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691B1 - 능동 소음 억제 장치 - Google Patents

능동 소음 억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691B1
KR100938691B1 KR1020077027531A KR20077027531A KR100938691B1 KR 100938691 B1 KR100938691 B1 KR 100938691B1 KR 1020077027531 A KR1020077027531 A KR 1020077027531A KR 20077027531 A KR20077027531 A KR 20077027531A KR 100938691 B1 KR100938691 B1 KR 100938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noise
control sound
basic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982A (ko
Inventor
신스케 미츠하타
Original Assignee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5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7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 G10K11/17879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using both a reference signal and an error signal
    • G10K11/17883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using both a reference signal and an error signal the reference signal being derived from a machine operating condition, e.g. engine RPM or vehicle spe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2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input signals only
    • G10K11/17823Reference signals, e.g. ambient acoustic environ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5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 G10K11/17853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of the filter
    • G10K11/17854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of the filter the filter being an adaptive filt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1Rotating machines, e.g. engines, turbines, motors; Periodic or quasi-periodic signal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50Miscellaneous
    • G10K2210/511Narrow band, e.g. implementations for single frequency cancel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소정 주파수를 가진 기본 파형을 생성하는 기본 음원(121),(122)과, 기본 파형에 대해 적응 필터 계수(W0,W1)를 곱한 신호로부터 제어음을 생성하여 소음중의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억제하는 소음 억제 장치이다. 적응 필터 계수를 사용하여 검출한 제어음의 위상 변화량이 소정 문턱값보다도 큰 경우, 기본 음원이 출력하는 기본 파형의 주파수를 소정량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주파수 조정 회로(210)를 갖는다. 주기성 소음의 피크 주파수 변동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능동 소음 억제 장치{Active noise suppressor}
본 발명은, 주기성 소음을 발생시키는 기기 근방에 제어 음원을 설치함으로써 소음을 억제하는 능동 소음 억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음의 주파수 변동의 추종성 제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터나 엔진의 동작음을 대표로 하는 주기성 소음을 억제하는 기술로서, 능동 소음 제어(Active Noise Control:ANC)가 알려져 있다. ANC기술은, 소음과 동진폭, 역위상의 신호(제어음)를 생성하고, 음파 간섭에 의해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차내 소음 저감이나 옥외에서 사용하는 헤드폰의 환경 잡음 감소 등에 사용되고 있다.
제어음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기본 음원이 출력하는 정현파 및 여현파에 대해 적용 노치 필터를 적용하여 적응 후의 신호를 합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적응 노치 필터를 사용한 능동 소음 억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능동 소음 억제 장치는, 적응 노치 필터(100)와, 기본 음원을 구성하는 여현파 발생기(121) 및 정현파 발생기(122)와, 기본 음원의 출력 주파수에 대해 사전에 측정한 계(系)의 전달 함수(C0,C1)를 적용하는 전달 요소(101),(102)와, 전달 요 소(101) 및 (102)의 출력을 가산하여 참조 신호(r)로서 출력하는 가산기(103)와, 적응 제어 알고리즘 연산기(필터 계수 연산기)(110)로 구성된다.
여현파 발생기(121) 및 정현파 발생기(122)는, 사전에 측정한 소음의 피크 주파수(f)와 같은 주파수를 가지고, 소정 진폭을 가진 여현파 및 정현파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기본 신호는, 주파수(f)의 신호에 대해서 사전에 측정한 전달 함수(C0,C1)를 적용하는 전달 요소(101) 및 (102)에 주어짐과 동시에 적응 노치 필터(100)에도 주어진다.
적응 노치 필터(100)는, 적응 제어 알고리즘 연산기(100)에서 주어지는 필터 계수(W0,W1)를 여현파 및 정현파 신호에 각각 승산하여 출력한다. 적응 노치 필터(100)의 출력 신호는 가산기(130)에 의해 가산되고, 제어음으로서 예를 들면 미도시된 스피커에서 출력된다.
