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547B1 - 다층 다단간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다단간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547B1
KR100934547B1 KR1020080010080A KR20080010080A KR100934547B1 KR 100934547 B1 KR100934547 B1 KR 100934547B1 KR 1020080010080 A KR1020080010080 A KR 1020080010080A KR 20080010080 A KR20080010080 A KR 20080010080A KR 100934547 B1 KR100934547 B1 KR 10093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ackage
car
lift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102A (ko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이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헌 filed Critical 이동헌
Priority to KR102008001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547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6Devices for loading or unloading and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roller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6Arresting, braking or escape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8Rails or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공장이나 물류창고의 다층 및 다단간에 콘베이어 및 리프터에 의해 운반물을 반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치에서는 실내의 콘베이어와 리프터 카내의 콘베이어의 수평이 맞게 리프터 카를 정지시키고 운반물을 실내에서 카내로 또는 카내에서 실내로 이동하는 것이었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서는 운반물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 운반물의 하중의 이동에 따라 리프터 카를 잡고 있는 와이어로프의 늘어남 량이 변화하게 되어 운반물의 이동 도중에 2개의 콘베이어의 수평이 맞지 않게 되어 운반물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운반물의 이동 중에도 카가 이동하지 않도록 브레이크를 설치 작동하여 운반물이 문제없이 반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또한 운반물의 반송이후 카내의 하중 변화로 인한 와이어로프의 인장·수축량 만큼의 축적된 에너지에 의해 브레이크 해제와 동시에 순간적으로 카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카에 충격 및 진동을 가하는 것은 물론 위치제어의 에러 등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충격 및 진동을 없앨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상기의 고정 브레이크와 이동브레이크(Floating Brake) 및 충격흡수기를 병행 사용하여 운반물이 잘 반송될 수 있도록 카를 고정시킴은 물론, 반송 완료후의 운반물 하중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인장 또는 수축 에너지에 의한 카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리프터카의 운행이 원만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Figure 112008500587647-pat00012
콘베이어, 리프터, 브레이크, 충격흡수기, 스프링

Description

다층 다단간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WORKS}
본 발명은 제조공장이나 물류 창고의 다층 및 다단간에 콘베이어 및 리프터에 의해 운반물을 반송하는 장치에 관한것이다.
종래의 장치에서는 실내의 콘베이어와 리프터 카내의 콘베이어의 수평이 맞게 리프터 카를 정지시키고 운반물을 실내에서 카내로 또는 카내에서 실내로 이동하는 것이었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서는 운반물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 운반물의 하중의 이동에 따라 리프터카를 잡고 있는 와이어 로프의 늘어남 량이 변화하게 되어 운반물의 이동 도중에 2개의 콘베이어의 수평이 맞지 않게 되어 운반물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발명특허 등록번호 10-0579707, 10-0663157, 10-0689072로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으나, 이들 또한 제작, 설치비용, 설치의 용이성 등의 장단점 및 문제점들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다른 방법으로 운반물의 이동 중에도 카가 이동하지 않도록 브레이크를 설치 작동하여 운반물이 문제없이 반송될 수 있도록 하 는 경우도 있으나, 이 또한 운반물의 반송이후 카내의 하중 변화로 인한 와이어 로프의 인장, 수축량 만큼의 축적된 에너지에 의해 브레이크 해제와 동시에 순간적으로 카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카에 충격 및 진동을 가하는 것은 물론 위치제어의 에러 등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충격 및 진동을 없앨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상기의 고정 브레이크와 이동브레이크(Floating Brake) 및 충격흡수기를 병행 사용하여 운반물이 잘 반송될 수 있도록 카를 고정시킴은 물론, 반송 완료후의 운반물 하중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인장 또는 수축 에너지에 의한 카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리프터 카의 운행이 원만히 이루어질 수 있는 반송 이재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조공장이나 물류창고 건물의 각층별로 형성되며 실내 출입구가 형성된 실내(10)와 실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반물(C)을 운반하는 고정 콘베이어(20)와, 상기 실내(10)의 일측 또는 중앙에 건물의 전층 또는 다층간에 설치되는 승강로(30)와, 상기 승강로(30)내에서 2개 이상의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가이드 슈(39)로 리프터 카(40)를 안내하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실내(10)출입구에 대응하는 리프터 카 도어(41)를 가지는 리프터 카(40)와, 상기 실내 출입구 승장도어(35)와 카 도어(41)및, 상기 리프터 카(4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콘베이어(20)와 운반물(C)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카 내 콘베이어(50)방식 이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슈(39)와 가이드 레일(38)과 접하고 있는 리프터 카(40)의 양 측면에 가이드 레일(38)의 양면을 꽉 잡아서 리프터 카(40)를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64)가 브라케트에 고정되어 구성되는 고정브레이크(60)가 고정 설치되고, 리프터카(40)의 양 측면에 고정된 고정브라케트(71)에 상하로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샤프트(72)들의 길이만큼의 폭으로 형성되는 상하 ㄷ자형의 고정브라케트 (71)내의 중앙 부위에는, 이동 브레이크 프레임(74)에 고정 설치된 브레이크(64)가 설치되고, 가이드 샤프트(7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브레이크 프레임(74)의 상하와 고정브라케트(71)의 상하의 사이에는 각각 충격흡수기(73)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상하 충격흡수기(73)에 구속되면서 움직일 수 있는 이동브레이크(70)가 고정 브레이크(60)와 조합으로 고정 설치되어, 고정 브레이크(60)의 해제 시에도 리프터카(40)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 수단을 구비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다단 간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를 제공 한다.
