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890B1 -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890B1
KR100937890B1 KR1020090066405A KR20090066405A KR100937890B1 KR 100937890 B1 KR100937890 B1 KR 100937890B1 KR 1020090066405 A KR1020090066405 A KR 1020090066405A KR 20090066405 A KR20090066405 A KR 20090066405A KR 100937890 B1 KR100937890 B1 KR 100937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late
block
transf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선화
Original Assignee
진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선화 filed Critical 진선화
Priority to KR102009006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에 캐스터가 고정된 프로파일 형태의 다수개의 다리가 4모서리 저면에 각각 고정된 작업다이에서 블라인드의 원단이 권취되는 롤러가 형성된 자동차용 롤블라인더의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다이 상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위치결정핀에 의해 소정높이 떨어져 고정되는 판 형태의 작업플레이트와; 상기 작업다이의 좌우측에 고정된 제1고정블록이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에 고정된 제1서보모터의 작동에 의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블록이 제1고정블록 사이에 형성된 제1볼스크류와, 상기 제1이송블록 상부에 고정되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플레이트가 형성된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며 그 전방에서 제1이송유닛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일정구간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유닛과; 상기 작업다이 저면 중앙에 고정된 제2고정블록이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에 고정된 제2서보모터의 작동에 의해 직선이동되는 제2이송블록이 제2고정블록 사이에 형성된 제2볼스크류와, 상기 제2이송블록의 좌우측면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며 타측은 제2이송유닛의 상부에 고정된 제2고정판에 각각 고정된 동기바가 형성된 제3이송유닛과; 상기 작업다이의 후단에 고정된 제3고정블록이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에 고정된 제3서보모터의 작동에 의해 직선이동되는 제3이송블록이 제3고정블록 사이에 형성된 제3볼스크류와, 상기 제3볼스크류의 좌우측 작업다이에 각각 고정된 제3LM가이드와, 상기 제3LM가이드에 맞물려 이송되는 제3LM블록과, 상기 제3LM블록과 제3이송블록 상부에 고정되어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플레이트와, 상기 제2이송플레이트의 양측에 고 정되며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3클램프가 형성된 제4이송유닛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롤블라인드의 권취장치는 각기 다른 크기의 작업플레이트를 위치결정핀을 통해 분해/체결함으로써 차종에 따라 다른크기의 롤블라인드의 생산이 가능하고, 제1,3서보모터에 의해 이송되는 제1,2이송플레이트가 작업플레이트에 밀착 후 롤블라인드의 원단 양측단이 원단가이드에 고정됨으로써 안정되게 롤러에 원단이 권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동기바, 이송플레이트, LM가이드, LM블록, 클램프

Description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 Roll-blind winding apparatus for a car }
본 발명은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썬루프 또는 유리에 고정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생산시 차종에 따라 다양한 폭과 길이를 가진 롤블라인드를 생산할 수 있는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운행중에 유리를 통해 들어오는 햇빛으로 인해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가 쾌적한 상태에서 이동하기 힘들다. 또한, 자동차는 실내의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 햇빛을 피하기가 힘들고, 여름철에는 급격하게 차량내부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DMB 또는 네비게이션 등 각종 전자장치의 파손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차량의 유리에 부착할 수 있는 적절한 크기의 롤블라인드를 통해 차량내부에 햇빛이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유리에 맞춰서 롤블라인드를 제작하기가 힘들고, 종래에는 사람이 직접 롤블라인드의 원단을 롤러에 권취함으로써 좌우가 균형있게 롤러에 권취되지 않아 불량품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0560 호) "브라인드 자동권취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고정바(160)로 리밋 스위치(170)를 고정 설치하고 타측의 외주연 소정 일곳에 가이드 홈(150)을 형성한 모터(140)의 일측 선단을 케이스(110) 내부에 고정 설치하며,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튜브(180)의 소정 일곳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190)를 형성하고 폐쇄된 타측에 나사 삽입구멍(200)을 형성하며, 상기 튜브(180)의 나사 삽입구멍(200)으로 삽입되는 나사(210)의 일측을 케이스(110) 내부에 고정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튜브(180)에 블라인드(230)와 와이어(220)가 함께 권취됨으로써 생산방법이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그 크기로 인해 차량용으로 사용하기 부적합하고 차량마다 각기 다른 크기의 유리에 맞춰 제작하기 위해서는 각 차량마다 블라인드를 생산하기 위한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고, 복잡한 생산과정으로 인해 불량품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종에 따라 다른 크기의 롤블라인드를 생산할 수 있도록 작업다이에 고정된 위치결정핀을 통해 용이하게 분해/체결되는 작업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작업플레이트에 밀착고정되어 원단의 양측단과 끝단이 고정되도록 전원 인가시 작동되는 제1,3서보모터에 의해 작업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제1,2이송플레이트가 형성된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롤러에 원단이 자동권취되도록 제2서보모터 작동시 직선이송되는 롤러의 일측단 내부에 제4서보모터에 의해 권취 후 풀려지는 스프링 텐션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의 양측단이 동일한 속도로 제2서보모터에 의해 이송되도록 제2이송유닛과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이 제3이송유닛에 고정된 동기바가 형성된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하단에 캐스터가 고정된 프로파일 형태의 다수개의 다리가 4모서리 저면에 각각 고정된 작업다이에서 블라인드의 원단이 권취되는 롤러가 형성된 자동차용 롤블라인더의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다이 