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344A -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344A
KR20240058344A KR1020220138983A KR20220138983A KR20240058344A KR 20240058344 A KR20240058344 A KR 20240058344A KR 1020220138983 A KR1020220138983 A KR 1020220138983A KR 20220138983 A KR20220138983 A KR 20220138983A KR 20240058344 A KR20240058344 A KR 20240058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ar door
door
guid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에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에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에스템
Priority to KR1020220138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344A/ko
Publication of KR20240058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34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승강구에 도착하였을 때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장치의 록킹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 지게 하여 승객의 갇힘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엘리베이터카의 좌우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 중에서 상기 제1카도어(14)에 장착된 베이스(22); 제2카도어(16)에 장착된 록킹래치(32);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록킹링크(3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개방될 때에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 푸셔(122)에 의해 상승하는 록킹 밴날개(34); 상기 베이스(22)와 상기 록킹 밴날개(34)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록킹 밴날개(34)의 승강에 따라 상기 록킹래치(32)에 결합해제되거나 결합되는 회동록킹편(36); 상기 록킹 밴날개(34)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가동링크(4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 밴날개(44);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탑프레임(12)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250); 상단에 가이드롤러(240)를 구비하며 하단은 가동 밴날개(44)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22)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링크(200)로 구성하여,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개방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에서 이탈하면서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상기 언록킹 퓨셔(122)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록킹 밴날개(34)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Supporting device for elevator door unlocking}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승강구에 도착하였을 때 엘리베이터 도어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장치의 작동이 안되어 엘리베이터 잠금사고가 발생하는 사례가 있는데, 본 발명은 새로운 구성을 적용하여 록킹풀림 작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되는 카도어와 건물 각층에서 승강로와 연통하는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층에서의 승객의 승하차 출입을 위해서는 카도어와 승강장 도어를 동시에 개폐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카도어가 정상적으로 승객이 승하차하는 각층의 승강장에 도달하고,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승강장 도어와 같이 열리는 상태가 아닐 때에 임의로 카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잠금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에 도착하였다 하더라도 승객의 안전을 위한 잠금장치의 풀림이 진행되지 않으면, 승강장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어 승객이 엘리베이터카에 갇히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엘리베이터카 상부에 위치하는 탑프레임(12)에는 밴캠(13)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밴캠(13)에는 상승가이드부(13a)를 구비한다. 상기 밴캠(13)의 상승가이드부(13a)는 좌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연관있는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된 록킹풀림장치는 엘리베이터카의 좌우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 중에서 상기 제1카도어(14)에 장착된 베이스(22)와, 제2카도어(16)에 장착된 록킹래치(32)와,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록킹링크(3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개방될 때에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 푸셔(122)에 의해 상승하는 록킹 밴날개(34)와, 상기 베이스(22)와 상기 록킹 밴날개(34)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록킹 밴날개(34)의 승강에 따라 상기 록킹래치(32)에 결합해제되거나 결합되는 회동록킹편(36)과, 상기 록킹 밴날개(34)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가동링크(4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 밴날개(44)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되어있다.
도 1은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닫힌 상태서 엘리베이터카가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안내롤러(47)가 밴캠(13)의 상부에 올라가 있으므로 가동 밴날개(44)는 상승된 상태이고 록킹 밴날개(34)와는 일정간격을 두고 있다. 이때에는 록킹 밴날개(34)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한 상태이고 회동록킹편(36)은 록킹래치(32)와 결합된 상태로 되어있으므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것이다.
이후, 도 3에서와같이,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에 도착하게 되면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푸셔(122)는 가동 밴날개(44)와 록킹 밴날개(3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도시하지 않은 위치감지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카도어의 개방신호를 발생하게 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개방을 위한 구동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도 4에서, 승강장 래치후크(124)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푸셔(122)(롤러형으로 설치되어 있음)가 록킹 밴날개(34)를 상승위치로 가압하여 주게된다. 이때 록킹 밴날개(34)는 록킹링크(34a)의 회전궤적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록킹밴날개(34)가 힌지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회동록킹편(36)을 밀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하여 록킹레치(32) 로부터 결합이 해제되어, 도어를 열수 있는 상태가되는 것이다.
