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057A - 차량정비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차량정비용 리프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63057A KR19990063057A KR1019980054970A KR19980054970A KR19990063057A KR 19990063057 A KR19990063057 A KR 19990063057A KR 1019980054970 A KR1019980054970 A KR 1019980054970A KR 19980054970 A KR19980054970 A KR 19980054970A KR 19990063057 A KR19990063057 A KR 199900630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t
- lift
- cover
- pit cover
- footno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tiltab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또한 작업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는 일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피트부를 항상 플랫하게 하는 차량정비용 리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차량을 올려놓는 플레이트(2)를 수납하는 피트(4)에 피트 커버(10)를 설치하고, 그 피트 커버(10)의 밑면에 복수의 기도(起倒) 자유로운 각주를 늘어뜨려 설치하며, 그들이 링크기구에 의하여 연결되어 동시에 기립 또는 경도 동작한다. 이 각주는, 플레이트(2)의 업시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기립하고, 다운시에는 플레이트(2)의 다운동작에 의하여 경도하며, 피트 커버(10)는 플레이트(2)의 하강력에 의하여 피트 아래쪽으로 대피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프트 다운시에 바닥면에 설치한 피트 내에 플레이트나 빔 등의 차량지지체가 수납되는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작업능률의 향상을 위하여 바닥면에 피트를 설치하고, 그 피트 내에 차량지지체를 수납 가능하게 하여 리프트 업시 및 리프트 다운시에 바닥면의 요철을 가능한 한 없애도록 한 것이 고려된다.
이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실개 평1-17596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피트에 수동에 의하여 개폐 가능한 피트 커버를 설치하고, 리프트 업시 또는 리프트 다운시에 피트 커버에 의하여 피트를 폐색하여 피트 윗면을 주위의 바닥면과 동일 레벨로 하는 것으로서, 리프트 업하는 경우에만 리프트의 상승작용을 이용하여 피트 커버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열리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동에 의한 리프트 커버의 개폐조작은, 조작이 번거로워 개방한 채로 작업을 하는 일도 있어 플랫화하기 위한 커버가 충분히 그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 않았고, 리프트 업시에도 폐색 가능하게 커버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커버에는 승강 운동하는 실린더 등을 끼워 통하게 하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리프트 다운시에 피트를 완전히 폐색하기 위해서는 피트 커버 이외에 그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가 필요했다.
또, 상기한 리프트 커버의 개폐조작의 작업을 경감하기 위하여, 리프트 커버의 조작을 동력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기구도 복잡해지고 동력을 설치하는 만큼 피트를 깊게 해야만 한다. 그 결과, 다시 피트 내에 쓰레기나 물이 고이기 쉽다는 문제도 생기고 청소나 물 빼기가 어려운 것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동력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또한 작업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는 일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피트부를 항상 플랫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
도 2는 도 1의 피트 커버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부분확대도로서, (a)는 A부의 확대도, (b)는 B부의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피트 커버의 동작 설명도로서, (a)는 측면도, (b)는 C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피트부의 측면 설명도로서, (a)는 리프트 업 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리프트 다운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피트부의 측면 설명도로서, 리프트 업시의 스윙 아암식 리프트의 경우를 나타낸 도,
도 7은 도 6의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피트 커버가 하강을 개시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 설명도,
도 8은 도 6의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리프트 다운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피트부의 측면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2 : 플레이트
3 : 리프트 매설부 4 : 피트
7 : 링크기구 10 : 피트 커버
12 : 롤러 13, 13a : 각주
14 : 링크봉 15 : 스프링
16, 16a : 경도부재 17 : 기립해제손잡이
18 : 작동돌기 20 : 브래킷
22 : 작동간 23 : 각주(脚柱)
24 : 링크봉(棒) 25 : 스프링
26 : 브래킷 27 : 해제핀
28 : 기립해제바 31 : 롤러
32 : 피트 커버 33 : 플레이트
36 : 피트 커버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범위 제 1 항의 발명은, 리프트 다운시에, 차량지지체를 그 윗면이 바닥면과 동일 레벨이 되도록 피트 내에 격납 가능하게 한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피트 내에 피트 커버를 설치하고, 그 피트 커버를 기도(起倒) 자유로운 각주(脚柱)에 의하여 지지하며, 그 각주를 차량지지체의 하강동작에 연동하여 경도(傾倒)하게 함으로써 피트 커버를 아래쪽으로 대피시켜 차량지지체를 격납함과 동시에, 차량지지체의 상승동작에 연동하여 기립하게 함으로써 피트 커버를 바닥면과 동일 높이가 될 때까지 상승시켜 피트의 윗면을 폐색하도록 구성된다.
