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139B1 -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139B1
KR100928139B1 KR1020087000995A KR20087000995A KR100928139B1 KR 100928139 B1 KR100928139 B1 KR 100928139B1 KR 1020087000995 A KR1020087000995 A KR 1020087000995A KR 20087000995 A KR20087000995 A KR 20087000995A KR 100928139 B1 KR100928139 B1 KR 100928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haft
cam
control
contro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0685A (ko
Inventor
미키오 타나베
신이치 무라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0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63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cam contact point by displacing an intermediate lever or wedge-shaped intermediate element, e.g. Tourtel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21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rocker arm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01L1/181Centre pivot rocking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6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valves operated simultaneously by same transmitting-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with more than two lift-valves per cylinder
    • F01L1/267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valves operated simultaneously by same transmitting-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with more than two lift-valves per cylinder with means for varying the timing or the lift of th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63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cam contact point by displacing an intermediate lever or wedge-shaped intermediate element, e.g. Tourtelot
    • F01L2013/0068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cam contact point by displacing an intermediate lever or wedge-shaped intermediate element, e.g. Tourtelot with an oscillating cam acting on the valve of the "BMW-Valvetron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3/00Manufacturing of components used in valve arrangements
    • F01L2303/01Tools for producing, mounting or adjusting, e.g. some part of the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5/00Valve arrangements comprising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01Cams
    • Y10T74/2107Foll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20)는, 내연기관(200)에 회전 자유롭게 마련된 캠 샤프트(10)와, 캠 샤프트(10)에 형성된 캠(15)과, 캠에 의해 구동되는 요동 캠과, 요동 캠에 의해 구동되는 흡기 밸브(5) 또는 배기 밸브(6)와, 내연기관(200)에 회전 자유롭게 캠 샤프트와 병행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기름이 유통되는 유로(11a)가 형성된 제어 샤프트(11)와, 일단이 제어 샤프트(11)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어 샤프트(11)로부터 돌출하는 제어 암(72)과, 제어 샤프트(11)를 회전시켜서 제어 암(72)을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43)와, 제어 암(72)의 타단과 회동 자유롭게 결합하고, 제어 암(72)의 변위를 요동 캠(45)에 전달하는 전달 암(35)과, 제어 암(72)의 내부에 마련되고 제어 샤프트(11)의 유로의 기름을 제어 암(72)과 전달 암(35)의 결합되는 부분(79)에 공급하는 윤활유로(78)를 이용하였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VARIABLE VALVE GEA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의 위상 또는 리프트량을 가변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의 한 예로서, 자동차에 탑재된 레시프로식 엔진에는, 엔진의 배출 가스 대책이나 연비를 저감하기 위해, 흡기 밸브나 배기 밸브의 위상 즉, 개폐 타이밍과, 밸브의 리프트량을 변화시키는 가변운동 밸브 장치를 탑재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대부분에는, 캠 샤프트에 형성되어 있는 캠의 위상을, 베이스원 구간과 리프트 구간이 연결되는 요동 왕복식의 캠으로 치환하여, 흡기 밸브나 배기 밸브의 특성을 변경하는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펌핑 로스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회동 가능한 제어 샤프트에 제어 암을 지지시키고, 동 제어 암의 단부에 캠과 맞닿는 전달 암을 지지시키는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제어 샤프트가 회동하면, 전달 암이 이 동함에 의해, 전달 암과 캠의 맞닿는 위치가 변경된다. 이로써, 흡기 밸브나 배기 밸브의 위상은, 밸브개방 시기보다 밸브폐쇄 시기가 크게 변화하면서 변경되게 된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3-239712호 공보를 참조).
그런데, 밸브개방 시기보다 밸브폐쇄 시기를 크게 가변시키는 기능을 갖는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대부분은, 특허 문헌 1에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어 샤프트의 외주부에 제어 암을 감삽(嵌揷)시키는 지지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경우, 각 부재의 활주부에의 윤활유의 공급이 필요 불가결하게 된다. 특히, 제어 암과 전달 암의 지지부분에의 윤활유의 공급이 필요하지만 특허 문헌 1에서는 아무런 대책이 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지지부분이 밸브 특성 변경에 수반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충분히 윤활유를 공급할 수 없거나 공급 구조가 복잡하게 되거나 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윤활이 간단한 구조로 확보되면서, 제어 암과 전달 암과의 지지부분을 윤활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회전 자유롭게 마련된 캠 샤프트와, 상기 캠 샤프트에 형성된 캠과, 상기 내연기관에 요동 자유롭게 마련되고 상기 캠에 의해 구동되는 요동 캠과, 상기 요동 캠에 의해 구동되는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와, 상기 내연기관에 회전 자유롭게 상기 캠 샤프트와 병행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기름이 유통되는 유로가 형성된 제어 샤프트와, 일단이 상기 제어 샤프트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어 샤프트로부터 돌출하는 제어 암과, 상기 제어 샤프트를 회전시켜서 제어 암을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어 암의 타단과 회동 자유롭게 결합하고, 상기 제어 암의 변위를 상기 요동 캠에 전달하는 전달 암과, 상기 제어 암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 샤프트의 유로의 기름을 상기 제어 암과 상기 전달 암의 결합되는 부분에 공급하는 윤활유로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윤활이 요구되는 전달 암과 동 제어 암이 결합되는 부분은, 단순하게, 제어 샤프트의 유로로부터 기름을 전달 암 내부에 형성한 윤활유로에 공급하는 것만으로 윤활된다. 그 때문에, 간단한 통로 구조로, 결합한 부분이 충분히 윤활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또한, 상기 제어 암과 상기 전달 암이 결합되는 부분과 상기 제어 샤프트의 축심과의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기구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정 기구를 조작함에 의해, 제어 암과 전달 암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과 제어 샤프트의 축심과의 거리를 조정함에 의해, 고정밀도로 기통 사이의 편차나 제어 편차 등의 조정이 된다. 이로써, 편차를 요인으로 한 내연기관의 진동의 발생이나 연비의 악화가 방지된다.