상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위치결정핀에 의해 소정높이 떨어져 고정되는 판 형태의 작업플레이트와; 상기 작업다이의 좌우측에 고정된 제1고정블록이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에 고정된 제1서보모터의 작동에 의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블록이 제1고정블록 사이에 형성된 제1볼스크류와, 상기 제1이송블록 상부에 고정되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플레이트가 형성된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며 그 전방에서 제1이송유닛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일정구간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유닛과; 상기 작업다이 저면 중앙에 고정된 제2고정블록이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에 고정된 제2서보모터의 작동에 의해 직선이동되는 제2이송블록이 제2고정블록 사이에 형성된 제2볼스크류와, 상기 제2이송블록의 좌우측면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며 타측은 제2이송유닛의 상부에 고정된 제2고정판에 각각 고정된 동기바가 형성된 제3이송유닛과; 상기 작업다이의 후단에 고정된 제3고정블록이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에 고정된 제3서보모터의 작동에 의해 직선이동되는 제3이송블록이 제3고정블록 사이에 형성된 제3볼스크류와, 상기 제3볼스크류의 좌우측 작업다이에 각각 고정된 제3LM가이드와, 상기 제3LM가이드에 맞물려 이송되는 제3LM블록과, 상기 제3LM블록과 제3이송블록 상부에 고정되어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플레이트와, 상기 제2이송플레이트의 양측에 고정되며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3클램프가 형성된 제4이송유닛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이송유닛은 제1볼스크류의 좌우측 작업다이에 각각 고정된 제1LM가이드와, 상기 제1LM가이드에 맞물려 이송되는 제1LM블록과, 상기 제1LM블록과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 내측 상면에 고정되어 원단이 고정되는 원단가이드와, 좌우측의 제1이송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되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원단이 고정되도록 압입하는 제1클램프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이송유닛은 제1이송플레이트의 전후방측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수직면에 제1고정판 양단이 고정된 "L"형지지판과, 상기 제1고정판에 고정된 제2LM가이드와, 상기 제2LM가이드에 맞물려 이송되는 제2LM블록과, 제1이송플레이트의 전방부에 고정되며 내측 상부에 대각선으로 내측홈이 형성된 롤러고정블록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업플레이트는 차량에 따라 크기가 변경되는 롤블라인드의 특성상 교체가 용이하며,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통공에 결합된 핀에 의해 고정된 테이프가이드지그가 선택적으로 분해 또는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테이프가이드지그는 좌우양측 상부에 각각 핀이 고정되며, 상기 핀이 삽입되는 제3통공이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테이프지그 저면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테이프지그는 공기흡입기에 의해 테이프가 부착되는 저면 타측과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1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4이송유닛은 원단 크기에 따라 작업플레이트 교체 후 제1,3서보모터 작동에 의해 제1,2이송플레이트가 각각 직선 이송되어 작업플레이트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는 좌우 양측단에 돌출되어 내측홈에 각각 삽입되는 장/단돌기와, 상기 장돌기 외측단과 결합되는 제4서보모터와, 작업다이 전방에 고정되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저면에 형성된 반홈에 의해 롤러가 고정되는 제2클램프와, 상기 롤러고정블록 일측면에 고정된“┘”자형 제3고정판과, 상기 제3고정판의 수평면 상부에 고정된 제4LM가이드와, 상기 제4LM가이드 상부에 맞물려 롤러고정블록을 향해 이송되는 제4LM블록과, 상기 제4LM블록 상면에 고정되어 공압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롤러실린더로드가 형성되며 제4고정판에 의해 제3고정판 상면에 고정되는 롤러실린더와,“┘”자형으로 상향절곡되며 저면은 롤러실린더로드에 고정되며 수직면은 제4서보모터에 고정되는 제5고정판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는 장돌기측 내측단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태엽형태의 스프링텐션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단에 캐스터가 고정된 프로파일 형태의 다수개의 다리가 4모서리 저면에 각각 고정된 작업다이에서 블라인드의 원단이 권취되는 롤러가 형 성된 자동차용 롤블라인더의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다이의 상면에 다수개가 고정된 위치결정핀에 결합되어 소정높이 떨어져 고정되는 판 형태의 작업플레이트와; 상기 작업플레이트의 좌우측 작업다이에 제1체결판에 의해 볼트 고정되며 공압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제1실린더로드가 작업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된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 좌우측에 소정간격 떨어져 작업다이에 고정되는 제1LM가이드와, 상기 제1LM가이드에 맞물려 직선이송되는 제1LM블록과, 상기 제1LM블록 상부에 고정되어 작업플레이트를 향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플레이트가 형성된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 상부 일측단에 고정되며 대각선으로 직선형태의 내측홈이 형성된 롤러고정블록이 제1이송유닛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일정구간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유닛과; 상기 작업다이 저면에 제3체결판에 의해 볼트 고정되며 공압에 의해 직선 운동되는 제3실린더로드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제3실린더와, 상기 제3실린더의 좌우 양측으로 각각 고정된 동기바가 형성된 제3이송유닛과; 상기 작업다이의 후단에 제2체결판에 의해 볼트 고정되며 공압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제2실린더로드가 작업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된 제2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 좌우측에 소정간격 떨어져 작업다이에 고정되는 제3LM가이드와, 상기 제3LM가이드에 맞물려 직선이송되는 제3LM블록과, 상기 제3LM블록 상부에 고정된 제2이송플레이트가 직선이송되는 제4이송유닛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하단에 캐스터가 고정된 프로파일 형태의 다수개의 다리가 4모서리 저면에 각각 고정된 작업다이에서 블라인드의 원단이 권취되는 롤러가 형성된 자동차용 롤블라인더의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다이의 상면에 다수개가 고정된 위치결정핀에 결합되어 소정높이 떨어져 고정되는 판 형태의 작업플레이트와; 상기 작업플레이트의 좌우측 작업다이에 고정된 제1고정블록이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단에 고정된 