이후,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는 승강장 제1도어와 승강장 제2도어와 함께 열릴수 있는 상태가 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카도어(14)의 이동초기에 안내롤러(47)는 밴캠(13)의 가이드부(13a)를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 가동 밴날개(44)는 하방으로 회전하고 언록킹푸셔(122)는 가동 밴날개(44)와 록킹 밴날개(34)에 의하여 그립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카도어(14)와 함께 개방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에 도착하였을 때 언로킹푸셔(122)가 록킹 밴날개(34)를 밀어올려주는 힘 만으로 전술한 회동록킹편(36) 등으로 구성된 제1카도어(14) 및 제2카도어(16)의 록킹장치(120)를 해제하여야 하였는데, 상기 록킹 밴날개(34)의 회전이 잘 안되어서 록킹장치(120)의 해제가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어 록킹 밴날개(34)의 작동과 연관된 부품으로서, 힌지, 베어링, 스프링, 링크의 접동부 등이 습기로 부식되거나 노후화로 인하여 부하가 많이 걸리기도 하는 원인으로, 상대적으로 언로킹푸셔(122)의 미는 힘이 부족하게 되면, 즉 록킹장치(120)의 언록킹푸셔(122)(롤러형으로 설치되어 있음)가 록킹 밴날개(34)를 상승위치로 가압하여 주어야하지만, 힘이 부족하면, 록킹 밴날개(34)는 록킹링크(34a)의 회전궤적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록킹밴날개(34)가 힌지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회동록킹편(36)을 밀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하여 록킹레치(32) 로부터 결합이 해제되어야 하지만 힘의 부족으로 인하여 해제가 되지 못하므로, 도어를 열수 없는 상태가되는 것이다.
따라서 록킹장치(120)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회동록킹편(36)이 록킹레치(32)에 걸린 상태에서 카도어를 여는 동작만 반복하는 등 갇힘 사고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언로킹푸셔(122)의 경우 승강장 도어측에 설치되는데, 상기 언로킹 푸셔(122)의 이동경로(레일)상에 이물질이 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카가 닫힘상태에서 정위치에 있지 못하기도 하고, 롤러형태로 된 언로킹푸셔(122)가 먼지 등으로 오염되었을 경우에도 갇힘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엘리베이터카를 닫는 시점이 되었을 때 승강장도어의 홈이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파인 레일에 이물질이 많이 쌓여 있을 경우 승강장 도어는 닫히지 않고, 록킹장치(120)는 작동이 완료되어 잠기고, 또는 승강기 도어의 회동록킹편(36)이 록킹레치(32)에 잠기고, 도어(승강장, 승강기)는 이물질로 인하여 닫힘이 완성되지 않아 센서에 감지되어 오작동 신호를 울려주며, 작동사고가 발생이 되며, 또 다른 원인으로는 언로킹푸셔(122)가 록킹 밴날개(34)를 밀어주는 힘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승객의 닫힘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2103335호(2020.04.22 공고)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2331749호(2021.11.25 공고)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승강구에 도착하였을 때 언로킹푸셔와 함께 록킹 밴날개를 강제적으로 신속하게 밀어올려 줄수 있도록 가동 밴날개에 보조링크를 포함하는 새로운 구성을 추가하여 록킹장치의 록킹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승객의 갇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카의 좌우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 중에서 상기 제1카도어(14)에 장착된 베이스(22);
상기 제2카도어(16)에 장착된 록킹래치(32);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록킹링크(3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개방될 때에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 푸셔(122)에 의해 상승하는 록킹 밴날개(34);
상기 베이스(22)와 상기 록킹 밴날개(34)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록킹 밴날개(34)의 승강에 따라 상기 록킹래치(32)에 결합해제되거나 결합되는 회동록킹편(36);
상기 록킹 밴날개(34)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가동링크(4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 밴날개(44);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탑프레임(12)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250);
상단에 가이드롤러(240)를 구비하며 하단은 가동 밴날개(44)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22)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링크(200)로 구성하여,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개방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에서 이탈하면서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하강하여 상기 언록킹 퓨셔(122)를 밀어주고, 상기 언록킹 퓨셔(122)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록킹 밴날개(34)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은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251)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롤러(240)의 진입 후에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링크(2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251)의 상단 입구에 상기 가이드브라켓(250)과 일체로 가압돌기(252)를 형성하여, 상기 가압돌기(252)는 평상시에 가이드롤러(240)와 닿지 않고 작동하는 것으로, 초기의 설치 가동할 때나, 이상 현상이 있을 경우, 가동밴날개(44)의 자중과 스프링의 힘의 균형이 맞지 않도록 과하게 텐션을 주어 설치되는 잘못으로 도어가 열리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할시 안내롤러(47)이 가압돌기에 걸려서 강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으로 부터 이탈하면서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하강할 때, 상기 가이드롤러(240)의 상단부와 접촉함으로서 상기 보조링크(200)의 초기 회동력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가 닫힐 때 중앙지점으로 부터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각각 일정 거리이격된 위치에 도달할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진입하여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 