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725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725B1
KR100934725B1 KR1020097018379A KR20097018379A KR100934725B1 KR 100934725 B1 KR100934725 B1 KR 100934725B1 KR 1020097018379 A KR1020097018379 A KR 1020097018379A KR 20097018379 A KR20097018379 A KR 20097018379A KR 100934725 B1 KR100934725 B1 KR 100934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ilter
vibration damping
damping filter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6657A (ko
Inventor
코이치 나카노
테츠야 코우다
마사노부 히로타
마코토 무라카미
마사미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06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47L9/1675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movable, revolving or rota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높은 흡입률을 확보하면서, 또한 먼지를 흡인하여도 흡입력이 쉽게 저하되지 않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한다. 그를 위하여,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인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입하는 집진 케이스는 원통 형상으로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접선 방향으로부터 도입하는 흡인구와, 흡인구의 다른 쪽 단측의 먼지 수용부를 가지며, 집진 케이스 내의 제진 필터는, 집진 케이스와 전동 송풍기가 연통하는 풍로에 배치하였다. 이로 인해, 집진 케이스 내의 선회 기류에 의해 먼지는 집진 케이스 내에서 연속적으로 선회를 계속하게 되어, 제진 필터에 먼지가 부착한 경우라도 먼지가 제진 필터면으로부터 박리되어 항상 흡기 통로가 확보된다.
전기 청소기, 먼지, 필터

Description

전기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반복 사용 가능한 집진 케이스를 사용하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전기 청소기로는, 집진 케이스 내에 전용의 사이클론 기류를 발생시키고, 흡인한 공기류로부터 원심력으로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 케이스 내에 먼지를 퇴적시키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0-342492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집진 케이스 내에 사이클론 기류를 발생시키고, 흡인한 공기류로부터 원심력으로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 케이스 내에 먼지를 퇴적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흡입률을 고위(高位)로 확보하는 제약 때문에, 먼지를 충분히 원심 분리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집진 케이스 내에서 먼지가 퇴적하면, 퇴적한 먼지 자체가 필터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큰 먼지의 퇴적부에 미세 먼지도 부착하고 이것이 통기 저항이 되어 급격하게 흡인력이 저하되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이클론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흡기 경로를 크게 구부릴 필요가 있는 동시에, 흡입시에 선회류도 발생하기 때문에, 집진 케이스 내에서 흡입부터 배기에 이르는 경로에서의 압력 손실이 커져 흡입률 이 낮아진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높은 흡입률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먼지를 흡인하여도 흡입력이 쉽게 저하되지 않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한다.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와, 이 전동 송풍기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인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입하는 먼지 분리부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먼지 분리부에는 흡인구로부터 도입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선회 기류로서 흘려 보내는 선회 기류 통풍로를 설치하며, 선회 기류 통풍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진(除塵) 필터를 구비하고, 제진 필터의 외주에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공간을 설치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먼지 분리부에 유입할 때, 이 먼지 분리부 내에서 선회 기류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서, 선회 성분을 가지고 유입한 먼지는 제진 필터 내의 원통 중공부에서도 선회하여, 먼지 뭉치나 머리카락 등의 큰 먼지는 제진 필터 내의 원통 중공부를 선회하면서 하강하여 먼지 수용부로 안내된다.
또한, 제진 필터 내의 원통 중공부에서는 선회 기류에 의해, 내면에 먼지가 부착하여도 박리되기 때문에, 제진 필터에는 먼지가 퇴적하지 않아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먼지를 흡인하여도 먼지는 먼지 수용부에 퇴적하여, 흡인구로부터 전동 송풍기에 이르는 흡인 경로는 제진 필터의 주위에 걸쳐 확보된다. 그 때문에, 풍량 저하를 초래하지 않아 풍량 유지 성능이 우수하며, 장기간 동안 관리가 불필요한 전기 청소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에서는 흡인구로부터 전동 송풍기에 이르는 풍로에 있어서, 급격한 기류의 휨이나 확대, 축소를 반복하지 않고 풍로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기 때문에, 높은 흡입률을 장기간에 걸쳐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는 높은 흡입률을 확보하면서, 먼지를 흡인하여도 흡입력이 쉽게 저하되지 않는, 장기간의 관리 프리 타입의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는 높은 흡입률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먼지를 흡인하여도 흡입력이 잘 저하되지 않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의 청소나 먼지의 배출 등의 관리 작업을 크게 경감할 수 있어, 가정용 전기 청소기뿐만 아니라, 업무용 전기 청소기 등 다양한 종류의 청소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동 송풍기와, 이 전동 송풍기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이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인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입하는 먼지 분리부와, 이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 수용부를 구비하고, 이 먼지 분리부에는 흡인구로부터 도입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선회 기류로서 흘려 보내는 선회 기 류 통풍로를 설치하며, 이 선회 기류 통풍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진(除塵) 필터를 구비하고, 이 제진 필터의 외주에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공간을 설치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먼지 분리부에 유입할 때, 먼지 분리부 내에서 선회 기류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서, 선회 성분을 가지고 유입한 먼지는 제진 필터 내의 원통 중공부에서도 선회하여, 먼지 뭉치나 머리카락 등의 큰 먼지는 제진 필터 내의 원통 중공부를 선회하면서 하강하여 먼지 수용부로 안내된다.
또한, 제진 필터 내의 원통 중공부에서는 선회 기류에 의해 내면에 먼지가 부착하여도 박리되기 때문에, 제진 필터에는 먼지가 퇴적하지 않아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먼지를 흡인하여도 먼지는 먼지 수용부에 퇴적하여, 흡인구로부터 전동 송풍기에 이르는 흡인 경로는 제진 필터의 주위에 걸쳐 확보된다. 그 때문에, 풍량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풍량 유지 성능이 우수하여, 장기간 동안 관리가 불필요한 전기 청소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에서는 흡인구로부터 전동 송풍기에 이르는 풍로에 있어서, 급격한 기류의 휨이나 확대, 축소를 반복하는 일 없이 풍로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기 때문에, 높은 흡입률을 장기간에 걸쳐 확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진 필터를 선회 기류 통풍로의 전 둘레에 걸쳐 설치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흡인구로부터 전동 송풍기에 이르는 흡인 경로는 제진 필터의 전 둘레에 걸쳐 확보되기 때문에, 한층 더 풍량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풍량 유지 성능이 우수하여, 장기간 동안 관리가 불필요한 전기 청소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먼지 수용부를 제진 필터보다도 하방에 설치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먼지 뭉치나 머리카락 등의 큰 먼지는 제진 필터 내의 원통 중공부를 선회하면서 하강하여, 한층 더 효율적으로 먼지 수용부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선회 기류 통풍로를 대략 원통 형상으로 하고, 흡인구를 이 선회 기류 통풍로의 대략 원통의 접선 방향으로 구성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먼지 부리부에 유입할 때에 그 접선 방향으로부터 유입하기 때문에, 먼지 분리부 내에서 선회 기류를 한층 더 강력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진 필터의 외주에 설치된 상기 공간에는,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이 이 제진 필터의 외주에 작용하는 주(主)풍로가 구성되는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흡인구로부터 전동 송풍기에 이르는 흡인 경로를 제진 필터의 주위에 걸쳐 한층 더 유효하게 확보할 수 있어, 한층 더 풍량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풍량 유지 성능이 우수하여, 장기간 동안 관리가 불필요한 전기 청소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먼지 수용부에는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부(副)풍로를 설치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제진 필터 내의 원통 중공부를 선회하면서 하강하여 먼지 수용부에 안내된 큰 먼지는 부풍로를 통하여 흡인되기 때문에, 한층 더 확실하게 먼지 수용부 내에서 포착되어 퇴적한다. 또한, 운전시의 먼지 감아 올림에 의한 제진 필터로의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풍량 저하를 억제하여 풍량 유지 성능이 우수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부풍로는 먼지 수용부로부터 제진 필터를 경유하여 이 제진 필터의 외부에 연통하는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제진 필터 내의 원통 중공부를 선회하면서 하강하여 먼지 수용부에 안내된 큰 먼지는 부풍로를 통하여 흡인되어, 제진 필터에 의해 걸러 내어지기 때문에 한층 더 확실하게 먼지 수용부 내에서 포착되어 퇴적한다. 또한, 먼지는 확실하게 먼지 수용부 내에서 포착되어 퇴적하여, 풍량 유지 성능을 확보하여 장기간 동안 관리가 불필요한 전기 청소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부풍로에 제 3 제진 필터를 설치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제진 필터 내의 원통 중공부를 선회하면서 하강하여 먼지 수용부에 안내된 큰 먼지는 부풍로를 통하여 제 3 제진 필터의 방향으로 흡인되어 걸러 내어지기 때문에, 한층 더 확실하게 먼지 수용부 내에서 포착되어 퇴적한다. 또한, 제 3 제진 필터를 통과한 미세 먼지도 제진 필터에서 걸러 내어져, 전동 송풍기측에 이르는 풍로의 도중에서 제거된다.
