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335B1 -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 Google Patents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335B1
KR102103335B1 KR1020180129564A KR20180129564A KR102103335B1 KR 102103335 B1 KR102103335 B1 KR 102103335B1 KR 1020180129564 A KR1020180129564 A KR 1020180129564A KR 20180129564 A KR20180129564 A KR 20180129564A KR 102103335 B1 KR102103335 B1 KR 102103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platform
bas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범
Original Assignee
권순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범 filed Critical 권순범
Priority to KR1020180129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Abstract

본 발명은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엘리베이터카의 좌우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 중에서 상기 제1카도어(122FD)에 장착된 베이스(12); 상기 제2카도어(122SD)에 장착된 록킹래치(54);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된 탑프레임(120); 상기 탑프레임(120)에 설치된 밴캠(31); 상기 제1카도어(122FD)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카도어(122FD) 및 상기 제2카도어(122SD)가 자동 개폐시에 상기 밴캠(31)에 의해 승강되는 밴날개(30); 상기 제1카도어(122FD)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유동캠(20); 회동 베이스 힌지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12)에 연결되고 록킹 연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유동캠(20)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캠(20)의 유동에 따라 상기 록킹래치(54)에 결합되거나 상기 록킹래치(54)에서 결합 해제되는 회동 록킹편(52); 상기 밴날개(30)와 상기 유동캠(20)에 연결된 언록킹 와이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Elevator door unlocing system with increased un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 도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정지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카의 도어와 승강장 도어를 수동으로 쉽게 열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엘리베이터 카도어와 승강장 도어를 수동으로 열어줄 수 있는 구조는 간단하게 구현한 새로운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되는 카도어와 건물 각층에서 승강로와 연통하는 진입구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를 포함하는데, 각층에서의 승객의 승하차 출입을 위해서는 카도어와 승강장 도어를 모두 개폐하여야 한다. 한편, 엘레비이터카가 고장 또는 정전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건물 각층의 승강장에 멈추지 않고 승강장과 승강로 사이에 정지되어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카 내부의 승객이 함부로 카도어를 열게 되면, 승객이 엘리베이터카가 주행하는 승강로의 내부로 떨어질 위험이 있고, 사람이 엘리베이터가 안에 있을 때에 임의로 카도어를 열어서 손이나 발을 엘리베이터카 밖으로 내민 상태에서 갑자기 엘리베이터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카가 오르거나 내려가면 엘리베이터카 밖으로 내민 손이나 발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돌출되어 있는 턱과 같은 부분에 충돌하여 심각한 부상을 입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엘리베이터 카도어가 승강장 도어와 같이 열리는 상태가 아닐 때에 임의로 카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구성된 것으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903971호(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 등이 있다.
그런데, 엘리베이터카 내부에 있는 사람이 비상시에 임의로 카도어와 승강장 도어를 함께 열어서 탈출을 시도하면 추락 등의 위험이 있어서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 도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정지되어 있어서 카도어와 승강장 도어가 마주하고 있을 때에 승강장에 있는 사람이 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비상키(삼각키)를 열고서 승강장 도어와 엘리베이터 카도어를 함께 열어줄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승강장에 있는 사람이 엘리베이터카에 타고 있는 사람을 구출하려면 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비상키를 열고나서 승강장 도어 안쪽에 있는 레버를 별도로 쳐주어야만 엘리베이터 카도어를 열 수 있게 되어서 승강장 쪽의 사람이 엘리베이터카에 타고 있는 사람을 구출할 때에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엘리베이터카에 타고 있는 사람을 구하기 위해서 승강장 도어의 비상키를 열고 승강장 도어를 조금 열어주는 동작, 승강장 도어 안쪽의 레버를 쳐주어야 하는 동작, 다시 말해, 두 가지 동작이 필요해서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으며, 약간 열린 승강장 도어로 손을 집어넣어서 레버를 쳐주는 작업도 그다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승강장에서 승강장 도어를 조금 열고 승강장 도어 안쪽의 레버를 쳐주어야만 엘리베이터 카도어를 승강장 도어와 함께 열어줄 수 있다는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예를 들어, 소방관)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카 안에 있는 사람을 구출하는데 애를 먹을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엘리베이터카 안에 사람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제대로 사람을 구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승강장에 있는 사람이 엘리베이터카 안에 있는 사람을 구출하도록 승강장 도어와 카도어를 같이 열어주도록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는 승강장에 있는 사람이 승강장 도어를 열어줄 때에 엘리베이터 카도어에 있는 회동 록킹편을 푸시바아에 의해 눌러주어서 상기 카도어의 회동 록킹편이 록킹래치에서 걸려진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도어를 열어주는 구조인데, 이처럼 상기 푸시바아로 카도어의 로테이션 바아를 눌러주려 하여도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이처럼 로테이션 바아에 의해 회동 록킹편을 눌러주어서 록킹래치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비상시에 승강장에 있는 사람이 엘리베이터카에 있는 사람을 제대로 구출하지 못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또한, 기존에 푸시바아로 회동 록킹편을 눌러서 엘리베이터 도어를 열어줄 수 있는 장치의 경우 얼마 쓰지 못하고 마모 등의 소손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으며,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도어를 열어주도록 엘리베이터 카도어의 회동 록킹편을 눌러주는 푸시바아 등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생산성이나 단가 측면에서도 불리한 등의 문제점도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903971호(2009.06.15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047856호(2011.10.12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257717호(2013.04.18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고장과 같은 비상시에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 도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정지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도어와 승강장 도어를 수동으로 손쉽게 열 수 있도록 하며, 엘리베이터 카도어와 승강장 도어를 수동으로 열어줄 수 있는 구조는 간단하게 구현하고,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도어를 수동 개방할 때에 작동상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카의 좌우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카도어와 제2카도어 중에서 상기 제1카도어(210)에 장착된 베이스(10); 상기 제2카도어(220)에 장착된 록킹래치(20); 상기 제1카도어(21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밴날개(38); 상기 제1카도어(210)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유동캠(30); 회동 베이스 힌지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10)에 연결되고 록킹 