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355B1 - 절첩 가능한 하우징의 록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절첩 가능한 하우징의 록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9355B1 KR100929355B1 KR1020077021856A KR20077021856A KR100929355B1 KR 100929355 B1 KR100929355 B1 KR 100929355B1 KR 1020077021856 A KR1020077021856 A KR 1020077021856A KR 20077021856 A KR20077021856 A KR 20077021856A KR 100929355 B1 KR100929355 B1 KR 1009293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
- housing
- guide
- hook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11B33/025—Portable ca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7—Push button oper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11—Hooked end
- Y10T292/0926—Spring project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11—Hooked end
- Y10T292/0926—Spring projected
- Y10T292/0928—Operating means
- Y10T292/0934—Rigi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11—Hooked end
- Y10T292/0945—Operat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11—Hooked end
- Y10T292/0945—Operating means
- Y10T292/0951—Rigid
- Y10T292/0956—Sliding catch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9—Spring project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9—Spring projected
- Y10T292/097—Operating means
- Y10T292/0997—Rigi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42—Rigid engaging means
- Y10T292/432—Sliding catch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093—For closures
- Y10T70/554—Cover, lid, cap, encasing shield
- Y10T70/5544—Pivo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절첩 및 전개 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록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을 절첩 상태에서 록하는 록부와, 상기 록부를 이동하여 상기 록부에 의한 상기 하우징의 록을 해제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가해진 구동력을 상기 조작부의 조작 방향을 다른 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록부를 상기 다른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자 기기의 절첩 가능한 하우징의 록/록 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자 기기」는, 예컨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함),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DA), 전자 사전, 전자 문구, 게임기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은, 예컨대 PC에 사용되는 록/록 해제 장치(이하, 단지 「록 장치」라고 함)에 적합하다.
최근 PC의 보급에 의해, 노트형 PC는 그 조작성의 향상이 점점 요구되고 있다. 전형적인 노트형 PC의 하우징은 액정 모니터(LCD) 화면을 탑재한 표시 유닛(상부 하우징)과, 표시 유닛이 절첩 및 전개 가능하게 부착된 본체부(하부 하우징)를 갖는다. 표시 유닛은 전형적으로 훅과 조작부를 갖고, 본체부는 결합 구멍을 갖는다. 하우징의 절첩시에는 표시 유닛을 본체부를 향하여 회전하고, 결합 구멍을 통해 훅이 본체부와 결합함으로써 하우징을 절첩 상태에서 록한다. 하우징의 전개시에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훅을 이동하여 록을 해제하고, 그 후, 표시 유닛을 본체부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최근에는 PC을 사용하여 텔레비전 방송의 시청 이나 DVD 영화 감상이 활발하여, 고화질이며, 대화면 디스플레이로 영상을 즐기는 사용자도 많아지며, 록 장치를 소형화하여 LCD 화면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종래의 록 장치(10)의 록 상태를 도 21에 도시한다. 록 장치(10)는 표시 유닛(11)에 설치된 조작 버튼(12)과, 조작 버튼(12)에 고정된 훅(13)과, 표시 유닛(11)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 등의 압박 부재(14)와, 본체부(15)에 설치된 결합 구멍(16)을 갖는다. 압박 부재(14)는 조작 버튼(12)과 훅(13)을 A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 때문에, 훅(13)은 결합 구멍(16)에 삽입된 후에는 본체부(15)에 결합된다. 이 결과, 표시 유닛(11)은 본체부(15)에 록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버튼(12)을 누르면 조작 버튼(12)은 훅(13)과 함께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훅(13)과 본체부(15)와의 결합은 해제된다. 이 결과, 표시 유닛(11)의 록은 해제되고, 전개 가능해진다. 그 후, 사용자는 조작 버튼(12)을 누른 상태로 표시 유닛(11)을 적어도 소정 각도만큼 개방한다. 이 결과, 훅(13)은 결합 구멍(16)으로부터 이격된다. 일단, 훅(13)이 결합 구멍(16)으로부터 빠지면, 사용자는 조작 버튼(12)을 그대로 상측으로 누르거나, 표시 유닛(11)의 상부를 파지(把持)하여 상측으로 회전시키거나 하여 표시 유닛(11)을 본체부(15)로부터 전개한다.
종래의 록 장치(20)의 다른 예를 도 22에 도시한다. 록 장치(20)는 표시 유닛(21)에 설치된 조작 버튼(22)과, 조작 버튼(22)에 고정된 훅(23)과, 표시 유닛(21)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 등의 압박 부재(24)와, 본체부(25)에 설치된 결합 구멍(26)을 갖는다. 압박 부재(24)는 조작 버튼(22)과 훅(23)을 C 방향으로 압박한 다. 이 때문에, 훅(23)은 결합 구멍(26)에 삽입된 후에는 본체부(25)에 결합된다. 이 결과, 표시 유닛(21)은 본체부(25)에 록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버튼(22)을 훅(23)과 함께 D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훅(23)과 본체부(25)의 결합은 해제된다. 이 결과, 표시 유닛(21)의 록은 해제되고, 전개 가능해진다. 그 후, 사용자는 조작 버튼(22)을 누른 상태로 표시 유닛(21)을 적어도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한다. 이 결과, 훅(23)은 결합 구멍(26)으로부터 이격된다. 일단, 훅(23)이 결합 구멍(26)으로부터 빠지면, 사용자는 조작 버튼(22)을 그대로 상측으로 누르거나, 표시 유닛(21)의 상부를 파지하여 상측으로 회전시키거나 하여 표시 유닛(21)을 본체부(25)로부터 전개한다.
종래의 노트형 PC의 록 장치(10 및 20)는 반드시 충분한 조작성을 갖고 있지 않다. 우선, 록 장치(10)는 훅(13)의 이동 방향 또는 결합 구멍(16)의 길이 방향을 표시 유닛(11)이나 본체부(15)의 깊이 방향으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 결과, 장치 전체의 소형화나 대화면의 표시 유닛을 탑재하는 수요를 만족할 수 없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록 장치(2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지만, 표시 유닛(21)이 전개하는 방향은 조작 버튼(22)이 이동하는 D 방향과는 수직이다. 이 때문에, 절첩 상태로부터 하우징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가로 방향으로 조작 버튼(22)을 이동하고, 그 후, 상측 방향으로 표시 유닛을 회전하는 2 단계의 조작이 필요해지며, 조작성이 나쁘다.