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들어가기 시작하여 일정거리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상부가이드브라켓(254)과 측부가이드브라켓(256) 접하게되어 정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브라켓(250)의 설치 위치와 상기 가이드홈(251)의 길이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각각 ④ 의 위치에 도달할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진입하여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들어가기 시작하여 ①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상부가이드브라켓(254)과 측부가이드브라켓(256) 접하게되어 정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브라켓(250)의 설치 위치와 상기 가이드홈(251)의 길이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각각 ④ 의 위치에서 ②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가동밴날개(44)가 언록킹푸셔(122)를 접하고 미는힘을 발생하여 이물질로 인하여 록킹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를 닫히도록 밀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과 가이드브라켓(250)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간격은 각각 ④의 위치에서 ③ 까지는 5mm, ③의 위치에서 ② 까지는 5 ~ 8mm 이며, ②의 위치에서 ① 까지는 7 ~10mm 로, ④의 위치에서 ① 까지는 20mm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링크(200)는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와 제3링크(230)를 차례로 연결한 3절링크식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1링크(210)는 상단에 상기 가이드롤러(240)를 설치하는 상태로 상기 베이스(22)에 힌지로 연결하고,
상기 제3링크(230)의 끝단이 상기 가동 밴날개(44)와 연결된 가동링크(44a)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가동링크(44a)에 가동링크(44a)가 베이스(22)에 결합된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일체로 가동링크(44a)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은 상기 제1링크(2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22)에 고정되는 밸런스스프링(260)을 구비하여, 상기 가동 밴날개(44)의 하강속도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승강구에 도착하였을 때 록킹 밴날개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가압하여 밀어올려 줄수 있도록 가동 밴날개에 간단한 구성의 보조링크를 추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록킹장치의 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 지게 되고, 록킹 밴날개를 도어가 거의 닫힐 때까지 부가적으로 밀어 확실하게 가압하여 승객의 갇힘사고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장치와 록킹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리장치와 록킹장치의 주요구성을 확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에 도착하였을 때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카의 열리는 상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6은 도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구성의 작동상태로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브라켓(250)에 근접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7은 도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구성의 작동상태로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 내의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 닿아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8은 도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구성의 작동상태로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 내의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에 올라 접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9는 도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구성의 작동상태로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 내의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과 접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10은 도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구성의 작동상태로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브라켓(250)의 측부가이드브라켓(256)과 상부가이드브라켓(254)에 접하여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11 및 도 12는 도 5에서 엘리베이터카가 열리는 상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 중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건물의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따라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카의 상단부에 탑프레임(12)이 구비되고, 탑프레임(12)에는 좌우 한 쌍의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엘이베이터카의 출입구를 개폐한다. 엘리베이터카에 구비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승강장에 설치(홀에 설치)된 좌우 양쪽 승강장 제1도어와 승강장 제2도어와 만나도록 엘리베이터카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승강장 제1 도어와 승강장 제2 도어와 함께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같이 열리게 된다.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는 엘리베이터카의 좌우로 개폐되는 한 쌍의 카도어 중에서 한쪽의 제1카도어(14)에 장착된 베이스(22)와, 다른 쪽의 제2카도어(16)에 장착된 록킹래치(32)와, 제1카도어(14)에 승강 및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 밴날개(34)와, 힌지부에 의해 베이스(22)에 연결되고 록킹 밴날개(34) 연결 힌지부에 의해 상기 록킹 밴날개(34)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회동 록킹편(36)을 구비한다.
