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683B1 -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683B1
KR100927683B1 KR1020090049276A KR20090049276A KR100927683B1 KR 100927683 B1 KR100927683 B1 KR 100927683B1 KR 1020090049276 A KR1020090049276 A KR 1020090049276A KR 20090049276 A KR20090049276 A KR 20090049276A KR 100927683 B1 KR100927683 B1 KR 100927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ne shrimp
brine
air
pip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남
Original Assignee
박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남 filed Critical 박성남
Priority to KR102009004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브라인쉬림프를 수집하는 수집장치에 있어서, 브라인쉬림프가 유입되는 개구부와 흡입통공 및 일측 하단에 조절핀 수용홈을 구비한 유인부와; 상기 유인부의 개구부와 조절핀 수용홈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부에 회전을 조절하는 조절핀이 형성되어, 외부로 발산되는 빛의 배출량과 브라인쉬림프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다수의 통공과 조명장착구멍을 내부에 가지는 조절판과; 이 조절판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통공과 조명장착구멍을 가지고 상기 유인부의 개구부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조절판을 지지하는 하부판을 구비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명장착구멍에 결합되는 조명과; 상기 유인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일측부에 공기튜브장착부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부 외면에 복수개의 이격돌기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여 연결관에 삽입되는 공기주입부와; 일측 하단에 공기주입부 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주입부를 삽입하고, 유인부와 유입관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관에 연결하는 유입관과; 물에 뜨는 재질로 두개의 통공을 가지며, 어느 한 쪽 통공에 상기 유입관을 연결하는 덮개와; 이 덮개에 결합되며 수집물을 저장하는 용기를 구비하는 저장부와; 상기 덮개의 어느 한 쪽 통공에 연결되고, 절곡부를 가지는 배출관과; 이 배출관에 결합되는 미세망 마개 및 배출관과; 미세망 마개 사이에 설치되어 여과기능을 가지는 미세망을 구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부화한 브라인쉬림프와 부패한 브라인쉬림프 알, 미부화한 알 그리고 부화하고 남은 알 껍질이 혼합된 상태에서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만 수집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며, 수집과정을 거쳐 저장부에 저장된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를 깨끗이 청소한 용기에 넣고 수집과정을 재실시하면 더욱 진전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를 일정 시간동안 살아있는 상태로 보관하고, 어류 및 유어에게 먹이로 제공할 때마다 원하는 만큼 수집할 수 있는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각 구성의 분해가 용이하므로 고장에 의한 수집장치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관리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질 수 있다.
브라인쉬림프, 알테미아, 조명, 공기, 부화, 수집장치, 수집방법.

Description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Brine Shrimp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브라인쉬림프(Brine shrimp)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류에게 먹이로 제공하는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를 수집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브라인쉬림프는 수생 소형동물로서, 1920년대부터 어류양식의 살아있는 먹이로 사용되었으며, 지금도 이용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건조미립자사료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살아있는 브라인쉬림프가 어류의 먹이로 각광받는 이유는 브라인쉬림프의 알은 일반사용자가 상품으로의 구입이 용이하며 부화시키기 쉽고, 크기가 작고 영양가가 높아 성어나 유어의 건강과 성장에 가장 좋은 먹이생물이라는 점이다. 이에 어류의 먹이로서 브라인쉬림프에 대한 수요가 점차 많아지고 있다. 상기 브라인쉬림프는 보통 알테미아(Artemia)라고도 불리우며, 성체의 크기는 10~15mm이지만 알과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는 크기가 1mm 이하여서, 입이 작은 유어에게는 최고의 먹이로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부화하지 않은 껍질이 붙어있는 브라인쉬림프 알과 부패한 알은 유어와 성어에게 소화불량 및 복수병의 원인이 되어 폐사가 쉽게 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직접 먹이급이를 목적으로 유통되는 브라인쉬림프는 모두 알껍질을 벗긴 탈각 제품이거나 부화 직후 냉동시킨 형태들이다.
이런 이유로 어류를 키우는 일반사용자가 부화가 가능하도록 건조 보관된 브라인쉬림프 알을 온오프라인에서 쉽게 구입하여 브라인쉬림프 부화기나 투명한 PET병들을 이용하여 직접 부화시키고, 껍질과 부패한 알은 폐기하고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만을 수집하여 어류의 먹이로 제공하고 있다.
상기 브라인쉬림프 부화기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브라인쉬림프의 부화방법과 수집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면이 어느 정도 보이는 투명한 용기 하단에 배출부와 밸브가 결합시키고, 깨끗한 물을 채운 후, 천일소금을 첨가하여 녹인 다음 공기펌프를 연결하여 공기를 지속적으로 넣어주고, 적당한 수온을 유지한 염수에 건조된 브라인쉬림프의 알을 일정량 넣고, 36~48시간 정도 지나면 브라인쉬림프가 부화하게 된다.