상기 형태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어 암의 일단은, 상기 제어 샤프트에 삽입된다. 상기 조정 기구는, 상기 제어 샤프트의 상기 제어 암과 반대측에 진퇴 가능하게나 나삽(螺揷)된, 상기 제어 암의 일단과 맞닿는 조정 나사부재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어 암의 일단과 상기 조정 나사부재와의 맞닿는 부위가 상기 제어 샤프트의 유로 내에 위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또한, 간단한 조정 나사부재를 이용한 구조로, 기통 사이의 편차나 제어 편차 등을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맞닿는 제어 암 단과 조정부재 단 사이의 윤활은, 제어 샤프트 내의 유로에 해당 맞닿는 부위를 위치 결정한다는 구조만으로, 특별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어 암의 일단 또는 해당 일단과 맞닿는 상기 조정 나사부재의 단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제어 샤프트의 유로와 상기 제어 암의 윤활유로를 연통하는 노치부가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또한, 노치부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로, 항상 양호하게, 제어 샤프트의 유로로부터 제어 암의 윤활유로에, 기름이 공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어 샤프트에는, 상기 전달 암과 상기 제어 암을 결합한 결합부분의 일부가 격납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또한, 제어 암의 결합부와 제어 샤프트의 축심 사이의 거리가 단축될 수 있고, 조정 기구의 경량·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제어 샤프트의 단위회전당의 캠 위상 또는 리프트량의 변화량은 작아지기 때문에, 한층, 고정밀도의 제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달 암을 이동시킬 때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으며, 흡기 밸브나 배기 밸브로부터의 반력 즉, 회전 토오크를 억제하거나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운동 밸브 장치를, 동 장치를 탑재한 실린더 헤드와 함께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변운동 밸브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변운동 밸브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편차를 조정하는 조정부의 구조를 일부 단면으로서 도시하는 정면도.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편차를 조정하는 조정부의 구조를 일부 단면으로서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A, 4B에 도시된 조정부를 분해하여 각 부분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최대 밸브 리프트 제어시에 있어서의 캠면의 베이스원 구간에 로커 암이 맞닿아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최대 밸브 리프트 제어시에 있어서의 캠면의 리프트 구간에 로커 암이 맞닿아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최소 밸브 리프트 제어시에 있어서의 캠면의 베이스원 구간에 로커 암이 맞닿아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최소 밸브 리프트 제어시에 있어서의 캠면의 리프트 구간에 로커 암이 맞닿아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조정 작업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성능을 도시하는 선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며 또한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편차를 조정하는 조정부의 구조를 일부 단면으로서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며 또한 가변운동 밸브 장치의 편차를 조정하는 조정부의 구조를 일부 단면으로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를, 도 1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내연기관, 예를 들면 복수의 기통(1a)이 직렬로 나열하는 레시프로식 가소린 엔진(200)의 실린더 헤드(1)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기통(1a)은, 도면중에 하나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실린더 헤드(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실린더 헤드(1)에 탑재된 가변운동 밸브 장치(20)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실린더 헤드(1)에 관해 설명한다. 실린더 헤드(1)의 하면에는, 기통(1a)마다 연소실(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소실(2)은, 도면중 하나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들 연소실(2)에는, 각각 예를 들면 2개씩, 즉, 한 쌍의 흡기 포트(3) 및 배기 포트(4)가 조립되어 있다. 또한, 흡기 포트(3) 및 배기 포트(4)는, 도면중 편측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실린더 헤드(1)의 상부에는, 흡기 포트(3)를 개폐하는 흡기 밸브(5)와, 배기 포트(4)를 개폐하는 배기 밸브(6)가 조립되어 있다. 흡기 밸브(5)와 배기 밸브(6)는, 밸브 스프링(7)으로 폐쇄 방향으로 가세되는 상폐식(常閉式)의 왕복 밸브이다. 또한, 기통(1a) 내에는, 피스톤(1b)이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한편, 도 1중 8은, 실린더 헤드(1)의 상부에 탑재된, 예를 들면 Single Overhead Comshaft(S0HC)식의 운동 밸브계를 나타내고 있다. S0HC식의 운동 밸브계(8)는, 복수의 흡기 밸브(5)와 복수의 배기 밸브(6)를, 하나의 캠 샤프트로 구동한다.
운동 밸브계(8)에 관해 설명한다. 10은, 연소실(2)의 머리 위에, 실린더 헤드(1)의 긴변 방향을 따름과 동시에 회전 자유롭게 마련된 중공(中空)의 캠 샤프트이다. 11은, 캠 샤프트(10)를 끼운 편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설된 흡기측의 로커 샤프트이다. 로커 샤프트(11)는, 본원의 제어 샤프트를 겸하고 있다.
12는, 로커 샤프트(11)의 반대측에 배설 구성된 배기측의 로커 샤프트이다. 13은, 예를 들면 로커 샤프트(11)와 로커 샤프트(12) 사이의 상측이며 또한 로커 샤프트(12) 근처에 배설된 지지 샤프트를 나타내고 있다.
