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614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614B1
KR100928614B1 KR1020080028922A KR20080028922A KR100928614B1 KR 100928614 B1 KR100928614 B1 KR 100928614B1 KR 1020080028922 A KR1020080028922 A KR 1020080028922A KR 20080028922 A KR20080028922 A KR 20080028922A KR 100928614 B1 KR100928614 B1 KR 100928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passage
filter
ai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9250A (ko
Inventor
마사또시 다나까
아쯔시 모리시따
기요시 에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9507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8687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80089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Abstract

흡입력의 경시적인 저하를 억제하면서 집진부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킨 전기 청소기를 제공한다.
흡입 상태에서는, 주풍로의 집진 유닛(9)에서 포집하는 진애량이 증가해도, 호스 접속구(251)로부터 흡입한 공기는 왕로로 분기해서 흡입 풍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절환 수단에 의해 진애 이동 상태로 절환하면, 플리츠 필터(126)에 포집한 진애를 집진 유닛(9)으로 이동시켜 플리츠 필터(126)의 눈막힘에 의한 왕로측의 풍로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흡입력의 경시적인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왕로와 귀로의 각각의 일부인 상풍로와 하풍로를 덮개체(3)에 설치함으로써, 덮개체(3)를 연 상태로 집진 유닛(9)이 노출되므로, 집진 유닛(9)의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전기 청소기, 집진부, 주풍로, 진애 분리부, 전동 송풍기,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애와 공기를 분리하는 진애 분리부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소기 본체에는,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흡입한 진애를 포집하는 집진부인 집진 컵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집진 컵에는, 흡입구에 연통해서 진애와 공기를 분리하는 진애 분리부가 설치되고, 이 진애 분리부에서 분리된 진애의 일부인 거친 먼지는, 집진 컵 내에 구획된 집진실에 포집되고, 진애 분리부에서 분리된 공기에 포함되는 진애의 나머지인 미세먼지는, 집진 컵의 하류부에 설치된 필터에 포집된다. 그리고, 집진실의 하류측은 필터의 상류측에 연통하고 있고, 집진실로 흐른 공기가, 진애 분리부에서 분리된 공기와 필터의 상류측에서 합류하여, 필터를 통과한 후, 전동 송풍기로 흡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5-211285호 공보(제4-5페이지, 도5)
그러나, 전술한 전기 청소기에서는,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한 흡입풍이 진애 분리부에서 분기되기는 하나, 최종적으로 공통의 필터를 통과해서 전동 송풍기에 흡입되기 때문에, 이 필터가 경시적으로 눈막힘되면, 이 눈막힘의 정도에 대응해서 흡입력이 점차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이러한 필터의 눈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여기에 추가해서 설치하면, 메인터넌스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흡입력의 경시적인 저하를 억제하면서 집진부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킨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본체 케이스에 대해서 개폐 가능한 덮개체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덮개체에 설치된 흡입구와, 이 흡입구의 하류측에서 덮개체에 설치되어, 진애와 공기를 분리하는 진애 분리부와, 이 진애 분리부와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을 연통하는 동시에, 진애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진애가 통과하는 주풍로와, 이 주풍로에 설치되어, 덮개체를 닫은 상태로 본체 케이스에 유지되는 동시에, 진애 분리부에 의해 주풍로측에 분리된 진애를 포집하는 집진부와, 주풍로와는 별개로 진애 분리부와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을 연통해서 적어도 일부가 덮개체에 설치되어, 하류측이 주풍로와 합류하는 제1풍로와, 적어도 일부가 이 제1풍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필터와, 흡입구와는 별개로 외기를 도입 가능한 도입구와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을 집진부를 거쳐 연통하고, 적어도 일부가 덮개체에 설치된 제2풍로와, 제2풍로 및 도입구를 닫은 상태로, 주풍로와 제1풍로를 통해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진애를 집진부 및 필터에 포집 가능한 흡입 상태와,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도입구를 통해 외기를 제2풍로에 도입하고, 필터에 포집한 미세먼지를 집진부와 제2풍로를 통해서 이동시키는 진애 이동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 상태에서는, 주풍로의 집진부에서 포집하는 진애량이 증가해도,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는 제1풍로로 분기되어 흡입 풍량의 저하가 억제되고, 절환 수단에 의해 진애 이동 상태로 절환하면, 필터에 포집된 진애가 집진부로 이동되어 필터의 눈막힘에 의한 제1풍로측의 풍로 저항의 증가가 억제되므로, 흡입력의 경시적인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제1풍로와 제2풍로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덮개체에 설치함으로써, 덮개체를 연 상태로 집진부가 노출되므로, 집진부의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구성을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1, 도3, 도4 및 도10에 있어서, 1은 청소기 본체이며, 이 청소기 본체(1)는, 이른바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이다. 이 청소기 본체(1)는, 본체 케이스(2) 와 이 본체 케이스(2)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체(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2)는, 전후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케이스(5)와, 이 하부 케이스(5)의 상측에 부착된 상부 케이스(6)를 구비하고, 전동 송풍기(7)를 수용하는 전동 송풍기실(8)이 후방부에 형성되어, 집진부로서의 주집진부인 집진 유닛(9)이 착탈 가능하게 재치되는 집진부 부착부로서의 오목한 형상의 재치부(10)가 전방부에 형성되고, 이들 전동 송풍기실(8)과 재치부(10)의 사이에, 미세먼지 집진부로서의 부집진부인 필터부(12)가 끼워 맞춰지는 공간부(13)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13)와 전동 송풍기실(8)의 사이에, 격벽부(14)가 배치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5)의 후방측의 양측부에는, 각각 대경의 종동륜(16)(한쪽만 도시)이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또, 하부 케이스(5)의 재치부(10)의 하방의 하면에는, 선회륜(17)이 선회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이 결과, 청소기 본체(1)는, 종동륜(16)과 선회륜(17)에 의해, 피청소면으로서의 마루면상을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6)는, 하부 케이스(5)의 후방부 양측을 덮어 전동 송풍기실(8)의 양측부를 형성하는 측면부(21)(한쪽만 도시)와, 하부 케이스(5)의 후방부를 덮는 후면부(22)와, 하부 케이스(5)의 상방을 덮어 전동 송풍기실(8)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면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상부 케이스(6)에는, 하부 케이스(5)의 전후방향의 대략 중심 영역인 격벽부(14)의 주위에서 상면부(23)의 전방부로부터 전방측과 하방으로 경사진 후방부 경사부로서의 제1경사부(24)가 형성되고, 이 제1경사부(24)의 전방부에서 대략 수평 형상으로 수평부로서의 진애받이부인 미세먼지 받이부(25)가 형성되고, 이 미세먼지 받이부(25)의 하부에서 또한 재치부(10)의 후방부에서 전방측과 하방으로 경사져서 하부 케이스(5)의 상면까지 연장되는 전방부 경사부로서의 제2경사부(26)가 형성되고, 또한, 이 제2경사부(26)의 전방부에서, 하부 케이스(5)의 상면을 따라 이 하부 케이스(5)의 전단 근방까지 대략 수평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 연장 설치부(27)가 형성되어, 이 연장 설치부(27)의 전단부가 하부 케이스(5)에 걸려 있다.
각 측면부(21)에는, 전동 송풍기실(8)과 청소기 본체(1)의 외부를 연통하는 배기구멍(31)이 다수 천설되어 있다.
후면부(22)에는, 전동 송풍기실(8)의 측방에 수용된 도시하지 않은 코드 릴에 권회된 전원 코드를 인출 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인출구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상면부(23)에는, 청소기 본체(1)를 파지하기 위한 핸들(35)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경사부(24)는, 격벽부(14)의 상류측과 필터부(12)의 하류측이 면하는 통기구(37)를 가지고, 격벽부(14)의 주위를 둘러싼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세먼지 받이부(25)는, 공간부(13)에 부착된 필터부(12)의 하부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필터부(12)의 하부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또, 이 미세먼지 받이부(25)는, 하부 케이스(5)의 상면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간되어 있고, 이 미세먼지 받이부(25)의 하면과 하부 케이스(5)의 상면의 사이에, 제2경사부(26)와 격벽부(14)의 사이에 걸친 수용 공간부(39)가 구획되어 있다.
제2경사부(26)는, 하부 케이스(5)의 선회륜(17)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사 각 구멍 형상의 하부 연통 개구(41)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연장 설치부(27)는, 재치부(10)의 하부를 구획하는 것이다.
전동 송풍기실(8)에는, 전동 송풍기(7)가, 흡입측을 전방측, 배기측을 후방측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동 송풍기(7)는, 전방측의 외주연부에, 유지 부재로서의 시일 부재인 가요성을 가지는 환상의 모터 패킹(43)이 끼워 붙임되고, 이 모터 패킹(43)을 통해 전동 송풍기실(8)에 끼워 붙임되어 있다. 또, 전동 송풍기(7)는, 상측을 피복 부재인 모터 커버(44)에 의해 덮고 있다. 또한, 이 전동 송풍기실(8)의 모터 커버(44)의 상방에는, 전동 송풍기(7) 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이 수용되어 있다.
집진 유닛(9)은, 외곽을 이루는 집진부 본체로서의 컵 부재(51)와, 이 컵 부재(51)에 부착되는 주필터로서의 여과 필터인 집진봉투 즉 종이 팩(52)을 구비하고 있다.
컵 부재(51)는, 전방측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 설치된 주벽부(55)와, 이 주벽부(55)의 상부에 형성된 상벽부(56)와, 주벽부(55)의 양측간에 걸친 상벽부(56)의 후방부에 연속해서 형성된 횡벽부(57)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부착 개구(58)를 개구해서 형성되어 있다.
주벽부(55)는, 재치부(10)의 형상에 따라 전방측으로부터 양측부로 만곡 형성되어, 재치부(10)에 부착한 상태로, 양측부의 후단이 필터부(12)의 양측부를 유지하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주벽부(55)의 전단부의 좌우 방향의 중심부에는, 후방측으로 오목 형상으로 패인 수용 오목부(61)가 상벽부(56)에 걸쳐 연 속하도록 형성되고, 이 수용 오목부(61)가, 주벽부(55)의 전방부에 부착된 피복 부재(62)에 의해 덮여 있다.
수용 오목부(61) 내에는, 덮개체(3)를 닫은 상태로 이 덮개체(3)에 의해 작동되어 집진 유닛(9)의 재치부(1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기구(65)가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이탈 방지 기구(65)는, 덮개체(3)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됨으로써 피복 부재(62)의 하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손톱 형상으로 돌출하는 걸림체(68)를 하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피복 부재(62)는, 상벽부(56)로부터 주벽부(55)의 전방부에 걸쳐 굴곡져 있고, 상벽부(56)에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고정되는 돌기부(62a)가 상부에 형성되고, 이 돌기부(62a)의 전방에 이탈 방지 기구(65)의 상단부가 노출되는 노출 개구(62b)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피복 부재(62)의 하단부는, 걸림체(68)가 돌출 가능한 절결부로 되어 있다.
또, 상벽부(56)는, 집진 유닛(9)의 상면을 이루는 것으로, 좌우방향의 대략 중심 영역에, 진애 흡입구로서의 집진부 흡입구인 원형상의 유닛 흡입구(76)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닛 흡입구(76)의 주연부에는, 집진부 시일 부재로서의 가요성을 가지는 환상의 시일 패킹(77)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유닛 흡입구(76)의 내주연부는, 집진 유닛(9)의 안쪽 및 하방을 향해, 집진부 정류부로서의 원통 형상의 도입통부(78)로서 연속하고 있다. 또, 상벽부(56)의 유닛 흡입구(76)의 전방의 양측부에는, 덮개체(3)와 걸어맞춤되는 피걸어맞춤부로서의 피걸어맞춤 볼록부(79, 79)가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도입통부(78)는, 유닛 흡입구(76)로부터 흡입된 진애를 정류하는 동시에, 종이 팩(52)을 부착하는 통부이다.
