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188B1 - 차량 정비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차량 정비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188B1
KR100930188B1 KR1020030045925A KR20030045925A KR100930188B1 KR 100930188 B1 KR100930188 B1 KR 100930188B1 KR 1020030045925 A KR1020030045925 A KR 1020030045925A KR 20030045925 A KR20030045925 A KR 20030045925A KR 100930188 B1 KR100930188 B1 KR 100930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pit
cover plate
vehicle
vehicl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0890A (ko
Inventor
사카키바라유지
나카무라켄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Publication of KR20040090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1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 B60S9/18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동작하는 링크 기구를 조작하여 승강이동시키는 리프트라 하더라도, 리프트를 상승시킨 때에 피트 전체를 평탄하게 할 수 있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는, 리프트 승강 수단(2)을 하부 리프트(2a)와 그 상부에 형성한 상부 리프트(2b)로 형성하고, 쌍방의 사이에 피트(3)을 폐색하는 커버 플레이트(4)를 마련하고, 상부 리프트(2b)상에 차량탑재대(1)을 배치하였다. 하부 리프트(2a) 및 상부 리프트(2b)를 상하로 신축운동하는 X 링크 기구에 의해 형성하고, 리프트업한 때에 하부 리프트가 커버 플레이트(4)를 상승시킴으로써 피트를 폐색하여, 바닥면과 동일면이 되도록 하였다.
Figure R1020030045925
차량탑재대, 리프트 승강 수단, 피트, 커버 플레이트, 바닥

Description

차량 정비용 리프트{Lift for repair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를 상승시킨 상태의 측면 설명도.
도 2는 도 1의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다른 상태를 도시하고, (a)는 상부 리프트를 하강시키는 도중의 상태, (b)는 상부 리프트를 완전히 하강시킨 상태, (c)는 상부 리프트에 더하여 하부 리프트도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리프트의 유압 회로도.
도 4는 도 3의 유압 회로의 리프트업 동작 플로우 차트.
도 5는 도 3의 유압 회로의 리프트다운 동작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도시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측면 설명도.
도 7은 도 1의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탑재대 2 : 리프트 승강 수단
2a : 아래 승강 수단으로서의 하부 리프트
2b : 위 승강 수단으로서의 상부 리프트
3 : 피트 4 : 커버 플레이트
5 : 바닥 8, 15 : X형 링크
본 발명은, 차량을 상승시키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프트 하강시에 리프트 본체가 바닥에 수납되고 리프트 윗면이 바닥면에 대해 평탄하게 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리프트 하강시에 리프트 본체가 바닥에 수납되고, 차량탑재대가 바닥면에 대해 평탄하게 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가, 작업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차바닥이 낮은 차량을 순조롭게 리프트업(상승) 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리프트는, 바닥에 오목하게 마련된 피트에 리프트 본체가 저장되고, 리프트 다운(하강)시에는 차량탑재대에 의해 피트가 폐색되어 평탄하게 될 수 있지만, 리프트업시킨 상태에서는, 피트가 노출하게 되어, 작업성이나 안전의 배려로부터 이 발생한 오목부를 폐색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리프트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또는 특허 문헌 2의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고, 특허 문헌 1에서는 피트 내에 피트를 폐색하기 위한 덮개판을 마련하고, 차량을 재치하는 차량탑재대가 상승한 때에 덮개판이 코일 스프링에 가세되어 상승하여 피트를 폐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한 쌍의 평행한 차량탑재대를 구비한 리프트의 좌 우의 차량탑재대를 연결하는 연결 빔을 저장하는 피트를, 피트 내에서 승강이동하는 커버 테이블로 폐색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평10-44945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허 제3373393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리프트의 경우, 간이한 구조로 피트를 폐색할 수 있지만, 리프트 하부에 수직으로 마련한 