상기 부화진행은 대략 36~48시간 정도에 걸쳐 진행되고 부화하여 꿈틀거리는 브라인쉬림프를 육안으로 식별하고, 부화진행이 되어 브라인쉬림프의 채취가 가능하다고 생각이 들면 공기펌프를 끄고 20~30분 정도 기다리는데, 이유는 수류를 안정시켜 부화하고 남은 알껍질이 수면 위로 뜨고,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는 유동적으로 움직이며, 미 부화된 알과 부패한 브라인쉬림프 알은 중간과 바닥쪽으로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후 빛을 향하여 모여드는 브라인쉬림프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용기 주변을 되도록 어둡게 하고 투명한 용기 하단에 빛을 비추면 그 빛을 중심으로 브라인쉬림프가 모여들게 된다. 이는 빛을 보면, 발광부 쪽으로 강하게 모여드는 부화한 브라인쉬림프의 본능적인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이렇게 모여든 브라인쉬림프를 수집하는 방법에는 부화용기 하단에 밸브를 부착하여, 밸브를 열어 수집하는 방법과 약간씩 군집한 브라인쉬림프를 스포이드 또는 주사기 등을 사용하여 직접 수집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방법들은 모두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를 수집할 수 는 있으나, 밸브를 열어 수집하는 방법은 부화한 브라인쉬림프 외에도 부화하지 않고 부패한 브라인쉬림프 알이나 아직 미 부화된 알, 그리고 일부의 알껍질 까지 수집되므로, 근본적으로 어류에게 최상의 먹이상태인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만 수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크다. 또한 부패한 브라인쉬림프 알과 부화하고 남은 알껍질을 물고기 먹이로 다른 수조에 제공할 경우 수질을 급격히 오염시키며 성어 및 유어가 먹고 소화불량 및 복수병을 일으켜 폐사하는 원인을 제공한다는 큰 문제점이 있고, 스포이드나 주사기를 사용하여 직접 수집하는 방법은 상기의 문제점 외에도 부화한 브라인쉬림프의 수집량이 적고, 선별 작업이 번거롭고 실질적으로 어려워,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부화시킨 브라인쉬림프를 껍질등과 함께 버려야 하는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라인쉬림프 알을 소량 부화하는 경우에는 먹이로 제공할 만큼만 부화시키므로, 상기 부화진행절차를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를 완전하게 분리하여 수집하지 못하는 수집절차의 반복은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채취와 수집 과정이 복잡하고 비효율적이어 사용자가 편안함을 도모하고자, 브라인쉬림프 알을 한꺼번에 대량 부화하는 경우에는 살아있는 상태로 브라인쉬림프를 보관하기 어려우므로 결국 냉동보관을 할 수밖에 없는데, 이것은 어류및 유어에게 최상의 먹이 상태인 살아있는 브라인쉬림프를 수시로 제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부화 용기안의 부화한 브라인쉬림프 채취 목적으로 용기에 조명을 비출 때 빛이 한쪽으로 집중이 되어야 브라인쉬림프를 집중시킬 수 있으나, 빛의 세기, 산란과 직진으로 인하여 브라인쉬림프를 원하는 곳에 쉽게 집중시키기 어렵거나 이로 인하여 결국 수집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결국은 채취 작업이 어려워 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화기의 하단에 설치된 밸브는 한번 고장이 나게 되면 수리가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과 밸브의 조작 오류로 인한 브라인쉬림프의 순간적인 과다배출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성어 및 유어의 먹이로 살아있는 브라인쉬림프의 관심은 높아졌으나 그 채취에 관한 어려움으로 일반사용자에게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안에 부화한 브라인쉬림프와 부패한 브라인쉬림프 알, 미 부화한 쉬림프 알과 부화하고 남은 알껍질이 혼합된 상태에서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만 수집하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화한 브라인쉬림프을 살아있는 상태로 보관하고, 어류에게 먹이로 제공할 때마다 원하는 만큼 수집할 수 있는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장에 의한 수집장치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관리비용의 절감효과를 갖게 해주는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브라인쉬림프를 수집하는 수집장치에 있어서, 브라인쉬림프가 유입되는 개구부와 흡입통공 및 일측 하단에 조절핀 수용홈을 구비한 유인부와; 상기 유인부의 개구부와 조절핀 수용홈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부에 회전을 조절하는 조절핀이 형성되어, 외부로 발산되는 빛의 배출량과 브라인쉬림프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다수의 통공과 조명장착구멍을 내부에 가지는 조절판과; 이 조절판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통공과 조명장착구멍을 가지고 상기 유인부의 개구부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조절판을 지지하는 하부판을 구비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명장착구멍에 결합되는 조명과; 상기 유인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일측부에 공기튜브장착부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부 외면에 복수개의 이격돌기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여 연결관에 삽입되는 공기주입부와; 일측 하단에 공기주입부 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주입부를 삽입하고, 유인부와 유입관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관에 연결하는 유입관과; 물에 뜨는 재질로 두개의 통공을 가지며, 어느 한 쪽 통공에 상기 유입관을 연결하는 덮개와; 이 덮개에 결합되며 수집물을 저장하는 용기를 구비하는 저장부와; 상기 덮개의 어느 한 쪽 통공에 연결되고, 절곡부를 가지는 배출관과; 이 배출관에 결합되는 미세망 마개 및 배출관과; 미세망 마개 사이에 설치되어 여과기능을 가지는 미세망을 구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브라인쉬림프를 수용하는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청소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인부는 하부에 조절부가 장착되는 홈을 형성하고, 하부 일측면에는 조절핀 제어홈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흡입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는 