본 발명의 다층 다단간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것으로서, 운반물을 반송하고자하는 층 또는 단에서 리프터 카의 콘베이어와 실내 고정 콘베이어와의 수평을 맞춘 위치에 리프터 카를 정지시키고, 고정브레이크와 이동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운반물의 반송을 원만하게 함은 물론 반송완료 후에도 브레이크 해제 시 리프터카의 충격 없이 다른 층 다른 단으로 리프터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의 실시례에 대해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도2,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운반물 반송이재장치의 실시례를 표시한 것으로서 도1은 종단면도, 도2는 리프트카(40)부분의 종단면도, 도3은 리프트카(40)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도1은 다층 다단간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의 일반적인 례로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엘리베이터, 리프터와 유사한 구조와 원리로 작동되는 것으로서 주요한 부위의 번호와 명칭을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운반물을 반송하는 고정콘베이어(20)와 카내콘베이어(50)는 운반물을 반송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콘베이어라도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롤러콘베이어, 벨트콘베이어, 체인콘베이어를 사용하며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 도3은 리프터카(40)의 설명을 위한 종단면도와 횡단면도이다.
여기서 리프터카(40)내에는 운반물(C)을 각층 및 각단에 반입, 반출시킬 수 있는 카내 콘베이어(50)가 설치되고, 리프터카(40)의 일측면 또는 2측면에는 카도어(41)가 설치되며, 카도어(41)가 설치되지 않는 양 측면에는 가이드레일(38)을 따라 리프터카(40)를 상하로 안내하면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다수개의 가이드슈(39)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리프터카(40)의 가이드슈(39)가 설치되는 양 측면에는 리프터카(40)를 원하는 층 또는 단의 정 위치에 정지시킨 후 리프터카(40)의 이동을 방지해주는 고정브레이크(60)들과 리프트카(40)에 고정된 고정브라케트(71)에 상하로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샤프트 (72)들의 길이 만큼의 폭으로 형성되는 상하 ㄷ자형의 고정브라케트 (71)내의 중앙 부위에는, 이동 브레이크 프레임 (74)에 고정 설치된 브레이크(64)가 설치되고, 가이드 샤프트(7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브레이크 프레임(74)의 상하와 고정브라케트(71)의 상하의 사이에는 각각 충격흡수기(73)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상하 충격흡수기(73)에 구속되면서 움직일 수 있는 이동브레이크 (70)가 고정브레이크(60)와 조합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충격흡수기(73)는 운반물(C) 하중이동에 따른 와이어로우프(32)의 인장·수축량 만큼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스프링, 쇼크 압소바(Shock absorber) 방진고무 등이 사용된다.
도 5는 충격흡수기로 스프링(76)을 사용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충격흡수기로 쇼크 압소바(77)를 사용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충격흡수기로 방진고무(78)를 사용한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충격흡수기로 스프링(76)을 사용한 다른 실시례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고정브레이크(60)와 이동브레이크(70)에 사용되는 브레이크(64)는 가이드레일(38)을 꽉 잡아서 리프터카(40)의 상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기능을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기능을 발휘하는 브레이크패드(61)와 브레이크패드(61)에 가압력을 가해주는 액튜에이터(62) 로 구성된다.
여기서 액튜에이터(62)는 공압식, 유압식, 스프링식, 모터식등 다양한 구동원을 사용하며 배력을 위해 토글 크램프 방식(Toggle Clamp), 힌지(Hinge)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동브레이크(70)을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가이드 구조는 가이드 샤프트(72)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례일 뿐이며, 이동브레이크(70)를 상하로 안내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면 엘엠 레일(LM Rail)과 엘엠 브록(LM Block)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와 <도 9>는 이러한 브레이크(64)의 일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하기위한 횡단면도 이다.