실린더(플런저)에 의해 리프트를 승강이동 시키기 때문에, 실린더를 매설하기 위한 깊은 구멍이 필요하고, 바닥에 마련한 피트 이외에 오목부를 깊게 형성하지 않으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리프트의 경우, 리프트의 승강이동은 X형 링크 기구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오목부의 형성은 리프트를 수납하는 피트부만으로 좋지만, 리프트 상승 후의 피트의 완전한 폐색은 어렵고, 링크 기구 형성부는 개방된 그대로 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X형 등의 링크 기구에 의해 승강 이동시키는 리프트라도, 리프트를 상승시킨 때에 피트 전체를 평탄하게 할 수 있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는, 차량탑재대를, 그 아랫측에 마련한 리프트 승강 수단에 의해 승강이동시키고, 하강시에 상기 차량탑재대의 재치면이 바닥면과 개략 동일면이 되도록, 바닥에 오목하게 마련한 피트에 상기 리프트 승강 수단을 저장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승강 수단을, 상기 피트 내에서 승강이동하는 아래 승강 수단 및 상하로 신축하는 링크 기구로 구성된 위 승강 수단의 상하 2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아래 승강 수단의 상부에 상기 피트를 폐색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상에 상기 위 승강 수단을 배치함과 함께 상기 차량 탑재대를 그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차량탑재대를 상승시킬 때에는, 상기 아래 승강 수단을 상승이동시킨 후, 상기 위 승강 수단을 상승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차량탑재대를 하강시킬 때에는, 상기 위 승강 수단을 하강이동시킨 후, 상기 아래 승강 수단을 하강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차량탑재대의 승강동작 중에 항상 피트 개구면을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차량 정비용 리프트에 의하면, 리프트 승강 수단을 상하에 각각 마련하여, 아래 승강 수단의 작용에 의해 마치 피트 바닥면이 상승하도록 커버 플레이트를 상승시킬 수가 있고, 차량탑재대를 상승시킨 리프트 업 상태라도 피트 전체를 양호하게 폐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프트 승강 수단을 2단으로 각각 마련하였기 때문에, 리프트 업 조작시는 최초에 커버 플레이트를 상승시키고, 리프트 다운 조작시는 위 승강 수단을 하강시키고 나서 커버 플레이트를 하강시키면, 평상시 피트를 폐색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고, 부주의로 공구나 부품 등이 피트 내에 들어가는 일이 없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해, 차량탑재대를 승강이동시키는 위 승강 수단을 완전히 커버 플레이트상에 형성할 수가 있고, 피트를 얕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차량탑재대를 상승시킨 상태에서도 피터를 완전히 폐색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해, 차량탑재대를 리프트 업한 상태에 더하여, 차량탑재대의 승강동작 중에도 피트를 폐색함에 의해, 항상 피트를 폐색할 수 있기 때문에, 부주의로 공구 등이나 부품 등이 피트 내로 들어가는 일이 없다.
제 2항의 발명은, 제 1항의 발명에 있어서, 차량탑재대, 리프트 승강 수단, 피트, 커버 플레이트의 전부를 좌우에 한 쌍 배치함과 함께 승강이동을 연동시키고, 차량의 좌우 차륜을 상기 좌우 한 쌍의 차량탑재대의 각각에 싣고서 승강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이 구성에 의해, 리프트업한 때에, 차량의 하부에는 전후방에 걸쳐서 중앙에 작업 공간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차량의 정비 작업을 행하기 쉽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 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이하, 간단히 리프트라고 칭함)의 한 예를 도시한 측면 설명도이고, 앞쪽측 측판 등은 생략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차량을 재치하는 차량탑재대, 부호 2는 차량탑재대(1)를 승강이동시키는 리프트 승강 수단, 부호 3은 리프트를 저장하기 위해 바닥(5)에 형성한 피트, 부호 4는 리프트업시에 피트(3)을 폐색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있다.
리프트 승강 수단(2)은, 피트(3) 내에서 승강이동하는 하부 리프트(2a)와, 그 상부에서 승강이동하는 상부 리프트(2b)의 2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4)는 하부 리프트(2a)상에 마련되고, 상부 리프트(2b)는 커버 플레이트(4)상에 조립되고, 차량탑재대(1)가 상부 리프트(2b)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량탑재대(1)는 주로 상부 리프트(2b)에 의해 승강이동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리프트(2a)는, 비트(3) 바닥부에 고정된 받침대(7)상에 상하로 신축운동하는 X형 링크(8)와, 중앙에 절곡축(9a)을 갖는 지주(9)와, 지주(9)를 신장 및 절곡 조작하여 하부 리프트(2a)를 승강이동시키는 제 1 실린더(10)를 마련하여 구성되어 있다.