로커 샤프트(11, 12) 및 지지 샤프트(13)는, 어느 것이나 캠 샤프트(10)와 평행하고 또한 병행하여 배치된 중공의 축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축부재의 내부의 구멍으로 형성된 통로(11a 내지 13a)에는, 도 3에 도시되는 윤활유 공급계(100)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G)가 유통되도록 되어 있다. 윤활유(G)는,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11a는, 로커 샤프트(11)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통로(11a)는, 본원의 유로에 상당한다. 12a는, 로커 샤 프트(12)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13a는, 지지 샤프트(13)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캠 샤프트(10)는, 도시하지 않은 크랭크 샤프트로부터 전해지는 엔진의 출력에 의해, 도 1중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 회전 구동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캠 샤프트(10)는, 연소실(2)마다, 하나의 흡기용 캠(15)과, 2개의 배기용 캠(16)이 형성되어 있다. 흡기용 캠(15)은, 본원의 캠에 상당한다.
흡기용 캠(15)은, 연소실(2)의 머리 위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용 캠(16, 16)은, 흡기용 캠(15)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기측의 로커 샤프트(12)에는, 배기용 캠(16)마다 즉, 배기 밸브(6)마다, 배기 밸브(6)용의 로커 암(18)이 각각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편측의 로커 암(18)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흡기측의 로커 샤프트(11)에는, 흡기용 캠(15)마다 즉, 흡기 밸브(5)마다, 가변운동 밸브 장치(20)가 조립되어 있다. 로커 암(18)은, 배기용 캠(16)의 변위를 배기 밸브(6)에 전하는 부품이다. 가변운동 밸브 장치(20)는, 흡기용 캠(15)의 변위를 흡기 밸브(5)에 전하는 장치이다.
로커 암(18)과 가변운동 밸브 장치(20)가 각 캠(15, 16)으로 구동됨에 의해, 피스톤(1b)의 왕복운동에 연동하여, 기통(1a) 내에서, 소정의 연소 사이클이 형성된다. 소정의 사이클은, 예를 들면 흡기 행정, 압축 행정, 폭발 행정, 배기 행정의 4사이클이다.
가변운동 밸브 장치(2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 변운동 밸브 장치(20)는, 로커 샤프트(11)에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로커 암(25)과, 로커 암(25)과 조합하는 스윙 캠(45)과, 흡기용 캠(15)의 변위를 스윙 캠(45)에 전달하는 센터 로커 암(35)과, 센터 로커 암(35)을 흡기용 캠(15)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밸브 특성 변경 기구(70)를 갖고 있다. 로커 암(25)은, 흡기 밸브용이고, 본원의 로커 암에 상당한다. 스윙 캠(45)은, 본원의 요동 캠에 상당한다. 센터 로커 암(35)은, 본원의 전달 암에 상당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커 암(25)에는, 예를 들면 2갈래 형상의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커 암(25)은, 한 쌍의 로커 암편(片)(29)과, 롤러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로커 암편(29)은, 중앙에 통형상의 로커 샤프트 지지용 보스(26)가 형성되고, 일단측에 흡기 밸브(5)의 구동을 하는 구동부분, 예를 들면 어저스트 스크류부(27)가 조립되어 있다. 롤러부재(30)는, 로커 암편(29)의 타단부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또한, 회전 자유롭다. 롤러부재(3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맞닿음부를 형성한다. 또한, 32는, 롤러부재(30)를 로커 암편(29)에 회전 자유롭게 추지(樞支)하는 짧은 샤프트이다.
그리고, 로커 샤프트(11)는, 로커 샤프트 지지용 보스(26, 26)에 요동 자유롭게 감삽된다. 롤러부재(30)는, 지지 샤프트(13)측 즉, 실린더 헤드(1)의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다. 어저스트 스크류부(27)는, 각각 흡기 밸브(5, 5)의 상부 단(端) 즉, 밸브 스템 단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로커 암(25)이 로커 샤프트(11)를 지점으로 요동하면, 흡기 밸브(5, 5)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윙 캠(45)은, 보스부(46)와, 암부(47)와, 받이부(48)를 갖고 있다. 보스부(46)는, 지지 샤프트(13)에 회동 자유롭게 감삽되는 통형상이다. 암부(47)는, 보스부(46)로부터 롤러부재(30) 즉, 로커 암(25)을 향하여 늘어나 있다. 받이부(48)는, 암부(47)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암부(47)의 선단면에는, 로커 암(25)에 변위를 전하는 전달면부로서,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캠면(49)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49)은, 로커 암(25)의 롤러부재(30)의 외주면에 전접(轉接)되어 있다. 캠면(49)에 관한 상세는 후술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이부(48)의 구조에는, 예를 들면 암부(47)의 하부중 캠 샤프트(10)의 바로 위가 되는 하면(下面)부분에 형성된 함몰부(51)와, 함몰부(51) 내에 캠 샤프트(1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짧은 샤프트(52)를 구비한 구조가 이용된다. 또한, 53은, 짧은 샤프트(52)에서 함몰부(51) 내로 노출하는 부분의 외주부에 형성된, 평면인 저면을 갖는 오목부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터 로커 암(35)에는, 흡기용 캠(15)의 캠면과 전접하는 전접자 예를 들면 캠 폴로워(36)와, 캠 폴로워(36)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테두리형의 홀더부(37)를 갖는, 거의 L형부재가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센터 로커 암(35)은, 중계용 암부(38)와, 지점용 암부(39)를 갖는 L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계용 암부(38)는, 캠 폴로워(36)를 중심으로 하여, 홀더부(37)로부터 상방의 로커 샤프트(11)와 지지 샤프트(13) 사이를 향하여 늘어나는 기둥형상(柱狀)이 다. 지점용 암부(39)는, 홀더부(37)의 측부로부터, 로커 샤프트(11)에서 한 쌍의 로커 암편(29) 사이로부터 노출하는 샤프트부분(11c)의 하측으로 늘어난다. 샤프트부분(11c)은, 도 6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지점용 암부(39)는, 예를 들면 2갈래 형태로 나뉘어 있다. 또한, 중계용 암부(38)의 선단 즉, 상단면에는, 구동면으로서의 경사면(40)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0)은, 로커 샤프트(11)측이 낮고, 지지 샤프트(13)측이 높아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중계용 암부(38)의 선단은, 스윙 캠(45)의 오목부(53)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흡기용 캠(15)과 스윙 캠(45) 사이에 센터 로커 암(35)이 개재된다. 그리고, 암부(38)의 경사면(40)은, 오목부(53)의 저면에 형성되는 받이면(53a)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맞닿아 있다. 이로써, 흡기용 캠(15)의 변위는, 미끄러짐을 수반하면서 중계용 암부(38)로부터 스윙 캠(45)에 전달된다.
