 하부 홀도어(1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카도어(20a)에 구비된 칼날 형상의 베인(Vane)(10d)에 의해 동시에 개폐된다.
즉 도어가 열릴 때에는, 탑승카에 구비된 카도어 구동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카도어에 장착된 베인(10d)이 홀도어에 구비된 한 쌍의 인터록 롤러(10c) 사이에 진입하도록 한다.
이어서 카도어가 오픈 방향으로 움직이면, 인터록 롤러가 밀리면서 도어 인터록 장치의 잠금장치(도시 생략)가 해제된다.
그리고 전기 안전스위치가 풀리면서 카도어(20a)가 홀도어(10a)를 끌고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인터록 장치는, 하부 홀도어(10a)에 구비된 인터록 롤러(10c)의 이동에 의해 전기 스위치를 작동시켜 잠금부 노치가 도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어가 닫히면, 인터록 장치의 잠금장치와 안전스위치가 닫혀 도어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고, 카도어(20a)의 베인(10d)이 인터록 롤러(10c)와 이격된 후 탑승카(20)가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방 카도어(20a)와 하부 홀도어(1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카도어(20a)에 구비된 커플링 장치(10e)에 의해 동시에 개폐될 수도 있다.
상기 커플링 장치(10e)는, 한 쌍의 인터록 롤러(10c) 전체를 홀딩하여 하부 홀도어(10a)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그 작동방식은 기본적으로 상기한 베인을 이용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상기한 구조의 경사형 엘리베이터에서, 탑승자가 승강장에 구비된 승강버튼을 누르면, 탑승카(20)에 구비된 도어 구동모터가 작동하여 한 쌍의 카도어(20a)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카도어(20a)에 구비된 베인(10d) 또는 커플링 장치(10e)에 의해 홀 도어(10a)도 동시에 개방된다..
이어서 탑승카가 최상층에 도착하게 되면, 후방 카도어(20b)와 상부 홀도어(10b)는, 전방 카도어(20a)와 하부 홀도어(10a)와 동일한 방식으로 개폐된다.
그런데 상기한 베인(10d) 또는 커플링 장치(10d)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종래의 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도어와 홀도어가 탑승카의 승강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도어와 홀도어가 탑승카(20)의 승강방향과 직각이고, 최하층과 최상층 사이의 중간층에 홀도어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베인(10d) 또는 커플링 장치(10e)에 의해 도어를 개폐할 수가 없다.
이는 탑승카(20)가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할 때, 카도어에 구비되는 베인(10d)) 또는 커플링 장치(10e)와 홀 도어에 구비되는 인터록 롤러(10c)의 측면과 충돌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카도어와 홀도어가 경사로의 측면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탑승카(20)가 홀도어를 스쳐 지나면서 승강하기 때문에, 상기 베인(10d) 또는 커플링 장치(10e)를 이용하여 카도어와 홀도어를 동시에 개폐할 수가 없다.
따라서 베인 또는 커플링 장치를 이용한 종래의 도어 개폐방식은, 도어가 탑승카의 승강방향과 직각일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베인 또는 커플링 장치를 이용한 종래의 도어 개폐방식은, 출입문이 탑승카의 진행방향과 동일하므로, 최하층과 최상층에서만 도어를 개폐할 수가 있다.
이로써 최하층과 최상층 사이의 중간층에서 승객이 탑승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가 없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도어 개폐방식은, 베인(10d) 또는 커플링 장치(10e)와 인터록 롤러(10c)와의 간극(약 5~6mm)을 정확히 유지하면서 작동시키기가 어렵다.