여기서, 본 발명은 하우징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과 조작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록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적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의 록 장치는 절첩 및 전개 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록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을 절첩 상태에서 록하는 록부와, 상기 록부를 이동하여 상기 록부에 의한 상기 하우징의 록을 해제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 방향을 다른 방향으로 변환하고, 상기 록부를 상기 다른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전달 기구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절첩되는 제1 면에 직교하는 제2 면에 설치되고, 그 조작 방향은 상기 제2 면에 수직인 제1 방향이며, 상기 록부는 상기 제1 면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돌출하고, 그 이동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록 장치(10 및 20)는 조작 버튼(12, 22)과 훅(13, 23)의 이동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하우징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과 개폐 동작시의 조작성 중 어느 한쪽이 희생하게 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록 장치에 의하면, 전달 기구에 의해, 조작부의 조작 방향이 록부의 이동 방향과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조작부를 앞으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그 후에 하우징을 들어올리는 동작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들의 동작에서는 손의 배치는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마치 하나의 동작으로 하우징을 전개하는 것처럼 느낀다. 이 때문에, 조작부의 조작과 하우징의 전개를 연속하여 행할 수 있으며, 조작성이 향상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종래의 록 장치(20)에서는 조작 버튼(22)을 가로로 이동하는 동작이 하우징을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과 크게 다르다. 이 때문에, 사용자에 있어서, 2개의 동작으로 하우징을 전개하는 것처럼 느껴, 조작성이 나쁘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 방향과 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은 직교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한쪽이 다른 한쪽에 대하여 경사지거나, 한쪽이 직선이며, 다른 한쪽이 회전인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절첩 및 전개시에 이동하는 제1 하우징과, 이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연결된 제2 하우징을 갖고, 상기 조작부 및 상기 록부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조작부 및 상기 록부가 하우징의 이동측에 있는 경우에 하우징의 록 해제와 전개를 원활히 행하는 구성에 본 발명은 적합하다.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록부와 상기 조작부 중 어느 한쪽에 고정된 돌기와, 상기 록부와 상기 조작부의 다른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안내부가 안내하는 방향은 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45°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이어도 좋다. 대체적으로,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조작부에 설치된 제1 경사면과, 상기 록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경사면과 접촉 가능한 제2 경사면을 가져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경사면 중 어느 한쪽에는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경사면은 상기 돌기를 통해 접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경사면은 모두 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45°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삭제
상기 록 장치는 상기 조작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나 상기 록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가져도 좋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나 록부가 이동할 때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록 장치는 상기 조작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와, 상기 록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안내부를 더 갖고,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조작부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 홈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안내 홈에 삽입되는 규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안내 홈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안내 홈에 삽입되는 상기 규제 부재를 포함하여도 좋다. 규제 부재(예컨대, 로드)가 제1 및 제2 안내부에 공통으로 사용되고, 부품 개수의 삭감이 흔들림 방지에 기여한다.
상기 록 장치는 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록부에 고정된 제1 걸림부와, 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제2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걸림부를 관통하며, 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와, 상기로드 둘레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1 걸림부에 접촉하며, 타단이 상기 제2 걸림부에 접촉하는 압축 스프링 등의 압박 부재를 더 가져도 좋다. 로드는 압박 부재의 유지와 록부의 이동 안내 부재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에 도움이 된다.
상기 록부는 상기 하우징을 록하기 위한 록 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록을 해제하는 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록부에 의한 록을 허용하는 비조작 위치와 상기 록부에 의한 록을 해제하는 조작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록 장치는 상기 록부를 록 위치에 압박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부를 비조작 위치에 압박하는 압박 기구를 더 가져도 좋다. 하나의 압박 기구가 2개의 압박 기능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에 도움이 된다.
전술한 록 장치를 갖는 전자 기기(예컨대, 노트형 PC)도 본 발명의 일측면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한층 높은 특징은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자 기기(노트형 PC)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전자 기기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제1 실시예의 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유닛의 레어 커버를 제거한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전자 기기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유닛의 일부와 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록 장치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8은 록 상태에 있어서의 도 2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평면도.
도 9(a)는 록 상태에 있어서의 도 8의 MM 단면도이며, 도 9(b)는 록 상태에 있어서의 도 9(a)의 A1부의 확대 단면도.
도 10(a)는 록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도 8의 MM 단면도이며, 도 10(b)는 록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0(a)의 A2부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자 기기(노트형 PC)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전자 기기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제2 실시예의 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유닛의 레어 커버를 제거한 평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전자 기기의 평면도.
도 16은 도 11에 도시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유닛의 일부와 록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록 장치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8은 록 상태에 있어서의 도 12에 도시하는 전자 기기의 평면도.
도 19(a)는 록 상태에 있어서의 도 18의 NN 단면도이고, 도 19(b)는 록 상태에 있어서의 도 19(a)의 A3부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19(c)는 록 상태에 있어서의 록 장치 내부의 확대 평면도.
도 20(a)는 록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8의 NN 단면도이고, 도 20(b)는 록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도 20(a)의 A4부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20(c)는 록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록 장치 내부의 확대 평면도.
도 21은 종래의 록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2는 종래의 록 장치의 개략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노트형 PC로서 구체화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자 기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노트형 PC(100)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노트형 PC(100)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건데, 전자 기기(100)는 예시적으로 노트형 PC(100)로서 구체화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PDA, 핸드헬드 퍼스널 컴퓨터, 팜 사이즈 퍼스널 컴퓨터,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전자 사전, 전자 문구, 게임기, 포터블 가전(예컨대, 포터블 텔레비전, 포터블 비디오 덱, 포터블 DVD) 등의 휴대형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노트형 PC(100)의 크기는 A4 사이즈, B5 사이즈, 그 외에 서브 노트북 사이즈, 미니 노트 사이즈 등을 커버하는 것이다.
노트형 PC(100)는 PC 본체부(110)와, 힌지(120)와, 표시 유닛(LCD 베젤 프레임)(130)과, 록 장치(140)를 갖는다. 본체부(110)와 표시 유닛(130)은 노트형 PC(100)의 하우징을 구성한다.
본체부(110)는, 예컨대 두께 약 20mm 내지 30 mm 두께의 하우징 구조를 갖 고, 상부 커버(111)와 도시하지 않는 미들 커버와 하부 커버(118)를 갖는다. 상부 커버(111), 미들 커버 및 하부 커버(118)는 모두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본체부(110)는 회로 기판 및 HDD를 내부에 수납하고, 상부 커버(111)로부터는 정보 타입용 키보드(112)와, 포인팅 디바이스(114)와, 결합 구멍(116)을 갖는다.
상부 커버(111)는 팜 레스트이며, 키보드(112) 바로 앞에서 사용하는 손바닥이나 손목을 얹기 위한 영역이다. 상부 커버(111)의 표면은 노트형 PC(100)가 절첩되는 면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커버(111)의 이면은 훅(174)과 결합된다.
키보드(112)의 종류는 101, 106, 109, 에르고노믹 등을 불문하고, 키보드 배열도 QWERTY 배열, DVORAK 배열, JIS 배열, 신 JIS 배열, 일본어 입력 콘소시엄 기준 배열(NICOLA : NIhongo Nyuryoku COnthotium LAyout) 등을 불문한다.
포인팅 디바이스(114)는 마우스 기능의 일부를 에뮬레이트하고, 터치 패드(114a)와, 클릭 버튼(114b)과, 롤식의 스크롤 호일(114c)을 갖는다. 터치 패드(114a)는 그 위에 사용자가 검지 손가락을 이동하면, LCD 화면(132) 상에서 마우스기능을 실현한다. 클릭 버튼(114b)은 마우스 좌우의 클릭 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좌우의 클릭 버튼(114b) 사이에는 마우스의 스크롤 호일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롤식의 스크롤 호일(114c)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포인팅 디바이스(114)의 조작성은 향상되고 있다.
결합 구멍(11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훅(174)이 삽입되는 구멍이다.
힌지부(120)는 힌지 커버와 샤프트를 포함한다. 힌지부(120)는 샤프트의 둘레에 표시 유닛(130)이 본체부(110)의 둘레를 회전할 수 있도록 표시 유닛(130)을 본체부(110)에 접속한다. 힌지 커버에는 전원 버튼이 탑재되지만, 이러한 배치는 예시적이다.
