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634B1 -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634B1
KR101465634B1 KR20130071886A KR20130071886A KR101465634B1 KR 101465634 B1 KR101465634 B1 KR 101465634B1 KR 20130071886 A KR20130071886 A KR 20130071886A KR 20130071886 A KR20130071886 A KR 20130071886A KR 101465634 B1 KR101465634 B1 KR 101465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coupled
connecting member
devia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권
황수현
전진환
박종웅
엄희동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모토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토닉 filed Critical (주)모토닉
Priority to KR2013007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01L1/053Camshafts overhea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5/00Valve arrangements comprising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캠샤프트에 결합된 캠의 회전운동에 의해 편심 회전운동하는 한 쌍의 로커암, 컨트롤샤프트에 일측이 결합되어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회전운동하는 한 쌍의 리프트 암 및 상기 로커암과 리프트 암의 회전각도를 변경해서 기통간 밸브 리프트 편차를 조절하는 편차조절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엔진의 각 기통간 밸브 리프트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편차조절부를 이용해서 로커암과 리프트 암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기통간 밸브 리프트 편차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CONTINUOUSLY VARIABLE VALVE LIFT ACTUATOR OF ENGINE}
본 발명은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조건에 따라 밸브의 리프트량을 제어하는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엔진에 적용되는 밸브기구는 엔진의 행정에 따라 연소실에 혼합기를 공급하고 연소가스를 배출한다.
최근에는 엔진의 운전조건, 즉 엔진의 회전속도와 부하에 의해 구분되는 엔진의 운전영역에 따라 밸브의 개도율이나 개폐시기를 변화시켜 혼합기 유입량과 연소가스의 배출효율을 최적화하는 가변밸브 기구들이 개발되어 엔진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엔진용 가변밸브 기구들은 엔진의 연비나 토크, 출력 등과 같은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출가스의 양을 저감한다.
이와 같은 자동차 엔진용 가변밸브 기구는 밸브의 개폐시기를 가변시키는 가변밸브 타이밍 기구, 밸브의 개도량을 가변시키는 가변밸브 리프트 기구, 밸브의 작동각을 변화시키는 가변밸브 작동각 기구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에서 가변밸브 리프트 기구는 중저속모드에서 출력 및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로커 암(rocker arm) 방식, 피봇(pivot) 방식, 태핏(tappet) 방식, 버킷(bucket)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본 출원인은 가변밸브 리프트 기구에 관한 기술을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등 다수에 개시하여 출원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84739호(2011년 11월 22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84741호(2011년 11월 22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88363호(2012년 8월 8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을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는 엔진에 장착된 상태에서 밸브 간극을 조정하는 조정 공정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는 엔진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정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밸브 간극 조정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엔진으로부터 탈착한 후 새로운 장치로 교체해서 조정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는 엔진 생산성 및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는 가솔린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 흡기행정시 스로틀 바디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펌핑로스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 입구의 흡기밸브에서 공기흡입량을 조절하여 펌핑로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 및 조립공정에서 발생하는 기통간 밸브 리프트 편차를 조절할 수 있는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는 캠샤프트에 결합된 캠의 회전운동에 의해 편심 회전운동하는 한 쌍의 로커암, 컨트롤샤프트에 일측이 결합되어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회전운동하는 한 쌍의 리프트 암 및 상기 로커암과 리프트 암의 회전각도를 변경해서 기통간 밸브 리프트 편차를 조절하는 편차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로커암은 각각 컨트롤샤프트가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로커암의 전후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로커암 액슬이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편심캠의 외주면에는 편심캠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하여 밸브 리프트 량을 조절하는 로커암 링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차조절부는 상기 로커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 양단이 각 리프트 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유닛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조정스크류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조정스크류의 하부에 상하로 배치되어 체결되는 제1 및 제2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양측면에는 각각 리프트 암에 형성된 돌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에 의하면, 엔진의 각 기통간 밸브 리프트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편차조절부를 이용해서 로커암과 리프트 암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밸브의 리프트 편차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밸브의 승강거리를 변경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에 의하면, 밸브의 리프트 편차를 정확하게 조절하여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흡입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엔진의 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의 단면도,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가 적용된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8은 편차조절부를 이용해서 기통간 밸브 리프트 편차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는 리프트암을 이용해서 태핏을 가압하여 직동식으로 밸브를 승강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샤프트(312)에 결합된 캠(313)의 회전운동에 의해 편심 회전운동하는 한 쌍의 로커암(320), 컨트롤샤프트(310)에 일측이 결합되어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회전운동하는 한 쌍의 리프트 암(330) 및 로커암(320)과 리프트 암(330)의 회전각도를 변경해서 기통간 밸브 리프트 편차를 조절하는 편차조절부(340)를 포함한다.