따라서, 큰 먼지와 미세 먼지는 한층 더 확실하게 분리되어, 큰 먼지는 확실 하게 먼지 수용부 내에서 포착되어 퇴적하고, 또한, 풍량 유지 성능을 확보하여 장기간 동안 관리가 불필요한 전기 청소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진 필터는 적어도, 흡인 기류에 대하여 상류측에서 큰 먼지를 포집하는 제 1 제진 필터와, 제 1 제진 필터의 외주에서 하류측에 설치되어 미세 먼지를 포집하는 제 2 제진 필터로 구성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상류측의 제 1 제진 필터에서 먼지 뭉치나 머리카락, 음식물 찌꺼기 등의 큰 먼지를 제진하고, 하류측 제 2 제진 필터에서 모래 등의 미세 먼지를 제진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풍로 저항이 되기 쉬운 먼지 뭉치 등을 상류측에서 포착하여 집진 케이스 내에서 선회시킬 수 있어, 흡인력의 저하를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먼지 수용부에는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부풍로를 설치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제진 필터 내의 원통 중공부를 선회하면서 하강하여 먼지 수용부에 안내된 큰 먼지는 부풍로를 통하여 흡인되어 제진 필터에 의해 걸러 내어지기 때문에, 한층 더 확실하게 먼지 수용부 내에서 포착되어 퇴적한다. 따라서, 먼지는 확실하게 먼지 수용부 내에서 포착되어 퇴적하여, 풍량 유지 성능을 확보하여 장기간 동안 관리가 불필요한 전기 청소기로 할 수 있다.또한, 운전시의 먼지 감아 올림에 의한 제진 필터로의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풍량 저하를 억제하여 풍량 유지 성능이 우수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주풍로는 선회 기류 통풍로로부터 제 1 제진 필터와 제 2 제진 필터를 경유하여 집진 분리부의 외주에 이르고, 부풍로는 먼지 수용부로부터 제 3 제진 필터와 이 제 2 제진 필터를 경유하여 이 집진 분리부의 외주에 이르는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먼지 뭉치나 머리카락 등의 큰 먼지는 제 1 제진 필터 내의 원통 중공부를 선회하면서 하강하여 먼지 수용부로 안내되고, 먼지 수용부로 안내된 큰 먼지는 먼지 수용부로부터 제 3 제진 필터의 방향으로 흡인되어 걸러 내어지기 때문에, 한층 더 확실하게 먼지 수용부 내에서 포착되어 퇴적한다. 제 3 제진 필터를 통과한 미세 먼지는 제 2 제진 필터 하단부로부터 유입하여, 제 2 제진 필터에서 걸러 내어져 전동 송풍기측에 이르는 풍로를 지나 제거된다.
따라서, 큰 먼지와 미세 먼지는 한층 더 효율적으로 분리되어, 큰 먼지는 확실하게 먼지 수용부 내에서 포착되어 퇴적한다. 따라서 한층 더 풍량 유지 성능을 확보하여 장기간 동안 관리가 불필요한 전기 청소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 3 제진 필터는 큰 먼지를 포집하는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먼지 수용부 내로 안내된 큰 먼지는 제 3 제진 필터를 통하여 제 2 제진 필터 단부 방향으로 흡인될 때, 제 3 제진 필터에서 먼지 뭉치나 머리카락 등의 큰 먼지를 통과시키지 않아, 큰 먼지와 미세 먼지는 분리된다. 따라서, 특히 큰 풍로 저항이 되는 먼지 뭉치나 머리카락 등의 큰 먼지를 확실하게 먼지 수용부 내에 포착할 수 있어, 한층 더 유효하게 풍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 1 제진 필터는 펀칭 메탈, 금속 메쉬, 수지 메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원통 형상의 집진 케이스 내에 유입한 먼지 중에서도 특히 면먼지 등의 섬유계 먼지가 집진 케이스 내를 선회한 경우라도, 망 형상의 제진 필터에 비해 표면이 평활하고 미세한 요철(凹凸)이 없기 때문에, 섬유계 먼지가 잘 엉키지 않아 집진 케이스 내에서의 연속적인 선회를 용이하게 하여, 먼지 수용부에 포착하여 퇴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 2 제진 필터는 원통 형상이고, 주름 형상 부재를 원형상으로 하여 형성되는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주름 형상으로 함으로써 필터의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통기 저항이 저하하여 높은 흡입률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 2 제진 필터의 원통 형상의 외주부에 있어서, 주름 형상 부재의 내면은 대략 U자 형상으로 둥근 모양을 띠고 있는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둥근 모양을 띤 오목부에 의해 제 2 제진 필터에는 미세 먼지가 부착 퇴적하기 어렵고, 또한 일단 부착한 미세 먼지도 박리 제거하기 쉬워져 더욱 풍량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진 필터는 회전하는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제진 필터에서의 먼지 부착 분포의 다소의 치우침을 방지할 수 있어 먼지 부착량의 평준화를 도모할 수 있고, 필터의 막힘에 의한 풍량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 1 제진 필터 또는 제 2 제진 필터 중 적어도 한 쪽 이 회전하도록 구성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제 1 제진 필터 또는 제 2 제진 필터에서의 먼지 부착 분포의 다소의 치우침을 방지할 수 있어 먼지 부착량의 평준화를 도모할 수 있고, 필터의 막힘에 의한 풍량 저하를 한층 더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 1 제진 필터 및 제 2 제진 필터는 연동하여 회전하는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제 1 제진 필터와 제 2 제진 필터 쌍방의 먼지 부착 분포의 다소의 치우침을 방지할 수 있어 먼지 부착량의 평준화를 도모할 수 있고, 필터 막힘에 의한 풍량 저하의 방지를 간이한 구성으로 한층 더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진 필터에 부착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수단을 설치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제진 필터에 부착한 모래 먼지 등의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어, 제진 필터의 막힘을 한층 방지하여 풍량 저하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회전하는 제진 필터에 맞닿는 먼지 제거 수단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제진 필터 내면에 부착한 전 둘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수동으로 임의로 회전시키는 심플한 구성이나, 회전 구동 수단과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전동 송풍기의 작동 또는 정지의 타이밍과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구성 등을 설치할 수 있어, 제진 필터의 통기성을 한층 더 효율적으로 확보하여 풍 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 1 제진 필터 또는 제 2 제진 필터 중 회전하는 적어도 한 쪽에 맞닿는 먼지 제거 수단을 구비하고, 먼지 제거 수단은 맞닿은 제진 필터에 진동을 줌으로써 부착한 먼지를 제거하는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제 1 제진 필터 또는 제 2 제진 필터의 내주에 부착 퇴적한 먼지를 한층 더 효과적으로 이탈 및 박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유효하게 풍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 1 제진 필터 또는 제 2 제진 필터 중 회전하는 적어도 한 쪽에 맞닿는 먼지 제거 수단을 구비하고, 먼지 제거 수단은 맞닿은 제진 필터에 부착한 먼지를 긁어 내거나 혹은 비벼 내어 제거하는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제 1 제진 필터 또는 제 2 제진 필터의 내면에 부착하여, 막힘을 일으키거나, 엉킨 먼지뭉치나 머리카락, 린트 등을 한층 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먼지 제거 수단은 제진 필터에 맞닿으면서 이동하여, 이 제진 필터에 부착한 먼지를, 진동을 줌으로써, 혹은 긁어 냄으로써, 또는 비벼 냄으로써 제거하는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제진 필터 내면에 부착한 전 둘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수동으로 임의로 회전시키는 심플한 구성이나, 회전 구동 수단과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전동 송풍기의 작동 또는 정지의 타이밍과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구성 등을 설치할 수 있어, 제진 필터의 통기성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확보하여 풍 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 3 제진 필터는 하부 지름이 상부 지름보다도 크고 상하가 오픈된 원추대 형상인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제 3 제진 필터로부터 박리 제거된 미세 먼지는 원추대 형상의 모선(母線)으로 형성되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확실하게 하부의 먼지 수용부 내로 낙하한다. 그 때문에, 먼지가 제 3 먼지 필터에 재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한층 더 풍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진 필터는 하부 지름이 상부 지름보다도 큰 원추대 형상인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먼지 수용부에서 수용할 수 있는 먼지량 이상의 먼지를 흡인하여 제진 필터의 원통 중공 내에 먼지가 가득 쌓여도, 상부보다 하부가 크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진 필터로부터 박리 제거할 수 있어, 쓰레기 방출 성능이나 편리성이 우수한 전기 청소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 3 제진 필터의 일부에 개구부를 설치하고, 이 개구부 근방에 먼지 제거 수단을 설치하며, 먼지 수용부에 이 개구부와 연통하는 먼지실을 설치하여, 이 먼지 제거 수단에 의해 제거된 먼지는 이 개구부를 거쳐 이 먼지실에 수용되는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운전시의 먼지 감아 올림에 의한 제진 필터로의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한층 더 풍량 저하를 억제하여 풍량 유지 성능이 우수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먼지실의 측벽에 먼지 수용부와 연통하는 통풍로를 설치하고, 이 통풍로에는 제 4 제진 필터를 설치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먼지 수용부로부터 제 4 제진 필터를 지나 먼지실, 그리고 제진 필터 외주에 이르는 풍로를 확보할 수 있어, 먼지를 흡인하여도 흡입 풍량이 쉽게 저하되지 않는 동시에 높은 흡입률을 장기간에 걸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먼지 수용부의 저부가 열림으로써 먼지를 배출하는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먼지 수용부에 퇴적하고 있는 미세 먼지나 큰 먼지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낙하하여, 먼지 수용부 내의 먼지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쓰레기 방출 성능이나 편리성이 더욱 우수한 전기 청소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집진 분리부 또는 먼지 수용부 중 적어도 한 쪽의 적어도 일부는 투시 부재에 의해 형성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먼지의 선회 상태, 먼지 집진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먼지를 집진 케이스로부터 버리는 시기의 판단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집진부의 이상 등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제진 필터 중 적어도 일부는 투시 부재에 의해 형성된 전기 청소기이다.