도 1,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특성 변경 기구(70)는, 암 이동 기구(77)와, 조정부(80)를 갖고 있다. 암 이동 기구(77)는, 샤프트부분(1lc)에 직경 방향 즉,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삽입한 제어 암(72)을 이용하여 센터 로커 암(35)을 이동 가능하게 한다.
조정부(80)는, 샤프트부분(1lc)의 축심과 제어 암(72)의 선단과의 거리, 즉, 샤프트부분(1lc)부터의 제어 암(72)의 돌출량을 조정한다. 조정부(80)는, 본원의 조정 기구에 상당한다.
도 3 내지 5에, 암 이동 기구(77)나 조정부(80)의 구체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암 이동 기구(77)에 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부분(1lc)의 하부 주벽(周壁)에는, 샤프트부분(11c)의 축심과 직교하는 통과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과구멍(73)은, 통로(11a)와 연통하는 구멍이다.
제어 암(72)은, 원형 단면(斷面)을 갖는 축부(74)와, 동 축부(74)의 일단에 형성된 원판형상의 핀 결합편(75)과, 도 3에 도시되는 동 핀 결합편(75)에 형성된 지지구멍(75a)을 갖고 있다.
제어 암(72)의 내부에는, 축방향의 전체 길이, 구체적으로는 지지구멍(75a)으로부터 반대측의 단(端)에 건네는 윤활유 통로(78)가 형성되어 있다. 윤활유 통로(78)는, 본원의 윤활유로에 상당한다. 또한, 도 4A, 4B,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74)의 타단의 단면(端面)에는, 윤활유 통로(78)의 도입구를 형성하기 위한 홈형의 노치부(7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핀 결합편(75)을 제외한 축부(74)의 전체의 외경은, 통과구멍(73)에 삽입 자유롭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어 암(72)은, 핀 결합편(75)으로부터 반대측의 단(端)부분까지를 조정역부(調整域部)(76)로 하고 있다. 이 조정역부(76)가 샤프트부분(11c)의 하부에서 통과구멍(73)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삽입된 조정역부(76)는, 축방향 및 둘레 방향에 대해 이동 자유롭다. 이 조정역부(76)가, 후술하는 조정부(80)에 의해 지지된다.
핀 결합편(75)은, 2갈래로 나누어진 지점용 암부(39)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암부(39) 및 지지구멍(75a)에는 핀(42)이 삽통되어 있다. 이 결과, 지점용 암부(39)의 선단부와, 샤프트부분(1lc)부터 돌출한 제어 암(72)의 단부는, 서로를 캠 샤프트(10), 로커 샤프트(11)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즉, 서로 핀 결합되어 있다.
이 결합에 의해, 흡기용 캠(15)의 회전에 따라, 핀(42)을 지점으로 하여, 센터 로커 암(35)의 중계용 암부(38)는, 상하 방향으로 변위 즉, 요동된다. 또한, 스윙 캠(45)은, 센터 로커 암(35)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지지 샤프트(13)를 지점으로, 짧은 샤프트(52)를 작용점 즉, 센터 로커 암(35)으로부터의 하중이 작용하는 점으로 하여, 캠면(49)을 역점(力點) 즉, 로커 암(25)을 구동시키는 점으로 하여, 주기적으로 요동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커 샤프트(11)의 단부에는, 제어 액추에이터로서, 예를 들면 제어용 모터(43)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용 모터(43)는, 로커 샤프트(11)를 축심 주위로 회동한다. 로커 샤프트(11)가 회동함에 의해, 제어 암(72)은,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개략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자세로부터,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캠 샤프트 회전 방향으로 크게 기울어진 자세까지 이동한다.
즉, 센터 로커 암(35)은, 제어 암(72)의 이동에 따라 샤프트부분(1lc)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즉, 변위할 수 있다. 이 이동에 의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캠 폴로워(36)에서의 흡기용 캠(15)과의 전접 위치 즉, 맞닿는 위치가 진각(進角) 방향이나 지각(遲角) 방향으로 이동 즉, 변경한다.
전접 위치를 변경함에 의해, 스윙 캠(45)의 캠면(49)의 자세가 변화한다. 스윙 캠(45)의 캠면(49)의 자세가 변화함에 의해, 흡기 밸브(5)의 개폐 타이밍이나 밸브 리프트량이, 동시에 변경되도록 하고 있다.
이 점을 설명하면, 캠면(49)은, 예를 들면 지지 샤프트(13)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변화한 곡면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캠면(49)의 상부측은, 베이스원 구간(α), 즉, 지지 샤프트(13)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면으로 형성된 구간이다. 캠면(49)의 하부측은, 리프트 구간(β), 즉, 상기 원호에 연속한 복수의 원호면,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흡기용 캠(15)의 리프트역(域)의 캠 형상과 같은 원호면으로 형성되는 구간이다.