한 쌍의 로커암(320)은 각각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샤프트(312)에 결합된 캠(313)이 결합되도록 중앙에 캠결합공(320a)이 형성되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로커암(320)의 전측에는 각각 로커암(320)의 중심축 방향과 수직으로 제1 플랜지부(321)가 형성되고, 각 로커암(320)의 후측에는 제2 플랜지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제1 플랜지부(321)에는 제1 로커암 액슬(323)이 결합되는 제1 결합공(32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로커암 액슬(323)은 각 제1 플랜지부(321)의 제1 결합공(321a)에 관통 결합되고, 제1 로커암 액슬(323)의 중앙부에는 편차조절부(340)의 연결부재(341) 상단이 결합될 수 있다.
각 제2 플랜지부(322)에는 제2 로커암 액슬(324)이 결합되는 제2 결합공(32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로커암 액슬(324)은 각 제2 플랜지부(322)의 제2 결합공에 관통 결합되고, 제2 로커암 액슬(324)의 중앙부에는 로커암 링크(325)의 상단이 결합될 수 있다.
로커암 링크(325)는 편심캠(31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편심캠(311)의 회전운동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회전 운동하여 리프트 암(330)을 회전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로커암 링크(325)는 일측이 돌출된 원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로커암 링크(325)에는 제2 로커암 액슬(324)이 결합되는 액슬 결합공(326)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리프트 암(330)은 각각 밸브(314)의 상단(태핏의 상단)과 접촉되어 밸브 리프트 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각 리프트 암(330)의 중앙부에는 컨트롤샤프트(310)가 결합되도록 결합구(330a)가 형성되고, 각 리프트 암(330)의 선단부 하면에는 밸브 리프트 량을 조절하는 곡면(330b)이 형성될 수 있다.
편차조절부(3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암(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341), 양단이 각 리프트 암(3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342) 및 제1 연결부재(341)와 제2 연결부재(342)에 결합되어 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유닛(3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41)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341)의 상부에는 제1 로커암 액슬(323)이 결합되도록 관통공(341a)이 형성됨에 따라, 제1 연결부재(341)는 제1 로커암 액슬(323)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한다.
제2 연결부재(342)는 단면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342)의 양측면에는 각각 리프트 암(330)의 상단에 형성된 돌기 결합공(330c)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42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재(342)의 중앙부에는 조정유닛(343)의 조정스크류(344)가 결합되도록 스크류 결합공(342b)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유닛(343)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연결부재(341)와 제2 연결부재(342) 사이에 결합되는 조정스크류(344)와 제2 연결부재(342)를 중심으로 조정스크류(344)의 하부에 상하로 배치되어 체결되는 제1 및 제2 너트(345,3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너트(345,346)는 각각 바닥면에 둥근 테가 붙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와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플랜지 너트(flange nut)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및 그가 적용되는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캠샤프트(312)에 설치된 캠(313)을 한 쌍의 로커암(320)의 캠결합공(320a)에 각각 삽입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로커암 링크(325)를 컨트롤샤프트(310)에 설치된 편심캠(311)의 외주면에 결합하고, 로커암 링크(325)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의 리프트 암(330)을 결합한다.
이때, 편심캠(311)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공(311b)에 결합되는 고정핀(311a)에 의해 컨트롤샤프트(310)에 고정된 상태이다.