다수의 통공과 조절핀을 형성한 조절판과 조절판을 수용하면 서 유입부에 밀착시키는 하부판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판은 유인부의 조절부 장착홈에 장착할수 있도록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조절판과 대응되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조절핀을 작동시키면 조절판에 형성된 통공과 하부 하부판에 형성된 통공이 어긋나도록 하여 빛 조절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판과 하부판의 가운데에는 조명을 장착할 수 있는 조명장착구멍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은 LED등의 밝은 발광부를 갖는 조명과 전원공급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명의 세기나 점멸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기가 있다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주입부는 관통된 형태의 공기배출구와 공기튜브장착부를 가지며, 외측면에 작은 이격돌기를 형성하여 연결관의 안쪽에 삽입했을때 연결관 내면과 공기주입부 외면에 이격이 발생하게 하여, 이 틈으로 수류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튜브장착부는 공기튜브를 강제로 끼울 수 있는 작은 관 형태이며, 연결된 공기튜브는 공기펌프와 공기 조절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는 두개의 구멍을 형성한 덮개와 브라인쉬림프를 보관하는 투명용기와 유입관 및 배출관, 그리고 투명용기 내부로 연결된 배출관에 결합한 미세망과 미세망 마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덮개는 물에 뜨는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들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저장부는 투명해도 무관하나, 상기 유인 부와 조절판, 하부판 은 반드시 불투명한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주입부나 조명에는 타이머가 연결되어 설치될 수 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화용기 안에 부화한 브라인쉬림프와 부패한 브라인쉬림프 알, 미 부화한 쉬림프 알 그리고 부화하고 남은 알껍질이 혼합된 상태에서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만 수집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집과정을 거쳐 저장부에 저장된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를 깨끗이 청소한 용기에 물과 함께 넣고 수집과정을 재실시하면 완전하게 재수집이 가능하고,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를 살아있는 상태로 일정시간 보관하여 성어 및 유어에게 먹이로 제공할 때마다 원하는 만큼 수집할 수 있는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구성의 분해가 용이하므로 고장에 의한 수집장치의 교체가 용이하며,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어서 관리비용의 절감효과를 갖게 해주는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100)는 유인부(10)를 구비한다.
이 유인부(10)는 유입된 브라인쉬림프가 상단으로 빨려 들어가기 쉽게 하단이 넓고 상단이 좁은 원뿔 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진다. 이 유인부(10) 하부에는 조절부 장착홈(11)과 지지부(14)을 형성하고 유인부(10) 하단 일측면에는 조절핀 수용홈(12)을 형성하여 조절부(20)가 밀착되게 장착되어 작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 조절핀 수용홈(12)은 조절판(21)에 형성된 조절핀(22)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 소재로 하여야 한다.
유인부(10) 상단에는 흡입통공(16)을 형성하고, 연결관(60)에 공기주입부(50)의 공기배출구(52)를 안쪽으로 삽입하고, 연결관(60)의 공기주입부 수용홈(61)에 공기튜브장착부(51)를 외측으로 결합한 후 연결관(60)하단과 유인부(10)상단을 결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인부(10)와 연결관(60)은 일반적으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공기튜브(55)를 양쪽에 끼워 연결할 수 도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는 조절부(20)를 구비한다. 이 조절부(20)는 유인부(10)의 하단에 장착되는 조절판(21)과 하부판(24)을 포함한다.
이 조절판(21)은 일측부에 조절핀(22)과 조명(30)이 설치되는 조명장착구멍(27-1)및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23)을 가진다. 이 조절판(21)은 유인부(10)의 지지부(14)에 밀착되고, 조절핀(22)이 유인부(10)의 수용홈(12)에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조절판(21)은 조절핀(22)의 조작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조절판(21)의 다수의 통공(23)은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판(24)에 다수의 통공(26)과 동일한 개수와 크기를 가지고, 하부판(24) 장착시에 동일한 위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판(21)과 하부판(24)의 가운데에는 조명(30)을 장착할 수 있는 조명장착구멍(27-1)(27-2)을 가지고, 조명(30)의 삽입깊이를 조절하여 유인부(10)내부의 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깊이 삽입할 경우 조명(30)의 발광부가 유인부(10) 상단의 흡입통공(16)의 끝부분으로 몰리면서, 결과적으로 유인부(10) 내부의 전체적인 빛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조명(30)을 얕게 삽입할 경우 조명(30)의 발광부가 유인부(10) 내부 중간이나 하단으로 위치하여, 결과적으로 조절판(21)과 하부판(24)의 통공(23)(26)으로 강한 빛이 새어 나오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판(21)의 통공(23)은 조절핀(22)의 회전으로 하부판(24)의 통공(26)과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이는 회전량에 따라 교차되는 통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유인부(10) 내부의 조명(30)에 의한 빛의 양을 조절하여 외부로 방출하고, 동시에 방출된 빛에 의해 모여든 외부의 브라인쉬림프의 유입량을 조절할뿐 아니라 물의 흡입량도 조절 할 수 있다. 따라서 통공(23) (26)의 크기가 꼭 작은것이 아니라 일정한 크기만 유지하면 된다.