적응 알고리즘 연산기(110)는 마이크(140)에서 취득한 오차 신호(e)(제어음과 대상 소음과의 차분)와, 가산기(103)에서 출력되는 참조 신호(r)를 입력하여 예를 들면 LMS(Least Mean Square)알고리즘인 적응 알고리즘에 의해 오차 신호(e)가 적어지도록 노치 필터(100)의 계수(W0,W1)를 산출, 갱신한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평11-325168호 공보
양호한 소음 억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소음의 피크 주파수 성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자동차의 엔진과 같이 회전수에 따라 피크 주파수 성분이 변화되는 소음원에 대응하려면 엔진의 회전수마다 적절한 필터 계수(W0,W1)를 산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회전수는 항상 변화하기 때문에 실시간 으로 적절한 필터 계수를 얻기 위해서는 고속으로 연산 가능한 프로세서가 필요하게 되어 능동 소음 억제 장치의 고가격화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적응 알고리즘 연산기(110) 대신에 사전에 엔진의 회전수마다 구한 필터 계수를 기억하는 ROM을 준비하고, 엔진의 회전수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로부터 계수를 독출하여 사용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고속이면서 저가격의 능동 소음 억제 장치를 실현 가능한 반면, 사전에 필터 계수(W0,W1)를 산출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소음의 주파수 성분은 환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같은 필터 계수를 그대로 다른 환경에 적응하여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자동차를 예로 들면, 엔진의 종류와 차종의 조합별로 회전수에 대응한 필터 계수(W0,W1)를 산출해둘 필요가 있어 그 공정은 방대해진다. 또 새로운 환경에 대해 즉석에서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 하나는 주기성 소음의 피크 주파수 변동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한 능동 소음 억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범용성이 우수한 능동 소음 억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소정 주파수를 가진 기본 파형을 생성하는 기본 음원과, 기본 파형에 대해 적응 필터 계수를 곱한 신호로부터 제어음을 생성하고, 소음중의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억제하는 소음 억제 장치로서, 적응 필터 계수를 사용하여 제어음의 위상을 검출하는 위상 검출 수단과, 제어음의 위상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변화량 검출 수단과, 제어음의 위상의 변화량이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큰 경우, 기본 음원이 출력하는 기본 파형의 주파수를 소정량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주파수 조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소음 억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능동 소음 억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능동 소음 억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주파수 미세 조정 회로(210)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주파수 제어 회로(220)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관한 능동 소음 억제 장치의 초기 설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관한 능동 소음 억제 장치의 소음 억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a는 실시예에 관한 능동 소음 억제 장치에서, 주파수 미세 조정 처리를 한 경우와 하지 않은 경우의 오차 신호의 음압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실시예에 관한 능동 소음 억제 장치에서, 주파수 미세 조정 처리를 한 경우와 하지 않은 경우의 오차 신호의 음압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제어음을 생성하여 소음 억제 처리를 한창 실시하고 있는 도중에 같은 시각의 소음, 주파수 미세 조정을 동반한 소음 억제시의 오차 신호, 주파수 미세 조정을 동반하지 않은 소음 억제시의 오차 신호를 각각 주파수 해석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제어음을 생성하여 소음 억제 처리를 한창 실시하고 있는 도중에 같은 시각의 소음 주파수 미세 조정을 동반한 소음 억제시의 오차 신호, 주파수 미세 조정을 동반하지 않은 소음 억제시의 오차 신호를 각각 주파수 해석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c는 제어음을 생성하여 소음 억제 처리를 한창 실시하고 있는 도중에 같은 시각의 소음, 주파수 미세 조정을 동반한 소음 억제시의 오차 신호, 주파수 미세 조정을 동반하지 않은 소음 억제시의 오차 신호를 각각 주파수 해석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능동 소음 억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서, 도 1에 설명한 구성과 같은 구성에는 같은 참조 숫자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와 도 1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의 능동 소음 억제 장치의 주요 특징은, 종래의 능동 소음 억제 장치에 비해 주파수 미세 조정 회로(210) 및 주파수 제어 회로(220)를 부가한 점에 있다. 따라서, 이들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 계수 산출 회로(270)는 초기 설정시에 등록해야 할 계의 전달 함수를 나타내는 계수를 산출하기 위한 회로로서, 반드시 본 실시예의 능동 소음 억제 장치의 구성으로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의 능동 소음 억제 장치에서도, 제어음의 발생 원리는 도 1에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출력 주파수를 외부에서 제어 가능한 여현파 발생기(121) 및 정현파 발생기(122)로 이루어진 기본 음원으로부터, 억제 대상이 되는 주파수를 가진 기본 파형으로서의 여현파 및 정현파를 출력시킨다. 이 여현파 및 정현파에 적응 노치 필터(100)에서 필터 계수(W0,W1)를 곱하고, 가산기(130)에서 가산한 결과를 제어음(y)으로 하여 소음원의 근방에 배치한 스피커(150)에서 출력한다.
적응 노치 필터(100)의 계수(W0,W1)는, 적응 알고리즘 연산기(110)가 참조 신호(r)과 오차 신호(e)에서 적응 제어 알고리즘 연산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참조 신호(r)는 기본 음원에서 발생시킨 주파수(f)[Hz]의 여현파 및 정현파 신호에 대해 사전에 측정한 계의 전달 함수(C0) 및 (C1)을 전달 요소(101),(102)에 적용하여 가산기(103)에서 가산한 결과로서 취득한다.
한편, 마이크(140)에서 집음(集音)하여 대상 주파수 성분을 오차 신호(e)로서 취득한다. 그리고 참조 신호(r)과 오차 신호(e)로부터 적응 제어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필터 계수(W0,W1)를 구한다. 적응 제어 알고리즘으로서 LMS알고리즘을 사용한 경우,
어느 시점(n)에 대해 소정 단위 시간 경과한 시점(n+1)에서의 적응 노치 필터 계수(W0(n+1)) 및 (W1(n+1))은,
W0(n+1)=W0(n)+2μe(n)r(n)
W1(n+1)=W1(n)+2μe(n)r(n)
(r(n)은 n에서의 참조 신호, e(n)은 n에서의 오차 신호, μ는 단계 사이즈이다)
로서 산출된다.