또, 피걸어맞춤 볼록부(79, 79)는, 상벽부(56)에 대해서 루프상으로 돌출하여, 이 상벽부(56)과의 사이에 덮개체(3)의 일부가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벽부(56)의 유닛 흡입구(76)의 양측에는, 덮개체(3)와 끼워맞춤되는 집진부 걸림부로서의 끼워맞춤 돌기부(81, 81)가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벽부(56)의 끼워맞춤 돌기부(81, 81)의 양측으로부터 후방부에는, 집진부 파지용의 집진부 핸들로서의 유닛 핸들(82)이 설치되어 있다.
각 끼워맞춤 돌기부(81)는, 가요성을 가지는 유지 부재(84)가 상부로부터 양측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유지 부재(84)는, 덮개체(3)를 닫은 상태로 덮개체(3)에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약간 변형함으로써, 이 변형의 복원력에 의해 이 덮개체(3)를 좌우 방향으로 열리도록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횡벽부(57)는, 상하 방향으로 대략 수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재치부(10)에 부착한 상태로 필터부(12)의 전방측 하부에 대향하여, 이 필터부(12)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이다.
부착 개구(58)는, 종이 팩(52)을 컵 부재(51)에 대해서 착탈하기 위한 개구이며, 집진 유닛(9)을 재치부(10)에 부착한 상태로, 재치부(10)에 내연부가 끼워맞춤된다.
한편, 종이 팩(52)은, 도입통부(78)가 삽입되는 집진봉투 개구로서의 팩 개 구(87)가 개구된 입구 프레임(88)과 이 입구 프레임(88)에 장착된 봉투체(89)를 구비하고 있다.
입구 프레임(88)은, 예를 들면 볼지 등의 두꺼운 종이에 의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컵 부재(51)의 내부에 걸려 있다.
봉투체(89)는, 통기성 소재인 여과재를 예를 들면 복수 적층해서 봉투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미사용 상태에서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3 내지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치부(10)에는, 집진 유닛(9)의 부착 개구(58)에 끼워맞춤되는 프레임(9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레임(91)은, 격자 개구(92)가 격자 형상으로 개구 형성된 대략 수평 판 형상의 격자부(93)와, 이 격자부(93)의 주연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벽부(94)를 가지고 있다.
격자부(93)는, 각 격자 개구(92) 사이가 격자형상의 리브(95)로 되어 있는 동시에, 이 리브(95)의 전후방향에 따른 일부가, 상부 케이스(6)의 연장 설치부(27)의 상면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격자부(93)의 판 형상의 하면은, 상부 케이스(6)에 대해서 이간되고, 이 이간된 부분이, 하부 연통 개구(41)와 연속하는 재치부 풍로(96)로 되어 있다.
또, 벽부(94)의 내주측에는, 종이 팩(52)의 봉투체(89)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편부(97)가 복수 개소에 대략 수평 형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벽부(94)의 외주연부 전체에는, 집진 유닛(9)의 부착 개구(58)의 주연부가 기밀하게 맞닿는 재치부 시일 부재로서의 환상의 패킹(98)이 부착되어 있다.
필터부(12)는, 도1, 도3, 도4 및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곽을 이루는 필터부 본체로서의 필터 용기(101)와, 이 필터 용기(10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플리츠 필터체(102)를 구비하고 있다.
필터 용기(101)는, 가로로 긴 전면부(104)와, 이 전면부(104)의 전체의 주연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프레임면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전면부(104)는, 상측에 위치해서 후방과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07)과, 이 경사면(107)의 하부에 연속하는 대향면(108)을 가지고 있다. 또, 이 전면부(104)의 후방부에는, 필터부(12) 내에 풍로를 형성하는 덕트부(10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107)은, 필터부(12)를 공간부(13)에 부착한 상태로 전방측 상방을 향해 대향하는 면부이며, 가로로 긴 사각형상의 필터 개구(111)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이 필터 개구(111)는, 덕트부(109)와 플리츠 필터체(102)의 전방부가 각각 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향면(108)은, 집진 유닛(9) 및 필터부(12)를 각각 본체 케이스(2)에 부착한 상태에서, 집진 유닛(9)의 컵 부재(51)의 횡벽부(57)와 대향하는 면부이다.
또, 덕트부(109)는, 하측의 프레임면부(105)의 상면의 상방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진애 흡인부로서의 덕트 빨아올림부(109a)와, 이 덕트 빨아올림부(109a)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된 진애 이동부로서의 덕트 들어올림부(109b)에 의해, 정면에서 봐서 역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덕트 빨아올림부(109a)는, 플리츠 필터체(102)에서 포집한 진애를, 전동 송풍기(7)의 부압의 작용에 의해 빨아 올리는 부분이며, 공기의 통과 방향인 좌우 방 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풍로 단면이 비교적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덕트 빨아올림부(109a)는, 하측의 프레임면부(105)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이간되어 있다.
또, 덕트 들어올림부(109b)는, 덕트 빨아올림부(109a)에 의해 빨아 올려진 진애를 다시 들어올리는 부분이며, 공기의 통과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풍로 단면이 비교적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덕트 들어올림부(109b)의 상단부는, 전면부(104)의 필터 개구(111)로부터 전방에 면하고 있다. 따라서, 이 덕트 들어올림부(109b)의 상단부는, 전면부(104)의 경사에 따라 대략 면 일치로 되도록 경사상으로 개구되어 있고, 그 주연부에는, 필터 개구(111)의 주연부와 연속하는 필터부 시일 부재로서의 시일 패킹(113)이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면부(105)는, 상부 케이스(6)의 통기구(37)에 후방부가 대향하고, 이 통기구(37)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지지 리브(114)에 하면이 끼워맞춤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하측의 프레임면부(105)의 전방부인 대향면(108)의 하단에는, 덕트부(109)의 덕트 빨아올림부(109a)의 하단부에 대향하는 빨아올림 개구(115)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의 프레임면부(105)의 하면에는, 필터부(12)를 공간부(13)에 부착할 때의 위치 결정 및 고정용의 위치 결정 돌기부(116, 116)가 양측 근방에서 하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의 프레임면부(105)의 상면의 양측 근방에는, 필터부(12)를 공간부(13)에 부착할 때의 위치 결정하는 동시에, 이 필터부(12)를 본체 케이스(2)에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편부(117, 117)가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각 걸림편부(117)에는, 도시하지 않은 걸림 구멍부가 천설되어 있고, 이들 걸림 구멍부에는, 상부 케이스(6)의 제1경사부(24)의 상부의 양측 근방, 즉 핸들(35)의 양단부의 전방으로 상방을 향해 돌출 설치된 걸림 돌출부(124, 124)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플리츠 필터체(102)는, 필터로서의 여과 필터인 미세먼지 필터(보조 필터), 즉 플리츠 필터(126)와, 이 플리츠 필터(126)의 주위를 둘러싸는 필터 프레임(127)을 가지고 있다.
플리츠 필터(126)는, 예를 들면 표면 집진하는 4불화 에틸렌(PTFE) 등의 필터이며, 예를 들면 집진 유닛(9)의 종이 팩(52)보다 미세한 진애를 표면 즉 상류측의 면에서 포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플리츠 필터(126)는,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산부와 골부를 좌우 방향으로 교대로 가지는 물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 프레임(127)은, 필터 용기(101)의 프레임면부(105)의 모서리부에 후방측으로부터 끼워맞춤 가능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부 전체에 걸친 프레임면부(105) 내와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시일 부재인 도시하지 않은 패킹이 끼워 붙임되어 있다. 또, 이 필터 프레임(127)에는, 플리츠 필터(126)의 하부에 대향하고, 또한, 전방으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격벽부(14)는, 도3, 도4, 도8 및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측 즉 공간부(13)측에 위치하는 전방측 격벽으로서의 격벽체(131)와, 후방측 즉 전동 송풍기실(8)측에 위치하는 후방측 격벽으로서의 풍로 형성체인 덕트체(132)를 가지는 격벽부 본체(133)와, 이 격벽부 본체(133)의 전방으로 통기구(37)를 덮도록 끼워 붙 임되는 격벽판부로서의 필터판(134)과, 이 격벽부(14)의 전방에 위치하는 플리츠 필터(126)에서 포집한 진애를 제거하는 진애 제거 기구인 진애 떨이부(135)와, 이 진애 떨이부(135) 등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136)를 구비하고 있다.
격벽체(131)는, 통기구(37)의 후방부 전체를 덮도록 끼워 붙임되어 수용 공간부(39)의 상부를 구획하는 것으로, 대략 평면상의 본체부인 격벽체 본체(141)와, 이 격벽체 본체(141)의 주연부 전체에 걸친 전방으로 돌출하는 프레임인 격벽체 프레임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격벽체 본체(141)에는, 대략 중앙부에 둥근 구멍 형상의 흡입 개구(144)가 천설되어 있다. 또, 이 격벽체 본체(141)의 일측의 흡입 개구(144)의 상방에는, 외기 연통부(145)가 후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흡입 개구(144)는, 공간부(13)와 전동 송풍기(7)의 흡입측을 연통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이 흡입 개구(144)의 전방부의 주연부에는, 개구 시일 부재로서의 개구 패킹(147)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흡입 개구(144)의 후방부의 주연부에는, 후단부가 덕트체(132)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로서의 원통 형상의 연결통부(14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외기 연통부(145)는, 공간부(13)를 외기와 연통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격벽체 본체(141)의 후방부에서 후방으로 대략 수평 형상으로 돌출한 돌출 수평판부(151)와, 이 돌출 수평판부(151)에 천설된 사각 구멍 형상의 도입 연통구(152)와 격벽체 본체(141)에 천설된 사각 구멍 형상의 도입구(153)를 연통하는 기밀한 풍로를 구획하는 덕트상의 풍로 구획부(15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 외기란, 풍로의 외부에 위치하는 공기를 말하고, 반드시 청소기 본체(1)의 외부의 공기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격벽체 프레임부(142)는, 전단부가 상부 케이스(6)의 통기구(37)의 후방부의 주연부에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덕트체(132)는, 모터 패킹(43)의 전면이 밀착하는 대략 평판 형상의 풍로 형성체 본체로서의 덕트체 본체(157)를 가지고, 이 덕트체 본체(157)의 전방부에 덕트 형성부(158)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덕트체 본체(157)는, 흡입 개구(144)와 대략 동등한 둥근 구멍 형상의 흡입 연통 개구(161)가 대략 중앙부에 천설되고, 이 흡입 연통 개구(161)의 후방부의 주연부에는, 전단부가 연결통부(148)와 시일 부재인 패킹(162)을 통해 기밀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로서의 원통 형상의 돌출통부(16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덕트 형성부(158)는, 덕트체 본체(157)에 대해서 전방에 위치하고, 돌출통부(163)의 하부에 연속해서 하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덕트 형성부(158)와 덕트체 본체(157)의 사이에는, 돌출통부(163) 내와 연통하는 연통 풍로(165)가 구획되어 있다. 이 연통 풍로(165)의 상단부인 돌출통부(163)과의 연통부에는, 연통 풍로(165)의 폭이 전후방향으로 좁아지도록 단차부(16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덕트 형성부(158)의 하부에는, 연통 풍로(165)에 연통하는 풍로 연통구(167)가 천설되고, 이 풍로 연통구(167)의 전방부에는, 하부 연통 개구(41)와의 사이에, 전후방향에 따른 통기 풍로(168)를 구획하는 풍로 구획체(169)가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즉, 이 풍로 구획체(169)는, 수용 공간부(39) 내에 수용되어, 통 기 풍로(168)와 연통 풍로(165)와 재치부 풍로(96)를 서로 연통시키는 것이다.
필터판(134)은,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구(37) 전체를 덮는 필터판 본체(171)를 구비하고, 이 필터판 본체(171)의 상측에 가까운 위치에는, 진애 떨이부(135)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하는 좌우 방향으로 긴 구멍 형상의 돌출구멍(172)이 천설되어 있는 동시에, 이 돌출구멍(172)의 하방에, 복수의 통기 개구(173)가 격자 형상으로 천설되고, 이들 통기 개구(173)에는, 필터 부재인 메쉬 필터(174)가 설치되어 있다.