하부판(24)은 측면에 결합돌기(25)와 조명(30)이 설치되는 조명장착구멍(27-1)및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26)을 가진다. 하부판(24)은 유인부(10)의 조절부 장착홈(11)에 결합돌기(25)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결합방식은 유인부(10)와 일체형 또는 나사모양이나 접착제로도 할 수 있다. 상기 조절판(21)와 하부판(24)은 불투명 소재로 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는 조명(30)을 구비한다. 이 조명(30)은 조절판(21)과 하부판(24)의 조명장착구멍(27-1)(27-2)에 쉽게 빠지지 않으며, 빛이 새나갈 수 없도록 견고하게 장착한다. 이 조명(30)은 막대 또는 관 형태로서 끝부분에 발광부가 설치되고, 수중에 들어가는 부분은 누전되지 않게 방수처리가 된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30)의 전원은 외부의 전원공급장치(31)에서 공급받는다. 그리고 조명(30)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조명(30)의 밝기나 점멸을 조정하는 조명조절장치를 부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는 연결관(60)을 구비한다. 이 연결관(60)은 하단으로, 공기주입부(50)를 삽입한 후 유인부(10)와 결합되고, 상단으로 유입관(65)에 결합된다. 연결관(60)의 내경은 삽입될 공기주입부(50)의 이격돌기(53)를 포함한 외경과 빈틈없이 결합되며, 일측에는 공기튜브장착부(51)가 안착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공기주입부 수용홈(61)을 구비한다.
이 연결관(60)은 유입관(65)과 삽입하게 결합하게 되어 있으나, 용기(500)의 깊이가 깊을 때나 필요시에는 연결관(60)과 유입관(65) 양측에 공기튜브장착부(51)를 구비하여 공기튜브(55)로 연결할 수 도 있다. 공기튜브(55)는 공기튜브장착부(51)에 어느 정도 견고하게 끼워지므로 활용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는 공기주입부(50)를 구비한다. 이 공기주입부(50)는 공기배출구(52)와 공 기튜브장착부(51)가 관통된 형태로, 공기튜브장착부(51)에 공기 주입시 오로지 공기배출구(52)로만 공기가 배출된다.
이 공기튜브장착부(51)에 공기튜브(55)가 장착되어 공기를 제공하게 되며,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작은 관 형태로 한다. 공기튜브(5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에서 필수 구성요소가 아니다. 이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공기공급장치와 공기튜브를 이용하면 된다.
또한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주입부(50)는 외측에 이격돌기(53)를 가진다. 이격돌기(53)는 연결관(60)의 내면과 공기주입부(50) 관의 외면에 약간의 이격을 생기게 하여, 이 틈으로 수류가 흘러 올라갈 수 있도록 한다. 이 이격은 브라인쉬림프(200)의 크기보다 커서, 공기튜브(55)에 공기 주입시 공기배출구(52)로 공기가 나와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흡입력이 발생하고, 결국 하단 유인부(10) 안쪽에 섞여있던 물과 브라인쉬림프(200)가 함께 흡입통공(16)을 지나 연결관(60)내부로 유입되고 윗쪽인 유입관(65)쪽으로 흘러가게 된다.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는 유입관(65)을 구비한다. 이 유입관(65)은 'ㄷ'자 또는 U 형상으로 절곡되어 한 측은 저장부(70)에 삽입되고 다른 한측은 연결관(60)에 결합한다. 이 연결관(60)을 통하여 브라인쉬림프(200)와 공기 및 물이 최종적으로 저장부(70)에 유입된다. 이 유입관(65)은 연결관(60)과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는 저장부(70)을 구비한다. 도1 내지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저장부(70)는 투명용기(71)와 덮개(72)를 가진다. 투명용기(71)는 브라인쉬림프(200)의 저장상태를 육안으로 보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상의 투명한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투명용기(71)는 시각적으로 저장된 물과 브라인쉬림프(200)을 보기 위한 것이나 대용량 수집이나 필요에 따라서 불투명하게 할 수도 있다. 이 투명용기(71)는 덮개(72) 하단에 결합된다. 덮개(72)는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두 개의 통공(73)을 가진다. 이 두 개의 통공(73)에 유입관(65)과 배출관(81)을 삽입한다. 그리고 유입관(65) 및 배출관(81)은 삽입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다. 이는 삽입된 관의 길이에 따라서 물과 브라인쉬림프(200)의 저장량을 조절 할 수 있다. 즉 삽입된 길이가 깊으면 저장량이 적고, 깊이가 얕아 덮개(72)의 위치와 비슷하면 저장량이 많게 된다. 덮개(72)는 물에 뜨는 재질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를 수면위에 부양하여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는 배출부(80)를 구비한다. 이 배출부(80)는 배출관(81)과 미세망(82) 및 미세망 마개(83)를 구비한다. 배출관(81)은 덮개(72)의 통공(73)에 삽입하며, 배출관(80)의 한쪽은 덮개(72) 외부로 돌출이 되도록 삽입한다. 