특히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탑승카(20)가 수직으로 승강하는 통상의 엘리베이터보다 상기한 간극 유지가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이로써 베인(10d) 또는 커플링 장치(10e)가 인터록 롤러(10c)와의 충돌에 의해 파손될 수 있고, 도어의 구동이 불가능해져 승객이 탑승카에 갇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탑승카에 갇힌 승객의 구출시, 갑작스런 스위치 작동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 한국 등록특허 제10-2242504호(2021. 04. 20. 공고) :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83322호(2017. 07. 18. 공개) : 한국 등록특허 제10-1727187호(2017. 04. 17. 공고) : 한국 공개특허 제10-0112636호(2016. 09. 28.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출입문이 탑승카의 진행방향과 직각인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입문이 탑승카의 진행방향과 직각인 경사형 엘리베이터가 승강할 때, 탑승카와 인터록 롤러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와 홀도어가 충돌되지 않고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록 장치를 기계적 작동방식으로 구성하여 도어 개폐장치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다양한 주변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이 탑승카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설치되는 경우, 관통형 출입문 방식을 적용할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로와, 상기 경사로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경사지게 이동하는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에 구비되는 카도어가, 탑승카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인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의 상부에, 타이밍벨트와 타이밍벨트 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카도어를 구동하는 카도어 구동장치가 구비되며, 승강장에 구비되는 홀도어가 상기 카도어와 대응되게 승강로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홀도어는 최하부층과 최상부층 및 중간층에 구비되며, 각 승강장의 홀도어 상부에, 타이밍벨트와 타이밍벨트 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홀도어를 구동하는 홀도어 구동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카도어 구동장치는 탑승카에 구비된 카도어를 개폐하고, 상기 홀도어 구동장치는 승강장에 구비된 홀도어를 개폐하되, 동기화장치에 의해 상기 카도어와 홀도어를 동시에 개폐하고, 상기 타이밍벨트에 고정되어 이동하는 이동부재에 의해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를 기계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도어 구동장치는, 카도어 구동모터와 동축상에 구비되는 모터 풀리와, 상기 모터 풀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타이밍벨트가 감겨지는 한 쌍의 타이밍벨트 풀리와, 상기 타이밍벨트 풀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연동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 풀리와, 상기 타이밍벨트 및 연동 와이어로프와 연결되어, 제1 도어행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카도어를 개폐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카도어를 잠그거나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도어 구동장치는, 홀도어 구동모터와 동축상에 구비되는 모터 풀리와, 상기 모터 풀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타이밍벨트가 감겨지는 한 쌍의 타이밍벨트 풀리와, 상기 타이밍벨트 풀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연동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 풀리와, 상기 타이밍벨트 및 연동 와이어로프와 연결되어, 제1 도어행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도어를 개폐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도어의 상부에 제1 도어행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도어행거는, 이동부재에 의해 타이밍벨트와 같이 이동하여 제1도어를 개폐하고, 상기 제2도어의 상부에 제2 도어행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도어행거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동 와이어로프와 같이 이동하여 제2도어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는, 제1 도어행거에 구비되는 상부 인터록 롤러와, 상기 상부 인터록 롤러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인터록 롤러와, 상기 상부 인터록 롤러 및 하부 인터록 롤러와 연결되는 상부 후크와, 상기 상부 후크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후크는 제1 조립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조립체는 제1 도어행거에 고정되어 같이 이동하고, 상기 하부 후크는 제2 조립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조립체는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중간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후크의 상부에 인터록 스위치가 구비되고, 제1도어와 제2도어 중간위치에 고정되는 제2 조립체에, 상기 인터록 스위치의 전기접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타이밍벨트에 상부가 각각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타이밍벨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부재가 상부 인터록 롤러를 수평방향으로 밀어서 상부 후크와 하부 후크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나사축에 조립되어, 상부 인터록 롤러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도어행거는, 이동부재에 의해 아래쪽 타이밍벨트에 고정되어 타이밍벨트의 회전에 따라 제1도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도어행거는, 윗쪽 와이어로프와 연결되어, 아래쪽 타이밍벨트와 윗쪽 와이어로프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도어행거는, 연결부재에 의해 아래쪽 와이어로프와 고정되어 제2 도어를 제1 도어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도어행거의 상부 일측에 도어 클로즈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도어행거의 상부 타측에 도어 오픈 센서가 구비되어, 도어의 닫힘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후크의 안쪽에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후크에, 상부 후크의 걸림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걸림 해제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 해제부재는, 잠금 해제로프에 의해 잠금 해제레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 해제레버는, 캠부재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걸림 해제부재를 들어올림으로써, 상부 후크를 하부 후크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어의 일측에 도어 카운터웨이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운터웨이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구동도어인 제1도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입문이 탑승카의 진행방향과 직각인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입문이 탑승카의 진행방향과 직각인 경사형 엘리베이터가 승강할 때, 인터록 롤러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인 또는 커플장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카도어와 홀도어를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베인 또는 커플링 장치와 인터록 롤러와의 충돌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록 장치를 기계적 작동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도어 개폐장치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다양한 주변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이 탑승카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설치되는 경우, 관통형 출입문 방식을 적용할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출입문이 탑승카의 진행방향으로 구비된 종래의 경사형 엘리베이터의평면 배치도.