표시 유닛(130)은 프론트 커버(131)와, LCD 화면(132)과, 백 커버(133)를 갖는다. 프론트 커버(131)와 백 커버(133)는 도 4에 도시하는 복수의 나사 구멍(134)을 통해 고정되고, 양자 사이에 LCD 화면(132)이 배치된다. 또한, 도 4는 표시 유닛(130)의 레어 커버를 제거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표시 유닛(130)의 평면도이다.
프론트 커버(131)는 중공(中空)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이며, 중앙 바닥부에 있어서 힌지 커버와 접속한다. 백 커버(133)는 정면에서 보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이 기립된 단면 U자 형상을 갖는다. 백 커버(133)는 중앙 바닥부에서, 힌지 커버와 접속한다. 백 커버(133)는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록 장치(140)는 본체부(110)에 절첩된 표시 유닛(130)을 록 및 록 해제한다. 록 장치(14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판(150)과, 조작부(160)와, 록부(170)와, 베이스(180)와, 압박 부재(190)를 갖는다. 또한, 도 3은 록 장치(1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록 장치(140)는 예시적으로 표시 유닛(130)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판(150)은 록 장치(140)를 밀봉하는 동시에 조작부(160)의 조작 버튼(162)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부판(150)은 기초부(151)와, 한 쌍의 부착 구멍(152)과, 안내 홈(153)을 가지며, 예컨대 ABS 수지로 구성된다.
기초부(151)는 평판 형상의 덮개재이며, 베이스(180)와 협동하여 록 장치(140)를 밀봉한다. 기초부(151)는 양단에 한 쌍의 부착 구멍(152)이 관통하고, 이면에는 안내 홈(153)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부착 구멍(152)에는 베이스(180)의 한 쌍의 로드(183)가 삽입된다. 이 결과, 상부판(150)은 베이스(180)에 고정된다. 안내 홈(153)은 도 2에 도시하는 표시 유닛(130)의 정면(135)에 수직인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내 홈(153)에는 조작부(160)의 돌기부(166)가 결합된다. 기초부(151)에 돌기부를 설치하고, 조작부(160)에 안내 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안내 홈이나 돌기부의 수나 배치는 문제삼지 않는다. 예컨대, 조작부(160) 의 안내부(164)의 양측면에 돌기를 설치하여 상부판(150)의 양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는 한 쌍의 측벽(155)의 내측에 L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형성하거나 한다. 안내 홈(153)과 돌기부(166)와의 안내 작용에 의해 조작부(160)가 이동할 때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작부(160)는 록부(170)를 이동하여 록부(170)에 의한 하우징의 절첩 상태의 록을 해제하는 기능을 갖고, L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조작부(160)는 조작 버튼(162)과, 안내부(164)와, 돌기부(166)와, 한 쌍의 안내 홈(168)을 가지며, 예컨대 ABS 수지로 구성된다.
조작 버튼(162)은 록 해제시에 사용자에 의해 압박력이 가해지는 릴리스 버튼으로서 기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도 4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유닛(130)의 정면(135)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작 버튼(162)은 예시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고 있다.
안내부(164)는 조작 버튼(162)과 일체로 형성되고, 2개의 안내 기능을 갖는다. 우선, 제1 안내 기능은 상부판(150)과 협동하여, 조작부(160)의 L 방향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안내부(164)는 L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166)를 그 중앙에 갖고 있다. 제2 안내 기능은 록부(170)의 한 쌍의 돌기(173)와 협동하여, 조작 버튼(162)에 L2 방향으로 가해진 구동력을 W2 방향으로 변환하여 록부(170)의 훅(174)에 전달하고, 훅(174)을 W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안내부(164)는 돌기부(173)가 끼워 맞춰지는 한 쌍의 안내 홈(168)을 갖는다. 각 안내 홈(168)은 W 방향에 대한 각도(θ)가 동일한 45°로 설정되어 있다. 각도(θ)가 증가하면, 조작 버튼(162)을 이동하기 쉬워지지만, 훅(174)의 이동량은 작아지기 때문에, 동일한 이동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작 버튼(162)의 L2 방향의 이동량이 커진다. 각도(θ)가 감소하면 훅(174)의 이동량은 커지기 때문에, 동일한 이동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작 버튼(162)의 L2 방향의 이동량은 작지만, 조작 버튼(162)을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각도(θ)를 45°로 설정함으로써, 조작 버튼(162)의 이동 용이성과 이동량, 훅(174)의 이동량을 적당히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안내부(164)에 안내 홈(168)을 형성하여 록부(170)에 돌기부(173)를 설치하고 있지만, 안내부(164)에 돌기부를 설치하여 록부에 안내 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부(164)는 조작 버튼(162)에 L2 방향으로 가해진 구동력을 W 방향으로 변환하여 록부(170)의 훅(174)에 전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구동력의 방향이나 변환의 방향을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동력이 가해지는 방향이 L2 방향인 경우, 도 2에 있어서, 표시 유닛(130)을 개구하는 회전 방향(R2 방향)으로 구동력이 이행될 때에 손의 위치는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마치 하나의 동작으로 하우징을 전개할 수 있는 감각이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손의 위치를 너무 바꾸지 않고 표시 유닛(130)의 개구 동작으로 이행할 수 있는 구동력의 방향으로서는, 예컨대 H2 방향이나 C1 방향을 생각할 수 있다. 즉, 도 2에 있어서, 조작 버튼(162)을 상측 방향(H2 방향)으로 변위시키거나, 반시계 방향(C1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한 후에 표시 유닛(130)을 R2 방향으로 개구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훅(174)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는 훅(174)과 상부 커버(111)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좋기 때문에, 예컨대 도 3에 있어서, 돌기부(166)의 둘레를 회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록부(170)는 하우징을 절첩 상태에서 록하는 기능을 갖고, W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록부(170)는 기초부(171)와, 한 쌍의 측벽(172a 및 172b)과, 한 쌍의 돌기부(173)와, 훅(174)과, 샤프트(175)와, 안내 홈(176)을 가지며, 예컨대 폴리아세탈로 구성된다.
기초부(171)는 W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평판 부재이다. 한 쌍의 측벽(172a 및 172b)은 기초부(171)의 양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측벽(172b)에는 압박 부재(190)에 의한 압박력이 인가된다. 이 결과, 훅(174)을 W1 방향으로 압박한다.
한 쌍의 돌기부(173)는 기초부(171)의 표면에 설치되고, 한 쌍의 안내 홈(168)에 끼워 맞춰진다. 돌기부(17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버튼(162)에 가해진 구동력의 방향을 변경하는 전달 기구의 일부를 구성한다.
훅(174)은 상부 커버(111)의 이면과 결합하여 하우징을 절첩 상태에서 록하는 기능을 갖는 갈고리형 부재이다. 훅(174)은 기초부(171)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기초부(171)와 함께 W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훅(174)은 관통 구멍(185)에 삽입되고, W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관통 구멍(185)에 있어서 W1 방향의 단부는 훅(174)이 상부 커버(111)의 이면과 결합하는 록 위치이며, 관통 구멍(185)에 있어서 W2 방향의 단부는 훅(174)이 상부 커버(111)의 이면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록 해제 위치이다. 기초부(171)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177)이 형성되어 있으며, 훅(174)은 절결(177)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도 7은 도 6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표시 유닛(130)의 일부와 록 장치(140)의 분해 사시도이다.