주파수 미세 조정 회로(210)는, 억제 대상의 주파수 성분이 비교적 작은 변동을 검출하고, 여현파 발생기(121) 및 정현파 발생기(122)로 구성된 기본 음원의 출력 주파수를, 주기성 소음의 주파수 변동에 추종시키기 위한 주파수 미세 조정 신호를 출력한다.
주파수 제어 회로(220)는 장치의 설치시나 소음원이 변한 경우에 기본 음원이 출력하는 주파수를 신규로 설정하는 주파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도 2에는 설명 및 이해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소음을 구성하는 복수의 주파수 성분 중 어느 한 주파수 성분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주파수 성분을 억제할 경우에는 스피커(150), 마이크(140)를 제외한 구성을 억제하는 주파수 성분과 동일한 수병렬로 만들고, 가산기(130)의 출력을 더 가산하여 스피커(150)에서 출력한다. 또한, 스피커(150), 마이크(140) 이외의 구성 중 후술하는 가상 소음 생성에 관한 구성(전처리 블럭(220A))이나, 주파수를 해석하여 피크 주파수를 검출하는 구성(제어 블럭(220B)) 등은 반드시 억제하는 주파수 성분의 수만큼 만들 필요는 없다.
(주파수 미세 조정 회로(210))
도 3은, 주파수 미세 조정 회로(210)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주파수 미세 조정 회로(210)는 위상 산출 회로(212)와, 주파수 미세 조정 신호 생성 수단으로서의 위상 엇갈림 판정 회로(214)를 가지고 있다. 위상 산출 회로(212)는, 적응 알고리즘 연산기(110)가 출력하는 필터 계수(W0,W1)를 취득하고, 이들 필터 계수(W0,W1)로부터 제어음의 위상(θ)을 산출한다.
어느 주파수의 제어음(y)을 y=Acos(X+θ)로 표현하면, 직교 변환 원리에 의해 다음 수학식 1로 표현할 수 있다.
y=Acos(X+θ)=W0cos(x)+W1sin(x)
여기에서 A=
Figure 112007084898345-pct00001
(W02+W12), θ=tan-1(W1/W0)이다.
이 원리에 기초하여 위상 산출회로(212)는 어느 시각(n)에서의 제어음의 위상(θ)을,
θ(n)=tan-1(W1(n)/W0(n))
로서 구하고, 위상 엇갈림 판정 회로(214)로 출력한다.
위상 엇갈림 판정 회로(214)는, 하나 전의 필터 계수(W0(n-1)),(W1(n-1))에서 구해진 위상(θ(n-1))과, 이번에 구해진 위상(θ(n))으로부터 제어음의 위상 변화량을 검출하고, 변화량이 사전에 정한 문턱값(η)을 초과했는지 여부, 즉,
다음 수학식 2의 관계가 성립되는지를 판정한다.
|θ(n)―θ(n-1)|>η
그리고 수학식 2가 충족되지 않으면, 위상 엇갈림은 오차의 범위라고 판정하여 주파수 미세 조정 신호는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본 음원에 대한 주파수 미세 조정은 하지 않는다. 한편, 수학식 2가 충족된 경우에는, θ(n)과 θ(n-1)의 대소 관계, 구체적으로는 위상의 변화 방향에 따라 기본 음원의 출력 주파수를 사전에 정한 조정폭(σ[Hz])만큼 증감시킨다.
즉,
·θ(n)―θ(n-1)>O의 경우(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
f(n+1)=f(n)+σ
·θ(n)―θ(n-1)<O의 경우(위상이 되돌아온 경우)
f(n+1)=f(n)-σ
가 되도록 여현파 발생기(121) 및 정현파 발생기(122)에 대해 주파수 미세 조정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주파수 미세 조정 회로(210)에 의한 주파수 미세 조정 처리에 의해, 억제 대상 주파수의 변동, 특히 시간당 변동량이 비교적 적은 정상적인 주파수 변동에 대해 고정밀도로 추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주파수 미세 조정 처리는 그 연산이 간편하기 때문에 고속 처리가 가능하고, 예를 들면 수천회/초의 빈도로 수행할 수 있다.
(주파수 제어 회로(220))
한편, 주파수 제어 회로(220)는 보다 큰 주파수 변동이나 장치의 설치시 등 에서의 주파수 설정을 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주파수 제어 회로(220)는 주파수 미세 조정 회로(210)가 있는 시점에서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하여 조정폭(σ)을 증감시키는 것에 비해, 출력 주파수 그 자체를 설정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의 주파수 제어 회로(220)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주파수 제어 회로(220)는 크게, 가상 소음을 생성하는 전처리 블럭(220A)과, 가상 소음으로부터 억제 대상으로 하는 피크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여 기본 음원에 주파수를 설정하는 제어 블럭(220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처리 블럭(220A)은 능동 소음 억제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의 소음을 생성하기 위한 블럭이다. 능동 소음 억제 장치의 동작중에 마이크(140)에서 얻어지는 신호는 오차 신호(e)로서, 원래의 소음과는 주파수 스펙트럼이 다르다. 따라서, 능동 소음 억제 장치를 동작시키면서 소음의 피크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기 위해 능동 소음 억제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의 소음에 상당하는 신호(가상 소음)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전처리 블럭(220A)은 신호의 위상을 π/2 지연시키는 π/2 지연 회로(222)와, 전달 요소(101),(102)와 동등한 전달 요소(224),(226)와, 전달 요소(224),(226)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228)와, 가산기(228)의 출력 신호를 마이크(140)에서 얻어지는 오차 신호에서 공제하는 감산기(230)를 갖는다.