연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유동캠(30)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캠(30)의 유동에 따라 상기 록킹래치(20)에 결합되거나 상기 록킹래치(20)에서 결합 해제되는 회동 록킹편(40); 상기 밴날개와 상기 유동캠에 연결된 언록킹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된 탑프레임; 상기 탑프레임에 설치된 밴캠(39);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는 윙베이스 힌지부에 의해 날개링크가 연결되고, 상기 밴날개는 날개링크 연결 힌지부에 의해 상기 날개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밴날개가 상기 제1카도어(21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카도어(210) 및 상기 제2카도어(220)가 자동 개폐시에 상기 밴캠(39)에 의해 상기 밴날개가 승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10)에는 록킹 연결 힌지부(12BH)를 매개로 링크(12)가 연결되고, 상기 링크(12)에는 연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유동캠(30)이 연결되어, 상기 유동캠(30)과 상기 링크(12)가 상기 록킹 연결 힌지부(12BH)와 상기 연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10)에서 회동 승강되고, 상기 회동 록킹편(40)은 회동 베이스 힌지부(40BH)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10)에 연결되고 록킹 연결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유동캠(30)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캠(3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할 때에 상기 회동 록킹편(40)이 상향 회동하여 상기 록킹래치(20)에 걸려지는 록킹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언록킹 와이어는 상기 링크의 상기 연결 힌지부와 상기 링크 베이스 힌지부 중에서 적어도 상기 록킹 연결 힌지부를 경유하여 지나가며, 상기 언록킹 와이어의 양단부는 상기 밴날개와 상기 유동캠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캠과 상기 회동 록킹편과 상기 언록킹 와이어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카의 제1카도어에는 밴날개가 장착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상기 제1카도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카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승강되어 상기 제1카도어와 상기 제2카도어가 승강장에 설치된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에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승강장 도어 래치의 언록킹 푸셔은 상기 밴날개와 상기 유동캠 사이로 진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승강장 도어와 상기 제2승강장 도어를 수동으로 열어줄 때에 상기 승강장 도어래치의 상기 언록킹 푸셔가 상기 밴날개를 상부로 밀어올려서 상기 언록킹 와이어를 당겨주어 상기 유동캠에 연결된 상기 회동 록킹편을 하향 회동시켜서 상기 제1카도어에 구비된 상기 회동 록킹편과 상기 제2카도어에 구비된 록킹래치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 언록킹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래치(20)에는 하향 연장된 걸고리(22)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 록킹편(40)에는 상기 걸고리(22)가 끼워지는 걸고리홀(42)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유동캠(30)의 전면과 마주하는 선단부에 브라켓부(14)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부(14)에는 완충부재(16)가 구비되어, 상기 유동캠(30)의 이동시 상기 완충부재(16)에 상기 유동캠(30)의 전면이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12)는 상기 베이스(10)에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링크(12)를 상기 베이스(10)에 연결하는 상하 한 쌍의 록킹 연결 힌지부(12BH)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록킹 연결 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 록킹편(40)이 상기 한 쌍의 링크(12) 사이에서 상하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고장과 같은 비상시에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 도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정지된 상태에서 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비상키(삼각키)를 열어주고 좌우 승강장 도어를 열어주기만 하면 엘리베이터 카도어도 동시에 손십게 열리게 되므로, 기존에 로테이션 바아와 푸시바아 등으로 카도어의 로테이션 바아를 눌러주는 경우에 비하여 비상시 엘리베이터 도어를 열어주는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로테이션 바아와 푸시바아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도어에 구비된 회동 록킹편을 눌러주어서 록킹래치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므로, 비상시에 승강장에 있는 사람이 엘리베이터카에 있는 사람을 제대로 구출하지 못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의 도어 록킹 풀림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를 채용한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와 외부 승강장에 설치된 외부 프레임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와 마주하도록 엘리베이터카의 카도어가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와 엘리베이터카의 카도어가 만나도록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 도어 앞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카의 카도어가 초기에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카도어가 초기 개방 상태에서 더 개방되어 카도어의 록킹 풀림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카도어가 완전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도 9의 주요부인 록킹 래치와 록킹 후크가 걸려진 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주요부인 유동캠과 밴날개 사이로 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승강장 도어 래치의 언록킹 푸셔가 진입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승강장 도어 래치의 언록킹 푸셔에 의해 유동캠이 푸시되어 록킹 래치와 록킹 후크의 걸려진 상태가 해재된 록킹 풀림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14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할 때에 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승강장 도어 래치의 언록킹 푸셔가 유동캠과 밴날개 사이로 진입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밴날개를 승강장 도어 래치의 언록킹 푸셔가 눌러서 록킹 래치와 록킹 후크의 걸려진 상태가 해제된 록킹 풀림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건물의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따라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카의 상단부에 탑프레임(120)이 구비되고, 탑프레임(120)에는 좌우 한 쌍의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엘이베이터카의 출입구를 개폐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도어, 다시 말해, 엘리베이터카의 좌우 개폐되는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를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도어와 함께 수동으로 열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엘리베이터가 고장나서 엘리베이터카에 구비된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승강장에 설치(홀에 설치)된 좌우 양쪽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와 만나도록 엘리베이터카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승강장에 있는 사람이 제1승강장 도어 또는 제2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비상키(삼각키)를 열고 나서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를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와 함께 수동으로 열어 줄 수 있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는 엘리베이터카의 좌우로 개폐되는 한 쌍의 카도어 중에서 한쪽의 제1카도어(122FD)에 장착된 베이스(12)와, 다른 쪽의 제2카도어(122SD)에 장착된 록킹래치(54)와, 제1카도어(122FD)에 승강 및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유동캠(20)과, 회동 베이스 힌지부에 의해 베이스(12)에 연결되고 록킹 연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유동캠(20)에 연결된 회동 록킹편(52)을 구비하며, 상기 유동캠(20)의 이동(베이스(12)의 전후단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회동 록킹편(52)이 상향 회동하여 록킹래치(54)에 결합되거나 회동 록킹편(52)이 하향 회동하여 록킹래치(54)와 회동 록킹편(52)의 결합이 해제(맞걸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엘리베이터카의 좌우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 중에서 제1카도어(122FD)에 장착된 베이스(12)와, 상기 제2카도어(122SD)에 장착된 록킹래치(54)와, 상기 제1카도어(122FD)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밴날개(30)와, 상기 제1카도어(122FD)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유동캠(20)과, 회동 베이스 힌지부에 의해 베이스(12)에 연결되고 록킹 연결 힌지부에 의해 유동캠(20)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캠(20)의 유동에 따라 록킹래치(54)에 결합되거나 록킹래치(54)에서 결합 해제되는 회동 록킹편(52)과, 상기 밴날개(30)와 유동캠(20)에 연결된 언록킹 와이어(40)이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상부에는 승강장 도어 장치(홀도어 장치)가 구비된다. 