이로써, 캠 폴로워(36)가 흡기용 캠(15)의 진각 방향 또는 지각 방향으로 변위하면, 스윙 캠(45)의 자세가 변화한다. 그리고, 스윙 캠(45)의 자세의 변화에 의해, 캠면(49)에서 롤러부재(30)가 접하는 영역이 변화한다. 상세하게는, 흡기용 캠(15)의 위상이 진각 방향 또는 지각 방향으로 어긋나면서, 롤러부재(30)가 오고 가는 베이스원 구간(α)과 리프트 구간(β)의 비율이 변한다.
진각 방향의 위상 변화 또는 지각 방향의 위상 변화를 수반하면서 행하여지는 구간(α, β)의 비율의 변화에 의해, 흡기 밸브(5)의 개폐 타이밍을 밸브개방 시기보다도 밸브폐쇄 시기를 크게 변경하거나, 동시에 흡기 밸브(5)의 밸브 리프트량을 연속적으로 변경하거나 하고 있다.
도 3 내지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정부(80)에는, 샤프트부분(1lc)에서 통과구멍(73)과는 반대측의 지점 즉, 샤프트부분(11c)의 상부 주벽에 형성된 나사구멍(81)과, 나사구멍(81)에 진퇴 가능하게 나삽된 축형상(軸狀)의 나사부재(82)를 이용한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나사구멍(81)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나사 부재(82)는, 본원의 조정 나사부재에 상당한다.
나사구멍(81)은, 샤프트부분(11c)의 통로(11a)까지 늘어나 있다. 나사구멍(81)은, 통로(11a)를 끼우고, 통과구멍(73)과 직렬로 배치시키고 있다. 통과구멍(73) 내에 삽입된 제어 암(72)의 단은, 나사구멍(81) 내에 나사체결된 나사부재(82)의 단과 맞닿는다.
이와 같이, 제어 암(72)이 나사부재(82)에 맞닿음에 의해, 제어 암(72)은, 지지된다. 이 지지에 의해, 센터 로커 암(35)의 지점용 암부(39)의 단이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제어 암(72)과 나사부재(82)가 맞닿는 맞닿음 부위는, 제어 샤프트(11)의 통로(11a) 내에 배치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결과, 통로(11a) 내를 통과하는 윤활유(G)에 의해, 제어 암(72)과 나사부재(82)의 맞닿음부 사이가 윤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윤활유 통로(78)는, 노치부(78a)를 통과하여 통로(11a) 내와 연통하고 있다. 통로(11a) 내의 윤활유(G)가, 노치부(78a)로부터 윤활유 통로(78)를 통과하여, 핀(42)으로 결합한 결합부분(79)(핀 결합부), 구체적으로는 핀(42)과 제어 암(72) 단이 접하는 활주부나 핀(42)과 지점용 암부(39) 단이 접하는 활주부 등 윤활이 요구되는 부위에 충분히 공급된다. 또한, 홈형의 노치부(78a)는, 윤활 통로(78)에 윤활유(G)가 도입되기 쇱도록, 선단 개구가 통로(11a)의 상류측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암(72)이 지지됨에 의해, 나사부재(82)를 회전 조작하면, 샤프트부분(11c)으로부터 돌출하는 조정역부(76) 즉, 제어 암(72)의 돌출량 이 조정된다.
단, 83은, 나사부재(82)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나사부재(82)의 상단면 즉, 샤프트부분(11c)으로부터 노출하는 단면에 형성된 예를 들면 십자형의 홈부이다. 84는, 나사부재(82)를 로크하기 위해 제어 암(72)과는 반대측의 나사부재(82)의 단부에 나사체결된 로크 너트(너트부재)이다. 84a는, 로크 너트(84)의 좌면(座面)을 형성하는 노치이다.
제어 암(72)의 돌출량이 가변인 것에 의해, 흡기용 캠(15)과 센터 로커 암(35)과의 전접 위치를 변경시켜서, 센터 로커 암(35)의 자세, 스윙 캠(45)의 자세를 변경하고, 흡기 밸브(5)의 개방 시기나 리프트량이 조정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86은, 흡기용 캠(15)과 센터 로커 암(35)과 스윙 캠(45)의 상호간을 밀접(密接)한 방향으로 가세하는 푸셔이다. 87은, 연소실(2) 내의 혼합기에 점화하기 위한 점화 플러그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가변운동 밸브 장치(2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엔진의 운전에 의해 캠 샤프트(10)가 회전하고 있다고 한다.
이때, 센터 로커 암(35)의 캠 폴로워(36)는, 흡기용 캠(15)에 전접하고 있기 때문에, 흡기용 캠(15)의 캠 프로파일에 따라 구동된다. 이로써, 센터 로커 암(35)은, 핀(42)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한다.
한편, 스윙 캠(45)의 받이면(53a)에는, 중계용 암부(38)의 경사면(40)을 통하여 센터 로커 암(35)의 요동 변위가 전하여진다. 받이면(53a)과 경사면(40)은 슬 라이드 가능하기 때문에, 스윙 캠(45)은, 경사면(40)을 활주하면서, 해당 경사면(40)에 의해 밀어올려지거나 하강하거나 하는 요동 운동을 반복한다. 이 스윙 캠(45)의 요동에 의해, 캠면(49)은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구동된다.
이때, 캠면(49)은, 로커 암(25)의 롤러부재(30)와 전접하고 있기 때문에, 롤러부재(30)는, 캠면(49)에 의해 주기적으로 가압된다. 이 가압을 받아서, 로커 암(25)은, 로커 샤프트(11)를 지점으로 구동되어 요동되고, 복수 즉, 한 쌍의 흡기 밸브(5)를 개폐한다.
이때, 제어용 모터(43)의 작동에 의해 로커 샤프트(11)를 회동시켜서, 제어 암(72)을, 예를 들면 최대 밸브 리프트량이 확보되는 지점,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수직 자세가 되는 지점까지 회동시킨다고 한다.