가산기(228)의 출력 신호는, 제어음(y)(=Acos(x+θ))의 성분인 W0cos(x)와 W1sin(x)가 계를 통해 마이크(140)에 도달한 제어음(y)을 나타낸다. 즉, 제어음(y)의 W0cos(x)성분을 계의 전달 함수(C0)를 적용하는 전달 요소(224)에, W1sin(x)성 분을 계의 전달 함수(C1)를 적용하는 전달 요소(226)에 각각 입력한다. 그리고, 전달 요소(224),(226)의 출력을 가산기(228)에 가산함으로써 제어음(y)이 계를 전달하여 마이크(140)에 도달한 상태의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전달 요소(101),(102),(224),(226)는 구체적으로는 이산적인 복수의 주파수에 대한 계수와, 기본 음원의 주파수에 따른 계수를 입력 신호에 곱하는 승산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음원의 주파수에 합치되는 주파수의 계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른 주파수에 대응하는 계수로부터 보간에 의해 구한 계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계수는 사전에 백색 잡음이나 개별 주파수의 신호를 스피커(150)에서 출력하여 마이크(140)로 취득한 신호의 임펄스 응답을 푸리에 변환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설치 장소에서의 실측이 곤란한 경우에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해도 좋다.
가산기(228)의 출력 신호는 감산기(230)에서 마이크(140)로부터의 오차 신호에서 감산된다. 그 결과, 감산기(230)로부터는 가상 소음이 얻어진다. 이것은,
오차 신호=소음+제어음, 즉, 소음=오차 신호-제어음
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가상 소음은, 제어 블럭(220B)의 주파수 해석 회로(240)에 입력된다. 주파수 해석 회로(240)는 가상 소음에 대해 FFT 등을 적용하여 주파수 해석을 한다. 그리고, 피크 검출 회로(250)가 소음에 포함되는 주파수 성분에서 몇개(예를 들면 1∼3개)의 피크 주파수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검출하는 피크 주파수는 큰 것부터 순서대로 검출해도 좋고, 소정 크기 이상의 피크를 가진 주파수 중 저주파인 것부터 순서대로 선택하는 등, 임의의 조건을 적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판정 회로(260)는, 검출된 피크 주파수와 이전 회에 검출된 피크 주파수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사전에 정한 문턱값(fr)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억제 대상의 피크 주파수가 복수개 있는 경우, 피크 주파수마다 수행한다. 그리고, 차이가 문턱값(fr) 보다 큰 경우에는 새로 검출된 피크 주파수를 억제 대상의 주파수로 결정하고, 이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기본 음원을 구성하는 여현파 생성기(121) 및 정현파 생성기(122)의 출력 주파수를 주파수 제어 신호에 의해 설정, 변경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령 소음의 피크 주파수가 크게 변동한 경우라 해도 자동적으로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한 주파수 제어 회로(220)에 의한 주파수 재설정 처리는, 주파수 미세 조정 회로(210)에 의한 미세 조정만큼 빈번하게 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주파수 해석 처리가 필요하게 되므로 처리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적당한 간격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미세 조정 처리가 3000회/초인 경우에 재설정 처리는 1회/초 정도의 빈도로 할 수 있다.
(초기 설정 처리)
도 5는, 본 실시예의 능동 소음 억제 장치의 초기 설정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장치의 설치시 등, 가동 개시전에 한다. 우선, 소음원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본 음원 또는 별도로 준비한 음원에서 백색 잡음을 생성, 스피커(150)에서 출력하고 마이크(140)에서 백색 잡음의 임펄스 응답을 취득한다(단계 S101). 이 잡음은, 오차 신호(e)로서 주파수 제어부(220)에 입력되고, 감산기(230)를 통해 주파수 해석 회로(240)에 입력된다. 이 때 가상 잡음의 생성 및 감산은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주파수 해석 회로(240)에서 FFT를 적용하여 주파수마다의 정보로 분해한다(단계 S103). 그리고, 주파수 성분마다의 전달 특성으로부터 계수 산출 회로(270)에 의해 여현파 성분 및 정현파 성분에 대한 계수를 산출한다(단계 S105). 산출한 계수는 전달 요소(101),(102),(224),(226)에 등록한다(단계 S107). 이상이 전달 함수의 등록 처리이다. 소음원을 정지시키기 곤란한 경우 등 실측이 곤란한 경우에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사전에 구한 임펄스 응답으로부터 계수를 등록해도 좋다. 또 이 전달 함수 등록 처리는, 능동 소음 억제 장치와는 다른 해석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해도 좋다. 혹은 계수 산출 회로(270)를 외부 장치에 의해 실현해도 좋다.