제1제어핸들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블록이 제1고정블록 사이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볼트 또는 제1볼스크류와, 상기 제1이송블록 상부에 고정되어 작업플레이트를 향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플레이트가 형성된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 상부 일측단에 고정되며 대각선으로 직선형태의 내측홈이 형성된 롤러고정블록이 제1이송유닛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일정구간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유닛과; 양단이 제2이송유닛 상단의 제2고정판에 각각 고정된 동기바가 형성된 제3이송유닛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롤블라인드의 권취장치는 각기 다른 크기의 작업플레이트를 위치결정핀을 통해 분해/체결함으로써 차종에 따라 다른크기의 롤블라인드의 생산이 가능하고, 제1,3서보모터에 의해 이송되는 제1,2이송플레이트가 작업플레이트에 밀착 후 롤블라인드의 원단 양측단이 원단가이드에 고정됨으로써 안정되게 롤러에 원단이 권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러 일측단에는 제4서보모터에 의해 권취되는 스프링텐션이 형성되어 일정횟수 권취 후 제2서보모터 작동시 롤러에 원단이 자동권취되도록 하며, 상기 롤러의 양측단이 삽입된 제2이송유닛과,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이 제3이송유닛에 고정된 동기바에 의해 롤러의 양측단이 동일하게 이송됨으로써 롤러에 원단이 균일하게 권취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부품도이고, 도 7은 원단에 테이프를 붙이기 위한 테이프지그 정면도와 분해도이고, 도 8은 원단의 일측단이 제3클램프에 고정된 상태도로서, 도면중에 표시되는 도면 부호 1은 본 발명에 의한 롤블라인드 권취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는 하단에 캐스터(12)가 고정된 프로파일 형태의 다수개의 다리(11)가 4모서리 하단에 고정된 작업다이(10)와, 상기 작업다이(10)의 상면에 다수개가 고정된 위치결정핀(21)에 결합되어 소정높이 떨어져 고정되는 판 형태의 작업플레이트(20)와, 상기 작업플레이트(20)의 좌우측 작업다이(10)에 각각 고정된 제1고정블록(311)이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단에 고정된 제1서보모터(312)의 작동에 의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블록(313)이 제1고정블록(311) 사이에 형성된 제1볼스크류(31)와, 상기 제1이송블록(313) 상부에 고정되어 작업플레이트(20)를 향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플레이트(34)가 형성된 제1이송유닛(30)과,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34)의 상부 일측단에 고정되며 대각선으로 직선형태의 내측홈(441)이 형성된 롤러고정블록(44)이 제1이송유닛(30)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일정구간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유닛(40)과, 상기 작업다이(10) 저면에 고정된 제2고정블록(511)이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단에 고정된 제2서보모터(512)의 작동에 의해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블록(513)이 제2고정블록(511) 사이에 형성된 제2볼스크류(51)와, 상기 제2이송블록(513)에 일측단이 고정되며 타측단은 제2이송유닛(40) 상단의 제2고정판(521)에 고정된 동기바(52)가 형성된 제3이송유닛(50)과, 상기 내측홈(441)에 양단이 삽입된 롤러(60)와, 상기 작업다이(10)의 후단에 고정되며 직선이동에 의해 작업플레이트(20)에 밀착되는 제4이송유닛(7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유닛(30)은 제1볼스크류(31)의 좌우측에 소정간격 떨어져 작업다이(10)에 고정되는 제1LM가이드(32)와, 상기 제1LM가이드(32)에 맞물려 직선이송되며 제1이송블록(313)과 같이 상부에 제1이송플레이트(34)가 고정되는 제1LM블록(33)과,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34)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며 원단(F)의 좌우측단이 고정되는 원단가이드(35)가 형성된다. 또한, 제1이송플레이트(34)가 제1서보모터(312) 작동에 의해 작업플레이트(20)에 밀착되면 펼쳐진 원단(F)이 고정되도록 제1클램프(36)가 형성되며, 상기 제1클램프(36)는 제1이송플레이트(34)의 양측단에 각각 고정되며 제1공압장치(362)의 작용에 의해 제1힌지축(361)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특히, 제1LM가이드(32)는 제1LM블록(33) 상부에 고정된 제1이송플레이트(34)가 제1서보모터(312) 구동시 제1볼스크류(31) 회전에 의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블록(313)에 의해 작업플레이트(20)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차종에 따른 작업플레 이트(20)의 크기 변경시에도 제1이송플레이트(34)와 후술되는 제2이송플레이트(74)가 각각 작업플레이트(20)에 밀착되어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2이송유닛(40)은 제1이송플레이트(34)의 전후방측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수직면(411)에 직사각형의 제1고정판(412) 양단이 각각 고정된 "L"형지지판(41)과, 상기 제1고정판(412)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제2LM가이드(42)와, 상기 제2LM가이드(42)에 맞물려 이송되는 제2LM블록(43)과, 내측 상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롤러(60)가 삽입되는 내측홈(441)이 형성되며 제1이송플레이트(34) 전방의 제2LM블록(43)에 고정된 롤러고정블록(44)이 형성된다.
특히, 제2LM블록(43)과 롤러고정블록(44) 상부에는 판 형태의 제2고정판(521)이 고정되며, 상기 제2고정판(521)과 제2이송블록(513)에 양단이 고정된 동기바(52)가 전술한 제2서보모터(512) 구동시 제2볼스크류(51)를 따라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블록(513)을 따라 직선이송되며, 상기 동기바(52)에 의해 롤러(60)의 양단이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송하게 되어 롤러(60)에 권취되는 원단(F)의 좌우측이 균일하게 권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와 같이 동기바(52)는 2단으로 형성되어 제1이송플레이트(34) 이동시 인출/인입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4이송유닛(70)은 작업다이(10) 후단에 고정된 제3고정블록(711)이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에 고정된 제3서보모터(712)의 작동에 의해 직선이송되는 제3이송블록(713)이 제3고정블록(711) 사이에 형성된 제3볼스크류(71)와, 제3볼스크류(71)의 좌우측에 소정간격 떨어져 작업다이(10)에 고정되는 제3LM가이드(72)와, 상기 제3LM가이드(72)에 맞물려 직선이송되는 제3LM블록(73)과, 상기 제3이송블록(713)과 제3LM블록(73) 상부에 고정되어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플레이트(74)가 형성된다. 상기 제2이송플레이트(74)가 제3서보모터(712) 작동에 의해 작업플레이트(20)에 밀착 후 펼쳐진 원단(F)이 고정되도록 제3클램프(75)가 형성되며, 상기 제3클램프(75)는 제2이송플레이트(74)의 양측에 고정되며 제2공압장치(753)의 작용에 의해 제3힌지축(751)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제3클램프(75)의 끝단에는 원단(F)이 삽입되는 고정홈(752)이 형성된다.