승강장 도어 장치는 승강장 입출구의 상부에 구비된 승강장 도어 메인 프레임(220)과, 이 승강장 도어 메인 프레임(220)의 도어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좌우 한 쌍의 제1승강장 도어행거(222FF)과 제2승강장 도어행거(222SF)을 포함하며, 좌우 한 쌍의 제1승강장 도어행거(222FF)과 제2승강장 도어행거(222SF)에 좌우 한 쌍의 승강장 도어가 연결된다. 제1승강장 도어행거(222FF)과 제2승강장 도어행거(222SF)에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가 연결된다. 승강장 도어 장치의 한쪽의 제1승강장 도어행거(222FF)에 구비된 승강장 도어 래치(230)는 다른 쪽의 제2승강장 도어행거(222SF)에 구비된 승강 래치후크(홀도어 래치)에 걸려져서 좌우 승강장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승강장 도어 래치(230)에는 언록킹 푸셔(232)가 구비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 도어 위치로 이동(카도어가 승강장 도어와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2)에 구비된 유동캠(20)과 밴날개(30) 사이로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언록킹 푸셔(232)가 들어오게 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구비된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를 열고 닫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장 도어 장치에 의해 승강장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은 공지의 장치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승강장 도어 래치(230)와 승강 래치후크는 등록특허 제10-1665338호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제1승강장 도어 또는 제2승강장 도어에 구비(본 발명에서는 제1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비상키(삼각키)를 열면 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승강 래치후크와 승강장 도어 래치(230)가 서로 걸려져 있는 상태가 해제되어 수동으로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를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비상키를 열어서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를 열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상단부에는 탑프레임(120)이 직립 설치된다. 탑프레임(120)은 대략 직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탑프레임(120)의 하단부가 엘리베이터카의 상단부에 다리와 체결구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직립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탑프레임(120)의 하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도어 레일이 구비되고, 이 도어 레일에는 카도어의 상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탑프레임(120)의 도어 레일에는 좌우 하나씩 제1카도어 행거와 제2카도어 행거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각각의 제1카도어 행거와 제2카도어 행거에는 좌우측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에 각가 제1카도어 행거(122FF)와 제2도어 행거(122SF)가 구비되는데, 제1카도어(122FD) 상단부의 제1카도어 행거(122FF)에 상기 베이스(12)가 고정된다. 베이스(12)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제1카도어(122FD)의 제1카도어 행거(122FF)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카의 상단부에는 상기와 같은 탑프레임(120)이 구비되고, 탑프레임(120)의 도어 레일에는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의 제1카도어 행거(122FF)와 제2카도어 행거(122SF)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탑프레임(120)에 제1카도어 행거(122FF)과 제2카도어 행거(122SF)을 매개로 결합된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열리고 닫힌다.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카도어 장치(카도어 장치)는 국내특허등록 제10-1257717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카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공지의 장치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12)에는 베이스 연결 힌지부를 매개로 링크(22)가 연결된다. 상하 한 쌍의 링크(22)의 일단부가 베이스 연결 힌지부에 의해 베이스(1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링크(22)에는 연결 힌지부에 의해 유동캠(20)이 연결된다. 상하 한 쌍의 링크(22) 타단부에 연결 힌지부를 통해 유동캠(20)이 연결된다. 유동캠(20)은 베이스(12)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동캠(20)은 자중에 의해 베이스(12)의 하부 쪽으로 하강하게 되고, 상하 두 개의 링크(22)는 베이스 연결 힌지부와 연결 힌지부를 기준으로 베이스(12)의 하부 쪽으로 하향 회동하게 된다.
상기 유동캠(20)은 베이스(12)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날 형상으로 구성되며, 유동캠(20)의 전후단부에는 전단 보강편과 후단 보강편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후단 보강편은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경사 절곡편이 구비된다. 상하단 경사 절곡편은 유동캠(20)의 전단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구조이다.
본 발명은 회동 록킹편(52)을 구비한다. 회동 록킹편(52)은 회동 베이스 힌지부에 의해 베이스(12)에 연결되고 록킹 연결 힌지부에 의해 유동캠(20)에 연결된다. 상기 링크(22)는 베이스(12)에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링크(22)를 베이스(12)에 연결하는 상하 한 쌍의 베이스 연결 힌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록킹 연결 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 록킹편(52)이 한 쌍의 링크(22) 사이에서 상하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록킹래치(54)는 제2카도어(122SD)에 구비된 제2도어 행거(122SF)에 장착된다. 록킹래치(54)의 선단부에는 하향으로 연장된 걸이편(54P)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 록킹편(52)은 유동캠(20)의 유동(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에 따라 록킹래치(54)에 결합되거나 록킹래치(54)에 결합된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록킹래치(54)에는 하향 연장된 걸이편(54P)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 록킹편(52)에는 걸이편(54P)이 끼워지는 걸이편 결합홀(52H)이 구비되어, 상기 회동 록킹편(52)이 유동캠(20)의 유동에 따라 상하 회동될 때에 회동 록킹편(52)의 걸이편 결합홀(52H)에 록킹래치(54)의 걸이편(54P)이 결합되거나 록킹래치(54)의 걸이편(54P)이 회동 록킹편(52)의 걸이편 결합홀(52H)에서 빠진다. 유동캠(20)이 베이스(12)에서 상승하여 회동 록킹편(52)이 하강하면 회동 록킹편(52)의 걸이편 결합홀(52H)에서 록킹래치(54)의 걸이편(54P)이 빠지고, 유동캠(20)이 자중에 의해 베이스(12)에서 하강하여 회동 록킹편(52)이 상승하면 회동 록킹편(52)의 걸이편 결합홀(52H)에 록킹래치(54)의 걸이편(54P)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베이스(12)에는 베이스 연결 힌지부를 매개로 링크(22)가 연결되고, 상기 링크(22)에는 연결 힌지부에 의해 유동캠(20)이 연결되어, 상기 유동캠(20)과 링크(22)가 베이스 연결 힌지부와 연결 힌지부를 기준으로 베이스(12)에서 승강되고, 상기 회동 록킹편(52)은 회동 베이스 힌지부를 매개로 베이스(12)에 연결되고 록킹 연결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유동캠(20)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캠(2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할 때에 회동 록킹편(52)이 상향 회동하여 록킹래치(54)에 걸려지는 록킹 상태로 전환된다.