<도 8>은 브레이크(64)가 작동되지 않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9>는 액튜에이터(62)가 작동하여 브레이크(64)가 작동하여 가이드레일(38)을 꽉 잡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다층 다단간의 운반물 반송 장치를 실제 운반물(C)의 이동 경로에 따라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리프터카(40)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운반물(C)을 반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리프터카(40)가 정해진 층 또는 단의 정 위치에 정지하면 고정브레이크(60)와 이동브레이크(70)가 작동하여 리프터카(40)를 가이드레일(38)에 고정시킨 후 승 장도어(35)와 카도어(41)를 열고 카내 콘베이어(50)와 고정콘베이어(20)를 작동시켜 운반물(C)을 카내 콘베이어(50)로 이송한다.
이송이 완료되면 승장도어(35)와 카도어(40)를 닫고, 고정브레이크(60)만을 해제한다. 이때 운반물(C)의 중량에 의해 고정브레이크(60)의 해제와 동시에 리프터의 와이어로프(32)가 순간적으로 늘어나면서 리프터카(40)가 아래로 순간적으로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의 하강 에너지를 이동브레이크 프레임(74)의 상부와 고정브라케트(71)의 사이에 있는 충격흡수기(73)가 흡수를 하면서 충격 없이 리프터카(40)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강이 완료되면 이동브레이크(70)를 해제하고 리프터카(40)를 다른 층 다른 단으로 이동한다.
이때 충격흡수기(73)에 저장된 에너지가 많을 경우에는 이동브레이크(70) 해제 시 약간의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고정브레이크(60)를 작동하여 리프터카(40)를 다시 한번 고정시킨 후 이동브레이크(70)를 해제하여 충격흡수기(73)에 저장된 에너지를 제거하고 난 후 고정브레이크(60)를 해제하고 다른 층 다른 단으로 이동한다.
리프터카(40)에 운반물을 싣고 도착한 층 또는 단의 정 위치에 리프터카(40)를 정지시키고, 고정브레이크(60)와 이동브레이크(70)를 작동하여 리프터카(40)를 정지시키고 승장 및 카도어를 열고 2개의 콘베이어(50,20)를 작동시켜 운반물(C)을 실내의 고정 콘베이어(20)로 반출한다. 반출이 완료되면 승장 및 카도어(35,41)를 닫고, 고정브레이크(60)을 해제한다.
이때 리프터카(40)는 순간적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번에는 이동브레이크 프레임(74)의 하부와 고정브라케트(71)의 사이에 있는 충격흡수기(73)가 상승에너지를 흡수 하면서 충격 없이 리프터카(40)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의 작동순서는 상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조공장 및 물류창고의 다층 다단간의 운반물 반송 이재 장치는 고하중의 운반물의 자동 반송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서, 특히 최근에는 운반물의 하중이 무거운 제품이 많음은 물론, 토지 금액이 고가인 관계로 제조공장 및 물류 창고가 점점 더 고층화 되어가는 추세로서 그 수요가 다양하게 확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의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1은 종단면도
도 2는 카(Car)가 정지한 상태에서의 카의 다른 종단면도
도 3은 카가 정지한 상태에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충격흡수기(73)를 스프링(76)으로 사용한 실시례의 종단면도,
도 6은 충격흡수기(73)를 쇼크 압소바(77)로 사용한 실시례의 종단면도,
도 7은 충격흡수기(73)를 방진고무(78)로 사용한 실시례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브레이크(64)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의 브레이크의 횡단면도이고,
도 9는 브레이크(64)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브레이크가 작동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충격흡수기(73)를 스프링(76)으로 사용한 다른 실시례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내(ROOM)
20 : 고정 콘베이어
30 : 승강로
31 : 기계실
32 : 와이어 로프(Wire Rope) 36 : 승강로 외벽
33 : 구동부 37 : 프레임
34 : 웨이트 발란스(Weight Balance) 38 : 가이드 레일(Guide Rail)
35 : 승장도어(DOOR) 39 : 가이드 슈(Guide Shoe)
40 : 카(Car)
41 : 카 도어(Door)
42 : 카 케이스 (Car Case)
50 : 카내 콘베이어
60 : 고정브레이크(Brake)
61 : 브레이크 패드(Brake Pad)
62 : 액튜에이터(Actuator)
63 : 브레이크 프레임(Brake Frame)
64 : 브레이크(Brake)
70 : 이동 브레이크
71 : 고정 브라케트
72 : 가이드 샤프트(Guide Shaft)
73 : 충격 흡수기
74 : 이동 브레이크 프레임(Brake Frame)
76 : 스프링(SPRING)
77 : 쇼크 압소바(Shock Absorber)
78 : 방진고무
C : 운반물

Claims (1)