X형 링크(8)는, 하부, 상부 함께 일단(도시 좌단)이 받침대(7) 및 커버 플레이트(4)에 축장착되고, 타단은 받침대(7)상 또는 커버 플레이트(4)의 하면에서 활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주(9)는, 도시 전후로 한 쌍씩 배치되어 합계 4개소에 마련되고, 하단은 도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받침대(7)에 축장착되고, 상단은 커버 플레이트(4)에 마찬가지로 도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 우측의 지주(9)의 하지주(9b)의 측부에 제 1 실린더(1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편(12)이 고정장착되고, 제 1 실린더(10)의 선단이 연결되어 있다. 제 1 실린더(10)의 베이스부는 받침대(7)에 연결되고, 제 1 실린더(10)의 신축운동에 의해 연결편(12)을 통하여 지주(9b)가 기립(起立) 또는 경사져 동작하고, 지주(9)가 기립 또는 절곡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지주(9)의 절곡축(9a) 끼리는 같이 조정되는 동조봉(13)으로 연결되고,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후(도면 이면 방향)에 배치된 지주(9)의 절곡축(9a) 끼리도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 1 실린더(10)의 신축운동에 의해, 4개의 지주(9)는 연동하여 기립 및 절곡 경사져 동작하고, X형 링크(8)의 작용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4)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다. 그 결과, 커버 플레이트(4)는 피트(3) 내에서 승강이동한다.
상부 리프트(2b)는, 상하 방향으로 기도(起倒)하는 X형 링크(15)와, 커버 플레이트(4)에 선단이 연결되고, X형 링크(15)의 아암체에 기단이 연결된 제 2 실린더(16)로 이루어지고, X형 링크(15)의 작용으로 X형 링크(15)상에 마련된 차량탑재대(1)는 커버 플레이트(4)에 평행으로 승강이동한다.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4)와 차량탑재대(1)는 피트(3)의 개구부와 거의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리프트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커버 플레이트(4)의 윗면은 바닥면과 동일면이 되도록 하부 리프트(2a)는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4)를 경계로 리프트 승강 수단(2)이 각각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플레이트(4)는, 승강 수단을 삽통하는 개구부나 승강 수단을 수용하는 돌기 또는 오목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피트(3)의 전체면을 간극 없이 덮도록 형성할 수 있고, 더구나 윗면을 평탄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마치 피트 바닥면이 상승하는 것과 같이 커버 플레이트를 상승시킬 수 있고, 차량탑재대를 상 승시킨 리프트업 상태에서도 피트 전체를 양호하게 더구나 평탄하게 폐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차량탑재대(1)를 최상 위치로 상승시킨 리프트업 상태로부터, 피트(3)에 저장되기 까지의 리프트 상태의 설명도로서, 도 2(a)는, 도중, 하부 리프트(2a)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부 리프트(2b)를 도중까지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도 2(b)는 하부 리프트(2a)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부 리프트(2b)를 완전하게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도 2(c)는 하부 리프트(2a)도 완전하게 하강시켜서, 리프트 다운을 완료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리프트를 저장한 상태에서도, 커버 플레이트(4)와 마찬가지로 피트(3)와 거의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탑재대(1)에 의해 피트(3)는 폐색되고, 하부 리프트, 상부 리프트가 함께 링크 기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얕게 형성된 피트 내에 리프트 승강 수단을 양호하게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구성의 