엘리베이터카의 상부에 구비된 탑프레임(120)에는 밴캠(31)이 설치된다. 상기 밴캠(31)은 상승 가이드부(31A)를 구비한다. 상승 가이드부(31A)는 탑프레임(1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탑프레임(1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상승 가이드부(31A)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밴날개(30)는 한 쌍의 좌우측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 중에서 상기 회동 록킹편(52)이 설치된 제1카도어(122FD)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12)에는 록킹 베이스 연결 힌지부를 매개로 날개링크(32)가 연결된다. 상하 한 쌍의 날개링크(32)의 일단부가 록킹 베이스 연결 힌지부를 매개로 베이스(12)에 연결된다.
상기 날개링크(32)에는 밴날개 연결 힌지부에 의해 상기 밴날개(30)가 연결된다. 상하 한 쌍의 날개링크(32)의 타단부에 밴날개 연결 힌지부를 매개로 밴날개(30)가 연결된다. 밴날개(30)는 베이스(12)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밴날개(30)는 자중에 의해 베이스(12)의 하부 쪽으로 하강하게 되고, 상하 두 개의 날개링크(32)는 밴날개 연결 힌지부와 연결 힌지부를 기준으로 베이스(12)의 하부 쪽으로 하향 회동하게 된다.
상기 밴날개(30)는 베이스(12)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날 형상으로 구성되며, 밴날개(30)의 전후단부에는 전단 날개 보강편과 후단 날개 보강편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비상키(삼각키)를 열어주고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를 약간 열어준 상태(대략 5mm에서 10mm 열어준 상태)에서는 제1승강장 도어와 함께 승강장 도어 래치(230)가 이동하면서 상기 밴날개(30)를 위로 밀어 올려준다. 밴날개(30)가 승강장 도어 래치(230)에 의해 위로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는 밴날개(30)에 구비된 롤러는 밴캠(31) 위에 떠 있게 된다.
상기 유동캠(20)이 장착된 제1카도어(122FD)에는 유동캠(20)과 나란하게 밴날개(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카도어(122FD)의 상단부에 제1카도어 행거(122FF)이 장착되고, 상기 제1카도어 행거(122FF)에 유동캠(20)은 링크(22)를 매개로 장착되고 밴날개(30)는 날개링크(32)를 매개로 장착되므로, 상기 밴날개(30)가 제1카도어(122FD)에 날개링크(32)를 매개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가 된다. 상기 탑프레임(120)의 상부에 구비된 밴캠(31)의 상승 가이드부(31A)에 상기 밴날개(30)의 가이드롤(30RO)이 타고 올라탈 때(다시 말해, 밴날개(30)의 상단부에 구비된 가이드롤(30RO)이 밴캠(31)의 상승 가이드부(31A)를 타고 올라갈 때)에 밴날개(30)가 날개링크(32)를 기준으로 유동캠(20)에 가까워진다.지면서 상기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언록킹 푸셔(232)(롤러 형태로 구성됨)를 유동캠(20)과 함께 그립하도록 구성된다.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열리고 있는 상태에서 계속해서 밴날개(30)와 유동캠(20)이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언록킹 푸셔(232)을 그립하는데, 언록킹 푸셔(232)의 그립 상태에서는 승강장 도어 래치(230)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승하여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록킹 걸림편이 다른 쪽 승강장 도어의 승강장 도어 행거(122)에 구비된 승강장 도어 후크의 걸림 래치편 위로 빠져 있게 된다.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걸이편(54P)이 승강장 도어 후크의 걸림 래치편 위로 빠져 있으면,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걸이편(54P)이 승강장 도어 후크의 걸림 래치편에 걸리지 않으므로 좌우 양쪽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가 열릴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측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가 열리지 않는 록킹 상태와 좌우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가 열리는 록킹 해제 상태로의 전환은 등록특허 제10-166533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공지의 승강장 도어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된 한 쌍의 좌우측 제1카도어(122FD) 및 제2카도어(122SD)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동 록킹편(52)과 록킹래치(54)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 록킹편(52)은 상하면으로 연통된 걸림편 결합홀(52H)을 구비한다. 회동 록킹편(52)의 기단부는 힌지부에 의해 밴날개(30)가 설치된 도어에 장착된다. 밴날개(30)가 설치된 제1카도어(122FD)의 제1카도어 행거(122FF)에 회동 록킹편(52)의 기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록킹래치(54)는 밴날개(30)가 설치된 도어 이외의 다른 도어에 설치된다. 제1카도어(122FD)에 회동 록킹편(52)이 설치되고 제2카도어(122SD)에 록킹래치(54)가 설치된다. 회동 록킹편(52)의 걸이편 결합홀(52H)에 록킹래치(54)의 걸이편(54P)이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밴날개(30)는 밴캠(31)이 설치된 도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카도어(122FD)에 밴날개(3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날개링크(32)와 힌지부에 의해 밴날개(30)가 제1카도어(122FD)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밴날개(30)는 엘리베이터카의 좌우측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자동 개폐시에는 밴캠(31)에 의해 승강된다. 밴날개(30)에 구비된 가이드롤(30RO)이 밴캠(31)의 상승 가이드부(31A)를 타고 롤링되면서 올라갈 때에 밴날개(30)가 상승하고 가이드롤(30RO)이 밴캠(31)의 상승 가이드부(31A)를 타고 롤링되면서 내려올 때에 밴날개(30)가 하강한다.