상기 록킹 밴날개(34)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동록킹편(36)이 회동하면서 록킹래치(32)와의 결합이 해제되거나 걸림상태(록킹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승강장 도어 상부에는 승강장 도어 장치(홀도어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장 도어 장치는 승강장 입출구의 상부에 구비된 승강장 도어 메인 프레임(110)과, 이 승강장 도어 메인 프레임(110)의 도어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좌우 한 쌍의 승강장 제1 도어행거(111)와 승강장 제2 도어행거(112)를 포함하며, 좌우 한 쌍의 승강장 제1 도어행거(111)와 승강장 제2 도어행거(112)에 좌우 한 쌍의 승강장 도어(도시 생략)가 연결된다. 승강장 제1 도어행거(111)과 승강장 제2 도어행거(112)에 승강장 제1 도어와 승강장 제2 도어가 연결된다. 승강장 도어 장치의 한쪽의 승강장 제1 도어행거(111)에 구비된 승강장 도어 록킹장치(120)는 다른 쪽의 승강장 제2 도어행거(112)에 구비된 승강 래치후크(124,홀도어 래치)에 걸려져서 좌우 승강장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승강장 도어 록킹장치(120)에는 언록킹 푸셔(122)가 구비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 도어 위치로 이동(카도어가 승강장 도어와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22)에 구비된 록킹 밴날개(34)와 가동 밴날개(44) 사이로 승강장 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 푸셔(122)가 들어오게 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구비된 승강장 제1 도어와 승강장 제2 도어를 열고 닫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장 도어 장치에 의해 승강장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은 공지의 장치를 채용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탑프레임(12)에 가이드브라켓(250)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보조링크(200)의 상단에는 가이드롤러(240)를 구비하며 보조링크(200)의 하단은 상기 가동 밴날개(44)와 연결된 가동링크(44a)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가동링크(44a)에 가동링크(44a)가 베이스(22)에 결합된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일체로 가동링크(44a)에 결합하며, 가동링크(44a)에 가동 밴날개(44)가 힌지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조링크(200)는 상기 베이스(22)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개방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에서 이탈하면서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상기 언록킹 퓨셔(122)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록킹 밴날개(34)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은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251)을 형성하는데,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 하단의 형상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251)의 상단 입구에는 상기 가이드브라켓(250)과 일체로 가압돌기(252)를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가압돌기(252)는 평상시에 가이드롤러(240)와 닿지 않고 작동하는 것으로, 초기의 설치 가동할 때나, 이상 현상이 있을 경우, 가동밴날개(44)의 자중과 스프링의 힘의 균형이 맞지 않도록 과하게 텐션을 주어 설치되는 잘못으로 도어가 열리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할시 안내롤러(47)이 가압돌기에 걸려서 강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으로 부터 이탈하면서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하강할 때, 상기 가이드롤러(240)의 상단부에 부딪히면서 다소 충격이 가해짐으로 가이드롤러(240)가 하방으로 움직이면, 보조링크(200)들의 작용에 의하여 가동밴날개(44)를 가동링크(44a)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밴날개(44)가 언록킹푸셔(122)를 충격적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링크(200)의 회동력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은 엘리베이터카의 닫힘동작시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닫힘위치전 각각 20mm 도달할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진입하는 위치인 도 7에서 가이드롤러(240)의 일측면이 가이드브라켓끝단(259)에 접하도록 도달하게 되며,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닫힘위치전 각각 7 ~10mm 에 도달 되었을때 가동밴날개(44)가 상부로 회동하기 시작하여 가동밴날개(44)가 언록킹푸셔(122)를 접하여 밀어주다가 가동밴날개(44)가 언록킹푸셔(122)에서 떨어지기 시작하고,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닫힘위치인 각각 0mm 도달할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진입하는 위치인 도 10에서 가이드롤러(240)의 일측면이 수직부가이드브라켓(256)과 상부가이드브라켓(254)에 접하도록 도달하게 되어 정지될 수 있도록 위치설정함과 동시에 가이드홈(251)의 길이를 설계하였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브라켓(250)에 안착할 때 또는 이탈할 때 마다 보조링크(200)가 회전하면서 가동 밴날개(44)의 빠른 상승과 하강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엘리베이이터카 도어의 담힘동작과 열림동작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예시한 상기 보조링크(200)는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와 제3링크(230)를 차례로 연결한 3절링크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링크(210)의 상단에 상기 가이드롤러(240)를 설치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22)에 힌지로 연결하고, 상기 제3링크(230)는 상기 가동 밴날개(44)와 연결된 가동링크(44a)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일체로 결합하면 된다.