한편, 제1,2,3,4서보모터(312,512,712,63)는 전원인가시 작동되는 것으로 제어버튼(도면 미도시)을 사용하여 제어되며, 작업다이(10)에 고정되는 제1,3고정블록(311,711), 제1,4LM가이드(32,72), 제2클램프(64)와, 제1이송플레이트(34)에 고정되는 제1클램프(36) 및 제2이송유닛(40)과, 제2이송플레트(74)에 고정되는 제3클램프(75) 등은 볼트(도면 미도시)와 같은 일반적인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60)는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장/단돌기(62,61)와, 장돌기(62)측 내부에 장돌기(62) 끝단과 결합된 태엽형태의 스프링텐션(621)이 형성되며, 상기 장돌기(62) 외측단은 1자형돌기(622)가 형성되어 제4서보모터(63) 끝단의 1자형홈(631)과 맞물려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다이(10) 전방측에는 제3공압장치(643)에 의해 제2힌지축(64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다수개의 제2클램프(64)가 고정되며, 상기 제2클램프(64)의 저면에는 롤러(60)에 밀착되는 반원홈(642)이 형성되어 롤러(60)가 회전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고정블록(44) 외측면에는“┘”자형으로 절곡된 제3고정판(65)의 수직면이 밀착되어 볼트 고정되며, 상기 제3고정판(65)의 수평면 상부에 고정된 제4LM가이드(66)와, 상기 제4LM가이드(66) 상부에 맞물려 롤러고정블록(44)을 향해 이송되는 제4LM블록(67)이 형성된다. 상기 제4LM블록(67)은“ㄴ”자형태의 제4고정판(681)에 의해 제3고정판(65)의 수평면 상부에 고정되는 롤러실린더(68) 일측으로 공압에 의해 직선이송되는 롤러실린더로드(682)가 롤러고정블록(44)을 향해 돌출되어 그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수평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제4서보모터(63)는 일측이“┘”자 형태로 상향절곡되며 저면이 롤러실린더로드(682)에 고정된 제5고정판(69)의 수직면에 고정되어 제4LM블록(67)과 함께 이송되어 장돌기(62)를 누르게 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플레이트(20)는 전면에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제2통공(223)이 형성되며, 상기 제2통공(223)에 하단이 삽입되는 핀(222)과, 상기 핀(222)의 상단이 삽입되는 제3통공(224)이 저면에 형성된 테이프가이드지그(225)가 형성된다. 상기 테이프가이드지그(225)는 좌우양측 상부에 각각 핀(222)이 고정되며, 상기 핀(222)이 삽입되는 제3통공(224)이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테이프지그(22) 저면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테이프지그(22)는 저면 타측과 관통된 다수개의 제1통공(221)에 의해 공기흡입기(C)의 작동시 양면테이프(T)가 흡입되어 원단(F)에 양면테이프(T)가 균일하게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 치의 사용과정을 도 9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는 롤블라인드를 제작하려는 차종을 선택한 후 작업다이(10) 상에 위치결정핀(21)과 함께 작업플레이트(2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작업플레이트(20) 고정후에는 제1서보모터(312)의 작동시 회전되는 제1볼스크류(31)에 의해 제1이송블록(313)과 제1LM블록(33) 상부에 고정된 제1이송플레이트(34)를 작업플레이트(20) 양측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3서보모터(712)의 작동시 회전되는 제3볼스크류(71)에 의해 제3이송블록(713)과 제3LM블록(73) 상부에 고정된 제2이송플레이트(74)를 작업플레이트(20) 후측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플레이트(20)에 제1,2이송플레이트(34,74)를 밀착 후에는 원단(F)의 양측면을 원단가이드(35)에 맞추어 펼치게 되며, 원단(F)이 고정되도록 제1,3클램프(36,75)를 이용하여 원단(F)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제3클램프(75)에 의해 고정되는 원단(F)은 압입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으며 도 8과 같이, 롤러(60)와 고정된 원단(F)의 타측단에 고정홈(752)에 삽입되는 "⊃"자 형상의 고리(A)를 결합하여 고정홈(75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플레이트(20) 고정 후에는 그 전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통공(223)과 테이프지그(22)와 결합된 테이프가이드지그(225)의 제3통공(224)과 결합되도록 핀(222)이 삽입되어 테이프가이드지그(225)가 작업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테이프지그(22)는 저면에 원단(F)에 접착될 양면테이프(T)를 위치시킨 후 공기흡입기(C)를 결합하게 되며,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통공(221)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양면테이프(T)가 균일하게 펼쳐지게 되며 양면테 이프(T)의 일측면 보호비닐을 제거 후 원단(F)에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원단(F)에 양면테이프(T)를 부착후에는 테이프지그(22)와 테이프가이드지그(225)를 작업플레이트(20) 상에서 분해하게되며, 양면테이프(T) 타측면의 보호비닐도 제거하게 된다.