덮개(72)의 하단으로 삽입된 배출관(81)에는 미세망(82)을 삽입한 미세망 마개(83)를 결합된다. 미세망(82)은 투명용기(71)로 유입된 브라인쉬림프(200)의 이탈을 차단하고 물과 공기만 배출시킨다. 미세망 마개(83)의 안쪽에 미세망 마개(83) 지름보다 큰 미세망(82)을 삽입하고, 배출관(80)을 끼워 넣음으로서 서로가 단단히 밀착되면서 미세망(82)이 고정되어 여과망을 형성한 후, 물과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한다. 미세망(82)의 여과 입자크기는 브라인쉬림프(200) 보다 입자가 작은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는 시계장치-타이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시계장치-타이머는 브라인쉬림프(200)의 부화과정 시간을 알려주어 부화의 정도를 가늠해 보게 하고, 부화 후 용기(500)안에서 24~36시간 정도 생존하는 브라인쉬림프(200)의 수명을 설정해 놓고, 설정된 시간 전에 소리로 알려서 살아있는 브라인쉬림프(200)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10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일예로 구성이 가능한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a)도 있을 수 있다. 유인부(10a)는 일측면에 조명(30)이 삽입되는 조명창착부를 형성하고, 하부는 다른 구성요소의 결합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조명(30)의 ON, OFF로 대량의 부화한 브라인쉬림프를 유인하고, 유인된 브라인쉬림프를 수집하는 데 사용할 수 는 있으나, 조명(30)의 ON, OFF만으로는 브라인쉬림프를 제어하는데 약간의 어려움이 있다. 다른 구성 요소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상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이하에서는 작동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의 작동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브라인쉬림프(200)를 일정시간 부화시킨 용기(500)안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화한 브라인쉬림프(200)와 부패 또는 미부화한 브라인쉬림프 알(300), 그리고 부 화하고 남은 압껍질(400)이 혼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알껍질(400)은 수면 위쪽으로 뜨며 부화한 브라인쉬림프(200)와 부패 혹은 미부화한 브라인쉬림프 알(300)은 구분 없이 하단과 중간쯤에 섞여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를 용기(500)안에 투입시킨다. 이때 공기튜브장착부(51)에 장착한 공기튜브(55)에 공기주입을 하지 않으며 전원공급장치(31)도 작동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100)를 용기(500) 내부로 투입시키면 저장부(70) 내부에 있는 공기와 물에 뜨는 재질의 덮개(72)로 인해 유입관(65)의 아래쪽은 물속에 잠기게 되고 저장부(70)는 수면에 뜨게 된다. 이때 유입부(10) 재질의 비중은 물보다 큰 재질로서 물속에 가라앉게 된다.
이후 용기(500)안의 물이 잠잠해질 때까지 기다려 용기(500)안의 물에 미동이 없게 되면, 용기(500)주변의 조명을 끄거나 최대한 어둡게 환경을 조성한 후 전원공급장치(31)를 가동시켜 조명(30)에 빛이 발생하게 하여, 유인부(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빛이 새어 나오는 형상이 되게 된다. 이때 유인부(10), 조절판(21), 하부판(24) 전체는 빛이 투과 되지 않으므로 통공(23)(26)이 있는 쪽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빛이 새어 나오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30)에 빛이 발생하고 주변은 어두운데 유인부(10) 안쪽만 밝게 되면, 부화한 브라인쉬림프(200)는 빛이 새어나오는 유인부(10)의 통공(23)(26)의 주변으로 모여들게 된다. 모여든 브라인쉬림프는(200)는 더욱 강한 빛을 찾아서 통공(23)을 관통하여 유인부의 안쪽으로 계속하여 유입하게 된다.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에, 공기튜브(55)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공기주입부(50)로 주입된 공기는 공기배출구(52)로 배출되게 되게 된다. 배출된 공기는 연결관(60)의 위쪽으로 계속 상승되면서 물도 함께 상부로 올려 보내지게 되고, 이때 내부에는 흡입력과 압력차가 발생하여 유인부(10)내부에 있던 물이 연결관(60)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결국 유인부(10) 내부의 물속에서 유영하던 브라인쉬림프(200)는 물과 함께 빨려들게 되어 흡입통공(16)을 지나, 이격돌기(53)가 형성해준 틈을 지나 연결관(60)에 계속 유입되고, 유입관(65)을 거쳐 최종적으로 저장부(70)에 유입되게 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조명(30)이 켜지고 공기주입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 저장부(70)로 유입된 공기와 물에 있어서, 공기는 배출관(81)을 통하여 배출되고 물과 브라인쉬림프(200)은 저장부(70)에 계속 저장되어 투명용기(71)를 채우게 된다. 이때 채워진 물이 배출관(81)의 하단 끝까지 차게 되면, 이 시점부터 압력에 의해서 물과 공기가 함께 배출관(80)을 통하여 배출되게 되며, 물과 공기의 배출과 순환과정이 연속된다.