상기 제3링크(230)의 하부에 두개의 리벳으로 상기 가동 밴날개(44)와 연결된 아래 가동링크(44a)에 일정각도 기울여서 가동링크(44a) 중앙부에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밸런스스프링(260)은 상기 가동 밴날개(44)와 보조링크(200)의 하중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제1링크(2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22)에 고정된다. 즉, 보조링크(200)에 비하여 가동 밴날개(44)의 하중이 지나치게 크면 가이드브라켓(250)에서 가이드롤러(240)의 이탈동작시 가동 밴날개(44)의 하강속도가 너무 빠르고 가속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밸런스스프링(260)은 가동 밴날개(44)의 부드러운 하강을 위하여 필요하기도 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안착하였을 때, 상기 밸런스스프링(260)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홈(251)의 내측방향으로 수평분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카의 급정지, 정전시에 어느 정도 충격력이 보조링크(200)로 전달되어 가동 밴날개(44)개가 하강하게 되면 승객이 엘리베이터카를 임의로 열수 있게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밸런스스프링(260)으로 가동밴날개(44)와 연결된 구성의 무게를 상쇄하여 자중이나 충격에 의하여 가동밴날개(44)가 언록킹푸셔(122)를 밀수 없도록 밸런스스프링(260)의 텐션을 조절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닫힌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카가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고 승강장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10에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닫히는 작동을 도면들을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도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구성의 작동상태로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브라켓(250)의 측부가이드브라켓(256)과 상부가이드브라켓(254)에 근접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구성의 작동상태로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 내의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 닿아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승강장 도어와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는 싱크로나이즈되어 있어 같이 움직이므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움직임이 승강장 도어로 동일시 하여도 무방하다.
도 6은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닫히는 작동을 위하여,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마주하며 가까워지고 있는 형상이고,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마주하며 조금더 가까워지면, 도 7의 도면과 같은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 내의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을 올라 타고 접한 상태가 되는 것으로, 이 때에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맞닫는 부분의 위치가 ④의 위치이며, 이때의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간격은 40mm 가되며, ④의 위치에서 ①과의 거리는 20mm가 된다.
가이드브라켓(250)에 표기된 표기 ①②③④는 베이스측면라인(280)을 연장한 연장선을 표기한 것으로, 위에서 본 형상으로 도시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움직이면서 표기된 ①②③④와 싱크로나이즈(synchronize)되어 같이 동시에 움직이는 것을 나타내며, 같은 번호는 순차적으로 동일한 순간에 움직인 위치를 나타낸다.
카도어를 록킹하는 회동록킹편(36)과 승강장도어의 잠금장치인 승강장도어래치(120)는 도 6과 도 7에서는 아직 열려 있는 위치에 있게된다.
도 7의 도면에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마주하며 조금더 가까워지면, 도 8의 형상이 되는 것으로, 가이드롤러(24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홈(251) 내의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을 올라 타고 접하여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 7에서의 위치보다 약간 상승하게되는 형상으로, 이 때에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맞닫는 부분의 위치가 ③의 위치이며,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간격은 30mm 가되며, ③의 위치에서 ①과의 거리는 15mm가 된다.
카도어를 록킹하는 회동록킹편(36)과 승강장도어의 잠금장치인 승강장도어래치(120)는 도 8에서 나타나듯이 모두 이동하여 잠겨있는 위치에 있게되며, 록킹밴 날개(34)는 약간 상부로 이동은 하였으나 아직 언록킹 푸셔(122)를 접하여 밀어주고 있는 상태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도어의 안내 홀에 외부의 이물질이 끼어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부하를 걸거나, 작동하는 부품들이 녹이슬거나, 오래사용에 의한 부품의 마모에 의하여 부하가 걸리더라도, 일정 부하를 이기고 도어가 닫칠수 있도록 부가적으로 도어가 닫칠수 있도록 가해지는 힘의 부가할 수있는 구조이다.
이때에 록킹밴 날개(34)를 도어가 완전히 닫힐 위치까지 근접하도록 언록킹 푸셔(122)를 밀어주어 도어의 잠금장치는 잠기고 도어가 닫히지 않는 사고가 일어날수 있는 확율을 현저하게 줄여주는 구조인 것이다.