도 3은 베인을 이용한 종래의 도어 개폐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커플링 장치를 이용한 종래의 도어 개폐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평면 배치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측면 배치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일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잠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에서 개폐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는 탑승카(20)에 구비되는 도어를 '카도어'라 하고, 승강장에 구비되는 도어를 '홀도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루프 형태로 구비되는 타이밍벨트 및 와이어로프에서, 윗쪽이라 함은 풀리의 상부측을 의미하고, 아래쪽이라 함은 풀리의 하부측을 의미한다.
<제1 실시예>
도 5 내지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로(10)와, 상기 경사로(10)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경사지게 이동하는 탑승카(20)와, 상기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20)에 구비되는 카도어가 탑승카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인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20)의 상부에 카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카도어 구동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승강장에 구비되는 홀도어가 상기 카도어와 대응되게 승강로의 측면에 구비되고, 최하부층과 최상부층 외에 중간층에도 홀도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승강장의 홀도어 상부에, 홀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홀도어 구동장치가 별도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카도어 구동장치는 탑승카에 구비된 카도어를 개폐하고, 상기 홀도어 구동장치는 승강장에 구비된 홀도어를 개폐하되, 동기화장치에 의해 상기 카도어와 홀도어를 동시에 개폐한다.
탑승카(20)에 구비되는 카도어 구동장치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도어 구동모터(61d)와 동축상에 구비되는 모터 풀리(61b)와, 상기 모터 풀리(61b)의 하부에 배치되어 타이밍벨트(62a)가 감겨지는 한 쌍의 타이밍벨트 풀리(62)와, 상기 타이밍벨트 풀리(62)의 하부에 배치되어 연동 와이어로프(64a)가 감겨지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 풀리(64)와, 상기 타이밍벨트(62a) 및 연동 와이어로프(64a)와 연결되어, 제1 도어행거(73a)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카도어를 개폐하는 이동부재(63)와, 상기 이동부재(63)의 하부에 구비되어 카도어를 잠그거나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승강장에 구비되는 홀도어 구동장치는, 홀도어 구동모터(61e)와 동축상에 구비되는 모터 풀리(61b)와, 상기 모터 풀리(61b)의 하부에 배치되어 타이밍벨트(62a)가 감겨지는 한 쌍의 타이밍벨트 풀리(62)와, 상기 타이밍벨트 풀리(62)의 하부에 배치되어 연동 와이어로프(64a)가 감겨지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 풀리(64)와, 상기 타이밍벨트(62a) 및 연동 와이어로프(64a)와 연결되어, 제1 도어행거(73a)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홀도어를 개폐하는 이동부재(63)와, 상기 이동부재(63)의 하부에 구비되어 홀도어를 잠그거나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도어 개폐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도어 개폐장치와 대칭구조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홀도어 개폐장치와 카도어 개폐장치는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카도어 개폐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카도어를 제1도어(D1)와 제2도어(D2)로 칭하기로 한다. .
또한 본 발명은,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D1)의 상부에는 제1 도어행거(73a)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도어행거(73a)는, 이동부재(63)에 의해 타이밍벨트(62a)와 연결되어 제1도어(D1)와 함께 움직인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D2)의 상부에는 제2 도어행거(73b)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도어행거(73b)는, 연결부재(73e)에 의해 연동 와이어로프(64a)에 고정되어 제2도어(D2)와 함께 움직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행거(73a)에 구비되는 상부 인터록 롤러(71a)와, 상기 상부 인터록 롤러(71a)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인터록 롤러(71b)와, 상기 상부 인터록 롤러(71a) 및 하부 인터록 롤러(71b)와 연결되는 상부 후크(71c)와, 상기 상부 후크(71c)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후크(7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후크(71c)는 제1 조립체(70a)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조립체는 제1 도어행거(73a)에 고정되어 같이 제1도어(D1)와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후크(71d)는 제2 조립체(70b)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조립체(70b)는 제1도어(D1)와 제2도어(D2)의 중간위치에 고정된다.