본 발명에서 엘리베이터카의 카도어가 승강장 도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승강장 도어를 수동으로 열어줄 때에 카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승강장에 설치된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를 열어 줄 때에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도 함께 열려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언록킹 와이어(40)가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를 열어 줄 때에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를 함께 열어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언록킹 와이어(40)는 링크(22)의 베이스 연결 힌지부와 연결 힌지부 중에서 적어도 상기 베이스 연결 힌지부를 경유하여 지나가며, 상기 언록킹 와이어(40)의 양단부는 상기 밴날개(30)와 유동캠(20)에 연결된다. 밴날개(30)에 언록킹 와이어(40)의 일단부가 연결지지부(42)를 매개로 연결되고, 유동캠(20)에 언록킹 와이어(40)의 타단부가 역시 연결지지부(4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언록킹 와이어(40)가 링크(22)의 베이스 연결 힌지부를 구성하는 힌지핀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지나간다.
상기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를 수동으로 열어줄 때에 상기 승강장 도어래치의 언록킹 푸셔(232)가 밴날개(30)를 상부로 밀어올려서 언록킹 와이어(40)를 당겨주고, 상기 언록킹 와이어(40)가 당겨지면 상기 유동캠(20)에 연결된 회동 록킹편(52)을 하향 회동시켜서 제1카도어(122FD)에 구비된 상기 회동 록킹편(52)과 제2카도어(122SD)에 구비된 록킹래치(54)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 언록킹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록킹래치(54)에는 하향 연장된 걸이편(54P)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 록킹편(52)에는 록킹래치(54) 선단부에서 하향 연장된 걸이편(54P)이 끼워지는 걸이편 결합홀(52H)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편 결합홀(52H)은 회동 록킹편(52)의 상하면으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2)는 유동캠(20)의 전면과 마주하는 선단부에 브라켓부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부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유동캠(20)의 이동시(유동캠(20)이 상승 및 완충부재 쪽으로 이동시)에 상기 완충부재(16)에 유동캠(20)이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재에 의해 유동캠(20)이 주변의 단단한 금속물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저감시키고 완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22)는 베이스(12)에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링크(22)를 베이스(12)에 연결하는 연결 힌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록킹 연결 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 록킹편(52)이 한 쌍의 링크(22) 사이에서 상하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는 카도어와 승강장 도어 자동 개폐 모드, 카도어와 승강장 도어 비상 개방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카도어와 승강장 도어 자동 개폐 모드>
엘리베이터카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엘리베이터 피트)를 따라 승강할 때, 다시 말해, 승강장 도어와 엘리베이터카의 카도어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유동캠(2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고, 밴날개(30)의 상부에 구비된 롤러가 밴캠(31)의 가이드부를 따라 내려와서 상기 밴날개(30)도 자중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언록킹 와이어(40)는 느슨한 상태가 되며, 상기 유동캠(20)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회동 록킹편(52)이 록킹 연결 힌지부와 회동 베이스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향으로 회동(수평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유지되어서 회동 록킹편(52)의 걸이편 결합홀(52H)에 록킹래치(54)의 걸이편(54P)이 걸려져 있으므로, 좌우 한 쌍의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열리지 않는 록킹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밴날개(30)를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언록킹 푸셔(232)가 베이스(12)의 후단부 쪽으로 밀어주는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날개링크(32)가 록킹 베이스 연결 힌지부와 밴날개 연결 힌지부를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회동 하강하는 작동(베이스(1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우상향으로 경사지게 올라가 있는 상태에서 우하향으로 회동 하강하여 수평하게 되는 작동)을 하면서 밴날개(30)는 자중에 의해 베이스(12)의 후단부 쪽에서 전단부 쪽으로 전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언록킹 와이어(40)는 느슨한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도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걸림편이 승강 래치후크의 래치 걸림홀에 걸려진 상태라서 좌우측의 제1승강장 도어 및 제2승강장 도어도 열리지 않는 록킹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건물 각 층에 구비된 진입구 위치(정상 위치)에 도달(즉, 승강장 도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도달)하여 승강장 도어 래치가 상향 회동하면, 승강장 도어 래치가 승강 래치후크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되어 좌우 승강장 도어가 열릴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 도어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12)에 구비된 유동캠(20)과 밴날개(30) 사이로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언록킹 푸셔(232)가 들어와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밴날개(30)의 상부에 구비된 롤러(30RO)가 밴캠(31)의 가이드부를 따라 올라가서 상기 밴날개(30)가 베이스(12)의 전단부 쪽으로 밀리고 동시에 베이스(12)의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려진 상태가 되며, 상기 언록킹 와이어(40)는 다시 팽팽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어서,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가 열리기 시작하면 좌우 한 쌍의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도 열릴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가 초기에 약간 열린 상태에서는 승강장 도어 래치(230)에 구비된 언록킹 푸셔(232)가 유동캠(20)을 밀지 않기 때문에, 회동 록킹편(52)이 아직 하강하지 않고 수평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가 초기에 약간 열린 상태는 좌우 5mm씩 10mm보다 적게 열린 상태인데, 이처럼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가 초기에 좌우 5mm씩 10mm보다 적게 열린 상태에서는 승강장 도어 래치(230)에 구비된 언록킹 푸셔(232)가 유동캠(20)을 밀지 않기 때문에, 회동 록킹편(52)이 아직 하강하지 않고 수평 상태로 유지되어 회동 록킹편(52)의 걸이편 결합홀(52H)에 록킹래치(54)의 걸이편(54P)이 걸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열리지 않는 록킹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승강장 도어 및 제2승강장 도어가 제1카도어(122FD) 및 제2카도어(122SD)와 함께 계속해서 조금 더 열린 상태(예를 들어, 좌우 5mm씩 10mm로 열린 상태)가 되면,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언록킹 푸셔(232)가 유동캠(20)을 베이스(12)의 전단부 쪽으로 밀고 동시에 베이스(12)의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유동캠(20)이 베이스(12)의 전단부 쪽으로 밀리고 동시에 위로 올라가려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링크(22)가 베이스 연결 힌지부와 연결 힌지부를 기준으로 위쪽으로 더 회동 상승하는 작동(베이스(1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우하향으로 경사지게 접혀진 상태에서 상측으로 더 경사지게 회동 상승하는 작동)을 하면서 유동캠(20)은 