도 8의 도면에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마주하며 조금더 가까워지면, 도 9의 형상이 되는 것으로, 가이드롤러(24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홈(251) 내의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올라 타고 접하며 상승하여 도 8에서의 위치보다 약간 상승하게되는 형상으로, 이 때에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맞닫는 부분의 위치가 ②의 위치이며,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간격은 14 ~ 20mm 가되며, ②의 위치에서 ①과의 거리는 7~10mm가 된다.
카도어를 록킹하는 회동록킹편(36)과 승강장도어의 잠금장치인 승강장도어래치(120)는 도 9에서 나타나듯이 모두 이동하여 잠겨있는 위치에 있게되며, 록킹밴 날개(34)는 약간 상부로 이동은 하였으나 아직 언록킹 푸셔(122)를 접하여 밀어주고 있는 상태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도어의 안내 홀에 외부의 이물질이 끼어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부하를 걸거나, 작동하는 부품들이 녹이슬거나, 오래사용에 의한 부품의 마모에 의하여 부하가 걸리더라도, 일정 부하를 이기고 도어가 닫칠수 있도록 부가적으로 도어가 닫칠수 있도록 가해지는 힘의 부가할 수있는 구조이다.
도 9의 도면에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마주하며 조금더 가까워지면, 가이드롤러(240)가 도 9에서의 위치보다 약간 상승하게되는 형상으로, 도 10의 형상이 되는 것으로, 가이드롤러(24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홈(251) 내의 상부가이드브라켓(254)과 측부가이드브라켓(256)과 접하며 정지하여 도 10에서의 형상으로, 이 때에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맞닫는 부분의 위치가 ①의 위치이며,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간격은 0mm 가되며, ①의 위치에서 ①과의 거리는 0mm가 된다.
카도어를 록킹하는 회동록킹편(36)과 승강장도어의 잠금장치인 승강장도어래치(120)는 도 10에서 나타나듯이 모두 잠겨있는 위치에 있게되며, 록킹밴 날개(34)는 상부로 이동은 하여 언록킹 푸셔(122)와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에 도어가 닫칠수 있도록 부가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구조이다.
위의 설명과 반대로 도 10에서 부터 도 6을 순차적으로 역순으로 설명하면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잠겨있는 상태에서 열리는 상태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가동 밴날개(44)는 상승된 상태이고 록킹 밴날개(34)와는 일정간격을 두고 있다. 이때 록킹 밴날개(34)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한 상태이고 회동록킹편(36)은 록킹래치(32)와 결합된 상태로 되어있으므로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는 닫힌상태를 유지하고 있는것이다.
또한,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에 도착하게 되면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푸셔(122)는 가동 밴날개(44)와 록킹 밴날개(3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도시하지 않은 위치감지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카도어의 개방신호를 발생하게 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구동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장 래치후크(124)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푸셔(122,롤러형)가 록킹 밴날개(34)를 상승위치로 가압하여 주는 동작을 하게 된다.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는 열리는 동작을 살펴보기 위하여, 도 10에서부터 도 6을 역순으로 살펴보면,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는 열리는 동작을 하게 되고 양측도어가 각각 20mm 정도 열렸을 때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으로부터 이탈되려고하는 상태를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도 6에서는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다.
가압돌기(252)는 평상시는 가이드롤러(240)와 닿지 않고 작동하는 것으로, 초기의 설치 가동할 때나, 이상 현상이 있을 경우, 가동밴날개(44)의 자중과 스프링의 힘의 균형이 맞지 않도록 과하게 텐션을 주어 설치되는 잘못으로 도어가 열리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할시 안내롤러(47)이 가압돌기에 걸려서 강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이탈 초기에 가이드롤러(240)의 상부면이 가압돌기(252)에 살짝 접촉되면서 하방으로 충격적인 힘이 작용하고, 이 충격적인 힘은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 및 구종 부품들이 마찰력을 이기고 움직일수 있는 힘을 주는 것이며, 3절링크식으로 된 보조링크(200)는 힌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3링크(230)와 연결되 가동링크(44a)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가동 밴날개(44)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어 가동링크(44a)가 수평으로되고 가동 밴날개(44)는 언록킹푸셔(22)를 가동밴날개(34)와 같이 밀어주는 형상이 되는것이다.