리프트를 도 7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에 나열하여 형성한 리프트의 좌우 한 쌍의 제 1 실린더(10) 및 좌우 한 쌍의 제 2 실린더(16)를 구동하는 유압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 도 5는 그 동작 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좌우에 한 쌍 나열하고, 차량탑재대를 좌우 분리하여 배치함으로써로, 중앙에 전후에 걸쳐서 넓은 작업 스페이스가 확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리프트(2a)와 상부 리프트(2b)는 각각 제 1 전자 밸브(18) 및 제 2 전자 밸브(19)에 의해 제어되고, 쌍방의 전자 밸브(18, 19) 에는 기름 탱크(20)로부터 펌프(21)에 의해 퍼 올려진 기름이 공급된다. 또한, 한 쌍의 제 1 실린더(10) 및 한 쌍의 제 2 실린더(16, 16)는 각각 직렬로 접속되고, 좌우의 리프트는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 22는 리프트 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 3 전자 밸브, 부호 23은 스로틀 밸브이다. 또한, 도 4, 도 5에 있어서, LS1은 하부 리프트(2a)가 최상한 상태에 있는 때에 작동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나타내고, 제 1 실린더(10)에 설치되고, LS2는 상부 리프트(2b)가 최하한 상태에 있는 때에 동작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나타내고, LS2는 제 2 실린더(16)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부호 26은 차량탑재대에 실은 차량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이들의 전자 밸브의 작동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리프트의 상승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 마련된 조작부(도시 생략)의 리프트 상승 버튼을 누른다(S1). 이 때, 제 1 리미트 스위치(LS1)가 동작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고(S2), 동작 상태에 있으면(하부 리프트(2a)가 상승하고 상한 위치에 있으면), S3으로 진행하여 제 2 전자 밸브(19)(SOL2)를 작동시킨다. 동작하지 않으면 S5로 진행하여 제 1 전자 밸브(18)(SOL1)를 작동시킨다. 제 1 전자 밸브(18) 또는 제 2 전자 밸브(19)가 작동하면, S4 또는 S6로 진행하고, 펌프(21)가 작동하고 기름 탱크(20)의 기름이 제 1 실린더(10), 제 2 실린더(16)에 공급된다.
이리하여, 리프트의 상승 조작이 행하여지고, 리프트가 피트(3)에 저장된 상태에 있는 경우, 최초의 리프트 상승 조작으로 하부 리프트(2a)가 작동하여 커버 플레이트(4)를 상승시키고, 2회째의 리프트 상승 조작으로 상부 리프트(2b)가 작동 하여 차량탑재대(1)가 최상 위치로 리프트업 된다.
리프트의 하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의 리프트 하강 버튼을 누른다(S11). 이 때, 제 2 리미트 스위치(LS2)가 동작 상태에 있으면(상부 리프트(2b)가 하강하여 하한 상태에 있으면), S13으로 진행하여 제 1 전자 밸브(18)를 작동시킨다. 동작하지 않으면, S15로 진행하여 제 2 전자 밸브(19)를 작동시킨다. 제 1 전자 밸브(18) 또는 제 2 전자 밸브(19)가 작동하면, S14 또는 S16으로 진행하고, 제 3 전자 밸브 22(SOL3)가 작동하여 제 1 실린더(10), 제 2 실린더(16) 내의 오일을 기름 탱크(20)에 회수 조작한다.
이렇게 하여, 리프트의 하강 조작이 행하여지고, 하부 리프트(2a) 및 상부 리프트(2b)가 상승 상태에 있는 경우, 최초의 리프트 하강 조작으로 상부 리프트(2b)가 작동하여 차량탑재대(1)를 하강시키고, 2회째의 리프트 하강 조작으로 하부 리프트(2a)가 작동하고, 리프트는 최하 위치로 하강하여 피트(3) 내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리프트 승강 수단을 상하 2단으로 각각 마련하였기 때문에, 리프트업 조작시는 최초에 커버 플레이트(4)를 상승시키고, 리프트 다운 조작시는 위 승강 수단을 하강시키고 나서 커버 플레이트(4)를 하강시킴으로써, 리프트업한 상태에 더하여, 승강 동작중에도 피트(3)를 폐색한 상태로 할 수 있어서, 항상 피트(3)를 폐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주의하게 공구 등이나 부품 등이 피트 내로 들어가는 일이 없고, 작업자가 피트로 발이 미끄러지는 일도 없다.