진애 떨이부(135)는,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애 제거 기구 본체로서의 가로로 긴 진애 떨이부 본체(176)을 가지고, 이 진애 떨이부 본체(176)의 후방부의 상하 각 위치에, 좌우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 형상으로 배치된 안내체인 한쌍의 가이드체(177, 177)가 삽입되는 피가이드부(178, 178)가 통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진애 떨이부 본체(176)의 후방부의 상측에는, 구동 기구(136)와 치합되는 랙 기어 형상의 기어부(179)가 좌우 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결과, 진애 떨이부(135)는, 구동 기구(136)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진애 떨이부 본체(176)의 전방부의 좌우 양측에는, 전방으로 개구하는 공간부(180, 180)가 내부에 설치되고, 이 공간부(180, 180)에, 진애 제거체로서의 먼지 떨이체(181)(한쪽만 도시)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피봇되어 있다.
각 가이드체(177)는, 예를 들면 금속성의 막대 등이며, 양측의 격벽체 프레 임부(142)에 설치된 가이드체 받침부(183)에 의해 각각의 양단부가 지지를 받고 있다.
각 먼지 떨이체(181)는, 전단부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도5에 도시하는 필터판(134)의 돌출구멍(172)에 삽입되어, 본체 케이스(2)의 공간부(13)에 부착한 필터부(12)의 플리츠 필터(126)의 골부에 끼워맞춤하고 있다.
여기서, 각 먼지 떨이체(181)는, 좌우 방향의 어느 한 방향과, 도시하지 않은 가압 수단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어,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각 먼지 떨이체(181)의 전단부가 전방을 향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기구(136)는, 도8 및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덕트체(132)의 후방부에 구동원으로 되는 모터(185)를 구비하고, 이 모터(185)의 전방으로 돌출한 회전축에, 기어(186, 187)가 각각 전후방향으로 이간되어 동축에 설치되어 있다.
기어(186)는, 격벽체(131)와 덕트체(132)의 사이에서 기어(187)의 후방 즉 모터(185)측에 위치하고, 후방부에는 캠부(191)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기어(186)는, 상방에 위치하는 회전 기어(192)와 치합되어 있다.
캠부(191)는, 기어(186)가 대략 일주한 상태에서 기어(186)의 측방에 배치된 스위치(194)의 스위치편(194a)에 맞닿음으로써, 이 스위치(194)의 온 오프를 절환하고, 이 절환에 의해 모터(185)의 온 오프를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회전 기어(192)는, 중심각이 대략 90°인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전후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회전축(192a)이 연통풍로(165) 내에 삽입되고, 이 회 전축(192a)의 전단부가 격벽체(131)의 격벽체 본체(141)에, 후단부가 덕트체 본체(157)에, 각각 피봇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회전 기어(192)의 전방부에는, 이 회전 기어(192)와 대략 동등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규제판부(196)가 이 회전 기어(192)와 동축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 기어(192)의 회전축(192a)에는, 풍로 개폐밸브로서의 사각형 판 형상의 밸브 본체(197)가 부착되어, 회전축(192a)과 일체적으로 연통 풍로(165)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기어(192)의 회전축(192a)의 전단부에는, 격벽체 본체(141)의 전방으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 부재로서의 암부(198)의 일단부가 피봇되어 있다.
규제판부(196)에는, 회전 기어(192)의 외주연부의 상단 근방에, 가이드부(20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203)는, 회전 기어(192)의 후방부에 위치하고, 이 회전 기어(192)의 후방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원호상의 가이드 리브에 끼워맞춤되는 홈부(203a)가 후방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홈부(203a) 내에는, 기어 가압 수단으로서의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이, 홈부(203a)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은, 가이드 리브의 양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설치된 돌기부에 회전 기어(192)의 회전에 의해 맞닿음으로써, 규제판부(196)를 통해 회전 기어(192)를 회전 방향과 역방향을 향해 주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또, 가이드부(203)의 상부에는, 연동체(205)가 맞닿아 있고, 이 연동체(205)의 상부에는, 도입 연통구(152)를 개폐함으로써 도입구(153)를 간접적으로 개폐하 는 도입구 개폐밸브(206)가 연결되어 있다.
연동체(205)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긴 구멍 형상의 가이드구멍(205a)이 천설되어 있다. 이 가이드구멍(205a)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돌기부가 삽입되고, 이 가이드 돌기부를 따라 연동체(20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연동체(205)의 하단부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평면에 맞닿음면부(20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면부(205b)는, 가이드부(203)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지지 되어 있고, 회전 기어(192)의 회전에 수반하는 가이드부(203)의 상하동에 대응해서 연동체(205)가 상하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입구 개폐밸브(206)는, 격벽체(131)의 격벽체 본체(141)와 덕트체(132)의 덕트체 본체(157)의 사이에서, 연결통부(148)(돌출통부(163))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격벽체 본체(141)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된 원통 형상의 회전축부(206a)가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 회전축부(206a)의 측방에는, 연동체(205)의 상단부에 연결된 피연결부(206b)와, 도입 연통구(152)를 개폐하는 개폐밸브 본체(206c)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피연결부(206b)는, 선단측이 하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개폐밸브 본체(206c)는, 도입 연통구(152)보다 큰 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부(206a)에 대해서 피연결부(206b)와 반대측의 측부에 돌출 설치되어, 선단측이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도입구 개폐밸브(206)는, 정면에서 봐서 대략 ヘ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폐밸브 본 체(206c)는, 도입 연통구(152)의 하방에 면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입구 개폐밸브(206)는, 회전 기어(192)의 회전에 수반해서 연동체(205)가 상하동함으로써, 피연결부(206b)가 상하동되고, 이 피연결부(206b)의 상하동에 의해, 회전축부(206a)를 통해 반대측에 위치하는 개폐밸브 본체(206c)가, 피연결부(206b)와 반대 방향으로 상하동함으로써, 도입 연통구(152)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197)는, 회전 기어(192)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이 회전 기어(192)의 회전에 수반해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밸브 본체(197)의 대략 중앙부에는, 사각 구멍 형상의 통풍구멍(208)이 천설되어 있다. 또한, 이 밸브 본체(197)의 모터(185)와 반대측의 면에는, 이 밸브 본체(197)의 주연부 전체에 걸친 프레임 형상의 개폐밸브 시일 부재인 시일 패킹(209)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본체(197)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전 기어(192)가 상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에 따른 상태로 되어 연통 풍로(165)를 개방하고, 회전 기어(192)가 하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에 따른 상태로 되어 시일 패킹(209)이 단차부(166)에 압접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암부(198)는, 격벽체(131)의 격벽체 본체(141)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있고, 회전 기어(192)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이 회전 기어(192)의 회전에 수반해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암부(198)의 선단부에는, 개폐 절환 밸브로서의 원판 형상의 개폐밸브체(21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 다.
이 개폐밸브체(211)는, 흡입 개구(144)보다 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암부(198)의 회전에 연동해서 회전함으로써, 흡입 개구(144)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기어(187)는, 회전 기어(192)로 반대측의 측방에서 크랭크 기어(214)와 치합되어 있다. 이 크랭크 기어(214)에는, 전단부가 격벽체(131)의 격벽체 본체(141)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는 크랭크 기어축부(214a)가 전방부 중앙에 돌출 설치되고, 주연부 근방의 후방부에서, 링키지(215)를 통해 슬라이딩 부재인 슬라이드 부재(216)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크랭크 기어(214), 링키지(215) 및 슬라이드 부재(216)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216)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왕복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즉, 링키지(215)는, 하단부가 크랭크 기어(214)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고, 상단부가 슬라이드 부재(216)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216)의 후방부의 양측부의 상하에는, 슬라이드 부재(216)를 상하 방향에 따라 가이드하는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가 삽입 관통하는 가이드 통부(219)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216)의 전방부의 일측에는, 래크 형상의 슬라이드 기어부(221)가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 기어부(221)에는, 슬라이드 부재(216)의 상방 일측에 위치하는 연결 기어(222)가 치합되어 있다.
이 연결 기어(222)는, 격벽체(131)의 격벽체 본체(141)의 후방부에 위치하 고, 전방부에 대경의 기어(223)가 동축에 일체로 설치되고, 격벽체 본체(141)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또, 이 기어(223)는, 일측에 위치하는 기어(224)에 치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어(224)는, 격벽체 본체(141)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는 동시에, 이 격벽체 본체(141)의 전방부에서 도입구(153)의 측방에 위치하는 기어(225)와 동축에 설치되고, 이 기어(225)가, 진애 떨이부(135)의 기어부(179)에 치합되어 있다.
한편, 도1, 도2 및 도6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체(3)는, 덮개체 본체(231)와, 이 덮개체 본체(231)의 전단부 상측에 연결되는 덮개체 연결부(232)와 덮개체 본체(231)의 하부에 끼워 붙임된 풍로 구획부(233)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체 본체(231)는, 덮개체(3)의 외곽을 이루는 것이며, 전방으로 상측으로 만곡해서 형성되어, 후단부에 피피봇부(235, 235)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전단부에, 전방측과 하방으로 경사진 연결부 부착부(23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덮개체 본체(231)의 양측에는, 구멍부(241)(한쪽만 도시)가 설치되고, 이들 구멍부(241)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폐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각 피피봇부(235)는, 힌지부(243)를 통해, 핸들(35)의 전방에서 본체 케이스(2)의 상부 케이스(6)에 연결되어 있다.
또, 개폐 버튼은, 덮개체(3)의 본체 케이스(2)에의 걸림을 해제할 때에 조작되는 것으로, 덮개체 본체(231)와 덮개체 연결부(232)의 사이에 배치된 걸림 기구(245)로 연결되고, 양측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중앙측으로 푸시 조작됨으로써, 이 걸림 기구(245)를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 기구(245)는, 도1 및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 유닛(9)의 컵 부재(51)의 상부의 피걸어맞춤 볼록부(79, 79)와 상벽부(56)의 사이에 좌우 방향의 중심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부재(247, 247)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걸림부재(247, 247)는, 풍로 구획부(233)의 하부에 위치하고, 가압 수단인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어, 개폐 버튼의 푸시 조작에 의해 가압에 저항하여 좌우 방향의 중심측으로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함으로써 피걸어맞춤 볼록부(79, 79)와 상벽부(56)의 사이에의 걸어맞춤이 어긋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1, 도2 및 도5로 되돌아와서, 연결부 부착부(237)는, 중앙부에 둥근 구멍 형상의 부착구멍(249)이 개구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 연결부(232)는, 흡입구로서의 둥근 구멍 형상의 호스 접속구(251)를 개구하는 원통 형상의 접속통부(252)를 중심부에 가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연결부 본체(253)를 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가지고, 이 연결부 본체(253)의 주연부가, 대략 원통 형상의 연결부 부착부(254)에 의해 연결부 부착부(237)에 장착되어 있다.
호스 접속구(251)는, 청소기 본체(1)의 전방측 상방을 향해 개구하고 있고, 이 호스 접속구(251)의 개구 방향, 즉 접속통부(252)의 축 방향은, 수평 방향(연직 상하 방향)에 대해서 대략 40°경사져 있다.
또, 접속통부(252)는, 호스 접속구(251)를 전단부에 가지고, 후단부가 평평한 직선 원통 형상의 통 형상체(256)에 삽입되고, 이 통 형상체(256)가 시일 부재 로서의 패킹(257)을 통해 연결부 부착부(237)의 부착구멍(249)에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즉, 호스 접속구(251)로부터 부착구멍(249)에는, 접속통부(252) 및 통 형상체(256)를 통해 직선 형상으로 연통하고 있다.