  1. 제조공장이나 물류창고 건물의 각층별로 형성 되며 실내 출입구가 형성된 실내(10)와 실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반물(C)을 운반 하는 고정 콘베이어(20)와, 상기 실내(10)의 일측 또는 중앙에 건물의 전층 또는 다층 간에 설치되는 승강로(30)와, 상기 승강로(30)내에서 2개 이상의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가이드 슈(39)로 리프터 카(40)를 안내하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실내(10)출입구에 대응하는 리프터 카 도어(41)를 가지는 리프터 카(40)와, 상기 실내 출입구 승장도어(35)와 카 도어(41)및, 상기 리프터 카(4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 콘베이어(20)와 운반물(C)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카내 콘베이어(50)방식 이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슈(39)와 가이드 레일(38)과 접하고 있는 리프터 카(40)의 양 측면 에 가이드 레일(38)의 양면을 꽉 잡아서 리프터 카(40)를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64)가 브라케트에 고정되어 구성되는 고정브레이크(60)가 고정 설치되고, 리프터 카(40)의 양 측면에 고정된 고정브라케트(71)에 상하로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샤프트(72)들의 길이만큼의 폭으로 형성되는 상하 ㄷ자형의 고정브라케트(71)내의 중앙 부위에는, 이동 브레이크 프레임(74)에 고정 설치된 브레이크(64)가 설치되고, 가이드 샤프트(7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브레이크 프레임(74)의 상하와 고정브라케트(71)의 상하의 사이에는 각각 충격흡수기(73)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상하 충격흡수기(73)에 구속되면서 움직일 수 있는 이동브레이크(70)가 고정브레이크(60)와 조합으로 고정 설치되 어, 고정브레이크(60)의 해제 시에도 리프터 카(40)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 수단을 구비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 층 다단 간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
KR1020080010080A 2008-01-31 2008-01-31 다층 다단간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 KR10093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080A KR100934547B1 (ko) 2008-01-31 2008-01-31 다층 다단간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080A KR100934547B1 (ko) 2008-01-31 2008-01-31 다층 다단간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102A KR20090084102A (ko) 2009-08-05
KR100934547B1 true KR100934547B1 (ko) 2009-12-29

Family

ID=4120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080A KR100934547B1 (ko) 2008-01-31 2008-01-31 다층 다단간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5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957A (ja) * 2000-06-02 2001-12-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KR100663157B1 (ko) * 2004-11-26 2007-01-03 이동헌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이재장치
KR100689072B1 (ko) * 2005-03-05 2007-03-08 이동헌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이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957A (ja) * 2000-06-02 2001-12-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KR100663157B1 (ko) * 2004-11-26 2007-01-03 이동헌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이재장치
KR100689072B1 (ko) * 2005-03-05 2007-03-08 이동헌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이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102A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5261A1 (en) Smart multi-car elevator system
CN109789989B (zh) 用于具有线性马达驱动的升降机设备的升降机轿厢、具有这种轿厢的升降机设备、以及用于操作升降机设备的方法
JP5122953B2 (ja) エレベータ
JP2014517796A (ja) 循環式搬送装置
KR101203396B1 (ko) 엘리베이터 설치 방법 및 엘리베이터
CN103339052A (zh) 电梯配置和方法
JP5206020B2 (ja) 搬送装置
CN106553948A (zh) 用于起升的结构的制动系统和控制起升的结构的制动的方法
JP2017512151A (ja) 電車プラットホーム安全装置
JP5715490B2 (ja) 機械式駐車設備
US10501288B2 (en) Seal member for sealing a door sill gap
KR100934547B1 (ko) 다층 다단간 운반물 반송이재 장치
KR20060003086A (ko) 승강기 장치
JP2008184271A (ja) エレベータ装置
EP1914188B1 (en) Elevator device
KR200487933Y1 (ko) 작업장용 물품 운반 엘리베이터
CN209889765U (zh) 一种升降移载装置
CN110040601B (zh) 用于双层电梯的h形框架
CN110054057B (zh) 电梯装置
JP2013107744A (ja) エレベータ昇降装置
KR10063394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376036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着床制御装置
KR100663157B1 (ko) 디스플레이 제품용 카세트 반송이재장치
JP2016145092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26599B2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