그러면, 이 제어 암(72)의 회동 변위를 받아서, 센터 로커 암(35)은, 흡기용 캠(15)상을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한다. 이로써, 도 6,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터 로커 암(35)과 흡기용 캠(15)의 전접 위치는, 흡기용 캠(15)상을 지각 방향에 따라 비켜진다. 이 결과, 스윙 캠(45)의 캠면(49)은, 수직에 가까운 각도가 되는 자세로 위치 결정된다.
이 캠면(49)의 자세에 의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캠면(49)에서 롤러부재(30)가 오고 가는 영역, 즉, 베이스원 구간(α)과 리프트 구간(β)의 비율은, 최대의 밸브 리프트량을 가져오는 영역, 즉, 가장 짧은 베이스원 구간(α)과 가장 긴 리프트 구간(β)에 설정된다.
이로써, 로커 암(25)은, 좁은 베이스원 구간(α)과 가장 긴 리프트 구간(β) 으로 형성되는 캠면부분에 의해 구동된다. 이 결과, 흡기 밸브(5)는, 예를 들면 도 11중의 A1의 선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최대 밸브 리프트량, 나아가서는 흡기 밸브 리프트 곡선의 T0P 위치에 따르는 개폐 타이밍에서 개폐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흡기 밸브(5)의 리프트량 및 흡기용 캠(15)에서 실제로 흡기 밸브(5)를 밸브개방하는 범위를 작아지도록 변경할 때는, 제어용 모터(43)의 작동에 의해 로커 샤프트(11)를 회동시켜서, 제어 암(72)을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핀(42)이 흡기용 캠(15)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그러면, 제어 암(72)의 회동 변위에 의해, 센터 로커 암(35)은, 흡기용 캠(15)상을 회전 방향 앞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센터 로커 암(35)과 흡기용 캠(15)의 전접 위치 즉, 맞닿는 위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기용 캠(15)상을 진각하는 방향으로 비켜진다. 이 전접 위치의 변경에 의해, 밸브 리프트 곡선의 T0P 위치가 진각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경사면(40)도, 센터 로커 암(35)의 이동을 받아서, 당초의 위치로부터 받이면(53a)상을 캠 진각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때의 센터 로커 암(35)의 이동에 의해, 스윙 캠(45)의 자세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캠면(49)이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자세로 변한다.
여기서, 롤러부재(30)가 오고 가는 캠면(49)의 영역은, 이 경사가 커짐에 따라서, 베이스원 구간(α)이 점점 길게, 리프트 구간(β)이 점점 짧게 되는 비율로 변한다. 즉, 캠면(49)의 캠 프로파일이 변경된다. 이 변경된 캠면의 캠 프로파일 롤러부재(30)에 전달되면, 로커 암(25)은, 캠 프로파일 전체를 진각시키면서, 리프 트량이 낮아지도록 구동된다.
이로써, 흡기 밸브(5)는, 도 11중에 도시되는 최대 밸브 리프트량(A1)으로부터 핀부재(41)가 최대한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얻어지는 최소 밸브 리프트량(A7)까지와 같이, 밸브개방 시기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밸브개방하는 타이밍을 유지하면서 밸브폐쇄 시기를 크게 변화시킨 개폐 타이밍과 밸브 리프트량의 연속적인 동시 가변에 의해 제어된다.
그동안에, 윤활유 공급계(100)로부터 공급된 통로(11a) 내의 윤활유(G)의 일부는, 도 4B중의 화살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 암(72) 내의 윤활유 통로(78)에 도입된다. 이로써, 제어 암(72) 단과 나사부재(82) 단 사이가 윤활된다. 나아가서는, 핀(42)으로 결합된 결합부분(79), 구체적으로는 핀(42)과 핀 결합편(75) 사이의 활주부분이나 핀(42)과 지점용 암부(39) 사이의 활주부분 등이 윤활된다.
여기서, 제어 암(72)은, 일단이 본원의 제어 샤프트에 상당하는 샤프트부분(1lc)에 직경 방향에서 삽입되고, 나사부재(82) 단에 맞닿으며, 또한, 축부(74)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동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변경 동작중, 본원의 전달 암으로서의 센터 로커 암(35)이 흡기용 캠(15)상에서 어긋나서, 캠면과 캠 폴로워(36)가 평행하게 접촉하지 않는 미스 얼라인먼트가 생겼다고 하여도, 동 어긋남의 거동은, 제어 암(72)의 축 중심을 지점으로 한 센터 로커 암(35)의 움직임 즉, 회동 변위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흡기용 캠(15)의 캠면과 캠 폴로워(36)가 한쪽만 닿음에 의해 마모하거나, 국부 하중에 의해 손상되는 일은 없다. 또한, 제어 암(72)은, 일단이 샤프 트부분(11c)에 삽입되고, 타단이 센터 로커 암(35)의 단과 핀 결합된다. 그 때문에, 윤활이 요구되는, 핀(42)으로 결합되는 결합부분(79) 즉, (핀 결합부)는, 단순하게, 제어 암(72)의 내부에 통로(11a) 내의 윤활유(G)를 핀 결합부에 유도하는 윤활유 통로(78)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윤활할 수 있다.
즉, 간단한 통로 구조로, 핀(42)으로 결합한 부위가 충분히 윤활된다. 특히, 제어 암(72)의 단에는, 통로(11a)로부터 윤활유(G)를 윤활유 통로(78)에 도입하는 노치부(78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유량이 확보되기 쉽다.