이러한 발명에 의해, 먼지의 내용물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 작업시에 먼지 이외의 것을 잘못 흡인한 경우라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닥 등의 피청소면의 먼지를 흡인하는 흡입구(具)와, 상기 흡입구로부터의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와, 이 전동 송풍기를 내장하는 전기 청소기 본체와,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인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입하여 먼지와 공기로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와, 이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 수용부를 구비한다. 먼지 분리부는 흡입구로부터의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입하는 흡인구와, 이 흡인구로부터 도입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선회 기류로서 흘려 보내는 선회 기류 통풍로와, 상기 선회 기류 통풍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는 제진 필터를 가지고, 이 제진 필터의 외주를 덮음과 동시에, 전동 송풍기의 흡인측에 접속되는 주풍로에 의해, 제진 필터의 외주측으로부터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을 작용시킨 구성으로 한다.
선회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선회 기류 통풍로를 대략 원통 형상,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선회 기류 통풍로의 내벽면에서, 동시에 둘레 방향을 따라 선회하는 기류가 발생하도록 흡인구를 형성한다. 즉, 흡인구의 흡인 방향이, 그 내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흐르도록 원통 형상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원통 형상의 접선 방향으로 하고 있다. 대략 원통 형상이라 함은, 그 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 팔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의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즉, 선회 기류 통풍로의 내벽면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선회 기류가 발생하는 형상이면 된다.
또한, 선회 기류 통풍로에 선회 기류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당연하지만 선 회 기류 통풍로 내에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이 작용하여, 부압 상태를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그를 위해서, 대략 원통 형상의 선회 기류 통풍로의 흡인구를 설치한 일단측을 집진 케이스의 천정부로 덮고, 타단측이 먼지 수용부와 기밀하게 접속하여, 적어도 선회 기류 통풍로에 형성한 제진 필터 부분으로부터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을 작용시키도록 하면 된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 하기 위해서는 선회 기류 통풍로와 먼지 수용부의 접속부 혹은 먼지 수용부 그 자체에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부풍로를 접속하면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제진 필터 부분의 흡인력뿐만 아니라, 먼지 수용부에 보다 가까운 개소에서의 흡인력도 얻을 수 있게 되어, 제진 필터를 통과한 먼지가 보다 먼지 수용부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부풍로의 일단은 먼지 수용부의 일부에 접속하고, 타단을 전동 송풍기의 흡인측에 접속하거나, 타단을 이미 형성하고 있는 주풍로의 일부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풍로의 일단측에는 제 3 제진 필터를 장착하고, 먼지 수용부에 모인 먼지가 전동 송풍기측으로 흘러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부풍로를 통하여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을 먼지 수용부측으로 작용시키기 위해서는 제 3 제진 필터가 잘 막히지 않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3 제진 필터는 큰 먼지 포집용의 필터로 함으로써, 잘 막히지 않게 하여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큰 먼지 필터로 함으로써 미세 먼지가 부풍로로 흘러 들어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직접, 전동 송풍기의 흡인측에 들어가면 전동 송풍기의 내구성이 저하한다. 그 때문에, 제 3 제진 필 터를 큰 먼지 필터로 하는 경우에는 미세 먼지 필터를 전동 송풍기의 흡인측보다 상류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미세 먼지 필터에 관해서는, 주풍로에 위치하는 제진 필터를 미세 먼지 필터로서 이용하는 것이면, 부풍로를 주풍로에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제진 필터를 구성하는 미세 먼지 필터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주풍로에 부풍로를 접속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접속에 의해, 부풍로로부터 미세 먼지를 제진 필터를 구성하는 미세 먼지 필터로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이 접속 방법에 의해, 별도로 부풍로 전용의 미세 먼지 필터를 배제할 수 있어, 미세 먼지 필터의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체적인 청소기에서는, 먼지 분리부에 설치하는 제진 필터는 선회 기류에 의해 자정 효과가 있지만, 제진 필터의 외주로부터 흡인을 수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먼지에 의한 막힘을 완전히 억제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제진 필터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먼지 제거 수단을 설치하여, 청소기의 운전 개시시, 운전 종료시 등의 타이밍으로 먼지 제거 수단을 동작시켜 제진 필터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흡인력, 흡입률을 저하시키지 않고 장기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먼지 제거 수단(제진 수단이라고도 한다)을 동작시키는 타이밍은, 실제 사용하는 청소에 있어서 제진 필터에 어느 정도 막힘이 발생하는가를 검토하여, 설계한 먼지 분리부의 구성, 사용하는 제진 필터의 종류, 형태에 맞춰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개시시에 일정 시간 제진 수단을 동작시키고나, 운전 종료시에 일정 시간 제진 수단을 동작시키거나, 또는, 운전 개시시 및 종료시 모두 일정 시간 제진 수단을 동작시킨다. 이러한 타이밍으로 제진 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모터의 온/오프 제어는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으며, 청소기 전체의 운전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일반적으로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실현한다)의 일련의 동작의 일부로서 제진 수단의 모터 제어를 간단하게 추가시킬 수 있다.
제진 수단의 제어에는 상술한 모터 사용 이외에도, 전기 청소기에 내장되어 있는 코드 권취 기구를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운전 개시를 위하여 코드 권취 기구에 감긴 전원 코드를 인출하면, 코드 권취 기구의 코드 권취 부분이 그 인출력에 의해 회전하고, 이 회전력을 먼지 제거 수단에 전달하면 운전 개시시에 먼지 제거 수단이 동작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코드 권취 기구에는 태엽이 내장되어 있어, 전원 코드를 인출하면 코드 권취 기구의 코드 권취 부분이 회전하여 내장된 태엽을 감게 된다. 그리고, 운전이 종료하여 코드를 권취하기 위하여 코드 권취 기구의 권취 버튼(일반적으로는 전기 청소기의 본체의 일부에 가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를 누르면, 감긴 태엽의 힘에 의해 코드 권취부가 전원 코드를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원 코드를 권취한다. 이 때의 코드 권취부의 회전력을 먼지 제거 수단에 전달하면, 운전 종료시에 먼지 제거 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먼지 제거 수단을 동작시키는 방법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 만, 적어도 전기 청소기의 운전 개시시, 운전 종료시에 먼지 제거 수단을 동작시키면, 청소를 위한 운전마다 제진 필터의 막힘을 없앨 수 있어, 청소 운전마다 당초의 흡인력, 흡입률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진 필터의 외주측에 흡인력이 작용하는 구성, 즉, 자정 작용에 의해 제진 필터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에 상술한 먼지 제거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그 막힘이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에 걸쳐 관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먼지 제거 수단의 동작 시간도, 잘 막히지 않는 만큼 그 동작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먼지 제거 수단을 모터로 구동시키는 것에서는 전기 청소기의 운전 개시시, 운전 종료시에 동작시켜도, 전기 청소기의 사용자가 청소 동작으로의 이행 혹은 뒷정리에 수고가 들지 않아 사용 편의성도 양호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청소기 본체(1) 내에는 흡인 기류를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21)가 내장되어 있고, 또한, 전기 청소기 본체(1)의 외부에는 바퀴(3) 및 캐스터(4)가 장착되어 있어 바닥면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21)의 상류측에는 통기성을 갖는 격벽(26)을 통하여, 전동 송풍기(21)에 의해 흡인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입하는 집진 케이스(5)가 전기 청소기 본체(1)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집진 케이스(5)는 지름이 서로 다른 복수의 중공 원통을 다단으로 늘 어놓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 1에서는 3단 구성으로, 상단부터 순서대로 케이스 상부(22a), 케이스 중앙부(22b), 먼지 수용부(24)로 이루어진다. 이 케이스 상부(22a)와 케이스 중앙부(22b)를 먼지 분리부(23)로 하는 것으로, 케이스 상부(22a)에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접선 방향으로부터 도입하는 흡인구(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집진 케이스(5)는 흡인구(6)로부터 최하단의 먼지를 퇴적시키는 먼지 수용부(24)까지 연통되어 있고, 흡입구(6)로부터 전동 송풍기(21)에 이르는 풍로는 집진 케이스(5)의 먼지 분리부(23)에 설치한 개구부(25)로 전기 청소기 본체(1)의 격벽(26)과 연통시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먼지 분리부(23)에는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구(6)에는 흡인 호스(7), 연장관(8)이 순차 접속되어 있고, 연장관(8)의 선단에 흡입구(具)(9)를 장착하고 있으며, 전동 송풍기(21)를 운전함으로써, 가옥 내의 바닥면 상의 먼지를 흡인할 수 있다.
이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는 본 실시예 1에서는 상류측에 큰 먼지 필터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의 제 1 제진 필터(27a)와, 이 제 1 제진 필터로부터 하류측의 외주에 설치한 미세 먼지 필터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의 제 2 제진 필터(27b)의 2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 제진 필터(27a)와 제 2 제진 필터(27b)의 통기부는 집진 케이스(5)의 흡인구(6)와 전동 송풍기(21)가 연통하는 제 1 풍로인 주풍로(29a)의 도중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흡인구(6)로부터 전동 송풍기(21)에 이르는 주풍로(29a)는 제 1 제진 필터(27a) 내로부터 제 2 제진 필터(27b)의 외주의, 공간 전 주위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a, 3b, 3c, 3d에 의해, 집진 케이스(5)와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진 케이스(5)는 종형(縱型)의 중공 원통을 3단으로 늘어놓은 형상이고, 흡인구(6)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상부(22a)의 원주 단면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기류가 유입하도록, 편심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집진 케이스(5)를 중공 원통으로 하였으나, 원통은 정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타원 형상, 8각형이나 10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등일 수도 있고, 흡인구(6)로부터 접선 방향에서 유입한 기류가, 집진 케이스(5)의 내면을 따라 선회 기류가 생기는 형상이면 된다. 또한,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도 마찬가지로, 원통은 정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타원 형상이나 8각형이나 10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등일 수도 있고, 상기 집진 케이스(5)의 내면을 따라 발생한 선회 기류가 제 1 제진 필터(27a)의 원통 중공부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따라서, 먼지 분리부(23)에서의 케이스 상부(22a) 내면을 따라 발생한 선회 기류 및 제 1 제진 필터(27a)의 원통 중공부에 발생한 선회 기류를 형성하는 통로를 선회 기류 통풍로로 하는 것이다.