한편, 롤러(60)는 좌우측의 장/단돌기(62,61)를 롤러고정블록(44)의 내측홈(441)에 각각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며 양면테이프(T)에 의해 원단(F)이 롤러(60)에 부착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다이(10) 전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클램프(64)의 반원홈(642)을 롤러(60) 외주연에 밀착시킴으로써 원단(F)이 롤러(60)에 보다 견고히 부착되도록 하며 원단(F) 권취시 롤러(6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롤러(60)를 롤러고정블록(44)에 삽입시켜 장돌기(62) 끝단의 1자형돌기(622)에 제4서보모터(63)의 1자형홈(631)을 삽입하게되는 것으로, 롤러실린더(68)의 롤러실린더로드(682)에 의해 제4LM블록(67)이 제4LM가이드(66) 상에서 수평이송됨에 따라 제4서보모터(63)를 내측으로 전진시켜 도 6b와 같이 장돌기(62)를 삽입시킨 후 제4서보모터(63)를 작동시켜 장돌기(62) 내측단에 고정된 스프링텐션(621)을 20~50회 정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롤러실린더로드(682)에 의해 제4LM블록(67)에 고정된 제4서보모터(63)를 후진시켜 제4서보모터(63)와 장돌기(62)를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스프링텐션(621) 권취후에는 제1,2클램프(36,64)를 각각 원단(F)과 롤러(60)에서 탈착하고, 제2서보모터(512)를 작동시키면 제2이송유닛(40)이 제2LM가이드(42)를 따라 직선이동하게 되는데, 권취된 스프링텐션(621)이 시계방향으로 풀 리면서 원단(F)이 롤러(60)에 권취되며 제3서보모터(712)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제2서보모터(512) 작동에 의해 제2이송블록(513)에 고정된 동기바(52) 역시 제2이송유닛(40)과 함께 제3서보모터(712) 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동기바(52)에 의해 좌우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2이송유닛(40)이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원단(F)이 롤러(60)에 권취되면 제4서보모터(63)를 이용하여 다시 한번 더 반시계방향으로 장돌기(62)를 회전시켜 스프링텐션(621)이 규정 토오크에 맞게 회전되면 제4서보모터(63)를 후진시켜 장돌기(62)와 분리 후 제3클램프(75)를 탈착 후 고정된 원단(F)을 분리하여 포장함으로써 권취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사시도이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롤블라인드 권취장치(1a)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며, 설명의 편의에 따라서 제1실시예와 중복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는 하단에 캐스터(12a)가 고정된 프로파일 형태의 다수개의 다리(11a)가 4모서리 하단에 고정된 작업다이(10a)와, 상기 작업다이(10a)의 상면에 다수개가 고정된 위치결정핀(21a)에 결합되어 소정높이 떨어져 고정되는 판 형태의 작업플레이트(20a)와, 상기 작업플레이트(20a)의 좌우측 작업다이(10a)에 제1체결판(312a)에 의해 볼트 고정되며 공압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제1실린더로드(311a)가 작업플레이트(20a)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실린더(31a)와, 상기 제1실린더(31a) 좌우측에 소정간격 떨어져 작업다이(10a)에 고정되는 제1LM가이드(32a)와, 상기 제1LM가이드(32a)에 맞물려 직선이송되는 제1LM블록(33a)과, 상기 제1LM블록(33a) 상부에 고정되어 작업플레이트(20a)를 향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플레이트(34a)가 형성된 제1이송유닛(30a)과,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34a) 상부 일측단에 고정되며 대각선으로 직선형태의 내측홈(441a)이 형성된 롤러고정블록(44a)이 제1이송유닛(30a)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일정구간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유닛(40a)과, 상기 작업다이(10a) 저면에 제3체결판(512a)에 의해 볼트 고정되며 공압에 의해 직선 운동되는 제3실린더로드(511a)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제3실린더(51a)와, 상기 제3실린더(51a)의 좌우 양측으로 각각 고정된 동기바(52a)가 형성된 제3이송유닛(50a)과, 상기 내측홈(441a)에 양단이 삽입된 롤러(60a)와, 상기 작업다이(10a)의 후단에 제2체결판(712a)에 의해 볼트 고정되며 공압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제2실린더로드(711a)가 작업플레이트(20a) 방향으로 돌출된 제2실린더(71a)와, 상기 제2실린더(71a) 좌우측에 소정간격 떨어져 작업다이(10a)에 고정되는 제3LM가이드(72a)와, 상기 제3LM가이드(72a)에 맞물려 직선이송되는 제3LM블록(73a)과, 상기 제3LM블록(73a) 상부에 고정된 제2이송플레이트(74a)가 직선이송되는 제4이송유닛(70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1,4이송유닛(30a,70a)은 제1,2실린더(31a,71a)에 형성된 제1,2실린더로드(311a,711a)가 제1,2이송플레이트(34a,74a) 저면에 제1,2체결판(312a,712a)에 의해 볼트 고정되며, 각각의 제1,2실린더(31a,71a)의 작동에 의해 제1,2이송플레이트(34a,74a)가 작업플레이트(20a)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플레이트(20a)를 작업다이(10a) 상에 고정 후 제1,2실린더(31a,71a) 일측으로 돌출된 제1,2실린더로드(311a,711a)가 공압에 의해 직선운동시 제1,2이송플레이트(34a,74a)가 작업플레이트(20a)에 밀착되는 것이다. 