도 3과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공(23)(26) 주변에는 설명한 수류가 형성되고, 수류는 연결관(60)쪽으로 올려지게 되며, 통공(23)(26)주변에 있던 브라인쉬림프(200)는 이 수류에 못이겨 통공(23)(26)을 통하여 유인부(10) 내부로 계속 유입되게 된다. 이것은 브라인쉬림프(200)가 스스로 빛을 향하여 움직이는 것과, 유인부(10) 외부의 물이 유인부 내부로 흘러드는 수압차와 수류발생이 이유이다. 길이가 1mm도 되지 않는 부화한 브라인쉬림프(200)는 물의 미동이 전혀 없을 때 자발적으로 움직일 수는 있으나, 그 힘이 극히 약하여 극히 적은 수류만 발생되어도 완전하게 휩쓸리게 된다.
이렇게 하여, 유인부(10)의 내부로 일단 유입된 브라인쉬림프는 더욱 강한 조명(30)부 쪽으로 몰려들게 되고, 주변에 오면 수류의 흐름에 따라 유인부(10)의 흡입통공(16)으로 빨려들게 된다. 빨려든 브라인쉬림프(200)는 수류의 순환에 따라 연결관(60)을 통하여 저장부(70)에 계속하여 저장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유인부(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조절핀(22)을 조절하여, 통공(23)(26)의 면적을 조절하기도 하고, 공기튜브(55)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수류의 양을 조절하여, 브라인쉬림프(200)의 유입량과 수집량을 수시로 조절 할 수 있으며 조절핀(22)으로는 동시에 빛의 양 조절이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 물과 함께 유입된 브라인쉬림프(200)는 투명용기(71)에 계속하여 저장이 되고, 오로지 물과 공기만 수압과 공기압에 의하여 배출관(81)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미세망(82)을 통과하지 못하는 브라인쉬림프(200)는 계속해서 투명용기(71)에 일정량의 물과 함게 축적되게 된다.
상기 설명중 조명(30)을 작동시키는 것과 공기튜브(55)에 공기를 주입하는 두가지 과정중 어느 것을 먼저 시행하는 지는 사용자의 자유 의지에 달려 있다.
위에 설명한 과정이 순환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용기(500)안의 살아 움직이는 브라인쉬림프가(200)의 대부분이 저장부(70)로 저장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연결관(60) 또는 덮개(72)와 연결된 유입관(65)을 쉽게 분해하거나 또는 덮개(72)를 투명용기(71)와 분리하여 물과 함께 저장된 부화된 살아있 는 브라인쉬림프(200)만을 얻게 된다.
위의 과정으로 얻어진 브라인쉬림프(200)를 어류 및 유어에게 스포이드 등으로 바로 급이 할 수 있으며, 희망 시 냉동보관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집과정이 완료된 후 용기(500)안의 물을 버린 후 다시 물을 받아서 상기 과정을 진행하면 혹시라도 유입되었을 미량의 알껍질(400)이나 미 부화알(300)등을 완벽하게 제거하고 브라인쉬림프(200)만 재수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연결관(60)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관(60)의 상단 부분에 공기튜브장착부(51)를 구비하였을 때는, 이곳에 공기튜브(55)를 바로 연결하고, 연결한 공기튜브(55)의 반대편에 직접 주사기나 스포이드를 결합하여 브라인쉬림프(200)를 흡입하여 수집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모든 과정은, 수집할 브라인쉬림프(200)의 양, 용기(500)의 크기, 주입하는 공기의 양, 빛 조절, 통공(23)(26)의 조정, 외부의 밝기 등에 따라서 수집시간과 수집량이 변화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1의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인부, 공기주입부 및 연결관과 이들에 결합되는 구성들을 분해하여 확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인부, 공기주입부 및 연결관과 이들에 결합되는 구성들의 작동에 따른 진행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유인부, 공기주입부 및 연결관과 이들에 결합되는 구성들의 작동에 따른 정지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의 저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와 이에 연결되는 구성들을 분해하여 확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와 이에 연결되는 구성들의 작동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500 : 용기 200 : 브라인쉬림프
100 :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 10 : 유인부
20 : 조절부 30 : 조명
50 : 공기주입부 60 : 연결관
65 : 유입관 70 : 저장부
80 : 배출부

Claims (7)

  1. 브라인쉬림프를 수집하는 수집장치에 있어서,
    브라인쉬림프가 유입되는 개구부와 흡입통공을 구비한 유인부와;
    상기 유인부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조명창착구멍과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조절부와;
    상기 조명장착구멍에 결합되는 조명과;
    상기 유인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일측부에 공기튜브장착부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부 외면에 복수개의 이격돌기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여 연결관에 삽입되는 공기주입부와;