청구범위 제 2 항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발명에 있어서, 각주를, 차량지지체의 뒷면에 돌출 설치한 부재의 밀어붙이기 조작에 의하여 경도 동작시킴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하여 기립자세로 자동 복귀 가능하게 하여 구성된다.
청구범위 제 3 항의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발명에 있어서, 각주가 피트 커버의 뒷면에 피벗 부착되어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근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례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피트 커버의 설명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A부, B부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수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는 리프트본체인 실린더, 부호 2는 실린더(1)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 등을 올려놓는 플레이트로서 차량지지체이기도 하다. 부호 3은 실린더(1)를 수납하는 매설부로서, 실린더(1)를 상하 운동시키는 동력이 설치되어 있다. 또, 부호 5는 피트 내에 고인 물을 배출하는 배수로이고, 부호 9는 바닥면이다. 그리고, 부호 4는 피트로서 플레이트(2)를 수납 가능한 크기를 가지며, 피트(4)의 개구부에는 피트 내에서 승강 운동하는 피트 커버(10)가 설치되어 있다.
피트 커버(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이고 중앙에 실린더(1)를 끼워 통하게 하는 실린더 끼워 통하게 한 구멍(11)을 가지며, 뒷면에는 6개의 각주(13)가 축 고정되어 있다.
각주(1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이 피트 커버(10)에 고정된 브래킷(20)에 기도 자유롭게 축 고정되고 하단에 롤러(12)를 가지며, 또한 상단이 브래킷(20)에 접속된 스프링(15)을 병설하고 있다. 이 스프링(15)은 수축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복원력에 의하여 항상 각주(13)가 기립자세로 복귀하도록 작용하고, 기립시에는 피트 커버(10)의 윗면이 바닥면과 동일 레벨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각주(13)에는 경도부재(16)가 스프링(15)과는 반대쪽에 병설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도부재(16)는, 브래킷(20)에 상단이 축 고정된 L자 형상의 회동부재로서,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동작함으로써 각주(13)가 경도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하부굴곡부(19)에 링크봉(棒)(14)이 접속되고, 모든 경도부재(16)는 복수의 링크봉(14)으로 서로 연결되어 어느 1개소의 회동조작에 의해 모든 각주(13)가 동시에 경도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링크기구(7)는 이 링크봉(14)과 경도부재(1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도부재(16) 중 실린더 끼워 통하게 한 구멍(11) 근방의 각주(13a)의 경도부재(16a)의 축고정부(21)에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트 커버(10)에 관통구멍(10a)이 설치되고, 그 관통구멍(10a)으로부터 위쪽으로 볼트를 돌출시켜 형성한 기립해제손잡이(17)를 가진 작동간(22)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기립해제손잡이(17)는, 플레이트(2)가 하강하였을 때에, 플레이트 밑면에 설치한 작동돌기(18)(도 1에 나타냄)가 맞닿아 밀어 넣어 경도부재(16a)를 회동 동작시킴으로써, 각주(13a)를 경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호 20a는 브래킷(20)에 설치된 스토퍼로 각주(13)를 기립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피트 커버의 상승, 하강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각주(13)는 스프링(15)의 신장작용에 의하여 항상 기립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리프트 업 조작을 하면 그것에 연동하여 특별한 조작 없이 각주(13)는 기립하고 피트 커버(10)는 상승하여, 피트 커버(10) 윗면과 바닥면(9)은 동일 레벨이 된다.
그리고, 각주(13)는 스토퍼(20a)에 의하여 고정되어 기립위치에서 안정되기 때문에, 작업자 등이 올라서더라도 불안정해지거나 가라앉거나 하는 일이 없이 기립위치를 유지한다.