또한, 제1실시예와 같이 롤러(60a)에 원단(F)을 부착시키게 되며 롤러(60a)를 내측홈(441a)에 삽입시킨 후 제3이송유닛(50a)의 제3실린더(51a)와 제3실린더로드(511a)의 작동에 의해 동기바(52a)가 제2이송플레이트(74a)를 향해 직선운동되며 롤러(60a)에 원단(F)이 권취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사시도이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롤블라인드 권취장치(1b)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며, 설명의 편의에 따라서 제1실시예와 중복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는 하단에 캐스터(12b)가 고정된 프로파일 형태의 다수개의 다리(11b)가 4모서리 하단에 고정된 작업다이(10b)와, 상기 작업다이(10b)의 상면에 다수개가 고정된 위치결정핀(21b)에 결합되어 소정높이 떨어져 고정되는 판 형태의 작업플레이트(20b)와, 상기 작업플레이트(20b)의 좌우측 작업다이(10b)에 고정된 제1고정블록(311b)이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단에 고정된 제1제어핸들(312b)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블록(313b)이 제1고정블록(311b) 사이에 형성된 제1볼스크류(31b)와, 상기 제1이송블록(313b) 상부에 고정되어 작업플레이트(20b)를 향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플레이 트(34b)가 형성된 제1이송유닛(30b)과,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34b) 상부 일측단에 고정되며 대각선으로 직선형태의 내측홈(441b)이 형성된 롤러고정블록(44b)이 제1이송유닛(30b)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일정구간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유닛(40b)과, 양단이 제2이송유닛(40b) 상단의 제2고정판(521b)에 각각 고정된 동기바(52b)가 형성된 제3이송유닛(50b)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1제어핸들(312b)을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이송플레이트(34b)를 작업플레이트(20b)에 밀/탈착되도록 하는 것이며, 원단(F)이 부착된 롤러(60b)를 내측홈(441b)에 삽입후에 수동으로 롤러(60b)를 회전시켜 원단(F)이 권취되도록 하는 것이며, 제1이송플레이트(34b)를 작업플레이트(20b) 크기에 맞게 이동 후, 이동거리에 맞는 크기의 동기바(52b)를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이송블록(313b) 사이에 고정된 제1볼스크류(31b)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볼트로 형성하여 제1제어핸들(312b) 회전에 의해 제1이송블록(313b)이 수평이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롤블라인드의 권취장치는 각기 다른 크기의 작업플레이트를 위치결정핀을 통해 분해/체결함으로써 차종에 따라 다른크기의 롤블라인드의 생산이 가능하고, 제1,3서보모터에 의해 이송되는 제1,2이송플레이트가 작업플레이트에 밀착 후 롤블라인드의 원단 양측단이 원단가이드에 고정됨으로써 안정되게 롤러에 원단이 권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러 일측단에는 제4서보모터에 의해 권취되는 스프링텐션이 형성되어 일정횟수 권취 후 제2서보모터 작동시 롤러에 원단이 자동권취되도록 하며, 상기 롤러의 양측단이 삽입된 제2이송유닛과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이 제3이송유닛에 고정된 동기바에 의해 롤러의 양측단이 동일하게 이송됨으로써 롤러에 원단이 균일하게 권취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브라인드 자동권취장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의 권취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부품도
도 7은 원단에 테이프를 붙이기 위한 테이프지그 정면도와 단면도
도 8은 원단의 일측단이 제3클램프에 고정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작동상태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타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작업다이 11 : 다리
12 : 캐스터 20 : 작업플레이트
21 : 위치결정핀 22 : 테이프지그
221 : 제1통공 222 : 핀
223 : 제2통공 224 : 제3통공
225 : 테이프가이드지그 30 : 제1이송유닛
31 : 제1볼스크류 311 : 제1고정블록
312 : 제1서보모터 313 : 제1이송블록
32 : 제1LM가이드 33 : 제1LM블록
34 : 제1이송플레이트 35 : 원단가이드
36 : 제1클램프 361 : 제1힌지축
362 : 제1공압장치 40 : 제2이송유닛
41 : "L"형지지판 411 : 수직면
412 : 제1고정판 42 : 제2LM가이드
43 : 제2LM블록 44 : 롤러고정블록
441 : 내측홈 50 : 제3이송유닛
51 : 제2볼스크류 511 : 제2고정블록
512 : 제2서보모터 513 : 제2이송블록
52 : 동기바 521 : 제2고정판
60 : 롤러 61 : 단돌기 62 : 장돌기
621 : 스프링텐션 622 : 1자형돌기
63 : 제4서보모터 631 : 1자형홈
64 : 제2클램프 641 : 제2힌지축
642 : 반원홈 643 : 제3공압장치
65 : 제3고정판 66 : 제4LM가이드
67 : 제4LM블록 68 : 롤러실린더
681 : 제4고정판 682 : 롤러실린더로드
69 : 제5고정판 70 : 제4이송유닛
71 : 제3볼스크류 711 : 제3고정블록
712 : 제3서보모터 713 : 제3이송블록
72 : 제3LM가이드 73 : 제3LM블록
74 :제2이송플레이트 75 : 제3클램프
751 : 제3힌지축 752 : 고정홈
753 : 제2공압장치 31a,71a : 제1,2실린더
311a,711a,511a : 제1,2,3실린더로드
312a,712a,512a : 제1,2,3체결판
312b : 제1제어핸들

Claims (10)

  1. 하단에 캐스터(12)가 고정된 프로파일 형태의 다수개의 다리(11)가 4모서리 저면에 각각 고정된 작업다이(10)에서 블라인드의 원단(F)이 권취되는 롤러(60)가 형성된 자동차용 롤블라인더의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다이(10) 상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위치결정핀(21)에 의해 소정높이 떨어져 고정되는 판 형태의 작업플레이트(20)와;
    상기 작업다이(10)의 좌우측에 고정된 제1고정블록(311)이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에 고정된 제1서보모터(312)의 작동에 의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블록(313)이 제1고정블록(311) 사이에 형성된 제1볼스크류(31)와, 상기 제1이송블록(313) 상부에 고정되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플레이트(34)가 형성된 제1이송유닛(30)과;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34)의 상부에 고정되며 그 전방에서 제1이송유닛(30)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일정구간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유닛(40)과;
    상기 작업다이(10) 저면 중앙에 고정된 제2고정블록(511)이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에 고정된 제2서보모터(512)의 작동에 의해 직선이동되는 제2이송블록(513)이 제2고정블록(511) 사이에 형성된 제2볼스크류(51)와, 상기 제2이송블록(513)의 좌우측면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며 타측은 제2이송유닛(40)의 상부에 고정된 제2고정판(521)에 각각 고정된 동기바(52)가 형성된 제3이송유닛(50)과;