또한, 발생한 선회 기류를 먼지 수용부(24) 방향으로 발생시키도록 케이스 상부(22a)에 설치한 흡인구(6)의 배치는, 먼지 분리부(23)에 설치한 개구부(25)의 상단부보다, 흡인구(6)의 하단부가 윗쪽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흡인구(6)의 배치 위치를 개구부(25)보다 높게 함으로써, 흡인구(6)로부터 케이스 상부(22a)의 접선 방향에서 도입된 공기는 개구부(25)측의 흡인력 작용으로 아랫방향인 먼지 수용부(24) 방향으로의 선회 기류로서 발생한다. 이 선회하면서 하강을 계속하는 선회 기류에 의해, 면먼지 등의 큰 먼지(52)는 풍압을 받아 선회 하강하여 먼지 수용부(24)에 안내되는 것이다.
집진 케이스(5)의 하부에는 흡인한 먼지를 퇴적시키는 먼지 수용부(24)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먼지 수용부(24)측의 집진 케이스(5)의 저면은 개폐 뚜껑(31)으로 되어 있어, 힌지(32)를 통하여 개폐 뚜껑(31)을 열고 먼지 수용부(24) 내의 먼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집진 케이스(5)는 본 실시예 1에서는 아크릴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데, 적어도 그 일부를 투시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윗쪽 등에서 내부의 먼지량 등을 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투명 부재로서는, ABS,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수지 등이 부재로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고, 가공성이 좋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집진 케이스(5)의 흡인구(6)와 먼지 수용부(24) 사이의 내벽에는 집진 케이스(5)와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 간의 외측 전주에 걸쳐 설치한 공간부(33)가 설치되어 있고, 집진 케이스(5) 내부와 전동 송풍기(21)의 흡인구가 이 공간부(33)를 통하여 연통하게 된다.
또한, 집진 케이스(5)의 케이스 상부(22a)의 내면은,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를 구성하는 내측의 제 1 제진 필터(27a)의 내면과 전체로서 하나의 면으로 되어 있다. 즉, 집진 케이스(5)의 내면에 돌출한 돌기물이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는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집진 케이스(5) 내부를 둘러 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흡인 기류에 대하여 상류측에 위치하는 큰 먼지 필터로 이루어지는 제 1 제진 필터(27a)는 흡인 기류 중의 먼지로부터 면먼지, 머리카락 등의 비교적 사이즈가 큰 먼지를 제진하는 것이고, 하류측에 위치하는 미세 먼지 필터로 이루어지는 제 2 제진 필터(27b)는 입자 지름이 작은 모래먼지, 화분(花粉), 진드기분 등의 먼지를 기류 중으로부터 제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진하는 먼지의 사이즈에 따라 복수층의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를 설치함으로써, 제진 필터의 막힘의 빈도를 저감하여 풍량 지속 성능을 연장할 수 있으나, 단일층이어도 상관없다.
이 제 1 제진 필터(27a)로는 금속 메쉬, 펀칭 메탈, 수지 메쉬 등, 모래먼지 등의 미세 먼지가 빠져 나갈 수 있는 비교적 구멍 지름이 큰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 1에서는 특히, 통기공 지름이 250 미크론의 금속 메쉬를 이용하여, 제 1 제진 필터(27a) 내면의 미세한 돌기를 최소한으로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한편, 제 2 제진 필터(27b)로는 부직포, 펄프, 유리 섬유, HEPA 필터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비교적 미세한 입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부직포 부재 등을 플리츠 형상으로 형성하여 연결한 주름 형상 부재를 원 형상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설치함으로써, 통기 저항을 저감하면서 제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먼지 부착면에, 먼지 박리성이 좋은 PTFE의 다공질 부재를 코팅한 필터를 이용하면 제 2 제진 필터(27b)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d에 나타내는 제 2 제진 필터(27b)의 일부를 확대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1에서는 도 3d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히, 통기공 지름이 약 0.5 미크론의 PTFE막을 PET 수지로 강성을 갖게 한 시트 형상의 필터를 플리츠 형상의 필터(41)로 하고, 양단부를 연결하여 원통 형상으로 한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플리츠 형상의 필터(41)의 외주부에 있어서, 흡인 기류의 상류측에 닿는 주름 형상 부재의 내면의 오목부(42)는 대략 U자 형상에 R=2~5㎜ 정도의 둥근 모양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플리츠 형상 필터(41)의 제 1 제진 필터(27a)와 근접하는 측의 주름에는 특별히 오목 부분은 갖게 하지 않았다.
또한, 제 2 제진 필터(27b)인 플리츠 형상의 필터(41)의 외부는 이 상단 및 하단의 수 ㎜ 범위만, 수지나 씰제 등으로 씰되어 있는 씰부(43)를 설치하여, 상하 방향으로부터의 통기성을 차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 1의 전기 청소기에 대하여, 도 5a, 5b, 5c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전동 송풍기(21)를 운전 개시하면 흡인 기류가 발생하여, 흡입구(具)(9), 연 장관(8), 흡인 호스(7)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바닥면의 먼지가 집진 케이스(5) 내로 흡입된다. 이 때, 집진 케이스(5)의 흡인구(6)는 원통 단면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구(6)로부터 유입한 기류는 집진 케이스(5)의 원통 단면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침입하여 선회 기류로 변화한다.
집진 케이스(5)의 케이스 상부(22a)에서 발생한 선회 기류는 선회하면서 하강을 계속하여, 원통 형상 제진 필터(27) 부근에 도달한다. 여기에서 원통 형상 제진 필터(27)의 상류측의 제 1 제진 필터(27a)는 집진 케이스(5) 내부를 향한 돌기물이 없기 때문에, 선회 기류의 흐름을 막는 일은 없으며, 또한, 기류는 선회를 계속하면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제진 필터(27a), 제 2 제진 필터(27b)를 차례대로 통과하여, 공간부(33)를 지나 전동 송풍기(21)에 흡인된다.
여기에서, 흡인 기류와 함께 흡인된 먼지는 기류의 흐름과 함께 선회하면서 원통 형상 제진 필터(27)로 안내되고, 이 먼지 중, 모래 먼지 등의 미세 먼지(51)는 제 1 제진 필터(27a)를 통과하여, 외측의 제 2 제진 필터(27b)에서 걸러 내어진다.
또한, 비중이 가볍고, 풍압을 받기 쉬운 면먼지 등의 큰 먼지(52)는 선회 기류로 용이하게 제 1 제진 필터(27a) 표면상으로부터 박리되어, 도 5b,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제진 필터(27a)의 원통 중공부에서 선회를 계속하게 된다. 이 작용에 의해 제 1 제진 필터(27a)는 기류에 의한 자정 작용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막히는 일이 없어 흡입력의 저하를 억제한다.
또한, 흡인하는 먼지량이 늘어나면, 면먼지 등의 큰 먼지(52)는 제 1 제진 필터(27a) 내를 선회하면서 하강하여 먼지 수용부(24)로 안내된다.
이상으로부터, 선회 기류에 의해 면먼지 등의 큰 먼지(52)는 풍압을 받아 선회 하강하여 먼지 수용부(24)로 안내되고, 또한 모래 먼지 등의 미세 먼지(51)는 제 1 제진 필터(27a)의 메쉬의 구멍을 빠져 나가기 때문에, 제 1 제진 필터(27a)에서는 먼지가 퇴적하지 않아 통기성을 확보하고 있게 된다.
즉, 먼지를 흡인하면 먼지는 확실하게 미세 먼지(51)와 큰 먼지(52)로 분리되어, 미세 먼지(51)는 제 2 제진 필터(27b)에서 걸러 내어지고, 큰 먼지(52)는 먼지 수용부(24)에 포착되는 것으로, 흡인구(6)로부터 전동 송풍기(21)에 이르는 흡인 경로는 제 1 및 제 2 제진 필터의 주위에 걸쳐 확보되기 때문에 풍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진 필터(27b)에서의 흡인 기류의 상류측에 닿는 주름의 오목부(42)는 대략 U자 형상에 2R~5R 정도의 둥근 모양을 띠고 있는 것으로, 이 둥근 모양을 함으로써 미세 먼지가 부착 퇴적되기 어렵게 되고, 또한, 일단 퇴적한 미세 먼지도 박리 제거되기 쉽게 되어, 필터 막힘에 의한 풍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집진 케이스(5) 내의 먼지량이 증가했을 때라도, 개폐 뚜껑(31)을 열면, 집진 케이스(5) 내부에는 돌기물 등의 걸림이 없기 때문에, 먼지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어 집진 케이스(5) 자체의 손질도 상당히 간단하다.
이상의 본 실시예 1의 전기 청소기를 이용하여 풍량 유지 성능의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가정 먼지를 체를 이용하여 면먼지와 미세 먼지로 분 리하고, 면먼지를 4g, 미세 먼지를 3g 혼합하여, 1회당 7g 흡인시켜 풍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또한, 대조 실험으로는 시판되고 있는 사이클론식 전기 청소기를 이용하였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서는 초기부터 높은 풍량을 유지하고, 또한 80g 흡인하여도 초기 풍량의 90% 이상 유지하고 있었던 것에 대하여, 대조 실험의 것은 초기부터 풍량이 낮고, 또한 풍량 저하의 속도도 빨라, 60g 흡인한 상태에서 초기 풍량의 80% 이하가 되었다.