샤프트(175)는 압박 부재로서의 압축 스프링(190)을 지지하는 동시에 록부(170)의 W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샤프트(175)는 압박 부재의 유지와 록부(170) 이동의 안내 부재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에 도움이 된다. 샤프트(175)는 측벽(172b)에 일단이 고정되어 W2 방향으로 연 장되는 로드이다. 샤프트(175)의 타단은 도 3에 도시하는 베이스(180) 유지부(181b)의 걸림 홈(182)에 걸린다. 또한, 압박 부재는 압축 스프링에 한하지 않고, 통 형상 고무 등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면 다른 부재여도 좋다.
안내 홈(176)은 베이스(180)의 레일(184)과 협동하여, 록부(170)의 W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안내 홈(176)은 기초부(171)의 저면에 형성된다. 안내 홈(176)과 레일(184)과의 안내 작용에 의해 록부(170)가 W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180)는 상부판(150)과 협동하여 록 장치(140)의 각부를 수납하는 동시에, 록부(170)의 이동을 안내 및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베이스(180)는 한 쌍의 유지부(181a 및 181b)와, 한 쌍의 로드(183)와, 레일(184)과, 관통 구멍(185)과, 지지부(186)를 갖는다. 베이스(180)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와 ABS 수지의 블렌드에 의해 구성되며, 표시 유닛(130)의 프론트 커버(131)의 이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유지부(181a 및 181b)는 각각 U자 형상을 갖고, 록 장치(140)의 외형을 규정하는 동시에 상부판(150)을 유지한다. 유지부(181a)는 측벽(172a)과 접촉 가능하여 그 이동을 규제한다. 유지부(181b)에는 샤프트(175)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 홈(182)이 형성된다. 유지부(181b)의 걸림 홈(182)이 형성된 측벽의 내측은 압박 부재(190)의 단부(190b)를 건다. 유지부(181a 및 181b)의 일각에는 한 쌍의 로드(183)가 형성된다. 한 쌍의 로드(183)는 상부판(150)의 한 쌍의 부착 구멍(152)에 삽입된다. 레일(184)은 W 방향으로 연장되고, 레일(184)에는 안내 홈(176)이 끼 워 맞춰진다. 관통 구멍(185)에는 훅(174)이 삽입된다. 지지부(186)는 조작 버튼(162)을 지지한다.
압박 부재(190)는 훅(174)을 록 위치에 압박하는 압박 부재와 함께 조작부(160)를 돌출 위치에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겸하고 있다. 하나의 압박 부재(190)가 2개의 압박 기능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에 도움이 된다. 압박 부재(190)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샤프트(175)에 의해 관통된다. 압박 부재(190)의 일단(190a)은 측벽(172b)에 접촉하며, 타단(190b)은 유지부(181)의 걸림 홈(182)이 형성된 측벽의 내측에 접촉한다. 우선, 압박 부재(190)는 록부(170)에 대하여 W1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결과, 훅(174)이 록 위치에 압박된다. 또한, 압박 부재(190)가 록부(170)에 가하는 압박력의 방향은 안내부(164)에 의해 변환되어 조작부(160)에 전달되고, 조작부(160)는 L1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하, 하우징의 개폐 동작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8은 록 상태에 있어서의 노트형 PC(100)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록 상태에 있어서의 도 8의 MM 단면도이며, 도 9(b)는 록 상태에 있어서의 도 9(a)의 A1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a)는 록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도 8의 MM 단면도이며, 도 10(b)는 록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0(a)의 A2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록 상태에서는 도 3에 있어서, 압박 부재(190)에 의한 압박력에 의해 돌기부(173)는 안내 홈(168)의 안쪽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결과, 조작 버튼(162)은 하우징으로부터 L1 방향으로 돌출하고, 훅(174)은 관통 구멍(185) 안에서 가장 W1 방향에 위치하여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커버(111)의 이면에 접촉한다. 록 상태에서는 훅(174)과 상부 커버(111)와의 결합에 의해, 표시 유닛(130)을 위로 들어 올릴 수 없다.
다음에, 사용자는 도 3에 도시하는 조작 버튼(162)을 L2 방향으로 누른다. 돌기부(166)와 안내 홈(153)과의 결합에 의해 조작부(160)가 L2 방향으로 이동하면, 돌기부(173)가 안내 홈(168)의 앞측 단부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 결과, 훅(174)이 관통 구멍(185) 안에서 가장 W2 방향측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록부(170)는 압박 부재(190)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W2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록 해제 상태에서는 도 3에 있어서, 돌기부(173)는 안내 홈(168) 바로 앞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조작 버튼(162)은 가장 L2 방향측으로 후퇴하고, 훅(174)은 관통 구멍(185) 안에서 가장 W2 방향측에 위치하여,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커버(111)의 이면과 이격하고 있다. 록 해제 상태에서는 훅(174)과 상부 커버(111)가 결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표시 유닛(130)을 상방향(R2 방향)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표시 유닛(130)을 어느 정도 또는 원하는 각도까지 전개한 후에는 사용자는 조작 버튼(162)의 압박을 해제한다. 그 결과, 압박 부재(190)에 의한 압박력에 의해 돌기부(173)가 도 3의 안내 홈(168)의 전방으로부터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조작 버튼(162)은 L1 방향으로 돌출하고, 훅(174)은 W1 방향으로 록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 후, 사용자는 키보드(112)나 포인팅 디바이스(114)를 사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종래의 록 장치(20)에서는 조작 버튼(22)을 가로로 슬라이드시킬 때에 손 전체가 가로로 이동하여야 하며, 또한, 이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힘을 가한 상태로 표시 유닛(21)을 위로 들어 올려야 하다. 이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2개의 동작으로 하우징을 전개하는 것처럼 느껴 조작성이 나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조작부(160)의 조작 버튼(162)을, 예컨대 오른손 엄지 손가락으로 L2 방향으로 누르면서, 표시 유닛(130)을, 예컨대 오른손 손바닥을 정면(135)에 대어 상방향(R2 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그러나, 이들의 동작으로서는 엄지 손가락을 누를지 여부를 제외하면, 손의 배치는 변하지 않는다. 또한, 엄지 손가락을 누른 상태로 손 전체를 위로 이동시키는 것은 용이하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마치 하나의 동작으로 하우징을 전개하는 것처럼 느낀다. 조작부(160)의 조작과 하우징의 전개를 연속하여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종래로부터도 향상되고 있다.
정보 입력 후에는 표시 유닛(130)을 도 2에 도시하는 R1 방향으로 절첩한다. 이 때, 사용자(1)는 조작 버튼(162)을 누르면서 표시 유닛(130)을 개구하면, 전술한 개구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된다. 그러나, 조작 버튼(162)에 닿지 않고, 표시 유닛(130)을 폐쇄하여도 훅(174)은 상부 커버(111)의 표면에 접촉한 후에는 W2 방향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결합 구멍(116)에 끼워 맞춰지고, 그 후, 도 9(b)에 도시하 는 바와 같이, 상부 커버(111)의 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을 절첩할 때에 조작 버튼(162)을 누르는 것은 선택적이다.