도 4는 리프트 커버가 하강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로서, (a)는 측면 설명도, (b)는 C부의 확대도를 나타내며, 이 도면을 근거로 리프트 다운시킨 경우를 설명하면, 리프트다운 도중에 플레이트(2)에 설치한 작동돌기(18)가 손잡이(17)에 맞닿아 손잡이(17)를 하강 동작시켜 경도부재(16a)를 회동 동작시킨다. 그렇게 하면, 경도부재(16a)의 끝단(16b)이 각주(13a)를 누르고 각주(13a)는 경도동작을 개시한다. 그리고, 링크기구(7)의 작용으로 다른 경도부재(16)가 연동하여 일제히 회동동작을 개시하고 모든 각주(13)가 거의 동시에 경도 동작한다. 그 후에는 리프트가 하강 동작하는 하강력에 의하여 피트 커버(10) 전체가 플레이트(2)에 눌려져 리프트동작에 연동하여 피트 내를 하강하여 대피동작을 한다.
이렇게 하여, 플레이트(2)가 피트(4) 내에 수납되고, 플레이트(2)의 윗면이 바닥면(9)과 동일 레벨이 된 시점에서 하강을 정지시키면 피트부는 플랫하게 된다.
이와 같이, 리프트의 업다운에 연동하여 승강 운동하는 피트 커버를 설치하기 때문에, 리프트의 승강조작 이외에 특별한 조작 없이, 리프트 업시에 있어서도 또 다운시에 있어서도 피트면을 바닥면과 동일 레벨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피트의 개폐조작을 할 필요는 없다.
또, 피트 커버의 상승은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고 하강은 리프트의 다운작용을 이용하기 때문에, 새롭게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피트 커버는 각주를 경도시켜 하강하기 때문에, 피트를 각주의 길이에 따른 깊이로 형성할 뿐으로 여분의 깊이는 필요가 없어 비교적 얕아도 되며, 물 등이 피트 내에 고이더라도 종래의 피트의 배수수단, 예를 들어 배수로를 피트 하부에 형성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고, 각주를 피트 커버에 설치함으로써 피트 커버와 각주를 동시에 떼어 낼 수 있기 때문에 피트 내를 청소하기 쉽고, 각주나 피트 내부의 메인터넌스도 하기 쉽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요부인 피트부의 측면 설명도이다. (a)는 리프트 업시(약간 리프트 업 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리프트 다운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주(23)는 피트 바닥판(30)에 설치한 브래킷(26)에 기도 자유롭게 피벗 부착되고, 각주(23)의 상단은 롤러(31)를 가지며, 피트 커버(32)의 밑면을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주(23)는 피트 내의 4구석에 설치되고, 병설된 수축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하여 기립자세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며, 그 상단은 링크봉(24)을 조합하여 형성한 링크기구에 의하여 연결되어 연동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또, 부호 28은 플레이트(33) 밑면에 설치된 기립해제바로서, 끝단에 경사면을 설치하고, 링크기구의 대응위치에 설치한 해제핀(27)에 맞닿아 해제핀(27)을 도면에서 보아 오른쪽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켜 링크기구를 동작시켜 각주(23)를 경도하도록 되어 있다. 또, 부호 34는 각주(23)의 기립을 고정하는 스토퍼로서, 피트 커버(32)의 기립해제바(28)의 맞닿음 위치는 바의 끼워 통하게 한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리프트의 업다운에 의한 피트 커버(32)의 동작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리프트 업시에는 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하여 연동하여 피트 커버(32)가 상승하고, 리프트 다운에 있어서는 기립해제바(28)가 해제핀(27)을 도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주(23)가 경도동작을 개시하며, 그 후에는 리프트의 하강에 의하여 플레이트(33)에 각 각주가 눌려져 경도를 진행시키고 피트 커버(32)는 플레이트(33)에 연동하여 하강 대피한다. 따라서, 리프트 다운시에도 피트면을 플랫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주를 피트쪽에 설치해도 되며, 이렇게 함으로써 피트 커버를 경량화할 수 있고 착탈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6, 7, 8을 근거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스윙 아암식 리프트로서, 도면은 그 피트부를 나타내며, 도 6은 리프트 업한 상태, 도 7은 리프트다운 또는 리프트 업의 중간 상태, 도 8은 완전히 리프트 다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도 5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도 7에 나타낸 부호 43은 스윙 아암 브래킷이고, 이 상부에 스윙 아암(도시생략)이 축 고정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피트(4)의 구성은 도 5와 동일하며, 각주(23) 등은 피트 내의 4구석에 설치되고 링크봉(24)에 의하여 연결되어 연동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기립해제바(28)가 피트 커버(32) 내의 대응위치에 설치한 해제핀(27)에 맞닿아 해제핀(27)을 수평 이동시켜 링크기구를 동작시키고, 각주(23)를 경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부가 두께를 가지고 있더라도, 각주(23)를 경도시켜 피트 커버(32)를 아래쪽으로 대피시키기 때문에, 리프트 다운하였을 때 피트(4)의 하부에는 각주(23)나 스프링(25)이 경도할 공간이 있으면 되기 때문에, 피트(4)의 깊이를 크게 하는 일 없이 피트면을 바닥면과 동일 레벨로 할 수 있다.