이때 밸런스스프링(260)은 인장 되면서 가동 밴날개(44)의 하강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된다.
이와 같이, 가동 밴날개(44)가 하강함에 따라 가동 밴날개(44)는 록킹 밴날개(34)쪽으로 근접되고, 결국 가동 밴날개(44)가 언로킹푸셔(122)와 접촉하면서 동시에 록킹 밴날개(34)를 가압하여 주게 되므로 록킹 밴날개(34)를 강제로 밀어올려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록킹 밴날개(34)와 연동되는 회동록킹편(36)이 회전하면서 록킹래치(32)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의 풀림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 지며, 언로킹푸셔(122)와 한몸체로 이루어진 승강장도어 래치(120)도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승강장도어도 동시에 해제가 이루어 지게되는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후,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는 승강장 제1도어와 승강장 제2도어와 함께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카도어(14)의 이동초기에 가이드롤러(240)는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서 이탈과 동시에 가동 밴날개(44)는 하방으로 신속하게 회전하고 언록킹푸셔(122)는 가동 밴날개(44)와 록킹 밴날개(34)에 의하여 그립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카도어(14)와 함께 개방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에 도착하여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를 개방할 때 보조링크(200)가 언로킹푸셔(122)에 밀착하여 록킹 밴날개(34)를 강제로 밀어올려 주는 힘을 가하여 줌으로 제1카도어(14) 및 제2카도어(16)의 록킹장치(120)를 확실히 해제시켜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록킹 밴날개(34)와 연관된 부품이 습기로 부식되거나 노후화로 인하여 초기설정한 허용값 보다 부하가 많이 걸리기더라도 록킹장치(120)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됨으로 승객의 갇힘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언로킹 푸셔(122)의 이동경로상에 이물질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카가 닫힘상태에서 상기 언로킹푸셔(122)가 정위치에 있지 못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카를 여는 시점이 되었을 때 가동 밴날개(44)가 언로킹푸셔(122)를 매개체로 하여 록킹 밴날개(34)를 밀어주게 되므로 회동록킹편(36), 록킹래치(32) 등으로 구성된 통상의 도어록킹장치(120)의 해제를 원활하게 하여 승객의 갇힘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2; 탑프레임 13; 밴캠
13a; 상승가이드부 14; 제1카도어
16; 제2카도어 22; 베이스
32; 록킹레치 36; 회동록킹편
34; 록킹 밴날개 34a; 록킹링크
44; 가동 밴날개 44a; 가동링크
47; 안내롤러 110; 메인프레임
111; 승강장 제1도어행거 112; 승강장 제2도어행거
120; 승강장 도어 록킹장치
122; 언록킹 푸셔 124; 승강장 래치후크
200; 보조링크 210; 제1링크
220; 제2링크 230; 제3링크
240; 가이드롤러 250; 가이드브라켓
251; 가이드홈 252; 가압돌기
254; 상부가이드브라켓 256; 측부가이드브라켓
258; 곡면부가이드브라켓 259; 가이드브라켓 끝단
260; 밸런스스프링 270; 보조링크회동힌지
280; 베이스측면라인

Claims (9)

  1. 엘리베이터카의 좌우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 중에서 상기 제1카도어(14)에 장착된 베이스(22);
    상기 제2카도어(16)에 장착된 록킹래치(32);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록킹링크(3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카도어(14)와 제2카도어(16)가 개방될 때에 승강장도어 록킹장치(120)의 언록킹 푸셔(122)에 의해 상승하는 록킹 밴날개(34);
    상기 베이스(22)와 상기 록킹 밴날개(34)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록킹 밴날개(34)의 승강에 따라 상기 록킹래치(32)에 결합해제되거나 결합되는 회동록킹편(36);
    상기 록킹 밴날개(34)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22)에 한쌍의 가동링크(44a)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 밴날개(44);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탑프레임(12)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250);
    상단에 가이드롤러(240)를 구비하며 하단은 가동 밴날개(44)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22)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링크(200)로 구성하여,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개방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에서 이탈하면서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하강하여 상기 언록킹 퓨셔(122)를 밀어주고, 상기 언록킹 퓨셔(122)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록킹 밴날개(34)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은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251)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롤러(240)의 진입 후에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링크(2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251)의 상단 입구에 상기 가이드브라켓(250)과 일체로 가압돌기(252)를 형성하여, 상기 가압돌기(252)는 평상시에 가이드롤러(240)와 닿지 않고 작동하는 것으로, 초기의 설치 가동할 때나, 이상 현상이 있을 경우, 가동밴날개(44)의 자중과 스프링의 힘의 균형이 맞지 않도록 과하게 텐션을 주어 설치되는 잘못으로 도어가 열리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할시 안내롤러(47)이 가압돌기에 걸려서 강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가이드홈(251)으로 부터 이탈하면서 상기 가동 밴날개(44)가 하강할 때, 상기 가이드롤러(240)의 상단부와 접촉함으로서 상기 보조링크(200)의 초기 회동력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4.