본 실시예의 노트형 PC(100)에 의하면, 보다 작은 스페이스에서 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버튼(162)을 L2 방향으로 누르면서 표시 유닛(130)을 상방향(R2 방향)으로 끌어 올리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되고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노트형 PC로서 구체화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자 기기(100A)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1은 노트형 PC(100A)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12는 노트형 PC(100A)가 절첩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4는 표시 유닛(130)의 레어 커버를 제거한 평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표시 유닛(130)의 상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건데, 노트형 PC(100A)는 세부에 있어서 노트형 PC(100)와는 다르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유사하다. 이 때문에, 도 11 내지 도 20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0과 대응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노트형 PC(100A)는 노트형 PC(100)와, 록 장치(140) 대신에 록 장치(200)를 갖는 점에서 다르다.
록 장치(200)는 본체부(110)에 절첩된 표시 유닛(130)을 록 및 록 해제한다. 록 장치(20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판(210)과, 조작부(220)와, 록부(230)와, 베이스(240)와, 압박 부재(250)를 갖는다. 또한, 도 13은 록 장치(200)의 상측에서 본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록 장치(200)는 예시적으로, 표시 유닛(130)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판(210)은 록 장치(200)를 밀봉하지만, 상부판(150)과는 달리, 조작부(220)의 조작 버튼(221)의 이동을 안내하지 않는다. 상부판(210)은 기초부(211)와, 2쌍의 부착 구멍(212 및 217)과, 모따기부(215)와, 한 쌍의 지지부(216)를 가지며, 예컨대 ABS 수지로 구성된다.
기초부(211)는 평판 형상의 덮개재이며, 베이스(240)와 협동하여 록 장치(200)를 밀봉한다. 기초부(211)는 한 쌍의 후방 귀퉁이부에 한 쌍의 부착 구멍(217)이 관통하고, 전측에 한 쌍의 부착 구멍(217)을 갖지만,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면에는 안내 홈을 갖지 않는다. 여기서, 도 17은 록 장치(200)의 하측에서 본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의 일부를 확대하고 있다. 도 16은 표시 유닛(130)의 일부와 록 장치(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한 쌍의 부착 구멍(212)에는 베이스(240)의 한 쌍의 로드(243)가 삽입된다. 또한, 한 쌍의 부착 구멍(212)에는 베이스(240)의 한 쌍의 로드(247)의 선단부(247b)가 삽입된다. 이 결과, 상부판(210)은 베이스(240)에 고정된다. 모따기부(215)는 기초부(211)의 상면 및 정면을 모따기하고 있으며, 조작 버튼(221)을 누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기초부(211)의 각에 닿지 않도록 하여 조작성을 향상되고 있다. 한 쌍의 지지부(216)는 한 쌍의 부착 구멍(217)의 둘레에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는 캡이 부착된다. 캡은 부착 구멍(217)으로부터 로드(247)의 선단부(247b)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조작부(220)는 록부(230)를 이동하여 록부(230)에 의한 하우징의 절첩 상태의 록을 해제하는 기능을 갖고, L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조작부(220)는 조작 버튼(221)과, 한 쌍의 돌출부(222 및 223)와, 한 쌍의 안내 홈(224)과, 중앙 홈(226)을 갖고, 예컨대 ABS 수지로 구성된다.
조작 버튼(221)은 록 해제시에 사용자에 의해 압박력이 가해지는 릴리스 버튼으로서 기능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 도 14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유닛(130)의 정면(135)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작 버튼(221)은 예시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고 있다.
돌출부(222)는 조작부(220)의 좌측부으로부터 W1 방향으로 돌출한다. 돌출부(222)는 경사면(222a)을 갖는다. 경사면(222a)은 후술하는 경사면(223a)과 대략 평행하고, W 방향에 대하여 45°로 형성된다. 필요가 있으면, 경사면(222a)은 경사면(223a)과 함께 또는 경사면(223a) 대신에 후술하는 전달 기구로서 기능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222a)은 전달 기구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경사면(223a)은 캠 돌기(232)의 경사면(232a)과 함께 조작부(220)의 W1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돌출부(223)는 조작부(220)의 우측부로부터 W2 방향으로 돌출한다. 돌출부(223)는 경사면(223a)과, 경사면(223a)에 설치된 돌기(223b)를 갖고, 2개의 기능을 갖는다.
제1 기능은 전달 부재로서의 기능이다. 전달 기구는 조작 버튼(221)에 L2 방향으로 가해진 구동력을 W2 방향으로 변환하여 록부(230)의 훅(236)에 전달하고, 훅(236)을 W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 기구 중 하나는 돌출부(223)의 경사면(223a)에 설치된 돌기(223b)와, 록부(230)의 캠 돌기(233)의 경사면(233b)이다. 돌출부(223)는 돌기(223b)를 통해 경사면(233b)와 접촉한다. 이것은 경사면(223a 및 233b)끼리의 접촉으로서는 마찰에 의해 원활한 양자가 상대 이동할 수 없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양자가 면 접촉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경사면(233b)이 돌기를 가져도 좋고, 경사면(223a)이 돌기를 갖지 않아도 좋다.
제2 기능은 흔들림을 방지 기능이다. 돌출부(223)는 경사면(233b)과 접촉함으로써 조작 버튼(221)의 C1 방향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한 쌍의 안내 홈(224)은 도 12에 도시하는 표시 유닛(130)의 정면(135)에 수직인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안내 홈(224)에는 베이스(240)에 설치된 로드(247)의 기초부(247a)가 삽입된다. 또한, 안내 홈이나 로드의 수나 배치는 상관없지만, 후술한 안내 홈(235)에 대응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다. 한 쌍의 안내 홈(224)과 로드(247)와의 L2 방향으로의 안내 작용에 의해 조작부(220)가 이동할 때의 W 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 홈(226)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220)의 중앙 이면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중앙 홈(226)은 위에서 보면 대략 평행 사변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한 쌍의 경사면(226a 및 226c)과, 경사면(226a)에 형성된 돌기(226b)를 갖는다. 경사면(226a)은 캠 돌기(234)의 경사면(234a)에 대향하고, 경사면(226c)은 캠 돌기(234)의 경사면(234b)에 대향한다. 경사면(226a 및 226c, 234a 및 234b)은 W 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경사지고 있다. 중앙 홈(226)은 경사면(226a)의 돌기(226b)를 통해 경사면(234a)에 접촉한다. 돌기(226b)와 경사면(234a)은 전술한 전달 기구의 기능이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다. 돌기(226b)는 경사면(234a)과 접촉함으로써 조작 버튼(221)의 C2 방향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작 버튼(221)의 이동 중은 돌기(223b)가 경사면(233b) 상을 이동하고, 돌기(226b)가 경사면(234a) 상을 이동한다. 경사면(226c와 234b)은 조작부(220)의 W1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경사면(223a 및 233b)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경사면(226a와 234a)이 면 접촉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경사면(226a와 234a)은 어느 한쪽이 돌기를 가지면 좋다. 또한, 경사면(226c와 234b)이 전달 기구의 기능을 가져도 좋고, 어느 한쪽이 돌기를 가져도 좋은 것은 경사면(222a와 232a)과 마찬가지다. 경사면(223a, 226a, 233b, 234a)의 경사 각도가 45°인 것은 안내 홈(168)과 마찬가지다.