또, 도 9는 상기한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인형링크를 갖는 리프트에 스윙 아암을 설치한 구성의 피트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윙 아암은 인형리프트 플레이트의 바깥쪽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인형리프트 전체를 피트에 수용하며, 스윙 아암 수용부에만 승강 운동하는 피트 커버를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리프트의 본체는 생략되어 있다.
도 9에 있어서, 도 5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부호 36은 피트 커버, 부호 37은 스윙 아암, 부호 38은 플레이트, 부호 42는 본체쪽 브래킷, 부호 43은 스윙 아암 브래킷, 부호 44는 링크봉, 부호 46은 피트 바닥판, 부호 47은 커버이다. 또, 부호 40은 피트 커버의 좌우 이동을 금지하는 어긋남 방지 바로서, 피트 커버(36)의 밑면에 늘어뜨려 설치되며, 끝단은 피트 커버 바닥판(45)에 설치한 끼워 통하게 한 구멍(41)에 삽입 유지되고, 각주(23)의 경도 또는 기립동작에 의한 피트 커버(36)의 횡 이동을 또는 작업자가 올라섰을 경우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피트의 일부에 승강 운동하는 피트 커버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량을 올려놓는 플레이트나 스윙 아암을 피트에 수납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수납하는 부위를 그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플레이트 사이에 빔을 가지는 리프트의 경우에는 그 빔도 포함시켜 적용할 수 있고 그 밖의 부재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 부의 형상 및 구성을 적절히 변경하여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으로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범위 제 1 항의 발명에 의하면, 리프트의 승강운동에 의하여 피트 커버가 동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리프트 다운시뿐만 아니라 리프트 업시에도 피트부를 바닥면과 동일 레벨로 할 수 있고, 작업자는 피트의 개폐조작 등을 하지 않고 피트면을 플랫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기도 자유로운 각주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피트 커버를 지지하여 승강 운동시키기 때문에, 별도 동력이 필요 없고 각주의 높이 이상으로 피트를 깊게 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피트 내의 물 빼기 등도 하기 쉽다.