    상기 작업다이(10)의 후단에 고정된 제3고정블록(711)이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에 고정된 제3서보모터(712)의 작동에 의해 직선이동되는 제3이송블록(713)이 제 3고정블록(711) 사이에 형성된 제3볼스크류(71)와, 상기 제3볼스크류(71)의 좌우측 작업다이(10)에 각각 고정된 제3LM가이드(72)와, 상기 제3LM가이드(72)에 맞물려 이송되는 제3LM블록(73)과, 상기 제3LM블록(73)과 제3이송블록(713) 상부에 고정되어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플레이트(74)와, 상기 제2이송플레이트(74)의 양측에 고정되며 제3힌지축(75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3클램프(75)가 형성된 제4이송유닛(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30)은 제1볼스크류(31)의 좌우측 작업다이(10)에 각각 고정된 제1LM가이드(32)와, 상기 제1LM가이드(32)에 맞물려 이송되는 제1LM블록(33)과, 상기 제1LM블록(33)과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34) 내측 상면에 고정되어 원단이 고정되는 원단가이드(35)와, 좌우측의 제1이송플레이트(34)에 각각 고정되며 제1힌지축(36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원단이 고정되도록 압입하는 제1클램프(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유닛(40)은 제1이송플레이트(34)의 전후방측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수직면(411)에 제1고정판(412) 양단이 고정된 "L"형지지판(41)과, 상기 제1고정판(412)에 고정된 제2LM가이드(42)와, 상기 제2LM가이드(42)에 맞물려 이송되는 제2LM블록(43)과, 제1이송플레이트(34)의 전방부에 고정되며 내측 상부에 대각선으 로 내측홈(441)이 형성된 롤러고정블록(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플레이트(20)는 차량에 따라 크기가 변경되는 롤블라인드의 특성상 교체가 용이하며,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통공(223)에 결합된 핀(222)에 의해 고정된 테이프가이드지그(225)가 선택적으로 분해 또는 체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가이드지그(225)는 좌우양측 상부에 각각 핀(222)이 고정되며, 상기 핀(222)이 삽입되는 제3통공(224)이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테이프지그(22) 저면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테이프지그(22)는 공기흡입기에 의해 테이프가 부착되는 저면 타측과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1통공(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4이송유닛(30,70)은 원단 크기에 따라 작업플레이트(20) 교체 후 제1,3서보모터(312,712) 작동에 의해 제1,2이송플레이트(34,74)가 각각 직선 이송되어 작업플레이트(20)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블라 인드 권취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60)는 좌우 양측단에 돌출되어 내측홈(441)에 각각 삽입되는 장/단돌기(62,61)와, 상기 장돌기(62) 외측단과 결합되는 제4서보모터(63)와, 작업다이(10) 전방에 고정되며 제2힌지축(641)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저면에 형성된 반홈(642)에 의해 롤러(60)가 고정되는 제2클램프(64)와, 롤러고정블록(44) 외측면에 고정된“┘”자형 제3고정판(65)과, 상기 제3고정판(65)의 수평면 상부에 고정된 제4LM가이드(66)와, 상기 제4LM가이드(66) 상부에 맞물려 롤러고정블록(44)을 향해 이송되는 제4LM블록(67)과, 상기 제4LM블록(67) 상면에 고정되어 공압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롤러실린더로드(682)가 형성되며 제4고정판(681)에 의해 제3고정판(65) 상면에 고정되는 롤러실린더(68)와,“┘”자형으로 상향절곡되며 저면은 롤러실린더로드(682)에 고정되며 수직면은 제4서보모터(63)에 고정되는 제5고정판(6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60)는 장돌기(62)측 내측단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태엽형태의 스프링텐션(6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9. 하단에 캐스터(12a)가 고정된 프로파일 형태의 다수개의 다리(11a)가 4모서리 저면에 각각 고정된 작업다이(10a)에서 블라인드의 원단(F)이 권취되는 롤러(60a)가 형성된 자동차용 롤블라인더의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다이(10a)의 상면에 다수개가 고정된 위치결정핀(21a)에 결합되어 소정높이 떨어져 고정되는 판 형태의 작업플레이트(20a)와;
    상기 작업플레이트(20a)의 좌우측 작업다이(10a)에 제1체결판(312a)에 의해 볼트 고정되며 공압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제1실린더로드(311a)가 작업플레이트(20a) 방향으로 돌출된 제1실린더(31a)와, 상기 제1실린더(31a) 좌우측에 소정간격 떨어져 작업다이(10a)에 고정되는 제1LM가이드(32a)와, 상기 제1LM가이드(32a)에 맞물려 직선이송되는 제1LM블록(33a)과, 상기 제1LM블록(33a) 상부에 고정되어 작업플레이트(20a)를 향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플레이트(34a)가 형성된 제1이송유닛(30a)과;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34a) 상부 일측단에 고정되며 대각선으로 직선형태의 내측홈(441a)이 형성된 롤러고정블록(44a)이 제1이송유닛(30a)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일정구간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유닛(40a)과;
    상기 작업다이(10a) 저면에 제3체결판(512a)에 의해 볼트 고정되며 공압에 의해 직선 운동되는 제3실린더로드(511a)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제3실린더(51a)와, 상기 제3실린더(51a)의 좌우 양측으로 각각 고정된 동기바(52a)가 형성된 제3이송유닛(50a)과;