또한, 본 실시예는 조작 버튼(221)에 L2 방향으로 가해진 구동력을 W2 방향으로 변환하여 록부(230)의 훅(236)에 전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구동력의 방향이나 변환의 방향을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록부(230)는 하우징을 절첩 상태에서 록하는 기능을 갖고, W 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다. 록부(230)는 기초부(231)와, 캠 돌기(232, 233 및 234)와, 한 쌍의 안내 홈(235)과, 훅(236)과, 샤프트(237)를 가지며, 예컨대 폴리아세탈로 구성된다.
기초부(231)는 W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평판 부재이다. 샤프트(237)의 일부를 우측의 측면(231a)에서 지지한다. 이 결과, 측면(231a)에는 압박 부재(250)에 의한 압박력이 인가되고, 훅(236)을 W1 방향으로 압박한다.
캠 돌기(232)는 전방 좌측 귀퉁이에 설치되는 대략 직각 삼각 기둥 형상의 돌기이며, 경사면(232a)을 갖는다. 캠 돌기(232)는 기초부(23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232a)은 경사면(222a)과 접촉하지 않지만, 접촉하여도 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캠 돌기(233)는 후방 우측 귀퉁에에 설치되는 대략 직각 삼각 기둥 형상의 돌기이며, 측면(233a)과, 경사면(233b)과, 중공부(233c)를 갖는다. 캠 돌기(233)는 기초부(23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측면(233a)은 샤프트(237)의 일부를 측면(231a) 와 함께 지지한다. 이 결과, 측면(233a)에는 압박 부재(250)에 의한 압박력이 인가되어, 훅(236)을 W1 방향으로 압박한다. 경사면(233b)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223a)의 돌기(223b)와 접촉하고, 돌기(223b)가 경사면(233b) 상을 이동한다. 중공부(233c)는 록 장치(200)의 경량화를 위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초부(231)의 측면(231a)과 캠 돌기(233)의 측면(233a)은 측벽(172b)과 동일한 측벽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경사면(233b)은 측면(233a)과는 별개로 판형 부재로서 형성되어도 좋다.
캠 돌기(234)는 중앙 후방에 설치되는 단면이 대략 평행 사변형의 사각 기둥 형상의 돌기이며, 한 쌍의 경사면(234a 및 234b)과, 중공부(234c)를 갖는다. 캠 돌기(234)는 기초부(23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경사면(234a)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226a)의 돌기(226b)와 접촉하고, 돌기(226b)가 경사면(234a) 상을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234b)은 경사면(226c)과 접촉하지 않지만, 접촉하여도 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중공부(234c)는 록 장치(200)의 경량화를 위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234a 및 234b)은 한 쌍의 판형 부재로서 형성되어도 좋다.
한 쌍의 안내 홈(235)은 도 12에 도시하는 표시 유닛(130)의 정면(135)에 평행한 W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안내 홈(235)에는 베이스(240)에 설치된 로드(247)의 기초부(247a)가 삽입된다. 또한, 안내 홈이나 로드의 수나 배치는 상관없지만, 전술한 안내 홈(224)에 대응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한 쌍의 안내 홈(224)과 로드(247)와의 W 방향으로의 안내 작용에 의해 조작부(220)가 이동할 때의 L 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훅(236)은 상부 커버(111)의 이면과 결합하여 하우징을 절첩 상태에서 록하는 기능을 갖는 갈고리형 부재이다. 훅(236)은 기초부(231)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기초부(231)와 함께 W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훅(236)은 관통 구멍(245)에 삽입되고, W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관통 구멍(245)에 있어서 W1 방향의 단부는 훅(236)이 상부 커버(111)의 이면과 결합하는 록 위치이며, 관통 구멍(245)에 있어 서, W2 방향의 단부는, 훅(236)이 상부 커버(111)의 이면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록 해제 위치이다.
샤프트(237)는 압박 부재로서의 압축 스프링(250)을 지지하는 동시에 록부(230)의 W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샤프트(237)는 압박 부재의 유지와 록부(230) 이동의 안내 부재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 스페이스의 유효이용에 도움이 된다. 샤프트(237)는 측면(231a 및 233a)에 일단이 고정되어 W2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이다. 샤프트(237)의 타단은 도 13에 도시하는 베이스(240)의 유지부(241b)의 걸림 홈(242)에 걸린다. 또한, 압박 부재는 압축 스프링에 한하지 않고, 통 형상 고무 등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능을 다하는 것이면 다른 부재여도 좋다.
베이스(240)는 상부판(210)과 협동하여 록 장치(200)의 각부를 수납하는 동시에, 록부(230)의 이동을 안내 및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베이스(240)는 한 쌍의 유지부(241a 및 241b)와, 2쌍의 로드(243 및 247)와, 관통 구멍(245)과, 지지부(246)를 갖는다. 베이스(240)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와 ABS 수지의 블렌드에 의해 구성되고, 표시 유닛(130)의 프론트 커버(131)의 이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유지부(241a 및 241b)는 각각 L자 형상을 갖고 록 장치(200)의 외형을 규정하는 동시에 상부판(210)을 유지한다. 유지부(241a)는 기초부(231)와 캠 돌기(232)의 측면과 접촉하여 그 이동을 규제한다. 유지부(241b)에는 샤프트(237)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 홈(242)이 형성된다. 유지부(241b)의 걸림 홈(242)이 형성된 측벽의 내측은 압박 부재(250)의 단부(250b)를 건다. 유지부(241a 및 241b)의 일각에는 한 쌍의 로드(243)가 형성된다. 한 쌍의 로드(243)는 상부판(210)의 한 쌍의 부착 구멍(212)에 삽입된다. 관통 구멍(245)에는 훅(236)이 삽입된다. 지지부(246)는 조작 버튼(221)을 지지한다. 각 로드(247)는 기초부(247a)와 선단부(247b)를 갖는다. 기초부(247a)와 선단부(247b)는 원통 형상을 갖고, 선단부(247b)는 기초부(247a)보다도 직경이 작다. 기초부(247a)는 2쌍의 안내 홈(224 및 235)을 관통하고, 선단부(247b)는 부착 구멍(217)에 부착되어 지지부(216)에 끼워 넣어지는 도시하지 않는 캡에 덮어 씌어진다.
압박 부재(250)는 훅(236)을 록 위치에 압박하는 압박 부재와 함께 조작부(220)를 돌출 위치에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겸하고 있다. 하나의 압박 부재(250)가 2개의 압박 기능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에 도움이 된다. 압박 부재(250)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샤프트(237)에 의해 관통된다. 압박 부재(250)의 일단(250a)은 측면(231a 및 233a)에 접촉하고, 타단(250b)은 유지부(241)의 걸림 홈(242)이 형성된 측벽의 내측에 접촉한다. 우선, 압박 부재(250)는 록부(230)에 대하여 W1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결과, 훅(236)이 록 위치에 압박된다. 또한, 압박 부재(250)가 록부(230)에 가하는 압박력의 방향은 돌기(223b 및 226b)와 경사면(233b와 234a)에 의해 변환되어 조작부(220)에 전달되고, 조작부(220)는 L1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하, 하우징의 개폐 동작에 대해서,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8은 록 상태에 있어서의 노트형 PC(100A)의 평면도이다. 도 19(a)는 록 상태에 있어서의 도 18의 NN 단면도이다. 도 19(b)는 록 상태에 있어서의 도 19(a)의 A3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c)는 록 상태에 있어서의 록 장치 내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20(a)는 록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8의 NN 단면도이며, 도 20(b)는 록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도 20(a)의 A4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c)는 록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록 장치 내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8, 도 19(a) 내지 도 19(c)에 도시하는 록 상태에서는 도 13에 있어서, 압박 부재(250)에 의한 압박력에 의해 로드(247)의 기초부(247a)는 안내 홈(224)의 L2측의 단부(안쪽 단)와 안내 홈(235)의 W2측의 단부(우측 단)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결과, 조작 버튼(221)은 하우징으로부터 L1 방향으로 돌출한다. 또한, 훅(236)은 관통 구멍(245) 안에서 가장 W1 방향측에 위치하고,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커버(111)의 이면에 접촉한다. 록 상태에서는 훅(236)과 상부 커버(111)와의 결합에 의해, 표시 유닛(130)을 위로 들어 올릴 수 없다.