베이스(12)의 전단부 쪽으로 밀리면서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상기 언록킹 와이어(40)는 팽팽해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유동캠(20)이 베이스(12)의 전단부 쪽으로 밀리고 동시에 상승함에 따라 회동 록킹편(52)은 회동 베이스 힌지부와 록킹 연결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면서 회동 록킹편(52)의 걸이편 결합홀(52H)이 엘리베이터카 록킹래치(54)의 걸이편(54P)에서 빠지게 되므로,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고,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를 계속해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20)가 대략 좌우 10mm씩 20mm가 열린 상태에서는 승강장 도어 래치(230)에 구비된 언록킹 푸셔(232)가 유동캠(20)을 밀어서 올리기 때문에, 상기 유동캠(20)은 언록킹 와이어(40)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승하고 회동 록킹편(52)이 하강하여 회동 록킹편(52)의 걸이편 결합홀(52H)이 카도어 록킹래치(54)의 걸이편(54P)에서 빠지므로,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계속 열릴 수 있는 록킹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처럼,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를 록킹 상태로 유지하였던 엘리베이터카 록킹래치(54)와 회동 록킹편(52)이 걸려진 잠금 상태(록킹 상태)가 해제된 다음,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를 완전히 열어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우측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와 좌우측 제1카도어(122FD) 및 제2카도어(122SD)가 자동으로 같이 열릴 때에는 밴캠(31)을 따라서 밴날개(30)의 가이드롤(30RO)이 구름 운동하여 밴날개(30)가 아래로 내려간다.
한편, 상기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를 닫을 때에는 상기한 개방 과정과 반대되는 과정으로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다시 록킹 상태로 전환된다.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닫힌 상태에서는 유동캠(20)이 승강장 록킹래치(54)의 언록킹 푸셔(232)에 의해 눌리는 상태가 해제되므로, 유동캠(20)이 당겨놓았던 언록킹 와이어(40)의 당김 상태가 해제되면서 유동캠(2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회동 록킹편(52)을 다시 원위치(수평한 위치)가 되도록 위로 회동시키고, 회동 록킹편(52)이 다시 위로 회동하면, 상기 회동 록킹편(52)의 걸이편 결합홀(52H)에 엘리베이터카 록킹래치(54)의 걸이편(54P)이 걸려지므로, 상기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를 다시 잠근 상태(록킹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건물 각 층의 정상 승강장 위치(즉, 엘레베이터카의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승강장 도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도달하지 않고 정전 등의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멈춰버리면, 상기 엘리베이터카 록킹래치(54)와 회동 록킹편(52)이 서로 잠겨진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엘리베이터카에 탑승한 사람이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를 열려고 하여도 절대로 열리지 않는다.
상기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 및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힐 때에는 밴날개(30)가 밴캠(31)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므로 상기 언록킹 와이어(40)가 유동캠(20)을 당기지 않고 자중에 의해 유동캠(20)이 하강하여 상기 회동 록킹편(52)과 록킹래치(54)의 서로 맞물린 잠금 상태(록킹 상태)가 유지되므로, 엘리베이터카에 탑승한 사람이 임의로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를 열 수 없게 된다.
<카도어와 승강장 도어 비상 개방 모드>
엘리베이터의 고장 등의 비상시에 엘리베이터카가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정지하고,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도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정지한 상태가 될 때에 승강장에 있는 사람이 제1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비상키(삼각키)에 키를 꽂아서 비상키를 돌려준다. 이때, 상기 비상키의 회전뭉치는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회전 기준부인 힌지부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비상키의 회전뭉치를 돌려주면 제1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승강장 도어 래치(230)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되면서 제2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승강 래치후크의 걸림편에서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걸림 래치편이 위쪽으로 이탈되므로,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220)가 수동으로 열릴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다음,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제1승강장 도어에 승강장 도어 래치(230)가 구비되어, 상기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를 계속해서 수동으로 열어주면, 제1승강장 도어와 함께 승강장 도어 래치(230)가 상기 밴날개(30)을 위로 밀어 올려준다. 승강장 도어 래치(230)에 구비된 롤러 형태의 언록킹 푸셔(232)가 밴날개(30)를 밀어서 위로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언록킹 푸셔(232)가 밴날개(30)를 위로 밀어올려준 상태에서는 밴날개(30)의 상부에 구비된 롤러(30RO)는 상기 밴캠(31)의 위로 더 떠있게 되고, 상기 언록킹 와이어(40)는 팽팽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승강장 도어에 힌지부를 매개로 장착된 승강장 도어 래치(230)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위쪽으로 상승하여 제2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승강 래치후크의 걸림 래치편에서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록킹 걸림편이 위로 빠진 상태가 되어,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를 수동으로 열어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 상기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를 승강장에 있는 사람이 좌우 방향으로 열어주기 시작하면 좌우 한 쌍의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도 열릴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가 초기에 약간 열린 상태에서는 승강장 도어 래치(230)에 구비된 언록킹 푸셔(232)가 밴날개(30)를 베이스(12)의 후단부 쪽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배이스의 상부 쪽으로 상승시키지 않기 때문에, 상기 언록킹 와이어(40)가 당겨지지 않고 유동캠(20)을 베이스(12)의 전단부 쪽으로 밀어주는 힘과 상승시키는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회동 록킹편(52)이 아직 하강하지 않고 수평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가 초기에 약간 열린 상태는 좌우 5mm씩 10mm보다 적게 열린 상태인데, 이처럼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가 초기에 좌우 5mm씩 10mm보다 적게 열린 상태에서는 승강장 도어 래치(230)에 구비된 언록킹 푸셔(232)가 밴날개(30)를 베이스(12)의 후단부 쪽으로 밀지 않아서 상기 언록킹 와이어(40)가 당겨지지 않고 상기 유동캠(20)을 베이스(12)의 전단부 쪽으로 밀어주는 작동과 상승시키는 작동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유동캠(20)에 록킹 연결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베이스(12)에 회동 베이스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된 상기 회동 록킹편(52)이 아직 하강하지 않고 수평 상태로 유지되므로 회동 록킹편(52)의 걸이편 결합홀(52H)에 록킹래치(54)의 걸이편(54P)이 걸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열리지 않는 록킹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승강장 도어 및 제2승강장 도어가 제1카도어(122FD) 및 제2카도어(122SD)와 함께 계속해서 조금 더 열린 상태(예를 들어, 좌우 5mm씩 10mm로 열린 상태)가 되면,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언록킹 푸셔(232)가 밴날개(30)를 상기 베이스(12)의 후단부 쪽으로 밀고 동시에 베이스(12)의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린다. 