상부 후크(71c)가 조립되는 제1 조립체(70a)는, 제1 도어행거(73a) 및 제1 도어(D1)와 함께 좌측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부 후크(71d)가 조립되는 제2 조립체(70b)는 도어의 중간부위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조립체(70b)는 도어의 개폐시 움직이지 않는다.
그리고 제2 도어행거(73b)와 제2도어(D2)는, 우측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후크(71c)의 상부에 인터록 스위치(72)가 구비되고, 제1도어(D1)와 제2도어(D2) 중간위치에 고정되는 제2 조립체(70b)에, 상기 인터록 스위치(72)의 전기접점이 구비된다.
상기 인터록 스위치(72)는, 도어의 록킹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반(61a)에 신호로 전달한다. 이로써 카도어가 완전히 잠긴 후 탑승카(20)가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도어인 제1도어(D1)측에 구비되는 이동부재(63)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부재(63)는, 제1도어( D1)와 제2도어(D2)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동시에 제1도어(D1)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이동부재(63)는, 타이밍벨트(62a) 및 윗쪽 연동 와이어로프(64a)와 연결되어 제1도어(D1)를 왼쪽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하부 연동 와이어로프(64a)에 연결된 제2도어(D2)가 우측에서 제1도어(D1)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도어(D1)와 제2도어(D2)는, 하부에 구비된 도어 씰(S)의 레일을 타고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63)는, 상기 타이밍벨트(62a)에 상부가 각각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63a) 및 제2 고정부재(63b)와, 상기 제1 고정부재(63a)와 제2 고정부재(63b)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조절부재(6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타이밍벨트(62a)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63c)가 상부 인터록 롤러(71b)를 수평방향으로 밀어서, 상부 후크(71c)와 하부 후크(71d)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63c)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제1 고정부재(63a)와 제2 고정부재(63b)를 연결하는 나사축(63d)에 조립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조절부재(63c)와 상부 인터록 롤러(71a)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부재(63c)가 상부 후크(71c)와 하부 후크(71d)의 잠금상태를 먼저 해제시킨 후 도어가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도어행거(73b)의 상부 일측에 도어 클로즈 센서(73c)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도어행거(73b)의 상부 타측에 도어 오픈 센서(73d)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클로즈 센서(73c) 및 도어 오픈 센서(73d)는, 도어의 닫힘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반(61a)에 신호를 전달한다.
이로써 도어가 완전히 닫힌 후에 탑승카(20)가 승강하도록 할 수 있고, 탑승카(20)가 승강중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비상시 또는 유지보수 작업시에 수동으로도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하부 후크(71d)에, 상부 후크(71c)의 걸림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걸림 해제부재(71e)가 더 구비된다.
상기 걸림 해제부재(71e)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로프(80e)에 의해 잠금 해제레버(8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 해제레버(80)는, 캠부재(80c)에 의해 힌지(80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걸림 해제부재(71e)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부 후크(71c)를 하부 후크(71d)로부터 이탈시켜 도어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후크(71d)의 안쪽에 스프링(71f)이 더 구비되어, 도어 잠금시 하부 후크(71d)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일측에 도어 카운터웨이트(C)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C)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구동도어인 제1도어(D1)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도어의 구동력을 감소시켜 도어 구동모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개폐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탑승자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구비된 스위치를 누르면, 카도어 구동모터(61d)가 모터 풀리(61b)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편의상 시계 방향을 정방향이라 한다).
그러면 구동벨트(61c)에 의해 연결된 오른쪽의 타이밍벨트 풀리(6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왼쪽의 풀리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아래쪽 타이밍벨트 풀리(62)에 연결된 이동부재(63)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63)에 구비된 조절부재(63c)가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상부 인터록 롤러(71a)를 왼쪽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상부 후크(71c)가 위로 약간 들리면서 하부 후크(71d)와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제1 도어행거(73a)와 제1도어(D1)가 왼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63)는 윗쪽 연동 와이어로프(64a)와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아래쪽 타이밍벨트(62a)가 왼쪽으로 이동하면, 윗쪽 와이어로프(64a)도 왼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도어행거(D2)는 아래쪽 와이어로프(64a)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도어(D2)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와이어로프(64a)가 루프 형태로 감겨져 있으므로, 윗쪽 와이어로프와 아래쪽 와이어로프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윗쪽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제1도어(D1)와 아래쪽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제2도어(D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도어행거(73a) 및 제1도어(D1)가 왼쪽으로 완전히 이동하고, 제2 도어행거(73b) 및 제2도어(D2)가 오른쪽으로 완전히 이동하면, 도어 오픈 센서(73d)가 이를 감지하여 도어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도 13c 참조).