    일측 하단에 공기주입부 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주입부를 삽입하고, 유인부와 유입관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관에 연결하는 유입관과;
    물에 뜨는 재질로 두개의 통공을 가지며, 어느 한 쪽 통공에 상기 유입관을 연결하는 덮개와 이 덮개에 결합되며 수집물을 저장하는 용기를 구비하는 저장부와;
    상기 덮개의 어느 한 쪽 통공에 연결되고, 절곡부를 가지는 배출관과 이 배출관에 결합되는 미세망 마개 및 배출관과 미세망 마개 사이에 설치되어 여과기능을 가지는 미세망을 구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과 상기 유입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기튜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부는 불투명한 재질로 관형, 원구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중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며, 유인부 내부의 조명 빛을 보고 자발적으로 모여든 브라인쉬림프가 압력차에 의해 강제로 내부로 유입되도록 측면에 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 두개의 통공은 통공에 형성하는 나선과 통공의 내면에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이 부착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에 연결되는 상기 유입관 및 상기 배출관은 상기 덮개에 두개의 통공에 연결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의 밝기와 점멸을 조절하는 조명조절장치와 상기 조명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나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부착하여 브라인쉬림프의 부화시간과 남은 수명시간을 알리는 시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쉬림프 수집장치.
  6. 브라인쉬림프를 수집하는 수집장치에 있어서,
    일측면에 조명장착부를 구비하고 브라인쉬림프가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와 흡입통공을 형성한 유인부와;
    상기 조명장착부에 장착되는 조명과;
    상기 유인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일측부에 공기튜브장착부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부 외면에 복수개의 이격돌기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여 연결관에 삽입되는 공기주입부와;
    일측 하단에 공기주입부 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주입부를 삽입하고, 유인부와 유입관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관에 연결하는 유입관과;
    물에 뜨는 재질로 두개의 통공을 가지며, 어느 한 쪽 통공에 상기 유입관을 연결하는 덮개와 이 덮개에 결합되며 수집물을 저장하는 용기를 구비하는 저장부와;
    상기 덮개의 어느 한 쪽 통공에 연결되고, 절곡부를 가지는 배출관과 이 배출관에 결합되는 미세망 마개 및 배출관과 미세망 마개 사이에 설치되어 여과기능을 가지는 미세망을 구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쉬림프 의 수집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브라인쉬림프를 수집하는 수집방법에 있어서,
    부화단계 중이거나 부화를 완료한 브라인쉬림프가 있는 용기 안에, 브라인쉬림프가 유입되는 개구부와 흡입통공을 구비한 유인부와; 상기 유인부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조명창착구멍과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조절부와; 상기 조명장착구멍에 결합되는 조명과; 상기 조명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유인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일측부에 공기튜브장착부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부 외면에 복수개의 이격돌기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여 연결관에 삽입되는 공기주입부와; 일측 하단에 공기주입부 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주입부를 삽입하고, 유인부와 유입관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관에 연결하는 유입관과; 물에 뜨는 재질로 두개의 통공을 가지며, 어느 한 쪽 통공에 상기 유입관을 연결하는 덮개와 이 덮개에 결합되며 수집물을 저장하는 용기를 구비하는 저장부와; 상기 덮개의 어느 한 쪽 통공에 연결되고, 절곡부를 가지는 배출관과 이 배출관에 결합되는 미세망 마개 및 배출관과 미세망 마개 사이에 설치되어 여과기능을 가지는 미세망을 구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조명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유인부로 브라인쉬림프를 유입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주입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연결관에 압력차를 생성하고, 상승수류를 형성하여 상기 유인부에 모여든 브라인쉬림프를 상기 저장부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저장부로 이동된 브라인쉬림프를 상기 미세망을 이용하여 물과 공기만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하고 상기 저장부에는 브라인쉬림프만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쉬림프 수집방법.