여기서, 통 형상체(256)는, 연결부 부착부(254)와 일체적으로 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 접속구(251)에는, 도3, 도4 및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호스체(261)의 기단부의 연결관(262)이 접속통부(252)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이 호스체(261)의 선단부에, 손잡이 조작부(263)가 설치되고, 이 손잡이 조작부(263)에는, 작업자가 쥐는 파지부(264)가 돌출 설치되고, 이 파지부(264)에는, 작업자에 의해 전동 송풍기(7)의 동작 모드 등을 제어 수단으로 설정하는 설정 버튼(265)이 복수 설치되고, 또한, 손잡이 조작부(263)의 선단부에는, 연장관(266)과 흡입구체로서의 마루 브러시(267)가 순차 연통 접속된다.
따라서, 호스체(261)의 기단측인 연결관(262)은, 접속통부(252)를 가지는 연결부 부착부(254)와 통 형상체(256)에 의해 청소기 본체(1)(본체 케이스(2))에 대해서 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풍로 구획부(233)는, 최하부에 위치하는 제1풍로 구획판으로서의 풍로 하판부(275)와, 이 풍로 하판부(275)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에 연속하는 제2풍로 구획판으로서의 풍로 전판부(276)와, 이 풍로 전판부(276)의 후방 및 풍로 하판부(275)의 상방에 연속하는 제3풍로 구획판으로서의 풍로 상판부(277)와, 이 풍로 상판부(277)와 풍로 하판부(275)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4풍로 구획판으로서의 풍로 중판부(278)와, 풍로 하판부(275), 풍로 상판부(277) 및 풍로 중판부(278)의 후단에 연속하는 제5풍로 구획판으로서의 풍로 후판부(279)를 가지고, 풍로 하판부(275)의 전단부와 풍로 전판부(276)와 풍로 상판부(277)의 전단부의 사이에, 분리 공간부(281)가 구획되고, 풍로 상판부(277)와 풍로 중판부(278)의 사이에 제1부분 풍로로서의 상풍로(282)가 구획되고, 풍로 중판부(278)와 풍로 하판부(275)의 사이에 제2부분 풍로로서의 하풍로(283)가 구획되어 있다.
풍로 하판부(275)는, 덮개체(3)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덮개체 본체(231)의 하부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풍로 하판부(275)의 대략 중앙부에는, 집진 유닛(9)의 유닛 흡입구(76)와 연통하는 연통구(285)가 천설되고, 이 연통구(285)의 외주에는, 도1 및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일 패킹(77)으로 기밀하게 접속되는 덮개체 하부 시일 부재로서의 링 형상의 시일 패킹(286)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풍로 하판부(275)에는, 연통구(285)의 양측방에, 집진 유닛(9)의 끼워맞춤 돌기부(81, 81)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오목부(287, 287)가 설치되고, 또한, 연통구(285)의 전방의 양측에, 걸림부재(247, 247)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걸림 끼워맞춤 오목부(288, 28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풍로 하판부(275)의 전단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덮개체(3)를 닫은 상태로 집진 유닛(9)의 노출 개구(62b)에 삽입되고, 이탈 방지 기구(65)를 동작시키는 동작 돌기부(289)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풍로 하판부(275)의 동작 돌기부(289)의 후방에는, 집진 유닛(9)의 돌기부(62a)가 끼워맞춤하는 돌기부 끼워맞춤 오목부(290)가 형성되어 있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풍로 전판부(276)는, 덮개체 본체(231)의 연결부 부착부(237)의 하면에 끼워 붙임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풍로 전판부(276)는, 전방으로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풍로 전판부(276)에는, 접속통부(252)를 통해 호스 접속구(251)에 연통하는 둥근 구멍 형상의 풍로 연통 개구(293)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이 풍로 연통 개구(293)는, 장치구멍(249) 즉 접속통부(252)보다 직경 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통부(252)의 하류측의 단부인 후단부가 끼워맞춤되어, 개구 방향을 따라 내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풍로 상판부(277)는, 전단부에 위치해서 분리 공간부(281)를 구획하는 전방측 구획부(277a)와, 이 전방측 구획부(277a)의 후단부에 연속해서 상풍로(282)를 구획하는 후방측 구획부(277b)를 가지고, 양측부가 연통구(285)의 주연부의 외방에서 풍로 하판부(275)에 연속하고 있다.
전방측 구획부(277a)는, 풍로 전판부(276)의 후단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돌출되고, 또한, 후방측 구획부(277b)로 분리 공간부(281)가 직경이 축소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후방측 구획부(277b)는, 전방측 구획부(277a)의 후단부에 대해서 단면에서 봐서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전방측 구획부(277a)와 후방측 구획부(277b)의 연속부에는, 풍로 중판부(278)의 상풍로(282)측의 면과의 사이에, 분리 공간부(281)와 상풍로(282)를 연통하는 제1부분 풍로 통기구로서의 제1풍로 통기구(295)가 형성되어 있다.
풍로 중판부(278)는, 연통구(285)의 주연부를 따라 풍로 하판부(275)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전단부가 풍로 상판부(277)의 전방측 구획부(277a)와 후방측 구획부(277b)의 연속부를 따라, 이 연속부의 내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 풍로 중판부(278)의 전단부에는, 분리 공간부(281)와 하풍로(283)를 연통하는 제2부분 풍로 통기구로서의 제2풍로 통기구(297)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풍로 중판부(278)의 상풍로(282)측에는, 걸림 리브(29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제2풍로 통기구(297)는, 부착구멍(249) 즉 접속통부(252)와 대략 동등한 직경 치수를 가지는 둥근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접속통부(252)의 축 방향을 따라 개구 방향을 가지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다.
풍로 후판부(279)는, 덮개체(3)를 닫은 상태에서 필터부(12)의 필터 용기(101)의 경사면(107)에 대향하는 경사면상, 즉 후방으로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풍로 후판부(279)는, 도2 및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풍로(282)의 하류단에 위치하는 제1부분 풍로 배기구로서의 제1연통 개구(301)와, 하풍로(283)의 하류단에 위치하는 제2부분 풍로 배기구로서의 제2연통 개구(302)가 각각 개구 형성되고, 이들 제1연통 개구(301)와 제2연통 개구(302)의 주연부에 연속해서, 덮개체 후방부 시일 부재로서의 시일 패킹(303)이 장착되어 있다.
제1연통 개구(301)는, 필터부(12)의 경사면(107)에 천설된 필터 개구(111)와 대략 동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연통 개구(302)는, 필터부(12)의 덕트 들어올림부(109b)의 상단 개구와 대략 동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일 패킹(303)은, 덮개체(3)를 닫은 상태로 필터부(12)의 시일 패킹(113)과 맞닿아, 상풍로(282) 및 하풍로(283)를 필터부(12)의 필터 개구(111)의 상류측 및 덕트 들어올림부(109b)의 상단 개구의 상류측에 각각 기밀하게 접속하는 것이다.
분리 공간부(281)는, 호스 접속구(251)의 개구 방향 즉 접속통부(252)의 축 방향과 대략 동등한 방향을 따라 경사진 축 방향을 가지는 공간부이며, 호스 접속구(251)로부터 공기와 함께 흡입한 진애를 공기와 진애로 분리하는 진애 분리부(311)가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진애 분리부(31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분리부 본체(314)와, 이 분리부 본체(314)에 부착된 필터로서의 메시 필터(315)를 가지고 있다.
분리부 본체(314)는, 전단부가 풍로 연통 개구(293)의 주위에서 풍로 전판부(276)의 후단부에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후단측으로 직경이 축소되고, 후단부가 풍로 중판부(278)의 전단부에 걸려 제2풍로 통기구(297) 및 연통구(285)와 각각 연통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분리부 본체(314)는, 연통구(285)에 대해서 경사 형상, 예를 들면 대략 45° 경사져서 연통하고 있다. 또, 분리부 본체(314)의 외주면에는, 격자 형상으로 연통 구멍(318)이 천설되고, 이들 연통 구멍(318)이 제1풍로 통기구(295)에 기밀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시 필터(315)는, 분리부 본체(314)의 각 연통 구멍(318)을 덮어 부착되고, 이들 연통 구멍(318)을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되는 진애를 포집 가능하게 되어 있 다.
그리고, 진애 분리부(311)는, 전동 송풍기(7)의 구동에 의해 호스 접속구(251)로부터 공기와 함께 흡입한 진애 중, 비교적 중량이 큰 거친 먼지에 관성을 주어, 분리부 본체(314)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경사 직선 형상으로 분리하는 동시에, 공기를 연통 구멍(318)측으로 경사 형상으로 분리한다.
상풍로(282)는, 진애 분리부(311)에서 분리된 공기가 필터부(12)측으로 통과하는 풍로이며, 대략 수평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1밸브체(3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밸브체(321)는, 상단측이 풍로 상판부(277)의 전방측 구획부(277a)와 후방측 구획부(277b)의 연속부에 피봇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회전에 의해 상풍로(282)를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 제1밸브체(321)는, 제1풍로 통기구(295)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 제1밸브체(321)의 풍로 중판부(278)측에는, 이 풍로 중판부(278)의 상풍로(282)측의 면을 따라 끼워맞춤하도록 절결부(321a)가 형성되고, 이 절결부(321a)의 전방측의 모서리부가 풍로 중판부(278)의 걸림 리브(298)에 걸림으로써, 전방에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제1밸브체(321)는,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 자체중량에 저항해서 열리고, 공기의 흐름이 멈추면 자체중량에 의해 닫힘과 함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의 공기의 흐름에서는 열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풍로(283)는, 필터부(12)측으로부터의 공기가 집진 유닛(9)측으로 통과하는 풍로이며, 대략 수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풍로(282)에 대해서 풍로 중 판부(278)만으로 구획되고, 내부에 밸브체로서의 제2밸브체(3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밸브체(323)는, 밸브 본체(323a)와, 이 밸브 본체(323a)를 하풍로(283) 내에 부착하는 부착 프레임(323b)을 가지고, 제2풍로 통기구(297)의 근방인 연통구(285)의 모서리부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본체(323a)는, 상단부가 부착 프레임(323b)에 피봇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회전에 의해 하풍로(283)를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착 프레임(323b)은, 밸브 본체(323a)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풍로 하판부(275)와 풍로 중판부(278)의 내측면을 따라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밸브체(323)는,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밸브 본체(323a)가 자체중량에 저항해서 열리고, 공기의 흐름이 멈추면 밸브 본체(323a)가 자체중량에 의해 닫힘과 함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의 공기의 흐름에서는 밸브 본체(323a)가 부착 프레임(323b)에 의해 후방측으로부터 유지됨으로써 열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3 및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구성에 의해, 호스 접속구(251)로부터, 접속통부(252), 진애 분리부(311), 연통구(285), 집진 유닛(9), 재치부 풍로(96), 통기 풍로(168), 연통풍로(165), 통풍구멍(208) 및 연결통부(148)를 거쳐 전동 송풍기(7)의 흡입측으로 연통하는 주풍로(325)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호스 접속구(251)로부터, 접속통부(252), 진애 분리부(311), 상풍로(282)(제1밸브체(321)), 필터부(12) 및 연결통부(148)를 거쳐 전동 송풍기(7)의 흡입측으로 연통하는 제1풍로로서의 왕로(326)와, 도입 연통구(152), 도입구(153), 필터부(12), 덕트부(109), 하풍로(283)(제2밸브체(323)), 집진 유닛(9), 재치부 풍로(96), 통기 풍로(168), 연통 풍로(165) 및 연결통부(148)를 거쳐 전동 송풍기(7)의 흡입측으로 연통하는 제2풍로로서의 귀로(327)를 가지는 부풍로(32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풍로(328)는, 하류측인 연통 풍로(165)에서 주풍로(325)와 합류하고, 그 일부를 이루는 상풍로(282)와 하풍로(283)가 각각 덮개체(3)에 설치되고, 필터부(12)가 장착되어 있는 공간부(13)가 왕로(326)와 귀로(327)의 교차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기구(136), 제1밸브체(321) 및 제2밸브체(323) 등에 의해, 귀로(327) 및 도입구(153)를 각각 차단하고, 주풍로(325)와 왕로(326)를 통해 전동 송풍기(7)의 구동에 의해 호스 접속구(251)로부터 흡입한 진애를 집진 유닛(9) 및 필터부(12)의 플리츠 필터(126)에 포집 가능한 흡입 상태(청소 상태)와 전동 송풍기(7)의 구동에 의해 도입구(153)를 통해 외기를 귀로(327)에 도입하고, 플리츠 필터(126)에 포집한 진애를 집진 유닛(9)으로 귀로(327)를 통해 이동시키는 진애 이동 상태(에어 세정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수단(329)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청소를 개시할 때에는, 덮개체(3)를 열어, 종이 팩(52)을 부착한 집진 유닛(9)을 재치부(10)에 부착하는 동시에, 플리츠 필터(126)를 부착한 필터부(12)를, 위치 결정 돌기부(116, 116)를 미세먼지 받이부(25) 상에 맞닿게 해서 걸림편 부(117, 117)의 걸림 구멍부에 상부 케이스(6)의 걸림 돌출부(124, 124)를 걸어맞춤시켜 필터부(12)를 공간부(13)에 고정한다.