이때 하부 후크(71d)가 구비된 제2조립체(70b)는 도어의 중앙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탑승카(20)에 승객이 탑승한 후 원하는 층을 누르면, 상기 구동모터가 모터 풀리(61b)를 역방향(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구동벨트(61c)에 의해 연결된 오른쪽의 타이밍벨트 풀리(6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왼쪽의 풀리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아래쪽 타이밍벨트 풀리(62)에 연결된 이동부재(63)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63)는 윗쪽 연동 와이어로프(64a)와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아래쪽 타이밍벨트(62a)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윗쪽 와이어로프(64a)도 오른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제2 도어행거(D2)는 아래쪽 와이어로프(64a)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도어(D2)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도어(D1)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상부 후크(71c)가 하부 후크(71d)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상부 후크(71c)는 하부 후크(71d)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간 후 서로 체결된다.
그리도 도어 클로즈 센서(73c)가 도어가 완전히 닫혔음을 감지하면, 도어 구동모터(61d)의 작동이 중지된다.
또한 상부 후크(71c)에 구비된 인터록 스위치(72)가 제2조립체(70b)에 구비된 접점과 접촉이 되면, 도어가 완전히 잠긴 것으로 인식한다.
그러면 탑승카(20) 구동부가 작동하여 탑승카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킨다.
카도어에 베인 또는 커플링 장치를 구비하여 카도어와 홀도어를 같이 개폐하는 종래의 방식은, 출입문이 탑승카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된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적용이 가능하다(도 2 참조).
즉 이 경우에는, 탑승카(20)가 최하층 홀도어(10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하고, 최상층 홀도어(10b)에 근접하여 정지하게 되므로, 탑승카와 홀도어 개폐장치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이 경우에는 최하층과 최상층에서만 도어를 개폐할 수가 있다.
그런데 현장 상황에 따라 최하층과 최상층 뿐만 아니라 중간층에도 홀도어(10g)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도 5 및 6 참조), 상기한 베인 또는 커플링 장치를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중간층 홀도어(10g)를 개폐할 수가 없다.
이는 탑승카(20)가 중간층에 구비된 홀도어(10d)를 경사진 방향으로 스쳐 지나가는 과정에서 인터록 롤러와의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카도어와 홀도어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되, 동기화장치에 의해 동시에 구동시킨다.
이로써 경사형 엘리베이터에서 최하층과 최상층 외에 중간층에도 정차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밍벨트(62a)에 고정되어 이동하는 이동부재(63)에 의해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를 기계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고장을 줄일 수 있고, 오작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경사로 10a: 하부 홀도어(Hall Door)
10b: 상부 홀도어 10c: 인터록 롤러(Interlock Roller)
10d: 베인(Vane) 10e: 커플링(Coupling) 장치
10f: 하층 홀도어 10g: 중간층 홀도어
10h: 상층 홀도어 20: 탑승카
20a: 전방 카도어(Car Door) 20b: 후방 카도어
20c: 측방 카도어 30: 기계실
31: 구동부 31a: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
32: 제어반 33: 제1시브(Sheave)
34: 제2시브 40: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50: 와이어로프(Wire Rope) 60: 도어 개폐장치
61a: 제어반 61b: 모터 풀리(Pulley)
61c: 구동벨트 61d: 카도어 구동모터
61e: 홀도어 구동모터
62: 타이밍벨트 풀리(Timing Belt Pulley)
62a: 타이밍벨트 63: 이동부재
63a: 제1 고정부재 63b: 제2 고정부재
63c: 조절부재 63d: 나사축
64: 와이어로프 풀리 64a: 연동 와이어로프
70a: 제1 조립체 70b: 제2 조립체
71a: 상부 인터록 롤러(Interrock Roller)
71b: 하부 인터록 롤러 71c: 상부 후크(Hook)
71d: 하부 후크 71e: 걸림 해제부재
71f: 스프링(Spring) 72: 인터록 스위치
73a: 제1 도어행거(Door Hanger) 73b: 제2 도어행거
73c: 도어 클로즈 센서(Close Sensor)
73d: 도어 오픈 센서(Open Sensor) 73e: 연결부재
80: 잠금 해제레버(Lever) 80a: 힌지(Hinge)
80b: 롤러(Roller) 80c: 캠부재
80d: 시브 80e: 잠금 해제로프
C: 카운터웨이트 D1: 제1도어
D2: 제2도어 S: 도어 씰(Door Sill)
W:와이어로프

Claims (18)

  1.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로(10)와, 상기 경사로(10)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경사지게 이동하는 탑승카(20)와, 상기 탑승카(20)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20)에 구비되는 카도어가, 탑승카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인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20)의 상부에, 타이밍벨트(62a)와 타이밍벨트 풀리(6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카도어를 구동하는 카도어 구동장치가 구비되며,
    승강장에 구비되는 홀도어가 상기 카도어와 대응되게 승강로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홀도어는 최하부층, 최상부층 및 그 중간층에 구비되며,