다음으로, 주파수 설정 처리를 한다. 소음원이 가동된 상태에서 또한 제어음을 생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한다. 우선, 마이크(140)로부터 소음을 취득한다(단계 S109). 이 소음은, 전달 함수의 등록 처리시와 마찬가지로 가상 잡음이 감산되지 않고 주파수 해석 회로(240)에 입력된다. 그리고, 주파수 해석 회로(240)에서 FFT를 적용하여 주파수마다의 정보로 분해한다(단계 S111).
이 해석 결과로부터 피크 검출 회로(250)에서 피크 주파수를 검출한다(단계 S113). 그리고, 판정 회로(260)를 사용하여 사전에 정한 수의 피크 주파수(기본 음 원과 같은 수의 피크 주파수)를 개개의 기본 음원으로 설정한다(단계 S115).
이상의 처리에 의해 초기 설정 처리가 종료된다.
(소음 억제 동작)
초기 설정 처리가 종료되면 소음 억제 처리 실행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6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의 능동 소음 억제 장치에서의 소음 억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 동작은, 상술한 제어음 및 참조 신호의 생성(단계 S201)과 오차 신호와 참조 신호에 기초한 적응 노치 필터(100)의 계수 갱신(단계 S203)의 반복이다. 그리고 이 기본 동작과 병행하여 주파수 미세 조정 회로(210)에 의한 주파수 미세 조정 처리와, 주파수 제어 회로(220)에 의한 주파수 재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주파수 미세 조정 처리는, 기본 동작에서의 단계 S203에서 갱신된 필터 계수(W0(n),W1(n))와 그 전의 필터 계수(W0(n-1),W1(n-1))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즉, 위상 산출 회로(212)에 의해 W0(n),W1(n)에 기초하여 제어음의 위상(θ(n))을 산출한다(단계 S301). 그리고, 위상 엇갈림 판정 회로(214)에서 필터 계수(W0(n-1),W1(n-1))에서 구하여 기억된 위상(θ)(n-1)과 비교함으로써 위상 엇갈림량을 판정한다(단계 S303). θ(n)와 θ(n-1)차의 절대값이 사전에 정한 문턱값 이하인 경우(단계 S305, 아니오)에는 오차로 간주하여 주파수의 미세 조정은 하지 않고 단계 S301로 되돌아온다. 한편, 문턱값보다도 위상 엇갈림량이 큰 경우(단계 S305, 예)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θ(n)과 θ(n-1)의 대소 관계에 따른 방향으로 주파수를 조정량만큼 증가 또는 감소시켰다(단계 S307).
주파수 재설정 처리는, 기본 동작 단계 S201에서 생성하는 제어음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재설정 처리 실행 빈도는 주파수 미세 조정 처리 실행 빈도보다도 훨씬 낮다. 우선, 주파수 제어 회로(220)의 전처리 블럭(220A)에서 가상 소음을 생성한다(단계 S401). 그리고, 이 가상 소음을 제어 블럭(220B)의 주파수 해석 회로(240)에 입력하여 주파수 해석 처리를 한다(단계 S403). 피크 검출 회로(250)가 해석 결과로부터 피크 주파수를 검출한다(단계 S405). 판정 회로(260)가 현재의 피크 주파수마다 검출된 피크 주파수와의 엇갈림량을 산출하여 엇갈림량의 크기가 사전에 정한 문턱값보다 큰지 어떤지 판정한다(단계 S407).
주파수의 엇갈림량이 사전에 정한 문턱값 이하인 경우(단계 S407, 아니오)에는 오차로 간주하여 주파수의 재설정은 하지 않고 단계 S401로 되돌아온다. 반면, 문턱값보다도 주파수 엇갈림량이 큰 경우(단계 S407, 예)에는 단계 S405에서 검출한 피크 주파수를 대응하는 기본 음원의 출력 주파수로서 재설정한다(단계 S409).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소음원의 근방에 제어 음원을 배치하여 소음을 억제하는 능동 소음 억제 장치에서, 제어음의 위상 변동 크기에 기초하여 출력 주파수를 미세 조정한다. 이로써 간편한 연산에 의해 소음의 피크 주파수 변동에 고정밀도로 추종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양호한 소음 억압 효과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 제어음과 오차 신호로부터 생성한 가상 소음의 주파수 해석에 기초하여 소음중의 피크 주파수를 검출하여 출력 주파수를 설정함으로써 초기 동작시의 설정 이 용이하고, 새로운 환경이나 새로운 소음원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대응 가능하다. 또 소음 억제 처리중에도 새로운 출력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의 구성을 가진 능동 소음 억제 장치를 구성했다. 단, 전달 함수의 등록은 능동 소음 억제 장치와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산출한 계수를 사용하여 수행하고, 계수 산출 회로(270)는 만들지 않는 구성으로 했다.
실내에 스피커를 2개, 바닥에서 높이 1.5m의 위치에 수평 거리 0.6m 이간시켜 설치했다. 또 마이크(140)를 2개의 스피커의 중심에서 수직 방향으로 0.45m 이간시켜 바닥에서 크기 1.5m의 위치에 배치했다.