이 후, 덮개체(3)를 닫으면, 걸림부재(247, 247)가 집진 유닛(9)의 피걸어맞춤 볼록부(79, 79)와 상벽부(56)의 사이에 걸어맞춤하여, 끼워맞춤 오목부(287, 287)에 집진 유닛(9)의 끼워맞춤 돌기부(81, 81)가 끼워맞추어지는 동시에, 돌기부 끼워맞춤 오목부(290)에 집진 유닛(9)의 돌기부(62a)가 끼워맞춤되고, 또한, 동작 돌기부(289)가 노출 개구(62b)에 삽입되고, 이탈 방지 기구(65)가 동작해서 걸림체(68)가 재치부(10)의 전방부의 상단에 걸어맞춤되고, 집진 유닛(9)과 필터부(12)가 덮개체(3)에 의해 각각 본체 케이스(2)에 유지된다.
이 상태로, 시일 패킹(286)이 집진 유닛(9)의 시일 패킹(77)에 압접되고, 시일 패킹(303)이 필터부(12)의 시일 패킹(113)에 압접되어, 덮개체(3)측과 집진 유닛(9) 및 필터부(12)의 각각이 기밀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덮개체(3)의 호스 접속구(251)에 호스체(261)의 기단측인 연결관(262)을 삽입해서 접속하는 동시에, 이 호스체(261)의 선단측에 연장관(266) 및 마루 브러시(267)를 순차 연통 접속한다.
이 때, 호스체(261)의 연결관(262)이 호스 접속구(251)를 통해 접속통부(252) 내로 직선 형상으로 삽입되어, 본체 케이스(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설정 버튼(265)에 의해 전동 송풍기(7)의 동작 모드를 설정해서 전기 청소기의 운전을 개시하면, 전동 송풍기(7)를 설정된 동작 모드로 구 동시킨다.
또한, 이 흡입 상태에서는, 개폐밸브체(211)가 도8에 도시하는 우측에 위치해서 흡입 개구(144)가 개구되어 있고, 밸브 본체(197)가 상측에 위치해서 시일 패킹(209)이 단차부(166)에 맞닿고, 또한, 도입구 개폐밸브(206)의 피연결부(206b)가 하방에 위치, 즉 개폐밸브 본체(206c)가 상방에 위치해서 도입 연통구(152)를 폐색하고 있다. 이 결과, 흡입 상태에서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귀로(327) 및 도입구(153)가 각각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 송풍기(7)의 구동에 의한 부압의 작용에 의해, 마루 브러시(267)의 선단측으로부터 공기와 함께 진애가 흡입되고, 이 흡입된 진애는, 공기와 함께 연장관(266) 및 호스체(261)를 거쳐 호스 접속구(251)로 흡입된다.
여기서, 흡입한 진애 중, 거친 먼지는, 흡입풍에 의해 관성이 주어져, 접속통부(252)를 직진한 후, 진애 분리부(311)에서 제2풍로 통기구(297)를 통과하고, 이 제2풍로 통기구(297) 근방에 위치하는 제2밸브체(323)의 밸브 본체(323a)에 의해 정류되어 호스 접속구(251)의 개구 방향인 접속통부(252)의 축 방향에 대해서 예를 들면 45°인 대략 연직 방향으로 분리되어, 연통구(285)를 통과한 후, 유닛 흡입구(76)로부터 도입통부(78)를 거쳐 팩 개구(87)로부터 집진 유닛(9) 내의 종이 팩(52)으로 흡입된다.
또, 이 거친 먼지와 함께 종이 팩(52)으로 흡입된 공기는, 종이 팩(52)의 봉투체(89)를 통과할 때에, 포함되는 미세먼지가 포집되어, 격자 개구(92)를 통해 재치부 풍로(96)로 유입된 후, 하부 연통 개구(41)로부터 통기 풍로(168)로 통과되 고, 또한, 풍로 연통구(167)로부터 연통 풍로(165), 통풍구멍(208) 및 연결통부(148)를 통해 전동 송풍기(7)의 흡입측으로 흡입된다.
또한, 진애과 함께 흡입되어 진애 분리부(311)에서 분리된 공기의 나머지는, 호스 접속구(251)의 개구 방향인 접속통부(252)의 축 방향에 대해서 거친 먼지와 대략 동등한 각도, 접속통부(252)의 축 방향에 대해서 예를 들면 45°인 대략 수평 방향으로 진애 분리부(311)에서 분리되어 연통 구멍(318)을 통과하고, 이 통과 시에, 포함되는 미세먼지가 메쉬 필터(315)에 의해 포집되는 동시에, 상풍로(282)를 통과할 때에, 제1밸브체(321)를 후방으로 밀어서 열어, 제1연통 개구(301) 및 필터 개구(111)를 통해 필터부(12) 내로 유입하고, 플리츠 필터(126)를 통과할 때에, 메시 필터(315)에 의해 포집되지 않았던 미세먼지가 다시 포집되어, 플리츠 필터(126)를 통과한 후, 필터판 본체(171)의 통기 개구(173)를 통과할 때에 메쉬 필터(174)에 의해 다시 진애가 포집되고, 흡입 개구(144)로부터 연결통부(148)를 통해 전동 송풍기(7)로 흡입된다.
전동 송풍기(7)로 흡입된 공기는, 이 전동 송풍기(7)를 통과해서 배기풍으로 되고, 이 전동 송풍기(7)로부터 배기구멍(31)을 통해 본체 케이스(2)의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청소를 종료할 때에는, 작업자가 설정 버튼(265)에 의해 전동 송풍기(7)의 동작 모드를 정지 모드로 하면, 제어 수단이 모터(185)를 통해 구동 기구(136)를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8에 도시하는 시계회전 방향으로 모터(185)가 회전함으로 써, 기어(186, 187)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186)측에서는, 이 기어(186)에 치합되어 있는 회전 기어(192)가 상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 기어(192)의 회전에 수반해서, 암부(198)를 통해서 개폐밸브체(211)가 도면중 좌방향으로 회전해서 흡입 개구(144)가 폐색되는 동시에, 밸브 본체(197)가 하방향으로 회전해서 시일 패킹(209)이 단차부(166)로부터 이간되고, 또한, 도입구 개폐밸브(206)의 피연결부(206b)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밸브 본체(206c)가 하방으로 회전해서 도입 연통구(152)가 개구되고, 도입구(153)가 연통된다.
이 결과, 절환 수단(329)에 의해,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풍로(325)와 부풍로(328)의 왕로(326)가 차단되고, 부풍로(328)의 귀로(327)만이 전동 송풍기(7)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진애 이동 상태로 절환된다.
또, 기어(187)측에서는, 이 기어(187)에 치합되어 있는 크랭크 기어(214)가 회전해서 링키지(215)를 통해 슬라이드 부재(216)가 슬라이드 가이드 부재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이 슬라이드 부재(216)의 슬라이드 기어부(221)에 치합되어 있는 연결 기어(222)가 도8 중의 시계회전 방향 및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하여, 이 연결 기어(222)와 일체로 기어(223)가 회전하고, 이 기어(223)에 치합되어 있는 기어(224)가 회전하고, 이 기어(224)와 일체로 기어(225)가 회전하고, 이 기어(225)에 기어부(179)가 치합된 진애 떨이부 본체(176)가 가이드체(177, 177)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함으로써, 먼지 떨이체(181)가 플리츠 필터(126)의 산부를 순차 타 넘음으로써 플리츠 필터(126)에 진동을 주어, 이 플리츠 필터(126)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고, 이 제거된 진애가, 필터 프레임(127) 의 경사면부(129)를 타고 미세먼지 받이부(25) 상 등에 낙하한다.
그리고, 기어(186)가 대략 일주하면, 캠부(191)가 스위치(194)의 스위치편(194a)을 밀어넣음으로써, 스위치(19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 수단이 모터(185)를 정지시킨다.
이 진애 이동 상태에서, 전동 송풍기(7)의 구동에 의해, 도입구(153)로부터 본체 케이스(2) 내에 도입된 외기는, 플리츠 필터(126)를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즉 역세정방향으로 통과함으로써, 이 플리츠 필터(126)에서 포집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동시에, 이 외기가, 미세먼지 받이부(25) 등에 낙하한 미세먼지를, 덕트 빨아올림부(109a)로부터 빨아올림 개구(115)를 통해 빨아 올려, 덕트 들어올림부(109b)로부터 제2연통 개구(302)를 통해 하풍로(283)로 흡입된다.
이 하풍로(283)로 흡입된 외기는, 제2밸브체(323)를 전방으로 밀어서 열어, 연통구(285)를 통과한 후, 집진 유닛(9)의 종이 팩(52)으로 흡입되어, 재치부 풍로(96), 통기 풍로(168) 및 연통 풍로(165)를 통해 전동 송풍기(7)의 흡입측으로 흡입된다.
이 때, 하풍로(283)를 통과하는 미세먼지는, 제2밸브체(323)의 밸브 본체(323a)에 의해 집진 유닛(9)으로 정류되면서 집진된다.
그리고, 제어 수단은,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전동 송풍기(7)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모터(185)를 상기와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각 부가 상기 동작과 반대로 동작해서 흡입 상태의 위치로 된 후, 모터(185)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부풍로(328)의 귀로(327) 및 도입구(153)를 각각 차단하고, 주풍 로(325)와 부풍로(328)의 왕로(326)를 통해 전동 송풍기(7)의 구동에 의해 호스 접속구(251)로부터 흡입한 진애를 집진 유닛(9) 및 필터부(12)의 플리츠 필터(126)에 포집 가능한 흡입 상태와 전동 송풍기(7)의 구동에 의해 도입구(153)를 통해 외기를 귀로(327)에 도입하고, 플리츠 필터(126)에 포집한 진애를 집진 유닛(9)으로 귀로(327)를 통해 이동시키는 진애 이동 상태로, 절환 수단(329)에 의해 절환함으로써, 흡입 상태에서는, 주풍로(325)의 집진 유닛(9)에서 포집하는 진애량이 증가해도, 호스 접속구(251)로부터 흡입한 공기는 부풍로(328)의 왕로(326)로 분기되어 흡입 풍량의 저하가 억제되고, 절환 수단(329)에 의해 진애 이동 상태로 절환하면, 플리츠 필터(126)에 포집된 진애가 집진 유닛(9)으로 이동되어 플리츠 필터(126)의 눈막힘에 의한 부풍로(328)측의 풍로 저항의 증가가 억제되므로, 흡입력의 경시적인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전기 청소기의 메인터넌스 시에는, 덮개체(3)의 개폐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걸림 기구(245)의 걸림부재(247)가 동작해서 덮개체(3)와 집진 유닛(9)의 걸림을 벗기면서 덮개체(3)를 상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덮개체(3)를 열면,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 유닛(9) 및 필터부(12)가 본체 케이스(2)로부터 노출되므로, 각각 집진 유닛(9) 및 필터부(12)를 본체 케이스(2)로부터 탈거해서, 종이 팩(52)을 컵 부재(51)로부터 탈거해서 폐기하고, 새로운 종이 팩(52)을 컵 부재(51)에 장착하는 동시에, 플리츠 필터(126)를 필터 용기(101)로부터 탈거해서 진애를 제거하고, 재차 필터 용기(101)에 장착하여, 집진 유닛(9) 및 필터부(12)를 본체 케이스(2)에 부착한다.