    각 승강장의 홀도어 상부에, 타이밍벨트(62a)와 타이밍벨트 풀리(6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홀도어를 구동하는 홀도어 구동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카도어 구동장치는 탑승카에 구비된 카도어를 개폐하고, 상기 홀도어 구동장치는 승강장에 구비된 홀도어를 개폐하되, 동기화장치에 의해 상기 카도어와 홀도어를 동시에 개폐하고,
    상기 타이밍벨트(62a)에 고정되어 이동하는 이동부재(63)에 의해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를 기계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도어 구동장치는,
    카도어 구동모터(61d)와 동축상에 구비되는 모터 풀리(61b)와,
    상기 모터 풀리(61b)의 하부에 배치되어 타이밍벨트(62a)가 감겨지는 한 쌍의 타이밍벨트 풀리(62)와,
    상기 타이밍벨트 풀리(62)의 하부에 배치되어 연동 와이어로프(64a)가 감겨지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 풀리(64)와,
    상기 타이밍벨트(62a) 및 연동 와이어로프(64a)와 연결되어, 제1 도어행거(73a)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카도어를 개폐하는 이동부재(63)와,
    상기 이동부재(63)의 하부에 구비되어 카도어를 잠그거나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도어 구동장치는,
    홀도어 구동모터(61e)와 동축상에 구비되는 모터 풀리(61b)와,
    상기 모터 풀리(61b)의 하부에 배치되어 타이밍벨트(62a)가 감겨지는 한 쌍의 타이밍벨트 풀리(62)와,
    상기 타이밍벨트 풀리(62)의 하부에 배치되어 연동 와이어로프(64a)가 감겨지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 풀리(64)와,
    상기 타이밍벨트(62a) 및 연동 와이어로프(64a)와 연결되어, 제1 도어행거(73a)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도어(D1)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63)와,
    상기 이동부재(63)의 하부에 구비되어 홀도어를 잠그거나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1도어(D1)의 상부에 제1 도어행거(73a)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도어행거(73a)는, 이동부재(63)에 의해 타이밍벨트(62a)와 같이 이동하여 제1도어(D1)를 개폐하고,
    제2도어(D2)의 상부에 제2 도어행거(73b)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도어행거(73b)는, 연결부재(73e)에 의해 연동 와이어로프(64a)와 같이 이동하여 제2도어(D2)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는,
    제1 도어행거(73a)에 구비되는 상부 인터록 롤러(71a)와,
    상기 상부 인터록 롤러(71a)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인터록 롤러(71b)와,
    상기 상부 인터록 롤러(71a) 및 하부 인터록 롤러(71b)와 연결되는 상부 후크(71c)와,
    상기 상부 후크(71c)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후크(71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후크(71c)는 제1 조립체(70a)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조립체는 제1 도어행거(73a)에 고정되어 같이 이동하고,
    상기 하부 후크(71d)는 제2 조립체(70b)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조립체(70b)는 제1도어(D1)와 제2도어(D2)의 중간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후크(71c)의 상부에 인터록 스위치(72)가 구비되고,
    제1도어(D1)와 제2도어(D2) 중간위치에 고정되는 제2 조립체(70b)에, 상기 인터록 스위치(72)의 전기접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63)는,
    상기 타이밍벨트(62a)에 상부가 각각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63a) 및 제2 고정부재(63b)와,
    상기 제1 고정부재(63a)와 제2 고정부재(63b)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조절부재(63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타이밍벨트(62a)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부재(63c)가 상부 인터록 롤러(71b)를 수평방향으로 밀어서 상부 후크(71c)와 하부 후크(71d)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63c)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제1 고정부재(63a)와 제2 고정부재(63b)를 연결하는 나사축(63d)에 조립되어, 상부 인터록 롤러(71a)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행거(73a)는, 이동부재(63)에 의해 아래쪽 타이밍벨트(62a)에 고정되어 타이밍벨트(62a)의 회전에 따라 제1도어(D1)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행거(73a)는, 윗쪽 와이어로프(64a)와 연결되어, 아래쪽 타이밍벨트(64a)와 윗쪽 와이어로프(64a)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행거(73b)는, 연결부재(73e)에 의해 아래쪽 와이어로프(64a)와 연결되어 제2 도어(D2)를 제1 도어(D1)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행거(73b)의 상부 일측에 도어 클로즈 센서(73c)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도어행거(73b)의 상부 타측에 도어 오픈 센서(73d)가 구비되어, 도어의 닫힘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후크(71d)의 안쪽에 스프링(71f)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후크(71d)에,
    상부 후크(71c)의 걸림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걸림 해제부재(71e)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해제부재(71e)는, 잠금 해제로프(80e)에 의해 잠금 해제레버(8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레버(80)는,