작업자는 로커암 링크(325)의 상부에 형성된 액슬 결합공(326)과 각 로커암(320)의 제2 플랜지부(322)에 형성된 제2 결합공(322a)을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후 제2 로커암 액슬(324)을 결합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한 쌍의 로커암(320) 사이에 제1 연결부재(341)를 배치한 후, 각 로커암(320)의 제1 플랜지부(321)에 형성된 제1 결합공(321a)과 제1 연결부재(341)의 관통공(341a)을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후 제1 로커암 액슬(323)을 결합한다.
작업자는 한 쌍의 리프트 암(330) 사이에 제2 연결부재(342)를 배치한 후, 제2 연결부재(342)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342a)를 각각 리프트 암(330)에 형성된 돌기 결합공(330c)에 결합한다.
작업자는 제1 연결부재(341)의 하부에 조정스크류(344)의 상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조정스크류(344)의 하단을 제2 연결부재(342)에 형성된 스크류 결합공(342b)에 결합하고, 제1 및 제2 너트(345,346)를 체결한다.
이때, 제1 연결부재(341)와 제2 연결부재(342) 사이의 거리는 초기 제작시 미리 설정된 설정거리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가 적용된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4에는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의 하이 리프트 모드에서 밸브가 폐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하이 리프트 모드에서 밸브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의 로우 리프트 모드에서 밸브가 폐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로우 리프트 모드에서 밸브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차량의 고속주행시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는 공기의 흡입량을 증대하기 위해 하이 리프트 모드로 동작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캠(311)은 컨트롤샤프트(310)의 회전에 의해 E 위치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운동한다.
그러면, 한 쌍의 리프트 암(330)은 아래에서 설명할 로우 리프트 모드에서 리프트 암(330)의 위치에 비해 높은 위치에서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리프트 암(330)의 중심과 캠샤프트(312)의 중심 사이의 수평 거리(d)가 작아지게 된다.
그러면, 캠샤프트(312)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로커암(320)이 원을 그리면서 회전운동함에 따른 리프트 암(330)의 회전각도가 커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밸브(314)는 폐쇄 동작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암(330)의 하면에 상단이 접촉되어 상승 동작하고, 개방 동작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암(330)의 곡면(330b) 전단부에 상단이 접촉되어 하강 동작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고속주행시 리프트 암과 캠샤프트의 중심 사이의 수평거리(d)를 감소시킴으로써 밸브 리프트 량(H)을 증가시켜 공기 흡입량을 증대할 수 있다.
반면, 차량의 저속주행시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는 공기의 흡입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로우 리프트 모드로 동작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캠(311)은 컨트롤샤프트(310)의 회전에 의해 F 위치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운동한다.
그러면, 한 쌍의 리프트 암(330)은 위에서 설명한 하이 리프트 모드에서 리프트 암(330)의 위치에 비해 낮은 위치에 수평 상태로 배치된다.
그러면, 캠샤프트(312)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로커암(320)이 원을 그리면서 회전운동함에 따른 리프트 암(330)의 회전각도가 작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밸브(314)는 폐쇄 동작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암(330)의 하면에 상단이 접촉되어 상승 동작하고, 개방 동작시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암(330)의 곡면(330b) 중앙부에 상단이 접촉되어 하강 동작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고속주행시 리프트 암과 캠샤프트의 중심 사이의 수평거리(D)를 증가시킴으로써 밸브 리프트 량(H)을 감소시켜(H>L) 공기 흡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밸브의 편차조절부(340)는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제조 및 조립 공정에서 발생하는 각 기통간 밸브 리프트 편차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은 편차조절부를 이용해서 기통간 밸브 리프트 편차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이다.