즉,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풍로(328)의 왕로(326)와 귀로(327)의 각각의 일부인 상풍로(282)와 하풍로(283)를 덮개체(3)에 설치함으로써, 덮개체(3)를 연 상태에서 집진 유닛(9)이 노출되므로, 집진 유닛(9)의 착탈성 및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또, 상풍로(282)와 하풍로(283)를 덮개체(3)에 설치했으므로, 제1연통 개구(301) 및 제2연통 개구(302)측으로부터 각 풍로(282, 283)의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종이 팩(52)은, 집진 유닛(9)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방에 팩 개구(87)가 위치하므로, 종이 팩(52)으로부터 진애가 떨어지는 경우가 없다.
그리고, 상풍로(282)와 하풍로(283)를, 풍로 중판부(278)의 1매만으로 구획함으로써, 덮개체(3) 내에서의 공간 절약화가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덮개체(3)(전기 청소기)의 경량화도 꾀할 수 있다.
또, 제2밸브체(323)를, 진애분리부(311)의 하류측과 집진 유닛(9)의 연통부에서, 또한, 부풍로(328)의 귀로(327)와 집진 유닛(9)의 연통부에 배치함으로써, 흡입 상태에서는, 진애 분리부(311)를 통과한 거친 먼지를 제2밸브체(323)의 밸브 본체(323a)에 의해 집진 유닛(9)으로 정류할 수 있고, 진애 이동 상태에서는, 귀로(327)를 통과한 미세먼지를 밸브 본체(323a)에 의해 집진 유닛(9)으로 정류할 수 있다.
또한, 집진 유닛(9)을 덮개체(3)의 하방에 배치하고, 부풍로(328)의 귀로(327)를 왕로(326)의 하방에 설치함으로써, 진애 이동 상태에서 플리츠 필 터(126)로부터 제거한 미세먼지를 필요 이상으로 상방까지 들어올리지 않아도 되어 미세먼지를 집진 유닛(9)으로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입구(153)를 상기 흡입 상태에 있어서의 플리츠 필터(126)의 하류측, 즉 전동 송풍기(7)의 흡입측에 설치함으로써, 진애 이동 상태에서 도입구(153)로부터 도입한 외기가 플리츠 필터(126)를 하류측으로부터 통과해서 역세정하므로, 이 역세정 시에 외기가 평균화되어 전체에 퍼져 플리츠 필터(126) 전체를 대략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어, 플리츠 필터(126)의 눈막힘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도입구 개폐밸브(206)와 개폐밸브체(211)를 1개의 모터(185)로 연동시켜 개폐함으로써, 복수의 모터 등을 이용해서 개폐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흡입 상태와 진애 이동 상태를 절환하기 위한 구성을 간략화, 공간 절약화 및 경량화할 수 있어, 전기 청소기의 소형화 등을 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입구 개폐밸브(206)와 개폐밸브체(211)를 연동시켜 개폐하기 위한 모터(185)에 의해 진애 떨이부(135)를 연동시킴으로써, 구성을 간략화하면서, 플리츠 필터(126)에서 포집한 진애를,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어, 플리츠 필터(126)의 눈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2의 실시 형태를 도11 내지 도1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의 실시 형태는,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입구(153)가, 진애 이동 상태에서 플리츠 필터(126)의 상류측에 외기를 도입하고, 이 플리츠 필 터(126)로 포집한 진애를 제거하는 것이다.
즉, 외기 연통부(145)는, 도11 내지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덕트 형성부(158)가 격벽체 본체(141)의 전방으로 연장 설치되고, 필터판 본체(171)의 돌출구멍(172)의 상방에 설치된 개구부(33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필터부(12)의 필터 용기(101)의 프레임면부(105)에는, 플리츠 필터체(102)를 향해 하방으로 맞닿음벽부(333)가 돌출 설치되고, 이 맞닿음벽부(333)에는, 덕트 형성부(158)의 전단부가 연통하는 사각 구멍 형상의 연통 구멍부(334)가 천설되고, 이 연통 구멍부(334)의 모서리부에, 덕트 형성부(158)을 기밀하게 접속하기 위한 시일 부재로서의 시일 패킹(335)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연통 구멍부(334)의 전방부에는, 덕트 풍로부(337)가 전방으로 연장 설치되고, 이 덕트 풍로부(337)의 선단측이, 필터 개구(111)의 후방에서 플리츠 필터(126)의 상류측면인 전면을 향해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 형성되고, 이 선단부 개구가 도입구(153)로 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 상태에서는,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으로 청소를 하고, 진애 이동 상태로 절환하면, 도입 연통구(152)가 열림으로써, 외기가 덕트 형성부(158) 내를 통과하고, 또한, 덕트 풍로부(337)를 통해 도입구(153)로부터 플리츠 필터(126)의 상류측면 즉 전면에 상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분사되어, 이 플리츠 필터(126)로 포집한 진애를 제거한다.
이 제거된 진애는, 전동 송풍기(7)의 구동에 의해 귀로(327)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덕트부(109)를 통해 하풍로(283)로 빨아 올려지고, 상기 제1의 실시 형 태와 마찬가지로 집진 유닛(9) 내의 종이 팩(52)으로 이동되어 포집된다.
이 결과,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플리츠 필터(126)는 상하 방향을 따라 플리츠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입구(153)를 통해 상측으로부터 외기를 플리츠 필터(126)의 플리츠 형상을 따라서 분사함으로써, 플리츠 필터(126)의 상류면에 포집한 진애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플리츠 필터(126)는, 표면 집진 필터이기 때문에, 진애가 내부로 거의 들어가는 일 없이 상류측면에 부착되어 포집되기 때문에, 도입구(153)로부터의 공기의 분사에 의해, 진애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풍로(328)의 귀로(327)의 제1밸브체(321)에 절결을 형성하고, 진애 이동 상태에서 도입구(153)로부터 도입한 외기를, 진애 분리부(311)의 메시 필터(315)의 하류측으로부터 통과시켜 집진 유닛(9)으로 이끌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진애 이동 상태에서 메쉬 필터(315)도 역세정할 수 있어 부풍로(328)측의 눈막힘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본체(197)에 통풍구멍(208)을 형성하는 대신에, 밸브 본체(197)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밸브 본체(197)를 연동시키기 위한 구성 등도 간략화할 수 있다.
다음에, 제3의 실시 형태를, 도15 내지 도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의 실시 형태는, 필터부(12)에 대신해서, 도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리츠 필터(126)가 덮개체(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덮개체(3)는, 풍로 상판부(277)가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풍로 하판부(275)와 풍로 중판부(278)의 각각의 후단부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들 풍로 상판부(277), 풍로 하판부(275) 및 풍로 중판부(278)의 후방에, 플리츠 필터(126)를 수용하는 공간부(341)가 구획되어 있다. 이 공간부(341)는, 후방부가 연통 개구(342)를 통해 덮개체(3)의 외부에 연통하고 있다.
플리츠 필터(126)는, 공간부(341)에 있어서, 상측이 전방으로 하방으로 경사져서 배치되고, 또한, 하단부가 풍로 하판부(275)의 후단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풍로(282)와 하풍로(283)의 각각의 후단부에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이 플리츠 필터(126)의 후방측면은, 연통 개구(342)로부터 덮개체(3)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덮개체(3)를 닫은 상태에서 격벽부(14)의 상부의 전방에 대향한다.
또, 진애 분리부(311)는, 분리부 본체(314)가, 풍로 하판부(275)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즉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직경이 축소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후방측의 주위면에, 상풍로(282)와 하풍로(283)의 각각의 전단부에 대향하는 연통 구멍부(344)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 구멍부(344)의 하류측인 후방에는, 상풍로(282)와 하풍로(283)의 각각의 전방에 위치하여, 메시 필터(34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리부 본체(314)의 하단 부는, 덮개체(3)를 닫은 상태에서 집진 유닛(9)의 도입통부(78)의 기단인 연통구(285)에 기밀하게 접속된다.
또한, 도15 및 도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체(131)는, 격벽 본체(141)가 상하 방향을 따라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격벽 본체(141)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보다 약간 상측에, 구획판부로서의 상방 돌출 설치판부(351)가 전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격벽 본체(141)의 하단부에, 하방 돌출 설치판부(352)가 전방으로 돌출 설치되고, 격벽 본체(141), 상방 돌출 설치판부(351) 및 하방 돌출 설치판부(352)의 양측부에 측부 연속판부(353)가 연속하고, 격벽 본체(141), 상방 돌출 설치판부(351) 및 측부 연속판부(353)에 의해, 상방 공간부(355)가 구획되어 있는 동시에, 격벽 본체(141), 상방 돌출 설치판부(351), 측부 연속판부(353) 및 하방 돌출 설치판부(352)에 의해, 하방 공간부(356)가 구획되어 있다.
흡입 개구(144)는, 상방 돌출 설치판부(351)의 하방에서 하방 공간부(356)와 전동 송풍기실(8)을 연통하도록 천설되어 있고, 이 흡입 개구(144)의 주연부 전체의 후방부에는, 통 형상의 연결통부(361)가 돌출 설치되고, 이 연결통부(361)의 후단부가 전동 송풍기(7)의 흡입측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또, 도입구(153)는, 격벽 본체(141)의 상방 돌출 설치판부(351)의 상방에서 상방 공간부(355)와 전동 송풍기실(8)을 연통하고 있고, 이 도입구(153)의 모서리부의 전방부에는, 상방 공간부(355) 내로 덕트부(36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입구(153)는, 도입구 개폐밸브(365)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입구 개폐밸브(365)는, 도입구(153)보다 큰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후방측에 피봇부(367)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피봇부(367)는, 구동 기구(136)에 접속되어, 이 구동 기구(136)에 의해 도입구 개폐밸브(365)가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방 돌출 설치판부(351)는, 집진 유닛(9)의 후방부의 상부 모서리부에 전단부가 대향하고 있다. 또, 상방 돌출 설치판부(351)에는, 상방 공간부(355)와 하방 공간부(356)를 연통하는 통과 개구로서의 공간 연통 개구(371)가 상하 방향으로 천설되고, 이 공간 연통 개구(371)는, 상방 돌출 설치판부(351)의 상부에 부착된 판 형상의 개구 개폐밸브(37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구 개폐밸브(372)는, 후단부가 상방 돌출 설치판부(35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상방 공간부(355)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개구 개폐밸브(372)의 하부에는, 연결 돌기부(374)가 돌출 설치되어 공간 연통 개구(371) 내에 삽입되고, 구동 기구(136)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구 개폐밸브(372)는, 구동 기구(136)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방 돌출 설치판부(352)는, 집진 유닛(9)의 하 모서리부부에 대향하고 있다.
상방 공간부(355)를 구획하는 격벽 본체(141), 상방 돌출 설치판부(351) 및 측부 연속판부(353)의 전단부에는, 전체를 따라 시일 부재로서의 시일 패킹(376)이 장착되어 있다. 또, 이 상방 공간부(355)에는, 상측에 가까운 위치에, 칸막이 벽부(377)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이 칸막이 벽부(377)에 의해, 상방 공간부(355)가,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공간(378)과 하측 공간(379)으로 구획되어 있 다. 그리고, 상측 공간(378)에는, 격자 프레임 형상의 상측 격자 프레임(381)이 끼워 붙임되어 있는 동시에, 하측 공간(379)에는, 격자형상의 하측 격자 프레임(382)이 끼워 붙임되어 있다.
상측 공간(378)은, 덮개체(3)를 닫은 상태에서, 도입구(153)와 플리츠 필터(126)의 상류측면을, 플리츠 필터(126)의 상부를 통해 연통해서 귀로(327)의 일부를 이루는 공간부이며, 덕트부(363)의 전단부가 상측 격자 프레임(381)의 후방부에 접속되어 있다.