또한, 샤프트부분(11c)에는 동 샤프트부분(11c)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정하는 조정부(8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기통(1a) 사이의 편차나 제어 편차가 용이하게 조정된다. 즉, 이 조정에 관해 설명하면, 지금, 흡기 밸브(5)의 밸브개방 시기의 편차를 조정한다고 한다.
이때는, 우선, 엔진의 비작동시에, 로커 샤프트(11)를 회동 조작하여,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나사부재(82)를 두부(頭部) 즉, 홈부(83)가 있는 단부가 로커 암편(29, 29) 사이에 면하는 자세, 구체적으로는 작업을 하기 쉬운 자세로 로커 샤프트(11)를 기울인다.
계속해서, 드라이버 치구(64)의 선단부를, 로커 암편(29, 29)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로크 너트(84)에 끼워서, 도 10중의 2점쇄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 치구(64)의 후단부터 나사부재(82)의 단부까지의 사이에 드라이버(65)를 삽입하기 위한 안내로(66)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안내로(66) 내에 드라이버(65)의 선단측을 삽입하고, 안내로(66) 를 통과하여 드라이버(65)의 선단에 있는 플러스형의 삽입부가 나사부재(82) 단에 있는 십자형의 홈부(83)에 삽입된다.
다음에, 드라이버(65)를 고정한 상태에서 드라이버 치구(64)를 회동하여 로크 너트(84b)를 푼다. 계속해서, 드라이버(65)를 회동 조작하여, 제어 암(72)의 돌출량을 가감하면, 센터 로커 암(35)의 자세가 변경된다. 이로써, 해당 센터 로커 암(35)과 흡기용 캠(15)의 전접 위치 즉, 접합 위치는, 조정된다. 이 조정에 의해, 스윙 캠(45)의 자세가 변경된다. 스윙 캠(45)의 로커 암(25)을 구동하는 구동 위치가 변경됨에 의해, 흡기 밸브(5)의 개폐 위상 및 리프트량이 조정된다.
이리하여, 로커 샤프트(11)에 조립한 제어 암(72)의 이동에 의해, 센터 로커 암(35)과 흡기용 캠(15)의 전접 위치가 변경된다. 그리고, 로커 암(25)의 구동 범위를 변경하는 가변운동 밸브 구조로서, 제어 암(72)의 돌출량을 조정하는 구조를 채용함에 의해, 센터 로커 암(35)의 진각 방향이나 지각 방향에 따른 미세한 위치 조정이 가능해지고, 센터 로커 암(35)과 흡기용 캠(15)의 전접 위치 즉, 맞닿는 위치가 미세하게 조정된다.
이것으로, 흡기 밸브(5)의 위상은, 스윙 캠(45)의 자세의 변경, 스윙 캠(45)의 로커 암(25)을 구동하는 구동 위치의 변경에 의해 조정되고, 기통 사이의 편차가 시정된다. 게다가, 센터 로커 암(35)과 제어 암(72)을 핀(42)으로 결합한 구조에 의해, 제어 암(72)의 가변 범위가, 그대로, 센터 로커 암(35)에 전해지기 때문에,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서 조정된다.
특히, 조정부(80)는, 삽입된 제어 암(72)의 반대측의 샤프트부분(1lc)에 나 사부재(82)를 나삽할뿐이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이다. 게다가, 동 구조라면, 맞닿는 제어 암(72)의 단과 나사부재(82)의 단 사이의 윤활 구조는, 맞닿는 부위가 되는 제어 암(72)의 단과 나사부재(82)의 단을, 통로(11a) 내에 위치 결정할뿐의 간단한 구조로 좋기 때문에, 특별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해결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에 관한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를, 도 12A, 도 12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A, 12B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커 샤프트(11) 즉,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어 샤프트의 외주부에 오목부(90)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90) 내에, 핀 결합부, 즉, 핀(42)으로 결합한 센터 로커 암(35)과 제어 암(72)의 결합부분(79)의 일부가 격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는, 예를 들면 도 12A, 1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커 샤프트(11)의 하부 즉, 로커 샤프트(11)에서 핀(42)이 배치되는 측의 외주면의 일부에, 오목부(90)를 이루는 노치부(90a)가 형성된다. 그리고, 노치부(90a) 내에, 결합부분(79)의 일부, 예를 들면 핀(42)의 일부까지가 격납된다.
이와 같은 격납 구조를 이용하면,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터 로커 암(35)과 제어 암(72)을 결합하는 핀(42)의 축심으로부터 로커 샤프트(11) 즉, 제어 샤프트의 축심까지의 축심 사이(L)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이로써, 조정부(80)의 컴팩트화 및 경량화가 도모된다.
게다가, 축심 사이(L)의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로커 샤프트(11) 즉, 제어 샤 프트의 단위회전당의 캠 위상의 변화량은 작아진다. 그 때문에, 그만큼, 개폐 타이밍과 리프트량을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터 로커 암(35)을 이동시키는 부하 즉, 로커 샤프트(11)의 회전 토오크도 작게 해결된다. 더하여, 흡기 밸브(5)로부터의 반력 즉, 회전 토오크도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단, 제 2의 실시 형태에서, 제 1의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하여 실시하여도 상관없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흡기측의 로커 샤프트를 제어 샤프트로서 겸용시킨 구조가 채용된다. 그러나, 별도, 제어 샤프트를 이용한 구조가 채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암에 노치부가 형성되었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조정 나사부재의 단면에 노치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은, 흡기 밸브측에 적용되었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배기 밸브측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은, 1개의 캠 샤프트로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를 구동하는 구조의 S0HC식 운동 밸브계의 엔진에 적용되었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캠 샤프트가 흡기측과 배기측에 전용으로 있는 구조의 Double Overhead Camshaft(DOHC)식 운동 밸브계의 엔진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윤활이 요구되는 전달 암과 제어 암이 결합되는 부분은, 단순히, 제어 샤프트의 유로로부터 기름을 전달 암 내부에 형성한 윤활유로에 공급시키는 것만으로 윤활된다. 그 때문에, 간단한 통로 구조로, 결합한 부분은 충분히 윤활된다.