한쪽 스피커에서 사전에 녹음한, 모터를 사용한 펌프의 동작음을 소음으로서 재생했다. 상술한 초기 설정 처리(주파수 설정 처리만)를 실행한 결과, 최대 피크가 검출된 주파수(145Hz 근방의 주파수)가 기본 음원의 초기 출력 주파수로서 자동 설정되었다.
계속해서 소음 억제 처리를 하여 마이크(140)에서 얻어지는 오차 신호를 기록했다. 또 마찬가지로 하여 주파수 미세 조정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의 오차 신호도 기록했다. 녹음 완료된 소음과 이들 오차 신호를 사용하여 소음 억제 효과를 평가했다.
도 7a 및 도 7b는, 주파수 미세 조정 처리를 한 경우와 하지 않은 경우의 오 차 신호의 음압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처리 개시 시각(Start)부터 주파수 설정 처리가 실시되고, 주파수가 설정될 때까지는 제어음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모두 소음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주파수 설정 처리가 종료되고 제어음의 생성이 개시되면 모두 억압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러나 주파수 미세 조정을 하지 않은 도 7b에 비해 주파수 미세 조정을 한 도 7a에서는 명백히 소음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주파수 미세 조정 처리에 의해 소음의 변동을 추종하였기 때문이며 랜덤한 고주파 성분 이외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8a∼도 8c는 제어음을 생성하여 소음 억제 처리를 한창 실시하고 있는 도중에 같은 시각의 소음, 주파수 미세 조정을 동반한 소음 억제시의 오차 신호, 주파수 미세 조정을 동반하지 않은 소음 억제시의 오차 신호를 각각 주파수 해석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와 도 8c의 비교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주파수 미세 조정 처리에 의해 소음의 주파수 변동을 추종하는 본 실시예의 능동 소음 억제 장치에서는, 주파수 미세 조정을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피크 주파수 성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본 음원으로서 여현파 발생기와 정현파 발생기를 사용하였으나, π/2 지연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어느 한쪽의 파형 발생기만을 사용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π/2 지연 회로는 적응 노치 필터의 앞단 에 배치해도 좋고 후단에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하면, 주기성 소음의 피크 주파수 변동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한 능동 소음 억제 장치를 간편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Claims (7)

  1. 소정 주파수를 가진 기본 파형을 생성하는 기본 음원과,
    상기 기본 파형에 대해 적응 필터 계수를 곱한 신호로부터 제어음을 생성하고, 소음중의 상기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억제하는 소음 억제 장치로서,
    상기 적응 필터 계수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음의 위상을 검출하는 위상 검출 수단과,
    상기 제어음의 위상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변화량 검출 수단과,
    상기 제어음의 위상의 변화량이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큰 경우, 상기 기본 음원이 출력하는 상기 기본 파형의 주파수를 소정량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주파수 조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소음 억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가 제1 및 제2필터 계수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음이 상기 제1필터 계수를 곱한 여현파와 상기 제2필터 계수를 곱한 정현파의 합성 파형으로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소음 억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량 검출수단이 상기 제어음의 위상 변화 방향을 더 검출하고,
    상기 주파수 조정 수단이 상기 변화 방향에 의해 상기 기본 파형의 주파수를 증가시킬지 감소시킬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소음 억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음을 적용한 후의 상기 소음의 상기 주파수 성분을 오차 신호로서 취득하는 오차 신호 취득 수단과,
    상기 기본 파형과 사전에 측정한 계의 전달 계수로부터 참조 신호를 생성하는 참조 신합성 수단과,
    상기 오차 신호 및 상기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적응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적응 필터 계수를 산출, 갱신하는 필터 계수 산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소음 억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중의 피크 주파수를 검출하는 피크 주파수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된 피크 주파수 중, 큰 것부터 소정 수를 상기 기본 음원의 출력 주파수로서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소음 억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음과 상기 전달 함수와 상기 오차 신호에서 생성되는 가상 소음을 생성하는 가상 소음 생성 수단과,
    현재 설정되어 있는 피크 주파수와, 상기 피크 주파수 검출 수단이 검출한 피크 주파수와의 엇갈림량을 검출하는 주파수 엇갈림 검출 수단과,
    상기 엇갈림량이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현재 설정되어 있는 피크 주파수에 대응하는 기본 파형을 생성하는 기본 음원의 출력 주파수와, 상기 피크 주파수 검출 수단이 검출한 피크 주파수로 변경하는 주파수 재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소음 억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소음 생성 수단이 상기 제어음과 상기 계의 전달 함수로부터 상기 제어음이 상기 오차 신호 취득 수단에 도달했을 때의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신호를 상기 오차 신호에서 뺀 신호를 상기 가상 소음으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소음 억제 장치.