다음에, 사용자는 도 13에 도시하는 조작 버튼(221)을 L2 방향으로 누른다. 기초부(247a)와 안내 홈(224)과의 결합에 의해 조작부(220)가 L2 방향으로 이동하면, 전달 기구의 기능에 의해 기초부(231)는 W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훅(236)이 관통 구멍(245) 안에서 가장 W2 방향측의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록 부(230)는 압박 부재(250)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W2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0(a) 내지 도 20(c)에 도시하는 록 해제 상태에서는 도 13에 있어서, 기초부(247a)는 안내 홈(224)의 L1측의 단부(바로 앞단)와 안내 홈(235)의 W1측의 단부(좌측 단)에 위치하고 있다. 조작 버튼(221)은 가장 L2 방향측으로 후퇴하고, 훅(236)은 관통 구멍(245) 안에서 가장 W2 방향측에 위치하여,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커버(111)의 이면과 이격하고 있다. 록 해제 상태에서는 훅(236)과 상부 커버(111)가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 유닛(130)을 상방향(R2 방향)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표시 유닛(130)을 어느 정도 또는 원하는 각도까지 전개한 후의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또한, 록 장치(200)가 종래의 록 장치(20)에 비교하여 조작성을 향상되고 있는 점도 록 장치(140)와 마찬가지다. 정보 입력 후의 절첩 동작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본 실시예의 노트형 PC(100A)에 의하면, 보다 작은 스페이스에서 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버튼(221)을 L2 방향으로 누르면서 표시 유닛(130)을 상방향(R2 방향)으로 끌어올리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3에 있어서, 훅(174)을 우측 방향으로 하고, 샤프트(175)나 압박 부재(190)를 돌기(232)의 측벽(172a)측에 배치하여 안내 홈(168)을 우측 경사 방향으로 변경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훅(174 및 236)을 변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훅(174 및 236)을 고정하여 결합 구멍(116)의 내부에 훅(174 및 236)과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설치하고, 또한, 록 장치를 본체부(110)에 설치하여 이러한 결합부재를 변위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과 조작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록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 절첩 및 전개 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록 장치로서,상기 하우징을 절첩 상태에서 록하는 록부와,상기 록부를 이동하여 상기 록부에 의한 상기 하우징의 록을 해제하는 조작부와,상기 조작부의 조작 방향을 다른 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록부를 상기 다른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전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절첩되는 제1 면에 직교하는 제2 면에 마련되고, 그 조작 방향은 상기 제2 면에 수직인 제1 방향이며,상기 록부는, 상기 제1 면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이동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절첩 및 전개시에 이동하는 제1 하우징과,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연결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 및 상기 록부는 상기 제1 하우징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상기 록부와 상기 조작부 중 어느 한쪽에 고정된 돌기와,상기 록부와 상기 조작부 중 다른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가 안내하는 방향은 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45°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상기 조작부에 마련된 제1 경사면과,상기 록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경사면과 접촉 가능한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경사면 중 어느 한쪽에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경사면은 상기 돌기를 통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경사면은 모두 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45°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 장치는,상기 조작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와,상기 록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조작부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 홈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안내 홈에 삽입되는 규제 부재를 포함하며,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안내 홈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안내 홈에 삽입되는 상기 규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록부에 고정된 제1 걸림부와,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제2 걸림부와,상기 제1 걸림부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제2 걸림부를 관통하고, 상기 록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와,상기 로드 둘레에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제1 걸림부에 접촉하며, 타단이 상기 제2 걸림부에 접촉하는 압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상기 하우징을 록하기 위한 록 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록을 해제하는 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상기 조작부는 상기 록부에 의한 록을 허용하는 비조작 위치와 상기 록부에 의한 록을 해제하는 조작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상기 록 장치는 상기 록부를 록 위치에 압박하며 상기 조작부를 비조작 위치에 압박하는 압박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 장치.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WOPCT/JP2005/007317 | 2005-04-15 | ||
PCT/JP2005/007317 WO2006112022A1 (ja) | 2005-04-15 | 2005-04-15 | 折り畳み可能な筐体の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電子機器 |
PCT/JP2006/305665 WO2006112232A1 (ja) | 2005-04-15 | 2006-03-22 | 折り畳み可能な筐体の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電子機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6003A KR20070116003A (ko) | 2007-12-06 |
KR100929355B1 true KR100929355B1 (ko) | 2009-12-03 |
Family
ID=3711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21856A KR100929355B1 (ko) | 2005-04-15 | 2006-03-22 | 절첩 가능한 하우징의 록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기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7665774B2 (ko) |
JP (1) | JP4583447B2 (ko) |
KR (1) | KR100929355B1 (ko) |
CN (1) | CN101142540B (ko) |
WO (2) | WO200611202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RPI0518842A2 (pt) * | 2004-12-07 | 2008-12-09 | Sensormatic Electronics Corp | dispositivo de seguranÇa de disco àptico tendo um mecanismo de travamento magneticamente ativado |
WO2006112022A1 (ja) * | 2005-04-15 | 2006-10-26 | Fujitsu Limited | 折り畳み可能な筐体の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電子機器 |
US8368264B2 (en) * | 2007-06-20 | 2013-02-05 | Beijing Montagne Medical Device Co. Ltd | Electric cutting tool |
TWI381795B (zh) * | 2008-10-08 | 2013-01-01 | Compal Electronics Inc | 攜帶式電子裝置的閂鎖結構 |
JP2010250513A (ja) * | 2009-04-14 | 2010-11-04 | Fujitsu Ltd | 電子機器 |
JP4724245B2 (ja) * | 2009-12-25 | 2011-07-13 | 株式会社東芝 | 電子機器 |
CN101853131A (zh) * | 2010-05-27 | 2010-10-06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实现锁屏的方法及装置 |
US10234902B2 (en) | 2010-08-10 | 2019-03-19 | Lepton Computing Llc | Reconfigurable touch screen computing device |
US11106242B2 (en) | 2010-08-10 | 2021-08-31 | Lepton Computing Llc | Flexible and rigid touch screen display computing devices |
US9243427B2 (en) * | 2011-01-24 | 2016-01-26 | Carefusion 303, Inc. | Self-aligning modular latch |