또한, 흡입률을 측정한 결과, 본 실시예 1의 것은 대조 실험의 것보다도 100W 이상 높은 것이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의 전기 청소기에서는 흡인률을 고위(高位)로 확보하여, 먼지를 흡인하여도 흡입력이 쉽게 저하되지 않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제 2 제진 필터(27b)를 제 1 제진 필터(27a)의 전 둘레에 설치하였으나, 도 7의 사시도 및 도 8a, 8b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 주위가 아니어도, 제 2 제진 필터(27b)를 전동 송풍기의 흡인측에만 배치한 것이어도 동일한 효과가 인정된다.
또한, 도 9a의 파선 부분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에 절삭부를 만들어, 이 절삭 부분에 투명한 원호 형상의 투시 부재를 끼워 넣어 창(91)을 설치한다. 이로 인해,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진 케이스(5) 내에 퇴적한 먼지의 세로 방향의 단면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청소 작업 시에 먼지 이외의 것을 잘못 흡인한 경우에 발견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의 구성, 동작과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실시예 1과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구성,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11a, 11b, 11c, 11d에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청소기 및 집진 케이스(5)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 도 11a, 11b, 11c,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의 상이점은, 집진 케이스(5) 내에는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와 더불어, 이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의 하방에 배치한 중공 원판 형상의 제 3 제진 필터(28)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제 3 제진 필터(28)는 큰 먼지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 1 제진 필터(21)와 마찬가지로 통기공 지름이 250미크론의 금속 메쉬로 제작되며, 양단이 제 1 제진 필터(27a)의 둘레단과 빈틈없이 맞닿고, 외단은 제 2 제진 필터(27b)의 하단측의 외주위의 씰부(43)까지 덮도록, 씰부(43) 및 집진 케이스(5)의 먼지 수용부(24)에 빈틈없이 맞닿아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인구(6)로부터의 공기를, 제 1 제진 필터(27a)의 원통 중공부, 및 먼지 수용부(24)를 거쳐, 이 제 3 제진 필터(28)를 통하여 제 2 제진 필터(27b)의 하단부에 흐르는 제 2 풍로인 부풍로(29b)의 도중에, 이 제 3 제진 필터(2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제진 필터(27a)와 제 2 제진 필터(27b) 및 제 3 제진 필터(28)는 집진 케이스(5)의 흡인구(6)와 전동 송풍기(21)가 연통하는 주풍로(29a) 혹은 부풍로(29b)에 배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기 청소기에 대하여, 도 12a, 12b, 12c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전동 송풍기(21)를 운전 개시하면 흡인 기류가 발생하여, 흡입구(具)(9), 연장관(8), 흡인 호스(7)를 통하여 바닥면의 먼지가 집진 케이스(5) 내로 흡입된다. 이 때, 집진 케이스(5)의 흡인구(6)는 원통 단면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구(6)로부터 유입한 기류는 집진 케이스(5)의 원통 단면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침입하여 선회 기류로 변화한다.
집진 케이스(5)의 케이스 상부(22a)에서 발생한 선회 기류는 선회하면서 하강을 계속하여,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 부근에 도달한다. 여기에서 원통 형상 제진 필터(27)의 상류측의 제 1 제진 필터(27a)는 집진 케이스(5) 내부를 향한 돌기물이 없기 때문에, 선회 기류의 흐름을 막는 일은 없으며, 또한, 기류는 선회를 계속하면서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제진 필터(27a), 제 2 제진 필터(27b)를 차례대로 통과하여, 공간부(33)를 지나 전동 송풍기(21)에 흡인된다.
여기에서, 흡인 기류와 함께 흡인된 먼지는 기류의 흐름과 함께 선회하면서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로 안내되고, 이 먼지 중, 모래 먼지 등의 미세 먼지(51)는 제 1 제진 필터(27a)를 통과하여, 외측의 제 2 제진 필터(27b)에서 걸러 내어진다.
또한, 비중이 가볍고, 풍압을 받기 쉬운 면먼지 등의 큰 먼지(52)는 선회 기류로 용이하게 제 1 제진 필터(27a) 표면상으로부터 박리되어, 도 12b,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제진 필터(27a)의 원통 중공부에서 선회를 계속하게 된다. 이 작용에 의해 제 1 제진 필터(27a)는 기류에 의한 자정 작용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막히는 일이 없어 흡입력의 저하를 억제한다.
또한, 흡인하는 먼지량이 늘어나면, 면먼지 등의 큰 먼지(52)는 제 1 제진 필터(27a) 내를 선회하면서 하강하여 먼지 수용부(24)로 안내된다.
먼지 수용부(24)에 안내된 큰 먼지(52)는 먼지 수용부(24)의 상부에 배치된 제 3 제진 필터(28)를 통하여 제 2 제진 필터(27b) 단부의 주름의 오목부(42)의 방향으로 흡인되기 때문에, 먼지 수용부(24) 내에 확실하게 포착되어 퇴적함과 동시에, 큰 먼지(52)에 대하여 압축 작용이 이루어져 체적 수축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부풍로(29b)가 없으면, 집진 케이스(5)보다 상류측에서 흡기 경로가 막혔을 때, 먼지 수용부(24) 내의 먼지는 거의 날아올라 제 1 제진 필터(27a)의 내면에 재부착하게 되는데, 이 부풍로(29b)를 먼지 수용부(24)를 통하여 주풍로(29a)와 연통함으로써, 상류측에서 흡기 경로가 막혔을 때, 이 부풍로(29b)가 바이패스 통로가 되어 상기 먼지의 날아오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제 1 제진 필터(27a)에서는, 선회 기류에 의해 면먼지 등의 큰 먼지(52)는 풍압을 받아 선회 하강하고, 또한 모래 먼지 등의 미세 먼지(51)는 제 1 제진 필터(27a)의 메쉬의 구멍을 빠져 나가기 때문에, 먼지가 퇴적하지 않아 통기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제 3 제진 필터(28)는 금속 메쉬로 제작되며, 내단이 제 1 제진 필터의 둘레단과 빈틈없이 맞닿고, 외단은 제 2 제진 필터(27b)의 하단측의 외주위에 구비된 씰부(43)에 빈틈없이 맞닿아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 수용부(24) 내의 큰 먼지(52)에 섞인 미세 먼지(51)는 제 3 제진 필터(28)를 통과한 후, 제 2 제진 필터(27b)에서 걸러 내어진다.
즉, 먼지를 흡인하면 먼지는 확실하게 미세 먼지(51)와 큰 먼지(52)로 분리되어, 미세 먼지(51)는 제 2 제진 필터(27b)에서 걸러 내어지고, 큰 먼지(52)는 확실하게 먼지 수용부(24)에 포착되는 것으로, 흡인구(6)로부터 전동 송풍기(21)에 이르는 흡인 경로는 제 1 및 제 2 제진 필터의 주위에 걸쳐 확보되기 때문에 풍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에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풍량 유지 성능의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보다도 풍량 유지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에 더하여, 제 3 제진 필터(28)를 집진 케이스(5) 내에 배치함으로써, 큰 먼지는 먼지 수용부(24) 내에 확실하게 포착되어 퇴적하기 때문에, 풍량 저하를 더욱 방지하여 유용한 전기 청소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3에서는 제 2 제진 필터(27b) 및 제 3 제진 필터(28)를 제 1 제진 필터(27a)의 전 주위에 설치하였으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전 주위가 아니라도, 제 2 제진 필터(27b), 제 3 제진 필터(28)를 전동 송풍기의 흡인측에만 배치한 것(도시하지 않음)이라도 동일한 효과가 인정된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 2의 구성, 동작과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구성,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의 일부의 근방을 위쪽에서 본 주요부 단면도이다. 그 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제진 필터(27)를 구성하는 제 2 제진 필터(27b)의 상부 외주의 씰부(43)에는 구동 톱니바퀴(14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 톱니바퀴(141)와 결합하는 다른 구동 톱니바퀴(142)와, 이 구동 톱니바퀴(142)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모터(143)에 의해, 제 2 제진 필터(27b) 및 제 1 제진 필터(27a)가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또한, 이와 같이 제 1 제진 필터(27a) 및 제 2 제진 필터(27b)가 양쪽 모두 회전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제 2 제진 필터(27b)만이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으며, 혹은 제 1 제진 필터(27a)에 상기 구동 톱니바퀴(141)를 구비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구동 톱니바퀴(142)와 회전 모터(143)에 의해 제 1 제진 필터(27a)만이 회전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제 1 제진 필터(27a) 및 제 2 제진 필터(27b)가 회전 모터(14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제 1 제진 필터(27a), 및 제 2 제진 필터(27b)의 장소에 따라 먼지의 부착량이 편중되어 일정하지 않은 상태, 즉 전동 송풍기(2)의 흡인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격벽(26)의 근방에 먼지가 많이 부착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제진 필터(27a), 및 제 2 제진 필터(27b)에서의 먼지의 부착량의 평준화를 도모하고, 필터의 막힘에 의한 풍량 저하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실시예 3의 전기 청소기를 이용하여 풍량 유지 성능의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마찬가지로, 가정 먼지를 체를 이용하여 면먼지와 미세 먼지로 분리하고, 면먼지를 4g, 미세 먼지를 3g 혼합하여, 1회당 7g 흡인시켜 풍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2보다도 풍량 유지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3의 전기 청소기에서는 흡인률을 고위(高位)로 확보하여, 먼지를 흡인하여도 흡입 풍량이 쉽게 저하되지 않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3에서도, 제 2 제진 필터(27b) 및 제 3 제진 필터(28)를 제 1 제진 필터(27a)의 전 둘레에 설치하였으나, 제 2 제진 필터(27b), 제 3 제진 필터(28)를 전동 송풍기의 흡인측에만 배치한 것(도시하지 않음)이어도 동일한 효과가 인정된다.