밴날개(30)가 베이스(12)의 후단부 쪽으로 밀리고 동시에 위로 올라가려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날개링크(32)가 록킹 베이스 연결 힌지부와 밴날개 연결 힌지부를 기준으로 위쪽으로 더 회동 상승하는 작동(베이스(1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우하향으로 경사지게 접혀진 상태에서 상측으로 더 경사지게 회동 상승하는 작동)을 하면서 밴날개(30)는 베이스(12)의 후단부 쪽으로 밀리면서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상기 밴날개(30)가 베이스(12)의 후단부 쪽으로 밀리고 동시에 상승함에 따라 상기 팽팽하기 당겨져 있는 상태의 언록킹 와이어(40)가 더 많이 당겨지면서 상기 유동캠(20)을 베이스(12)의 전단부 쪽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베이스(12) 상부쪽으로 상승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 록킹편(52)은 회동 베이스 힌지부와 록킹 연결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면서 회동 록킹편(52)의 걸이편 결합홀(52H)이 엘리베이터카 록킹래치(54)의 걸이편(54P)에서 빠지게 되므로,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고,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를 계속해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20)가 대략 좌우 10mm씩 20mm가 열린 상태에서는 승강장 도어 래치(230)에 구비된 언록킹 푸셔(232)가 밴날개(30)를 베이스(12)에서 더 위로 밀어서 올리기 때문에, 상기 유동캠(20)은 언록킹 와이어(40)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승하고 회동 록킹편(52)이 하향 회동하여 회동 록킹편(52)의 걸이편 결합홀(52H)이 카도어 록킹래치(54)의 걸이편(54P)에서 빠지므로,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계속 열릴 수 있는 록킹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처럼,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를 록킹 상태로 유지하였던 엘리베이터카 록킹래치(54)와 회동 록킹편(52)이 걸려진 잠금 상태(록킹 상태)가 해제된 다음,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를 수동으로 완전히 열어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좌우측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와 좌우측 제1카도어(122FD) 및 제2카도어(122SD)가 수동으로 같이 열릴 때에 밴캠(31)을 따라서 밴날개(30)의 가이드롤(30RO)이 구름 운동하여 밴날개(30)가 아래로 내려가는 작동을 하는 것은 엘리베이터 도어, 다시 말해, 상기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 및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가 자동 개폐될 때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강장에 있는 사람이 엘리베이터카에 타고 있는 사람을 구출하려면 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비상키를 열고나서 승강장 도어 안쪽에 있는 레버를 별도로 쳐줄 필요가 없이 언록킹 와이어(40)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도어를 열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서, 기존에 로테이션 바아와 푸시바아 등으로 카도어의 로테이션 바아를 눌러주는 경우에 비하여 비상시 엘리베이터 도어를 열어주는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이처럼 기존의 로테이션 바아와 푸시바아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도어에 구비된 회동 록킹편(52)을 눌러주어서 록킹래치(54)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므로, 비상시에 승강장에 있는 사람이 엘리베이터카에 있는 사람을 제대로 구출하지 못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푸시바아로 회동 록킹편(52)을 눌러서 엘리베이터 도어를 열어줄 수 있는 장치의 경우 얼마 쓰지 못하고 마모 등의 소손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언록킹 와이어(40)에 의해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도어을 수동으로 열어줄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기존에 비하여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방해주는 구성이 훨씬 간소화되고 생산성이나 단가 측면에서도 매우 불리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2. 베이스 20. 유동캠
30. 밴날개 31. 밴캠
40. 언록킹 와이어 52. 회동 록킹편
54. 록킹래치 122FF. 제1카도어 행거
122SF. 제2카도어 행거 122FD. 제1카도어
122SD. 제2카도어 230. 승강장 도어 래치
234. 언록킹 푸셔

Claims (8)

  1. 엘리베이터카의 좌우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카도어(122FD)와 제2카도어(122SD) 중에서 상기 제1카도어(122FD)에 장착된 베이스(12);
    상기 제2카도어(122SD)에 장착된 록킹래치(54);
    상기 제1카도어(122FD)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밴날개(30);
    상기 제1카도어(122FD)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유동캠(20);
    회동 베이스 힌지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12)에 연결되고 록킹 연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유동캠(20)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캠(20)의 유동에 따라 상기 록킹래치(54)에 결합되거나 상기 록킹래치(54)에서 결합 해제되는 회동 록킹편(52);
    상기 밴날개(30)와 상기 유동캠(20)에 연결된 언록킹 와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된 탑프레임(120);
    상기 탑프레임(120)에 설치된 밴캠(31);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2)에는 윙베이스 힌지부에 의해 날개링크(32)가 연결되고, 상기 밴날개(30)는 연결 힌지부에 의해 상기 날개링크(32)에 연결되어 상기 밴날개(30)가 상기 제1카도어(122FD)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카도어(122FD) 및 상기 제2카도어(122SD)가 자동 개폐시에 상기 밴캠(31)에 의해 상기 밴날개(30)가 승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2)에는 베이스 연결 힌지부를 매개로 링크(22)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링크(22)의 타단부에는 연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유동캠(20)이 연결되어, 상기 유동캠(20)과 상기 링크(22)가 상기 베이스 연결 힌지부와 상기 연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12)에서 회동 승강되고, 상기 회동 록킹편(52)은 회동 베이스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12)에 연결되고 록킹 연결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유동캠(20)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캠(2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할 때에 상기 회동 록킹편(52)이 상향 회동하여 상기 록킹래치(54)에 걸려지는 록킹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언록킹 와이어(40)는 상기 링크(22)의 상기 연결 힌지부와 상기 베이스 연결 힌지부 중에서 적어도 상기 베이스 연결 힌지부를 경유하여 지나가며, 상기 언록킹 와이어(40)의 양단부는 상기 밴날개(30)와 상기 유동캠(2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캠(20)과 상기 회동 록킹편(52)과 상기 언록킹 와이어(40)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카의 제1카도어(122FD)에는 밴날개(30)가 장착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상기 제1카도어(122FD)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카도어(122SD)를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는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승강되어 상기 제1카도어(122FD)와 상기 제2카도어(122SD)가 승강장에 설치된 제1승강장 도어와 제2승강장 도어에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승강장 도어 래치(230)의 언록킹 푸셔(232)은 상기 밴날개(30)와 상기 유동캠(20) 사이로 진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장 도어와 상기 제2승강장 도어를 수동으로 열어줄 때에 상기 