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가 닫힐 때 중앙지점으로 부터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각각 일정 거리이격된 위치에 도달할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진입하여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 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들어가기 시작하여 일정거리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상부가이드브라켓(254)과 측부가이드브라켓(256) 접하게되어 정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브라켓(250)의 설치 위치와 상기 가이드홈(251)의 길이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각각 ④ 의 위치에 도달할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진입하여 곡면부가이드브라켓(258)의 끝단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 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들어가기 시작하여 ①의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상부가이드브라켓(254)과 측부가이드브라켓(256) 접하게되어 정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브라켓(250)의 설치 위치와 상기 가이드홈(251)의 길이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이 각각 ④ 의 위치에서 ②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가동밴날개(44)가 언록킹푸셔(122)를 접하고 미는힘을 발생하여 이물질로 인하여 록킹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를 닫히도록 밀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도어(14)와 상기 제2카도어(16)의 간격과 가이드브라켓(250)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간격은 각각 ④의 위치에서 ③ 까지는 5mm, ③의 위치에서 ② 까지는 5 ~ 8mm 이며, ②의 위치에서 ① 까지는 7 ~10mm 로, ④의 위치에서 ① 까지는 20mm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200)는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와 제3링크(230)를 차례로 연결한 3절링크식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1링크(210)는 상단에 상기 가이드롤러(240)를 설치하는 상태로 상기 베이스(22)에 힌지로 연결하고,
    상기 제3링크(230)의 끝단이 상기 가동 밴날개(44)와 연결된 가동링크(44a)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가동링크(44a)에 가동링크(44a)가 베이스(22)에 결합된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일체로 가동링크(44a)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1링크(2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22)에 고정되는 밸런스스프링(260)을 구비하여, 상기 가동 밴날개(44)의 하강속도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240)가 상기 가이드브라켓(250)의 가이드홈(251)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보조장치.
KR1020220138983A 2022-10-26 2022-10-26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 KR20240058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983A KR20240058344A (ko) 2022-10-26 2022-10-26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983A KR20240058344A (ko) 2022-10-26 2022-10-26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344A true KR20240058344A (ko) 2024-05-03

Family

ID=9107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983A KR20240058344A (ko) 2022-10-26 2022-10-26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834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335B1 (ko) 2018-10-29 2020-04-22 권순범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KR102331749B1 (ko) 2020-02-04 2021-11-25 권순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335B1 (ko) 2018-10-29 2020-04-22 권순범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KR102331749B1 (ko) 2020-02-04 2021-11-25 권순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유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8626B1 (en)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EP2263963B1 (en) Elevator car door lock
CN101081677A (zh) 电梯轿厢门锁装置
KR101665338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 록킹장치
CN112125106A (zh) 一种基于电梯轿厢门联动的防剪切保护装置
JP2011088720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544830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側ドア施錠装置
JPWO201813889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103335B1 (ko)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JP2842513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CN108439158B (zh) 电梯用轿门开门限制装置
CN213326262U (zh) 一种基于电梯轿厢门联动的防剪切保护装置
KR20240058344A (ko)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풀림 보조장치
JP5600778B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04671046B (zh) 一种带救援绳的防扒型电梯开门机
CN112638813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US20140158470A1 (en)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CN201062182Y (zh) 电梯轿门锁装置
JP46697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331749B1 (ko)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유지장치
JP6758539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2006096489A (ja) エレベータードア装置
TWI297668B (ko)
JP5319712B2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CN213569046U (zh) 旁开双折层门的防坠落安全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