KR1020090049276A 2009-06-03 2009-06-03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 KR100927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276A KR100927683B1 (ko) 2009-06-03 2009-06-03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276A KR100927683B1 (ko) 2009-06-03 2009-06-03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683B1 true KR100927683B1 (ko) 2009-11-23

Family

ID=4160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276A KR100927683B1 (ko) 2009-06-03 2009-06-03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68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88799A (zh) * 2014-05-29 2014-08-20 太仓市泗洲农场专业合作社 太湖白虾的高产养殖方法
CN105028236A (zh) * 2015-07-30 2015-11-11 中国农业科学院农业信息研究所 集蛋系统
CN106614230A (zh) * 2016-12-19 2017-05-10 吴永凤 一种具有集壳装置的生态养殖系统
KR101755810B1 (ko) * 2015-07-15 2017-07-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성주광성을 이용한 유생분리 장치
CN110338151A (zh) * 2018-04-08 2019-10-18 何凤侠 一种用小鼠筛选雌蚊装置
CN110521647A (zh) * 2019-09-17 2019-12-03 浙江万里学院 一种将外源物质导入活虾的注射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00001140A (ko) * 2018-06-27 2020-01-06 그린테코 주식회사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KR102235455B1 (ko) 2020-09-02 2021-04-02 심홍선 브라인 쉬림프를 이용한 열대어 사료 제조방법
KR102420553B1 (ko) * 2021-08-25 2022-07-13 김명범 알테미아 부화 및 공급 전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7733A (ja) * 1994-10-11 1996-04-30 Kuninori Hidaka プランクトン等の捕集装置
JPH11206261A (ja) 1998-01-26 1999-08-03 Guppy:Kk 水生動物の連続孵化装置
KR20010044856A (ko) * 1999-11-01 2001-06-05 신현준 미세조류 조사용 밀도측정장치
WO2003003822A1 (fr) 2001-07-06 2003-01-16 Guppy Co., Ltd. Dispositif d'incubation pour animal aquatiqu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7733A (ja) * 1994-10-11 1996-04-30 Kuninori Hidaka プランクトン等の捕集装置
JPH11206261A (ja) 1998-01-26 1999-08-03 Guppy:Kk 水生動物の連続孵化装置
KR20010044856A (ko) * 1999-11-01 2001-06-05 신현준 미세조류 조사용 밀도측정장치
WO2003003822A1 (fr) 2001-07-06 2003-01-16 Guppy Co., Ltd. Dispositif d'incubation pour animal aquatiqu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88799A (zh) * 2014-05-29 2014-08-20 太仓市泗洲农场专业合作社 太湖白虾的高产养殖方法
KR101755810B1 (ko) * 2015-07-15 2017-07-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성주광성을 이용한 유생분리 장치
CN105028236A (zh) * 2015-07-30 2015-11-11 中国农业科学院农业信息研究所 集蛋系统
CN106614230A (zh) * 2016-12-19 2017-05-10 吴永凤 一种具有集壳装置的生态养殖系统
CN110338151A (zh) * 2018-04-08 2019-10-18 何凤侠 一种用小鼠筛选雌蚊装置
KR20200001140A (ko) * 2018-06-27 2020-01-06 그린테코 주식회사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KR102133085B1 (ko) 2018-06-27 2020-07-13 그린테코 주식회사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CN110521647A (zh) * 2019-09-17 2019-12-03 浙江万里学院 一种将外源物质导入活虾的注射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521647B (zh) * 2019-09-17 2024-05-07 浙江万里学院 一种将外源物质导入活虾的注射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235455B1 (ko) 2020-09-02 2021-04-02 심홍선 브라인 쉬림프를 이용한 열대어 사료 제조방법
WO2022050706A1 (ko) * 2020-09-02 2022-03-10 심홍선 브라인 쉬림프를 이용한 열대어 사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대어 사료
CN114502010A (zh) * 2020-09-02 2022-05-13 沈鸿善 使用丰年虾的热带鱼饲料制造方法及由此制造的热带鱼饲料
CN114502010B (zh) * 2020-09-02 2022-09-02 沈鸿善 使用丰年虾的热带鱼饲料制造方法及由此制造的热带鱼饲料
KR102420553B1 (ko) * 2021-08-25 2022-07-13 김명범 알테미아 부화 및 공급 전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683B1 (ko)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
US96423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breeding and harvesting insects
KR101729167B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US7503283B2 (en) Aquatic egg collection research system and related devices for implementing the system
US11930795B2 (en) Larvae counter
CN1745725A (zh) 全人工培育斑节对虾亲体的方法
KR101773247B1 (ko)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CN204518873U (zh) 一种丰年虫的孵化装置
CN115005168A (zh) 一种大水面灯光诱捕鱼类的网箱装置
KR102420553B1 (ko) 알테미아 부화 및 공급 전자동화 시스템
JP6657279B2 (ja) ウナギの仔魚の給餌方法
KR20200063431A (ko)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US5954012A (en)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aquarium fish
CN110338156B (zh) 一种人工饲养瓢虫的方法
KR101839004B1 (ko) 어류 포획 장치
CN110338155B (zh) 一种昆虫智能投喂装置
CN107897129A (zh) 蝇蛆分离装置
CN209073234U (zh) 一种具有孵化灯自动调节的虾卵孵化器
KR102150581B1 (ko) 갑각류 양식장치
CN106259203A (zh) 一种水蛭养殖装置及生态养殖方法
NO345419B1 (no) Apparat for oppsamling av pelagiske krepsdyrlarver
JP3010892U (ja) 水中生物用給餌器
KR101755810B1 (ko) 양성주광성을 이용한 유생분리 장치
CN210841255U (zh) 一种家庭蝇类引诱装置
CN216135040U (zh) 丰年虫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