하측 공간(379)은, 덮개체(3)를 닫은 상태에서 플리츠 필터(126)의 후방측면에 대향해서 왕로(326)의 일부를 이루는 공간부이며, 진애 떨이부(135)가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하측 격자 프레임(382)에는, 진애 떨이부(135)의 먼지 떨이체(181)의 전단부가 끼워맞춤해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긴 구멍 형상의 노출 개구부(384)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 하방 공간부(356)는, 집진 유닛(9)의 하류측에 연통해서 왕로(326)의 일부를 이루는 공간부이며, 이 하방 공간부(356)을 구획하는 격벽 본체(141), 상방 돌출 설치판부(351), 측부 연속판부(353) 및 하방 돌출 설치판부(352)의 전방 모서리부에는, 전체에 걸쳐 시일 부재로서의 시일 패킹(386)이 부착되어 있다. 또, 이 하방 공간부(356)에는, 격자 프레임 형상의 하부 격자 프레임(387)이 끼워 붙임되어 있는 동시에, 이 하부 격자 프레임(387)의 전방으로, 격자 프레임 형상의 전방 격자 프레임(388)이, 이 하부 격자 프레임(387)을 노출 가능하게 가동적으로 설치 되어 있다.
또한, 제1밸브체(321)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연통 구멍(389)이 천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의해, 주풍로(325)는, 호스 접속구(251)로부터, 접속통부(252), 진애 분리부(311), 연통구(285), 집진 유닛(9), 하방 공간부(356) 및 흡입 개구(144)를 거쳐 전동 송풍기(7)의 흡입측으로 연통하고, 왕로(326)는, 제1밸브체(321)가 열리고, 제2밸브체(323)가 닫히고, 호스 접속구(251)로부터, 접속통부(252), 진애 분리부(311), 연통 구멍부(344), 메시 필터(345), 상풍로(282)(제1밸브체(321)), 공간부(341), 플리츠 필터(126), 하측 공간(379), 공간 연통 개구(371) 및 흡입 개구(144)를 거쳐 전동 송풍기(7)의 흡입측으로 연통하고, 귀로(327)는, 제1밸브체(321)가 닫히고, 제2밸브체(323)가 열리고, 도입구(153), 덕트부(363), 공간부(341), 하풍로(283)(제2밸브체(323)), 연통 구멍부(344), 연통구(285), 집진 유닛(9), 하방 공간부(356) 및 흡입 개구(144)를 거쳐 전동 송풍기(7)의 흡입측으로 연통한다.
또한, 구동 기구(136)는, 도15 및 도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 본체(141)의 후방부에 모터(185)가 부착되고, 이 모터(185)의 전방으로 돌출한 회전축에 기어(391)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391)는, 전방측의 일측에서 회전 기어(393)와 치합되는 동시에, 후방측의 일측 상방에서 원 형상의 크랭크 기어(394)와 치합되어 있다.
회전 기어(393)는, 예를 들면 중심각이 180°의 선형, 즉 반원 형상으로 형 성되고, 호부가 기어(391)에 치합하고 있다. 또, 이 회전 기어(393)는, 회전축(393a)의 전단부가 격벽 본체(141)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전단부가, 격벽 본체(141)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방부 회전 기어에 접속되어 있다. 또, 회전 기어(393)의 후방부에는, 회전축(393a)에 대해서 회전 기어(393)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편심한 위치에 삽입 관통축(393b)이 돌출 설치되고, 이 삽입 관통축(393b)이 도입구 개폐밸브(365)를 구동시키는 개폐밸브 구동체(397)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전방부 회전 기어는, 하방 공간부(356)에 위치하고, 회전 기어(393)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회전 기어(393)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전방부 회전 기어는, 상방에 위치하는 전방부 크랭크 기어(401)에 치합되어 있다.
이 전방부 크랭크 기어(401)는, 원형상의 기어이며, 하방 공간부(356)에 위치하고, 격벽 본체(141)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방부 크랭크 기어(401)의 외주연부 근방에는, 크랭크 돌기부(401a)가 전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크랭크 돌기부(401a)가, 도입구 개폐밸브(365)를 회전시키는 회전 연결 부재(403)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회전 연결 부재(403)는, 상하에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과 하측에, 가이드 구멍부(403a, 403a)가 상하 방향을 따라 긴 구멍 형상으로 천설되어 있는 동시에, 상하 방향의 대략 중심 영역에, 크랭크 돌기부(401a)가 삽입 관통하는 크랭크 구멍부(403b)가 가이드 구멍부(403a, 403a)와 교차하는 방향인 좌우 방향으 로 직사각 형상으로 천설되어 있다. 또, 회전 연결 부재(403)의 상단부에는, 개구 개폐밸브(372)의 연결 돌기부(374)가 삽입 관통하는 연결 구멍부(403c)를 전후방향으로 긴 구멍 형상으로 구비한 연결 돌출부(403d)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구멍부(403a, 403a)에는, 격벽 본체(141)로부터 돌출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돌기부가 삽입 관통되어, 전방부 크랭크 기어(401)의 회전에 의해 회전 연결 부재(403)가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밸브 구동체(397)는, 회전 기어(393)의 삽입 관통축(393b)이 삽입 관통하는 연결 가이드 구멍부(397a)를 구비한 하부 구동체 수평부(397b)와, 이 하부 구동체 수평부(397b)의 선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된 구동체 수직부(397c)와, 이 구동체 수직부(397c)의 상단부로부터 하부 구동체 수평부(397b)와 동일방향으로 대략 수평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 상부 구동체 수평부(397d)와, 이 상부 구동체 수평부(397d)의 선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대략 수직 형상으로 돌출 설치되어 피봇부(367)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된 연결 돌기부(397e)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구동체 수직부(397c)와 상부 구동체 수평부(397d)의 각각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긴 구멍 형상의 가이드용 구멍부(397f)가 천설되어 있다.
연결 가이드 구멍부(397a)는, 가로로 긴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구동체 수평부(397b)에 대해서 정면에서 봐서 ヘ자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용 구멍부(397f)에는, 격벽 본체(141)로부터 돌출 설치된 가이드 돌기부(406)가 각각 삽입 관통되어, 회전 기어(393)의 회전에 의해 개폐밸브 구동체(397)가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크랭크 기어(394)는, 후방부의 둘레의 반에 걸쳐 캠부(408)가 일체로 설치되고, 이 캠부(408)가, 기어(391)의 측방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의 스위치편에 맞닿음으로써, 이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 기어(394)의 후방부에는, 외주연부 근방에 직사각 형상의 링키지(411)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링키지(411)의 상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직사각 형상의 래크 기어(412)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래크 기어(412)는, 격벽 본체(141)의 후방부에 부착된 가이드 부재(413)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즉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래크 기어(412)는, 크랭크 기어(394)의 회전에 의해 링키지(411)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래크 기어(412)에는, 가이드 부재(413)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된 도시하지 않은 기어가 치합되고, 이 기어에는, 가이드 부재(413)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대경의 기어(417)가 동축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기어(417)는, 이 기어(417)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기어(418)와 치합되고, 이 상부 기어(418)는, 격벽 본체(141)의 전방부에서 상방 공간부(355) 내에 위치해서 진애 떨이부(135)의 기어부(179)에 치합하는 전방부 기어(419)와 동축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절환 수단(329)은, 구동 기구(136), 도입구 개폐밸브(365) 및 개구 개폐밸브(372) 등에 의해, 도입구(153)를 닫은 상태에서, 주풍로(325)와 왕로(326)를 통해 전동 송풍기(7)의 구동에 의해 호스 접속구(251)로부터 흡입한 진애를 집진 유닛(9) 및 플리츠 필터(126)에 포집 가능한 흡입 상태(청소 상태)와 전동 송풍기(7)의 구동에 의해 도입구(153)를 통해 흡입 상태에서의 플리츠 필터(126)의 하류측으로부터 외기를 부풍로(328)에 도입하고, 플리츠 필터(126)에 포집한 진애를 집진 유닛(9)으로 왕로(326)를 통해 이동시키는 진애 이동 상태(에어 세정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3의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흡입 상태에서는, 개구 개폐밸브(372)의 전단측이 상방에 위치해서 공간 연통 개구(371)가 열려 있는 동시에, 개폐밸브 구동체(397)가 상방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도입구 개폐밸브(365)가 상방에 위치하여, 도입구 개폐밸브(365)가 도입구(153)를 폐색하고 있다. 즉, 이 흡입 상태에서, 귀로(327) 및 도입구(153)가 각각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 송풍기(7)의 구동에 의한 부압의 작용에 의해, 마루 브러시(267)의 선단측으로부터 공기와 함께 진애를 흡입한다. 이 흡입한 진애는, 공기와 함께 연장관(266) 및 호스체(261)를 거쳐 호스 접속구(251)로 흡입된다.
여기서, 흡입한 진애의 대부분인 거친 먼지는, 공기에 의해 관성이 주어져, 접속통부(252) 및 분리부 본체(314)를 직진하여, 집진 유닛(9)으로 흡입된다.
또, 이 거친 먼지와 함께 집진 유닛(9)으로 흡입된 공기는, 집진 유닛(9)의 후방부로부터 하방 공간부(356)로 유입된 후, 흡입 개구(144)를 통해 전동 송풍기(7)의 흡입측으로 흡입된다.
또한, 진애과 함께 흡입되어 진애 분리부(311)의 분리부 본체(314)에서 분리 된 공기의 나머지는, 연통 구멍부(344)로 분리되어, 포함되는 미세먼지가 메시 필터(345)에 의해 포집되는 동시에, 왕로(326)를 통과할 때에, 메시 필터(345)에 의해 포집되지 않았던 미세먼지가 플리츠 필터(126)에 의해 다시 포집되어, 플리츠 필터(126)를 통과한 후, 상방 공간부(355)에 유입하고, 공간 연통 개구(371)로부터 하방 공간부(356)로 유입해서 주풍로(325)와 합류하면서 흡입 개구(144)를 통해 전동 송풍기(7)로 흡입된다.
전동 송풍기(7)로 흡입된 공기는, 이 전동 송풍기(7)를 통과해서 배기풍으로 되어, 이 전동 송풍기(7)로부터 배기구멍을 통해 본체 케이스(2)의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청소를 종료할 때에는, 작업자가 설정 버튼(265)에 의해 전동 송풍기(7)의 동작 모드를 정지 모드로 하면, 제어 수단이 모터(185)를 통해 구동 기구(136)를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 모터(185)의 회전에 의해 도16에 도시하는 시계회전 방향으로 기어(391)가 회전하고, 이 기어(391)에 치합되어 있는 회전 기어(393)가 상방향으로 최대로 약 180° 회전하고, 이 회전 기어(393)의 회전에 수반해서, 전방부 회전 기어가 상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전방부 회전 기어에 치합하는 전방부 크랭크 기어(401)가 회전함으로써 회전 연결 부재(403)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 회전 연결 부재(403)의 상단부에 연결된 개구 개폐밸브(372)의 전단측이 하방으로 회전해서 공간 연통 개구(371)를 폐색한다.
동시에, 회전 기어(393)의 회전에 수반해서, 이 회전 기어(393)의 삽입 관통 축(393b)은, 연결 가이드 구멍부(397a) 내를 좌단으로부터 우단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 시에 연결 가이드 구멍부(397a) 내에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개폐밸브 구동체(397)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도입구 개폐밸브(365)의 피봇부(367)를 통해 도입구 개폐밸브(365)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이 도입구 개폐밸브(365)가 도입구(153)를 연다.
또, 기어(391)에 치합되어 있는 크랭크 기어(394)가 회전함으로써, 링키지(411)를 통해 래크 기어(412)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래크 기어에 치합하는 기어가 회전하고, 이 기어와 동축에 기어(417)가 회전하고, 이 기어(417)에 치합하는 상부 기어(418)가 회전하고, 이 상부 기어(418)와 일체적으로 전방부 기어(419)가 회전함으로써, 이 전방부 기어(419)가 치합하는 진애 떨이부(135)의 기어부(179)가, 먼지 떨이체(181)과 함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이들 먼지 떨이체(181)가 플리츠 필터(126)의 하류측을 순차적으로 튕겨서 플리츠 필터(126)에 진동을 주어, 이 플리츠 필터(126)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한다.