승강장 도어래치의 상기 언록킹 푸셔(232)가 상기 밴날개(30)를 상부로 밀어올려서 상기 언록킹 와이어(40)를 당겨주어 상기 유동캠(20)에 연결된 상기 회동 록킹편(52)을 하향 회동시켜서 상기 제1카도어(122FD)에 구비된 상기 회동 록킹편(52)과 상기 제2카도어(122SD)에 구비된 록킹래치(54)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 언록킹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래치(54)에는 하향 연장된 걸이편(54P)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 록킹편(52)에는 상기 걸이편(54P)이 끼워지는 걸이편 결합홀(52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2)는 상기 유동캠(20)의 전면과 마주하는 선단부에 브라켓부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부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유동캠(20)의 이동시 상기 완충부재에 상기 유동캠(20)의 전면이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22)는 상기 베이스(12)에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링크(22)를 상기 베이스(12)에 연결하는 상하 한 쌍의 록킹 연결 힌지부(12BH)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록킹 연결 힌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 록킹편(52)이 상기 한 쌍의 링크(22) 사이에서 상하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KR1020180129564A 2018-10-29 2018-10-29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KR102103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64A KR102103335B1 (ko) 2018-10-29 2018-10-29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64A KR102103335B1 (ko) 2018-10-29 2018-10-29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335B1 true KR102103335B1 (ko) 2020-04-22

Family

ID=7047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564A KR102103335B1 (ko) 2018-10-29 2018-10-29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3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597B1 (ko) * 2020-11-11 2021-03-10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산업 위급시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방 장치
KR20210099460A (ko) * 2020-02-04 2021-08-12 권순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유지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5966A1 (en) * 2003-09-17 2006-10-12 Inventio Ag Device for Connecting a Car Door with a Shaft Door an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s, a Device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r Door and a Method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r Door
KR100903971B1 (ko) 2007-09-10 2009-06-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KR101047856B1 (ko) 2010-09-29 2011-07-08 이정배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다초점 난시용 안경렌즈
KR101257717B1 (ko) 2012-04-30 2013-04-24 권순범 안전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665338B1 (ko) * 2016-02-24 2016-10-12 권순범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 록킹장치
KR101727187B1 (ko) * 2015-11-27 2017-04-17 에이스코리아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카도어 락킹장치
KR20180036994A (ko) * 2015-08-04 2018-04-1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실 로크를 갖는 카 도어 인터로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5966A1 (en) * 2003-09-17 2006-10-12 Inventio Ag Device for Connecting a Car Door with a Shaft Door an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s, a Device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r Door and a Method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r Door
KR100903971B1 (ko) 2007-09-10 2009-06-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구조
KR101047856B1 (ko) 2010-09-29 2011-07-08 이정배 다초점 난시용 렌즈제작몰드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다초점 난시용 안경렌즈
KR101257717B1 (ko) 2012-04-30 2013-04-24 권순범 안전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80036994A (ko) * 2015-08-04 2018-04-1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실 로크를 갖는 카 도어 인터로크
KR101727187B1 (ko) * 2015-11-27 2017-04-17 에이스코리아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카도어 락킹장치
KR101665338B1 (ko) * 2016-02-24 2016-10-12 권순범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 록킹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460A (ko) * 2020-02-04 2021-08-12 권순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유지장치
KR102331749B1 (ko) 2020-02-04 2021-11-25 권순범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유지장치
KR102225597B1 (ko) * 2020-11-11 2021-03-10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산업 위급시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870B2 (en) Foldable handrail and safety switch arrangement on top of an elevator car
KR101665338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 록킹장치
US8689945B2 (en)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KR102103335B1 (ko) 언록킹 기능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장치
PT1516847E (pt) Dispositivo para acoplar uma porta de cabina com uma porta de patamar, bem como um dispositivo para destrancar uma porta de cabina em caso de emergência.
KR101929263B1 (ko) 엘리베이터 도어 비상 개방장치
CN102493760B (zh) 提拉式爬梯
JP6013559B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A1135201A (en) Car door safety interlock
KR101220495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JP201700185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257717B1 (ko) 안전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04760872B (zh) 一种带轿门锁紧机构的同步门刀装置
GB2193750A (en) Elevator landing door unfastening apparatus
CN104760874A (zh) 一种电梯轿门的异步门刀结构
JP5600778B1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US9643820B2 (en)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KR102331749B1 (ko) 엘리베이터 도어 록킹 풀림 유지장치
CN212315272U (zh) 一种集成轿门锁门刀
JP2006096489A (ja) エレベータードア装置
CN111573486A (zh) 一种集成轿门锁门刀
KR100460334B1 (ko) 수문 인상장치
KR102094885B1 (ko) 방폭형 스위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잠금장치
KR101220502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KR20110046898A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