    상기 작업다이(10a)의 후단에 제2체결판(712a)에 의해 볼트 고정되며 공압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제2실린더로드(711a)가 작업플레이트(20a) 방향으로 돌출된 제2실린더(71a)와, 상기 제2실린더(71a) 좌우측에 소정간격 떨어져 작업다이(10a)에 고정되는 제3LM가이드(72a)와, 상기 제3LM가이드(72a)에 맞물려 직선이송되는 제3LM블록(73a)과, 상기 제3LM블록(73a) 상부에 고정된 제2이송플레이트(74a)가 직선이송되는 제4이송유닛(7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10. 하단에 캐스터(12b)가 고정된 프로파일 형태의 다수개의 다리(11b)가 4모서리 저면에 각각 고정된 작업다이(10b)에서 블라인드의 원단(F)이 권취되는 롤러(60b)가 형성된 자동차용 롤블라인더의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다이(10b)의 상면에 다수개가 고정된 위치결정핀(21b)에 결합되어 소정높이 떨어져 고정되는 판 형태의 작업플레이트(20b)와;
    상기 작업플레이트(20b)의 좌우측 작업다이(10b)에 고정된 제1고정블록(311b)이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단에 고정된 제1제어핸들(312b)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블록(313b)이 제1고정블록(311b) 사이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볼트 또는 제1볼스크류(31b)와, 상기 제1이송블록(313b) 상부에 고정되어 작업플레이트(20b)를 향해 직선이송되는 제1이송플레이트(34b)가 형성된 제1이송유닛(30b)과;
    상기 제1이송플레이트(34b) 상부 일측단에 고정되며 대각선으로 직선형태의 내측홈(441b)이 형성된 롤러고정블록(44b)이 제1이송유닛(30b)의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일정구간 직선이송되는 제2이송유닛(40b)과;
    양단이 제2이송유닛(40b) 상단의 제2고정판(521b)에 각각 고정된 동기 바(52b)가 형성된 제3이송유닛(50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KR1020090066405A 2009-07-21 2009-07-21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KR100937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405A KR100937890B1 (ko) 2009-07-21 2009-07-21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405A KR100937890B1 (ko) 2009-07-21 2009-07-21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890B1 true KR100937890B1 (ko) 2010-01-21

Family

ID=4181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405A KR100937890B1 (ko) 2009-07-21 2009-07-21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8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6035A (zh) * 2019-11-27 2020-02-21 湖南春意纺织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后续取料的涤纶加工印花装置
KR20210001313A (ko) 2019-06-27 2021-01-06 김다현 롤블라인드의 스크린 조립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7085A1 (en) 2002-04-17 2003-10-23 Neil Wilso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oller blinds
KR100465741B1 (ko) 2002-04-19 2005-01-13 주식회사 신효 자동 진공성형 시스템의 시트 이송장치
KR100494333B1 (ko) 2003-04-01 2005-06-10 한종상 비닐원단의 자동 권취장치
KR100638185B1 (ko) 2005-05-16 2006-10-27 변태웅 롤 타입 블라인드지의 다림 건조 및 컷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7085A1 (en) 2002-04-17 2003-10-23 Neil Wilso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oller blinds
KR100465741B1 (ko) 2002-04-19 2005-01-13 주식회사 신효 자동 진공성형 시스템의 시트 이송장치
KR100494333B1 (ko) 2003-04-01 2005-06-10 한종상 비닐원단의 자동 권취장치
KR100638185B1 (ko) 2005-05-16 2006-10-27 변태웅 롤 타입 블라인드지의 다림 건조 및 컷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313A (ko) 2019-06-27 2021-01-06 김다현 롤블라인드의 스크린 조립장치
CN110816035A (zh) * 2019-11-27 2020-02-21 湖南春意纺织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后续取料的涤纶加工印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61184B (zh) 一种自动粘贴双面胶带设备
CN110252862B (zh) 一种钣金件冷冲压方法
JP3196927B2 (ja) シート成形機のシートクランプ装置
KR100937890B1 (ko) 자동차용 롤블라인드 권취장치
CN112374220B (zh) 一种不停机更换的热收缩膜制造收卷机及其使用方法
KR20100008818A (ko) 강화유리도어용 프레임 커버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0901158B1 (ko) 광확산판 커팅장치
KR100590792B1 (ko) 방충창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CN114408651A (zh) 一种pvc薄膜生产处理工艺
CN111002604A (zh) 一种片状模塑模压前处理设备
CN113182785A (zh) 一种高低压配电箱钣金加工机械及钣金加工工艺
CN108281276B (zh) 一种e型线圈骨架自动上料绕线机
CN208993124U (zh) 一种用于边框贴胶的贴胶机构
CN214977264U (zh) 一种汽车模模内翻转放料机构
KR100321057B1 (ko) 강판의 라벨부착장치
EP2236721B1 (en) Unit,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e-assembly of thermal insulation profiles
KR200369773Y1 (ko) 방충창 조립장치용 고무링 압입기
KR102508980B1 (ko) 회전식 비닐 가공기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비닐 가공품
CN116214970B (zh) 一种玻璃纤维加工用板材拉挤设备及方法
KR20170065866A (ko) 창호용 롤러조립기 및 이를 이용한 롤러조립방법
CN105538865A (zh) 一种贴合绕线一体机
JP3162319B2 (ja) 樹脂シート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CN219408521U (zh) 一种热缩塑料膜用收卷装置
CN214934494U (zh) 一种包装袋膜卷输送装置
CN214516930U (zh) 一种便于拆装的卷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