이 제거된 진애는, 공간부(341)에서 풍로 하판부(275) 상에 낙하한다.
그리고, 기어(391)가 최대까지 회전하면, 캠부(408)가 밀어 넣은 스위치의 스위치편이 복귀함으로써, 제어 수단이 모터(185)를 정지시킨다.
이 진애 이동 상태에서, 전동 송풍기(7)의 구동에 의해, 도입구(153)로부터 본체 케이스(2) 내에 도입된 외기는, 플리츠 필터(126)의 상류측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따라 통과함으로써, 이 플리츠 필터(126)에서 포집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동시에, 이 외기가 하풍로(283)를 통과할 때에, 이 외기에 의해, 풍로 하판부(275) 상에 낙하한 미세먼지가 연통 구멍부(344)를 통과해서 집진 유닛(9)으로 흡입된 후,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하방 공간부(356) 및 흡입 개구(144)를 통해 전동 송풍기(7)의 흡입측으로 흡입된다.
또, 외기의 일부는, 플리츠 필터(126)의 전방으로부터 제1밸브체(321)의 연통 구멍(389)을 통해 분리부 본체(314) 내로 유입함으로써 메시 필터(345)를 역세정 하고, 이 메시 필터(345)에 부착한 진애를, 분리부 본체(314)를 통해 집진 유닛(9) 내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 수단은,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전동 송풍기(7)를 정지시킴과 함께, 모터(185)를 상기와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각 부가 상기 동작과 반대로 동작해서 흡입 상태의 위치로 된 후, 모터(185)를 정지시킨다.
이 결과,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플리츠 필터(126)를 집진 유닛(9)보다 상측에 설치함으로써, 플리츠 필터(126)에 포집되어 이 플리츠 필터(126)로부터 제거된 미세먼지를 전동 송풍기(7)의 부압에 의해 집진 유닛(9)에 이동시킬 때에, 미세먼지의 자중을 이용해서 중력으로 보조하므로, 플리츠 필터(126)에 포집되어 이 플리츠 필터(126)로부터 제거된 미세먼지를, 집진 유닛(9)으로 확실히 이동해서 플리츠 필터(126)의 눈막힘을 억제할 수 있고, 흡입 상태로 절환했을 때에 왕로(326)측을 통과하는 흡입 풍량을 확보하여, 흡입력의 경시적인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절환 수단(329)을 동작시키는 타이밍은, 전기 청소기의 운전 개시시, 또는 종료시 이외에도, 예를 들면 전기 청소기의 운전 개시부터 소정 시간 경과했을 때 등,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입구(153)는, 배기구멍(31)을 통해 청소기 본체(1)의 외부의 공기와 연통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또, 절환 수단(329)은,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진애 떨이부(135)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전기 청소기의 세부는,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 청소기로서는, 캐니스터형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자율 주행식(로보트식)의 전기 청소기, 또는 핸디형 등, 상측으로부터 덮개체(3)에 의해 집진 유닛(9)을 유지하는 구성이면, 대응시켜 이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덮개체를 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전술한 전기 청소기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
도3은 전술한 전기 청소기의 흡입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
도4는 전술한 전기 청소기의 진애 이동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
도5는 전술한 전기 청소기의 본체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전술한 덮개체를 하방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전술한 전기 청소기의 필터 근방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8은 전술한 전기 청소기의 절환 수단의 일부를 전방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전술 절환 수단의 일부를 후방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전술한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진애 이동 상태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
도12는 전술한 전기 청소기의 본체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은 전술한 전기 청소기의 절환 수단의 일부를 전방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14는 전술 절환 수단의 일부를 후방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절환 수단의 일부를 전 방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
도16은 전술한 절환 수단의 일부를 후방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
도17은 전술한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청소기 본체
2:본체 케이스
3:덮개체
7:전동 송풍기
9:집진부로서의 집진 유닛
126:필터로서의 플리츠 필터
153:도입구
251:흡입구로서의 호스 접속구
311:진애 분리부
323:밸브체로서의 제2밸브체
325:주풍로
326:제1풍로로서의 왕로
327:제2풍로로서의 귀로
329:절환 수단

Claims (5)

  1.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본체 케이스와,
    이 본체 케이스에 대해서 개폐 가능한 덮개체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덮개체에 설치된 흡입구와,
    이 흡입구의 하류측에서 상기 덮개체에 설치되어, 진애와 공기를 분리하는 진애 분리부와,
    이 진애 분리부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을 연통하는 동시에, 상기 진애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진애가 통과하는 주풍로와,
    이 주풍로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체를 닫은 상태로 상기 본체 케이스에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진애 분리부에 의해 상기 주풍로측에 분리된 진애를 포집하는 집진부와,
    상기 주풍로와는 별개로 상기 진애 분리부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을 연통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덮개체에 설치되고, 하류측이 상기 주풍로와 합류하는 제1풍로와,
    적어도 일부가 이 제1풍로 중에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필터와,
    상기 흡입구와는 별개로 외기를 도입 가능한 도입구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을 상기 집진부를 거쳐 연통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덮개체에 설치된 제2풍로와,
    상기 제2풍로 및 상기 도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주풍로와 상기 제1풍로를 통해 상기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한 진애를 상기 집진부 및 상기 필터에 포집 가능한 흡입 상태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도입구를 통해 외기를 상기 제2풍로에 도입하고, 상기 필터에 포집한 미세먼지를 상기 집진부로 상기 제2풍로를 통해 이동시키는 진애 이동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절환 수단은, 흡입 상태에서 제2풍로를 닫는 동시에 주풍로로 분리된 진애를 집진부로 정류하고, 진애 이동 상태에서 상기 제2풍로를 개방하는 동시에 필터에 포집한 미세먼지를 상기 집진부로 정류하는 밸브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집진부는, 덮개체의 하방에 위치하고,
    제2풍로는, 제1풍로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입구는, 필터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입구는, 필터의 상류면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080028922A 2007-03-30 2008-03-28 전기 청소기 KR100928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95078A JP4286879B2 (ja) 2007-02-20 2007-03-30 電気掃除機
JPJP-P-2007-00095078 2007-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250A KR20080089250A (ko) 2008-10-06
KR100928614B1 true KR100928614B1 (ko) 2009-11-26

Family

ID=39544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922A KR100928614B1 (ko) 2007-03-30 2008-03-28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35901A1 (ko)
EP (1) EP1974642B1 (ko)
KR (1) KR100928614B1 (ko)
CN (1) CN1012738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1150B2 (ja) * 2006-03-31 2008-01-30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JP4251655B2 (ja) * 2007-01-12 2009-04-08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JP4612668B2 (ja) * 2007-11-28 2011-01-12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JP5432737B2 (ja) * 2010-01-18 2014-03-05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2905596B (zh) * 2010-05-31 2015-09-3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吸尘器
JP5571491B2 (ja) * 2010-07-23 2014-08-1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8728186B2 (en) * 2011-09-02 2014-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DE102012108652A1 (de) * 2012-09-14 2014-03-20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taubsauger
EP2897513B1 (de) * 2012-09-18 2016-11-02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taubsauger mit batteriedeckel
CN107440607B (zh) * 2013-10-30 2020-05-12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吸尘器上的风道结构
CN104083127A (zh) * 2014-06-27 2014-10-08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电机悬浮固定结构的吸尘器
EP2997869B1 (de) * 2014-09-20 2017-05-17 Viking GmbH Selbstfahrendes Arbeitsgerät
GB2546542B (en) 2016-01-22 2018-07-0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GB2546541B (en) 2016-01-22 2018-07-04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ing apparatus
GB2546543B (en) 2016-01-22 2019-01-02 Dyson Technology Ltd Separa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TWI641353B (zh) 2016-02-29 2018-11-21 Lg電子股份有限公司 真空吸塵器
DE202017000984U1 (de) 2016-02-29 2017-05-29 Lg Electronics Inc. Staubsauger
TWI653962B (zh) 2016-02-29 2019-03-21 Lg電子股份有限公司 真空吸塵器
DE202017000985U1 (de) 2016-02-29 2017-05-29 Lg Electronics Inc. Staubsauger
TWI664944B (zh) 2016-02-29 2019-07-11 Lg電子股份有限公司 真空吸塵器
TWI637718B (zh) 2016-02-29 2018-10-11 Lg電子股份有限公司 真空吸塵器
WO2017150816A1 (ko) 2016-02-29 2017-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TWI636758B (zh) 2016-02-29 2018-10-01 Lg電子股份有限公司 真空吸塵器
WO2017150862A1 (ko) 2016-02-29 2017-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TWI643597B (zh) 2016-02-29 2018-12-11 Lg電子股份有限公司 真空吸塵器
TWI664943B (zh) 2016-02-29 2019-07-11 Lg電子股份有限公司 真空吸塵器
TWI643596B (zh) * 2016-02-29 2018-12-11 Lg電子股份有限公司 真空吸塵器
WO2017150874A1 (ko) 2016-02-29 2017-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DE112017000532B4 (de) 2016-02-29 2023-11-09 Lg Electronics Inc. Staubsauger
DE202017002619U1 (de) * 2016-05-20 2017-08-04 Lg Electronics Inc. Staubsauger
JP2018064849A (ja) * 2016-10-21 2018-04-26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モジュールおよび掃除機
JP6913000B2 (ja) * 2017-10-27 2021-08-0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0572A (ja) * 2003-06-16 2005-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2006006453A (ja) * 2004-06-23 2006-01-12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0832A (en) * 1945-01-29 1950-03-14 James B Kirby Vacuum cleaner
JPH02159233A (ja) * 1988-12-14 1990-06-19 Taito Shoji Kk 電気掃除機
US6385809B1 (en) * 2000-03-03 2002-05-14 Emerson Electric Co. Gasketless wet/dry vacuum with switchable blowing
CA2477266A1 (en) * 2002-09-25 2004-04-0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Electric vacuum cleaner
DE10321977A1 (de) * 2003-05-15 2004-12-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sauger mit einer durch Druckluft wirkenden Reinigungsvorrichtung für Keramikfilter
JP2005211285A (ja) * 2004-01-29 2005-08-11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4251655B2 (ja) * 2007-01-12 2009-04-08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0572A (ja) * 2003-06-16 2005-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2006006453A (ja) * 2004-06-23 2006-01-12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73859B (zh) 2010-08-04
EP1974642A2 (en) 2008-10-01
EP1974642B1 (en) 2012-06-27
EP1974642A3 (en) 2010-05-05
CN101273859A (zh) 2008-10-01
US20080235901A1 (en) 2008-10-02
KR20080089250A (ko) 2008-10-06
EP1974642A9 (en)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614B1 (ko) 전기 청소기
US20080168616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WO2010134577A1 (ja) 電気掃除機
WO2012032722A1 (ja) 電気掃除機
CN210124714U (zh) 清洁设备和清洁设备总成
KR100414808B1 (ko) 전기청소기
JP5210758B2 (ja) 電気掃除機
JP2005131135A (ja) 電気掃除機
JP4896818B2 (ja) 電気掃除機
JP2008011985A (ja) 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CN209953473U (zh) 清洁设备和清洁设备总成
JP4286879B2 (ja) 電気掃除機
JP5911230B2 (ja) 電気掃除機
KR101282536B1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JP4982200B2 (ja) 電気掃除機
JP2009201568A (ja) 電気掃除機
JP4738063B2 (ja) 電気掃除機
KR20060020772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JP2005211285A (ja) 電気掃除機
JP7085425B2 (ja) 電気掃除機
JP7085424B2 (ja) 電気掃除機
JP5210763B2 (ja) フィルタ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8183360A (ja) 電気掃除機
JP5801131B2 (ja) 電気掃除機
JP2008200121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