(실시예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의 구성, 동작과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구성,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a, 16b, 도 17에 본 실시예 4의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5), 및 그 주요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a, 도 16b에 있어서, 제 1 먼지 제거 수단(161)은 집진 케이스(5)의 상부 또는 하부의 적어도 1개소에서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먼지 제거 수단(161)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부를 뾰족하게 한 헤라(뼈인두) 형상이고, 제 1 제진 필터(27a) 내주에 가압되어 접하고 있다.
이 때,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모터(143), 구동 톱니바퀴(142)에 의해, 제 2 제진 필터(27b) 상의 구동 톱니바퀴(141)를 회전시키고, 제 2 제진 필터(27b)와 제 1 제진 필터(27a)를 일체로 양쪽 모두 회전시키면, 제 1 먼지 제거 수단(161)은 제 1 제진 필터(27a)의 내면을 가압하면서 슬라이드한다. 그 때문에, 제 1 제진 필터(27a)의 내면을 크리닝하고, 제 1 제진 필터(27a)의 내면에 부착하거나 엉켜 있는 면먼지나 린트 등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어, 제 2 제진 필터(27a)의 통기성을 확보하고, 풍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4에서는 제 1 제진 필터(27a)가 1바퀴 5초로 회전하도록 설정하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에 의해 전동 송풍기(21)의 정지 직후에 5초간 모터(143)의 전원 스위치가 들어와, 제 2 제진 필터(27b)와 제 1 제진 필터(27a)를 일체로 양쪽 모두 회전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 1 먼지 제거 수단(161)을 1개로만 하였으나, 이것을 복 수로 하면 더욱 효과가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 1 먼지 제거 수단(161)의 형상을 헤라 형상으로 하였으나, 부착물의 종류에 따라 블러쉬 형상, 기모(起毛) 형상 등으로 형상을 변경하면 형상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먼지 제거 수단(161)으로서 집진 케이스(5)의 상부에 봉 형상의 것을 수직 방향으로 장착하였으나,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제진 필터(27a)의 내주를 가압하면서 각도를 갖게 하여 나선 형상으로 장착하도록 하면, 제 1 제진 필터(27a)를 회전시켰을 때 전단 효과가 증대하여, 엉킨 머리카락이나 실오라기 등을 절단하면서 크리닝할 수 있어 더욱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실시예 5)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 내지 4의 구성, 동작과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구성,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a, 19b에 실시예 5의 전기 청소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9a는 실시예 5의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5)의 종단면도이다. 도 19a에 있어서, 제 2 먼지 제거 수단(191)은 제 2 제진 필터(27b)의 외측에 설치한 것이다. 또한, 도 20에 그 주요부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먼지 제거 수단(191)에는 금속박을 구부려 스프링으로 한 타격부(201)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 톱니바퀴(141)는 제 2 제진 필터(27b)에 접속되고, 제 1 제진 필터(27a
)는 제 2 제진 필터(27b)와 연동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 모터(143), 구동 톱니바퀴(142)에 의해 구동 톱니바퀴(141)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1 제진 필터(27a), 제 2 제진 필터(27b)를 회전시킨다.
도 19b,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제진 필터(27a), 제 2 제진 필터(27b)가 회전하면, 제 2 먼지 제거 수단(191)에 설치한 타격부(201)가 제 2 제진 필터(2b)에 외측으로부터 타격을 가하게 되어, 제 2 제진 필터(27b)의 대략 U자 형상을 하고 있는 플리츠 형상의 필터(41)의 내부에 부착 퇴적한 미세 먼지(51)를 낙하시킴으로써, 제 2 제진 필터(27b)를 크리닝할 수 있다. 또한, 회전을 지속시킴으로써 제 2 제진 필터(27b)의 전 주위를 크리닝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 2 제진 필터(27b)가 1바퀴 5초로 회전하도록 설정하고, 도시하고 있지 않은 제어 수단에 의해, 전동 송풍기(21)의 정지 직후에 5초간 모터(143)의 전원 스위치가 들어와, 제 2 제진 필터(27b)와 제 1 제진 필터(27a)를 연동시켜 양쪽 모두 회전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전동 송풍기(21)가 정지한 후, 5초간 제 2 제진 필터(27b)의 크리닝을 수행할 수 있어, 제 2 제진 필터(27b)의 전 주위에 부착한 먼지를 낙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 5에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풍량 유지 성능의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5에서는 실시예 2보다도 풍량 유지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제진 필터(27a), 제 2 제진 필터(27b)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2 먼지 제거 수단(191)을 사용하여 제 2 집진 필터(27b)에 부착한 먼지를 제거하여 크리닝한다. 그 때문에, 풍량 저하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 2 먼지 제거 수단으로서, 타격부(201)를 금속박을 구부려 스프링으로 한 것을 이용하였으나, 판 형상의 것이나 고무 등의 탄성체 등이어도 무방하다.
(실시예 6)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 내지 5의 구성, 동작과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구성,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에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5)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2에 있어서, 제 3 먼지 제거 수단(221)은 집진 케이스(5)의 케이스 상부(22a)에 고정되고, 케이스 상부(22a)는 케이스 중앙부(22b)와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 3 먼지 제거 수단(221)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부를 뾰족하게 한 헤라(뼈인두) 형상이고, 제 1 제진 필터(27a) 내주에 가압되어 접하고 있다.
이 때, 케이스 상부(22a)를 회전시키면, 제 3 먼지 제거 수단(221)은 제 1 제진 필터(27a)의 내면을 가압하면서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제 1 제진 필터(27a)의 내면을 크리닝하여, 제 1 제진 필터(27a)의 내면에 부착하여 엉켜 있는 면먼지나 린트 등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 1 제진 필터(27a)의 통기성을 확보하여 풍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한 개의 제 3 먼지 제거 수단(221)을 나타내었으나, 복수로 하면 더욱 효과가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 3 먼지 제거 수단(221)의 형상을 헤라 형상으로 하였으나, 부착물의 종류에 따라 블러쉬 형상, 기모(起毛) 형상 등으로 형상을 변경하면 형상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 3 먼지 제거 수단(221)을 수직 방향으로 장착하였으나,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도를 갖게 하여 나선 형상으로 장착하도록 하면, 제 3 먼지 제거 수단(221)을 회전시켰을 때 전단 효과가 증대하여, 엉킨 머리카락이나 실오라기 등을 절단하면서 크리닝할 수 있어 더욱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이 케이스 상부(22a)에 고정한 제 3 먼지 제거 수단(221)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는, 예를 들면 구성을 심플하게 할 수 있는 수동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이라도 좋고, 혹은 도시하지 않은 회전 구동 수단과 제어 수단을 가지고, 전동 송풍기(21)의 작동 또는 정지의 타이밍과 연동하여 제 3 먼지 제거 수단(221)을 회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예 7)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 내지 6의 구성, 동작과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구성,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에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5)의 사시도를, 도 26에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제 4 먼지 제거 수단(원통 바구니(251))의 주요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5는 제 2 제진 필터(27b)의 외측의 공간부(33)에, 제 4 먼지 제거 수단인 원통 바구니(251)를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 7에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바구니(251)는 상하의 원주 형상 회전 톱니바퀴(252)를 복수의 연결부(253)로 연결하고, 이 연결부(253)에 타격부(254)를 장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타격부(254)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박을 구부려 스프링으로 한 것으로, 연결부(253)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원주 형상 회전 톱니바퀴(252)를 모터(255)에 구비한 구동 톱니바퀴(256)로 회전시킴으로써, 원통 바구니(251)를 회전시키고, 타격부(254)에서 제 2 제진 필터(27b)의 외주에 진동을 가하거나 또는 타격을 가하는 것이다.
제 4 먼지 제거 수단인 원통 바구니(251)가 회전하면, 타격부(254)가 제 2 제진 필터(27b)의 외주에 진동을 가하거나 또는 타격을 가하여, 제 2 제진 필터(27b)의 주름의 내부, 특히 오목부(42)에 부착 퇴적한 미세 먼지(51)를 낙하시킴으로써 제 2 제진 필터(27b)를 크리닝할 수 있다. 또한, 회전을 지속시킴으로써 제 2 제진 필터(27b)의 전 주위를 크리닝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원통 바구니(251)가 1바퀴 5초로 회전하도록 설정하여,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에 의해, 전동 송풍기(21)의 정지 직후에 5초간 모터(255)의 전원 스위치가 들어와, 제 4 제진 수단인 회전 바구니(251)가 일회전하는 것으로 하여, 제 2 제진 필터(27b)의 전 주위를 크리닝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 7에서도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풍량 유지 성능의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7에서는 실시예 2보다도 풍량 유지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4 먼지 제거 수단인 원통 바구니(251)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2 집진 필터(27b)에 부착한 먼지를 제거하여 크리닝하기 때문에, 풍량 저하를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타격부(254)로서 금속박을 구부려 스프링으로 한 것을 이용하였으나, 판 형상의 것이나, 고무 등의 탄성체 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제 4 먼지 제거 수단인 원통 바구니(251)만을 회전시키도록 하였으나, 마찬가지로 이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실시예 6의 제 3 먼지 제거 수단(221)을 회전시켜도 상관없고, 이들을 동시에 회전 혹은 시간을 어긋나게 하여 회전시켜도 상관없다.