KR1020077027531A 2005-04-27 2006-02-15 능동 소음 억제 장치 KR100938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30412A JP4664116B2 (ja) 2005-04-27 2005-04-27 能動騒音抑制装置
JPJP-P-2005-00130412 2005-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982A KR20080005982A (ko) 2008-01-15
KR100938691B1 true KR100938691B1 (ko) 2010-01-25

Family

ID=3730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531A KR100938691B1 (ko) 2005-04-27 2006-02-15 능동 소음 억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54589B2 (ko)
EP (1) EP1884920A4 (ko)
JP (1) JP4664116B2 (ko)
KR (1) KR100938691B1 (ko)
CN (1) CN101176145B (ko)
WO (1) WO20061179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0075B2 (ja) * 2008-03-03 2011-06-1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狭帯域能動騒音制御方法および狭帯域能動騒音制御装置
JP5098796B2 (ja) * 2008-05-14 2012-12-12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制振装置及び車両
JP4881913B2 (ja) * 2008-05-29 2012-0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能動型騒音制御装置
KR100986610B1 (ko) * 2008-09-12 2010-10-11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능동방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방음벽
US8306240B2 (en) * 2008-10-20 2012-11-06 Bose Corporation Active noise reduction adaptive filter adaptation rate adjusting
US8077873B2 (en) * 2009-05-14 2011-12-1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ystem for active noise control with adaptive speaker selection
JP2011121534A (ja) * 2009-12-14 2011-06-23 Honda Motor Co Ltd 能動型騒音制御装置
JP5493850B2 (ja) * 2009-12-28 2014-05-14 富士通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マイクロホン・アレイ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信号処理プログラム
JP5598536B2 (ja) * 2010-03-31 2014-10-01 富士通株式会社 帯域拡張装置および帯域拡張方法
US8908877B2 (en) 2010-12-03 2014-12-09 Cirrus Logic, Inc. Ear-coupling detection and adjustment of adaptive response in noise-canceling in personal audio devices
WO2012075343A2 (en) 2010-12-03 2012-06-07 Cirrus Logic, Inc. Oversight control of an adaptive noise canceler in a personal audio device
WO2011137762A2 (zh) * 2011-05-09 2011-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转动装置噪声控制方法及控制器
US9318094B2 (en) 2011-06-03 2016-04-19 Cirrus Logic, Inc. Adaptive noise canceling architecture for a personal audio device
US8958571B2 (en) 2011-06-03 2015-02-17 Cirrus Logic, Inc. MIC covering detection in personal audio devices
US9824677B2 (en) 2011-06-03 2017-11-21 Cirrus Logic, Inc. Bandlimiting anti-noise in personal audio devices having adaptive noise cancellation (ANC)
CN102355233B (zh) * 2011-06-10 2015-04-29 南京大学 一种合成参考信号的变压器噪声有源控制方法
US8564339B2 (en) * 2011-08-19 2013-10-22 Soft Db In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mplitude and phase difference between two sinusoidal signals
JP2013114009A (ja) * 2011-11-29 2013-06-10 Honda Motor Co Ltd 能動型振動騒音制御装置
JP5616313B2 (ja) * 2011-11-29 2014-10-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能動型振動騒音制御装置
US9318090B2 (en) 2012-05-10 2016-04-19 Cirrus Logic, Inc. Downlink tone detection and adaptation of a secondary path response model in an adaptive noise canceling system
US9123321B2 (en) 2012-05-10 2015-09-01 Cirrus Logic, Inc. Sequenced adaptation of anti-noise generator response and secondary path response in an adaptive noise canceling system
US9532139B1 (en) 2012-09-14 2016-12-27 Cirrus Logic, Inc. Dual-microphone frequency amplitude response self-calibration
CN104798130B (zh) * 2012-11-05 2018-01-02 三菱电机株式会社 有源振动噪声控制装置
US9414150B2 (en) 2013-03-14 2016-08-09 Cirrus Logic, Inc. Low-latency multi-driver adaptive noise canceling (ANC) system for a personal audio device
US9578432B1 (en) 2013-04-24 2017-02-21 Cirrus Logic, Inc. Metric and tool to evaluate secondary path design in adaptive noise cancellation systems
US9666176B2 (en) 2013-09-13 2017-05-30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noise cancellation by adaptively shaping internal white noise to train a secondary path
US9620101B1 (en) 2013-10-08 2017-04-11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playback fidelity in an audio system with adaptive noise cancellation
US10219071B2 (en) 2013-12-10 2019-02-26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andlimiting anti-noise in personal audio devices having adaptive noise cancellation
US9478212B1 (en) 2014-09-03 2016-10-25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e of adaptive secondary path estimate to control equalization in an audio device
US10482867B2 (en) 2015-03-24 2019-11-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ctive vibration noise control apparatus
US9704509B2 (en) * 2015-07-29 2017-07-1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Active noise cancel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voice recognition performance
KR20180044324A (ko) 2015-08-20 2018-05-02 시러스 로직 인터내셔널 세미컨덕터 리미티드 피드백 적응적 잡음 소거(anc) 제어기 및 고정 응답 필터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피드백 응답을 갖는 방법