JP6089482B2 (ja) * | 2012-07-31 | 2017-03-08 | 富士通株式会社 | 筐体、及び筐体を備えた電子装置 |
US8926467B2 (en) | 2013-03-08 | 2015-01-06 |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Group, LLC | Transmission with reverse drive assembly |
CN103452393B (zh) * | 2013-09-04 | 2015-09-30 | 深圳市茁迩科技发展有限公司 | 上架设备锁止装置和上架设备 |
KR102215597B1 (ko) * | 2013-12-23 | 2021-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기기 |
TWI510167B (zh) * | 2014-05-30 | 2015-11-21 | Pegatron Corp | 固定裝置及其應用之電腦裝置 |
US9651995B2 (en) * | 2014-12-30 | 2017-05-16 | Tronxyz Technology Co., Ltd. | Foldable electronic device |
JP6735454B2 (ja) * | 2015-11-06 | 2020-08-0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電子機器およびラッチ機構 |
DE102019204698A1 (de) * | 2018-04-10 | 2019-10-10 |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 Verriegelungsmechanismus für ein Ablagefach mit einem Deckel und Ablagefach mit entsprechendem Verriegelungsmechanismus |
TWI812201B (zh) * | 2021-07-08 | 2023-08-11 |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 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73205A (ja) * | 2000-08-24 | 2002-03-12 | Renbao Computer Industry Co Ltd | ノートブック型コンピュータにおけるラッチ装置 |
KR20050032746A (ko) * | 2003-10-02 | 2005-04-08 | 주식회사 팬택 |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결합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57998A (en) * | 1917-10-11 | 1918-03-05 | Archibald B Gruber | Push-button latch. |
US1287973A (en) * | 1918-02-16 | 1918-12-17 | Archibald B Gruber | Push-button latch. |
US2036154A (en) * | 1935-05-02 | 1936-03-31 | Hickson F Littledale | Combined latch and lock structure |
US2478434A (en) * | 1946-06-22 | 1949-08-09 | Gunnar E Swanson | Carrying case catch or lock |
US2726889A (en) * | 1952-07-24 | 1955-12-13 | Melpar Inc | Latch |
US2905493A (en) * | 1955-03-28 | 1959-09-22 | Tocchetto Virgil Dante | Twin latch mechanism |
US3090643A (en) * | 1960-12-20 | 1963-05-21 | Ima Jean Barnes | Latch |
JPS5518449Y2 (ko) * | 1975-01-31 | 1980-04-28 | ||
JPS5973213U (ja) * | 1982-11-09 | 1984-05-18 | 吉田工業株式会社 | サイドプツシユ式コンパクト容器 |
US4740020A (en) * | 1986-10-15 | 1988-04-26 | Cuisinarts, Inc. | Multiple-step release lock for a storage container |
JPH0553686A (ja) * | 1991-08-29 | 1993-03-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携帯装置 |
JP3425186B2 (ja) | 1993-06-22 | 2003-07-07 | 株式会社東芝 | 画像診断装置 |
JPH0717749A (ja) | 1993-06-30 | 1995-01-20 | Chichibu Onoda Cement Corp | 高流動性速硬セメント配合物の製造方法 |
JP2587149Y2 (ja) * | 1993-09-06 | 1998-12-14 | アイワ株式会社 | 蓋のロック装置 |
KR960032597U (ko) * | 1995-03-31 | 1996-10-24 | 테이프레코더의 예약녹화기능 개폐장치 | |
US5511833A (en) * | 1995-08-04 | 1996-04-30 | Tashco Industries, Inc. | Latching mechanism for sliding doors and windows |
JP4016456B2 (ja) * | 1997-07-28 | 2007-12-05 | ソニー株式会社 | カバー体のロック機構及び該機構を備えた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
JPH11237930A (ja) * | 1998-02-20 | 1999-08-31 | Canon Inc | 携帯型電子機器 |
JP2001298282A (ja) * | 2000-04-17 | 2001-10-26 | Seiko Instruments Inc | 小型電子機器 |
JP2002261469A (ja) * | 2001-02-28 | 2002-09-1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子機器 |
TW551518U (en) * | 2001-09-07 | 2003-09-01 | Wistron Corp | Electronic equipment having dual-way fastened apparatus |
US7088588B2 (en) * | 2004-01-09 | 2006-08-08 | Uniwill Computer Corp. | Coupling structure |
WO2006112022A1 (ja) * | 2005-04-15 | 2006-10-26 | Fujitsu Limited | 折り畳み可能な筐体の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電子機器 |
CN2821662Y (zh) * | 2005-07-02 | 2006-09-27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壳体锁固装置 |
US7154745B1 (en) * | 2005-08-01 | 2006-12-26 | Inventec Corporation | Lock for LCD panel of electronic device |
CN2919338Y (zh) * | 2006-04-21 | 2007-07-04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卡扣装置 |
-
2005
- 2005-04-15 WO PCT/JP2005/007317 patent/WO2006112022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6
- 2006-03-22 CN CN2006800088694A patent/CN10114254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3-22 WO PCT/JP2006/305665 patent/WO200611223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3-22 JP JP2007521149A patent/JP458344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3-22 KR KR1020077021856A patent/KR10092935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7
- 2007-10-15 US US11/907,614 patent/US766577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12-29 US US12/654,671 patent/US788948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73205A (ja) * | 2000-08-24 | 2002-03-12 | Renbao Computer Industry Co Ltd | ノートブック型コンピュータにおけるラッチ装置 |
KR20050032746A (ko) * | 2003-10-02 | 2005-04-08 | 주식회사 팬택 |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결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6112232A1 (ja) | 2006-10-26 |
WO2006112022A1 (ja) | 2006-10-26 |
US20100172074A1 (en) | 2010-07-08 |
CN101142540B (zh) | 2010-05-19 |
US7665774B2 (en) | 2010-02-23 |
JPWO2006112232A1 (ja) | 2008-12-04 |
KR20070116003A (ko) | 2007-12-06 |
US20080078217A1 (en) | 2008-04-03 |
CN101142540A (zh) | 2008-03-12 |
JP4583447B2 (ja) | 2010-11-17 |
US7889488B2 (en) | 2011-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9355B1 (ko) | 절첩 가능한 하우징의 록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기기 | |
KR101407501B1 (ko) | 후면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 | |
JP5333054B2 (ja) | 電子機器 | |
EP1628191B1 (en) | Portable Computer | |
US7379763B2 (en) | Automatic sliding mechanism | |
US20050277449A1 (en) | Automatic sliding mechanism | |
CN103970207A (zh) | 用于信息装置的倾斜机构 | |
JP2001067146A (ja) | コンピューター用拡張ユニットのロック装置 | |
JP2015035027A (ja) | 装着装置及び電子機器 | |
US20110249384A1 (en) | Electronic hand-held device | |
US20070139396A1 (en) |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ointing device | |
JP5984496B2 (ja) | 電子機器 | |
JP4117236B2 (ja) | 電子機器 | |
JP2007172667A (ja) | 機能拡張装置 | |
JP4436876B2 (ja) | 携帯端末 | |
TWI844785B (zh) | 電子裝置 | |
JP3959497B2 (ja) | 機能拡張装置 | |
TWI532357B (zh) | 手持電子裝置 | |
JPH0730263A (ja) | 電子機器 | |
JP4436875B2 (ja) | 携帯端末 | |
JP2006235958A (ja) | キーボード装置 | |
JP2010020796A (ja) |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を有する電子機器 | |
JP3949518B2 (ja) | 機能拡張装置 | |
JP4408888B2 (ja) | 機能拡張装置 | |
JP2007066334A (ja) | 機能拡張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