(실시예 8)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 내지 7의 구성, 동작과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구성,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8에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5)의 사시도를, 도 29a에 먼지가 쌓인 상태를 옆에서 본 측단면도, 도 29b에 개폐 뚜껑(31)을 연 상태에서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8에서는 제 3 제진 필터(28)를 상하가 열린 대략 원추대 형상으로 하고, 이 원추대의 상부 지름은 제 1 집진 필터(27a
)의 하단 지름과 일치시켜 맞닿고 있다. 또한, 이 원추대의 하부 지름은 먼지 수용부(24) 저부의 내경보다도 작게 하고, 이 원추대의 하부를 먼지 수용부(24) 저부에 빈틈없이 맞닿게 한 것이다. 그 외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한, 이 때, 제 3 제진 필터(28)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통기공 지름이 250미크론의 금속 메쉬로 제작한 것이다.
제 3 제진 필터(28)를 상하가 열린 대략 원추대 형상으로 하여도 공기의 흐름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미세 먼지(51)는 제 2 제진 필터에서 걸러 내어지고, 큰 먼지(52)는 먼지 수용부(24)에 포착되어 퇴적한다.
여기에서, 실시예 7에 나타내는 제 4 먼지 제거 수단 등을 이용하여, 제 2 제진 필터로부터 박리하여 낙하한 미세 먼지(51)는 도 2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제진 필터(28)의 외측의 원추 모선(母線)으로 형성되는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여, 확실하게 먼지 수용부(24)의 저면으로 낙하한다. 이 때문에, 낙하한 미세 먼지(51)와 제 2 제진 필터(27b)의 거리를 떨어뜨릴 수 있어, 낙하한 미세 먼지(51)에 미치는 흡인 작용이 감소하여, 미세 먼지(51)의 제 2 제진 필터(27b)로의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필터 막힘에 의한 풍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제 3 제진 필터(28)를 상기와 같이 원추대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 3 제진 필터(28)의 내측에 큰 먼지(52)가 쌓여도, 상부 공간보다 하부 공간이 넓기 때문에, 큰 먼지(52)의 퍼짐 등에 의한 제 3 제진 필터(28)와의 압접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도 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지 수용부(24)의 저면에 설치한 힌지(32)를 통하여 개폐 뚜껑(31)을 열면, 중력의 작용에 의해 먼지는 용이하게 제 3 제진 필터(28)로부터 이탈 제거되기 때문에, 먼지를 걸림없이 배출할 수 있어 쓰레기 방출 성능이 우수한 전기 청소기로 할 수 있다.
(실시예 9)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 내지 8의 구성, 동작과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구성,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0에,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5)의 사시도를, 도 31a에 먼지가 쌓인 상태를 옆에서 본 측단면도, 도 31b에 개폐 뚜껑(31)을 연 상태에서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9에서는 제 1 제진 필터(27a)의 형상을, 하부 지름을 상부 지름보다 크게 한 원추대 형상으로 하고 있다.
제 1 제진 필터(27a)의 형상을 이상과 같은 원추대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지 수용부(24)에서 수용할 수 있는 먼지량 이상의 먼지를 흡인하게 되어 제 1 제진 필터(27a) 내에 큰 먼지(52)가 쌓여도, 상부 공간보다 하부 공간이 넓기 때문에, 큰 먼지(52)의 퍼짐 등에 의한 제 1 제진 필터(27a)와의 압접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지 수용부(24)의 저면에 설치한 힌지(32)를 통하여 개폐 뚜껑(31)을 열면, 중력의 작용에 의해 먼지는 용이하게 제 1 제진 필터(27a)로부터 이탈 제거되기 때문에, 먼지를 걸림없이 배출할 수 있어, 쓰레기 방출 성능이 우수한 전기 청소기로 할 수 있다.
(실시예 1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 내지 9의 구성, 동작과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구성,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2a, 32b, 33에 본 실시예 10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 3 제진 필터(28)의 일부에 개구부(3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부(321)의 하방에, 제 2 먼지 제거 수단(191)에 의해 제거된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실(322)이 설치되어 있다. 먼지실(322)은 먼지 수용부(24) 내에서 구획지어져 형성되고, 제 2 먼지 제거 수단(191)에 의해 제거된 먼지는 이 구획된 먼지실(322)에 수용된다.
또한, 제 2 먼지 제거 수단(191)에 의해 제거된 먼지가 개구부(321)로부터 먼지실(322) 내에 확실하게 수용하도록, 도 32a, 32b,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먼지 제거 수단(191)의 바로 아래에 개구부(321)와 이 개구부(321)와 연통시킨 먼지실(322)을 배치시키고 있다. 또한, 개구부(321)와 먼지실(322)의 입구의 형상을 일치시킴으로써, 개구부(321)에 떨어진 먼지를 확실하게 먼지실(322)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먼지실(322)을 먼지 수용부(24) 내에 설치함으로써, 먼지 수용부(24)에 수용된 먼지를 쓰레기통에 버리는 경우에, 먼지실(322)의 먼지도 동시에 버릴 수 있다.
또한, 먼지실(322)에 통풍구(323)를 설치하고, 이 통풍구(323)를 막는 제 4 제진 필터(324)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제 4 제진 필터(324)의 통기공 지름은 제 3 제진 필터(28)와 동일한, 통기공 지름이 250미크론인 금속 메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 4 제진 필터(324)의 흡인 풍로 중의 배치는 제 3 제진 필터(2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흡인구(6)로부터의 공기를 제 1 제진 필터(27a)의 원통 중공부, 먼지 수용부(24)를 거쳐, 먼지실의 통풍구(323)를 통하여 제 2 제진 필터(27b)의 하단부에 흐르는 제 2 풍로인 부풍로(29b)의 도중에 설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 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먼지 제거 수단(191)에 의해 제거된 미세 먼지(51)는 제 3 제진 필터(28)에 설치된 개구부(321)로 낙하함으로써 먼지실(322)에 수용된다. 미세 먼지(51)를 수납하는 먼지실(322)을 먼지 수용부(24) 내에 설치함으로써, 청소시의 먼지의 재 감아올림량을 보다 저감할 수 있어, 제 1 풍로인 주풍로(29a)와 제 2 풍로인 부풍로(29b)를 통과하는 풍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먼지실에 통풍구(323)를 설치하고, 그 통풍구(323)를 금속 메쉬의 제 4 제진 필터(324)로 막음으로써, 제 2 풍로인 부풍로(29b)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지를 흡인하면, 큰 먼지(51)는 먼지 수용부(24)에 포착되기 때문에, 제 1 제진 필터(27a) 및 제 2 제진 필터(27b)의 주위에 걸쳐 풍로가 확보되어 풍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거된 미세 먼지(51)를 구획된 먼지실(322)에 큰 먼지(52)와 분리하여 수납함으로써, 청소시의 미세 먼지(51)의 감아올림에 의한 제 2 제진 필터(27b) 로의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제 1 풍로인 주풍로(29a)와 제 2 풍로인 부풍로(29b)를 통과하는 풍량 저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본체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의 정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3c는 도 3b의 A-A 단면도.
도 3d는 도 3b의 B-B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제 2 제진 필터의 주요부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에서의 흡인구 부근의 기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에서의 제진 필터 부근의 기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에서의 종방향의 기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청소기와 비교예에 따른 가정 먼지 집진량과 흡입 풍량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다른 형태의 집진 케이스의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다른 형태의 집진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8b는 도 8a의 B-B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다른 형태의 집진 케이스의 정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B-B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본체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의 정단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11c는 도 11b의 A-A 단면도.
도 11d는 도 11b의 B-B 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에서의 흡인구 부근의 기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에서의 제진 필터 부근의 기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에서의 종방향의 기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기 청소기와 실시예 1에 따른 가정 먼지 집진량과 흡입 풍량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구동 톱니바퀴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기 청소기와 실시예 2에 따른 가정 먼지 집진량과 흡입 풍량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집진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16b는 도 16a의 B-B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제 1 먼지 제거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다른 형태의 제 1 먼지 제거 수단을 구비한 집진 케이스의 사시도.
도 19a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집진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19b는 도 19a의 B-B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제 2 먼지 제거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전기 청소기와 실시예 2에 따른 가정 먼지 집진량과 흡입 풍량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제 3 먼지 제거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다른 형태의 제 3 먼지 제거 수단을 구비한 집진 케이스의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의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제 4 먼지 제거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전기 청소기와 실시예 2에 따른 가정 먼지 집진량과 흡입 풍량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의 사시도.
도 29a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에 먼지가 쌓인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9b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의 개폐 뚜껑을 열어 먼지를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의 사시도.