또한, 리프트업 조작 및 리프트 다운 조작은 어느 것이나 1회의 버튼 조작으 로 실시하여도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리프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 설명도로서, 상기 도 1의 실시 형태와는 하부 리프트(2a)의 구성이 다르다. 또한, 도 1과 같은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하부 리프트(2a)는, X형 링크(8)를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한 쌍 마련하고, 각각을 실린더(25)로 구동하여 신축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도 1의 형태에 비하여 실린더는 많이 필요하지만 구조는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로 길게 형성하고 평행하게 한 쌍 마련하여 사용되는 형태를 나타냈지만, 좌우의 리프트를 일체로 형성하고 차량탑재대를 1장의 판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중앙에 작업용의 개구부를 마련함으로써, 평행하게 한 쌍 배치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아랫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차량 정비를 할 수 있다.
또한, 평행하게 한 쌍 마련한 경우, 좌우의 리프트를 빔으로 연결하여 연동하도록 구성하여도 좋지만, 그 경우 빔을 저장하기 위한 피트가 필요하게 되고, 구성이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유압 회로를 연동시키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리프트의 링크 기구를 X형 링크로 하고 있지만, 다른 링크 기구, 예를 들면 λ(람다)형 링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리프트는 링크 기구로 하지 않고, 예를 들면 실린더를 수직으로 세워설치하도 좋고, 상부 리프트가 링크 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면, 피트를 얕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프트 승강 수단을 상하에 각각 마련하였기 때문에, 아래 승강 수단의 작용에 의해 마치 피트 바닥면이 상승하는 것과 같이 커버 플레이트를 상승시킬 수 있고, 차량탑재대를 상승시키거나 리프트업 상태에 있더라도 피트 전체를 양호하게 폐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리프트업 조작시는 커버 플레이트를 상승시키고, 리프트다운 조작시는 위 승강 수단을 하강시키고 나서 커버 플레이트를 하강시킴으로써, 항상 피트를 폐색한 상태로 조작할 수가 있어서, 부주의하게 공구나 부품 등이 피트 내로 들어가는 일이 없고, 작업자가 피트로 발이 미끄러지는 일도 없다.

Claims (5)

  1. 차량탑재대를, 그 아랫측에 마련한 리프트 승강 수단에 의해 승강이동시키고, 하강시에 상기 차량탑재대의 재치면이 바닥면과 개략 동일면이 되도록, 바닥에 오목하게 마련한 피트에 상기 리프트 승강 수단을 저장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승강 수단을, 상기 피트 내에서 승강이동하는 아래 승강 수단 및 상하로 신축하는 링크 기구로 구성된 위 승강 수단의 상하 2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아래 승강 수단의 상부에 상기 피트를 폐색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상에 상기 위 승강 수단을 배치함과 함께 상기 차량탑재대를 그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차량탑재대를 상승시킬 때에는, 상기 아래 승강 수단을 상승이동시킨 후, 상기 위 승강 수단을 상승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차량탑재대를 하강시킬 때에는, 상기 위 승강 수단을 하강동작시킨 후, 상기 아래 승강 수단을 하강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차량탑재대의 승강동작 중에 항상 피트 개구면을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대, 상기 리프트 승강 수단, 상기 피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전부를 좌우에 한 쌍 배치함과 함께 승강이동을 연동시켜 차량의 좌우 차륜을 상기 좌우 한 쌍의 차량탑재대의 각각에 싣고 승강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20030045925A 2003-04-18 2003-07-08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0930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4801A JP4359443B2 (ja) 2003-04-18 2003-04-18 車両整備用リフト
JPJP-P-2003-00114801 2003-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890A KR20040090890A (ko) 2004-10-27
KR100930188B1 true KR100930188B1 (ko) 2009-12-07

Family

ID=3347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925A KR100930188B1 (ko) 2003-04-18 2003-07-08 차량 정비용 리프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59443B2 (ko)