즉, 각 기통간 밸브 리프트 편차가 발생한 경우, 작업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차조절부(340)의 조정스크류(344) 하부에 체결된 제1 및 제2 너트(345,346)를 해제하고, 제1 너트(345)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제1 및 제2 너트(345,346)를 이용해서 조정스크류(344)와 제2 연결부재(342)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는 조정스크류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너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된 로커암과 리프트 암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밸브의 리프트 편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엔진의 각 기통간 밸브 리프트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편차조절부를 이용해서 로커암과 리프트 암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밸브의 리프트 편차를 조절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310: 컨트롤샤프트 311: 편심캠
311a: 고정핀 311b: 고정공
312: 캠샤프트 313: 캠
314: 밸브 320: 로커암
321: 제1 플랜지부 321a: 제1 결합공
322: 제2 플랜지부 322a: 제2 결합공
323: 제1 로커암 액슬 324: 제2 로커암 액슬
325: 로커암 링크 326: 액슬 결합공
330: 리프트 암 330a: 결합구
330b: 곡면 330c: 돌기 결합공
340: 편차조절부 341: 제1 연결부재
341a: 관통공 342: 제2 연결부재
342a: 결합돌기 342b: 스크류 결합공
343: 조절유닛 344: 조정스크류
345,346: 제1,제2 너트

Claims (5)

  1. 캠샤프트에 결합된 캠의 회전운동에 의해 편심 회전운동하는 한 쌍의 로커암,
    컨트롤샤프트에 일측이 결합되어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회전운동하는 한 쌍의 리프트 암 및
    상기 로커암과 리프트 암의 회전각도를 변경해서 기통간 밸브 리프트 편차를 조절하는 편차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로커암은 각각 컨트롤샤프트가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로커암의 전후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로커암 액슬이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편심캠의 외주면에는 편심캠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하여 밸브 리프트 량을 조절하는 로커암 링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조절부는
    상기 로커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
    양단이 각 리프트 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조정스크류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조정스크류의 하부에 상하로 배치되어 체결되는 제1 및 제2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양측면에는 각각 리프트 암에 형성된 돌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KR20130071886A 2013-06-21 2013-06-21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KR101465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886A KR101465634B1 (ko) 2013-06-21 2013-06-21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886A KR101465634B1 (ko) 2013-06-21 2013-06-21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634B1 true KR101465634B1 (ko) 2014-11-27

Family

ID=5229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886A KR101465634B1 (ko) 2013-06-21 2013-06-21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6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8893A (zh) * 2017-02-15 2017-07-14 浙江大学 一种双凸轮可变升程气门结构
CN109030006A (zh) * 2017-06-09 2018-12-1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连续可变气门升程机构的检测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1930A (ja) 2003-12-12 2005-06-30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バルブリフト量調整方法および調整機構
JP2006029246A (ja) * 2004-07-20 2006-02-02 Hitachi Ltd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2007032347A (ja) 2005-07-25 2007-02-08 Mitsubishi Motors Corp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7218116A (ja) 2006-02-14 2007-08-30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可変動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1930A (ja) 2003-12-12 2005-06-30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バルブリフト量調整方法および調整機構
JP2006029246A (ja) * 2004-07-20 2006-02-02 Hitachi Ltd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2007032347A (ja) 2005-07-25 2007-02-08 Mitsubishi Motors Corp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7218116A (ja) 2006-02-14 2007-08-30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可変動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8893A (zh) * 2017-02-15 2017-07-14 浙江大学 一种双凸轮可变升程气门结构
CN109030006A (zh) * 2017-06-09 2018-12-1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连续可变气门升程机构的检测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3362B1 (en) Variable valve mechanism
JP4211846B2 (ja) 可変動弁装置
KR101039897B1 (ko) 엔진의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084739B1 (ko)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US8051817B2 (en) Variable valve mechanism
KR101465634B1 (ko)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WO2017101578A1 (zh) 连续可变气门升程系统及汽车
US9097145B2 (en) Continuously variable valve lift actuator of engine
WO2008030589A2 (en) Desmodromic valve system including single cam surface for closing and opening the valve
WO2006025569A1 (ja) 可変動弁装置
KR20120000412A (ko)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511959B1 (ko)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KR20100056700A (ko) 가변 밸브 리프트
KR101511958B1 (ko) 밸브의 편차조절장치
KR101493291B1 (ko)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JP4289193B2 (ja) エンジンの可変動弁装置
KR101465633B1 (ko)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US10392976B2 (en) Continuously variable valve lift system and automobile
KR101494897B1 (ko)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KR20070061951A (ko) 내연기관용 2단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511961B1 (ko)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
KR101454934B1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JPH09105315A (ja) 多寸法プレート摺動式・連続可変弁タイミング装置
KR101454933B1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20100062347A (ko) 연속 가변 밸브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