    캠부재(80c)에 의해 힌지(80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걸림 해제부재(71e)를 들어올림으로써, 상부 후크(71c)를 하부 후크(71d)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의 일측에 도어 카운터웨이트(C)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C)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구동도어인 제1도어(D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KR1020220055332A 2022-05-04 2022-05-04 출입문이 탑승카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구비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KR102459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332A KR102459919B1 (ko) 2022-05-04 2022-05-04 출입문이 탑승카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구비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332A KR102459919B1 (ko) 2022-05-04 2022-05-04 출입문이 탑승카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구비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919B1 true KR102459919B1 (ko) 2022-10-27

Family

ID=8381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332A KR102459919B1 (ko) 2022-05-04 2022-05-04 출입문이 탑승카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구비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9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268U (ja) * 1992-03-13 1993-10-1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斜行エレベータのドア係合装置
KR20100112636A (ko) 2002-07-29 2010-10-19 신플리시티, 엘엘씨 집적회로 장치 및 집적회로 장치를 설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27187B1 (ko) 2015-11-27 2017-04-17 에이스코리아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카도어 락킹장치
KR20170083322A (ko) 2016-01-08 2017-07-18 김택우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KR102242504B1 (ko) 2020-09-25 2021-04-20 (주)금호엘리베이터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좌우 개폐식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268U (ja) * 1992-03-13 1993-10-1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斜行エレベータのドア係合装置
KR20100112636A (ko) 2002-07-29 2010-10-19 신플리시티, 엘엘씨 집적회로 장치 및 집적회로 장치를 설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27187B1 (ko) 2015-11-27 2017-04-17 에이스코리아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카도어 락킹장치
KR20170083322A (ko) 2016-01-08 2017-07-18 김택우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KR102242504B1 (ko) 2020-09-25 2021-04-20 (주)금호엘리베이터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좌우 개폐식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의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0220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
JP6250190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WO2006097997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扉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CN109071179B (zh) 电梯装置
EP2014599A1 (en) Elevator device
KR102459919B1 (ko) 출입문이 탑승카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구비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및 잠금장치
JP6758539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KR100462453B1 (ko) 엘리베이터 출입문장치
JPH081222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580275B2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6440920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720405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6626932B1 (ja) 戸開走行制限装置
JP2016145092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24134727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2413472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7425528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CN113998570B (zh) 电梯装置
WO2023053320A1 (ja) エレベータードア装置
WO2023199507A1 (ja) エレベーター
JPH04292392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
CN109850731B (zh) 电梯
KR970004191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객 추락 방지장치
KR960003970Y1 (ko) 엘리베이터 미끌림 방지장치
CN112390118A (zh) 电梯的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