US9578415B1 (en) 2015-08-21 2017-02-21 Cirrus Logic, Inc. Hybrid adaptive noise cancellation system with filtered error microphone signal
JP5982728B2 (ja) * 2015-10-28 2016-08-3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能動型騒音制御装置及び能動型騒音制御方法
DE102015225925A1 (de) * 2015-12-18 2017-06-2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aktiven Schalldämpfung und Schalldämpfungsanordnung
JP6351887B2 (ja) * 2016-02-09 2018-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能動騒音制御装置
US10013966B2 (en) 2016-03-15 2018-07-03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active noise cancellation for multiple-driver personal audio device
JP6465057B2 (ja) * 2016-03-31 2019-02-0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効果音発生装置
US10832544B2 (en) * 2016-07-26 2020-11-10 Alert Systems Ap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metal objects in a detection zone
DE102017212980B4 (de) * 2017-07-27 2023-01-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Kompensation von Störgeräuschen bei einer Freisprech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und Freisprecheinrichtung
WO2019044564A1 (ja) 2017-08-29 2019-03-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消音システム、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19812B2 (ja) * 2019-04-11 2023-08-0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減速装置
CN113643716B (zh) * 2021-07-07 2023-09-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机噪声控制方法、装置和电机及电器设备
CN114898732B (zh) * 2022-07-05 2022-12-06 深圳瑞科曼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整频率范围的噪音处理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5168A (ja) * 1998-05-08 1999-11-26 Honda Motor Co Ltd アクティブ振動騒音抑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828700B (en) * 1981-11-26 1983-09-28 Sound Attenuators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ancelling vibrations from a source of repetitive vibrations
US4878188A (en) * 1988-08-30 1989-10-31 Noise Cancellation Tech Selective active cancellation system for repetitive phenomena
US5293578A (en) * 1989-07-19 1994-03-08 Fujitso Ten Limited Noise reducing device
US5319715A (en) * 1991-05-30 1994-06-07 Fujitsu Ten Limited Noise sound controller
US5524057A (en) * 1992-06-19 1996-06-04 Alpine Electronics Inc. Noise-canceling apparatus
JP2899205B2 (ja) * 1994-03-16 1999-06-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能動振動騒音制御装置
JP3834300B2 (ja) * 1994-10-12 2006-10-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能動形騒音制御装置
JPH08339191A (ja) * 1995-06-09 1996-12-24 Honda Motor Co Ltd 振動騒音制御装置
JP3655006B2 (ja) * 1996-05-09 2005-06-02 ヤンマー株式会社 アクティブ消音装置
US6351664B1 (en) * 1999-11-12 2002-02-26 Ge Medical Systems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of removing signal interference from sampled data and apparatus for effecting the same
JP2003241767A (ja) * 2002-02-14 2003-08-29 Alpine Electronics Inc ノイズキャンセル装置
JP3843082B2 (ja) * 2003-06-05 2006-1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能動型振動騒音制御装置
JP4077383B2 (ja) * 2003-09-10 2008-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能動型振動騒音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5168A (ja) * 1998-05-08 1999-11-26 Honda Motor Co Ltd アクティブ振動騒音抑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08809A (ja) 2006-11-09
US20080118083A1 (en) 2008-05-22
KR20080005982A (ko) 2008-01-15
WO2006117915A1 (ja) 2006-11-09
EP1884920A1 (en) 2008-02-06
JP4664116B2 (ja) 2011-04-06
EP1884920A4 (en) 2016-10-19
CN101176145A (zh) 2008-05-07
US8254589B2 (en) 2012-08-28
CN101176145B (zh)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691B1 (ko) 능동 소음 억제 장치
JP4513810B2 (ja) 能動騒音低減装置
JP6650570B2 (ja) 能動型騒音低減装置
JP2007328219A (ja) 能動型騒音制御装置
JP5757346B2 (ja) 能動振動騒音制御装置
US5319715A (en) Noise sound controller
CN108200526B (zh) 一种基于可信度曲线的音响调试方法及装置
Kim et al. Active control of multi-tonal noise with reference generator based on on-line frequency estimation
US20170229111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range hood device
JP2006313997A (ja) 騒音量推定装置
KR20190047976A (ko) 노이즈 모델링 및 룩업을 통한 잡음 저감 방법
WO2015114674A1 (ja) 集音装置、集音装置の入力信号補正方法および移動機器情報システム
JP3579898B2 (ja) 車両の振動制御装置および振動制御方法
KR101696597B1 (ko) 소음제어방법
JP2011221087A (ja) 能動騒音制御装置
EP0598120A1 (en) Noise control apparatus
JP6903947B2 (ja) 非目的音抑圧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316915A1 (e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active noise control method, and active noise control program
JP4906787B2 (ja) 能動型振動騒音制御装置
JPH0758223B2 (ja) 消音・制振効果の測定方法並びに測定装置及び信号源探査装置
JPH10222171A (ja) 能動型騒音低減装置及び騒音低減方法
JP2021183910A (ja) 音響パワーレベルの推定方法
JP4962095B2 (ja) 能動型騒音制御装置
KR100202263B1 (ko) 소음제어시스템의 공간계수 측정방법
JPH0915035A (ja) 適応信号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騒音または振動寄与率の検出方法、騒音または振動の伝達特性推定方法、騒音または振動の抑圧方法、及び騒音または振動環境の模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