청구범위 제 2 항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값싸게 실현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3 항의 발명에 의하면, 피트 커버와 각주를 동시에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피트 내의 청소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3)
- 리프트 다운시에, 차량지지체를 그 윗면이 바닥면과 동일 레벨이 되도록 피트 내에 격납 가능하게 한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상기 피트 내에 피트 커버를 설치하고, 그 피트 커버를 기도(起倒) 자유로운 각주(脚柱)에 의하여 지지하며, 그 각주를 차량지지체의 하강동작에 연동하여 경도(傾倒)하게 함으로써 피트 커버를 아래쪽으로 대피시켜 차량지지체를 격납함과 동시에, 차량지지체의 상승동작에 연동하여 기립하게 함으로써 피트 커버를 바닥면과 동일 높이가 될 때까지 상승시켜 피트의 윗면을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리프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각주를, 차량지지체의 뒷면에 돌출 설치한 부재의 밀어붙이기 조작에 의하여 경도 동작시킴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하여 기립자세로 자동 복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리프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각주가 피트 커버의 뒷면에 피벗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4656697A JP3378908B2 (ja) | 1997-12-16 | 1997-12-16 | 車両整備用リフト |
JP9-346566 | 1997-12-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63057A true KR19990063057A (ko) | 1999-07-26 |
KR100286853B1 KR100286853B1 (ko) | 2001-05-02 |
Family
ID=1838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54970A KR100286853B1 (ko) | 1997-12-16 | 1998-12-15 | 차량정비용리프트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3378908B2 (ko) |
KR (1) | KR100286853B1 (ko) |
TW (1) | TW406051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4377B1 (ko) | 2008-07-09 | 2011-02-15 | (주)새한트라비스엘리베이터 | 교량 엘리베이터 지지용 피트 구조물 |
KR101487252B1 (ko) * | 2013-10-24 | 2015-02-0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59443B2 (ja) * | 2003-04-18 | 2009-11-04 | 株式会社スギヤス | 車両整備用リフト |
JP5224854B2 (ja) * | 2008-03-03 | 2013-07-03 | 株式会社ヤスヰ | 車両用リフト装置 |
JP5268089B2 (ja) * | 2008-03-03 | 2013-08-21 | 株式会社ヤスヰ | 車両用リフト装置 |
JP5372416B2 (ja) * | 2008-06-19 | 2013-12-18 | 芦森工業株式会社 | ローダー用レール装置 |
JP2012232824A (ja) * | 2011-04-28 | 2012-11-29 | Sugiyasu Corp | ピットカバー装置 |
CN103507787B (zh) * | 2013-10-11 | 2015-08-12 | 山东理工大学 | 一种装有辅助步行机构的中部转向机构 |
-
1997
- 1997-12-16 JP JP34656697A patent/JP337890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
- 1998-11-16 TW TW087118927A patent/TW406051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12-15 KR KR1019980054970A patent/KR10028685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4377B1 (ko) | 2008-07-09 | 2011-02-15 | (주)새한트라비스엘리베이터 | 교량 엘리베이터 지지용 피트 구조물 |
KR101487252B1 (ko) * | 2013-10-24 | 2015-02-0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406051B (en) | 2000-09-21 |
KR100286853B1 (ko) | 2001-05-02 |
JP3378908B2 (ja) | 2003-02-17 |
JPH11171485A (ja) | 1999-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90063057A (ko) | 차량정비용 리프트 | |
US9845607B2 (en) | Cover assembly for a spa | |
JP4745216B2 (ja) | 車両整備用リフト | |
JP6318876B2 (ja) | 段差解消昇降装置 | |
KR100930188B1 (ko) | 차량 정비용 리프트 | |
CN114587202B (zh) | 一种升降装置以及清洁设备 | |
KR20190116770A (ko) | 수영장 구조체 | |
JP5128266B2 (ja) | 昇降装置 | |
KR920003800Y1 (ko) | 매설형 리프트 | |
JP3303089B2 (ja) | 床下収納システム | |
JPH0115792Y2 (ko) | ||
DE10051603A1 (de) | Raumzelle zur Aufnahme von Müllbehältern | |
JP3612281B2 (ja) | 伸縮門扉 | |
CN217339501U (zh) | 灭菌锅的弹性支撑结构 | |
JP2010222096A (ja) | 車両整備用リフト | |
JP4988957B1 (ja) | 昇降式入浴装置 | |
JP3034360U (ja) | 床下収納ユニット | |
JPH0755234Y2 (ja) | 床下収納庫 | |
JP3117405B2 (ja) | 可動床機構の段床部間詰め装置 | |
JPS6020800Y2 (ja) | 脚立 | |
JP2019011661A (ja) | 二重床用の蓋構造 | |
KR20240126768A (ko) | 발판의 가압에 의하여 뚜껑이 개폐되어지는 쓰레기통. | |
JP2975251B2 (ja) | 掘ごたつ | |
JPH0315709Y2 (ko) | ||
KR20040082537A (ko) | 도어 스토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814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