KR (1) KR100930188B1 (ko)
CN (1) CN100345749C (ko)
TW (1) TWI2651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6039C (zh) * 2006-08-31 2008-11-26 中国南方航空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发动机升降装配架
JP4745216B2 (ja) * 2006-12-27 2011-08-10 株式会社スギヤス 車両整備用リフト
DE102008024051A1 (de) * 2008-05-16 2009-11-19 Maha Maschinenbau Haldenwang Gmbh & Co. Kg Arretiervorrichtung
DE102011112206A1 (de) * 2011-09-02 2013-03-07 Sherpa Autodiagnostik Gmbh Überbrückung einer Bodenaussparung
CN102953693B (zh) * 2012-12-10 2015-01-14 苏州海德石油工具有限公司 多功能钻杆气动卡瓦
CN105347242B (zh) * 2015-11-30 2018-06-05 苏州市康鼎升降机械有限公司 一种暗藏在地下的升降机
CN107686077B (zh) * 2017-08-25 2018-12-11 绍兴市华锐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维修用升降设备
CN108017012A (zh) * 2018-01-31 2018-05-11 重庆鸿净环保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收集机动车废油的装置
KR102325562B1 (ko) * 2020-04-03 2021-11-11 한국교통안전공단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검사용 피트 리프터
KR20220091199A (ko) * 2020-12-23 2022-06-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압력용기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0147A (en) * 1987-03-04 1989-05-16 Sugiyasu Industries Co., Ltd. Jacking device
JPH11171485A (ja) * 1997-12-16 1999-06-29 Sugiyasu Kogyo Kk 車両整備用リフ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5624A5 (fr) * 1991-12-03 1995-08-31 Richard Schminke Plate-forme élévatrice.
JPH1029508A (ja) * 1996-07-17 1998-02-03 Aisaka Kogyo Kk 車両の点検・補修装置
JPH1044945A (ja) * 1996-08-07 1998-02-17 Banzai Kogyo Kk 車両用リフトのピット安全装置
JP3373393B2 (ja) * 1997-06-03 2003-02-04 株式会社バンザイ 車両整備用リフ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0147A (en) * 1987-03-04 1989-05-16 Sugiyasu Industries Co., Ltd. Jacking device
JPH11171485A (ja) * 1997-12-16 1999-06-29 Sugiyasu Kogyo Kk 車両整備用リフ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59443B2 (ja) 2009-11-04
TWI265116B (en) 2006-11-01
CN100345749C (zh) 2007-10-31
CN1537803A (zh) 2004-10-20
TW200422216A (en) 2004-11-01
JP2004315209A (ja) 2004-11-11
KR20040090890A (ko)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188B1 (ko) 차량 정비용 리프트
US7311295B2 (en) Cylinder apparatus for hydraulic lift jack with transmission
JP5737162B2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装着装置及び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移載装置
KR100968397B1 (ko) 리프트 아암을 포함하는 작업 차량
US20130270040A1 (en) Vehicle Elevator and Lift Therein
KR20080061221A (ko) 차량 정비용 리프트
JP6516575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JP6810412B2 (ja) ローダ
JP6318876B2 (ja) 段差解消昇降装置
KR101510681B1 (ko) 시저스 리프트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2082229B1 (ko) 리더 자립이 가능한 파일 드라이버
JP3321102B2 (ja) 車両用リフト
JP6514395B1 (ja) 車両整備用ピット装置及びピットカバー装置
JP4263923B2 (ja) 移動可能な蛇腹式リフター
KR102082233B1 (ko) 파일 드라이버용 슬라이딩 홀더
KR19990063057A (ko) 차량정비용 리프트
JP2019202839A (ja) 車両整備用リフト及びリフト装置
JP4354749B2 (ja) 車両整備用リフト
JP4704741B2 (ja) 段差解消階段、及び車両整備用ピット
JP7469148B2 (ja) 車両の点検整備用ピット装置
KR101015941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정비용 리프트
JP2010155662A (ja) ジャッキ昇降装置
JP3373393B2 (ja) 車両整備用リフト
JPH0730632Y2 (ja) 車輌整備用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