도 3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에 먼지가 쌓인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의 개폐 뚜껑을 열어 먼지를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집진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32b는 도 32a의 B-B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집진 케이스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청소기 본체
5 집진 케이스
6 흡인구
21 전동 송풍기
22a 케이스 상부
22b 케이스 중앙부
23 먼지 분리부
24 먼지 수용부
27 제진 필터
27a 제 1 제진 필터
27b 제 2 제진 필터
28 제 3 제진 필터
29a 제 1 풍로(주(主)풍로)
29b 제 2 풍로(부(副)풍로)
31 개폐 뚜껑
33 공간부
41 플리츠 형상의 필터
42 오목부
43 씰부
51 미세 먼지
52 큰 먼지
161 제 1 먼지 제거 수단
191 제 2 먼지 제거 수단
221 제 3 먼지 제거 수단
251 원통 케이스(제 4 먼지 제거 수단)
324 제 4 제진 필터

Claims (4)

  1.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
    상기 전동 송풍기에 의해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구를 가지고 상기 흡인구로부터 흡인된 공기에 선회기류를 발생시키는 케이스 상부와, 상기 케이스 상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형의 제진필터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제진필터의 외주 방향에 공간을 가진 케이스 중앙부로 이루어진 먼지 분리부;
    상기 먼지 분리부의 하방에 상기 먼지 분리부와 연통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 수용부;
    상기 흡인구로부터 도입되어 상기 케이스 상부에서 선회기류가 된 공기가 상기 제진필터의 중공부를 하강하고 상기 제진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전동송풍기에 도달하는 주풍로; 및
    상기 먼지 수용부와 상기 공간이 연통되고, 상기 흡인구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진필터의 중공부를 경유하여 상기 먼지 수용부로부터 상기 공간에 도달하는 부풍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필터의 하류측에 미세 먼지를 포집하는 제2 제진필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풍로는 상기 먼지수용부로터 상기 제2 제진필터의 상류측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풍로에 큰 먼지를 포집하는 제3 제진필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KR1020097018379A 2006-03-31 2007-03-29 전기 청소기 KR100934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98809 2006-03-31
JP2006098809 2006-03-31
JP2007041883 2007-02-22
JPJP-P-2007-041884 2007-02-22
JPJP-P-2007-041883 2007-02-22
JP2007041884 2007-02-22
PCT/JP2007/056920 WO2007114275A1 (ja) 2006-03-31 2007-03-29 電気掃除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665A Division KR100942415B1 (ko) 2006-03-31 2007-03-29 전기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657A KR20090106657A (ko) 2009-10-09
KR100934725B1 true KR100934725B1 (ko) 2009-12-30

Family

ID=3856354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665A KR100942415B1 (ko) 2006-03-31 2007-03-29 전기 청소기
KR1020097018379A KR100934725B1 (ko) 2006-03-31 2007-03-29 전기 청소기
KR1020097018380A KR100934726B1 (ko) 2006-03-31 2007-03-29 전기 청소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665A KR100942415B1 (ko) 2006-03-31 2007-03-29 전기 청소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380A KR100934726B1 (ko) 2006-03-31 2007-03-29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313783A1 (ko)
EP (1) EP2002775A4 (ko)
JP (7) JP2008229279A (ko)
KR (3) KR100942415B1 (ko)
CN (3) CN101309624B (ko)
MY (1) MY149493A (ko)
WO (1) WO2007114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0821B2 (ja) * 2007-11-16 2011-09-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5125921B2 (ja) * 2008-09-11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機掃除機
KR101610186B1 (ko) * 2009-06-17 201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진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US8973214B2 (en) 2011-03-03 2015-03-10 G.B.D. Corp. Cyclone chamb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973212B2 (en) * 2011-03-03 2015-03-10 G.B.D. Corp. Filter housing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101252B2 (en) 2011-03-03 2015-08-11 G.B.D. Corp.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DE102011075013A1 (de) * 2011-04-29 2012-10-3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Reinigungskonzept für ein Filter
EP2959817A1 (en) * 2011-06-02 2015-12-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245672B1 (ko) 2012-06-05 2013-03-20 이춘우 전기 진공청소기
JP5957699B2 (ja) * 2012-09-21 2016-07-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6158072B2 (ja) * 2013-12-27 2017-07-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4771116B (zh) * 2014-01-14 2017-08-25 莱克电气绿能科技(苏州)有限公司 具有主副风道的吸尘器地刷及吸尘器
US11571097B2 (en) 2014-12-17 2023-02-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357369B2 (en) 2014-12-17 2022-06-1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ES2624496T3 (es) * 2015-01-20 2017-07-14 Eurofilters Holding N.V. Aspiradora de piso
GB2540134B (en)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GB2539932B (en) *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GB2539924B (en) *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GB2539933B (en)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CN105691064A (zh) * 2015-07-13 2016-06-22 中山市丰申电器有限公司 一种带增压器的储能式粉笔擦
WO2017083497A1 (en) 2015-11-10 2017-05-18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KR102516499B1 (ko) 2015-12-30 202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GB2546541B (en) 2016-01-22 2018-07-0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ing apparatus
GB2546543B (en) 2016-01-22 2019-01-02 Dyson Technology Ltd Separa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GB2558443B (en) 2016-01-22 2019-03-13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JP7012420B2 (ja) * 2016-05-31 2022-01-2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9952051B (zh) * 2016-11-08 2021-11-23 创科(澳门离岸商业服务)有限公司 真空吸尘器
WO2018146944A1 (ja) * 2017-02-08 2018-08-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
WO2018168142A1 (ja) * 2017-03-14 2018-09-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吸込み具と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2015536B1 (ko) * 2017-12-19 2019-08-28 한원재 다중 에어필터 자동세척 장치
US10959587B2 (en) 2018-08-06 2021-03-30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JP7340942B2 (ja) 2019-03-26 2023-09-08 株式会社マキタ 動力工具の集塵システム
DE102020212983A1 (de) * 2020-10-14 2022-04-14 BSH Hausgeräte GmbH Abscheidesystem mit äußerer Filtereinheit
CN113293468B (zh) * 2021-07-22 2021-09-21 江苏红金顶织造有限公司 一种纺织用纺织机纺织尘收集及清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2166A (en) * 1947-07-16 1949-09-20 William I Gage Stationary filter type suction cleaner
JPS5190558U (ko) * 1975-01-18 1976-07-20
JPS5498053A (en) * 1978-01-19 1979-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ust removing device in vacuum cleaner
JPS5632645U (ko) * 1979-08-23 1981-03-31
JPS6130606Y2 (ko) * 1980-01-31 1986-09-06
JPS56114755A (en) 1980-02-15 1981-09-09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Detecting apparatus of ignition and flame extinction of gas analyzer
SU1049111A2 (ru) * 1982-06-23 1983-10-23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8843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JPS60147350U (ja) * 1984-03-12 1985-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フイルタ−構造
US4787923A (en) * 1986-08-27 1988-11-29 Tennant Company Apparatus for cleaning an air filter
EP0679364A1 (en) * 1992-10-15 1995-11-02 Edward John Roberts Cyclonic suction cleaner
JPH11155784A (ja) * 1997-12-02 1999-06-15 Namura Denki Kogyo Kk 電気掃除機の集塵袋
JP2001054496A (ja) * 1999-08-17 2001-02-27 Makita Corp 集塵機
ITPD20010029A1 (it) * 2001-02-07 2002-08-07 T P A Impex Spa Struttura di gruppo filtrante per macchine di pulizia domestica e/o industriale tipo aspirapolveri, scope elettriche o per macchine per depu
ITPD20020020U1 (it) * 2002-03-15 2003-09-15 T P A Impex Spa Macchina perfezionata particolarmente per la pulizia domestica e/o industriale.
KR100433414B1 (ko) * 2002-05-11 2004-05-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EP1371318B1 (en) * 2002-06-11 2010-01-27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4033241A (ja) * 2002-06-28 2004-02-05 Sanyo Electric Co Ltd サイクロン式集塵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US7152277B2 (en) * 2003-03-13 2006-12-26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Filter assembly for cyclone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KR100485699B1 (ko) * 2003-04-14 2005-04-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집진장치용 필터조립체
KR100471142B1 (ko) * 2003-05-21 2005-03-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JP4022905B2 (ja) 2003-08-05 2007-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05237470A (ja) * 2004-02-24 2005-09-08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用フィルタ
US7329295B2 (en) * 2004-03-17 2008-02-12 Euro-Pro Operating, Llc Light weight bagless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4275A1 (ja) 2007-10-11
EP2002775A4 (en) 2010-03-31
CN101721178B (zh) 2013-05-29
JP2009061309A (ja) 2009-03-26
JP2009061311A (ja) 2009-03-26
JP4333812B2 (ja) 2009-09-16
JP2008229279A (ja) 2008-10-02
CN101816530A (zh) 2010-09-01
KR20090106658A (ko) 2009-10-09
JP2009061312A (ja) 2009-03-26
JP4333813B2 (ja) 2009-09-16
US20090313783A1 (en) 2009-12-24
KR20090106657A (ko) 2009-10-09
CN101309624B (zh) 2012-02-29
JP4333815B2 (ja) 2009-09-16
KR100934726B1 (ko) 2009-12-30
JP2009061307A (ja) 2009-03-26
CN101309624A (zh) 2008-11-19
CN101721178A (zh) 2010-06-09
JP4333816B2 (ja) 2009-09-16
EP2002775A1 (en) 2008-12-17
JP4333817B2 (ja) 2009-09-16
KR20070112157A (ko) 2007-11-22
JP2009061308A (ja) 2009-03-26
MY149493A (en) 2013-09-13
KR100942415B1 (ko) 2010-02-17
JP2009061310A (ja) 2009-03-26
JP4333814B2 (ja)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725B1 (ko) 전기 청소기
JP2008229279A5 (ko)
JP3699679B2 (ja) 電気掃除機
KR100802377B1 (ko) 전기 청소기
JP2007252838A (ja) 電気掃除機
JP2012065877A (ja) 電気掃除機
JP4169735B2 (ja) 電気掃除機
JP4865881B2 (ja) 電気掃除機
JP2006346141A (ja) 電気掃除機
JP4011079B2 (ja) 電気掃除機
KR100857491B1 (ko) 집진 용기 및 전기 청소기
KR20090018482A (ko) 집진장치
JP2006346140A (ja) 電気掃除機
JP4012227B2 (ja) 電気掃除機
JP2004135994A (ja) 電気掃除機
JP2012005610A (ja) 電気掃除機
JP2007054549A (ja) 電気掃除機
JP2004290340A (ja) 電気掃除機
RU2401047C2 (ru) Пылесос
JP4118288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