Claims (5)

  1. 내연기관에 회전 자유롭게 마련된 캠 샤프트와,
    상기 캠 샤프트에 형성된 캠과,
    상기 내연기관에 요동 자유롭게 마련되고 상기 캠에 의해 구동되는 요동 캠과,
    상기 요동 캠에 의해 구동되는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와,
    상기 내연기관에 회전 자유롭게 상기 캠 샤프트와 병행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기름이 유통되는 유로가 형성된 제어 샤프트와,
    일단이 상기 제어 샤프트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어 샤프트로부터 돌출하는 제어 암과,
    상기 제어 샤프트를 회전시켜서 제어 암을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어 암의 타단과 회동 자유롭게 결합하고, 상기 제어 암의 변위를 상기 요동 캠에 전달하는 전달 암과,
    상기 제어 암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 샤프트의 유로의 기름을 상기 제어 암과 상기 전달 암의 결합되는 부분에 공급하는 윤활유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암과 상기 전달 암이 결합되는 부분과 상기 제어 샤프트의 축심과 의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암의 일단은, 상기 제어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조정 기구는, 상기 제어 샤프트의 상기 제어 암과 반대측에 진퇴 가능하게 나삽된, 상기 제어 암의 일단과 맞닿는 조정 나사부재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어 암의 일단과 상기 조정 나사부재와의 맞닿는 부위가 상기 제어 샤프트의 유로 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암의 일단 또는 해당 일단과 맞닿는 상기 조정 나사부재의 단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제어 샤프트의 유로와 상기 제어 암의 윤활유로를 연통하는 노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샤프트에는, 상기 전달 암과 상기 제어 암을 결합한 결합부분의 일부가 격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
KR1020087000995A 2005-07-25 2006-07-25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 KR100928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14325 2005-07-25
JP2005214325A JP4293168B2 (ja) 2005-07-25 2005-07-25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PCT/JP2006/314681 WO2007013460A1 (ja) 2005-07-25 2006-07-25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685A KR20080020685A (ko) 2008-03-05
KR100928139B1 true KR100928139B1 (ko) 2009-11-25

Family

ID=3939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995A KR100928139B1 (ko) 2005-07-25 2006-07-25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57647B2 (ko)
EP (1) EP1918535B1 (ko)
JP (1) JP4293168B2 (ko)
KR (1) KR100928139B1 (ko)
CN (1) CN100580229C (ko)
WO (1) WO2007013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8257B2 (ja) * 2007-12-19 2011-04-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及びその駆動機構
JP5035070B2 (ja) * 2008-03-31 2012-09-26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可変動弁装置
JP5436103B2 (ja) * 2009-09-03 2014-03-05 株式会社オティックス 可変動弁機構
KR101220383B1 (ko) * 2010-11-08 201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
KR101382330B1 (ko) 2012-09-28 2014-04-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실린더 공기량 편차 조절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465634B1 (ko) 2013-06-21 2014-11-27 (주)모토닉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6914A (en) 1979-10-15 1981-05-19 Mazda Motor Corp Arrangement for intake valve of engine
JP2004132260A (ja) * 2002-10-10 2004-04-30 Mitsubishi Motors Corp 内燃機関の連続可変動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5172B2 (en) * 2001-05-14 2003-07-22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valve actuator assembly having a secondary actuator
JP2003239712A (ja) 2002-02-18 2003-08-27 Nippon Soken Inc 弁制御装置
JP4221327B2 (ja) * 2004-04-13 2009-02-12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5325786A (ja) * 2004-05-14 2005-11-2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バルブ開閉特性制御装置
JP2006152926A (ja) * 2004-11-30 2006-06-15 Hitachi Ltd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6914A (en) 1979-10-15 1981-05-19 Mazda Motor Corp Arrangement for intake valve of engine
JP2004132260A (ja) * 2002-10-10 2004-04-30 Mitsubishi Motors Corp 内燃機関の連続可変動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3460A1 (ja) 2007-02-01
EP1918535B1 (en) 2012-05-30
CN101228338A (zh) 2008-07-23
JP4293168B2 (ja) 2009-07-08
EP1918535A4 (en) 2011-03-09
US20080133106A1 (en) 2008-06-05
CN100580229C (zh) 2010-01-13
US7757647B2 (en) 2010-07-20
JP2007032347A (ja) 2007-02-08
EP1918535A1 (en) 2008-05-07
KR20080020685A (ko)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137B1 (ko) 내연 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
KR100928139B1 (ko) 내연기관의 가변운동 밸브 장치
KR100621961B1 (ko) 내연 기관의 가변식 구동 밸브 장치
US8402933B2 (en) Rocker arm changeover device for engine
EP3163037B1 (en) Valve device for engine
JP4469341B2 (ja) 可変動弁機構
EP1710403A1 (en) Engine
US7168404B2 (en) Variable valve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289193B2 (ja) エンジンの可変動弁装置
US7234426B2 (en) Variable valve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892684B2 (en) Variable valve gear
JP2008025441A (ja) 可変動弁機構
JP2007107432A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4238173B2 (ja) エンジンの動弁装置
RU2330164C2 (ru) Система привода клапанов двигателя
JP4323539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7107430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7107431A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H11229834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H03115711A (ja) エンジンの動弁装置
PL239684B1 (pl) Sposób kompensacji luzu zaworowego w silniku spalinowym o zmiennym stopniu sprężania i urządzenie do stosowania tego sposobu
JP2010053708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